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998A - 유리 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998A
KR20230157998A KR1020237033944A KR20237033944A KR20230157998A KR 20230157998 A KR20230157998 A KR 20230157998A KR 1020237033944 A KR1020237033944 A KR 1020237033944A KR 20237033944 A KR20237033944 A KR 20237033944A KR 20230157998 A KR20230157998 A KR 2023015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es
upper mold
glass sheet
bending
bend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푸레부르그
가이탄 스키아치따노
띠보 라뻰느
띠보 라–u느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3015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99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35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as a preformed layer, e.g. formed by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40/00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 C03B40/005Fabrics, felts or loos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두 개의 벤딩 몰드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용 벤딩 스테이션(4)으로서, 유리 시트에 맞춰 유리 시트를 단단하고 균일한 상부몰드에 가압하도록 배열된 가압 프레임(5), 상부몰드(6)는 상부몰드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되는 몰딩 면의 면적이 가압 프레임 및 유리 시트의 윤곽을 동일한 수평면에 투영시켜 정의되는 면적보다 큰 몰딩 면적을 포함하며, 가압 프레임(5)은 연속 표면을 갖는 가압 링(5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몰드는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70)와 결합된 가요성 시트(60)을 포함하는 벤딩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부몰드는 적어도 5 mm만큼 변하는 편향값을 얻기 위해서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의 영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테이션.

Description

유리 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유리 시트를 구부린 후 냉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특히 강화 유리 시트를 벤딩한다거나 적층 글레이징을 형성하기 위하여 강화한 다음 냉각해서 쌍으로 조립되는 유리 시트를 벤딩하는데 적합하다.
유리 시트를 성형하기 위해 여러 기술이 사용된다. 이들 기술 중 하나는 유리 시트를 가열로를 통해 한 장씩 반송하여 연화 온도에 가까운 온도까지 온도를 올리고, 유리 시트를 롤러 베드 상에서 반송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유리 시트는 가열로를 떠나자마자 벤딩 스테이션으로 이송된다. 벤딩 스테이션에서 유리 시트는 유리 시트에 부여하려는 모양을 가진 프레임에 의해 컨베이어에서 들어 올려진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가압 프레임" 또는 "가압 링"이라고 한다. 롤러 베드의 구성에 따라 프레임은 유리 시트가 처음 놓여 있는 롤러 베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이다. 이어서 프레임은 유리 시트를 들어 올려 단단한 상부몰드에 압착하여 그 형상이 프레임의 형상과 일치하므로 유리 시트의 원하는 모양과 일치한 형상이 된다. 가압 후 유리는 흡착되어 몰드에 고정된 다음 냉각 또는 템퍼링 구역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롤러 베드나 이송 프레임이라고 하는 다른 프레임으로 방출된다. 롤러 베드의 경우, 롤러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여 유리 시트를 템퍼링 스테이션으로 이송한다.
컨베이어 역할을 하는 롤러 베드를 통과하는 하부 프레임의 특별한 특징 외에도, 이러한 유형의 기술은 벤딩 작업이 노 외부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고온으로 유지되는 챔버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고온"은 일반적으로 250~300℃보다 높은 온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기술은 냉간 압착에 의한 유리 성형 기술로서, 이는 고온으로 유지되는 챔버 외부의 벤딩 스테이션 위치를 정의한다. 이 구성에서는 벤딩 도구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열간 압착 기술에서 보다 더 간단하다. 반면, 벤딩 방법은 시간과의 경쟁인데, 왜냐하면 유리 시트가 가열로를 떠나자마자 냉각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벤딩 작업이나 벤딩 조건을 수정하는 것이 까다롭고 제한적이다.
이 방법의 단점 중 하나는 상부몰드와 프레임이 특정 부품이라는 점이다. 이는 각 유리 모양에 대해 상부몰드와 프레임을 생산할 유리 모양의 정확한 치수로 가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동일한 형상이나 표면이라도 유리의 두께나 색상에 따라 다수의 상부몰드가 필요할 수도 있다. 상부몰드는 단단하며 프레임에는 일반적으로 약 +/- 5mm로 제한되는 변형 가능성을 부여하는 조정 나사가 있다. 따라서 하부 몰드만 조정 가능하다.
표면을 재가공하여 상부몰드의 표면을 재 가공하여 수정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재가공"이라고 하며 수십 분의 일 밀리미터에서 약 15 밀리미터 범위의 두께에 걸쳐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유리 모양에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자체 도구를 필요로 한다. 실제로, 개발 중에 공정 매개변수의 타협으로 글레이징에 대한 올바른 최종 형상을 얻을 수 있도록 금형의 형상이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도구 재작업에는 재정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비용이 많이 든다. 상기 유리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생산 라인이 사용되고 각 생산 라인에는 자체 도구가 필요한 경우 이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훨씬 더 큰 작업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다양한 형상 및/또는 표면을 갖는 시트를 성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두 개의 벤딩 몰드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용 벤딩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벤딩 스테이션은 유리 시트에 맞춰 유리 시트를 상부몰드에 가압하도록 배열된 가압 프레임, 상기 상부몰드는 상부몰드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되는 몰딩 면의 면적이 가압 프레임과 유리 시트의 윤곽을 동일한 수평면에 투영시켜 정의되는 면적보다 큰 몰딩 면적을 포함하며, 가압 프레임은 연속 표면을 갖는 가압 링을 포함하며, 상부몰드는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와 결합된 가요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부몰드는 적어도 5 mm만큼 변하는 편향값을 얻기 위해서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의 영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두 개의 벤딩 몰드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용 벤딩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벤딩 스테이션은 유리 시트에 맞춰 유리 시트를 상부몰드에 가압하도록 배열된 가압 프레임, 상기 상부몰드는 상부몰드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되는 몰딩 면의 면적이 가압 프레임과 유리 시트의 외부 윤곽을 동일한 수평면에 투영시켜 정의되는 면적보다 큰 몰딩 면적을 포함하며, 가압 프레임은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와 결합된 연속 표면을 갖는 가압 링을 포함하며, 상부몰드는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와 결합된 가요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부몰드 및 가압 프레임은 적어도 5 mm만큼 변하는 편향값을 얻기 위해서 병진요소의 영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두개의 벤딩 몰드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용 벤딩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 시트에 맞춰 유리 시트를 상부몰드에 가압하도록 배열된 가압 프레임, 상부몰드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되는 상부몰드의 표면적 또는 영역은 가압 프레임의 외부 윤곽을 투영함으로써 정의되는 표면적 또는 영역과 적어도 동일하며, 가압 프레임은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와 결합된 연속 표면을 갖는 가압 링을 포함하며, 가압 프레임은 적어도 5mm만큼 변하는 편향값을 얻기 위해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 영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의 장점은 병진요소에 작용하여 상부몰드 및/또는 가압 프레임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단일 글레이징 또는 적층 글레이징용 유리 시트를 성형하거나 또는 모양은 같지만 다른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를 성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몰드의 몰딩 면의 면적은 성형될 유리 시트 표면적의 101% 이상, 바람직하게는 105%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몰드의 몰딩 면 영역은 상부몰드의 가장자리 부분과 유리 시트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거리가 1 c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cm 이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의 병진요소는 액츄에이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시리즈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의 병진요소는 힌지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수단은 병진요소의 단부와 상부몰드 또는 가압 프레임 사이에 배열된 볼 조인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수단은 양단에 볼 조인트가 장착된 연결봉을 포하하고; 첫 번째 볼 조인트는 병진요소의 끝을 연결봉에 연결하고, 두 번째 볼 조인트는 연결봉의 다른 쪽 끝을 상부몰드 또는 가압 프레임에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몰드 또는 가압 프레임에 부착된 볼 조인트는 병진 이동할 수 있는 보상 수단을 통해 부착되며, 상기 보상 수단은 케이지(cage) 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된 러너(runner)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는 상부몰드에 부착되고, 상기 러너는 병진요소에 부착되거나, 또는 자성 러너(magnetic runner)를 포함하며, 상부몰드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자성을 띤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몰드는 자성 삽입물(magnetic insert)에 의해 또는 멤브레인의 제조(주조) 중에 설치된 금속 구조물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자성을 갖도록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몰드의 가요성 시트는 복수의 개방형 노치가 제공된 폴리머 멤브레인 또는 금속 시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 멤브레인은 보강 수단에 의해 강화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수단은 오버몰딩된 막대 또는 폴리머 멤브레인에 오버몰딩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더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시트, 또는 폴리머 멤브레인에 오버몰딩된 외피에 삽입되어 외피 내에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막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링은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개방형 노치의 복수의 개구가 구비된 금속 시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링은 각각 판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의 신축성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각 부분은 각 판과 상기 부분의 신축성 세그먼트에 형성된 적절한 보어(bore)에 삽입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 링은 두 부분에서 블레이드를 삽입할 수 있는 두 개의 보어를 포함하는 교차판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몰드 및/또는 가압 프레임은 금속 니트 또는 직물로 덮여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상부 변진 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는 병진 시 수동으로 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는 상호 연동되게 수직 병진 조정이 가능하게 하는 계산 유닛에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르면, 흡입장치가 배치되고, 이 흡입장치는 펌프에 연결된 출구와 복수의 입구를 포함하는 진공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장치는 진공 박스의 입구와 상부몰드에 배열된 관통구멍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파이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파이프는 수동 탭 밸브 또는 제어 가능한 밸브를 갖는 모듈을 통해 상부몰드의 관통구멍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 시트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로 구성되는데, 실질적으로 수평면에서 가열로를 통과하는 유리 시트를 지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 시트를 연화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유리 시트를 실질적으로 수평인 궤적을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단계, 두 몰드 사이에서 유리 시트를 가압해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성형하기 이전에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의 병진요소에 작용하여 상부몰드 및 또는 가압 프레임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부몰드의 표면과 가압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수단은 계산 유닛에 연결되어 일련의 첫 번째 병진요소 및/또는 두 번째 병진요소에 신호를 보내어 있을 수 있는 이동 편차를 보상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곡면 유리의 형상을 기준 형상과 비교할 수 있게 하는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수단은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생산 중에 신호를 첫 번째 병진요소 및/또는 두 번째 병진요소에 보내어 있을 수 있는 곡면 유리의 비정상적 위치 변경 및/또는 곡면 형상의 반사에 따른 광학품질의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련의 적층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적층 글레이징은 중간층 필름과 결합된 첫 번째 시트와 두 번째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유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일련의 첫 번째 유리 시트와 일련의 두 번째 유리 시트를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장치로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 적층 글레이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첫 번째 유리 시트, 상기 두 번째 유리 시트 및 중간층 필름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유리 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유리 시트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는 다음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 벤딩 스테이션을 첫 번째 유리 시트 또는 두 번째 유리 시트의 형상에 맞게 조정하기 위해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에 작용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유리 시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 벤딩 스테이션을 두 번째 유리 시트 또는 첫 번째 유리 시트의 형상으로 설정하기 위해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에 작용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유리 시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다른 특별한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적으로 비제한적 예시로서 주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bending station)을 나타낸다.
도 2 및 2a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을 위한 뒤집힌 벤딩 몰드를 나타낸다.
도 3은 흡입장치가 구비된 상부몰드을 나타낸다.
도 4, 4a, 5, 5a는 상부몰드 및/또는 가압 프레임을 위한 힌지 수단을 나타낸다.
도 6 및 6a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을 위한 가압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7, 8,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용 가압 링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은 유리 시트와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의 가압 프레임 및 상부몰드 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나타낸다.
도 12a 및 12b는 제어 가능한 벤딩 몰드와 가압 링을 나타낸다.
도 13은 벤딩 스테이션과 벤딩 라인을 나타낸다.
도 14, 15 및 16은 벤딩을 개선할 수 있는 측정 수단을 나타낸다.
도 1은 유리 시트(2)가 내부에서 롤러 컨베이어(3) 위를 통과하는 가열로(1)를 나타낸다. 가열로(1)에 있는 동안, 유리 시트(2)는 연화 온도에 도달한다. 유리 시트(2)는 이어서 컨베이어(3)에 의해 계속 지지되면서 벤딩 스테이션(4)으로 이송된다.
이 벤딩 스테이션(4)은 연화된 유리 시트가 사실상 최종 형상을 갖도록 조작되는 곳이다.
벤딩 스테이션(4)에서, 가압 프레임(pressing frame)(5)은 롤러 컨베이어(3)에 의해 정의된 평면 아래에 배열된다. 유리 시트(2)가 가압 프레임 위에 도달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부재(members)가 상기 유리 시트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하여, 벤딩 영역에서 롤러를 정지시킴으로써 유리 시트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러면 가압 프레임(5)이 롤러 베드(3)를 지나 유리 시트를 들어 올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프레임(5)은 유리 시트에 형성할 원하는 형상을 갖고 있어서 유리 시트를 성형할 수 있다. 가압 프레임(5)은 롤러베드(3)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유리 시트(2)를 지지하는 가압 프레임(5)이 가압 프레임(5) 위에 있는 벤딩 몰드(6)에 유리 시트를 가압하기 위해 이동한다. 벤딩 몰드(6)와 가압 프레임(5) 사이에서 유리 시트를 가압하여 유리 시트가 성형된다. 상기 가압이 끝나면 흡입 시스템을 통해 유리판을 상부몰드에 완벽하게 압착할 수 있다.
벤딩 몰드(6)(상부몰드라고도 함)는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벤딩 면, 즉 연속적이고 균일한 벤딩 면을 포함하며, 그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이지만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벤딩 몰드는 상부몰드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된 표면적 또는 영역을 가지며, 적어도 가압 프레임의 외부 윤곽을 투영하여 정의된 표면적 또는 영역과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벤딩 몰드(6) 및/또는 가압 프레임(5)은 다양한 형상의 유리 시트를 성형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제1 실시예에서, 벤딩 몰드(6)는 적응 가능(adaptable)하다. 이는 벤딩 몰드(6)가 다양한 형상의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벤딩 몰드(6)는 도 2,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부 일련의 병진요소(70)와 결합된 가요성 시트(60)를 포함하며, 이 벤딩 몰드(6)는 반전되거나 뒤집어진 것으로 표시된다. 이로써 가요성 시트는 5 내지 500m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mm로 변화되는 편향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벤딩 몰드(6)는 범용성이다. 즉, 유리 시트의 표면적과 가압 프레임(5)의 표면적보다 더 큰 표면적을 갖는다. 이는 벤딩 몰드(상부몰드라고도 함)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된 표면적 또는 영역이 가압 프레임의 외부 윤곽과 유리 시트를 동일한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되는 표면적 또는 영역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벤딩 몰드(6)의 표면적은 유리 시트 표면적의 적어도 101%, 바람직하게는 유리 시트 표면적의 적어도 10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0%이다. 또한, 유리 시트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 부분과 멤브레인의 가장자리의 한 부분 사이에 적어도 1 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cm의 최소 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유리 시트의 형상이 상부몰드(6)의 형상 내부에 들어 맞는 한, 상부몰드(6)를 다양한 형상의 유리 시트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가요성 시트(60)는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첫 번째는 폴리머 소재로 만든 멤브레인이다. 폴리머 소재로 만든 멤브레인은 강도를 선택적으로 향상시키는 강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소재가 너무 유연하면 멤브레인의 모양을 잘 제어할 수 없을 위험이 있다. 상기 멤브레인을 보강함으로써 제어가 개선된다. 이러한 강성 부재는 멤브레인에 삽입되거나 오버몰딩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막대일 수 있다. 또는 이들 강성 부재는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된 금속 시트일 수도 있다. 강성 부재는 멤브레인에 오버몰딩된 피복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피복이 있으면 강성 부재가 피복 내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다.
두 번째는, 가요성 시트(60)가 700도의 온도에 견디는, 즉 이 온도에서 부드러워지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진 얇은 시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재료는 금속 또는 그 합금이다. 이 얇은 시트는 표면 위에 반복적인 오픈 노치(open notch) 형태의 복수 개의 개구부 있어서 상기 얇은 시트가 두 가지 다른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변형예에서, 벤딩 스테이션(4)은 상부몰드(6)에 흡입장치(100)를 포함하고, 이 흡입장치(100)는 유리 시트를 흡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입장치(100)는 상부몰드(6)에 배열된 다수의 관통구멍(101)을 포함한다.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흡입장치는 진공박스(102)를 포함한다. 이 진공박스(102)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박스(102)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다.
진공박스(102)는 다수의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는 각각이 멤브레인의 관통구멍에 파이프(10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103)의 한쪽 끝은 진공박스(102)의 입구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유리 시트와 향하는 면 반대쪽 면의 관통구멍(101)에 연결된다.
상기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상부몰드(6)의 표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몰드(6)가 범용성, 즉 다양한 형상의 유리 시트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모든 구멍(101)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멍(101)이 흡입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은 구멍(101)은 바람직하게는 틀어 막거나 쌍으로 연결된다. 이 구멍들은 마개를 사용하여 막거나 필요할 때 마다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제어 밸브를 갖는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각 파이프(103)에 1/4 회전형 탭 밸브를 장착하여 파이프에 연결된 멤브레인의 구멍(101)이 멤브레인과 유리 시트 사이의 접촉 표면 외부에 있을 경우 진공 박스(102)와 대기 사이의 연결을 끊도록 할 수 있다.
가요성 시트(60)는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70)와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병진요소(70)는 액츄에이터(71)이다. 액츄에이터(71)는 두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병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적 또는 전기 기계적 부품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71)는 이동 가능한 피스톤이 내부에 있는 원통형 관의 형태일 수 있고, 유체로 상기 피스톤을 운동하게 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71)는 나사-너트 조립체 또는 웜 나사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들 병진요소(70)의 제1 단부는 평판 또는 프레임 형태의 베이스(40)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진요소(70)의 제2 단부는 가요성 시트(60)에 부착된다.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70) 각각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상기 가요성 시트(60)를 국부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가요성 시트(60)가 변형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원하는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가요성 시트(60)는 다양한 형상의 글레이징을 성형하는 데 적합한 범용 도구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면적은 성형 유리 시트의 주면(main face) 면적보다 크고, 유리 시트의 윤곽은 상기 가요성 시트의 윤곽 내에 포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성형 유리 시트의 상부면(가요성 시트와 접촉하는 면)의 윤곽은 가요성 시트의 하부 표면(유리 시트와 접촉하는 면)에 포함된다.
병진요소(70)의 밀도는 원하는 표면적뿐만 아니라 곡률 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밀도는 병진요소가 500 x 500 mm 내지 50 x 50 mm의 격자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 프레임(5)과 벤딩 몰드(6) 사이에 유지되는 유리 시트에 압력이 가해진다고 해서 유리 시트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유리 시트는 성형 중에 반드시 완전하게 냉각되지는 않기 때문에, 상기 유리 시트의 형상은 여전히 약간 변경될 수 있다.
곡률이 증가하면 병진요소(70) 또는 가요성 시트(60)에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곡률을 증가시키면 수평면에 투영된 유리 표면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반면에 병진요소(70)의 투영은 상부몰드(6)의 기하학적 형상과 무관하다. 응력이 병진요소(70) 상에 그리고 상부몰드(6) 위에 가해진다. 이로 인해 병진요소와 상부몰드에 변형이 발생하여 작동 불량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병진요소(70)는 올바르게 기능하기 위해 가능한 한 수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응력의 출현을 방지하기 위한 한 가지 해결책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병진요소(70)에 하나 이상의 힌지 수단(72)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첫 번째 예에서, 힌지 수단(72)은 병진요소(70)의 단부에 배열된 볼 조인트(72')의 형태이다. 이 볼 조인트(72')는 구(sphere)와 이에 보완적인 암형(femle form) 중공 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해서 볼 조인트(72')는 병진요소와 가요성 시트(60) 사이에 배열된다.
도 4a에서 볼 수 있는 두 번째 예에서, 힌지 수단(72)은 각 단부에 볼 조인트(72')가 장착된 연결봉(70') 형태이다. 각 볼 조인트(72')는 구와 이에 보완적인 암형 중공 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 조인트(72')는 병진요소(70)의 수직봉 끝단을 연결봉(70')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연결봉(70')의 타단을 가요성 시트(60)와 일체화된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한다.
대안으로는 상부몰드(6)와 슬라이딩 가능한 병진요소(70) 사이의 경계면에 볼 조인트(72')를 배열하는 것이다. 이는 볼 조인트(7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 수단(74)을 통해 표면에서 약간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보상 수단(74)의 제1 실시예는 러너(runner)(742)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케이지(cage)(740)로 구성된다. 러너(742)는 원형 부품이다. 케이지(740)는 환형 벽이 연장되는 원형 베이스를 포함한다. 환형 벽에서 시작하여 주변 플랜지가 원형 베이스의 축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러너(742)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을 정의한다. 주변 플랜지는 러너(742)가 삽입되면 케이지를 떠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원형 베이스의 직경 및 케이지의 환형 벽의 높이는 러너(742)가 케이지(740)의 베이스를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한 2개의 방향을 따라 케이지(740)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케이지(740)는 상부몰드(6)에 부착된다. 케이지(740)는 멤브레인에 접착결합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멤브레인 형태의 상부몰드(6)의 경우 멤브레인에 직접 오버몰딩될 수도 있다.
러너(742)는 병진요소(70)에 부착되어 가요성 시트(60)의 성형 중에 러너(742)가 케이지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응력을 보상할 수 있다. 러너(742)는 볼 조인트(72')의 부착을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 볼조인트(72')는 액츄에이터의 끝단에 직접 부착된다.
도 5a에서 볼 수 있는 제2 실시예에서, 병진요소(70)는 자성 러너(magnetic runner)(742') 형태의 보상 수단(74)을 통해 가요성 시트(60)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가요성 시트(60) 자체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자성을 갖는다. 이 자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얻어진다.
첫 번째 방법은 가요성 시트(60)의 표면 전체를 자성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요성 시트(60)는 자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패턴을 갖는 구멍 뚫린 가요성 금속 시트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가요성 시트는 또한 전체 표면에 걸쳐 연장되는 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삽입물을 통해 자성으로 만들어지는 폴리머와 같은 비자성 가요성 재료의 시트 형태일 수도 있다.
두 번째 방법은 멤브레인에 자성 구역을 국부적으로 구비하는 것인데, 이러한 자성 구역은 병진요소가 멤브레인에 연결되어야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자성 삽입물(744)이 가요성 시트(60)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은 특히 가요성 시트(60)가 금속 시트인 경우 접착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일 수 있지만, 특히 가요성 시트가 중합체인 경우 오버몰딩일 수 있다.
러너(742')는 볼 조인트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이 볼 조인트는 액츄에이터(71)의 끝단이나 연결봉(70')에 직접 부착된다.
일 예의 구성에서, 각 병진요소(70)는 두 개의 볼 조인트(72')와 연결봉(70')를 사용하는 힌지 수단(72)에 의해 상부몰드(6)에 부착된다. 그렇지만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또 다른 구성은 상부몰드(6)의 중앙에 병진요소(70)를 배열하는 것인데, 이 병진요소는 주변에 배열된 병진요소(70)와 달리 두 개의 볼 조인트(72)와 연관된 연결봉(70')를 포함하지 않으며, 오히려 단일 볼 조인트(72')를 갖추고 있다. 실제로, 모든 병진요소(70)가 2개의 볼 조인트(72')를 갖는다면 특정 기하학적 형상에 대해 너무 많은 자유도가 존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곡률이 작은 표면의 경우 시스템의 강도가 부족할 위험이 있다. 단일 볼 조인트(72')를 구비하고 중앙에 배열된 병진요소(70)를 갖는 구성에서는 이러한 위험이 감소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프레임(5)은 적응 가능하다. 가압 프레임은 가압 링(50)을 포함한다. 이 가압 링(50)은 연속적이며 도 6,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70)에 연결된다. 병진요소(70)는 이전에 설명한 것과 같은 액츄에이터(71)이다. 이들 병진요소(70)는 제1 단부가 플레이트 또는 프레임 형태일 수 있는 베이스(40)에 부착된다. 병진요소(70)의 제2 단부는 가압 링(50)에 부착된다.
제2 실시예의 가압 링(50)은 변형 및 곡률이 수정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가압 링(50)이 0 내지 500mm,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0m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0mm로 변하는 편향 높이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가압 링(50)은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첫 번째 형태로, 가압 링(50)은 벤딩 몰드(6)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만든 링 형태이다.
두 번째 형태로, 가압 링(50)은 환형 금속 시트의 표면 위에 복수의 반복적인 개방 노치가 제공된 환형 금속 시트의 형태로 되어 있어 환형 금속 시트가 다른 두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세 번째 형태로, 가압 링(50)은 물결 구조 또는 사인곡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부착된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구조의 형태이다. 세그먼트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세 번째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가압 링(50)은 특정 수의 "측면" 또는 부분(500)을 포함하며, 각각은 선형 또는 곡선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은 도 7에 표시된 대로 4개의 "측면"(500)으로 구성된다.
각 측면(500)은 신축성 있는 복수의 세그먼트 또는 섹션(501)을 포함한다. 각 신축부(501)는 아코디언 모양으로 절단된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당히 가역적인 신장 특성을 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보어(bore)는 아코디언 재료로 만들어서, 비 신축적 가요성 블레이드(502)가 아코디언의 중앙 평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한다. 상기 블레이드(502)는 각 섹션(501)에 강성을 부여하며 가압 링(50)의 전체 주변을 따라 연속적이고 규칙적인 곡선을 얻게 해준다.
신축부(501)는 강성 판(503)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들 신축부(501)는 판(503)에 부착된다. 각각의 판(503)는 또한 비 신축적 플레이트(502)가 안에서미끄러질 수 있게 해주는 보어를 포함한다.
두 개의 인접한 측면(500)은 교차판(505)을 사용하여 교차되는데, 교차판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블레이드(502)가 두 개의 측면(500) 각각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하는 두 개의 중첩된 직사각형 보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어는 연결되는 인접한 두 변의 끝 사이의 교차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갖는다. 도 9에 표시된 것처럼 인접한 두 변을 각각 삽입할 수 있다.
유리는 가압 링의 다음 요소들과 접촉한다: 각 신축부(501)의 상부 표면, 각 판(503)의 상부 표면 및 각 교차판(505)의 상부 표면.
교차판(505)의 보어는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않다. 교차판 보어에는 유리 시트와의 접촉 표면에 더 가깝게(보어로부터의 거리 - 접촉 표면 두께 1) 위치한 보어(상부 보어)와 하부 보어가 있다. 이 경우, 상부 보어에 삽입되어 블레이드(502)가 슬라이딩되는 신축부(501)의 상부 아코디언 부분은 하부 보어에 삽입되어 블레이드(502)가 슬라이딩되는 신축부(501)의 상부 아코디언 부분보다 얇다. 이를 통해 유리 가장자리를 연속적이고 규칙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하부 압착 링과 상부 금형에 의해 유리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균일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리 가장자리에서의 반사로 인해 눈에 보이는 광학적 결함의 형성을 최소화한다.
가압 링(50)은 판(503) 및 교차판(505)를 통해 병진요소에 부착된다.
상기 판 및 교차판(503, 505)은 그 하부 표면에 구(506)를 구비한다. 각 구(50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각 병진요소(70)의 끝에 설치된 두 개의 하프 쉘(73)과 접촉한다.
각각의 병진요소(70)는 수직 축을 따라 이동을 수행할 수 있지만 수평면에서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 판 및 기계식 액츄에이터의 단부와 일체형인 이중 쉘로 형성된 한 벌이 볼 조인트 연결부를 형성한다. 나사-너트형 연결부(75)는 액추에이터(71)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볼 조인트를 잠글 수 있다.
유리판과 가압 링(50)의 접촉면 사이의 접촉은 여유각(angle of relief)을 가질 수 있다.
릴리프(relief)가 0인 경우, 유리와 가압 링 사이의 접촉은 유리 주변부에 위치한 유리의 가장자리 표면 위에서 발생한다.
반면, 릴리프가 0이 아닌 경우 유리 주변과 가압 링(50) 사이의 선형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성형 후 글레이징 가장자리에서의 기하학적 및 광학적 결함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여유각(relief angle)은 일반적으로 성형될 유리의 두께에 의해서 제한되고, 또한 유리 시트에 의해 덮이지 않는 가압 링의 여백 길이(marginal length)에 의해서도 제한된다. 유리 시트가 클수록 그리고 성형 유리가 얇을수록 접근 가능한 릴리프도 작아진다.
가압 링(50)을 형상화하기 위한 방법은 나사 너트 연결부를 풀어 가압 링(50)을 병진요소(70)에 연결하는 모든 볼 조인트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그런 다음 액츄에이터(71) 또는 병진요소(70)를 높이 면에서 셋팅하여 판(503) 및 교차판(505)이 상부몰드(6)와 접촉하도록 한다. 판(503, 505)의 위치는 병진요소(70)의 각 단부에 있는 나사-너트 쌍에 의해 나사에 고정된다. 주어진 각도의 릴리프가 필요한 경우, 이 릴리프를 고려하여 상부몰드에 적합한 표면이 일시적으로 생성된 다음 이전 조정이 수행되고 나사-너트 쌍은 앞에서 설명한 대로 잠근다. 이후 상부몰드는 생산하고자 하는 글레이징의 형상에 적합한 기하학적 구조를 취하고 생산이 시작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병진요소(70)는 각 단부에 볼 조인트가 장착된 연결봉(70')를 포함한다. 각 볼 조인트는 구(sphere)과 이에 보완적인 암형(female form) 중공 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볼 조인트는 병진요소(70)의 수직봉 끝부분을 연결봉(70')에 연결하고, 연결봉의 타단과 가압프레임(50)을 연결하는 볼 조인트는 상기 구와 전술한 이중 쉘을 포함한다.
일 변형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이중 볼 조인트(72')가 있는 연결봉을 갖는 힌지를 갖는 가압 링(50)과 결합된 일부 병진요소(70)와 단일 볼 조인트를 갖춘 다른 병진요소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가압 프레임을 너무 유연하게 만들어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자유도를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단일 볼 조인트가 장착된 병진요소(70)의 단부는 가압 링의 다른 측면 중앙에 우선적으로 배치된다.
두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서, 가압 프레임(5) 또는 상부몰드(6)를 위한 힌지 수단(72)은 잠금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볼 조인트(72')에는 볼조인트(7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 장치가 구비된다.
두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서, 가압 링(50) 및/또는 벤딩 몰드(6)를 형성하는 가요성 시트(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싱 수단(80)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싱 수단(80)은 가압 링(50) 및/또는 상기 가요성 시트(60)를 유리 시트(V)와의 접촉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인터페이싱 수단(80)은 예를 들어 고온에 견디는 금속 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직물 또는 니트(82)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니트 또는 직물(82)은 특정 결함을 흡수하고 열 교환을 개선할 수 있게 하는 재료이다.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여러 가지 구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첫 번째 구성은 벤딩 몰드(6)가 조정 가능하고 가압 링(50)이 정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벤딩 몰드(6)는 적어도 5mm만큼 변하는 편향 높이를 가지며, 가압 링(50)은 5mm 미만으로 변하는 편향 높이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구성은 여러 모양의 유리 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벤딩 몰드(6)를 가짐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두 번째 구성은 상부몰드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함으로써 정의되는 표면적 또는 영역을 갖는 정지된 벤딩 몰드(6)을 갖는 것으로 구성되며, 이는 가압 프레임의 외부 윤곽 및 적응 가능한 가압 링(50)을 투영해서 정의되는 표면적 또는 영역과 적어도 동일하다. 따라서, 벤딩 몰드는 5mm 미만으로 변하는 편향 높이를 가지며 가압 링은 적어도 5mm만큼 변하는 편향 높이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구성은 여러 모양의 유리 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가압 링을 가짐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세 번째 구성은 적응 가능한 벤딩 몰드(60) 및 적응 가능한 가압 링(50)을 갖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벤딩 몰드는 적어도 5mm만큼 변하는 편향 높이를 가지며 가압 링은 적어도 5mm만큼 변하는 편향 높이를 갖는다. 이 세 번째 구성은 가장 유리한데, 왜냐하면 도구를 바꾸지 않고서 다량의 유리 시트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시트 성형 방법은 유리 시트가 롤러 베드 상에서 운반되는데, 가열로를 통해 한 장씩 반송되는 유리 시트를 연화 온도에 가까운 온도까지 온도를 올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 단계에서, 유리 시트는 가열로를 떠나자마자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4)으로 이송되며, 벤딩 스테이션에는 가요성 몰드(60) 및/또는 가압 링(50)이 적응 가능하다.
벤딩 스테이션(4)에서, 유리 시트는 가압 링(50)에 의해 컨베이어에서 들어 올려진다. 이어서 가압 링(50)은 유리 시트(2)를 들어올려 상기 가요성 시트(60)에 압착하게 되고, 유리 시트의 형상은 가압 링(50)의 형상에 맞추어짐으로써 유리 시트는 원하는 형상에 일치하게 된다.
가압 후, 가압 링(50)은 롤러 베드 아래 높이로 복귀하여 상기 롤러 베드 또는 상기 유리 시트를 다른 스테이션으로 가져가는 이송 프레임(10) 상의 유리 시트를 교체한다. 상기 다른 스테이션은 도 1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냉각 스테이션(9) 또는 템퍼링 스테이션(8)일 수 있다.
적응형 벤딩 몰드(6) 및/또는 가압 프레임(5)의 경우, 셋팅 단계가 필요하다. 이 셋팅 단계는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70)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70)에 작용하여 벤딩 몰드 및/또는 가압 프레임의 형상을 설정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 해결책은 일련의 상위 및/또는 하위 병진요소(70)에 수동으로 작용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각각의 병진요소(70)를 수동으로 설정하여 원하는 벤딩 몰드(6) 및/또는 가압 프레임(5)의 형상을 얻는 것이다.
두 번째 해결책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76)을 통해 일련의 상부 및/또는 하부 병진요소(70)에 작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제어 유닛(76)은 일련의 상부 및/또는 하부 병진요소(7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병진요소(70)는 전기 기계적인 병진요소이다. 제어 유닛(76)에는 조작자가 설정을 입력하거나 상기 설정을 포함하는 파일을 로드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미도시)가 구비되거나 또는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이러한 설정은 제어 신호가 각 병진요소(70)에 전송되어 병진을 제어하도록 처리된다.
상부몰드(6)와 가압 프레임(5)이 적응 가능한 경우,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70)와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70) 사이에 상호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호 연결은 상부몰드(6)를 위해 입력된 설정에 기초하여 그로부터 가압 프레임(5)을 위한 설정을 연혁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로 가능한 제어 유닛(76)에 연결되거나 제어 유닛에 포함된 계산 유닛(UC)을 갖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정 단계는 일련의 유리 시트를 성형하기 전에 또는 각 유리 시트 사이에서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조절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단계는 벤딩 스테이션(4)의 출구에 위치된 측정 수단(90)을 갖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측정 수단(90)은 곡면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제어 유닛(76)에 포함될 수 있는 계산 유닛(UC)에 전송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또는 위치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이 계산 유닛(UC)은 측정된 만곡 시트를 이론적 모델과 비교하여 그들이 일치하는지를 결정한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계산 유닛(UC)은 제어 유닛(76)과 통신하여 하나 이상의 병진요소(70)에 신호를 전송해서 곡선 형상을 교정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벤딩 몰드(6)는 형상이 벤딩 후 유리 시트의 원하는 표면의 기하학적 구조에 근접한 표면이기 때문에 적절한 기하학적 구조와 반사 시 개선된 광학 품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를 쉽게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광학 센서 또는 위치 센서와 결합된 체크 게이지 형태의 측정 수단(90)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지 자체는 측정할 글레이징에 대한 기계적 기준 역할을 한다.
대안적으로, 측정 수단(90)은 생산된 유리의 반사 시 광학적 품질을 측정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상부몰드의 기하학적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유리하게 도입될 수 있다.
광학 품질의 이러한 측정은 단독으로 또는 측정 수단(90)에 의한 기하학적 형상 측정에 추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조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는 가압 링(5)과 벤딩 몰드(6)가 완벽하게 협력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면 수행된다. 실제로 도 14에 표시된 것처럼 가압 링의 길이에 걸쳐 가압 링과 벤딩 몰드 사이의 공간 e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가압 링(5)과 벤딩 몰드(6)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91)가 사용된다. 사용될 수 있는 센서의 한 유형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비디오 또는 이미지 센서(91a)이다. 이미지는 제어 유닛(76)일 수 있는 계산 유닛(UC)으로 전송된다. 이 계산 유닛(UC)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공간 e'의 값을 결정하고 이를 이론적 공간 e와 비교한다. 이 알고리즘은 비디오 센서를 가압 링(5) 및 벤딩 몰드(6)로부터 분리하는 거리와 비디오 센서의 광학적 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계산 유닛(UC)은 신호를 하나 이상의 병진요소(70)에 전송하기 위해 제어 유닛(76)과 통신하여 곡선 형태를 교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링(5) 전체를 카바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가 사용된다.
성형 후 반사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과도하게 눌려진 영역과 덜 눌려진 영역을 식별하여 위치 수정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비디오 센서와 크로스 해칭 패턴(cross-hatched pattern)이 사용된다.
사용되는 다른 유형의 센서(91a)는 커패시턴스의 수정 또는 푸코 전류의 생성에 기초하여 용량성, 유도성 또는 레이저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센서(91b)는 벤딩 몰드의 가요성 시트(60) 또는 가압 링(50)에 배열되고, 그곳에서 둘 사이의 공간(e)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값은 하나 이상의 병진요소에 제어 신호를 보내기 위해 측정값과 이론값을 비교하는 계산 유닛(UC)에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계산 유닛(UC)은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비교를 통해 측정값이 모두 동일해지도록 특정 병진요소에 후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또는 조정 단계는 원하는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곡면 유리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방법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수율이 향상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유리에 접착되고 균일한 두께를 갖는 엘라스토머 시트를 통해서 연결되고 서로 완벽하게 평행하고 두 개의 유리 시트로 구성된 적층 글레이징을 생산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실제로, 생산된 글레이징은 두께나 색상 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두 개의 유리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가지 유형의 유리 시트에 대해 동일한 설정으로 생산이 이루어지면, 일반적으로 두 가지 다른 계열의 형상이 얻어진다. 하나는 외부 유리용이고 두 번째 기하학적 구조는 첫 번째와 다른 내부 유리 시트용이다.
실제로, 이들 두 유형의 유리 시트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성형 공정 동안 동일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착색되거나 더 두꺼운 유리 시트는 더 가볍거나 더 얇은 유리 시트보다 더 많이 굽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현하기는 어렵지만, 기존의 방법은 두 가지 시리즈로 생산한다. 예를 들어 외부 유리 시트를 위한 첫 번째 시리즈와 내부 유리 시트를 위한 두 번째 시리즈이다. 이러한 과정은 두 유리 시트의 기하학적 구조가 서로 매우 유사할 때 구현하기 어렵기도 하고 위험하다. 또한 생산된 첫 번째 시트를 중간에 상당히 보관할 필요할 있어서, 파손이나 결함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은 내부 및 외부 유리 시트로 이루어진 각 쌍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일련의 적층 글레이징을 생산하는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계산 유닛(UC)은 벤딩 몰드(6) 및/또는 가압 프레임(5)이 첫 번째 시트를 만들기 위해 유리를 성형한 다음 두 번째 시트를 만들기 위해 유리 시트를 교번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일련의 상부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70)에 작용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동일한 적층 글레이징의 첫 번째 시트와 두 번째 시트를 사실상 동시에 성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들 두 유리 시트에 대한 온도 조건이 동일하다. 이는 보다 쉽게 협력하는 두 개의 유리 시트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일련의 적층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유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일련의 첫 번째 유리 시트와 일련의 두 번째 유리 시트를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장치로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 적층 글레이징을 형성하기 위해 첫 번째 유리 시트, 두 번째 유리 시트 및 중간층 필름을 결합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유리 시트의 성형은 다음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 벤딩 스테이션을 첫 번째 유리 시트 또는 두 번째 유리 시트의 형태를 잡도록 설정하기 위해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70)에 작용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유리 시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 벤딩 스테이션을 두 번째 유리 시트 또는 첫 번째 유리 시트의 형태를 잡도록 설정하기 위해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에 작용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유리 시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적층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은 첫 번째 유리 시트와 두 번째 유리 시트를 교대로 제조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벤딩 스테이션이 복수의 첫 번째 유리 시트를 생산한 다음 복수의 두 번째 유리 시트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제조 방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첫 번째 시트의 개수와 두 번째 시트의 개수는 같을 수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장의 첫 번째 시트 유형의 시트가 성형된 다음에 세 장의 두 번째 유형의 시트가 성형되거나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첫 번째 시트와 두 번째 시트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성형하는 이점이 여전히 존재하는 한 첫 번째 시트의 개수와 두 번째 시트의 개수는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층 글레이징의 제조를 특히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강화 글레이징 유형의 모노리식 유리를 성형하는 기능도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예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1 가열로 (furnace)
2 유리 시트 (glass sheet)
3 롤러 컨베이어 (roller conveyor)
4 벤딩 스테이션 (bending station)
5 가압 프레임 (pressing frame)
6 벤딩몰드 (bending mold)
60 가요성 시트 (flexible sheet)
40 베이스 (base)
50 가압 링 (pressing ring)
60 가요성 시트 (flexible sheet)
70 병진요소 (translational element)
70' 연결봉 (connecting rod)
71 액츄에이터 (actuator)
72 힌지 수단 (hinge means)
72' 볼 조인트 (ball joint)
73 하프 쉘 (half shell)
74 보상 수단 (compensating means)
100 흡입장치 (suction device)
101 관통구멍 (through-hole)
102 진공박스 (vacuum box)
103 파이프 (pipe)
500 측면 (side)
501 신축 섹션 (stretchable section)
502 블레이드 (lame)
503 판 (plate)
505 교차판 (intersection plate)
740 케이지 (cage)
742 러너 (runner)
742' 자성 러너 (magnetic runner)
744 자성 삽입물 (magnetic insert)
90 측정 수단 (measuring means)

Claims (29)

  1. 두 개의 벤딩 몰드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용 벤딩 스테이션(4)으로서, 유리 시트에 맞춰 유리 시트를 단단하고 균일한 상부몰드(6)에 가압하도록 배열된 가압 프레임(5), 상기 가압 프레임(5)은 연속 표면을 갖는 가압 링(5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몰드는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70)와 결합된 가요성 시트(60)을 포함하는 벤딩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부몰드(6)는 상부몰드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되는 몰딩 면의 면적이 가압 프레임 및 유리 시트의 윤곽을 동일한 수평면에 투영시켜 정의되는 면적보다 큰 몰딩 면적을 포함하며, 상부몰드는 적어도 5 mm만큼 변하는 편향값을 얻기 위해서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의 영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테이션.
  2. 두 개의 벤딩 몰드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용 벤딩 스테이션(4)으로서, 유리 시트에 맞춰 유리 시트를 단단하고 균일한 상부몰드(6)에 가압하도록 배열된 가압 프레임(5), 상기 가압 프레임을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70)와 결합된 연속 표면을 갖는 가압 링(50)을 포함하고, 상부몰드는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70)와 결합된 가요성 시트(60)를 포함하는 벤딩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부몰드(6)는 상부몰드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되는 몰딩 면의 면적이 가압 프레임과 유리 시트의 외부 윤곽을 동일한 수평면에 투영시켜 정의되는 면적보다 큰 몰딩 면적을 포함하며, 상부몰드 및 가압 프레임은 적어도 5 mm만큼 변하는 편향값을 얻기 위해서 병진요소의 영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테이션.
  3. 두 개의 벤딩 몰드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용 벤딩 스테이션(4)으로서, 유리 시트에 맞춰 단단하고 균일한 상부몰드(6)에 가압하도록 배열된 가압 프레임(5), 상기 상부몰드의 윤곽을 수평면에 투영하여 정의되는 상부몰드의 표면적 또는 영역은 가압 프레임의 외부 윤곽을 투영함으로써 정의되는 표면적 또는 영역과 적어도 동일하며, 가압 프레임은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70)와 결합된 연속 표면을 갖는 가압 링(50)을 포함하는 벤딩 스테이션에 있어서,
    가압 프레임은 적어도 5mm만큼 변하는 편향값을 얻기 위해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 영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스테이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몰드(6)의 몰딩 면의 면적은 성형될 유리 시트 표면적의 101% 이상, 바람직하게는 105%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인 벤딩 스테이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몰드(6)의 몰딩 면 영역은 상부몰드의 가장자리 부분과 유리 시트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거리가 1 c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cm 이상인 벤딩 스테이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의 병진요소(70)는 액츄에이터(71)인 벤딩 스테이션.
  7. 제6항에 있어서,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의 병진요소(70)는 힌지 수단(72)을 포함하는 벤딩 스테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힌지 수단(72)은 병진요소(70)의 단부와 상부몰드(6) 또는 가압 프레임(5) 사이에 배열된 볼 조인트(72')인 벤딩 스테이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힌지수단(72)은 양단에 볼조인트(72')가 장착된 연결봉(70')을 포함하고, 첫 번째 볼 조인트는 병진요소(70)의 끝을 연결봉(70')에 연결하고, 두 번째 볼 조인트는 연결봉의 다른 쪽 끝을 상부몰드 또는 가압 프레임에 연결하는 벤딩 스테이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부몰드(6) 또는 가압 프레임(5)에 부착된 볼 조인트는 병진 이동할 수 있는 보상 수단(74)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보상 수단은 케이지(742) 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된 러너(74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는 상부몰드 또는 가압 프레임(5)에 부착되고, 상기 러너는 병진요소(70)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부몰드와 접촉하는 자성 러너(magnetic runner)를 포함하며, 상부몰드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자성을 띠는 벤딩 스테이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부몰드(6)는 자성 삽입물(magnetic insert)에 의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자성을 띠는 벤딩 스테이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몰드(6)의 가요성 시트(60)는 복수의 개방형 노치가 구비된 폴리머 멤브레인 또는 금속 시트인 벤딩 스테이션.
  13. 제12항에 있어서, 폴리머 멤브레인 보강 수단에 의해 강화되는 벤딩 스테이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수단은 오버몰딩된 막대 또는 폴리머 멤브레인에 오버몰딩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더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시트 또는 폴리머 멤브레인에 오버몰딩된 외피에 삽입되어 외피 내에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막대를 포함하는 벤딩 스테이션.
  15.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링(50)은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복수의 개방형 노치 개구가 구비된 금속 시트를 포함하는 벤딩 스테이션.
  16.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링(50)은 각각 판(503)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의 신축성 세그먼트(501)를 포함하는 부분(500)을 포함하고,상기 각 부분은 각 판과 상기 부분의 신축성 세그먼트에 형성된 적절한 보어(bore)에 삽입되는 블레이드(502)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 링은 두 부분에서 블레이드를 삽입할 수 있는 두 개의 보어를 포함하는 교차판(505)을 더 포함하는 벤딩 스테이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몰드 및/또는 가압 프레임은 금속 니트 또는 직물(82)로 덮여지는 벤딩 스테이션.
  18. 제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70)는 병진 시 수동으로 조정되는 벤딩 스테이션.
  19. 제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는 제어 유닛(76)에 연결되어 병진요소를 수직 병진으로 조정될 수 있게 하는 벤딩 스테이션.
  20. 제19항에 있어서,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와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70)는 수직 병진이 상호 연동되게 조정될 수 있게 하는 계산 유닛(UC)에 추가로 연결되는 벤딩 스테이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장치(100)가 배열되고, 상기 흡입장치는 펌프에 연결된 배출구와 복수의 흡입구를 포함하는 진공 박스(102)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장치는 진공 박스의 흡입구와 상부몰드에 배열된 관통구멍(101)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파이프(103)를 더 포함하는 벤딩 스테이션.
  22. 제21항에 있어서, 각 파이프는 수동 탭 밸브 또는 제어 가능한 밸브를 갖는 모듈을 통해 상부몰드의 관통구멍에 연결되는 벤딩 스테이션.
  23. 유리 시트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를 포함하는 벤딩 장치로서, 실질적으로 수평면에서 가열로를 통과하는 유리 시트를 지지하여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한 벤딩 장치.
  24. 유리 시트를 연화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실질적으로 수평인 경로를 따라 유리 시트를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벤딩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단계, 두 몰드 사이에서 유리 시트를 가압해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시트 벤딩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성형하는 단계 이전에,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의 병진요소(70)에 작용하여 상부몰드 및/또는 가압 프레임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벤딩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부몰드의 표면과 가압 프레임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측정 수단(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수단은 계산 유닛(UC)에 연결되어 일련의 첫 번째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두 번째 병진요소에 신호를 보내어 있을 수 있는 이동 편차를 보상하는 벤딩 방법.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곡면 유리의 형상을 기준 형상과 비교할 수 있게 하는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수단은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생산하는 동안 신호를 일련의 첫 번째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두 번째 병진요소에 보내어 있을 수 있는 곡면 유리의 비정상적 위치 변경 및/또는 곡면 형상의 반사에 따른 광학품질의 저하를 보상할 수 있는 벤딩 방법.
  28. 일련의 적층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적층 글레이징은 중간층 필름과 결합된 첫 번째 시트와 두 번째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유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일련의 첫 번째 유리 시트와 일련의 두 번째 유리 시트를 얻기 위해 제23항에 따른 벤딩 장치로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 적층 글레이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첫 번째 유리 시트, 상기 두 번째 유리 시트 및 중간층 필름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유리 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유리 시트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는 다음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 벤딩 스테이션을 첫 번째 유리 시트 또는 두 번째 유리 시트의 형상에 맞게 조정하기 위해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에 작용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유리 시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 벤딩 스테이션을 두 번째 유리 시트 또는 첫 번째 유리 시트의 형상으로 설정하기 위해 일련의 상부 병진요소 및/또는 일련의 하부 병진요소에 작용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유리 시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유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KR1020237033944A 2021-03-15 2022-03-11 유리 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KR202301579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102519 2021-03-15
FR2102519A FR3120624A1 (fr) 2021-03-15 2021-03-15 dispositif et procédé de formage d’une feuille de verre
PCT/FR2022/050441 WO2022195204A1 (fr) 2021-03-15 2022-03-11 Dispositif et procédé de formage d'une feuille de ver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998A true KR20230157998A (ko) 2023-11-17

Family

ID=7791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944A KR20230157998A (ko) 2021-03-15 2022-03-11 유리 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58278A1 (ko)
EP (1) EP4308510A1 (ko)
KR (1) KR20230157998A (ko)
CN (1) CN115348953A (ko)
FR (1) FR3120624A1 (ko)
MX (1) MX2023010472A (ko)
WO (1) WO20221952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6386A (en) * 1984-01-16 1985-01-29 Libbey-Owens-Ford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US4806140A (en) * 1987-12-21 1989-02-21 Ppg Industries, Inc. Adjustable press face
US4830650A (en) * 1988-01-04 1989-05-16 Ppg Industries, Inc. Flexible ring mold and method of use
US5849056A (en) * 1995-12-11 1998-12-15 Ppg Industries, Inc. Electrically activated flexible press for shaping heat softenable sheet material
US5951733A (en) * 1998-08-04 1999-09-14 Glasstech, Inc.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vacuum forming glass sheets
JP2003212574A (ja) * 2002-01-28 2003-07-30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曲げ成形治具及び装置
EP1484291B1 (en) * 2003-06-04 2011-09-14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glass sheet using curved roll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8278A1 (en) 2024-05-16
CN115348953A (zh) 2022-11-15
WO2022195204A1 (fr) 2022-09-22
EP4308510A1 (fr) 2024-01-24
MX2023010472A (es) 2023-09-15
FR3120624A1 (fr)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152B1 (ko) 정밀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의 프레스 하중 제어 방법
US20050264756A1 (en) Custom contact lens molding system and methods
CN111873481B (zh) 一种针对复材成型回弹的补偿方法及可调成型面的模具
JP4818685B2 (ja) ガラス光学素子成形方法
KR100201189B1 (ko)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및 장치
US9346701B2 (en) Multi-stage glass pressing systems and methods
KR20230157998A (ko) 유리 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EP0179794B1 (en)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JP2004074271A (ja) プレス装置
JP5111195B2 (ja) プレス装置
KR100726506B1 (ko) 광학소자의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409985B2 (ja) プレス成形装置、プレス成形方法及び成形品
JP2010089970A (ja) 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CN107382041A (zh) 一种移动终端3d防护玻璃罩热压成型装置
KR20180067010A (ko) 금속판에 다양한 곡면을 성형하는 방법
EP0458963B1 (en)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JPH085787Y2 (ja) プレス装置
US11148346B2 (en) Thermoforming machine and method
JP2006298668A (ja) 光学素子の成形方法とその装置、及び光学素子
DK201771028A1 (en) A mold for overmolding polymer onto a pane module for windows and a method of operating said mold
KR20240039490A (ko) 점진 성형 장치
CN116061417A (zh) 一种双面复合微透镜密集阵近视防控镜片及其加热模压成型装备和成型工艺
NZ784133A (en) Block-free lens support for lenses surfacing
CA3117607A1 (en) Variable profil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H06285861A (ja) タイヤ加硫プレ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