KR100403848B1 - 통기성 부직포 필름 - Google Patents

통기성 부직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848B1
KR100403848B1 KR10-2001-0002107A KR20010002107A KR100403848B1 KR 100403848 B1 KR100403848 B1 KR 100403848B1 KR 20010002107 A KR20010002107 A KR 20010002107A KR 100403848 B1 KR100403848 B1 KR 100403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parts
nonwoven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651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riority to KR10-2001-000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8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20Fibres of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 부직포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주바인더로 하고, 여기에 용제, 백색종이가루, 안료, 화산석 및 유화제 등을 첨가하여 필름을 성형한 다음 그 양면에 통상의 부직포를 합지시켜 얻어진 부직포 필름으로서, 이는 수분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습기제거 용품의 커버필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기성 부직포 필름{Cover film}
본 발명은 통기성 부직포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습기제거제의 상부 커버필름으로 사용되는 통기성 부직포 필름에 관한 것이다.
흔히, '물먹는 하마' 등의 상품명으로 널리 알려진 습기제거용 제품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는 염화칼슘(10)으로 충진되고, 상부에 통기성 부직포 필름(300)과 이형지(은박지, 400), 그리고 플라스틱 뚜껑(500) 등을 갖는다.
이중에서 습기제거 용품의 커버필름을 구성하는 부직포 필름(300)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며 통기성인 것으로서, 흔히 부직포(100)와 부직포(100) 사이에 점착성 필름층(200)을 갖는 구조로서, 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통상 부직포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성 필름층으로는 폴리우레탄계 필름을 사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점착성 필름층을 구비한 통기성 부직포 필름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통기성 부직포 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동등 이상의 수분흡수 및 통기성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점착성 필름층을 도입하고자 노력하던 중,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주 바인더로 사용하여 새로운 점착성 필름층을 제조하여 이를 부직포층 사이에 적층시킨 결과, 우수한 수분흡수성을 나타내어 수입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흡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여 습기제거 용품의 커버필름으로 유용한 통기성 부직포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기성 부직포 필름은 부직포와 부직포 사이에 점착성 필름층을 구비한 것으로서, 이때 점착성 필름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75중량부, 크실렌 30∼60중량부, 백색종이가루 30∼70중량부, 안료 30∼80중량부, 화산석 0.5∼40중량부 및 소듐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0.2∼3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통기성 부직포 필름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통기성 부직포 필름을 적용한 습기제거용 제품의 개략도이다.
*도면 주요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 염화칼슘 100 - 부직포
200 - 점착성 필름 300 - 부직포 필름
400 - 은박지 500 - 플라스틱 뚜껑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통기성 부직포 필름의 적층 구조는 도 1과 같은 바, 전량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통기성 부직포 필름과 그 적층 구조에 있어서는 유사하다.
다만, 부직포와 부직포 사이에 구비되는 점착성 필름층의 조성을 새롭게 조성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점착성 필름층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바인더가 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30∼75중량부로 함유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필름으로의 성형이 불가능해지며, 75중량부 초과면 통풍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
용제로서 사용되는 크실렌은 30∼60중량부로 첨가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필름형성이 불가능하며, 60중량부보다 많으면 필름으로 성형시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발포기공을 형성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백색종이가루를 첨가하는 바, 그 함량은 30∼70중량부이다. 만일, 그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통기성이 떨어지고, 70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하게 되면 통풍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오히려 발포구멍을 막아 통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리고 커버필름의 색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안료는 백색안료로서 그 함량은 30∼80중량부이다. 만일, 그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백색이 발현되지 못하고, 80중량부 초과면 통기성을 떨어뜨린다.
한편, 백색종이가루와 더불어서 발포기공을 형성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산석을 첨가하는 바, 그 함량은 0.5∼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통기성이 떨어지고, 40중량부 초과면 역으로 통풍기공을 막는 역할을 하여 통기성을 떨어뜨린다.
그리고, 유화제로서 소듐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0.2∼30중량부로 첨가하는 바, 만일 그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필름이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조성의 점착성 필름 조성을 고속으로 교반하여 혼합한 후 이형지 위에 도포하여 점착성 필름을 성형한 다음, 양면에 부직포를 합지시키면 본 발명의 통기성 부직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점착성 필름층의 두께는 0.1∼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직포로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일예로 장섬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터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60g, 크실렌 30g, 백색종이가루 30g, 백색안료 30g, 화산석 5g 및 소듐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0.2g을 고속교반기에서 3,000rpm으로 교반한 다음 실리콘 이형지 위에 도포하여 필름을 성형(필름두께 0.2mm)하면서, 필름의 양면에 장섬유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합지시켜 통기성 부직포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통기성 부직포 필름을 시판되고 있는 습기제거용 제품의 커버필름을 대체하여 고주파 열기계로 부착하였다. 부직포 필름을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요소는 시판되고 있는 습기제거용 제품과 동일하다.
얻어진 습기제거용 제품에 대하여 수분흡수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시판되는 습기제거 용품과 동일한 실내조건 하에 방치하여 두었다.
방치 후 만수가 될 때까지 날짜 변화에 따른 수분 흡수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 시판제품
1일 - -
2일 3.3㎖ 2㎖
4일 8㎖ 6㎖
6일 만수
7일 만수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모든 구성요소가 동등한 가운데서 커버필름만을 본 발명의 통기성 부직포 필름으로 대체한 경우 수분흡수력이 향상되어 짧은 시간내에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습기제거용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주바인더로 하고, 여기에 용제, 백색종이가루, 안료, 화산석 및 유화제 등을 첨가하여 필름을 성형한 다음 그 양면에 통상의 부직포를 합지시켜 얻어진 부직포 필름은 수분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습기제거 용품의 커버필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부직포와 부직포 사이에 점착성 필름층을 구비한 통기성 부직포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필름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0∼75중량부, 크실렌 30∼60중량부, 백색종이가루 30∼70중량부, 안료 30∼80중량부, 화산석 0.5∼40중량부 및 소듐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0.2∼3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부직포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성 필름층은 0.1∼0.5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부직포 필름.
KR10-2001-0002107A 2001-01-15 2001-01-15 통기성 부직포 필름 KR100403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107A KR100403848B1 (ko) 2001-01-15 2001-01-15 통기성 부직포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107A KR100403848B1 (ko) 2001-01-15 2001-01-15 통기성 부직포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651A KR20010025651A (ko) 2001-04-06
KR100403848B1 true KR100403848B1 (ko) 2003-11-01

Family

ID=1970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107A KR100403848B1 (ko) 2001-01-15 2001-01-15 통기성 부직포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16B1 (ko) 2009-06-03 2011-06-03 백상엽 스코리아 성형체가 구비된 직물 및 직물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08B1 (ko) * 2004-08-04 200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 드라이브 시스템의 회생회로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16B1 (ko) 2009-06-03 2011-06-03 백상엽 스코리아 성형체가 구비된 직물 및 직물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651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2980A1 (en) Shape-formed, three dimensional, moisture vapou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articles
CN104060500B (zh) 一种环保型抗菌防潮壁纸
CA2136675A1 (en) Liquid permeable, quilted film laminates
WO1999064078A3 (en) Shape-formed, three dimensional, moisture vapou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articles
WO2004058116A3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moisture vapour permeable structures with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and structures comprising said compositions
CA2447250A1 (en) Bag for foodstuffs with a window
KR100403848B1 (ko) 통기성 부직포 필름
CN102092525A (zh) 生物可分解混合物
US20030006000A1 (en) Board and board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crushed vegetational material and clay
JP6679628B2 (ja) 機能性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CA2310910A1 (en) Porous sheet
KR100918122B1 (ko) 벽지용 결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7845B1 (ko) 흡음 한지 보드의 제조방법
WO2019156122A1 (ja) 防カビ用多孔質材料及びそれを含む防カビ加工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防カビ方法
KR101504412B1 (ko) 열린구조를 갖는 천연 벽지
JPS63185430A (ja) シ−ト状調湿材
CN207846933U (zh) 一种具有高机械强度的保温装饰板
CN216999078U (zh) 带有防水油封功能的食品包装纸
KR101441517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66337A (ko) 항균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35447B1 (ko) 항곰팡이성 벽지
KR102075141B1 (ko) 칼라 복층 유리
CN112647657A (zh) 防起泡装帧布墙布
CN202248663U (zh) 一种新型装饰板材
KR20110065664A (ko) 골판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