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517A -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517A
KR20230155517A KR1020237034023A KR20237034023A KR20230155517A KR 20230155517 A KR20230155517 A KR 20230155517A KR 1020237034023 A KR1020237034023 A KR 1020237034023A KR 20237034023 A KR20237034023 A KR 20237034023A KR 20230155517 A KR20230155517 A KR 2023015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acid
annealed
pickling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토 다케야마
다이스케 미즈노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1/047093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201686A1/ja
Publication of KR2023015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23G1/085Iron or steel solutions containing HNO3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23G1/086Iron or steel solutions containing HF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1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dipping
    • C23G3/02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dipping the objects following a helicoidal p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7Associated apparatus, e.g. for pretreating or after-tr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7Associated apparatus, e.g. for pretreating or after-treating
    • C23G3/029Associated apparatus, e.g. for pretreating or after-treating for removing the pickling fluid from the obj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0Pre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화성 처리성, 도장 후 내식성 및, 표면 외관 품질의 어느 것에도 우수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계속적으로 안정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는, 냉연 강판을 어닐링로 내에 통판시키고, 어닐링로 내에서 냉연 강판을 어닐링하여, 어닐링 강판을 얻는 어닐링 공정과, 어닐링로로부터 배출된 어닐링 강판을, 산화성의 제1 산과 비산화성의 제2 산을 포함하는 혼산액을 수용하는 혼산조에 통판하고, 혼산액으로 어닐링 강판을 산세정하는 산세정 공정과, 혼산조로부터 배출된 어닐링 강판을, 비산화성의 제3 산을 포함하는 산액을 수용하는 산조에 통판하고, 산액으로 어닐링 강판을 재산세정하여,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얻는 재산세정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하고,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한다. 그 때, 혼산조에 있어서의 혼산액 중의 Fe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Fe 농도에 따라서, 산세정 공정에 제공되는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설정한다.

Description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냉연 강판을 어닐링, 산세정(pickling) 및, 재(再)산세정하여,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자동차의 연비 향상 및 충돌 안전성의 향상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어,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 및 고강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들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자동차 부재의 소재가 되는 냉연 강판을 고강도화하고, 박육화(경량화)함으로써,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와 고강도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부재의 대부분은, 냉연 강판을 성형 가공하여 제조되고 있는 점에서, 그의 소재가 되는 냉연 강판에는, 높은 강도에 더하여, 우수한 성형성도 요구되고 있다.
성형성을 크게 해치지 않고 냉연 강판을 고강도화하는 수단으로서, Si 첨가에 의한 고용 강화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냉연 강판에 다량의 Si를 첨가한 경우에는, 냉간 압연 후의 어닐링 시에, 강판 표면에 SiO2나 Si-Mn계 복합 산화물 등의 Si 함유 산화물이 다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화성 처리성 및 도장 후 내식성이 뒤떨어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냉연 강판을 어닐링하여 어닐링 강판을 얻는 공정과, 상기 어닐링 강판을, 질산 등의 산화성의 산과, 염산, 불산 등의 비산화성의 산을 포함하는 혼산액에 침지하여 산세정하는 산세정 공정과, 그 후, 상기 어닐링 강판을, 염산, 황산 등의 비산화성의 산을 포함하는 산액에 침지하여 재산세정하고,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얻는 재산세정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하여,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산세정 공정에서, 연속 어닐링에 의해 생성된 강판 표면의 Si 함유 산화물을 제거하고, 재산세정 공정에서, 산세정 공정에서 발생한 철계 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화성 처리성 및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2단계 산세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혼산액 중의 Fe 농도 및 혼산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산세정 속도가 과대하게 되는 것이 원인으로, 제조되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표면 외관 품질이 열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는, 혼산액 중의 Fe 농도가 상승할수록, 혼산액 중의 산화성의 산의 농도를 낮게, 비산화성의 산의 농도를 높게 변경함으로써, 혼산액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표면 외관 품질이 우수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계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32092호 국제공개 2017/007036호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특허문헌 1과 같은 2단계 산세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라도,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하여, 혼산액의 온도를 적절한 범위로 유지한 경우라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제조되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표면 외관 품질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와 같이 표면 외관 품질이 열화하는 경우, 산세정 공정의 직후의 강판 표면이 검게 변색하고, 이 변색은, 재산세정 공정에서도 제거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변색한 부분은 강판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여 검은 분말이 되어, 설비 오염을 일으키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화성 처리성, 도장 후 내식성 및, 표면 외관 품질의 모두에 우수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계속적으로 안정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산세정 공정에 제공되는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과, 산세정 공정에서의 혼산액 중의 Fe 농도와, 제조되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표면 외관 품질의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을 알았다. 구체적으로는,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이 낮은 어닐링 강판을 산세정 공정에 제공하는 경우, 산세정의 과정에서 혼산액 중에 어닐링 강판으로부터 서서히 Fe가 용출하고, 혼산액 중의 Fe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산세정 공정의 직후의 강판 표면이 검게 변색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이 이 원인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페라이트는 마르텐사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에 비하여 혼산액에 의한 산세정 시의 용해 속도가 빠르고, 그 차이는 혼산액 중의 Fe 농도가 높은 경우에 보다 현저하게 되는 것을 알았다. 그 때문에,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이 낮은 어닐링 강판을 산세정 공정에 제공하는 경우, 혼산액 중의 Fe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표층의 전체를 다 제거하지 못하고, 산세정 공정의 후의 강판 표면에 마르텐사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잔존하여 표면 요철을 형성하여, 강판 표면이 흑색을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강판 표면에 잔존한 마르텐사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박리함으로써, 검은 분말이 되어 있었다. 따라서, 혼산액 중의 Fe 농도가 상승해도 표면 외관 품질을 열화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혼산액 중의 Fe 농도에 따라서, 산세정 공정에 제공하는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Fe 농도」란, 철이온 농도이고, 구체적으로는, 철(Ⅱ) 이온 및 철(Ⅲ) 이온의 농도의 합을 의미한다.
상기 인식에 기초하여 완성된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이하와 같다.
[1] 냉연 강판을 어닐링로(annealing furnace) 내에 통판시키고, 상기 어닐링로 내에서 상기 냉연 강판을 어닐링하여, 어닐링 강판을 얻는 어닐링 공정과,
상기 어닐링로로부터 배출된 상기 어닐링 강판을, 산화성의 제1 산과 비산화성의 제2 산을 포함하는 혼산액을 수용하는 혼산조(mixed acid tank)에 통판하여, 상기 혼산액으로 상기 어닐링 강판을 산세정하는 산세정 공정과,
상기 혼산조로부터 배출된 상기 어닐링 강판을, 비산화성의 제3 산을 포함하는 산액을 수용하는 산조(acid tank)에 통판하고, 상기 산액으로 상기 어닐링 강판을 재산세정하여,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얻는 재산세정 공정
을 연속적으로 행하여, 상기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혼산조에 있어서의 상기 혼산액 중의 Fe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Fe 농도에 따라서, 상기 산세정 공정에 제공되는 상기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2] 상기 Fe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기 산세정 공정에 제공되는 상기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높게 설정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3] 상기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의 설정은, 상기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의 어닐링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행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4] 상기 어닐링 조건이, 상기 어닐링로의 균열대(soaking zone) 내의 노점(dew point)인, 상기 [3]에 기재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5] 상기 제1 산이 질산인,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6] 상기 제2 산이, 염산, 황산, 인산, 피로인산, 포름산, 아세트산, 구연산, 불산 및, 옥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7] 상기 제3 산이, 염산, 황산, 인산, 피로인산, 포름산, 아세트산, 구연산, 불산 및, 옥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상기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8] 상기 냉연 강판이, Si를 0.50∼3.00질량% 함유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상기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9] 상기 성분 조성이, 질량%로, C: 0.03∼0.45%, Si: 0.50∼3.00%, Mn: 0.5∼5.0%, P: 0.05% 이하, S: 0.005% 이하, Al: 0.001∼0.060%, N: 0.005% 이하 및, B: 0.001∼0.005%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상기 [8]에 기재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10] 상기 성분 조성이, 질량%로, Cu: 1.00% 이하, Nb: 0.050% 이하, Ti: 0.080% 이하, V: 0.5% 이하, Mo: 1.00% 이하, Cr: 1.000% 이하 및, Ni: 1.00% 이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추가로 함유하는, 상기 [9]에 기재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화성 처리성, 도장 후 내식성 및, 표면 외관 품질의 어느 것에도 우수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계속적으로 안정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을 실시 가능한 어닐링 산세정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혼산액 중의 Fe 농도 및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과,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표면 외관 품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어닐링 공정, 산세정 공정 및, 재산세정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하여,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어닐링 공정, 산세정 공정 및, 재산세정 공정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어닐링 산세정 설비에 의해, 동일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도 1에 예시하는 어닐링 산세정 설비는, 연속 어닐링로(Continuous Annealing Line: CAL)(10)와, 물을 수용하는 수조(20)와, 산화성의 제1 산과 비산화성의 제2 산을 포함하는 혼산액을 수용하는 혼산조(30)와, 물을 수용하는 수조(40)와, 비산화성의 제3 산을 포함하는 산액을 수용하는 산조(50)와, 물을 수용하는 수조(60)를 강판의 진행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이 순서로 갖는다. 복수의 롤(70)을 포함하는 통판 설비는, 강판을 연속 어닐링로(10)와 상기 5개의 조에 순차적으로 통판시킬 수 있다.
[어닐링 공정]
도 1을 참조하여, 어닐링 공정에서는, 냉연 강판(S1)을 연속 어닐링로(10) 내에 통판시키고, 연속 어닐링로(10) 내에서 냉연 강판(S1)을 어닐링하여, 어닐링 강판(S2)을 얻는다. 어닐링 공정은, 냉연 강판(S1)에 소망하는 조직, 강도 및, 가공성을 부여하기 위해 행해진다. 어닐링로(10)는, 복수의 영역을 가져도 좋고, 도 1의 예에서는, 통판 방향의 상류로부터 순서대로, 가열대(12), 균열대(14) 및, 냉각대(16)를 갖는다. 연속 어닐링로의 구성은 도 1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열대(12)의 상류에 예열대가 있어도 좋고, 냉각대(16)가 복수의 냉각대를 포함해도 좋고, 냉각대(16)의 하류에 과시효대(overaging zone)가 있어도 좋다.
가열대(12)에서는, 버너를 이용하여, 냉연 강판(S1)을 직접 가열하는 것이나, 래디언트 튜브(RT) 또는 전기 히터를 이용하여, 냉연 강판(S1)을 간접 가열할 수 있다. 가열대(12)의 내부의 평균 온도는 500∼8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대(12)에는, 균열대(14)로부터의 가스가 유입함과 동시에, 별도 비산화성 또는 환원성의 가스가 공급된다. 비산화성의 가스로서는, 예를 들면 N2 가스가 이용되고, 환원성 가스로서는, 예를 들면 H2-N2 혼합 가스가 이용된다. 가열대(12)의 노점은, -50∼2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열대(14)에서는, 래디언트 튜브(RT)를 이용하여, 냉연 강판(S1)을 간접 가열할 수 있다. 균열대(14)의 내부의 평균 온도(균열 온도)는 600∼9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균열대(14)에는 비산화성 또는 환원성의 가스가 공급된다. 비산화성의 가스로서는, 예를 들면 N2 가스가 이용되고, 환원성 가스로서는, 예를 들면 H2-N2 혼합 가스가 이용된다. 균열대(14)의 노점은, -50∼2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대(16)에서는, 냉연 강판(S1)이 냉각된다. 냉연 강판(S1)은, 연속 어닐링로(10)를 나오는 단계에서 100∼400℃ 정도로까지 냉각된다.
[산세정 공정]
도 1을 참조하여, 산세정 공정에서는, 어닐링로(10)로부터 배출된 어닐링 강판(S2)을, 산화성의 제1 산과 비산화성의 제2 산을 포함하는 혼산액을 수용하는 혼산조(30)에 통판하고, 혼산액으로 어닐링 강판(S2)을 산세정한다.
상기와 같이, 어닐링 공정에서는, 분위기 가스로서 비산화성 또는 환원성의 가스가 이용되고, 그의 노점은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합금 첨가량이 적은 일반 냉연 강판에서는, 강판 표면의 산화는 억제되고 있다. 그러나, Fe보다도 용이 산화성 원소인 Si나 Mn을 포함하는 냉연 강판의 경우, 어닐링 시의 분위기 가스의 성분이나 노점을 엄격하게 관리해도, Si나 Mn이 선택 산화되어, 강판 표면에 Si 산화물(SiO2)이나 Si-Mn계 복합 산화물 등의 Si 함유 산화물이 형성된다. 즉, 어닐링 강판의 표층이 Si 함유 산화물층이 되고, 이것이 화성 처리성 및 도장 후 내식성의 열화를 초래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산세정 공정에서는, 어닐링 강판(S2)을 산화성의 제1 산과 비산화성의 제2 산을 포함하는 혼산액에 연속적으로 침지하여, 어닐링 강판(S2)의 표면의 Si 함유 산화물층을 제거한다. Si 함유 산화물층의 두께는, 강판 성분이나 어닐링 조건(온도, 시간, 분위기)에 따라 변화하지만, 통상, 강판 표면으로부터 1㎛ 정도이다.
산화성의 제1 산으로서는, 질산을 들 수 있다. 혼산액 중에 제1 산이 필요한 이유는, Si 함유 산화물 중, Si-Mn계 복합 산화물은 산에 용이하게 용해되지만, SiO2는 난용성(poor solubility)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것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질산과 같은 산화성의 산으로 강판 표면의 Si 함유 산화물층을 지철마다 제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혼산액 중의 제1 산의 농도는, Si 함유 산화물층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관점에서, 100g/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g/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산의 농도가 과대인 경우, 후단의 재산세정 공정에서 철계 산화물을 용해시키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혼산액 중의 제1 산의 농도는, 150g/L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0g/L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산화성의 제2 산은, 염산, 황산, 인산, 피로인산, 포름산, 아세트산, 구연산, 불산 및, 옥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염산, 황산 및, 불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산화성의 산을 이용하는 이유는, 상기 산화성의 제1 산에 의한 산세정에 수반하여 강판 표면에 침전 석출해 오는 철계 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혼산액 중의 제2 산의 농도는, 후단의 재산세정 공정에서 철계 산화물을 용해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4.5g/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5g/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산의 농도가 과대인 경우, 단위 시간당의 산세정 감량이 저하하여, 강판 표층에 SiO2의 잔존이 우려되기 때문에, 혼산액 중의 제2 산의 농도는, 12.5g/L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5g/L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세정 공정에서의 적합한 산세정 시간은, 어닐링 공정에서 발생한 Si 함유 산화물층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산세정 감량과, 혼산액의 조성에 의해 결정되는 산세정 효율과, 산세정 길이로부터 결정된다. 일반적으로는, 혼산액의 온도는 30∼60℃ 정도, 산세정 시간은 10초 정도로 된다.
[재산세정 공정]
도 1을 참조하여, 재산세정 공정에서는, 혼산조(30)로부터 배출된 어닐링 강판(S2)을, 비산화성의 제3 산을 포함하는 산액을 수용하는 산조(50)에 통판하고, 산액으로 어닐링 강판(S2)을 재산세정하여, 어닐링 산세정 강판(S3)을 얻는다.
상기 산세정 공정에 의해, 강판 표면으로부터 용해한 Fe가 철계 산화물을 생성하고, 이것이 강판 표면에 침전 석출하여 강판 표면을 덮음으로써 화성 처리성이 저하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산세정 공정의 후, 어닐링 강판(S2)을, 비산화성의 제3 산을 포함하는 산액에 연속적으로 침지하여, 이 철계 산화물을 제거한다. 「철계 산화물」이란, 산화물을 구성하는 산소 이외의 원소 중에서 철의 원자 농도비가 30% 이상인 철 주체의 산화물을 말한다. 이 철계 산화물은, 강판 표면 상에 불균일한 두께로 존재하고 있고, 수 ㎚의 두께로 균일하고 또한 층 형상으로 존재하는 자연 산화 피막과는 상이한 산화물이다. 또한, 어닐링 강판(S2)의 표면에 생성된 철계 산화물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에 의한 관찰이나 전자선 회절에 의한 디플랙션 패턴(회절 도형)의 해석 결과로부터 비정질인 것을 알 수 있다.
비산화성의 제3 산은, 염산, 황산, 인산, 피로인산, 포름산, 아세트산, 구연산, 불산 및, 옥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염산, 황산 및, 불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염산은, 휘발성의 산이기 때문에, 황산과 같이 강판 표면에 황산근 등의 잔류물이 잔존하기 어려운 것이나, 염화물 이온에 의한 철계 산화물의 파괴 효과가 큰 것 등으로부터, 적합하다. 또한, 염산과 황산을 혼합한 산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산세정 공정에서 이용하는 제2 산과, 본 공정에서 이용하는 제3 산은, 동종류의 산이라도, 상이한 종류의 산이라도 좋다. 그러나, 제조 설비를 공통화할 수 있는 관점에서, 동 종류의 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액 중의 제3 산의 농도는, 철계 산화물을 충분히 용해하는 관점에서, 4.5g/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5g/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제3 산의 농도가 과대인 경우, 강판 표면에 산액이 잔존하여 변색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산액 중의 제3 산의 농도는, 12.5g/L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5g/L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재산세정 공정의 적합한 산세정 시간은, 1단째의 산세정에서 발생한 철계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산세정 감량과, 산 조성에 의해 결정되는 산세정 효율과, 산세정 길이로부터 결정된다. 일반적으로는, 산액의 온도는 30∼60℃ 정도, 산세정 시간은 10초 정도로 된다.
상기 산세정 공정 및 상기 재산세정 공정에서의 합계의 산세정 감량은 8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계의 산세정 감량이 8g/㎡ 이상이면, 강판 표면에 Si 함유 산화물이나 철계 산화물이 잔존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높은 화성 처리성이 얻어진다.
[재산세정 공정 후의 공정]
재산세정 공정 후에 얻어진 어닐링 산세정 강판(S3)은, 그 후, 조질 압연이나 레벨러 가공 등의 통상의 처리 공정을 거쳐 제품으로서의 강판으로 할 수 있다.
[물세정 공정]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혼산조(30)와 산조(50)의 사이에 수조(40)를 형성하고, 산세정 공정과 재산세정 공정의 사이에, 어닐링 강판(S2)을 수조(40)에 통판하여, 물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혼산조(30)로부터 어닐링 강판(S2)이 반출한 혼산액이 산조(50)의 산액 중에 혼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산조(50)에서의 재산세정에 의해 확실하게 철계 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혼산조(30)의 상류에 수조(20)를 형성하고, 산세정 공정의 전에, 어닐링 강판(S2)을 수조(20)에 통판하여, 물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어닐링 강판(S2)의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혼산조(30)의 혼산액 중에 불순물이 혼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산조(50)의 하류에 수조(60)를 형성하고, 재산세정 공정의 후에, 어닐링 강판(S2)을 수조(60)에 통판하여, 물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산조(50)로부터 어닐링 강판(S2)이 반출한 산액을 제거할 수 있어, 어닐링 강판(S2)의 표면의 녹을 막을 수 있다.
[Fe 농도의 측정]
혼산조(30)에 있어서의 혼산액의 Fe 농도는, 당해 혼산액이 어닐링 강판(S2)의 산세정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프레시한 상태에서는, 제로이다. 그러나, 산세정의 과정에서 어닐링 강판(S2)으로부터 서서히 Fe가 용출하고, 혼산액 중의 Fe 농도는 서서히 상승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혼산조(30)에 있어서의 혼산액 중의 Fe 농도를 경시적으로(over time) 측정한다. 이 측정은, 상시 행해도 좋고, 일정 기간마다 간헐적으로 행해도 좋다.
도 1에 예시하는 어닐링 산세정 설비는, 혼산조(30)에 있어서의 혼산액 중의 Fe 농도를 측정하는 Fe 농도계(80)를 갖는다. Fe 농도계(80)로서는, 예를 들면, 근적외 분광 분석을 사용하여 혼산액에 1분간 피치로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조사 후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혼산액 중의 Fe 농도를 산출하는 분석계를 이용할 수 있다.
혼산액의 Fe 농도는, 0∼50g/L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e 농도가 50g/L를 초과하면, 혼산액에 의한 산화력이 과대가 되어, 강판 표면에 황변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혼산액의 Fe 농도가 50g/L에 도달하거나, 그 전의 단계에서, 혼산조(30) 중의 혼산액의 전부를 폐액으로 하고, 혼산조(30)에 새롭게 프레시한 혼산액을 공급하여, 혼산액의 Fe 농도를 제로로 되돌리거나, 혼산조(30) 중의 혼산액의 일부를 폐액으로 하고, 혼산조(30)에 프레시한 혼산액을 이어 더하여, 혼산액의 Fe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의 설정]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연속 어닐링 후의 Si 함유 산화물층의 두께는, 통상, 강판 표면으로부터 1㎛ 정도로서, 산세정 공정에서 이 Si 함유 산화물층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단, 이 Si 함유 산화물층에 있어서, Si 함유 산화물이 농화하고 있는 것은, 극히 표층의 수십 ㎚의 범위로서, 그보다 아래의 영역에서는, 강 조직 중에 Si 함유 산화물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강 조직에 관하여, 페라이트는 마르텐사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에 비해 혼산액에 의한 산세정 시의 용해 속도가 빠르고, 그의 차는 혼산액 중의 Fe 농도가 높은 경우에 보다 현저하게 된다. 그 때문에,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이 낮은 어닐링 강판을 산세정 공정에 제공하는 경우, 혼산액 중의 Fe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표층의 전체를 다 제거하지 못하고, 산세정 공정의 후의 강판 표면에 마르텐사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잔존하여 표면 요철을 형성하여, 강판 표면이 흑색을 나타낸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정된 혼산액 중의 Fe 농도에 따라서, 산세정 공정에 제공되는 어닐링 강판(S2)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측정된 혼산액 중의 Fe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산세정 공정에 제공되는 어닐링 강판(S2)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높게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하한값 이상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을 갖는 어닐링 강판만을 산세정 공정에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혼산액 중의 Fe 농도가 상승해도, 산세정 공정의 직후의 강판 표면이 검게 변색하는 일이 없고, 화성 처리성, 도장 후 내식성 및, 표면 외관 품질의 어느 것에도 우수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계속적으로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기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혼산액 중의 Fe 농도와, 당해 Fe 농도에 있어서 우수한 표면 외관 품질을 실현할 수 있는 표층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과의 관계(예를 들면 도 2)를 미리 구해 두고, 이 관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혼산액 중의 Fe 농도에 따라서, 산세정 공정에 제공되는 어닐링 강판(S2)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관계를 이용하면, 측정된 Fe 농도에 따라서, 표면 외관 품질이 「○」 또는 「◎」이 되도록 표층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설정하면 좋다.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체적률)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강판의 폭방향 및 압연 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압연 방향으로 평행한 종단면을 연마하여, 나이탈 에칭(nital etching)에 의해 출현한 금속 조직을, 시험편의 표면에서 1㎛까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SEM을 이용하여 관찰한다. SEM 관찰에서는 3000배의 배율로 10시야 이상을 관찰하고, 관찰된 화상으로부터 휘도가 낮은 영역을 페라이트로서 그의 면적률을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압연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폭방향)으로는 조직 변화가 없고, 압연 방향에 평행한 단면의 면적률은 체적률과 동일하기 때문에, 면적률을 체적률로 간주할 수 있다.
단, 어닐링 공정, 산세정 공정 및 재산세정 공정은, 동일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실제의 조업에 있어서, 어닐링 공정 후 또한 산세정 공정 전의 단계에서, 어닐링 강판(S2)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을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여기에서, 어닐링 강판(S2)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은, 어닐링 전의 냉연 강판(S1)의 성분 조성과,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의 어닐링 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성분 조성이 정해지면, 어닐링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그 때문에,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의 설정은,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의 어닐링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즉, 냉연 강판(S1)의 성분 조성에 따라서,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의 어닐링 조건과, 당해 어닐링 조건에 있어서 얻어지는 페라이트 분율과의 관계를 미리 구해 두고, 설정된 하한값 이상의 페라이트 분율을 실현할 수 있는 어닐링 조건으로 어닐링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어닐링 강판(S2)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에 영향을 미치는 어닐링 조건은, 주로, 균열 온도(soaking temperature)와, 균열대의 노점이다. 균열 온도가 높을수록, 페라이트 분율도 높아진다. 또한, 균열대의 노점이 높을수록, 페라이트 분율도 높아진다. 따라서, 소망하는 페라이트 분율을 실현하기 위해 조정하는 어닐링 조건은, 균열 온도 및 균열대의 노점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할 수 있다.
단, 균열 온도는, 제품이 되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기계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업 중에 변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소망하는 페라이트 분율을 실현하기 위해 조정하는 어닐링 조건은, 어닐링로의 균열대의 노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균열 온도를 포함하여 노점 이외의 어닐링 조건을 고정하고,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의 균열대의 노점과, 당해 노점에 있어서 얻어지는 페라이트 분율과의 관계를 미리 구해 두고, 설정된 하한값 이상의 페라이트 분율을 실현할 수 있는 노점에서 어닐링 공정을 행할 수 있다.
[냉연 강판의 성분 조성]
이하, 냉연 강판(S1)의 성분 조성을 설명한다. 각 원소의 함유량의 단위는 「질량%」이지만, 간단히 「%」라고 표기한다.
Si: 0.50∼3.00%
냉연 강판(S1)의 성분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Si를 0.50∼3.00질량% 함유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Si는, 가공성을 크게 해치는 일 없이 강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고용 강화능)가 크기 때문에, 강의 고강도화를 달성하기에는 유효한 원소이지만, 화성 처리성이나 도장 후 내식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원소이기도 하다. Si를 첨가하여 고강도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Si량은 0.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Si량이 과다인 경우, 열간 압연성이나 냉간 압연성이 크게 저하하여,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강판 자체의 연성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한다. 따라서, Si량은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i 이외의 성분에 대해서는, 통상의 냉연 강판이 갖는 조성 범위이면 허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 이하의 성분 조성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C: 0.03∼0.45%
C는, 강의 강도를 조정하는데에 유효한 원소로서, 이 관점에서, C량은 0.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용접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C량은, 0.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n: 0.5∼5.0%
Mn은, 강도와 퀀칭성(hardenability)의 향상에 유효한 원소로서, 이 관점에서, Mn량은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연성 및 용접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Mn량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 0.05% 이하
P는 불가피적으로 함유되는 원소의 하나이지만, 국부 연성을 열화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P량은 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량은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하한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탈인 비용의 관점에서, P량은 0.005% 이상일 수 있다.
S: 0.005% 이하
S는 불가피적으로 함유되는 원소의 하나이지만, 용접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S량은 0.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량은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의 하한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탈황 비용의 관점에서, S량은 0.0001% 이상일 수 있다.
Al: 0.001∼0.060%
Al은, 용강의 탈산에 유효한 원소로서, 이 관점에서, Al량은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비용의 관점에서, Al량은 0.06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0.005% 이하
N은, 조대한(coarse) 석출물을 형성하여 굽힘성을 열화시킨다. 이 때문에, N량은 0.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N량은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의 하한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업적으로는 N량은 0.001% 이상일 수 있다.
B: 0.001∼0.005%
B는, 퀀칭성의 향상에 유효한 원소로서, 이 관점에서, B량은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B량이 과다인 경우, 퀀칭성 향상의 효과는 포화하기 때문에, B량은, 0.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연 강판(S1)의 성분 조성에 있어서, 상기 성분 이외의 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단, 임의로 이하의 성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해도 좋다.
Cu: 1.00% 이하
Cu는, 잔류 γ상의 형성을 촉진하여, 강도의 개선에 유효하게 기여한다. 이 관점에서, Cu량은 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비용의 관점에서, Cu를 첨가하는 경우, Cu량은 1.00% 이하로 한다.
Nb: 0.050% 이하
Nb는,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 관점에서, Nb량은 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비용의 관점에서, Nb를 첨가하는 경우, Nb량은 0.050% 이하로 한다.
Ti: 0.080% 이하
Ti는,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 관점에서, Ti량은 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화성 처리성을 열화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Ti를 첨가하는 경우, Ti량은 0.080% 이하로 한다.
V: 0.5% 이하
V는, 내(耐)지연 파괴성의 향상에 유효하다. 이 관점에서, V량은 0.00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강도-연성 밸런스를 열화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V를 첨가하는 경우, V량은 0.5%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1% 이하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로 한다.
Mo: 1.00% 이하
Mo는,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 관점에서, Mo량은 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비용의 관점에서, Mo를 첨가하는 경우, Mo량은 1.00% 이하로 한다.
Cr: 1.000% 이하
Cr은, 퀀칭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 관점에서, Cr량은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용접성을 열화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Cr을 첨가하는 경우, Cr량은 1.000% 이하로 한다.
Ni: 1.00% 이하
Ni는, 잔류 γ상의 형성을 촉진한다. 이 관점에서, Ni량은 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비용의 관점에서, Ni를 첨가하는 경우, Ni량은 1.00% 이하로 한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잔부는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을 갖는 냉연 강판을 시험편으로서 이용하여, 당해 시험편에 어닐링을 행했다. 어닐링 조건은, 로 내 분위기를, 노점을 표 2에 나타내는 값으로, 또한, 10체적%의 수소를 포함하고, 잔부가 질소로 이루어지는 분위기로 하여, 표 2에 나타내는 균열 온도에서, 균열 시간을 120초로 했다. 이것은, CAL의 균열대에서의 어닐링을 상정한 것이다.
얻어진 어닐링 강판의 시험편에 대해서, 이미 서술의 방법으로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을 구하고,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그 후, 얻어진 어닐링 강판의 시험편을, 표 3에 나타내는 혼산액(질산 농도: 125g/L, 염산 또는 불산 농도: 7.5g/L, 액온: 30℃)에 15초간 침지하여, 산세정을 행했다. 추가로, 시험편을, 염산(농도: 8.0g/L)에 8초간 침지하여, 재산세정을 행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시험편을 물세정하여, 건조시켰다.
<표면 외관 품질의 평가>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시험편의 표면에 셀로판 테이프(상표 등록)를 접착하여 떼어낸 후, 테이프를 흰 종이에 붙이고, 이 상태에서 백색도(L값)를 측정하여, 표면 외관 품질을 평가했다. 백색도가 낮을수록, 검은 분말이 테이프에 부착되어 있게 되어, 표면 외관 품질이 뒤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표면 외관 품질은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 및 ○을 양호로 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 L값이 90 이상
○: L값이 75 이상 90 미만
×: L값이 75 미만
<화성 처리성의 평가>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시험편에 대하여, 인산 아연 처리를 행하여, 화성 처리성을 평가했다.
(1) 인산 아연 처리액: 니혼파카라이징사 제조 펄본드 PB-L3065
(2) 화성 처리 공정: 탈지→물세정→표면 조정→인산 아연 처리→물세정
화성 처리 후의 시험편 표면을 1000배로 SEM 관찰하고, 10시야의 인산염 결정의 형성 상태를 조사했다. 10시야 전체에 있어서 인산염 결정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 인산염 결정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1시야 존재하는 경우를 「○」, 2∼5시야 존재하는 경우를 「△」, 5시야 이상 존재하는 경우를 「×」라고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도장 후 내식성의 평가>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시험편에 대하여, 상기의 조건으로 화성 처리를 실시하고, 추가로 화성 처리 피막의 표면에, 닛뽄페인트사 제조의 전착 도료: V-50을 이용하여, 막두께가 25㎛가 되도록 전착 도장을 실시했다. 이 시험편의 표면에, 커터로 길이 45㎜의 크로스 컷 흠집을 부여한 후, 이 시험편을, 염수 분무(5질량% NaCl 수용액: 35℃, 상대 습도: 98%)×2시간→건조(60℃, 상대 습도: 30%)×2시간→습윤(50℃, 상대 습도: 95%)×2시간, 을 1사이클로 하고, 이것을 90사이클 반복하는 부식 시험에 제공하고, 그 후, 물세정하고, 건조한 후, 컷 흠집부에 대해서 테이프 박리 시험을 행했다. 컷 흠집부 좌우를 합한 최대 박리 전체폭을 측정했다. 이 최대 박리 전체폭이 6.0㎜ 이하이면, 도장 후 내식성은 양호라고 평가할 수 있다. 최대 박리 전체폭이 6.0㎜ 이하인 경우를 「○」, 6.0㎜ 초과인 경우를 「×」라고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의 결과에 기초하여, 혼산액 중의 Fe 농도마다, 표면 외관 품질이 「○」과 「×」의 경계가 되는 표층 페라이트 분율, 표면 외관 품질이 「◎」과 「○」의 경계가 되는 표층 페라이트 분율을, 표 4에 정리했다. 또한, 표 3의 결과에 기초하여, 혼산액 중의 Fe 농도 및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과,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표면 외관 품질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2에 나타냈다.
표 4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을 갖는 냉연 강판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1) Fe 농도가 5g/L 이하의 범위이면, 표층 페라이트 분율을 6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Fe 농도가 5g/L 초과 10g/L의 범위이면, 표층 페라이트 분율을 7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Fe 농도가 10g/L 초과 20g/L의 범위이면, 표층 페라이트 분율을 9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Fe 농도가 20g/L 초과 30g/L의 범위이면, 표층 페라이트 분율을 9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9%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Fe 농도가 30g/L 초과 50g/L의 범위이면, 표층 페라이트 분율을 99%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기준을 정할 수 있다. 혹은, 도 2를 이용하여, 측정된 Fe 농도에 따라서, 표면 외관 품질이 「○」 또는 「◎」이 되도록 표층 페라이트 분율을 설정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표 4와 같은 기준을 실현하기 위한 조업예로서는, 균열 온도를 820℃로 한 경우, (1) Fe 농도가 5g/L 이하의 범위이면, 노점을 -15℃ 이상으로 설정하고, (2) Fe 농도가 5g/L 초과 10g/L의 범위이면, 노점을 -10℃ 이상으로 설정하고, (3) Fe 농도가 10g/L 초과 20g/L의 범위이면, 노점을 -5℃ 이상으로 설정하고, (4) Fe 농도가 20g/L 초과 30g/L의 범위이면, 노점을 5℃ 이상으로 설정하고, (5) Fe 농도가 30g/L 초과 50g/L의 범위이면, 노점을 15℃ 이상으로 설정한다는 기준을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화성 처리성, 도장 후 내식성 및, 표면 외관 품질의 어느 것에도 우수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계속적으로 안정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어닐링 산세정 강판은, 자동차 차체의 부재, 가전 제품의 부재 및, 건축 부재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 연속 어닐링로
12 : 가열대
14 : 균열대
16 : 냉각대
20 : 수조
30 : 혼산조
40 : 수조
50 : 산조
60 : 수조
70 : 롤(통판 설비)
80 : Fe 농도계
S1 : 냉연 강판
S2 : 어닐링 강판
S3 : 어닐링 산세정 강판

Claims (10)

  1. 냉연 강판을 어닐링로 내에 통판시키고, 상기 어닐링로 내에서 상기 냉연 강판을 어닐링하여, 어닐링 강판을 얻는 어닐링 공정과,
    상기 어닐링로로부터 배출된 상기 어닐링 강판을, 산화성의 제1 산과 비산화성의 제2 산을 포함하는 혼산액을 수용하는 혼산조(mixed acid tank)에 통판하여, 상기 혼산액으로 상기 어닐링 강판을 산세정하는 산세정 공정과,
    상기 혼산조로부터 배출된 상기 어닐링 강판을, 비산화성의 제3 산을 포함하는 산액을 수용하는 산조(acid tank)에 통판하고, 상기 산액으로 상기 어닐링 강판을 재산세정하여,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얻는 재산세정 공정
    을 연속적으로 행하여, 상기 어닐링 산세정 강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혼산조에 있어서의 상기 혼산액 중의 Fe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Fe 농도에 따라서, 상기 산세정 공정에 제공되는 상기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e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기 산세정 공정에 제공되는 상기 어닐링 강판의 표층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을 높게 설정하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분율의 하한값의 설정은, 상기 어닐링 공정에 있어서의 어닐링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행하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조건이, 상기 어닐링로의 균열대 내의 노점인,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이 질산인,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산이, 염산, 황산, 인산, 피로인산, 포름산, 아세트산, 구연산, 불산 및, 옥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산이, 염산, 황산, 인산, 피로인산, 포름산, 아세트산, 구연산, 불산 및, 옥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 강판이, Si를 0.50∼3.00질량% 함유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이, 질량%로, C: 0.03∼0.45%, Si: 0.50∼3.00%, Mn: 0.5∼5.0%, P: 0.05% 이하, S: 0.005% 이하, Al: 0.001∼0.060%, N: 0.005% 이하 및, B: 0.001∼0.005%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조성이, 질량%로, Cu: 1.00% 이하, Nb: 0.050% 이하, Ti: 0.080% 이하, V: 0.5% 이하, Mo: 1.00% 이하, Cr: 1.000% 이하 및, Ni: 1.00% 이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추가로 함유하는,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237034023A 2021-03-26 2021-12-20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KR202301555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54006 2021-03-26
JP2021054006 2021-03-26
PCT/JP2021/047093 WO2022201686A1 (ja) 2021-03-26 2021-12-20 焼鈍酸洗鋼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517A true KR20230155517A (ko) 2023-11-10

Family

ID=8304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023A KR20230155517A (ko) 2021-03-26 2021-12-20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76765A1 (ko)
EP (1) EP4282994A1 (ko)
JP (1) JP7126104B1 (ko)
KR (1) KR20230155517A (ko)
CN (1) CN116917546A (ko)
MX (1) MX202301041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2092A (ja) 2010-08-31 2012-07-12 Jfe Steel Corp 冷延鋼板の製造方法、冷延鋼板および自動車部材
KR20170007036A (ko) 2015-07-10 2017-01-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입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1164B2 (ja) * 1992-02-14 2000-03-15 川崎製鉄株式会社 表面光沢の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2002097585A (ja) * 2000-09-22 2002-04-02 Sumitomo Metal Ind Ltd バフ研磨性の優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814720B2 (ja) * 2001-10-30 2006-08-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塩温水2次密着性に優れた高強度高延性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867991B1 (fr) * 2004-03-25 2007-05-04 Ugine Et Alz France Sa Bandes en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d'aspect de surface mat
GB0421908D0 (en) 2004-10-01 2004-11-03 Angeletti P Ist Richerche Bio New uses
JP6041079B1 (ja) * 2015-07-08 2016-12-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冷延鋼帯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2092A (ja) 2010-08-31 2012-07-12 Jfe Steel Corp 冷延鋼板の製造方法、冷延鋼板および自動車部材
KR20170007036A (ko) 2015-07-10 2017-01-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입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2994A1 (en) 2023-11-29
US20240076765A1 (en) 2024-03-07
MX2023010415A (es) 2023-09-18
JP7126104B1 (ja) 2022-08-26
CN116917546A (zh) 2023-10-20
JPWO2022201686A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7089B2 (ja) 冷延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冷延鋼板の製造設備
KR101502213B1 (ko)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냉연 강판 및 자동차 부재
JP5482968B2 (ja) 酸洗後の鋼板表面の黄変防止方法
KR101704308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1284A (ko)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냉연 강판 및 자동차 부재
KR20160122813A (ko) 고강도 강판 및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KR20130055696A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3320B1 (ko) 합금화 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합금화 용융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JP6041079B1 (ja) 冷延鋼帯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2013173976A (ja) 冷延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設備
JP6090200B2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396005B1 (en) Mn-containing hot-dip galvannea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3321394B1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producing cold-rolled steel strip
JP2008266685A (ja) 外観に優れた高張力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896165B2 (ja) 酸洗後の鋼板表面の黄変防止方法
JP6160655B2 (ja) 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17766A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4629138B2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6020485B2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55517A (ko) 어닐링 산세정 강판의 제조 방법
CN108026617B (zh) 钢板
WO2022201686A1 (ja) 焼鈍酸洗鋼板の製造方法
JP6108028B2 (ja) 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6114957B2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