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567A -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567A
KR20230154567A KR1020220054138A KR20220054138A KR20230154567A KR 20230154567 A KR20230154567 A KR 20230154567A KR 1020220054138 A KR1020220054138 A KR 1020220054138A KR 20220054138 A KR20220054138 A KR 20220054138A KR 20230154567 A KR20230154567 A KR 20230154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guide rail
garage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드
Priority to KR102022005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4567A/ko
Publication of KR2023015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56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8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having tee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방서 차고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충격 이탈 복구형 도어로 이루어지는 도어부; 정전 시 상기 도어부의 도어 개방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UPS부; 및 상기 도어부가 도어를 개방할 때마다 해당 시간 및 횟수를 기록하고 해당 기록을 소방차의 출동과 연계시켜 상기 소방차의 출동이력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로그기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FIRE DEPARTMENT GARAGE DOOR DEVICE}
본 발명은 소방서 차고용 도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이나 정전 등의 고장이 발생해도 도어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소방차 출동을 보장할 수 있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버헤드 도어(Overhead door)는 동력에 의해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로서, 통상 하나 또는 복수의 슬랫을 접철하거나 접지 않은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이며, '셔터', '스피드도어', '스태킹도어'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오버헤드 도어는 소방서 차고나 산업현장의 공장이나 창고의 차량출입구 등에 많이 설치되며, 개방시 도어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출입구 상부로 수납되므로 건물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종래의 오버헤드 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충돌로 인한 도어 판넬 파손이나 스프링 등의 구동 부품 파손, 정전 등의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수리 전까지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특히, 소방서 차고용으로 오버헤드 도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소방차가 제때에 출동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도어가 금속 재질의 무거운 판넬로 되어 있어 고장시 자유낙하하게 되면 차량의 파손이나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정전시 사람이 수동 조작으로 체인을 당겨서 도어를 열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넷째, 도어의 개폐 속도가 느려 긴급을 요하는 소방차의 신속한 출동에 어려움이 있다. 오버헤드 도어의 경우에는 초당 최대 250㎜이고, 스피드 도어의 경우에는 초당 최대 1500㎜이다.
다섯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부에 수납된 판넬이 천장의 조명을 가려서 소방서 차고 내부가 어둡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71349호 (2005.02.01)는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단위 도어부재들의 결합구조로 된 도어 판넬, 도어 판넬에 근접 설치되며 도어 판넬의 개폐 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구동 모터의 구동과 정지, 정/역회전 제어를 위한 회로부 및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콘트롤 판넬,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수직/수평 트랙, 수직/수평 트랙과 도어 본체를 연결하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도어 판넬의 하강시 개입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콘트롤 판넬로 전송하는 포토 센서,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 판넬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도어 판넬에 연결된 권상 케이블을 감았다 풀었다 하는 케이블 드럼, 및 권상 케이블의 감김과 풀림의 정도에 따라 상응하는 토션력으로 권상 케이블에 항상 어느 정도 크기의 텐션이 걸리도록 하여 작은 힘으로도 도어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635호 (2004.08.10)는 나열식 셔터에 관한 것으로, 대형공장, 화물적재창고, 소방서차고, 항공기격납고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자동 셔텨에 있어서, 수직으로 적층되는 판재형태의 판넬을 다수개 구비하고 공간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구획하여 소기의 출입문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와, 상기 판넬의 최하위 판넬의 끝단에 연결된 이송너트와 상기 이송너트를 수용하고 상하로 승강시키는 볼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최하위 판넬의 승강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기 판넬들을 밀어 올리거나 실어 내려서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직이송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상승된 상기 판넬을 순차적으로 수용하고 수평으로 이송시켜 적재하는 수평이송부와,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 상호간에 상기 판넬을 전달시키는 판넬전달부와, 감속기와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에 체인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71349호 (2005.02.0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635호 (2004.08.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이나 정전 등의 고장이 발생해도 도어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소방차 출동을 보장할 수 있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어를 PVC(Polyvinyl Chloride) 고무재질의 시트로 구성하고 도어 시트를 프레임 기구물로 잡아 주어 도어의 자유낙하로 인한 사고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방차들의 차고 출입을 기록하여 소방차의 출동이력 및 도어 구성품들의 교체시기를 관리할 수 있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는 소방서 차고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충격 이탈 복구형 도어로 이루어지는 도어부, 정전 시 상기 도어부의 도어 개방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UPS부, 및 상기 도어부가 도어를 개방할 때마다 해당 시간 및 횟수를 기록하고 해당 기록을 소방차의 출동과 연계시켜 상기 소방차의 출동이력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로그기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충격 이탈 복구형 도어로서, 도어 시트; 상기 도어 시트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 하고 상부에 드럼을 수용하여 상기 드럼을 통해 상승하게 되는 상기 도어 시트를 수용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도어 시트의 측면을 물고 있는 투쓰(tooth); 상기 투쓰를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하여 상기 투쓰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중앙 부위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결합홈 및 상기 투쓰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후면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투쓰의 억지끼움을 위해 PVC (Polyvinyl Chloride) 소재 기반의 집게 형상 사출물로 구성되고, 상기 집게 형상 사출물의 바깥 중앙부위의 체적을 상대적으로 20% 내지 25%까지 증가시켜 상기 집게 형상 사출물의 벌이지고 복원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는 탄성 가이드 레일; 상기 후면 결합홈을 통해 상기 탄성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고 결합돌기를 통해 상기 도어 프레임에 상기 탄성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는 고정결합부재; 상기 도어 프레임의 측면에 레일 형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면 결합홈을 통해 상기 탄성 가이드 레일을 상기 고정결합부재에 결합시키는 비탄성 가이드 레일; 상기 고정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비탄성 가이드 레일을 내부에 배치하는 지지용 찬넬; 및 상기 지지용 찬넬의 바깥에 배치되고 상기 비탄성 가이드 레일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비탄성 가이드 레일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층격흡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 상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축 회전하여 상기 투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도어 시트를 끌어올리는 스프라켓; 상기 모터의 구동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과 같은 방향으로 축 회전하여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도어 시트를 권취하여 수납하는 수납축;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 도입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시트의 끌어올림 과정에서 상기 투쓰의 이탈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투쓰를 상기 탄성 가이드 레일의 내부로 강제적으로 복구되도록 하는 복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UPS부와 연동하여 정전 시 상기 UPS부로부터 전원 공급받아 상기 도어 시트를 상승시켜 도어 열림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로그기록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간정보, 상기 도어를 통과한 소방차에 부여된 식별ID, 상기 소방차의 운행방향에 따른 소방차 출동 또는 복귀, 출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로그기록부는 상기 로그정보를 기초로 특정 기간 동안의 전체 출동 시간, 평균 출동 시간 및 출동 횟수를 계산하고 각 소방차마다 출동을 위한 도어 작동에서부터 복귀를 위한 도어 작동까지 소요된 시간으로 출동 시간을 구하여 각 소방차의 출동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로그기록부는 상기 로그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어부의 부품의 정량적 스펙에 따른 노후를 예측하여 부품별 교체 시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교체 시기를 알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는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이나 정전 등의 고장이 발생해도 도어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소방차 출동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는 도어를 PVC(Polyvinyl Chloride) 고무재질의 시트로 구성하고 도어 시트를 프레임 기구물로 잡아 주어 도어의 자유낙하로 인한 사고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는 소방차들의 차고 출입을 기록하여 소방차의 출동이력 및 도어 구성품들의 교체시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용 도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도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도어 시트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시트 이탈 복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드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의 정전시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용 도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방서 차고용 도어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단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110a),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110b), ??, 제n(여기서, n은 자연수) 사용자는 제n 사용자 단말(110n)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는 소방차(200)에 탑승하여 소방서 차고를 출입하는 소방관일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소방서 내에서 소방서 차고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의 작동을 관리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소방서 차고용 도어의 작동을 원격 조작하거나 도어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리모콘,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방소 차고용 도어의 원격 제어를 지원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는 소방서 차고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도어로 구현될 수 있다.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정전 혹은 비상시 도어를 개폐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도어가 개방될 때마다 시간 및 횟수를 로그기록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가 도어를 작동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는 도어부(210), UPS부(230), 로그기록부(250) 및 컨트롤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210)는 소방서 차고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차고의 내외부를 차단하며 고장이나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서도 소방차(200)의 출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부(210)는 외부 충격 시 이탈 및 복구가 가능한 복구형 도어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부(210)는 경량 소재의 시트로 도어를 구성하고 시트의 승강 및 하강 작동을 통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어부(210)는 이동중인 소방차나 강풍 등의 외부 충격 발생시 시트가 이탈된 후 자동 복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시트가 이탈되어 낙하되더라도 차량이나 사람에게 가하는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210)는 UPS부(230)와 연동하여 정전시 UPS부(2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도어를 개방시켜 소방차(200)의 출입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다.
UPS(Uninterrupted Power Supply)부(230)는 정전시 배터리에서 직류(SC)를 교류(AC)로 일정시간 공급되다가 전원이 공급되면 다시 대기(Stand-By) 상태로 배터리에 전원을 보충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UPS부(230)는 정전 시 특정 시간 작동하여 도어부(210)의 도어 개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로그기록부(250)는 도어부(210)가 도어를 개방할 때마다 해당 시간 및 횟수를 기록하고 해당 기록을 소방차의 출동과 연계시켜 소방차의 출동이력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그기록부(250)는 도어부(210)로부터 도어 열림신호가 수신되면 개방된 도어를 통과하는 소방차(200)에 부여된 식별ID 및 운행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소방차(200) 마다 식별ID가 부여될 수 있으며, 소방차(200)에 탑승한 소방관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도어 열림 요청시 해당 소방차의 식별ID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경우, 로그기록부(250)는 도어부(210)로부터 도어 열림신호가 수신될 때 도어 열림을 요청한 소방차 식별ID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그기록부(250)는 개방된 도어를 통과하는 소방차(200)에 장착된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통해 소방차 식별ID를 수신할 수도 있다.
로그기록부(250)는 도어가 개방된 시점의 현재 시간정보, 소방차 식별ID, 소방차 운행방향에 따른 소방차 출동 또는 복귀, 출동 횟수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로그기록부(250)는 기록된 로그정보를 기초로 특정 기간 동안의 전체 출동 시간, 평균 출동 시간 및 출동 횟수를 계산할 수 있고, 각 소방차 마다 언제 출동했고 몇회 출동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소방차(200) 마다 출동시간은 동일한 식별ID가 부여된 소방차(200)의 출동을 위한 도어의 작동에서부터 복귀를 위한 도어의 작동까지 소요된 시간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로그기록부(250)는 로그정보를 기초로 도어부(210)의 각종 부품의 노후를 예측하여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사전 점검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그기록부(250)는 도어부(210)의 부품의 정량적 스펙(부품 표준 수명)에 근거하여 부품의 노후도에 따른 부품별 교체 시기를 계산하여 계산된 교체 시기를 데이터베이스(150)에 등록하고 자동 알림을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미도시)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부(270)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도어부(210), UPS부(230) 및 로그기록부(250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도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있는 도어 시트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시트 이탈 복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있는 드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부(210)는 도어 시트(310)와 도어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시트(310)는 도어 프레임(320)의 상부에 설치된 드럼(340)의 회전과 대응되어 상승 또는 하강 동작하며, 도어 시트(310)의 상승에 의해 도어 개방이, 하강에 의해 도어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시트(310)는 고강력 직포를 사용하고 표면에 불소(PVDF), 아크릴, PU처리하여 뒤틀림이 없으며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 시트(310)는 난연 2중 직조물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시트(310)는 두께(㎜) 2T의 PVC(Polyvinyl Chloride) 소재 기반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 시트(310)는 고무재질로 되어 있어 쉽게 낙하되지 않으며 자유낙하되더라도 낙하 지점에 있는 소방차(200)나 소방관과의 충돌시 기존 금속재질의 판넬 도어에 비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20)은 도어 시트(310)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 하여 도어 시트(310)가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어 프레임(320)은 상부에 모터(330)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드럼(340)을 수용하며, 도어의 개방 시 드럼(340)을 통해 상승하게 되는 도어 시트(310)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프레임(320)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현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어 프레임(320)에는 센서(350)가 설치되어 도어 시트(310)가 닫히는 중에 차량 또는 사람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고 도어 시트(310)의 하강을 중단시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어 프레임(320)에는 스위치(360)가 설치되어 스위치(360)의 터치 조작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위치(360)는 근접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의 비접촉 모션 인식을 통해 도어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도어 시트(310)는 투쓰(tooth)(410)와 조립된 상태로, 열 용접 등을 통해 양 끝단에 투쓰(410)가 고정될 수 있다.
투쓰(410)는 도어 시트(310)의 측면을 물고 있으며 탄성 가이드 레일(420)에 결합되어 탄성 가이드 레일(420)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투쓰(410)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폴리우레탄수지, EVA(Ethylene-Vinyl Acetate),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가이드 레일(420)은 투쓰(410)와 조립된 도어 시트(310)의 이동통로로, 투쓰(410)와 결합되어 도어 시트(310)를 지지할 수 있다. 탄성 가이드 레일(420)은 투쓰(410)를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하여 투쓰(41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중앙 부위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결합홈(421) 및 투쓰(410)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후면 결합홈(423)을 포함한다.
탄성 가이드 레일(420)은 투쓰(4100의 억지끼움을 위해 PVC(Polyvinyl Chloride) 소재 기반의 집게 형상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집게 형성 사출물의 바깥 중앙부위의 체적을 타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20% 내지 25%까지 증가시켜 집게 형상 사출물이 벌어지고 복원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이 도어 시트(310)에 가해져 투쓰(410)가 이탈되었다가 복구될 때 탄성 가이드 레일(420)의 변경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가이드 레일(420)은 투쓰(410)를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하여 투쓰(410)와의 사이에 틈새가 없어 이물질이나 외부 공기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탄성 가이드 레일(420)은 고정결합부재(430)를 통해 도어 프레임(32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고정결합부재(430)는 후면 결합홈(423)을 통해 탄성 가이드 레일(420)을 결합하고 결합돌기를 통해 도어 프레임(320)에 탄성 가이드 레일(420)을 결합할 수 있다. 고정결합부재(430)는 비탄성 가이드 레일(440)을 통해 탄성 가이드 레일(420)과 결합될 수 있다.
비탄성 가이드 레일(440)은 도어 프레임(320)의 측면에 레일 형식으로 설치되고 측면 결합홈(421)을 통해 탄성 가이드 레일(420)을 고정결합부재(4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비탄성 가이드 레일(440)은 충격으로부터 탄성 가이드 레일(420)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탄성 가이드 레일(440)은 알루미늄(Al) 등의 비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 프레임(320)의 측면과 비탄성 가이드 레일(440) 사이에는 지지용 찬넬(450)이 개재되어 도어 프레임(320)에 설치되는 비탄성 가이드 레일(44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용 찬넬(450)은 C-자형 찬넬로, 고정결합부재(430)를 통해 결합되고 비탄성 가이드 레일(440)을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지지용 찬넬(450)의 바깥에는 충격흡수 스프링(460)이 배치될 수 있다.
충격흡수 스프링(460)은 지지용 찬넬(450)의 바깥에 배치되고 비탄성 가이드 레일(440)의 반대방향에서 비탄성 가이드 레일(440)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충격흡수 스프링(460)은 도어 시트(310)에 충격이 가해지면 수축이 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드럼(340)에는 도어 프레임(320)의 상부에 설치되고 투쓰(4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도어 시트(310)를 끌어올리는 스프라켓(510)을 포함한다.
스프라켓(510)은 구동축(520) 상에 장착되며 모터(33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축 회전할 수 있다. 스프라켓(510)은 투쓰(410)와 톱니처럼 맞물려 결합될 수 있고 회전하면, 투쓰(410)와 조립된 도어 시트(310)가 탄성 가이드 레일(420)을 따라 스프라켓(510)의 회전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스프라켓(510)에 의해 끌어올려진 도어 시트(310)는 수납축(530) 상에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다 열었을 경우에 도어 시트(310)가 상부 전등을 가리지 않게 되어 소방서 차고 내부가 어둡게 되지 않는다. 수납축(530)은 구동축(520)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축(520)과 같은 방향으로 축 회전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20)의 상부 도입 영역에는 복구 블록(540)이 설치될 수 있다. 복구 블록(540)은 도어 시트(310)의 끌어올림 과정에서 투쓰(410)의 이탈 여부에 관계없이 투쓰(410)를 탄성 가이드 레일(420)의 내부로 강제적으로 복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구 블록(540)은 회전 구동되는 투쓰(410)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게 투쓰(410)를 수용하는 관통홈을 구비하되, 투쓰(410)에 대한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관통홈이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거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구 블록(54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된다. 여기에서, 복구 블록(540)은 투쓰(410)가 이탈하더라도 도어 프레임(320)의 상부에서 투쓰(410)를 잡아주어 이탈을 제지할 뿐만 아니라 탄성 가이드 레일(420)로 투쓰(410)가 빠르게 복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차(200)의 출동시 도어 시트(310)와 충돌이 발생한 경우 도어 시트(310)가 밀리면서 탄성 가이드 레일(420)의 집게 형상 사출물이 벌어지게 되고 집게 형상 사물출에 억지끼움 결합된 투쓰(410)가 이탈되게 된다. 이때, 충격흡수 스프링(460)이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탈된 투쓰(410)는 도어 시트(310)의 끌어올림 과정에서 복구 블록(340)에 의해 탄성 가이드 레일(420)의 내부로 복구되며 다시 도어 시트(110)가 닫힐 때는 정상적으로 닫히고 계속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의 정전시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는 컨트롤부(270)를 통해 입력 전원의 상태를 체크하여 정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610). 컨트롤부(270)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도어 정상 구동에 필요한 전원의 입력여부를 체크하여 정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부(270)는 전원부로부터 AC220V 전압의 전원이 입력되면 정상으로, 그렇지 않으면 정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는 정전으로 판단되면, 정전 상황에서도 소방차(200)가 정상 출동할 수 있도록 UPS부(230)를 가동시켜 도어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최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단계 S620). 또한,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는 컨트롤부(270)를 통해 도어부(210)를 작동시켜 도어가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단계 S630). 도어부(210)는 UPS부(230)의 공급 전원으로 모터(330)를 작동하여 도어 시트(310)를 상부로 끌어올려 개방할 수 있다. 정전 상태에서는 도어 열림을 유지시켜 소방차(200)의 출동을 보장할 수 있다.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130)는 정상 상태 또는 정전 후 전원 복귀시에 사용자 단말(110)의 도어 개방 또는 닫힘 요청에 따라 도어부(210)를 정상 구동할 수 있다(단계 S64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소방서 차고용 도어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00: 소방차
210: 도어부 230: UPS부
250: 로그기록부 250: 컨트롤부
310: 도어 시트 320: 도어 프레임
330: 모터 340: 드럼
350: 센서 360: 스위치
410: 투쓰 420: 탄성 가이드 레일
421: 측면 결합홈 423: 후면 결합홈
430: 고정결합부재 440: 비탄성 가이드 레일
450: 지지용 찬넬 460: 충격흡수 스프링
510: 스프라켓 520: 구동축
530: 수납축 540: 복구 블록

Claims (7)

  1. 차고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충격 이탈 복구형 도어로 이루어지는 도어부;
    정전 시 상기 도어부의 도어 개방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UPS부; 및
    상기 도어부가 도어를 개방할 때마다 해당 시간 및 횟수를 기록하고 해당 기록을 소방차의 출동과 연계시켜 상기 소방차의 출동이력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로그기록부를 포함하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충격 이탈 복구형 도어로서,
    도어 시트;
    상기 도어 시트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 하고 상부에 드럼을 수용하여 상기 드럼을 통해 상승하게 되는 상기 도어 시트를 수용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도어 시트의 측면을 물고 있는 투쓰(tooth);
    상기 투쓰를 내부에 억지끼움 결합하여 상기 투쓰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중앙 부위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결합홈 및 상기 투쓰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후면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투쓰의 억지끼움을 위해 PVC (Polyvinyl Chloride) 소재 기반의 집게 형상 사출물로 구성되고, 상기 집게 형상 사출물의 바깥 중앙부위의 체적을 상대적으로 20% 내지 25%까지 증가시켜 상기 집게 형상 사출물의 벌이지고 복원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는 탄성 가이드 레일;
    상기 후면 결합홈을 통해 상기 탄성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고 결합돌기를 통해 상기 도어 프레임에 상기 탄성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는 고정결합부재;
    상기 도어 프레임의 측면에 레일 형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면 결합홈을 통해 상기 탄성 가이드 레일을 상기 고정결합부재에 결합시키는 비탄성 가이드 레일;
    상기 고정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비탄성 가이드 레일을 내부에 배치하는 지지용 찬넬; 및
    상기 지지용 찬넬의 바깥에 배치되고 상기 비탄성 가이드 레일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비탄성 가이드 레일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층격흡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 상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축 회전하여 상기 투쓰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도어 시트를 끌어올리는 스프라켓;
    상기 모터의 구동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과 같은 방향으로 축 회전하여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도어 시트를 권취하여 수납하는 수납축;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 도입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시트의 끌어올림 과정에서 상기 투쓰의 이탈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투쓰를 상기 탄성 가이드 레일의 내부로 강제적으로 복구되도록 하는 복구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UPS부와 연동하여 정전 시 상기 UPS부로부터 전원 공급받아 상기 도어 시트를 상승시켜 도어 열림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기록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시간정보, 상기 도어를 통과한 소방차에 부여된 식별ID, 상기 소방차의 운행방향에 따른 소방차 출동 또는 복귀, 출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기록부는
    상기 로그정보를 기초로 특정 기간 동안의 전체 출동 시간, 평균 출동 시간 및 출동 횟수를 계산하고 각 소방차마다 출동을 위한 도어 작동에서부터 복귀를 위한 도어 작동까지 소요된 시간으로 출동 시간을 구하여 각 소방차의 출동 이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기록부는
    상기 로그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어부의 부품의 정량적 스펙에 따른 노후를 예측하여 부품별 교체 시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교체 시기를 알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KR1020220054138A 2022-05-02 2022-05-02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KR20230154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138A KR20230154567A (ko) 2022-05-02 2022-05-02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138A KR20230154567A (ko) 2022-05-02 2022-05-02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567A true KR20230154567A (ko) 2023-11-09

Family

ID=8874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138A KR20230154567A (ko) 2022-05-02 2022-05-02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456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635Y1 (ko) 2004-06-04 2004-08-21 김영배 나열식 셔터
KR100471349B1 (ko) 2002-05-06 2005-03-08 주식회사 하나기공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349B1 (ko) 2002-05-06 2005-03-08 주식회사 하나기공 오버헤드 도어 시스템
KR200359635Y1 (ko) 2004-06-04 2004-08-21 김영배 나열식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1407B (zh) 可马达操作且可竖向移动的门
JP6401227B2 (ja) 開閉装置
BR112015025717B1 (pt) Sistemas e métodos para reter e realimentar cortinas de porta
JP2008169009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230154567A (ko) 소방서 차고용 도어 장치
JP6349370B2 (ja) 開閉装置の開閉体停止装置
JP5034555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4495556B (zh) 一种电梯误开门防坠报警装置
CN204369349U (zh) 一种电梯误开门防坠报警装置
CN212269132U (zh) 一种电梯的智能防扒装置
JP6039169B2 (ja) 開閉装置の開閉体停止装置
JP7396822B2 (ja) 開閉体装置及び開閉体制御方法
CN110214122B (zh) 电梯故障的远程恢复系统及电梯故障的恢复系统
CN117068900A (zh) 一种具有安全防护功能的电梯系统及应用
KR101850348B1 (ko) 나선형 롤링 도어
CN215974501U (zh) 一种防电瓶车进入电梯挡车装置
CN211777117U (zh) 一种卷帘门储电电机遇阻反弹装置
JP435372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制御装置
JP6087194B2 (ja) 開閉体装置
CN220537272U (zh) 一种电梯层门安全保护结构
KR100736444B1 (ko) 자동 복원이 가능한 스피드 도어
CN111094163A (zh) 电梯系统
CN107630652A (zh) 一种新型硬质涡轮快速门
JP2003138871A (ja) 閉鎖装置
JP2618628B2 (ja) 安全シヤツ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