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008A -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008A
KR20230156008A KR1020230149148A KR20230149148A KR20230156008A KR 20230156008 A KR20230156008 A KR 20230156008A KR 1020230149148 A KR1020230149148 A KR 1020230149148A KR 20230149148 A KR20230149148 A KR 20230149148A KR 20230156008 A KR20230156008 A KR 20230156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ub
support
paragraph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종
안성우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6008A/ko
Publication of KR20230156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00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세탁물 또는 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냉매를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순환시키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로 경유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순환시키는 히트펌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 모듈은, 상기 압축기를 지지하고,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베이스부;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전달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압축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마운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HEAT PUMP MODULE}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세탁기,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건조기, 또는 세탁 및 건조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세탁건조기를 통칭한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 기능 또는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등과 같은 의류수용부에 투입된 세탁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를 구비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며 세탁물을 건조한다. 이러한 열풍공급부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에 따라 가스식 히터, 전기식 히터 및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열을 가한 후 다시 드럼으로 열풍을 재공급한다.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은 가스식 및 전기식 히터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서, 히트펌프 시스템을 의류처리장치의 열풍공급부로 적용하기 위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 중 드럼 세탁건조기는 육면체 형상의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터브(또는 드럼)는 캐비닛의 내부 구성품 중 부피가 커서 캐비닛의 내부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예를 들면, 터브의 외주부는 캐비닛의 좌우 측면, 상면 또는 하면과 가깝게 배치된다.
드럼 세탁건조기에 히트펌프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 등의 히트펌프 시스템은 캐비닛의 내부 공간 중 터브(드럼 포함)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 즉 터브의 상부공간, 하부공간 또는 터브의 상부(또는 하부)에서 캐비닛의 측면 모서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히트펌프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압축기는 부피가 크고 진동·소음 문제로 인해, 압축기는 터브의 하부공간 및 캐비닛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히트펌프 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서, 증발기 및 응축기와 같은 열교환기는 터브 상부에 올리고, 압축기를 터브 하부로 내릴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압축기와 열교환기가 따로 떨어져 있으면 압축기 및 열교환기의 조립 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압축기와 열교환기가 따로 떨어져 있으므로, 압축기 및 열교환기를 완제품으로 조립하기 전에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 검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만약 냉매의 누설 등으로 인해 히트펌프의 성능 결함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압축기 및 열교환기를 분해하고 해당 결함부분을 교체한 후 재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셋째, 압축기와 열교환기가 멀리 떨어져 있으면, 압축기와 증발기 사이의 연결 배관 및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의 연결 배관의 길이가 연장되므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문헌 D1(건조기) 및 D2(드럼타입의 세탁건조기)는 히트펌프 시스템이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0은 선행특허문헌 D1의 건조기에서 히트펌프 시스템(30)이 터브(2)의 상부에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히트펌프 시스템(30)은 터브(2)의 상부 중앙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팬(9)에 의해 흡입하여 증발기(34) 및 응축기(32)를 통과시키며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 다시 드럼(3)으로 재공급한다. 압축기(31)는 증발기(34)로부터 기상 냉매를 받아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 후 응축기(32)로 공급한다.
D1에 의하면 터브(2)가 캐비닛(1)의 후방으로 대략 30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터브(2)의 상부와 탑커버(1c) 사이의 뒷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으므로, 직립형의 압축기(31)를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D1에서 터브(2)의 경사각도가 10도 미만이거나 수평에 가까운 경우에 상대적으로 터브(2)의 상부와 탑커버(1c) 사이의 뒷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직립형 압축기를 배치하기에 설치공간이 부족하다.
또한, D1의 경우 터브(2)의 상부 중앙면과 배면에 각각 두 개의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을 통해 터브(2)와 열교환기(34,32)가 덕트(581,582)에 의해 연결되지만, 터브(2)에 형성되는 두 개의 홀은 터브(2)의 강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D1 : EP 2 339 063 A2 D2 : EP 2 281 934 A1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압축기를 터브의 상부로 올림에도 불구하고 압축기의 진동 및 소음을 잡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압축기를 터브의 상부로 올림으로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일체형으로 모듈화하여 조립이 간편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압축기를 터브의 상부에 배치하여 일체형으로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 완제품으로 조립하기 전에도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검사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은 압축기의 설치위치를 터브의 상부로 이동시킴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을 컴팩트하게 구성가능하여 배관 길이를 단축시키며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섯번째 목적은 터브 상부와 캐비닛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도 압축기의 설치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여섯번째 목적은 열교환기 덕트와 연결되는 터브의 홀의 갯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상부에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팽창밸브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히트펌프 모듈을 배치하고, 횡형 압축기를 브라켓을 이용하여 압축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매다는 형태로 지지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방진마운트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진동 및 소음을 잡을 수 있고, 압축기를 캐비닛의 내부에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내지 네번째 목적은 증발기 및 응축기를 수용하는 열교환 덕트부와 압축기를 지지하는 압축기 베이스부를 일체형으로 모듈화하는 히트펌프 모듈을 터브의 상부에 한 번에 장착됨 따라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번째 목적은 회전축이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향하도록 눕혀지게 배치되는 횡형 압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목적은 터브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열교환 덕트부의 일부가 고무재질의 가스켓에 연결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세탁물 또는 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냉매를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순환시키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로 경유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순환시키는 히트펌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는 압축기본체를 지지하는 압축기 베이스부와,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본체는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본체는 내부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양쪽 단부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은 압축기본체의 외주면 상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압축기본체를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매단 채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본체는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는 세 지점으로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압축기본체의 외주면의 일부를 접촉가능하게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본체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본체의 외주면은 상기 브라켓, 지지대 및 하부연결부에 의해 감싸여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브라켓과 지지대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마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진마운트는 벨로우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상부면에 방진마운트를 안착시켜 상기 압축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캐비닛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백커버에 후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터브의 상부와 상기 캐비닛의 측면 모서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세탁물 또는 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압축기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횡형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횡형 압축기는, 오일이 압축기구부의 습동부로 모이도록, 상기 회전축이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상기 횡형 압축기를 구비하고, 냉매와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 모듈은,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을 위한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 덕트부; 및 상기 열교환 덕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상기 횡형 압축기를 장착하여 지지하는 압축기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부에 지지면을 구비하고,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기본체를 상기 지지면에 매다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기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의 후단부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본체는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본체는 상기 열교환덕트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축기가 터브의 상부로 이동시켜도 압축기가 압축기 베이스부에 의해 횡방향으로 지지되고, 압축기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방진마운트 등을 이용하여 압축기의 진동 및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압축기의 설치위치가 터브의 상부 및 캐비닛의 측면 모서리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히트펌프 시스템이 일체형으로 모듈화될 수 있어, 히트펌프 시스템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다.
셋째, 의류처리장치를 완제품으로 조립하기 전에 모듈 단위로 히트펌프의 성능 검사가 가능하다.
넷째,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의 길이가 단축되어 에너지가 절감된다.
다섯째, 압축기를 횡형으로 배치함으로, 압축기의 설치공간이 협소하여도 터브의 상부와 캐비닛의 탑커버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압축기의 설치가 가능하다.
여섯째, 가스켓에 홀을 뚫어 이 홀을 통해 터브와 응축기를 연결함에 따라 터브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의 캐비닛의 내부에 히트펌프 모듈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PCB 케이스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b의 히트펌프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열교환 덕트부의 전방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압축기 베이스부의 후방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히트펌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진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방진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압축기 베이스부에 압축기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압축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압축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압축기의 분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압축기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b의 압축기 베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9d는 도 9c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선행특허문헌 D1의 건조기에서 히트펌프 시스템이 터브의 상부에 상부에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골격 및 외형을 형성한다. 캐비닛(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닛(10)은 육면체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0a), 육면체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커버(10b), 육면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커버(10c), 육면체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런트커버(10d) 및 육면체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백커버(10e)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런트커버(10d)에 의류 등의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가 구비된다. 도어(11)는 투입구의 왼쪽 측면에 도어(11)힌지로 프런트커버(10d)에 결합되어 도어(11)의 오른쪽 측면이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도어(11)는 도어(11)의 오른쪽 측단부를 밀어 닫으면 락킹 상태로 되고, 닫힘 상태에서 한 번 누르면 개방될 수 있도록 도어(11)의 오른쪽 측면과 투입구 오른쪽 측면에 버튼식 도어(11)자동해제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10d)의 오른쪽 상단에 전원버튼(12)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도어(11)의 상단부에 디스플레이부(13) 및 터치식 조작패널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세탁, 탈수 또는 건조 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상태 등을 보여주고, 터치식 조작패널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이 선택 및 선택해제 될 수 있다.
터브(17)의 하부와 베이스커버(10c) 사이에 세제공급부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삽입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10d)의 하부에 세제공급부의 전방면을 덮도록 하부커버(14)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의 캐비닛의 내부에 히트펌프 모듈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터브(17)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한다. 터브(17)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터브(17)의 외주면은 탑커버(10a), 사이드커버(10b), 베이스커버(10c)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터브(17)의 전방면에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프런트커버(10d)의 투입구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터브(17)의 후방면은 백커버(10e)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터브(17)의 전단부에는 가스켓(17a)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터브(17)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17) 밖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터브(17)의 내부에 원통 형상의 드럼(18)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를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드럼(18)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세탁 시 터브(17)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가 드럼(18) 내부로 유입되어, 드럼(18)에 수용된 세탁물을 적셔줄 수 있다. 또한, 건조 시 터브(17)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드럼(18) 내부로 유입되어, 드럼(18) 내부의 세탁물에 열풍이 공급되어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킴에 따라 건조시킬 수 있다.
터브(17)의 상부와 탑커버(10a) 사이에 히트펌프 모듈(100)이 구비된다. 히트펌프 모듈(100)은 압축기(113), 증발기(111), 응축기(112) 및 팽창밸브(114)를 구비한다. 증발기(111), 압축기(113), 응축기(112) 및 팽창밸브(114)는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가 증발기(111), 압축기(113), 응축기(112), 팽창밸브(114) 및 다시 증발기(111) 순서로 순환될 수 있다. 또한, 터브(17), 증발기(111), 응축기(112) 및 순환팬(130)이 열교환 덕트부(121)에 의해 연결되어, 공기가 터브(17)에서 증발기(111), 응축기(112), 순환팬(130) 및 다시 터브(17) 순서로 순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와 냉매는 열교환기(110)에서 서로 열교환을 할 뿐 서로 혼합되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독립된 이동경로로 순환된다. 공기는 순환팬(130)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순환되고, 냉매는 압축기(113)로부터 동력을 받아 순환될 수 있다.
냉매는 저온부(증발기(111))에서 열원을 흡수하여 고온부(응축기(112))에서 방출함으로 열원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압축기(113)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12)를 통해 흡수된 열원을 방출한다.
상기 열원은 드럼(18)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증발기(111)를 통과할 때 증발기(111)에서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기로부터 흡수되고, 증발기(111)를 통과한 공기가 응축기(112)를 통과할 때 응축기(112)에서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시 공기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 모듈(100)은 증발기(111)에서 공기의 열을 흡수함에 따라 드럼(18)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응축시킴으로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히트펌프 모듈(100)은 응축기(112)에서 공기로 열을 방출함에 따라 드럼(18)으로 재공급될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드럼(18)에 공급할 수 있다.
히트펌프 모듈(100)은 증발기(111), 응축기(112), 압축기(113) 및 팽창밸브(114) 등을 터브(17)의 상부에 컴팩트하게 배치하기 위해 일체형 하우징(120)을 이용한다. 일체형 하우징(120)은 크게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를 내부에 수용하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압축기(113)를 지지하는 압축기 베이스부(122)를 포함한다. 열교환 덕트부(121)와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한 개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히트펌프 모듈(100)을 터브(17) 상부로 올리는 이유는 터브(17) 내부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터브(17) 하부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열교환기(110)가 터브(17)의 하부에 위치하여 누수된 물이 열교환기(110)로 유입될 경우에 열교환 효율을 떨어뜨려 히트펌프의 성능이 낮아질 수 있고, 동력원으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압축기(113)가 터브(17) 하부에 위치할 경우에 누수로 인해 단락(합선)의 위험이 있으므로, 히트펌프 모듈(100)을 누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또한, 압축기(113)가 일체형 하우징(120)에 의해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 등과 함께 일체형으로 모듈화되어 터브(17) 위에 장착될 경우에 다음과 같은 장점도 있다. 첫째, 터브(17)의 상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히트펌프의 조립 자체가 간편하다. 셋째, 성능 검사가 완제품 조립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배관 길이가 단축되어 에너지 손실이 저감된다.
히트펌프 모듈(100)은 캐비닛(10)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비닛(10)의 전방면에 사이드커버(10b)의 전단부 상단을 연결하는 전방프레임(15)이 구비되고, 일체형 하우징(120)의 전방면은 전방프레임(15)에 스크류(16)에 의해 체결되며, 일체형 하우징(120)의 후방면은 백커버(10e)의 상단부에 스크류(16)에 의해 체결된다.
열교환 덕트부(121)는 터브(17)의 상부 앞쪽에 배치되고,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터브(17)의 상부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 덕트부(121)와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터브(17)의 상부와 캐비닛(10)의 측면 모서리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130)은 열교환 덕트부(121)의 오른쪽 측면에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열교환 덕트부(121)의 왼쪽 후단부는 터브(17)의 상부 뒤쪽의 공기출구와 연결되고, 열교환 덕트부(121)의 오른쪽 전단부는 터브(17)의 상부 앞쪽(가스켓(17a)의 상부)의 공기입구와 연결되어, 터브(17)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를 경유하여 다시 터브(17)로 재공급될 수 있다. 이때, 순환팬(130)은 응축기(112)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터브(1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함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일체형 하우징(120)은 기액분리기(115)를 장착하는 기액분리기 장착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액분리기(115)는 증발기(111)와 압축기(113)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증발기(111)에서 증발하지 못한 액상 냉매를 기상 냉매로부터 분리하여 저장하고, 기상 냉매만 압축기(11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기액분리기 장착부(123)는 터브(17)의 상부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기액분리기 장착부(123)는 열교환 덕트부(121) 및 압축기 베이스부(122)와 함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축기 베이스부(122)와 열교환 덕트부(121)가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압축기 베이스부(122)와 열교환 덕트부(121)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압축기 베이스부(122)가 열교환 덕트부(121)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캐비닛(10)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전후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연결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캐비닛(10)의 후방면에 스크류(16)에 의해 체결될 때 스크류(16)의 조립 위치를 쉽게 찾도록 안내해 주는 돌출리브(1227)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리브(1227)는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스크류 고정부와 별개로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후방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백커버(10e)의 상단부에 돌출리브(1227)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홀(10e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0e1)은 스크류(16)가 백커버(10e)를 관통하는 스크류 관통홀과 이격 배치된다. 돌출리브(1227)가 가이드홀(10e1)에 삽입되면 스크류(16)의 조립 위치를 찾지 않아도 스크류(16)가 스크류 관통홀을 통해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스크류 고정부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열교환 덕트부(121)도 캐비닛(10)의 전방면에 스크류(16)에 의해 체결될 때 스크류(16)의 조립 위치를 쉽게 찾도록 안내해 주는 돌출부(1217) 및 돌출리브(1217a)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15)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가이드홀에 돌출부(1217) 및 돌출리브(1217a)가 삽입됨에 따라 스크류(16)의 조립 위치를 찾지 않아도 스크류(16)가 스크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열교환 덕트부(121)를 캐비닛(10)의 전방면인 전방프레임(15)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가이드홀은 스크류 관통홀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어부는 히트펌프 모듈(100)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높이가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비해 낮은 납작한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PCB 케이스(19)와, PCB 케이스(19)의 내부에 내장되는 PCB와, PCB에 장착되는 전기/전자 제어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c는 도 1b의 PCB 케이스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다.
PCB 케이스(19)는 터브(17)의 상부와 캐비닛(10)의 왼쪽 측면 모서리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모듈(100)의 왼쪽 측면에 대각선 방향(프런트커버(10d)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다.
PCB 케이스(19)의 경우 터브(17)의 상부 중앙에서 왼쪽 사이드커버(10b) 사이의 공간에 비해 PCB 케이스(19)의 가로길이가 길어서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회피하고 PCB 케이스(19)를 히트펌프 모듈(100)과 함께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해서 프런트커버(10d)에서 봤을 때 캐비닛(10)의 중앙 상부에서 왼쪽 측면 아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히트펌프 모듈(100)의 왼쪽 측면은 캐비닛(10)의 중앙 상부와 터브(17)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캐비닛(10)의 왼쪽 측면 모서리에서 하방향으로 공간이캐비닛(10)의 중앙 상부와 터브(17)의 상부 사이의 공간보다 더 넓기 때문에 PCB 케이스(19)의 오른쪽 측면은 히트펌프 모듈(100)의 왼쪽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PCB 케이스(19)의 왼쪽 측면은 캐비닛(10)의 왼쪽 사이드커버(10b)를 향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PCB 케이스(19)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PCB 케이스(19)이 상부면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고정돌기(191)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돌기(191)의 상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PCB 케이스(19)의 지지를 위해 프런트커버(10d)의 상단부 일측에서 백커버(10e)의 상단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부재(19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91)의 상단부가 고정부재(192)의 측면에 걸리도록 지지됨으로 PCB 케이스(19)가 캐비닛(10)의 왼쪽 측면 모서리 및 히트펌프 모듈(100) 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컴팩트하게 배치된다.
PCB 케이스(19)는 히트펌프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완제품 조립 전에 모듈 단위로 히트펌프 모듈(100)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이처럼 PCB 케이스(19)는 히트펌프 모듈(100)의 성능 검사 등을 위해 히트펌프 모듈(100)과 연결되므로, PCB 케이스(19)가 히트펌프 모듈(100)과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PCB 케이스(19)는 히트펌프 모듈(100)의 측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가깝게 배치 및 연결됨에 따라 히트펌프 모듈(100)과 함께 캐비닛(10)의 내부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b의 히트펌프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압축기(113)는 압축기 베이스부(122)에 장착되어 있고, 기액분리기(115)가 기액분리기 장착부(123)에 장착되어 있다.
열교환 덕트부(121)의 후방면에서 압축기 베이스부(122) 위쪽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배관은 열교환 덕트부(121)의 열교환기(110)의 냉매관(110a)과 연결되어, 냉매관(110a)을 진공상태로 만들고 냉매를 주입하기 위한 관이다. 냉매 주입관은 냉매 주입이 완료된 후 밀봉된다.
도 2에 도시된 열교환 덕트부(121)의 전방면에 스크류 고정부인 체결부(1216a)가 2개소 구비된다. 체결부(1216a)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체결부(1216a) 내부로 스크류(16)가 체결됨으로 열교환 덕트부(121)의 전방면이 캐비닛(10)의 전방프레임(15)에 지지된다.
2개의 체결부(1216a)는 열교환 덕트부(121)의 전방면에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열교환 덕트부(1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체결부(1213a') 중 하나는 타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타원형 체결부(1216b)에 의해 감싸여지므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열교환 덕트부의 전방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열교환 덕트부(121)의 전방면은 일체형 하우징(120)의 전방면이기도 하다. 열교환 덕트부(121)의 저면은 터브(17)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터브(17)의 상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함이다.
도 3의 그림을 기준으로 열교환 덕트부(121)의 왼쪽에 원형 파이프 형상의 체결부(1216a)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16a)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보강리브가 돌출되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16a)와 순환팬(130) 사이에 또 하나의 체결부(121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부(1216a)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타원형 튜브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타원형 체결부(1216b)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두 개의 체결부(1216a)는 스크류(16)가 체결되는 부분으로, 일체형 하우징(120) 또는 열교환 덕트부(121)의 전방면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 덕트부(121)의 왼쪽에 위치한 체결부(1216a)의 바로 오른쪽 대각선 방향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의 돌출부(1217)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돌출부(1217)는 체결부(1216a)에 고정되는 스크류(16)의 조립위치를 정위치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돌출부(1217)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돌출리브(1217a)가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돌출리브(1217a)의 후단부는 열교환 덕트부(121)의 전방면에까지 연장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돌출부(1217)는 전방프레임(15)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체결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17)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체결됨으로 일체형 하우징(120)을 전방프레임(15)에 스크류(16)로 체결하기 전에 스크류(16)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체결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열교환 덕트부(121)는 덕트바디(121a) 및 덕트커버(121b) 2개 부품으로 분리될 수 있고, 덕트커버(121b)에 형성되는 "U"자형 체결부재와 덕트바디(121a)에 형성되는 체결리브(1214)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2개 부품을 일체형으로 조립할 수 있다.
도 4는 압축기 베이스부의 후방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후방면은 일체형 하우징(120)의 후방면이기도 하다.
도 4의 그림을 기준으로 왼쪽에 압축기(113)가 압축기 베이스부(122)에 장착된다. 또한, 오른쪽에 기액분리기 장착부(123)에 기액분리기(115)가 장착되어 있다.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저면은 터브(17)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터브(17)의 상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함이다. 압축기(113)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므로, 직립형 압축기 대신에 횡형 압축기(113)가 채용된다. 횡형 압축기(113)는 회전축(113d)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압축기(113)이다. 또한, 횡형 압축기(113)의 회전축(113d)은 캐비닛(1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횡형 압축기(113)의 전단부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횡형 압축기(113)의 후단부는 백커버(10e)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횡형 압축기(113)는 수평면(또는 탑커버(10e))에 대하여 압축기(113)의 뒤쪽 부분(압축기구부(113b))이 더욱 낮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후방면에 스크류 고정부인 원형 파이프 형상의 체결부(1226a)가 적어도 2개소로 형성된다.
원형 파이프 형상의 체결부(1226a)는 강도 보강을 위해 사각형 체결부(1226b)와 보강리브(1226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사각형 체결부(1226b)는 원형 체결부(1226a)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원형 체결부(1226a)의 외부에서 원형 체결부(1226a)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사각형 체결부(1226b)와 원형 체결부(1213a') 사이에 보강리브(1226c)가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원형 체결부(1226a)의 강도를 보강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체결부(1226a)에 스크류(16)가 체결됨으로 압축기 베이스부(122) 또는 일체형 하우징(120)의 후방면을 백커버(10e)에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후방면에 돌출부 또는 십자형 돌출리브(1227)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돌출리브(1227)는 체결부(1226a)에 고정되는 스크류(16)의 조립위치를 정위치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돌출리브(1227)는 백커버(10e)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0e1)에 삽입되어 가체결될 수 있다. 즉, 돌출리브(1217)는 가이드홀(10e1)에 삽입되어 가체결됨으로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후방면을 백커버(10e)에 스크류(16)로 체결하기 전에 스크류(16)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체결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체결부(1226a)를 통해 백커버(10e)에 체결되고,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전방면은 열교환 덕트부(121)의 후방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열교환 덕트부(121)는 전술한 체결부(1216a)를 통해 전방프레임(15)에 체결됨에 따라 압축기(113)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 경우 압축기 베이스부(122)와 캐비닛(10)의 전방면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캐비닛(10)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지지될 때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2의 히트펌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일체형 하우징(120)은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를 수용하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압축기(113)를 지지하는 압축기 베이스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증발기(111)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응축기(112)는 공기를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공기에서 냉매로 또는 냉매에서 공기로의 열전달방향만 다를 뿐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킨다는 점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는 열전달판(110b)과 냉매관(110a)으로 구성될 수 있고, 냉매관(110a)은 열전달판(110b)을 관통하고, 열전달판(110b)은 열교환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공기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수직하게 배치된다.
열교환 덕트부(121)는 터브(17)의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을 위한 순환유로를 형성한다. 열교환 덕트부(121)는 기능에 따라 열교환기 장착부(1212), 제1연결덕트(1211), 제2연결덕트(1213)로 구분될 수 있다.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내부에 드럼(18)의 회전중심선(18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증발기(111)와 응축기(112)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열교환 덕트부(121)에서 증발기(111)가 상류측에 배치되고, 응축기(112)가 하류측에 배치된다. 프런트커버(10d)에서 열교환 덕트부(121)를 보면 증발기(111)가 왼쪽에 응축기(112)가 오른쪽에 배치된다.
제1연결덕트(1211)는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왼쪽 측면에서 터브(17)의 상부 후방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터브(17)의 공기출구와 연결되며, 터브(17)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증발기(111)로 유입된다. 제1연결덕트(1211)의 내부에 복수의 공기안내가이드(1211a)가 형성되어 드럼(18)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증발기(111)로 안내한다.
제2연결덕트(1213)는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오른쪽 측면에서 터브(17)의 상부 오른쪽 및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터브(17)의 공기입구로 연결되며, 응축기(112)를 통과한 공기가 터브(17) 내부에 재공급된다. 제2연결덕트(1213)의 오른쪽 측면에 순환팬(130)이 설치되어, 터브(1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한다.
순환팬(130)의 설치를 위해, 제2연결덕트(1213)는 덕트부 연결덕트(1213a)와 팬연결덕트(1213b)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덕트부 연결덕트(1213a)는 열교환기 장착부(1212)와 순환팬(130)을 연결하고, 덕트부 연결덕트(1213a)의 단면적 크기는 순환팬(130)을 향해 갈수록 더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덕트부 연결덕트(1213a)와 팬연결덕트(1213b)를 일체형으로 연결하기 위해 덕트바디(121a) 및 덕트커버(121b)의 일부를 형성하는 덕트부 연결덕트(1213a)의 외측면에 체결부(121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부 연결덕트(1213a)의 체결부(1213a')와 마주보도록 팬연결덕트(1213b)의 외주면에도 체결부(1213b')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부 연결덕트(1213a)의 체결부(1213a')와 팬연결덕트(1213b)의 체결부(1213b')는 스크류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덕트바디(121a)의 일부를 형성하는 덕트부 연결덕트(1213a)의 하부에 연결리브(1213a")가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부(1213a')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덕트커버(121b)의 일부를 형성하는 덕트부 연결덕트(1213a)의 체결부(1213a') 외주면에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체결부(1213a')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팬연결덕트(1213b)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체결부(1213b')는 연결리브(1213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팬연결덕트(1213b)는 순환팬(130)을 감싸며 순환팬(130)의 일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터브(17)의 가스켓(17a)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팬연결덕트(1213b)는 순환팬(130)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팬연결덕트(1213b) 구성품은 각각 U자형 체결부재(1215)와 체결리브(1214)를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며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 장착부(1212)는 터브(17)의 상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열교환 효율을 높이도록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교환 덕트부(121)가 터브(17)의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때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저면은 증발기(111)의 왼쪽 측면에서 응축기(112) 오른쪽 측면으로 갈수록 더 낮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오른쪽 측면공간의 높이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증가된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공간을 활용하면 증발기(111) 대비 응축기(112)의 크기를 증대시켜 응축기(112)를 통해 공기로 방출하는 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히트펌프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111)와 응축기(112)의 상단부는 서로 동일한 수평면에 배치되고, 증발기(111)와 응축기(112)의 하단부는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즉, 응축기(112)의 높이가 증발기(111)에 비해 아래로 더 연장되어 응축기(112)의 열교환면적을 증발기(111)의 열교환면적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저면에는 응축수 비산 방지턱(111a)이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중 하나의 응축수 비산 방지턱(111a)에는 증발기(11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증발기(111)의 저면으로 내려가 배수될 수 있도록 응축수 배수홀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른 하나의 응축수 비산 방지턱(111a)은 증발기(111)의 저면에서 비산될 응축수가 응축기(112)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응축수의 응집력이 공기의 흡입력에 비해 상대히 크므로, 증발기(111)의 저면에서부터 응축수 비산 방지턱(111a)의 높이는 응축기(112)의 전체 높이 대비 1/5 미만으로도 충분하다.
열교환 덕트부(121)는 밀봉판(1218)이 구비되어, 열교환기(110)의 냉매관(110a)이 열교환 덕트부(121)의 외부로 연장될 때 열교환 덕트부(121)와 냉매관(110a)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봉판(1218)은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후방 저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고, 밀봉판(1218)의 상부에 냉매관(110a)이 관통하도록 밀봉홈(1218a)이 형성되고, 밀봉홈(1218a)에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에 의해 열교환 덕트부(121)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축기(113)가 터브(17)의 상부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두 가지 측면에서 압축기(113)의 지지 구조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 측면에 의하면, 압축기(113)의 배치공간이다. 압축기(113)는 터브(17)의 상부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협소한 공간적인 제약을 받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캐비닛(10)의 측면 모서리 공간에 터브(17)의 전후방향 또는 드럼(18)의 회전중심선(181) 방향으로 길게 눕혀지도록 배치되는 횡형 압축기(113)가 고려될 수 있다.
횡형 압축기(113)는 로터리 압축기(113)로 마련될 수 있다. 횡형 로터리 압축기(113)는 전동기구부(113a)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축기구부(113b)가 편심회전을 하면서 냉매가스를 흡입 및 압축하는 장치이다.
횡형 압축기(113)의 배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압축기(113)의 토출구(1134)는 열교환 덕트부(121)의 후방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압축기(113)의 흡입구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압축기(113)의 진동 및 소음 문제이다. 압축기(113)의 진동 및 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압축기(113)가 터브(17)의 상부 공간으로 올려짐에 따라 더욱 중요하다.
압축기(113)의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압축기 베이스부(122)에 브라켓(1131), 방진마운트(1132) 및 체결볼트(1133) 등이 추가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압축기(113)의 하중을 지지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저면 및 양쪽 측면을 감싸며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를 백커버(10e)에서 보면 "U"자형 단면형상으로 보일 수 있다.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저면에서 압축기케이싱(113c)을 사이에 두고 지지대(1221)가 수직 상방으로 형성된다. 지지대(1221)는 브라켓(1131)과 방진마운트(11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1221)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을 두 개소에 구비한다. 체결홀은 지지대(1221)의 길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체결볼트(1133)는 지지대(1221)의 하부에서 지지대(1221)의 체결홀 및 방진마운트(1132)의 내부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방진마운트(1132)는 압축기(113)의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부재이다.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마운트(1132)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진마운트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방진마운트의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방진마운트(1132)는 벨로우즈 튜브 형상을 갖는다. 방진마운트(1132)는 기능 및 위치에 따라 상부접합부(1132a), 하부접합부(1132b) 및 연결부(1132c)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접합부(1132a)는 브라켓(1131)의 가장자리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접합부(1132b)는 지지대(1221)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132c)는 상부접합부(1132a)와 하부접합부(1132b)를 연결한다. 연결부(1132c)는 상부접합부(1132a)와 하부접합부(1132b) 사이에 벨로우즈 튜브 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벨로우즈 튜브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튜브의 단면적 또는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1132c1)와 튜브의 단면적 또는 직경이 축소되는 축소부(1132c2)가 상하방향으로 가면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확장부(1132c1)와 축소부(1132c2)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방진마운트(1132')도 벨로우즈 튜브 형상을 갖는다. 다만, 연결부(1132c')의 형상이 다를 뿐이다. 즉, 도 6b에 도시되는 연결부(1132c')의 경우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확장부(1132c1')와 축소부(1132c2')가 중력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확장부(1132c1')는 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고, 축소부(1132c2')는 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한다. 하지만, 확장부(1132c1')와 축소부(1132c2')는 직상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서로의 위치가 반대로 바뀔 수 있다.
벨로우즈 튜브(bellows tube) 형상의 방진마운트(1132,1132')는 고무재질로서 탄성을 가지며, 상하방향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진동도 흡수할 수 있다.
브라켓(1131)은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상부에 배치된다. 브라켓(1131)은 X자 형태의 판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1131)의 중앙부에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브라켓(1131)의 고정부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외주면과 접촉가능하도록 라운드지게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131)의 고정부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길이방향으로 전방에 두 군데와 후방에 한 군데가 용접으로 고정된다. 브라켓(1131)의 가장자리부는 중앙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브라켓(1131)의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홀(1131a)이 형성된다.
4개의 방진마운트(1132)의 상부접합부(1132a)는 브라켓(1131)의 네 귀퉁이에 있는 고정홀(1131a)에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방진마운트(1132)의 하부접합부(1132b)는 지지대(12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홀 위치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체결볼트(1133)는 지지대(1221)의 하부에서 수직상방향으로 체결홀을 통해 삽입 체결된다. 체결볼트(1133)의 하단부에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헤드부는 지지대(1221)의 체결홀로 삽입되어 지지대(1221)의 하부에 고정되고, 체결볼트(113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나사부는 지지대(1221)의 체결홀, 방진마운트(1132)의 중공부 및 브라켓(1131)의 고정홀(1131a)을 차례대로 관통하여 돌출된다. 상기 고정홀(1131a) 위로 돌출된 체결볼트(1133)의 나사부는 너트와 체결됨으로, 브라켓(1131)과 방진마운트(1132)를 지지대(1221)의 상부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압축기(113)의 지지구조에 따르면, 압축기(113)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브라켓(1131)의 고정부에서 네 방향의 가장자리부로 분산되어 4개의 방진마운트(1132)로 전달되고, 벨로우즈 튜브 형상의 방진마운트(1132)는 상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압축기 베이스부에 압축기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압축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횡형 압축기(113)는 압축기케이싱(113c) 내부에 전동기구부(113a)와 압축기구부(113b)를 함께 구비하여 설치면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횡형 압축기(113)는 수평면에 대하여 압축기케이싱(113c)의 뒤쪽 부분이 아래로 기울어지게 설치됨으로써, 압축기구부(113b)의 습동부로 오일을 흡입하기 위한 오일흡입구멍이 오일에 잠기도록 한다. 이에 의해, 오일흡입구멍을 통해 흡입된 오일이 압축기구부(113b)의 습동부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저면도 압축기(113)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횡형 압축기(113)의 경사 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3°~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여 횡형 압축기(113)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압축기(113)는 내부에 일정량의 오일이 채워지는 압축기케이싱(113c), 압축기케이싱(113c)의 전방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기구부(113a), 압축기케이싱(113c)의 후방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113b) 및 압축기케이싱(113c)의 오일을 압축기구부(113b)로 공급하는 오일공급부를 포함한다.
전동기구부(113a)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내벽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는 고정자(113a1)와, 고정자(113a1)의 내부에 일정 공극을 두고 배치되어 고정자(113a1)와 상호 작용하면서 회전하는 회전자(113a2)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구부(113b)는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113b1)와, 실린더(113b1)의 좌우 양측을 복개하는 메인베어링(113b3) 및 서브베어링(113b4)과, 회전자(113a2)에 압입되고 메인베어링(113b3) 및 서브베어링(113b4)에 지지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13d)과, 회전축(113d)의 편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실린더(113b1)의 내부공간에서 선회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롤링피스톤(113b2)과, 롤링피스톤(113b2)의 외주면에 압접하도록 실린더(113b1)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실린더(113b1)의 내부공간을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하는 베인을 포함한다.
오일공급부는 회전축(113d)의 오일유로 단부와 연통되도록 서브베어링(113b4)의 외측면을 감싸며 내부에 오일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오일캡(113b5), 오일캡(113b5)과 연통되며 케이싱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케이싱의 저면의 오일을 오일캡(113b5)으로 흡입하는 오일안내관(113b6) 및 오일캡(113b5)의 저면에 연통되어 오일을 케이싱의 저면으로 회수하는 오일회수관(113b7)을 포함한다.
압축기(113)의 오일공급경로를 살펴보면, 전동기구부(113a)의 고정자(113a1)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자(113a2)가 고정자(113a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자(113a2)와 결합된 회전축(113d)이 회전하여 압축기구부(113b)의 롤링피스톤(113b2)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롤링피스톤(113b2)은 실린더(113b1)의 내부공간을 편심회전함에 따라 냉매가 실린더(113b1)의 흡입실로 흡입되어 일정 압력까지 지속적으로 압축된 후 케이싱의 고압부로 이동하여 케이싱의 전방면에 형성된 토출구(1134)를 통해 히트펌프 사이클로 이동한다. 이때, 저압부의 오일이 오일안내관(113b6)을 통해 오일캡(113b5)으로 흡입되고, 이 오일은 회전축(113d)의 오일유로로 이동하여 오일 구멍을 통해 압축기구부(113b)의 습동부위인 롤링피스톤(113b2)과 실린더(113b1) 사이로 공급됨에 따라 윤활작용을 한다.
만약, 압축기구부(113b)의 습동부에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 습동부의 마찰로 인해 과열이 발생하고 압축기(113)의 보호를 위해 압축기(113)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따라서, 오일이 압축기구부(113b)의 습동부에 충분히 공급되도록 압축기구부(113b)가 전동기구부(113a)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압축기(113)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압축기(113)를 지지하는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압축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압축기의 분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압축기 베이스부의 사시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압축기 베이스부의 평면도이고, 도 9d는 도 9c의 배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되는 압축기본체(113)는 브라켓(1131)에 의해 고정되고, 압축기 베이스부(122)에 의해 지지된다.
*압축기본체(113)는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내부에 수용되고 압축기본체(113)의 외주면이 압축기 베이스부(122)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로 장착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함께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브라켓(1131)은 압축기본체(113)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상부에 배치되고, 브라켓(1131)의 가장자리부의 4곳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133)에 의해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지지면(1221d)에 체결된다.
브라켓(1131)은 두께가 압축기본체(113) 또는 압축기 베이스부(122)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고 평판에 가까운 부재이며,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상부에 위치하여, 압축기(113)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압축기본체(113)는 터브(17)의 상부와 캐비닛(10)의 탑커버(10a)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용되고, 압축기본체(113)의 저면은 터브(17)의 외주면과 마주보며 압축기(113)의 상부면은 탑커버(10a)와 마주보게 배치되므로, 압축기본체(113)의 상부면과 탑커버(10a) 사이의 공간은 설치공간이 매우 협소해서 평판에 가까운 브라켓(1131)을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압축기본체(113)는 브라켓(1131)의 하부에 배치된다. 물론 압축기본체(113)의 전단부가 그 후단부보다 높게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므로, 압축기본체(113)의 전단부는 브라켓(1131)보다 약간 더 높게 올라올 수는 있다. 하지만, 압축기본체(113)의 대부분은 브라켓(1131)의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압축기본체(113)의 상부 외주면은 브라켓(1131)의 가운데 부분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고정부(1131b)에 3점 용접으로 고정된다.
압축기본체(113)는 브라켓(1131)에 고정되어,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1221)의 상부에 방진마운트(1132)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압축기(113)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된다.
도 9b에 도시된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육면체 형상의 점선에 의해 그 경계가 지시될 수 있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압축기본체(11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221)와, 지지대(122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1228)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압축기본체(11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수용부는 상기 지지대(1221)와 하부연결부(1228)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압축기본체(113)의 양쪽 측면과 하부면은 지지대(1221)와 하부연결부(1228)에 의해 둘러싸인다. 압축기본체(113)의 상부면은 브라켓(1131)에 의해 둘러싸인다.
지지대(1221)는 압축기(113)의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2중벽의 구조로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221)는 압축기본체(1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측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압축기본체(113)의 하중은 지지대(1221)의 상부면에 중력방향으로 전달되므로, 2중벽 구조에 의해 충분히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여기서, 2중벽 구조란 내부의 중공부를 2중 벽면으로 둘러쌀 수 있다. 지지대(1221)의 상부에 지지면(1221d)이 형성되고, 지지면(1221d)에 방진마운트(1132)가 안착된다. 지지면(1221d)은 방진마운트(1132)가 안착되어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이면 충분하다. 지지면(1221d)에 2개의 볼트홀(1221c)이 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133)가 지지대(1221)의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대(1221)의 측면에는 복수의 관통홀(1221b)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221)의 측면 하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221)의 측면에 측벽(1229)이 더 형성되어, 측벽(1229)은 개구부를 통해 측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측벽(1229)에도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배관이나 압축기(113)의 흡입관이 압축기본체(113)의 측면 또는 저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122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절단부(1221a)가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1221a)를 통해 지지대(1221)의 강성과 거리가 먼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지지대(1221)의 전단부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마주하는 부분이며, 이 절단부(1221a)의 수평면과 수직면의 폭이 지지대(1221)의 지지면(1221d)의 폭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열교환기(110)와 압축기(113)를 연결하는 배관이 절단부(1221a)의 상부에서 절단부(1221a)의 내측을 경유하여 압축기(113)의 저면으로 연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절단부(1221a)의 폭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하부연결부(1228)는 지지대(1221)를 연결하고 압축기본체(113)의 하부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하부연결부(1228)는 압축기본체(113)와 접촉되지 않고 압축기본체(113)의 하중을 받는 부분이 아니므로, 두께가 얇아도 되고 2중벽으로 구성할 필요도 없다. 이에, 재료비 절감 및 컴팩트한 구성을 위해 하부연결부(1228)의 두께는 얇게 구성할 수 있다. 하부연결부(1228)는 압축기본체(113)의 하부면을 마주보며 감싸도록 경사지거나 각이 진 형태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하부연결부(1228)에 복수의 관통홀(1221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21b)은 형상의 제한을 두지 않지만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1221b)은 압축기 베이스부(122)와 주변 구성품(배관 등)의 간섭을 회피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경계를 이루는 격벽(1228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격벽(12282)은 하부연결부(1228) 및 지지대(1221)의 앞쪽 단부와 연결되고, 하부연결부(1228) 및 지지대(122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압축기(113)의 후단부와 마주하는 후방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하부연결부(1228)에서 압축기본체(113)를 향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벽(122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벽(12281)은 왼쪽 지지대(1221)와 하부연결부(1228)를 연결하여 지지대(1221)와 하부연결부(1228) 사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벽(12281)은 왼쪽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압축기본체(113)가 보강벽(12281) 위로 지나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히트펌프 모듈(100)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캐비닛
10a : 탑커버
10b: 사이드커버
10c : 베이스커버
10d : 프런트커버
10e : 백커버
10e1 : 가이드홀
11 : 도어
12 : 전원버튼
13 : 디스플레이부
14 : 하부커버
15 : 전방프레임
16 : 스크류
17 : 터브
17a : 가스켓
18 : 드럼
181 : 회전중심선
100 : 히트펌프 모듈
110 : 열교환기
110a : 냉매관
110b : 열전달판
111 : 증발기
111a,111b : 응축수 비산 방지턱
112 : 응축기
113 : 압축기
113a : 전동기구부
113a1 : 고정자
113a2 : 회전자
113b : 압축기구부
113b1 : 실린더
113b2 : 롤링피스톤
113b3 : 메인베어링
113b4 : 서브베어링
113b5 : 오일캡
113b6 : 오일안내관
113b7 : 오일회수관
113c : 압축기케이싱
113d : 회전축
1131 : 브라켓
1131a : 고정홀
1131b : 고정부
1132 : 방진마운트
1132a,1132a' : 상부접합부
1132b,1132b' : 하부접합부
1132c,1132c' : 연결부
1132c1,1132c1' : 확장부
1132c2,1132c1' : 축소부
1133 : 체결볼트
1134 : 토출구
114 : 팽창밸브
115 : 기액분리기
120 : 일체형 하우징
121 : 열교환 덕트부
1211 : 제1연결덕트
1211a : 공기안내가이드
1212 : 열교환기 장착부
1213 : 제2연결덕트
1213a: 덕트부 연결덕트
1213a': 체결부
1213a": 연결리브
1213b : 팬연결덕트
1213b' : 체결부
1213b" : 연결리브
1214 : 체결리브
1215 : U자형 체결부재
1216a : 원형 체결부
1216b : 타원형 체결부
1217: 돌출부
1217a : 돌출리브
1218 : 밀봉판
1218a : 밀봉홈
121a : 덕트바디
121b : 덕트커버
122 : 압축기 베이스부
1221 : 지지대
1221a : 절단부
1221b : 관통홀
1221c : 볼트홀
1221d : 지지면
1222 : 사각홀
1223 : 보강리브
1226a : 원형 체결부
1226b : 사각형 체결부
1226c : 보강리브
1227 : 돌출리브
1228 : 하부연결부
12281 : 보강벽
12282 : 격벽
1229 : 측벽
123 : 기액분리기 장착부
130 : 순환팬

Claims (18)

  1. 전방면에 의류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세탁물 또는 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압축기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횡형 압축기; 및
    상기 횡형 압축기를 지지하는 압축기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본체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측면과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압축기본체의 하면을 감싸며 상기 하면과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본체의 외주면 상부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지대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방진마운트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본체를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매단 채로 지지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의 중앙부에 상기 압축기본체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복수의 볼트로 체결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중공부를 둘러싸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측면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 측벽이 더 형성되고, 상기 측벽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측방향으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절단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폭은 상기 지지대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압축기본체의 하면을 마주보며 감싸도록 경사지거나 각이 진 형태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하부연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하부연결부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의 후단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는,
    상기 하부연결부에서 상기 압축기본체를 향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벽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상기 횡형 압축기를 구비하고, 냉매와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 모듈은,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을 위한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 덕트부; 및
    상기 열교환 덕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상기 횡형 압축기를 장착하여 지지하는 상기 압축기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후단부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본체는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본체는 상기 열교환 덕트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9148A 2016-01-05 2023-11-01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30156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9148A KR20230156008A (ko) 2016-01-05 2023-11-01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90A KR102585025B1 (ko) 2016-01-05 2016-01-05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17313A KR102598933B1 (ko) 2016-01-05 2022-09-16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9148A KR20230156008A (ko) 2016-01-05 2023-11-01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313A Division KR102598933B1 (ko) 2016-01-05 2022-09-16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008A true KR20230156008A (ko) 2023-11-13

Family

ID=575705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90A KR102585025B1 (ko) 2016-01-05 2016-01-05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17313A KR102598933B1 (ko) 2016-01-05 2022-09-16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9148A KR20230156008A (ko) 2016-01-05 2023-11-01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90A KR102585025B1 (ko) 2016-01-05 2016-01-05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17313A KR102598933B1 (ko) 2016-01-05 2022-09-16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344424B2 (ko)
EP (2) EP3564428B1 (ko)
JP (1) JP6775586B2 (ko)
KR (3) KR102585025B1 (ko)
CN (1) CN106939506B (ko)
AU (2) AU2016385261B2 (ko)
ES (1) ES2760531T3 (ko)
RU (1) RU2676788C1 (ko)
WO (1) WO2017119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025B1 (ko) * 2016-01-05 2023-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US9863086B2 (en) * 2016-05-31 2018-01-09 Wuxi Little Swan Co., Ltd. Heat pump mounting box and heat pump drier or heat pump washer-drier
US11885563B2 (en) 2018-12-28 2024-01-30 Uti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Nfp Method and system of thermo-vacuum drying and processing
US11261560B2 (en) * 2018-12-28 2022-03-01 Uti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Nfp Method and system of thermo-vacuum drying and processing
KR20200098115A (ko) * 2019-02-12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CN110067119B (zh) * 2019-04-01 2022-04-1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烘干装置及其装配方法、具有该烘干装置的衣物处理设备
CN110629484B (zh) * 2019-09-17 2021-09-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的框架组件和衣物处理装置
WO2021082160A1 (zh) * 2019-10-28 2021-05-06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的风机组件以及衣物处理装置
US11535977B2 (en) 2020-09-30 2022-12-27 Monotony.ai, Inc. Autonomous laundry washing and dry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14635268B (zh) * 2020-12-01 2024-05-24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滚筒式衣物处理装置
WO2023101318A1 (ko) * 2021-11-30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01317A1 (ko) * 2021-11-30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BE1030176B1 (de) 2022-01-12 2023-08-10 Miele & Cie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Wärmepumpe
KR20230126584A (ko) * 2022-02-23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DE102022131770A1 (de) 2022-11-30 2024-06-06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Wärmepumpe
DE102022132520A1 (de) 2022-12-07 2024-06-13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Wärmepumpe
DE102022132534A1 (de) 2022-12-07 2024-06-13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Wärmepumpe
DE102022132748A1 (de) 2022-12-09 2024-06-20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Wärmepumpe
EP4397802A1 (de) 2023-01-04 2024-07-10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tür
DE102023100120A1 (de) 2023-01-04 2024-07-04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Lüf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1934A1 (en) 2008-06-18 2011-02-09 Panasonic Corporation Drum-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EP2339063A2 (en) 2009-12-28 2011-06-29 Panasonic Corporation Dry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1438A (en) * 1980-12-04 1986-11-11 Donald M. Thompson Energy efficient clothes dryer
US4603489A (en) * 1984-10-05 1986-08-05 Michael Goldberg Heat pump closed loop drying
US5131169A (en) * 1991-01-22 1992-07-21 General Electric Company Vacuum-assisted rapid fabric dryer and method for rapidly drying fabrics
JP2632097B2 (ja) * 1991-10-09 1997-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横型ロータリーコンプレッサの固定装置
JPH1182340A (ja) * 1997-09-01 1999-03-26 Zexel Corp 横置型スクロールコンプレッサ
KR200213521Y1 (ko) * 1997-12-30 2001-04-02 양재신 유압펌프모터의 장착구조
SE521337C2 (sv) * 1999-08-09 2003-10-21 Electrolux Ab Textiltvättmaskin med ångtorkning
KR20040077234A (ko) * 2003-02-28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WO2005088003A1 (en) * 2004-03-16 2005-09-22 By For The Cleaners Co Ltd Low-temperature humiditv eliminate drier
JP4396483B2 (ja) * 2004-11-02 2010-01-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乾燥機
ES2626050T3 (es) * 2004-12-06 2017-07-21 Lg Electronics Inc. Secador de ropa
JP4374321B2 (ja) * 2005-03-10 2009-12-0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
JP4783125B2 (ja) * 2005-11-17 2011-09-28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JP4679352B2 (ja) * 2005-11-25 2011-04-27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JP5104577B2 (ja) * 2008-06-18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104578B2 (ja) * 2008-06-18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104579B2 (ja) * 2008-06-18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DE102008041019A1 (de) * 2008-08-06 2010-02-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und Erkennung eines unzulässigen Betriebszustands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JP5039001B2 (ja) * 2008-09-11 2012-10-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調ユニット
JP2011000141A (ja) * 2009-06-16 2011-01-06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2270274B2 (en) * 2009-06-29 2022-01-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EP2284310B1 (en) * 2009-08-12 2014-07-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tumble dryer with a heat pump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system for a tumble dryer
EP2341179B1 (en) * 2009-12-29 2017-04-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me laundry drier
JP2011167223A (ja) * 2010-02-16 2011-09-01 Panasonic Corp 洗濯機
US20110277334A1 (en) * 2010-04-28 2011-11-17 Lee Yongju Cloth treating apparatus
EP2385163B1 (en) * 2010-05-03 2016-10-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laundry machine with an integrated heat pump system
US8528227B2 (en) * 2010-07-26 2013-09-1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nt cycle capacity acceleration
US8601717B2 (en) * 2010-07-26 2013-12-1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cycle capacity enhancement
CN101974843B (zh) * 2010-09-14 2016-07-06 海尔集团公司 真空热泵干衣方法及干衣机
KR101224053B1 (ko) * 2010-09-30 2013-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EP2622121B1 (en) * 2010-09-30 2017-03-01 LG Electronics Inc. Diagnosing method for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refrigerant leakage detecting means
JP2012095718A (ja) * 2010-10-29 2012-05-24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US8572865B2 (en) * 2010-10-29 2013-11-0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hybrid dryer tub for airflow improvement
US8533975B2 (en) * 2010-10-29 2013-09-1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cycle elevation by modification of cycle start condition
KR101222681B1 (ko) * 2010-12-08 2013-01-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세탁기
KR20120110500A (ko) * 2011-03-29 2012-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진단방법
JP5824639B2 (ja) * 2011-09-02 2015-1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EP2690212B1 (en) * 2012-07-23 2016-11-09 Whirlpool Corpora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with heat pump system and laundry drying machine controlled by such method
KR101987695B1 (ko) * 2012-10-22 201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2차 응축기가 설치된 증발기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1982533B1 (ko) * 2012-11-21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
ITPR20120082A1 (it) 2012-11-27 2014-05-28 Meccanica Generale Srl Macchina lavabiancheria a carica frontale con sistema di asciugatura incorporato
KR102057859B1 (ko) * 2013-01-25 2019-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948582B1 (en) * 2013-01-25 2022-03-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043197B1 (ko) * 2013-02-28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2015024116A (ja) * 2013-06-18 2015-02-0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乾燥機
CN104233735B (zh) * 2013-06-21 2018-02-23 海尔集团公司 一种热泵干衣机及干衣方法
EP2832918B1 (en) * 2013-08-01 2018-01-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L2845943T3 (pl) * 2013-09-10 2021-10-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posób obsługiwania silnika o zmiennej prędkości w aparacie pralniczym
KR102150442B1 (ko) * 2013-11-11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CN203978757U (zh) * 2014-03-07 2014-12-03 山东朗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卧式压缩机固定结构
CN105220425B (zh) * 2014-05-30 2018-05-0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一种衣物干燥装置及烘干系统
EP2990524B1 (en) * 2014-08-29 2017-02-0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eat pump laundry dryer
KR102302326B1 (ko) * 2014-10-28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6080788A1 (ko) * 2014-11-19 201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EP3031975B1 (en) * 2014-12-08 2019-08-21 LG Electronics Inc. Condensing type clothes dryer having a heat pump cy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ndensing type clothes dryer having a heat pump cycle
EP3162952B1 (en) * 2015-10-26 2019-04-0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ing appliance with capacitive laundry drying degree sensing function
US10648125B2 (en) * 2015-12-18 2020-05-1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585025B1 (ko) * 2016-01-05 2023-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180014615A (ko) * 2016-08-01 2018-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58780B1 (ko) * 2016-09-21 2024-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2677252B1 (ko) * 2017-01-18 202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2377042B1 (ko) * 2017-08-09 202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876247B2 (en) * 2017-08-09 2020-12-2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L3597815T3 (pl) * 2018-07-19 2022-07-1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posób sterowania maszyną do suszenia pran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1934A1 (en) 2008-06-18 2011-02-09 Panasonic Corporation Drum-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EP2339063A2 (en) 2009-12-28 2011-06-29 Panasonic Corporation Dry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4424B2 (en) 2019-07-09
CN106939506B (zh) 2019-08-09
ES2760531T3 (es) 2020-05-14
US10988894B2 (en) 2021-04-27
US20190264379A1 (en) 2019-08-29
US20170191213A1 (en) 2017-07-06
AU2019200548B2 (en) 2020-11-05
EP3190224A1 (en) 2017-07-12
KR102598933B1 (ko) 2023-11-07
EP3564428B1 (en) 2021-02-03
EP3190224B1 (en) 2019-09-18
JP2019500126A (ja) 2019-01-10
KR20220131509A (ko) 2022-09-28
EP3564428A1 (en) 2019-11-06
AU2019200548A1 (en) 2019-02-14
KR102585025B1 (ko) 2023-10-05
KR20170082046A (ko) 2017-07-13
JP6775586B2 (ja) 2020-10-28
WO2017119587A1 (ko) 2017-07-13
AU2016385261A1 (en) 2018-07-05
CN106939506A (zh) 2017-07-11
AU2016385261B2 (en) 2019-02-28
RU2676788C1 (ru)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933B1 (ko)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598932B1 (ko)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180014615A (ko) 의류처리장치
JP2019502086A (ja) 気液分離器及びそれを備える衣類処理装置
RU27749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содержащее модуль теплового насо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