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550A - 퓨즈 - Google Patents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550A
KR20230152550A KR1020227036147A KR20227036147A KR20230152550A KR 20230152550 A KR20230152550 A KR 20230152550A KR 1020227036147 A KR1020227036147 A KR 1020227036147A KR 20227036147 A KR20227036147 A KR 20227036147A KR 20230152550 A KR20230152550 A KR 20230152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fuse
contact
case memb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카즈 쿠와하라
유키 코미야마
Original Assignee
에스오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오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스오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15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5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01H85/175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composit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01H85/10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with constriction for localised f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8Casing fillings, e.g.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4Surface mounted fuses

Abstract

퓨즈(1)는, 바닥부와 측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부재(10); 케이스부재(10)의 상부 개구를 막고 케이스부재와 밀착되어 있는 덮개부재(20); 공간에 배치된 가용체(30); 가용체(30)의 양단부와 접속되는 한쌍의 단자(40, 5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재(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측벽(12)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17)와, 측벽(12)에 대향하는 측벽(13)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18)를 갖는다. 커버부재(20)는 측벽(12)과 접촉하는 접촉벽(22)에 형성되고, 복수의 결합돌기(17) 각각에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오목부(27)와, 측벽(13)과 접촉하는 접촉벽(23)에 형성되고 복수의 결합돌기(18) 각각에 끼워진 복수의 결합오목부(28)를 갖는다.

Description

퓨즈
본 발명은 퓨즈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과전류의 유입에 의해 회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퓨즈가 이용되고 있다. 퓨즈는 가용(可溶)체를 가지고 있어, 퓨즈가 실장된 회로에 비정상적인 전류가 흐를 경우에 가용체가 용융 절단되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회로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가용체는 케이스부재와 덮개부재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간의 기압이 높아지면 덮개부재가 케이스부재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덮개부재와 케이스부재가 열용착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특허 제5782196호 공보
그러나 덮개부재와 케이스부재를 열용착시키는 경우에는 퓨즈의 제조공정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퓨즈의 차단성능을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퓨즈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차단 성능 및 조립성을 모두 만족하는 퓨즈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 및 측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 개구를 막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재와 밀착되어 있는 덮개부재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가용체와, 상기 가용체의 양단부와 접속되어 있는 한쌍의 단자로서, 선단측이 외부에 노출된 한쌍의 단자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스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1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기와, 상기 제1측벽에 대향하는 제2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1측벽에 접촉하고 있는 제1접촉벽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돌기 각각과 끼워져 있는 복수의 제1오목부와, 상기 제2측벽에 접촉하고 있는 제2접촉벽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돌기 각각 끼워져 있는 복수의 제2오목부를 갖는 퓨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접촉벽은 상기 제1측벽 전체를 덮으면서 상기 제1측벽에 면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제2접촉벽은 상기 제2측벽 전체를 덮으면서 상기 제2측벽에 면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측벽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측와 상기 바닥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2측벽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측과 상기 바닥부측에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오목부는 상기 제1접촉벽을 관통하고 있는 관통공부이고, 상기 제2오목부는 상기 제2접촉벽을 관통하고 있는 관통공부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높이가 높게 되어 있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2돌기는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높이가 높게 되어 있는 경사부를 갖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재는 페놀 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재는 페놀 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접촉벽 및 상기 제2접촉벽은 상기 덮개부재의 상기 상부 개구를 막고 있는 평판부로부터 구부러진 벽이며,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측벽과 직교하고 있는 제3측벽 및 제4측벽을 가지며, 상기 단자는 상기 제3측벽 및 상기 제4측벽의 상면과 상기 평판부에 끼워져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공간 내의 상기 가용체(可溶) 주위에 소호제(消弧)가 설치되고, 상기 평판부에 있어서 상기 제3측벽 및 상기 제4측벽에서 상기 단자를 끼우는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공간 내의 상기 가용체 주위에 소호제가 설치되어 상기 평판부와 상기 제3측벽 및 상기 제4측벽 사이에 설치된 필름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가용체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협소부를 가지며, 상기 가용체의 상기 협소부 이외의 부분에 절연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가용체 및 상기 단자는 일체로 성형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 성능 및 조립성을 모두 만족하는 퓨즈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퓨즈(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퓨즈(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퓨즈(1)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4는 케이스부재(1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케이스부재(1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덮개부재(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덮게부재(20)를 케이스부재(10)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케이스부재(10) 및 덮개부재(20)를 이루는 수지와 조립성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케이스부재(10) 및 덮개부재(20)를 이루는 수지와 차단성능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퓨즈(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퓨즈(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4실시예에 다른 퓨즈(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실시예>
(퓨즈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퓨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퓨즈(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퓨즈(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퓨즈(1)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퓨즈(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퓨즈(1)가 위아래로 뒤집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퓨즈(1)는 전자기기 등의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회로에 비정상적인 전류가 흐를 때 용단(녹아서 끊어짐)한다. 퓨즈(1)는 소형의 퓨즈이며, 일례로서, 퓨즈(1)의 높이가 11㎜, 폭이 11㎜, 길이가 40㎜ 이하이다. 또한, 퓨즈(1)의 정격 전압은 DC 500V이고, 정격 전류는 50A 이하이다. 퓨즈(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 덮개부재(20), 가용체(30) 및 한쌍의 단자(40, 50)를 갖는다.
케이스부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부재(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10a)이 형성되고, 공간(10a)에는 가용체(30)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부재(10)는 수지제이며, 구체적으로는 페놀 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다.
도 4는 케이스부재(1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케이스부재(10)의 측면도이다.
케이스부재(10)는 바닥부(11), 4개의 측벽(12, 13, 14, 15), 핀부(16), 결합돌기(17, 18) 및 각오목부(角凹部, 19)를 갖는다. 측벽(12)은 제1 측벽에 해당하고, 측벽(13)은 제2 측벽에 해당하고, 측벽(14)은 제3 측벽에 해당하고, 측벽(15)은 제4 측벽에 해당한다. 또한, 결합돌기(17)가 제1 돌기에 해당하고, 결합돌기(18)는 제2 돌기에 해당한다.
바닥부(1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12, 13, 14, 15)은 바닥부(11)의 네 변으로부터 세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벽(12, 13, 14, 15) 및 바닥부(11)는 공간(10a)을 둘러싸고 있다.
측벽(12, 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의 길이(긴 변) 방향을 따른 벽이다. 측벽(13)은 측벽(12)에 대향한다. 측벽(12)의 상면(12a, 도 4)과 측벽(13)의 상면(13a, 도 4)은 덮개부재(20)와 접촉하고 있다.
측벽(14, 15)은 케이스부재(10)의 단수(短手, 짧은 변) 방향을 따르는 벽이다. 즉, 측벽(14, 15)은 측벽(12, 13)과 직교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14)의 상면(14a)은 단자(40)와 접촉하고, 측벽(15)의 상면(15a)은 단자(50)와 접촉하고 있다. 상면(14a) 및 상면(15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측벽(12)의 상면(12a) 및 측벽(13)의 상면(13a)보다도 단자(40, 50)의 두께만큼 낮아져 있다.
핀부(16)는, 측벽(14)의 상면(14a)과 측벽(15)의 상면(15a)에 설치되어 있다. 핀부(16)는 상면(14a, 15a)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핀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부(16)는, 단자(40, 50)를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덮개부재(20)의 오목부(24)와 끼워 맞춰진다.
결합돌기(17)는 케이스부재(10)가 덮개부재(20)에 밀착되도록 덮개부재(20)와 결합하는 돌기이다. 결합돌기(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2)에 복수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돌기(17)는, 측벽(12)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양단측 및 바닥부(11) 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돌기(17)는 길이 방향의 중앙 및 바닥부(11) 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돌기(17)는 측벽(12)에 3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7a)를 갖는다. 경사부(17a)는 바닥부(11)를 향해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경사부(17a)를 설치함으로써, 덮개부재(20)를 케이스부재(10)에 부착할 때에, 덮개부재(20)의 측벽이 경사부(17a)를 따라 휘어짐(넓어짐)으로써, 결합돌기(17)를 극복하기(타고넘기) 용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부재(10)에 밀착하는 덮개부재(20)를 부착하기 쉬워진다.
결합돌기(18)는, 결합돌기(17)와 마찬가지로, 케이스부재(10)를 덮개부재(20)에 밀착시키도록, 덮개부재(20)와 맞물리는 돌기이다. 결합돌기(1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12)에 대향하는 측벽(13)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돌기(18)는, 측벽(13)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양단측 및 바닥부(11) 측에 형성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돌기(18)는 길이 방향의 중앙 및 바닥부(11) 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돌기(18)는 측벽(13)에 3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8a)를 갖는다. 경사부(18a)는 바닥부(11)를 향해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경사부(18a)를 설치함으로써, 덮개부재(20)를 케이스부재(10)에 부착할 때에, 덮개부재(20)의 측벽이 경사부(18a)를 따라 휘어짐(넓어짐)으로써, 결합돌기(18)를 극복하기 용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케이스부재(10)에 밀착하는 덮개부재(20)를 부착하기 쉬워진다.
각오목부(19)는 케이스부재(10)의 4개의 모서리를 오목하게 만든 부분이다. 즉, 각오목부(1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측벽(12, 13, 14, 15)의 모서리를 오목하게 만든 부분이다. 각오목부(19)는 케이스부재(10)에 대하여 덮개부재(20)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덮개부재(20)는, 케이스부재(10)에 대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케이스부재(1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덮개부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의 상부 개구를 막는다. 또한, 덮개부재(20)는 케이스부재(10)와 밀착되어 있다. 덮개부재(20)는 수지제이며, 구체적으로는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부재(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부(21)와, 2개의 접촉벽(22, 23), 오목부(24), 규제부(規制部, 25, 26) 및 결합오목부(27, 28)를 갖는다. 접촉벽(22)은 제1 접촉벽에 대응하고, 접촉벽(23)은 제2 접촉벽에 대응하고, 결합오목부(27)는 제1 오목부에 대응하고, 결합오목부(28)는 제2 오목부에 대응한다.
도 6은 덮개부재(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판부(21)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케이스부재(10)의 상부 개구를 막는다. 평판부(21)가 케이스부재(10)의 상부 개구를 막음으로써, 공간(10a)은 밀폐 공간이 된다. 평판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10a) 내의 가용체(30)와 소정 간격만큼 떨어져 있다. 또한, 평판부(21)의 양단부는, 케이스부재(10)와 함께, 단자(40, 50)를 지지하고 있다.
접촉벽(22)은, 평판부(21)로부터 구부러진 벽이며, 케이스부재(10)의 측벽(12)과 접촉하고 있다. 접촉벽(22)은 측벽(12)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측벽(12) 전체를 덮고 있다(도 1 참조). 접촉벽(22)은 측벽(12) 전체에 면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벽(22)은 측벽(12)과 밀착된다.
접촉벽(23)은 평판부(21)로부터 구부러진 벽이며, 케이스부재(10)의 측벽(13)과 접촉하고 있다. 접촉벽(23)은 측벽(13)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측벽(13) 전체를 덮고 있다(도 1 참조). 접촉벽(23)은 측벽(13) 전체에 면접촉 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벽(23)은 측벽(13)과 밀착된다.
오목부(24)는 평판부(21)의 길이 방향의 양단 측에 2 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오목부(24)는, 케이스부재(10)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핀부(16)와 끼움결합되어 있다. 오목부(24)와 핀부(16)가 끼워지면, 덮개부재(20)가 케이스부재(1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규제부(25, 26)는 덮개부재(20)를 케이스부재(10)에 부착할 때 덮개부재(20)의 위치를 규제하는 부분이다. 즉, 규제부(25, 26)가 케이스부재(10)의 각 오목부(19)에 걸림으로써, 부착 시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다. 규제부(25)는 접촉벽(22, 23)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과 접속된 벽이고, 규제부(26)는 접촉벽(22, 23)의 종 방향의 타 단 측과 접속된 벽이다.
결합오목부(27, 2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의 결합돌기(17, 18)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7)는 결합오목부(27)에 고정되고, 결합돌기(18)는 결합오목부(28)에 고정된다. 결합오목부(27, 28)가 결합돌기(17, 18)와 결합함으로써, 공간(10a)의 기압이 상승하더라도 결합돌기(17, 18)가 결합오목부(27, 28)에 걸린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덮개부재(20)가 케이스부재(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오목부(2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벽(22)에 형성된다. 결합오목부(27)의 수는 결합돌기(17)의 수와 동일하며, 여기서는 2개이다. 2개의 결합오목부(27)는 2개의 결합돌기(17) 각각과 맞물린다. 2 개의 결합오목부(27)는 접촉벽(22)의 4 개의 모서리 중 평판부(21)로부터 떨어진 2 개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결합오목부(27)는 접촉벽(22)을 관통하는 관통공부(貫通孔部)이다. 구체적으로, 결합오목부(27)는 직사각형의 관통공을 갖는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오목부(27)는, 결합돌기(17)와 맞물릴 수 있으면, 오목부를 가질 수도 있다.
결합오목부(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벽(23)에 형성된다. 결합오목부(28)의 수는 결합돌기(18)의 수와 동일하며, 여기서는 2개이다. 2개의 결합오목부(28)는 2개의 결합돌기(18) 각각과 맞물린다. 2 개의 결합오목부(28)는 접촉벽(23)의 4 개의 모서리 중 평판부(21)로부터 떨어진 2 개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결합오목부(28)는 접촉벽(23)을 관통하는 관통공부이다. 구체적으로, 결합오목부(28)는 직사각형의 관통공을 갖는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오목부(28)는, 결합돌기(18)와 맞물릴 수 있으면, 오목부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덮개부재(20)를 케이스부재(10)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용체(可溶체, 30) 및 단자(40, 50)이 생략되어 있다. 여기서, 덮개부재(20)는 도 7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스부재(10)에 부착된다고 가정한다. 커버부재(20)가 케이스부재(10)에 부착될 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0)의 접촉벽(22, 23)의 선단부는 케이스부재(10)의 결합돌기(17, 18)와 접촉한다. 덮개부재(20)가 케이스부재(10)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접촉벽(22, 23)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면서 경사부(17a, 18a)에 올라간다. 또한, 덮개부재(20)가 이동하면, 결합돌기(17, 18)가 결합오목부(27, 28)와 맞물린다. 이에 의해, 덮개부재(20)가 케이스부재(10)에 밀착되도록 부착된다.
가용체(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형상의 퓨즈 엘리먼트이다. 가용체(30)는 케이스부재(10)의 공간(10a)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용체(30)는 단자(40, 50)에 의해 공간(10a)에 가공 지지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가용체(30)의 두께는 단자(40, 50)의 두께보다 작다.
가용체(30)는 단자(40, 50)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용체(3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32)는 단자(40)에 접속되고, 가용체(30)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34)는 단자(50)에 접속되어 있다. 가용체(30)는 여기에서는 단자(40, 50)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에 의해, 가용체(30)와 단자(40, 50)를 접합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져서 접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저항이 없기 때문에, 퓨즈(1)의 저항값이 안정된다.
가용체(3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36)가 설치되어 있다. 구멍부(36)는 여기에서 긴 구멍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멍부(36)는 원형일 수 있다.
단자(40, 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용체(30)의 양측에 위치한다. 단자(40, 50)는, 가용체(30)의 양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한쌍의 단자이다. 단자(40, 50)는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외부 단자이다. 단자(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의 측벽(14)의 상면(14a)과 덮개부재(20)의 평판부(21) 사이에 끼워져 있다. 단자(50)는 케이스부재(10)의 측벽(15)의 상면(15a)과 덮개부재(20)의 평판부(21) 사이에 끼워져 있다.
단자(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져 단차(段差) 형상을 가지며, 접속부(42), 갈래부(44), 피협지부(被挾持部, 46) 및 관통공(48)을 갖는다. 접속부(42)는, 단자(40)의 일단측에 위치하고, 가용체(3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32)와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다. 갈래부(44)는 단자(40)의 타단 측(선단 측)을 두갈래로 분할한 부분이다. 갈래부(44)는 케이스부재(10)로부터 노출되어 회로기판에 접속된다. 피협지부(46)는 단자(40)의 중앙 측에 위치하고, 케이스부재(10)와 덮개부재(20) 사이에 끼워진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협지부(46)는 측벽(14)의 상면(14a)과 평판부(21) 사이에 끼워져 있다. 관통공(4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의 핀부(16)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핀부(16)가 관통공(48)을 삽입함으로써, 단자(40)에 연결된 가용체(30)가 케이스부재(10)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단자(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40)와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속부(52), 가랑이부(54), 피협지부(56) 및 관통공(58)을 갖는다. 접속부(52)는, 단자(50)의 일단 측에 위치하고, 가용체(30)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34)와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다. 갈래부(54)는 단자(50)의 타단 측(선단 측)을 2개의 다리로 분할한 부분이다. 갈래부(54)는 케이스부재(10)로부터 노출되어 회로기판에 접속된다. 피협지부(56)는 단자(50)의 중앙 측에 위치하고, 케이스부재(10)와 덮개부재(20) 사이에 끼워진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협지부(56)는 측벽(15)의 상면(15a)과 평판부(21)에 끼워져 있다. 관통공(5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의 핀부(16)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핀부(16)가 관통공(58)을 삽입함으로써, 단자(50)에 연결된 가용체(30)가 케이스부재(10)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케이스부재 및 덮개부재의 수지 재료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는 페놀 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고, 덮개부재(20)는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지의 선정은 이하에 설명하는 평가 결과에 기초한다.
도 8은 케이스부재(10) 및 덮개부재(20)를 이루는 수지와의 조립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케이스부재(10) 및 덮개부재(20)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가, LCP(Liquid Crystal Polymer) 수지, PPS(Poly Phenylene Sulfide) 수지, 페놀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경우의 조립성을 평가하고 있다.
케이스부재(10)의 검토품 A1은 LC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검토품 A2는 PPS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검토품 A3은 페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검토품 A4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덮개부재(20)의 검토품 B1은 LC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검토품 B2는 PPS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검토품 B3은 페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검토품 B4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에 대해서는, LCP 수지, PPS 수지, 페놀 수지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모든 경우에서 조립성이 좋다. 한편, 덮개부재(20)에 대해서는, LCP 수지, PPS 수지, 페놀 수지의 경우에는 조립성은 좋지만,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에는 조립성이 나쁘다. 이것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에는, 단단한 재질이기 때문에,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20)의 접촉벽(22, 23)을 확장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한편, LCP 수지, PPS 수지, 페놀 수지의 경우에는, 인성을 갖기 때문에, 덮개부재(20)를 확장하기 쉽다.
도 9는 케이스부재(10) 및 덮개부재(20)를 이루는 수지와 차단 성능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케이스부재(10)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가, LCP 수지, PPS 수지, 페놀 수지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덮개부재(20)의 주성분이 되는 수지가, LCP 수지, PPS 수지 및 페놀 수지로 된 경우의 차단 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검토품 A1∼A4 및 검토품 B1∼B3은, 도 8에 나타내는 검토품 A1∼A4 및 검토품 B1∼B3과 동일한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0)가 페놀 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덮개부재(20)가 페놀 수지인 경우에는, 가용체(30)의 차단 성능이 좋다. 한편, 케이스부재(10) 및 덮개부재(20)의 수지가 다른 조합인 경우에는, 가용체(30)의 차단 성능이 나쁘다.
이상으로부터, 결합돌기(17, 18)와 결합오목부(27, 28)가 결합하는 케이스부재(10) 및 덮개부재(20)에 있어서는, 조립성과 차단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 케이스부재(10)가 페놀 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덮개부재(20)가 페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가용체(30)가 단자(40, 5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 서술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용체(30)는 단자(40, 50)에 용접(예를 들어, 스폿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즉, 가용체(30)의 일단부(32)와 단자(40)의 접속부(42)가 용접되고, 가용체(30)의 타단부(34)와 단자(50)의 접속부(52)가 용접된다. 용접 대신에 납땜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효과)
제1 실시예의 퓨즈(1)에 있어서, 케이스부재(10)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측벽(12)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17)와, 측벽(12)에 대향하는 측벽(13)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출부(18)를 갖는다. 또한, 케이스부재(10)에 밀착하는 덮개부재(20)는, 측벽(12)과 접촉하고 있는 접촉벽(22)에 형성되고, 복수의 결합돌기(17) 각각과 끼워져 있는 복수의 결합오목부(27)와, 측벽(13)과 접촉하는 접촉벽(23)에 형성되고, 복수의 결합돌기(18) 각각에 끼워진 복수의 결합오목부(28)를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간(10a)의 기압이 상승해도, 측벽(12, 13)에 형성된 결합돌기(17, 18)와, 측벽(12, 13)과 접촉하는 접촉벽(22, 23)에 형성된 결합오목부(27, 28)가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부재(20)가 케이스부재(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간(10a)이 밀폐 공간이 되기 때문에, 가용체(30)의 차단 성능도 만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퓨즈(1)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퓨즈(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10a) 내의 가용체(30) 주위에 소호제(消弧劑, 60)가 제공된다. 소호제(60)는, 예를 들면 모래이다. 소호제(60)를 설치함으로써, 아크 방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공간(10a)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덮개부재(20)의 평판부(2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접착제(65)가 도포된다. 접착제(65)는 평판부(21)의 측벽(14, 구체적으로는 상면(14a))과 단자(40, 구체적으로는 피협지부(46))를 끼우는 부분에 도포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65)는 평판부(21)의 측벽(15, 구체적으로는 상면(15a))과 단자(50, 구체적으로는 피협지부(56))를 끼우는 부분에 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65)를 도포함으로써, 소호제(6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퓨즈(1)에 있어서, 전술한 소호제(60) 및 접착제(65)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퓨즈(1)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퓨즈(1)에 의해서도 덮개부재(20)가 케이스부재(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 따른 퓨즈(1)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퓨즈(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서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10a) 내의 가용체(30)의 주위에 소호제(60)가 설치되어 있다. 소호제(60)는, 예를 들면 모래이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공간(10a)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 덮개부재(20)의 평판부(2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필름부재(68)가 설치되어 있다. 필름부재(68)는 평판부(21)와 측벽(14) 및 측벽(1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필름부재(68)를 설치함으로써, 소호제(60)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필름부재(68)는, 평판부(21)와 동일한 넓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름부재(68)는 평판부(21)에서 2개의 오목부(24) 주위에만 제공될 수 있다. 즉, 측벽(14)과 평판부(21) 사이의 부분, 및 측벽(15)과 평판부(21) 사이의 부분에만 필름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3 실시예의 퓨즈(1)에 있어서, 전술한 소호제(60) 및 접착제(65)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퓨즈(1)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퓨즈(1)에 의해서도 덮개부재(20)가 케이스부재(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 따른 퓨즈(1)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퓨즈(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가용체(30)에 절연성의 접착제(70)가 도포되어 있는 점에서,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는 다르다.
직사각형 형상의 가용체(3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소부(38)를 갖는다. 협소부(38)는 여기서 가용체(30)의 짧은 방향으로 구멍부(36)의 양측 부분이다. 구멍부(36)가 가용체(3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협소부(38)도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협소부(38)의 폭은 가용체(30)에서 인접한 구멍부(36) 사이 부분의 폭보다 작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는, 가용체(30)의 복수의 개소에 절연성의 접착제(70)가 도포되어 있다. 접착제(70)는 가용체(30)의 협소부(38) 이외의 부분에 도포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70)는, 가용체(30)에 있어서 인접하는 구멍부(36) 사이 부분(도 12에서 빗금친 영역)에 도포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70)가 도포되는 부분은, 도 12에서 빗금친 영역 중 일부의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도 12에서는, 접착제(70)가 가용체(30)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용체(30)의 하면에도 도포되어도 된다. 가용체(30)에 절연성 접착제(70)를 도포함으로써, 가용체(30)의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협소부(38)는, 가용체(30)에 구멍부(36)가 있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용체(30)의 짧은 방향의 양단부에 노치부(notch portion)를 설치함으로써 협소부(38)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협소부(38)는 가용체(30)의 가로 방향의 중앙측에 위치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구멍부(36)는 가용체(30)의 짧은 방향으로 하나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멍부(36)는 가용체(30)의 짧은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협소부(38)는 짧은 방향으로 3 개 이상 형성된다.
제4 실시예의 퓨즈(1)에서, 전술한 접착제(70) 이외의 구성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퓨즈(1)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4 실시예의 퓨즈(1)에 의해서도 덮개부재(20)가 케이스부재(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가용체(30)에 협소부(38)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용체(30)에 협소부(38)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가용체(30)에 대해서도 접착제(70)를 도포함으로써, 가용체(30)의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기재된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되고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시형태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생기는 새로운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새로운 실시예의 효과는 원래의 실시예의 효과를 겸비한다.
1: 퓨즈
10: 케이스부재
10a: 공간
12, 13: 측벽
17, 18: 결합돌기
17a, 18a: 경사부
20: 덮개부재
22, 23: 접촉벽
27, 28: 결합오목부
30: 가용체
38: 협소부
40, 50: 단자
60: 소호제
65: 접착제
68: 필름부재
70: 접착제

Claims (11)

  1. 바닥부 및 측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 개구를 막고 상기 케이스부재와 밀착되어 있는 덮개부재;
    상기 공간에 배치된 가용체; 및
    상기 가용체의 양단부와 접속되어 있는 한쌍의 단자로서, 선단측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한쌍의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1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 측벽에 대향하는 제2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돌기를 갖고,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제1 측벽과 접촉하는 제1 접촉벽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기 각각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측벽과 접촉하고 있는 제2 접촉벽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각각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퓨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벽은 상기 제1 측벽의 전체를 덮으면서 상기 제1 측벽과 면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2 접촉벽은, 상기 제2 측벽의 전체를 덮으면서 상기 제2 측벽과 면접촉하고 있는 퓨즈.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측벽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측 및 상기 바닥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측벽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측 및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퓨즈.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접촉벽을 관통하는 관통공부이며,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2 접촉벽을 관통하는 관통공부인 퓨즈.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바닥부를 향해 높이가 높아진 경사부를 갖고,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바닥부를 향해 높이가 높아진 경사부를 가지는 퓨즈.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페놀 수지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재는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퓨즈.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벽 및 상기 제2 접촉벽은, 상기 덮개부재의, 상기 상부 개구를 막고 있는 평판부로부터 구부러진 벽이며,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과 직교하고 있는 제3 측벽 및 제4 측벽을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의 상면과, 상기 평판부 사이에 끼워져 있는 퓨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의 상기 가용체의 주위에 소호제가 설치되고,
    상기 평판부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에서 상기 단자를 끼우는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퓨즈.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의 상기 가용체의 주위에 소호제가 설치되고,
    상기 평판부와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 사이에 마련된 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퓨즈.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체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협소부를 갖고,
    상기 가용체의 상기 협소부 이외의 부분에 절연성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퓨즈.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체 및 상기 단자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퓨즈.
KR1020227036147A 2021-03-05 2021-03-05 퓨즈 KR202301525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08699 WO2022185532A1 (ja) 2021-03-05 2021-03-05 ヒュー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550A true KR20230152550A (ko) 2023-11-03

Family

ID=8081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147A KR20230152550A (ko) 2021-03-05 2021-03-05 퓨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97062A1 (ko)
EP (1) EP4148764A4 (ko)
JP (1) JP7016570B1 (ko)
KR (1) KR20230152550A (ko)
CN (1) CN115315772A (ko)
WO (1) WO2022185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30791A1 (en) * 2022-01-18 2023-07-20 Littelfuse, Inc. Fuse desig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170U (ja) * 1984-07-12 1986-02-10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タンド形ヒユ−ズ
JPH01164647U (ko) * 1987-11-30 1989-11-16
US4894633A (en) * 1988-12-12 1990-01-16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Fuse Apparatus
JP2573544Y2 (ja) * 1993-10-29 1998-06-04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729807U (ja) * 1993-10-29 1995-06-02 三洋電機株式会社 正特性サーミスタ装置
JP3722380B2 (ja) * 1995-12-01 2005-11-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ユージブルリンク用ハウジングカバー
JP2001093399A (ja) * 1999-09-28 2001-04-06 Taiheiyo Seiko Kk マルチスローブローヒューズ
JP2003281986A (ja) * 2002-03-26 2003-10-03 Anzen Dengu Kk 温度ヒューズ
US8242874B2 (en) * 2005-08-23 2012-08-1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9196445B2 (en) * 2011-07-05 2015-11-2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lectric fuse with torque restricting terminals
WO2013063037A1 (en) 2011-10-27 2013-05-02 Littelfuse, Inc. Fuse with insulated plugs
US20130342305A1 (en) * 2012-06-25 2013-12-26 Jui-Chih Yen Structure of positioning cover of miniature fuse device
JP6309804B2 (ja) * 2014-03-28 2018-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6295784B2 (ja) * 2014-03-31 2018-03-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102133236B1 (ko) * 2016-03-25 2020-07-13 수조우 리텔퓨즈 오브이에스 컴퍼니 리미티드 솔더리스 표면 실장 퓨즈
US10192707B2 (en) * 2016-05-23 2019-01-29 Yue-Zhi Lin Fuse assembly with replaceable casing
JP7002955B2 (ja) * 2017-02-28 2022-01-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JP6716516B2 (ja) * 2017-09-07 2020-07-01 Littelfuseジャパン合同会社 保護素子
CN112992626A (zh) * 2021-01-18 2021-06-18 西安中熔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弹跳式熔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8764A1 (en) 2023-03-15
JPWO2022185532A1 (ko) 2022-09-09
JP7016570B1 (ja) 2022-02-07
EP4148764A4 (en) 2023-07-26
CN115315772A (zh) 2022-11-08
WO2022185532A1 (ja) 2022-09-09
US20230097062A1 (en)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3753B2 (en) Fuse
JP6537619B2 (ja) 内蔵式アーク・クエンチャーを備えたエア・スプリット・ヒューズにおけるワイヤ
TWI682418B (zh) 表面黏著保險絲及其製造方法
JP4348224B2 (ja) 電気接続箱
JP2019533892A (ja) 通気式ヒューズハウジング
CN212622762U (zh) 无源电流传感器及用于该无源电流传感器的组件
JPH0648149U (ja) 遅断ヒューズ
KR20230152550A (ko) 퓨즈
US20190025349A1 (en) Current detection device
US20230197392A1 (en) Protective element
US20210407757A1 (en) Fuse
KR101549707B1 (ko) 레이디얼 퓨즈 베이스 및 조립체
US20150102895A1 (en) Fuse, fuse box, and fuse device
KR102098704B1 (ko) 퓨즈
KR20050058521A (ko) 통전 단자 및 통전 단자용 어댑터
US20230230792A1 (en) Fu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use
JP6871230B2 (ja) 電気接続箱
JP7353654B2 (ja) 縦置きヒューズ及び縦置きヒューズ装置
CN218771296U (zh) 浪涌保护器
WO2024042813A1 (ja) ヒューズ
JP2018022639A (ja) ヒューズ
KR20230160448A (ko) 고전압 퓨즈
JPH09293446A (ja) ヒューズ装置
KR20180006117A (ko) 퓨즈
JPH03155018A (ja) 可溶遮断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