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189B1 -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189B1
KR100201189B1 KR1019920011413A KR920011413A KR100201189B1 KR 100201189 B1 KR100201189 B1 KR 100201189B1 KR 1019920011413 A KR1019920011413 A KR 1019920011413A KR 920011413 A KR920011413 A KR 920011413A KR 100201189 B1 KR100201189 B1 KR 10020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mold
glass sheet
cell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400A (ko
Inventor
르사지 쟝-릭
도쉬 쟝-삐에르
쁘띠꼴랭 쟝-마르끄
보르데리우 아노
와뗑 마르끄
Original Assignee
르 바게레즈 에스.
쌩-고뱅 비뜨라지 엥떼르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 바게레즈 에스., 쌩-고뱅 비뜨라지 엥떼르나시오날 filed Critical 르 바게레즈 에스.
Publication of KR93000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시트가 모터 롤러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벤딩 셀 내부로 통과하여 유리 시트의 벤딩 온도와 동일한 주위 온도로 유지되는, 수평로 내부에서 벤딩 온도로 가열되는 유리 시트를 벤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 시트는 벤딩 셀 내부의 유리 시트 중앙부를 지지하는 수단을 에워싸는 환형 대향 몰드에 수직한 상부 벤딩 몰드의 벤딩 셀 내부에 고정되며, 환형 대향 몰드는 상부 벤딩 몰드에 대항하여 유리 시트를 가압하도록 상승된다.
본 발명은 템퍼링할 수도 있는 굽혀진 차량용 유리의 제조에 적용된다.

Description

유리시트의 벤딩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몰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벤딩 장치 전방에서 본 도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환형 대향 몰드상에 중심이 맞춰진 유리시트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셀 3 : 출구
4,4' : 롤러 7 : 펌프
17 : 레일 23 : 프레임
본 발명은 유리시트의 벤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판이 거의 수평 평면에서 이동하고 가압 성형 페이스를 구비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대개 차량의 후방과 측부에 장착되는 구부러진 템퍼링 처리된 유리나 구부러진 유리와 같은 차유리 또는 일면에 플래스틱 시트를 갖거나 플래스틱 재료 시트에 의해 쌍으로 조립되는 어니일링 처리되고 박판형상을 갖는 차 유리의 제조에 적용되며, 특히 앞 유리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대부분의 차유리는 절연성 이중 유리를 형성하도록 그 체적이 좁은 슬롯을 통과하거나 짝을 이룰 필요가 있으므로, 유리가 포트형 프레임내에 둘러싸일 수 있도록 에지상에서 그리고 나머지 표면상에서 상당히 정확하게 예정된 주 곡률을 만족시키고 특별히 엄격한 광학 특성 기준에 적합해야 하는 구부러진 유리이다.
대개 견고한 몰드와 환형의 대향 몰드인 두개의 상보관계 벤딩 몰드 사이에서의 프레싱을 수반하는 유리판을 수평 위치에서 굽히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장치는 모두 기본적으로 두 종류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벤딩 스테이션의 설계에 따라 구별된다. 그 한 종류에서 스테이션은 유리 시트를 연화점 이상까지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로의 단부에만 위치하며, 벤딩 공구는 고온 유리와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주위 온도이다. 이 종류의 커다란 장점은 제조 변경중의 공구 설계, 그 세팅 및, 그 교체 문제를 상당히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장점은 벤딩 작업 전반에 걸친 유리의 불가피한 냉각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벤딩후의 유리 온도는 일반적으로 템퍼링이 가능하기에 충분히 높아야 한다. 더구나, 주어진 속도에서의 유리 변형 성능은 온도에 따라 상당히 변화한다. 또한 유리는 냉각될수록 벤딩성이 저하된다. 이는 특히 상기 변형성능이 이미 얻어진 곡률과 역관계 일 때 불리하며, 따라서 작업의 종결시점에는 모든 곤란함이 누적된다. 따라서 로 외부의 작업은 로에서 유리 시트를 과열시킬 필요가 있게 하는데, 이는 광학적 변형 위험을 증대시키고 모든 경우에 있어서 압형 문제를 유리와 관련한 문제 및 광학적 질의 고려문제와 결합시킨다.
두번째 종류의 편평 벤딩 장치는, 벤딩 스테이션이 고온의 밀봉된 외피내에 위치되고 주위 온도가 유리 성형 온도에 밀접한 즉 600내지 750℃ 사이인 등온 장치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들 장치는 실제로 벤딩이 로가 아닌 가열된 외피에서 발생하더라도 로 내부의 벤딩 장치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이 종류의 장치는 주로 생산에 사용되는 공구가 아니 최종 제품을 고려할 때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앞의 경우보다 훨씬 낮은 로 출구 온도에서 유리 시트를 굽힐 수 있다. 벤딩중의 열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더 이상 유리를 과열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광학적 질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더구나 벤딩 도중 냉각이 가능한 경우의 제한 인자인 유리 시트 또는 필름의 두께는 이전처럼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이 장점은 완전한 성형 장치 특히 공구를 보다 복잡하게 설계하므로써 달성된다. 수평선의 선택이 주로 모든 그리퍼 및 기타 기구들이 국부적인 방식으로 작동하여 그 결과로 유리에 제거될 수 없는 흔적을 남기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소망에 의해 지시된다는 것을 생각할 때 부딪히게 되는 첫번째 문제점을 유리 시트를 로 로부터 벤딩 프레스로 이동시키거나 이 양을 동일한 것에 더하는 것과 그 배출 문제이다.
첫번째 해결책은 프레스와 로의 단부 사이에서 왕복 운동하는 흡입판에 의해 프레스를 공급하는 것이며, 유리 시트는 하부 몰드에 장착되어 상부 벤딩 대향 몰드와 대향하는 위치로 병진 이동된다(EP-A-183,418). 그러나 벤딩의 정확성은 이들 상이한 측방향 변위에 대한 고도의 제어를 요구하는데, 이는 특히 유리 형상이 가장 복잡한 경우인 거의 1/10mm의 정확도가 요구되면 고온에서 높은 균일도를 얻기 어렵다.
두번째 해결책은 유리 시트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프레싱이 발생하는 장소까지 연장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유리 시트를 상부 몰드와 접촉시키기 위해 흡입 및 상향 고온 가스 유동에 의해 상승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왔는데, 이는 상승된 후 유리 시트 공급 컨베이어와 상부 몰드 사이에 하부 프레임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남겨둔다. 상기 프레임에 의한 프레싱후, 유리 시트는 템퍼링 프레임에 의해 회복될 때까지 다시 상부 몰드에 의해 파지된다(EP-A-237,231). 냉각 상태에서, 다른 가능성은 프레싱 프레임에 대해 정지 위치에 오목부를 제공하는 브레이크를 구비한 컨베이어 롤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일련의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을 통하거나, 분할되는 실제 롤러에 의해 하부 프레싱 프레임을 컨베이어를 통해 지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분할된 프레임은 유리에 흔적 남기는 것을 일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시트는 그 주위에 걸쳐 균일하게 지지되지 않고, 두개의 다른 변형체, 즉 브레이크 달린 롤러나 분할된 롤러는 롤러 구동에 대해 수많은 구조 및 설계상의 문제를 유발하며, 이들 문제는 이제까지 고온의 경우 해결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미합중국 특허 US-A3,869,271호에는, 유리가 공기 쿠션에 의해 로를 통해 이동하여 고온 외피 외부의 성형 영역을 관통하고 이곳에서 상부 오목 몰드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위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장착된 프레싱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공기 쿠션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유리 시트는 공기 쿠션 평면 아래로 하강된 프레싱 프레임 위에서 고정된다. 상기 프레싱 프레임은 다시 상승되어 상부 벤딩 몰드에 대해 유리 시트를 결합시킨다. 제1공기 쿠션으로부터 성형 영역의 공기 쿠션으로의 이동중에 유리 시트의 대부분이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아니도록 보장하기 위해, 중간 영역에는 중력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 섹션이 제공된다.
여기서 다시, 프레싱 장치는 냉각 영역에 있음이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경우에 유리 시트는 프레싱 프레임내에 위치하는 공기 쿠션에 의해 프레싱 영역내에 지지된다. 실제로, 이같은 배치는 편평한 유리 시트의 치수가 프레임 및 이로인한 구부러진 유리 시트의 치수를 크게 초과하지 않을 때 즉 부여되는 곡률이 제한될때만 가능하다. 반대의 경우에는 프레임을 둘러싸는 다른 공기 쿠션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공구의 제어 및 조절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하며, 분할된 공기 쿠션의 평형은 특히나 어렵다. 또한, 컨베이어상에서 이동하는 유리 시트의 궤적을 감시하는 것은 하나가 다른 하나를 뒤따르는 두개의 유리 시트가 수 센티미너 이격된 궤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어렵다. 이러한 궤적 변화는 요구되는 광학적 고품질과 주곡률의 고정확도와 조화되기 어렵다. 이들 변화를 조화시키기 위해서는 미합중국 특허 US-A-4,233,049 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재중심 조정 부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장치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또한 이같은 유리 시트 중심 조정은 두개의 프레싱 몰드가 일치할때에만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제에서는 환형 대항 몰드가 위로부터 돌출되고 상부 몰드가 현수되어 있다. 이는 벤딩 영역이 측벽에 의해 폐쇄될 때 수용성 및 육안 검사가 덜 어렵다는 사소하지만 실제적인 어려움은 고려하지 않는다 해도 보정이 어렵고 특히 공가가 고온 영역에 설치될 때, 더욱 해롭게 될 위치설정 변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품질 기준을 고려하지만 유리의 복잡성에 관계없이 제조 중단 시간의 감소, 특히 두 생산 변환 사이의 조절로 인해 제조율 및 작동 속도를 증가시켜, 고온 영역에서의 프레싱에 의한 유리 시트 벤딩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벤딩 온도까지 가열된 유리 시트를, 모터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횡단 운반된어 벤딩셀로 이동되고 여기서 벤딩 온도와 거의 동일한 주위 온도에서 유지되는 수평 로에서 굽히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 시트는 벤딩 셀내의 유리 시트 중앙부 지지 수단을 둘러싸는 환형 대향 몰드에 대해 수직하게 상부 벤딩 몰드 아래의 벤딩 셀내에 고정되며, 상기 환형 대향 몰드는 유리 시트를 상부 벤딩 몰드에 대해 가압하기 위해 상승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방법은 유리 시트 지지 수단의 고온 성형 영역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이송시키지 않고 단지 지지만 한다는 점에서 우선 종래 기술과 상이하다. 유리 시트는 그 관성 및 롤러 컨베이어가 얻은 속도의 결과로 인해 계속 이동한다. 상기 지지 수단은 통상 공기 쿠션상에 장착되는 자유 회전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제 롤러는 구동되지 않는다. 공기 쿠션 베어링은 상기 목적에 적합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특허출원 EP-A-910,500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지지수단은 공기 쿠션이다. 따라서, 이 경우 공기 쿠션상에서 유리가 마찰이 없으므로 이송 컨베이어의 롤러중 하나와 접촉 상태에서 유리 시트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인 방식에 있어서 유리 시트는 후방에서의 그대 기초부가 이송 컨베이어 롤러와 평행한 사다리꼴 형성 유리의 경우에 횡방향 위치되어 조금씩 전방으로전진이동한다.
이같은 방식으로 유리 시트는 고정된 측방향 접촉부재나 멈춤 부재에 의해 촛점이 맞취질 수 있거나 적어도 중심 조정 작업을 통해 고정 유지될 수 있다. 공기 쿠션은 유리 시트가 마찰없이 그리고 그로인해 자국을 남기지 않고 활주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유리판은, 유리 후방부에 대응하므로 유리판이 스스로 중심 조정될 수 있도록 최대한 이격되어 있는 두 제 1측방향 접촉부재 사이에 충분히 결합된다.
적절하다면 유리 시트의 촛점 맞춤은 전방 접촉부재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유리 시트가 극단 위치에서 멈춰지고 촛점 형성 접촉부에 부딪힌후 약간 뒤로 이동하는 경향이 없도록 지지수단이 약간의 하향 경사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유리 시트 지지 수단은 환형 대향 몰드에 의해 둘러싸이며, 따라서 관절 구조 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연속 레일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환형 대향 몰드는 상부에서 바닥부로 이동되고, 유리 시트의 통행을 허용하는 대기 위치에 설치되며, 유리 시트를 가압하여 상부 벤딩 몰드에 적용시키기 위해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지지 수단 및 환형 대향 몰드가 보통 고온 외피 외부에 설치되는 공동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조립체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들은 한 피스로 대체될 수 있는 공동조립체를 형성한다. 이같은 배치가 갖는 첫번째 장점은 공기 쿠션에 대한 환형 대향 몰드의 완벽한 중심 조정을 보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전체 이동 시스템을 지지하기도 하며, 따라서 이는 전기 접속기나 압축 공기 흡입 장치, 기계적 정밀 장치, 기계식 또는 유압식 작동기 등과 같은 깨지기 쉬울 것으로 보이는 부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양호한 실시예세서, 프레싱 조립체, 즉 상부 벤딩 몰드 및 환형 대향 몰드는 온도 상승중에 폐쇄되어 표시된다. 이같은 배치는 다시 세팅 및 조절 시간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들 두 몰드는 이미 정확히 냉각 설치되며 가열 기간 동안 그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양호한 성형 재생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표시 작업은 각각의 프레싱 작업 도중에 반복되며, 이는 여전히 발생할 수 있는 양호한 매우 작은 변화가 가능하게 한다.
유리 시트의 가장자리 영역은 공기 쿠션위로 돌출하며 따라서 지지되지 않는다. 대개 이는 벤딩 셀에서 유리 냉각을 하지 않는 것에 의한 효과를 전혀 감지 않고, 유리를 로에서 과열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에지가 처지는 경향을 제한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깊은 벤딩의 경우에 이 문제는 중요하게 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기 쿠션의 작용을 연장시키기 위해, 환형 대향 몰드 지지 수단상에 장착되는 송풍 램프나 뱅크를 사용하여 고온의 공기를 송풍할 수도 있다. 상부 벤딩 몰드에 의한 유리 시트 파지에 기여하기 위해 수주 80mm를 초과하는 비교적 고압이 공급되는 상기 동일한 뱅크나 기타 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벤딩 셀에 의해 종결되고, 그 내부 온도가 유리 시트의 벤딩 온도와 가깝게 유지되며, 유리 시트를 상부 벤딩 몰드와 접촉 유지시키는 수단이 장착된 상부 벤딩 몰드 및, 유리 시트 중앙부 지지 수단과 이 지지 수단을 둘러싸는 환형 대향 몰드로 구성되는 하부 조립체를 구비하는, 상기 유리 시트 벤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리 시트 중앙부 지지수단 및 대향 몰드는 벤딩 셀의 바닥부를 폐쇄하는 절연 부재와 셀의 고온 영역 외부에 위치된 여러 부재 및 특히 환형 대향 몰드 감시 부재를 운반하는 지지판에 장착된다. 이같은 설비에서, 각각의 제조 변경시에 제거되는 것은 벤딩 셀의 전체 하부이므로 제조 라인은 고온 영역 벤딩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냉각 라인의 융통성을 얻게 된다. 절연 부재로 인해, 사람이 안전하게 끼어들 수 있도록 라인 아래를 충분히 낮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조 변경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는 레일상을 달려서 위치되는 트롤리나 캐리지상에 전체 하루 조립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효과는 슬라이드 밸브와 같은 방식으로 흡입 유니트에 고정되는 신규 상부 벤딩 몰드를 동시에 공급하는 캐리지를 사용할때 강화된다.
벤딩 프레스의 효율은 재료의 균일성에 의해 증가되고, 상부 벤딩 몰드 및 환형 대향 몰드는 동일한 재료 또는 적어도 동일한 팽창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며, 이는 냉각 공구 설계를 고온 연장하고 벤딩 프레스 몰드의 양호한 평행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이들 공구는 예를들어 동일한 주조 금속이나 내화강을 주조 및 기계 가공하므로써 얻어질 것이다. 체적 촛점 형성 접촉 부재나 멈춤 부재와 같은 공구 시스템의 부품을 형성하는 표시 시스템이나 기타 부품은 상당히 정확한 기계 가공 정확도로 주조 단계로부터 상기 공구 세트의 직접 부품을 형성하거나 추가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유리하게 상부 벤딩 몰드와 환형 대향 몰드 사이의 갭을 측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잭은 벤딩 프레스를 완전히 장착 또는 위치 설정 세팅하기 위해 측정 수단에 따라 제조되는 환형 대향 몰드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은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 및 첨부도면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벤딩 장치는 제1도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터미널 단부만이 도시된 노 CD 와, 벤딩 셀 (2) 및 냉각 장치 방향에 있는 출구 (3)를 갖는다. 상기 노 (1)는 본 출원인 이름으로 1991년 2월 20일에 출원된 유럽 특허출원 제 91.400456.2호에 기술된 특징을 갖는 전기로 또는 국부 과열 구역 즉, 접는 선에 대응하는 벤딩 성분에 유리 시트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노가 적합하다.
그래스 시트는 복수개의 모터 롤러 (4) 즉, 국소 또는 어떤 다른 내화 세라믹으로 만들어진 상기 로안으로 운송된다. 이들 롤러는 제조 위험을 분해하는 국소 직물 외장으로 양호하게 피복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유리 시트를 위한 벤딩 온도와 같은 레벨의 온도를 유지 및 열 템퍼링이 연속 어널링을 위해 대략 550 ℃에 제공될때 대략 650 ℃ 인 열적으로 절연된 봉입물인 벤딩 셀[롤러(4')]까지 연장된다. 커튼(5)은 적재 작동중에 발생되는 공기 와류 흐름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실제 형상 구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가 중단되고, 다른 롤러(4)는 적당하다면 비처리량의 하역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구역의 다른 측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후자의 하역은 지지 부재의 영역밖으로 즉, 수압 부레이크 장치쪽으로 불완전한 양을 이동시키는 세이퍼나 또는 브러쉬의 시스템에 의해 부가된다.
벤딩 셀의 상부는 열적으로 절연된 두 구역에 의해 구성된다. 좁아진 상부 구역(6)은 펌프(7)에 의해 취해지는 흡입 구역을 구성하고, 고온 공기는 유리 시트를 위해 재가열 노로부터 들어온다. 하부 구역(8)은 슬라이드 사이에 배치된 틀홀더(10)와, 상부 벤딩 몰드를 에워싸는 바닥 컨테이너(11)에 의해 필수적으로 구성된 상부 벤딩 프레스 조립체(9)를 포함한다. 펌프(7)에 의한 흡입은 유리 시트의 외주상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을 나타내기 위하여 진공하에 상기 컨테이너를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후자의 해결책은 유리 시트상에서 작용하는 힘이 엣지 즉, 볼륨의 벤딩이 취해지고 흡입 오리피스에서 유리에 대한 어떤 위험이 없는 엣지에 최대 폐쇄력이 있기 때문에 적합한 흡입 몰드의 것에 적합하고 또한, 외주 흡입은 상부 벤딩 몰드에 의한 보호 커버링의 선택에 대해 커다란 자유도가 주어진다.
열 절연벽(12)에 의해 분리된 상부 및 하부 구역은 흡입 파이프 및 또한 공기에 흡입된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재분사 오리피스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재분사시에, 공기는 적합하게 재가열 즉 흡입으로 인한 작동중에 발생하고 펌프를 위한 모터 공기로써 제공되는 압축된 공기의 어떠한 차가운 온도가 가능한 냉각을 보정하기 위하여 전기 저항기 또는 다른 동일한 가열 수단에 의해 재가열되고, 벤딩 셀의 하부 구역에 포위된 온도가 적합하게 제어되도록 노에 있는 회로의 통로에 의해 예가열된다. 상부 구역은 또한 노로부터 초래된 뜨거운 공기를 방출하는 굴뚝을 가지므로, 이는 상부 구역에서 과압력하에 있지 않고 또한 흡입 구역에서 압력의 양호한 조절을 허용한다. 더우기, 하부 구역의 절연은 벤딩 셀 작동부의 치수를 감소시키며 온도 제어 문제점을 간소화시킨다.
상술한 상부는 장치의 전방상에서 특히 가변할 수 있는 주요 장점을 갖는다. 즉, 상부 주형 승강 작동을 실행하기 위한 틀 홀더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부재가 셀 외측에서 차가운 공기를 갖는 상부 흡입 구역의 측면상을 통과할 수 있다. 고온은 그내에 있는 체인의 용도를 방해하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따라서, 틀 홀더는 퓰리상에 권선되는 체인에 부착된 타이레드(13)에 의해 처리되어야만 하며, 타이레드(13)의 이동에 거의 동일한 거리에서 벤딩 셀의 아치상에 위치 설정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측면 통로는 제1도 및 제2도에 윤곽만 나타낸 뼈대(15)의 비임(14)을 더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장치의 비용과 전체 치수를 감소시킨다. 벤딩 셀에서 이러한 양호한 온도 제어와 압력 제어는 틀과 섬유를 과열시키는 방사 가열 장치에 의해 흐르는 냉각 현상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벤딩 셀의 상기 상부는 공기가 복귀 또는 흡입 기구가 상부 벤딩 몰드와 연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특정 정신 외측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롤러에 평행하게 배열된 레일(17)을 연장하는 하부에서 그리고 벤딩 프레스의 하부가 제위치에 삽입되는 구멍(16)을 오버행하는 벤딩 셀의 하부에 대해 지금부터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멍(16)은 벤딩 셀의 주변의 약간의 열로 유도된다면 포위 온도에서 온도 폐쇄에 있다. 따라서, 레일(17)은 캐리지에 의해 운송된 지지판(18)을 가지며 휠(19)을 직접 제공하는 셀 하부의 정확한 위치에서 남아있다. 상기 지지판(18)은 절연 부재(20)와, 공기 충격에 의한 지지 슬라브(21) 및 환형 대향 몰드(22)를 지지한다.
절연 부재(20)는 등온 동작에 의해 절연되어야만 하는 셀의 바닥 부근 단부에 끼워져 있다. 하부 조립체가 철회될라면, 바닥은 밀봉에 의해 다시 적합하게 폐쇄 즉, 초과열 손실을 보호하기 위해 금속 함유 또는 플랩형으로 폐쇄된다. 더우기, 밀봉 소자는 절연 부재와 벤딩 셀의 고정된 바닥 사이의 연결부에 제공된다.
프레스 하부의 주성분은 섀시(23)에 의해 지지된 환형 대향 몰드(22)이고, 그의 치수는 처리될 그래이징의 최대 크기의 로로써 양호하게 계산되며, 연결판(24)은 대향 몰드(22)를 섀시(23)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섀시(23)와 대향 몰드(22)의 승강 운동은 양호한 동작의 표시인 지지판(18)을 통과하는 적어도 세개 양호하게는 네개의 자동화 나사(25)에 의해 고정된다. 자동화 나사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절 단계중에 특히 프레싱 단계중에 환형 대향 몰드의 설정 또는 배치를 조절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은 벤딩 셀 하부에 위치 설정되어서 환형 프레임 상에서 직접 작동한다.
틀의 설계 특히 상기 환형 프레임은 글레이징 형상의 매우 큰 생산성과 최대 벤딩 정밀성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위해 큰 발명은 틀에 의한 큰 정밀성을 전재로 하는 클레이징에 의해 1/10mm의 정밀성을 달성한다.
세가지 형태의 결점은 환형 프레임에 의해 즉, 고체 벤딩 몰드에 대해 수평면으로 배치된 심각한 문제점에 인한 것과, 비 보정 몰드와 대향 몰드를 갖는 트랙의 빈약한 평행에 인한 것 및, 위치 설정 효과로 링크된 것들에 의해 일어난다.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환형 프레임은 트랙이나 또는 통로와, 그 세팅 및, 평면 위치에서 작동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일정수와 나사는 트랙의 후면에서 나사의 강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환형 프레임은 나사와 타이로드에 세트에 의해 집중성과 시이팅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다른 대향 프레임상에 스스로 장착된 대향 프레임상에 장착된다. 더우기, 지표는 고체 벤딩 몰드와 연합된 고정 단부이다. 특히, 100 조정 및 설정점까지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것은 고온에서 작동하는 것이 필요하고, 가장 큰 해결책은 점토의 작은 환형 프레임 파일에 설치 및 가압후에 이들 파일 각각의 높이를 측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이 느리며, 어려운 가열 조건하에서 실행되며, 특히 이는 작동의 정확성에 근거한 비교적 제한된 필요성으로 유도된다. 이러한 세팅이 일어나자마자 조작자의 심은 예정 위치에서 가능한 폐쇄되어 남아있는 반면에, 각 조건의 동일 운동을 재생하기 위해 시도된다. 상기 심은 가공부에 종종 있으며, 모든 경우에 1mm보다 더 정확한 벤딩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부적당하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제1선택과 본 발명자는 동일한 고온 작동 특성을 갖는 동일 재료로 만들어진, 벤딩 링, 상부 몰드에서 서로에 대해 열적으로 안정된 성형 및 가공된 주조 금속 부품만을 사용하기 위하여 모든 시트 금속 가공 금속을 제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 공정은 벤딩 셀의 열 절연 봉입물에 영구적으로 배치된 이러한 모든 부품에 의한 동일 열 조건을 가정하기 위하여, 어떤 다른 조절 및 세팅을 규제함 없이 트랙의 완전한 평행성의 조건하에서 보증이 제공된다. 벤딩 공정이 환형 프레임의 냉각을 위해 제공된다며, 특히, 환형 프레임이 핸딩 봉입물 밖으로 굴곡된 유리 시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한 특히 템퍼링중에 유리 시트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양호하게는 다른 재료의 선택으로 주어지는 반면에 각 작업 템퍼링 범위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덱싱 시스템은 틀 시스템의 일체식 부품을 형성하고 동일한 고온 동작을 갖는다. 이들 세팅과 상부 벤딩 주형에 대한 환형 프레임의 집중성은 모든 베이스에 의해 즉시 냉각을 일으킨다.
최종 세팅은 상기 세팅에 대해 참조된다. 종래 기술의 설비에 있어서, 이는 환형 프레임에 대해 관련된다. 그러나, 상부 몰드는 타이 로드상에 걸려있으며 이들의 획일성은 서로를 비교하여 연장되므로 매우 높은 중량에도 불구하고 상부 벤딩 몰드의 세팅은 수정이 가능하고, 환형 프레임의 완전한 세팅은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대향 몰드와 흡수 위치에 대한 몰드의 세팅 또는 배치를 조절하지 않으며, 특히 정확한 갭은 대향 몰드와 몰드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용도는 적어도 세게 양호하게는 네개의 잭 또는 다른 독립 상승 수단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의 운동은 최종 접근 단계에서 변환기에 의존한다.
상기 변환기는 로드가 보호되는 자기 변환기일 것이다. 그러나 광 삼각형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용이성은 스테인레스 강철로 만들어진 용량 변환기의 용도로 주어지고, 그런다음 이는 반사기와 같은 상부 금속 몰드롤 사용한다. 상기 용량성 변환기는 냉각 회로 형태의 어떤 보호없이 양호하게 작동하며, 이들 측정의 정확성은 매우 높은 대략 10mm 정도까지 이므로,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최대 감지성을 갖는다.
양호하게, 대향 몰드의 배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후자에서 직접 작동되지 않으나,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형 새시상에서 작동한다. 이들 수단은 잭형 또는 적합하게는 자동화 나사형이다. 상기 프레임은 비변형 프레임이 적합하다. 즉, 세팅에 의해 변경될 수 없다. 후자의 목표는 순간 동작을 단순화 하는 잭 콜드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적합한 슬롯에 의해 벤딩 셀의 직선 피트를 양호하게 횡단한다. 상기 대향 몰드는 그것상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환형 프레임의 중공에 연결된 핑거에 남아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환형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에 대해 자유도를 가지며, 잭이 정확하게 동일 높이에 있지 않다면 상기 환형 프레임은 변형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이것은 수직하지 않으나, 상기 세팅 효율은 갭 제어에 의해 정정된다.
지지 프레임상에 배치된 환형 프레임이 불균형의 경우에 느낌을 가지지 않은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이는 측면 배열을 제한하여 그의 지지체상의 환형 프레임의 위치에 밀어넣는 각 프레임을 양호하게 제공된다.
자동화 나사의 배열에 대해, 이는 이동 단부에서 상기 각 나사는 독립적이고 갭의 측정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지시한다. 이들 이동의 환형에 대해 200 내지 300mm가 될 수 있는 반면에, 이동 단부가 100mm 만의 배열을 표시하며, 자동화 나사는 양호하게 동시에 배치된다. 이 목적을 위해, 이는 이동 단부에 의해 어떤 필요성이 있는 독립 기계 시스템을 제공하나 상기 순서가 관리된다. 공지된 전기 제어 동기화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용도는 리이더와 같은 일 나사로 만들어져 있고, 다늘 나사의 배열은 이에 대해 조절될 것이다. 상기 동기화 방법은 고속 배열을 갖는 것이 가능하며, 어떤 정밀성이 필요없고 수밀리미터의 변화가 실행된다. 상기 갭 변화기중 하나가 선택 나사 구멍 즉 10mm이하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자동화 나사 배열은 동시 발생이며, 갭 제어 모드로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어떤 시도가 대응 운동을 얻기 위해 행해지지 않았으나 정확한 최종 위치가 발생된다.
상술한 틀의 설계와 갭 제어 원리는 다른 벤딩 설비에 적용되여 환형 대향 몰드가 변형되지 않게 제공되므로, 갭 변환기에 의해 측정된 위치는 환형 대향 트랙의 모드 지점의 위치를 지시한다. 더우기, 고정 상부 벤딩 몰드는 유리 시트를 가압하기 위해 환형 프레임의 수직 배열을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직 배치가 아니라 상부 벤딩 몰드가 더 낮아지는 환형 프레임을 갖는 설비 또는 프레스의 두 성분이 함께 이동되는 설비에 적용된다.
환형 대향 몰드(22)는 유리면을 마킹하는 위험을 제한하는 연속 레일에 의해 양호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복합 벤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형성하는 세 부재에 의해 또한 형성된다. 대향 몰딩에 절연된 인덱싱 핑거(26)가 있고, 벤딩 프레스의 상부 몰드와 연합된 슬롯 또는 작은 구멍(27)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몰드, 대향 몰드 및 인덱싱 부재는 모두 동일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거나 또는 동일한 가열 작용 특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이는 내하 주조 강철로 만들어져 있고, 상기 부품은 몰딩후에 신장된다. 더우기, 유리 시트와 접촉하는 모든 부품은 편물 또는 직조 금속 직문에 근거하여 보호 피복을 양호하게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벤딩 프레스는 두 몰드로 형성되며, 그의 트랙의 평행성은 부품과 동일한 팽창 특성의 가공에 의해 보호되고 프레스의 세팅은 갭 의존에 의해 제어된다.
지지판(18)에 의해 지지되는 제3소자는 공기 쿠션 또는 엄밀하게 지지 슬라브(21)이다. 이 공기 쿠션은 환형 대향 몰드 내부에 놓이고 성형 구역 내부의 유리를 지지한다. 예를들어, 송풍 오리피스를 갖는 천공 세라믹 판으로 대체되는 지지 슬라브는 유리를 맞닿음부에 일치시키는 위치를 확보하도록 배치 및 하향 경사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지지판인 미세 조절 수단에 의해 직접 지지된다.
상기 공기 쿠션은 쿠션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시간당 수천 세제곱 미터의 공기 흐름율과 워터 칼럼의 수백 압력에 견디는 고온의 예열 팬-선회 공기 쿠션이다. 대향 몰드의 중심부에만 놓이고 지지판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 쿠션은 유리 시트를 주워 올리는 동안 롤러 컨베이어에 접촉하도록 쉽게 조절될 수 있다. 공기 쿠션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성형 구역 상류에 있는 롤러(4')와 성형 구역의 하류에 있는 롤러(4)에 놓이는 세라믹제인 변형 불가능한 비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임 상에는 예를들어, 간극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고 공기 쿠션의 높이와 폭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간극 변환기 상에 장착된다. 공기 쿠션은 유리 시트를 지지하는 역할만하며, 운동은 후미와 롤러와의 접촉에 의해 제어된다. 실제로, 이러한 제어는 유리가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접촉할 때 효과적이며 공기 쿠션은 유리를 수직 방향으로 천천히 누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엣지상의 고온 공기 송풍과 같은 유리 시트의 전진, 지지 슬라브의 어떤 오리피스의 편향 방향 또는 공기 쿠션의 경사도를 돕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필요하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성형 구역내의 단일 공기 쿠션은 공기 쿠션의 사용과 관련한 다수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우선, 노내에서 유리 시트가 롤러에 의해 지지되므로 유리 시트 하면의 차별 가열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리 시트의 궤도(28, 제 3 도 참조)는 롤러에 의해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성형 구역 내부의 공기 쿠션과 정확한 맞닿음의 결과로, 롤러로 인한 수밀리미터의 궤도 편차를 쉽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방의 정밀 맞닿음부(29)는 상부 벤딩 몰드 또는 몰드의 기준선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만일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시트가 전방 지점으로 전진한다면 완전한 센터링이 최종적으로 성취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촛점 사이의 결합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이는 수 센티미터의 변환을 허용해 가장 적합하게 된다). 시트의 운동을 보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여전히 접촉하고 있는 유리는 어떠한 손상 위험 없이 공기 쿠션상에 측방향으로 미끄럼 한다.
상기 장치의 경우에, 유리 시트의 위치는 공기 쿠션과 완전히 분리되어 단지 유리만을 지지한다. 그러나, 상부 벤딩 몰드가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더라도 유리 시트 및 상부 벤딩 몰드는 완전히 일치한다.
두번째 특성은 재료의 선택과 질에 의해 성취되는 환형 대향 몰드와 관련한 상부 벤딩 몰드의 지수 및 상기 간극에 의존하는 대향 몰드의 잭 이동등 두 가압 부재의 기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장치는 모든 위치 편차를 한정하도록 설계되어 편차는 각각의 작동중에 완전하게 정정된다.
제3도는 공기 쿠션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유리 시트 주변부의 어떤 새그를 보상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상기 주변부가 특히 큰 벤딩을 경험하면 환형의 대향 몰드는 시트의 온도에 근접한 온도 또는 훨씬 과열된 온도로 가열된 공기 송풍 뱅크에 의해 복사된다.
상기와 같은 설비는 다양한 칫수를 갖는 유리의 가공에 종종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섀시 또는 프레임(23)이 모든 칫수에 필요하며, 컨베이어 롤러를 이송하는 상기 프레임은 노를 횡단하는 컨베이어의 롤러와 동시에 구동되고 상기 롤러는 다른 각각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중심부 사이에 조절 가능한 거리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지지판을 유리 시트가 파괴될 때 소제를 위해 벤딩 프레스 바닥부의 급속한 추출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추출은 워터 브레이크 수단의 위치에 삽입될 때 동시에 행해지며 벤딩 셀 시기에 설치된 롤러를 대체하며 상기 워터 브레이크 수단은 구멍내에 위치하고 적당한 시기에 상승한다. 그러므로, 우연적인 파손만이 미소한 손실을 초래할뿐 생산은 방해받지 않는다.
상기 설비는 다음 방식으로 작동한다. 벤딩 프레스의 하부는 레일에 제공되며 기준 위치에 따라 로크된다. 고온 공기의 흡입 및 전력 공급후에, 상부 몰드는 대향 몰드 상부에 놓여지고 온도 상승 기간 동안에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되어 프레스가 폐쇄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위치는 다른 성분의 온도 상승 기간에도 유지된다. 설비의 예열이 종료되면, 벤딩 사이클이 시작되고 프레스가 개방되며 환형 대향 몰드는 유리 시트 이송 레벨 하부에 있게 된다. 계산 장치가 지지판에 의해 이송되는 변환기에 의해 일정 체적에 도달되었음이 탐지되면, 상부 벤딩 몰드는 초기 단계에서는 빠른 속도로 그후에는 느린 속도로 낮아진다. 이렇게, 유리 시트는 상기 몰드의 인접에 대해 일치하게 된다. 정렬 인접은 유리 시트를 상승시키시 위한 흡입 시초 단계중에 수축된다. 그러므로, 유리 시트는 상부 벤딩 몰드와 접촉하여 예비 성형된다. 그후, 대향 몰드는 프레싱 위치로 상승하며, 네개의 잭이 동시에 작동하고 난후 몰드와 대향 몰드 사이의 실질적인 간극에 따라 네개의 잭이 개별적으로 작동한다. 프레싱이 종료하면 유리 시트는 상부 벤딩 몰드에 대항하는 흡입에 의해 고정되고 난후 상부 위치로 상승한다. 이송 프레임 또는 어떤 유사한 수단이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도록 벤딩 유리 시트를 주워 올린다.
상술한 벤딩 공정 및 장치는 매우 급속하게 발생하는 제조상의 변화를 매우 짧은 조절 및 조정 시간과 매우 짧은 시간 사이클로 가능하게 하며 제조상의 체적 편차의 양을 매우 작게 한다.

Claims (35)

  1. 유리 시트가 모터 롤러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벤딩 셀 내부로 통과하며 유리시트의 벤딩 온도와 동일한 주위 온도로 유지되는, 수평로 내부에서 벤딩 온도로 가열되는 유리시트의 벤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는 벤딩 셀 내부에 있는 유리 시트 중앙부를 지지 하는 수단을 에위싸는 환형 대향 몰드에 수직한 상부 벤딩 몰드 하부의 벤딩 셀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환형 대향 몰드는 상부 벤딩 몰드에 대항하여 유리 시트를 가압하도록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롤러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고온 공기 쿠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의 벤딩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대향 몰드 및 지지 수단은 벤딩셀의 외부에 위치한 지지판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는 커다란 측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노에 놓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의 정지 위치를 상부 벤딩 몰드에 일체로 장착된 정면 맞닿음부 및 측면 맞닿음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벤딩 몰드 및 벤딩 대향 몰드로 구성된 프레싱 조립체는 온도 상승 기간중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의 주변부 방향으로의 고온 공기 송풍은 고온 공기 쿠션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프레스는 상부 벤딩 몰드와 환형 대향 몰드 사이의 간극 측정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대향 몰드와 지지 수단을 이송하는 지지판의 추출을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의 벤딩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공기 쿠션상에 놓이는 동안에 유리 시트의 전진을 도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조금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공기를 유리 시트 엣지상으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14. 상부 벤딩 몰드와 접촉하는 유리 시트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수단이 제공된 상부 벤딩 몰드를 갖고 유리 시트 벤딩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유지되고 벤딩 셀에서 종결되는 수평로와, 벤딩 셀의 절연 베이스를 이송하는 지판과 환형 가압 대향 몰드와 벤딩 셀 내부에 유리를 지지하는 부재 및 환형 대향 몰드를 상승 및 하락시키는 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하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성형 구역 내부의 유리를 지지하는 수단은 고온 공기 쿠션을 생성하는 다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내화재 슬라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립체는 레일상에서 이동하는 캐리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지지부재 주위에 배열된 뱅크로 고온공기를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벤딩 몰드에 대해 맞닿음부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 및 환형 대향 몰드는 주조 금속 부품을 기계 가공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0.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시스템은 주조 몰드 내부에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1.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변환기는 환형 대향 몰드의 변환을 제어하는 수단에 의존하고 상부 벤딩 몰드와 환형 대향 몰드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2.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롤러는 환형 대향 몰드를 이송하는 섀시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3.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모터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4. 상부 벤딩 몰드와 접촉하는 유리 시트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상부 벤딩 몰드와 환형 가압 대향 몰드 및 상부 벤딩 몰드 및 환형 대향 몰드의 정렬을 보장할 수 있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벤딩 셀로 연장하는 수평로를 갖는 유리 시트의 벤딩 장치에 있어서, 상부 벤딩 몰드, 환형 대향 몰드 및 표시 수단은 동일한 고온 특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1/10mm 이하의 정밀도를 제공하는 기계 가공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대향 몰드의 배치는 환형 대향 몰드와 상부 벤딩 몰드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는 리프팅수단, 특히 모터 구동 나사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변환기는 폭넓은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대향 몰드는 리프팅 수단에 의해 수직으로 변환되는 지지 프레임 상에 견고하지 않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벤딩 셀의 벽을 통과하는 측면 아암을 가지며, 상기 리프팅 수단은 벤딩 셀 외부의 아암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9.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잭은 주 변환시 전기 작용으로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30. 벤딩 셀 내부에 설치된 흡입 장치에 결합된 상부 벤딩 몰드를 결합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유지되는, 벤딩 셀에서 종결되는 수평로를 구비한 유리 시트의 벤딩장치에 있어서, 터미널 설비 벽(12)은 흡입구역으로부터 상부 벤딩 몰드에 위치하는 벤딩 셀의 하부 구역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구역의 압력은 침니(chimney)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구역의 압력은 벤딩 셀 하부 구역 내부로 흡인된 공기를 재주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셀 하부 구역 내부로 재주입된 흡인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장치.
  34. 제30항 내지 제3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구역은 벤딩 셀 하부 구역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벤딩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부 벤딩 몰드롤 조정가능하게 하는 부재는 상부 흡입 구역 측부상의 벤딩 셀 외측에 설치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KR1019920011413A 1991-06-27 1992-06-26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및 장치 KR100201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9107933A FR2678261B1 (fr) 1991-06-27 1991-06-27 Procede et dispositif de bombage d'une feuille de verre.
FR9107933 1991-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00A KR930000400A (ko) 1993-01-15
KR100201189B1 true KR100201189B1 (ko) 1999-06-15

Family

ID=941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413A KR100201189B1 (ko) 1991-06-27 1992-06-26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5372624A (ko)
EP (1) EP0520886B1 (ko)
JP (1) JP3771278B2 (ko)
KR (1) KR100201189B1 (ko)
AT (1) ATE170164T1 (ko)
BR (1) BR9202440A (ko)
CA (1) CA2072184C (ko)
DE (1) DE69226733T2 (ko)
ES (1) ES2121833T3 (ko)
FI (1) FI100967B (ko)
FR (1) FR2678261B1 (ko)
MX (1) MX9203457A (ko)
TR (1) TR271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50081B (it) * 1991-07-10 1995-03-30 Siv Soc Italiana Vetro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vetri a forma complessa
IT1250082B (it) * 1991-07-10 1995-03-30 Siv Soc Italiana Vetro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vetri a forma complessa atti ad essere usati su veicoli
FR2693452B1 (fr) * 1992-07-09 1994-09-02 Saint Gobain Vitrage Int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supporter et transférer des feuilles de verre dans une cellule de formage.
FR2707283B1 (fr) * 1993-07-09 1995-09-22 Saint Gobain Vitrage Int Procédé et dispositif de formage de plaques de verre et application de ce procédé à l'obtention de vitrages de formes complexes.
FI96845C (fi) * 1994-10-25 1996-09-10 Risto Nikander Menetelmä ja laitteisto lasilevyn taivutuskarkaisussa
US5906668A (en) * 1997-11-20 1999-05-25 Glasstech, Inc. Mold assembly for forming heated glass sheets
DE19839212C2 (de) * 1998-08-28 2002-05-23 Celanese Ventur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härischen Nanopartikeln, die ganz oder teilweise aus mindestens einem wasserunlöslichen linearen Polysaccharid bestehen
JP4688011B2 (ja) * 2001-05-09 2011-05-25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曲げ成形装置及びその方法
DE60334081D1 (de) * 2002-03-13 2010-10-21 Asahi Glass Co Ltd Verfahren zum biegeformen von glasplatten und vorrichtung
US20050092028A1 (en) * 2003-11-05 2005-05-05 William Blanc Light weight gravity bending ring
JP2007145646A (ja) * 2005-11-28 2007-06-14 Asahi Glass Co Ltd プレス成型装置及びプレス成型装置の搬送品搬送方法
CN101454250B (zh) * 2006-05-25 2012-10-24 麻省理工学院 成形热塑性薄片及其类似物的方法
DE102009036164B4 (de) * 2009-05-28 2011-06-09 Schott Ag Verfahren zum Biegen und thermischen Vorspannen von Strahlenschutzglas
US8924006B2 (en) 2011-11-30 2014-12-30 Corning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s for picking and placing hot 3D glass
ES2720002T3 (es) * 2015-08-18 2019-07-17 Saint Gobain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curvado de vidrio utilizando un ventilador
JP6501972B2 (ja) 2015-09-08 2019-04-17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正圧支援される重力湾曲法およびこの方法に適した装置
WO2017129307A1 (de) * 2016-01-28 2017-08-03 Saint-Gobain Glass France Überdruckunterstütztes glasbiegeverfahren und hierfür geeignete vorrichtung
CN110461478A (zh) * 2017-03-29 2019-11-15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用于配送粒状材料的配料装置、将粒状材料施用于基板的喷涂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8645A (en) * 1966-05-09 1969-09-23 Permaglass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supported on a gas support bed
US3573889A (en) * 1969-06-16 1971-04-06 Permaglass Method for shaping,tempering and laminating glass sheets
FR2085464B1 (ko) * 1970-04-23 1974-08-09 Saint Gobain Pont A Mousson
US3682613A (en) * 1970-10-15 1972-08-08 Ppg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press bending glass sheets
US3846104A (en) * 1973-01-10 1974-11-05 Ppg Industries Inc Handling glass sheets for shaping and cooling
US4229200A (en) * 1979-06-01 1980-10-21 Ppg Industries, Inc. Drop forming glass sheets with auxiliary shaping means
US4432782A (en) * 1982-06-17 1984-02-21 Ppg Industries, Inc. Support for hot glass sheets of non-rectangular outline prior to bending
US4596592A (en) * 1985-05-02 1986-06-24 Ppg Industries, Inc. Stop members for glass sheet shaping molds
US4612031A (en) * 1985-06-24 1986-09-16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on shaping molds with flotation blocks
US4781745A (en) * 1987-05-19 1988-11-01 Glasstech International L.P. Registering device for glass article handling components
US4877437A (en) * 1988-04-29 1989-10-31 Glasstech International L.P. Vacuum platen for sharp bends
FR2660302B1 (fr) * 1990-03-30 1992-08-07 Selas Sa Installation pour le chauffage, le formage et la trempe de feuilles de ver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21833T3 (es) 1998-12-16
FI100967B (fi) 1998-03-31
JP3771278B2 (ja) 2006-04-26
KR930000400A (ko) 1993-01-15
US5693112A (en) 1997-12-02
CA2072184C (fr) 2003-08-05
FI922968A (fi) 1992-12-28
FR2678261A1 (fr) 1992-12-31
CA2072184A1 (fr) 1992-12-28
JPH05193967A (ja) 1993-08-03
TR27180A (tr) 1994-11-10
FI922968A0 (fi) 1992-06-26
EP0520886B1 (fr) 1998-08-26
US5372624A (en) 1994-12-13
MX9203457A (es) 1993-02-01
DE69226733T2 (de) 1999-04-15
FR2678261B1 (fr) 1994-10-21
EP0520886A1 (fr) 1992-12-30
BR9202440A (pt) 1993-02-09
ATE170164T1 (de) 1998-09-15
DE69226733D1 (de) 199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189B1 (ko) 유리 시트의 벤딩 방법 및 장치
US4662925A (en) Horizontal press bending of heat softened glass sheets
US46664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US4666496A (en) Shuttling support frame for vacuum pickup
US4666493A (en) Sheet positioning system
US6092393A (en) Method for heating moving glass sheets
HUT723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and thin glass sheets tempered and bent through the method in the apparatus
US57558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EP0121258B1 (en) Shaping glass sheets to complicated shapes
US4285715A (en) Cycle of mold movement while press bending glass sheets
US4349375A (en) Deformable vacuum mold for shaping glass sheets
US4767434A (en) Horizontal press bending pickup and delivery system
CA1203383A (en) Vacuum holder with anti-bulging means used to shape glass sheets
US41870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glass sheets during shaping and cooling
US4221580A (en) Glass sheet vacuum molding apparatus with uniform release means
KR100268140B1 (ko) 성형 스테이션에서 글래스 시트를 지지 및 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293430B2 (en) Press molding apparatus and press molding method of optical element
EP0164823B1 (en)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US4596592A (en) Stop members for glass sheet shaping molds
US46120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on shaping molds with flotation blocks
US4518411A (en) Shaping glass sheets to complicated shapes using special lift mold
US4529433A (en) Spring loaded stop member for glass sheet shaping molds
US4225333A (en) Glass sheet tempering apparatus
US3508903A (en) Apparatus for press shaping glass sheets
EP1494978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bending and tempering of glass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