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122A - 하우징, 배터리, 및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하우징, 배터리, 및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122A
KR20230152122A KR1020237033282A KR20237033282A KR20230152122A KR 20230152122 A KR20230152122 A KR 20230152122A KR 1020237033282 A KR1020237033282 A KR 1020237033282A KR 20237033282 A KR20237033282 A KR 20237033282A KR 20230152122 A KR20230152122 A KR 20230152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wall
cover plate
housing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빙 왕
웨이 류
커 장
하이보 후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하우징, 배터리, 및 전자 디바이스이다. 하우징(10)은 전극 코어를 수용하는 데 사용되고, 하우징(10)은 주변 벽(11) 및 제1 커버 플레이트(131)를 포함하며, 주변 벽(11)에는 제1 개구(111)가 제공되고;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주변에는 예비 부분(1311)이 제공되고; 예비 부분(1311)은 용융되어 용융 에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주변 벽(11)과 맞물리는 용융 에지(1313)에 의해 제1 개구(111)를 폐쇄하는 데 사용된다.

Description

하우징, 배터리, 및 전자 디바이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개시내용은 2021년 6월 23일자로 출원된 "HOUSING AND BATTERY"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21403374.X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분야]
본 개시내용은 배터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하우징, 하우징을 갖는 배터리, 및 배터리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배터리는 플랜지 에지에서 용접에 의해 밀봉된다. 플랜지 에지의 존재는 조립 공간을 점유하고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공개 특허 제201711165151.2호에는 금속 하우징 배터리용 패키징 하우징 및 배터리가 개시되어 있다. 패키징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은 상부 및 제1 측벽을 포함한다. 제1 측벽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제1 측벽은 외향 연장되는 제1 플랜지를 갖는다. 제1 측벽은 개구를 형성한다. 제2 하우징은 중간 부분, 및 중간 부분에서 외향 연장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한다. 중간 부분은 개구를 덮도록 구성된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재료는 합금이다. 배터리 코어는 패키징 하우징에 수용된다.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는 밀봉을 위해 용접된다.
이러한 형태의 패키징 케이스에 따르면, 하우징의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에 용접부가 있다. 용접에 의한 효과적인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하우징의 플랜지의 존재는 조립 공간을 점유할 수 있으며, 이는 효과적인 배터리 용량에 대한 체적의 감소를 초래하고 배터리 용량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내용은 관련 기술에서 플랜지 에지가 배터리의 조립 공간을 점유한다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전극 코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제공한다. 하우징은 주변 벽 및 제1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주변 벽에는 제1 개구가 제공된다. 제1 커버 플레이트의 주변에는 예비 부분이 배열된다. 예비 부분은 용융되어 용융 에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커버 플레이트는 용융 에지를 통해 주변 벽과 결합되어 제1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주변 벽의 재료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실시예에서, 주변 벽의 두께는 30 내지 150 ㎛이다.
실시예에서, 제1 커버 플레이트의 재료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실시예에서, 예비 부분은 제1 커버 플레이트가 제1 개구를 덮을 때 주변 벽의 주변 방향을 따라 주변 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커버 플레이트의 부분이다.
실시예에서, 주변 벽의 주변 방향을 따라 주변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예비 부분의 높이는 50 ㎛ 내지 300 ㎛이다.
실시예에서, 예비 부분의 두께는 30 내지 300 ㎛이다.
실시예에서, 돌기(boss)가 제1 커버 플레이트 상에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제1 커버 플레이트가 주변 벽에 조립될 때, 돌기의 주변이 주변 벽에 맞닿도록, 돌기의 주변 치수는 제1 개구의 치수와 동일하다.
실시예에서, 제1 커버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본체 및 제2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한다. 예비 부분은 제1 플레이트 본체에 배열되며, 제2 플레이트 본체는 제1 플레이트 본체에 용접되어 돌기를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 본체의 두께는 30 내지 200 ㎛이다.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 본체의 두께는 100 내지 500 ㎛이다.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제2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주변 벽에는 제1 개구에 대향하는 제2 개구가 제공된다. 제2 커버 플레이트는 제2 개구를 덮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주변 벽에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로 연장되는 용접부가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주변 벽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다. 주변 벽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제2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1 개구 및 제2 개구의 면적은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더 작다.
실시예에서, 주변 벽에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로 연장되는 용접부가 제공된다. 제1 측면 플레이트의 면적은 제2 측면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더 작다. 용접부는 제1 측면 플레이트에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예비 부분의 높이(H1), 용융 에지의 보강부(H2), 용융 에지의 폭(W), 및 예비 부분의 두께(T2) 사이의 관계는 H1=(π×(H2+W/2)2-W2)/4T2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앞서 설명한 하우징 및 하우징에 수용된 전극 코어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제공한다. 제1 커버 플레이트는 용융 에지를 통해 주변 벽과 결합되어 제1 개구를 폐쇄한다.
실시예에서, 용융 에지는 주변 벽의 주변 방향을 따라 돌출한다.
실시예에서, 주변 벽의 주변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용융 에지의 보강부는 200 ㎛ 미만이다.
실시예에서, 용융 에지의 적어도 일부는 주변 벽의 외부 측면에 맞닿는다.
실시예에서, 제1 커버 플레이트를 향하는 주변 벽의 일 단부는 용융 에지와 돌기 사이에 위치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내용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은 하우징 및 배터리를 제공한다. 하우징은 주변 벽 및 제1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주변 벽에는 제1 개구가 제공된다. 필요에 따라 제1 커버 플레이트의 주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예비 부분을 배열하여, 제1 커버 플레이트가 주변 벽으로 밀봉될 때, 예비 부분이 용융되어 원하는 크기의 용융 에지를 형성하도록 한다. 배터리에서, 제1 커버 플레이트는 용융 에지를 통해 주변 벽과 결합되어 제1 개구를 폐쇄하여, 용융 에지가 너무 많은 공간을 점유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제1 커버 플레이트가 주변 벽으로 밀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개선된다.
본 개시내용의 앞서 설명한 및/또는 추가적인 양태 및 이점은 다음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해지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구현에 따른 하우징의 입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조립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밀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B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구현에 따른 배터리의 입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제1 커버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커버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현에 따른 하우징의 입체도이다.
참조 기호:
10-하우징;
11-주변 벽, 111-제1 개구, 112-제2 개구, 115-용접부, 1171-제1 측면 플레이트, 1172-제2 측면 플레이트;
131-제1 커버 플레이트, 1311-예비 부분, 13121-제1 플레이트 본체, 13122-제2 플레이트 본체, 1313-용융 에지, 1315-단자, 1317-전해액 충전 포트, 1319-돌기;
132-제2 커버 플레이트;
20-배터리;
T1-주변 벽의 두께, T2-예비 부분의 두께, H1-예비 부분의 높이, H2-용융 에지의 보강부, W-용융 에지의 폭.
아래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 실시예의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며,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설명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상부", "하부" 등의 용어에 의해 표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 것이며, 이는 단지 본 개시내용의 설명의 편의 및 설명의 단순화를 위한 것일 뿐이고,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위를 가져야 하거나 특정 방위로 구성 및 동작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에서 또는 첨부 도면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요소의 상세한 구조 또는 배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된 실시예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에 사용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갖다" 등과 같은 표현은 이후 나열되는 항목, 그 등가물, 및 기타 추가적인 항목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요소"를 기재함에 있어서, 요소의 수를 하나로 제한하지 않으며, 하나 초과의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은 하우징(10), 및 하우징(10)을 갖는 배터리(20)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하우징(10)은 전극 코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주변 벽(11) 및 제1 커버 플레이트(131)를 포함한다. 주변 벽(11)에는 제1 개구(111)가 제공된다.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제1 개구(111)를 덮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주변에는 예비 부분(1311)이 배열된다. 예비 부분(1311)은 주변 벽(11)의 치수(주변 벽(11)의 두께(T1) 및 제1 개구(111)의 치수)에 따라 배열된다. 예비 부분(1311)은 제1 커버 플레이트(131)가 제1 개구(111)를 덮을 때 주변 벽(11)의 주변 방향을 따라 주변 벽(1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부분이다. "주변 벽(11)의 주변 방향을 따라 주변 벽(1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부분"은 주변 벽(1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부분(1311)의 높이는 H1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예비 부분(1311)은 용융되어 용융 에지(1313)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용융 에지(1313)를 통해 주변 벽(11)과 결합된다. 예비 부분(1311)은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주변 둘레에 배열되어, 용융 에지(1313)가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주변 둘레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연결 간극이 덮인다.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주변 전체는 용융 에지(1313)를 통해 주변 벽(11)과 결합되어 제1 개구(111)를 폐쇄한다.
재료의 일부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제조 동안 필요에 따라 예비 부분(1311)으로서 보유된다. 예비 부분(1311)은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용융되어 용융 에지(1313)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밀봉 연결이 실현된다. 용융 에지(1313)는 주변 벽(11)의 외부 표면과 비교하면 매우 작은 보강부(H2)만을 갖는다. 플랜지 에지에 의해 밀봉을 실현하는 관련 기술과 비교하여, 본 개시내용의 해법에서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밀봉을 보장한다는 전제 하에 밀봉 구조가 조립 공간을 덜 점유하고, 이에 의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예비 부분(1311)을 배열함으로써,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주변 치수는 주변 벽(11)의 주변 치수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이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의해 제1 커버 플레이트(131)가 주변 벽(11)과 함께 위치될 때 주변 벽(11) 안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프로세스 난이도가 감소되고 수율이 개선된다.
또한, 주변 벽(11)의 재료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배터리 케이스 재료로 사용되는 알루미늄과 비교하여, 강도가 높고 주변 벽(11)을 더 얇게 만드는 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벽(11)은 316L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다. 실시예에서, 주변 벽(11)의 두께(T1)는 30 내지 150 ㎛이므로, 하우징(10)의 강도 요건을 충족한다는 전제 하에 더 적은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은 더 큰 체적의 전극 코어를 수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형성된 배터리의 용량이 개선된다.
일 실시예에서, 주변 벽(11)의 주변 방향을 따라 주변 벽(11)으로부터 돌출되는 예비 부분(1311)의 높이(H1)는 50 ㎛ 내지 300 ㎛이다.
제1 개구(111)의 치수 공차는 약 ±50 ㎛이며, 예비 부분(1311)은 주변 벽(11)의 주변 방향을 따라 주변 벽(11)으로부터 적어도 50 ㎛만큼 돌출되는 것으로 규정되고, 이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가 주변 벽(11)과 함께 위치될 때 주변 벽(11)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용접에 의한 밀봉이 용이해진다.
예비 부분(1311)이 주변 벽(11)의 주변 방향을 따라 주변 벽(11)으로부터 300 ㎛를 초과하여 돌출하는 경우, 예비 부분(1311)은 크기가 초과하게 될 것이다. 첫째, 레이저가 예비 부분(1311)을 완전히 용융시키기 어려울 것이며, 이는 가공 난이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공간을 점유하는 형성된 용융 에지(1313)의 과도한 보강부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예비 부분(1311)을 용융시키기 위해서는 레이저 에너지를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두께가 더 얇은 주변 벽(11)의 경우, 과도한 레이저 에너지는 주변 벽(11)을 열 변형 또는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재료는, 강도가 더 높아 제1 커버 플레이트(131)를 더 얇게 만드는 데 적합한 스테인리스 스틸이고, 따라서 점유되는 공간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316L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다.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은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되고, 이는 제1 커버 플레이트와 주변 벽 사이의 용접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주변 벽(11)과 달리, 제1 커버 플레이트(131)를 관통하는 단자(1315) 및 전해액 충전 포트(1317)가 더 필요하다. 이 경우, 제1 커버 플레이트(131)에는 국부적으로 두꺼워지는 돌기(1319)가 배열되어 상응하는 위치, 예를 들어 단자(1315) 및 전해액 충전 포트(1317)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구조적 강도를 개선하며, 이에 의해, 제1 커버 플레이트(131)가 천공될 때 변형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제품의 품질이 개선된다.
또한, 돌기(1319)에는 제1 개구(111)가 끼워지며, 즉, 돌기(1319)의 형상이 제1 개구(111)의 형상과 유사하고, 돌기(1319)의 주변 치수가 제1 개구(111)의 주변 치수와 동일하므로, 제1 커버 플레이트(131)가 주변 벽(11)에 조립될 때, 돌기(1319)는 가이드 부재의 역할을 하고, 돌기(1319)의 주변은 주변 벽(11)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조립될 때 안내되고 위치 설정되며, 이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용접에 도움이 된다. "돌기(1319)의 주변 치수가 제1 개구(111)의 주변 치수와 동일하다"는 것은 돌기(1319)의 주변 치수가 제1 개구(111)의 주변 치수보다 약간 더 크거나, 같거나, 약간 작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개구(111)가 직사각형이므로 돌기(1319)도 직사각형이고, 돌기(1319)의 길이와 폭은 각각 제1 개구(111)의 길이와 폭의 ±20 ㎛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기(1319)와 주변 벽(11) 사이의 슬라이딩 연결 또는 억지끼워맞춤을 통해,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조립될 때 안내되고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제1 커버 플레이트(131)가 돌기(1319)를 통해 안내 또는 위치 설정될 수 있는 한, 제1 개구(111)의 주변 치수에 대한 돌기(1319)의 주변 치수의 비율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개구(111)와 유사한 형상을 갖고 제1 개구보다 약간 더 큰 주변 치수를 갖는 돌기(1319)가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중간에 배열된다. 돌기(1319)는 연결 부분(표시되지 않음)을 통해 예비 부분(1311)과 일체로 연결되어,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에지가 주변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단차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플레이트(131)를 주변 벽(11)에 조립하면, 돌기(1319)는 주변 벽(11)에 위치되고, 돌기(1319)의 주변(즉, 연결 부분에 수직인 측면)은 주변 벽(11)의 내부 측면에 맞닿는다. 연결 부분은 주변 벽(11)의 상부에서 환형 표면에 맞닿는다. 예비 부분(1311)은 주변 벽(1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주변 벽(11)과 밀착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후속 용접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제1 커버 플레이트(131)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경도가 높은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단차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고, 특히 두께가 얇은 케이스에서는 만족스러운 직각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제1 플레이트 본체(13121)와 제2 플레이트 본체(13122)를 포함한다. 예비 부분(1311)은 제1 플레이트 본체(13121) 상에 배열된다. 제1 플레이트 본체(13121)는 제2 플레이트 본체(13122)보다 더 큰 주변 치수를 갖는다. 제2 플레이트 본체(13122)는 제1 플레이트 본체(13121)에 용접되어 돌기(1319)를 형성한다. 제1 플레이트 본체(13121)의 중간에 제2 플레이트 본체(13122)를 용접함으로써,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에지 상의 주변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단차 구조를 형성하는 프로세스 난이도가 감소되고, 생산 비용이 효과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2개의 플레이트 본체를 용접하여 형성한 단차 구조는 품질이 우수하고, 이에 의해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조립 효과가 개선된다.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구현일 뿐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플레이트 본체는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 본체(13121)는 강도가 높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되며, 제2 플레이트 본체(13122)는 니켈로 제조된다. 대안적으로, 제1 플레이트 본체(13121)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되며, 제2 플레이트 본체(13122)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2개의 플레이트 본체가 니켈을 통해 용접되며, 이는 니켈과 스틸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개의 플레이트 본체를 용접하여 단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한, 본 개시내용은 제1 플레이트 본체(13121)와 제2 플레이트 본체(13122)의 재료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플레이트 본체(13121)의 두께는 30 내지 200 ㎛이다. 제1 플레이트 본체는 밀봉이 실현될 수 있는 한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플레이트 본체(13122)의 두께는 10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이다. 크기가 더 큰 돌기(1319)는 안내 및 위치 설정 효과를 개선할 수 있으며, 조립 동안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예비 부분(1311)의 두께(T2)는 30 ㎛ 내지 300 ㎛이다. 돌기(1319)가 제1 커버 플레이트(131)에 배열되면, 돌기(1319)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강도를 개선하는 기능을 하고, 예비 부분(1311)은 용융 에지(1313)의 조립 및 후속 형성 동안 밀봉부로서만 기능하며, 그러면 예비 부분을 더 얇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도 요건을 충족한다는 전제 하에 더 적은 공간이 점유되도록 예비 부분(1311)의 두께(T2)는 30 ㎛이다. 제1 커버 플레이트(131)가 균일한 두께를 갖는 단일 플레이트 본체이면,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 본체 전체가 두꺼워야 한다. 따라서, 예비 부분(1311)은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예비 부분(1311)의 두께(T2)는 300 ㎛이다. 이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강도 보장을 전제로 하여, 절차를 줄이고, 가공 난이도를 감소시키며, 생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제2 커버 플레이트(132)를 포함한다. 주변 벽(11)에는 제1 개구(111)와 대향하는 제2 개구(112)가 제공된다. 즉,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12)는 주변 벽(11)의 축방향을 따라 주변 벽(11)의 두 단부에 각각 제공된다. 제2 커버 플레이트(132)는 제2 개구(112)를 덮도록 구성된다. 주변 벽(11)과 제2 커버 플레이트(132)의 밀봉 방법 및 구조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밀봉 방법 및 구조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세부사항을 반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변 벽(11)의 두께(T1)가 얇아야 한다. 스틸 쉘을 얇게 만들기 위해 관련 기술에서 사용되는 딥 드로잉은 파열 및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틸 시트 전체를 30 ㎛ 내지 150 ㎛로 연신하기 용이하며, 30 내지 150 ㎛의 스틸 시트가 원통형으로 굴곡되고 나서 용접되어 주변 벽(11)을 형성하며, 즉, 주변 벽(11)에는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12)까지 연장되는 용접부(115)가 제공된다. 형성된 주변 벽(11)은 기존의 딥 드로잉 프로세스로는 획득할 수 없는 얇은 쉘이다.
또한, 주변 벽(11)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다. 주변 벽(11)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제1 측면 플레이트(1171)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제2 측면 플레이트(1172)를 포함한다. 제1 측면 플레이트(1171)와 제2 측면 플레이트(1172)는 필렛을 통해 연결된다. 2개의 제1 측면 플레이트(1171)와 2개의 제2 측면 플레이트(1172)는 축방향을 따라 주변 벽(11)의 두 단부에 제공된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12)를 형성한다.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12)는 직사각형이며,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12)의 면적은 제1 측면 플레이트(117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1172)의 면적보다 더 작다. 즉, 면적이 가장 작은 주변 벽(11)에 의해 형성된 직육면체의 측면에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12)가 제공되고, 이에 의해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제2 커버 플레이트(132)가 전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측면 플레이트(1171)의 면적은 제2 측면 플레이트(1172)의 면적보다 더 작으며, 용접부(115)는 제1 측면 플레이트(1171)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용접부(115)의 보강부가 배터리의 두께 방향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된다. 이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구현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 벽(11)에는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12)까지 연장되는 용접부(115)가 제공되는 한, 용접부(115)가 제2 측면 플레이트(1172)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용접부(115)가 제1 측면 플레이트(1171)와 제2 측면 플레이트(1172) 사이의 접합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용접부(115)의 특정 위치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배터리(20)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수용되는 전극 코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1 커버 플레이트(131)는 용융 에지(1313)를 통해 주변 벽(11)과 결합되어 제1 개구(111)를 폐쇄한다.
용융 에지(1313)는 주변 벽(11)의 주변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용융 에지(1313)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팬(fan) 형상이다. 밀봉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보강부(H2) 및 폭(W)을 갖는 용융 에지(1313)는 하우징(10)의 재료 특성 및 배터리(2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전압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변 벽(11)의 주변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용융 에지(1313)의 보강부(H2)가 200 ㎛ 미만이므로,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밀봉 연결을 보장한다는 전제 하에 작은 공간만이 점유되고, 이에 의해 배터리(20)의 에너지 밀도가 개선된다.
용융 전 예비 부분(1311)의 단면적이 용융 후 용융 에지(1313)의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예비 부분(1311)의 높이(H1), 용융 에지(1313)의 보강부(H2), 용융 에지(1313)의 폭(W), 및 예비 부분(1311)의 두께(T2) 사이의 관계는 H1=(π×(H2+W/2)2-W2)/4T2로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비 부분(1311)의 높이(H1)는 용융 에지(1313)의 원하는 보강부(H2), 용융 에지(1313)의 폭(W), 및 예비 부분(1311)의 두께(T2)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용융 에지(1313)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예비 부분(1311)을 용융시켜 형성되며, 즉, 용융 에지(1313)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일체로 연결된다. 용융 에지(1313)의 적어도 일부는 주변 벽(11)의 외부 측면에 맞닿는다. 주변 벽(11)과 제1 커버 플레이트(131) 사이의 접합부는 용융될 필요가 없다. 용융 에지(1313)와 주변 벽(11) 사이에 연결 계면이 존재한다.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을 연결하는 용융 에지(1313)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의 예비 부분(1311)만을 용융하여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플레이트(131)을 향하는 주변 벽(11)의 일 단부는 용융 에지(1313)와 돌기(1319) 사이에 위치된다. 주변 벽(11)은 용융될 필요가 없다. 주변 벽(11)은 용융 에지(1313)와 돌기(1319)에 의해 클램핑된다.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에는, 주변 벽(11)의 외부 측면에 용융 에지(1313)가 결합되고, 주변 벽(11)은 용융 에지(1313)와 돌기(1319)에 의해 추가로 클램핑되며, 이는 제1 커버 플레이트(131)와 주변 벽(11)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개선하고 제1 커버 플레이트와 주변 벽 사이의 밀봉 품질을 추가로 보장한다.
상기의 내용에 기초하여, 본 개시내용은 하우징 및 배터리를 제공한다. 하우징은 주변 벽 및 제1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주변 벽에는 제1 개구가 제공된다. 필요에 따라 제1 커버 플레이트의 주변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예비 부분을 배열하여, 제1 커버 플레이트가 주변 벽으로 밀봉될 때, 예비 부분이 용융되어 원하는 크기의 용융 에지를 형성하도록 한다. 배터리에서, 제1 커버 플레이트는 용융 에지를 통해 주변 벽과 결합되어 제1 개구를 폐쇄하여, 용융 에지가 너무 많은 공간을 점유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제1 커버 플레이트가 주변 벽으로 밀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개선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앞서 설명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출원에 설명된 개념은 그 정신 및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특정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청구항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 및 동등한 범위 내에서의 임의의 변경은 이러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 "구체적인 예", 또는 "일부 예"와 같은 참조 용어의 설명은, 실시예 또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체적인 피처,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앞서 설명한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피처,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은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가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변경, 수정, 대체 또는 변형할 수 있다.

Claims (15)

  1. 전극 코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주변 벽 및 제1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벽에는 제1 개구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의 주변에 예비 부분이 배열되고, 상기 예비 부분은 용융되어 용융 에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용융 에지를 통해 상기 주변 벽과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벽과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는 스테인리스 스틸인, 하우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벽의 두께는 30 내지 150 ㎛인, 하우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부분은,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개구를 덮을 때, 상기 주변 벽의 주변 방향을 따라 상기 주변 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의 부분인, 하우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벽의 주변 방향을 따라 상기 주변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예비 부분의 높이는 50 ㎛ 내지 300 ㎛인, 하우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에 돌기가 배열되고, 상기 돌기의 주변 치수가 상기 제1 개구의 치수와 동일하여,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주변 벽에 조립될 때, 상기 돌기의 주변이 상기 주변 벽에 맞닿도록 하는, 하우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본체 및 제2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예비 부분은 상기 제1 플레이트 본체에 배열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 본체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본체에 용접되어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부분의 두께는 30 ㎛ 내지 300 ㎛이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본체의 두께는 30 내지 200 ㎛이며, 상기 제2 플레이트 본체의 두께는 100 내지 500 ㎛인, 하우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벽에는 상기 제1 개구에 대향하는 제2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를 덮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벽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주변 벽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제2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의 면적은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더 작은, 하우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벽에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까지 연장되는 용접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의 면적은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더 작으며,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하우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부분의 높이(H1), 상기 용융 에지의 보강부(H2), 상기 용융 에지의 폭(W), 및 상기 예비 부분의 두께(T2) 사이의 관계는 H1=(π×(H2+W/2)2-W2)/4T2인, 하우징.
  13. 배터리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전극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용융 에지를 통해 상기 주변 벽과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배터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벽의 주변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상기 용융 에지의 보강부는 200 ㎛ 미만인, 배터리.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기재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237033282A 2021-06-23 2022-05-27 하우징, 배터리, 및 전자 디바이스 KR20230152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1403374.XU CN214123982U (zh) 2021-06-23 2021-06-23 壳体及电池
CN202121403374.X 2021-06-23
PCT/CN2022/095568 WO2022267820A1 (zh) 2021-06-23 2022-05-27 壳体、电池和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122A true KR20230152122A (ko) 2023-11-02

Family

ID=7749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282A KR20230152122A (ko) 2021-06-23 2022-05-27 하우징, 배터리, 및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14480A1 (ko)
EP (1) EP4300672A1 (ko)
KR (1) KR20230152122A (ko)
CN (1) CN214123982U (ko)
WO (1) WO2022267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123982U (zh) * 2021-06-23 2021-09-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壳体及电池
CN114447486A (zh) * 2022-01-21 2022-05-06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壳、电池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637A (ja) * 1998-03-19 1999-10-08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2000021365A (ja) * 1998-07-06 2000-01-21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2004022494A (ja) * 2002-06-20 2004-01-22 Nec Tokin Tochigi Ltd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2009146645A (ja) * 2007-12-12 2009-07-02 Toyota Motor Corp 溶接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6238105B2 (ja) * 2012-04-17 2017-11-29 株式会社Gsユアサ 装置筐体及び装置筐体の製造方法
EP3070760B1 (en) * 2013-11-15 2019-02-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Prismatic battery
CN208889725U (zh) * 2018-10-16 2019-05-21 东莞百思利新能源科技有限公司 方形壳体及其二次电池
CN214123982U (zh) * 2021-06-23 2021-09-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壳体及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7820A1 (zh) 2022-12-29
US20240014480A1 (en) 2024-01-11
CN214123982U (zh) 2021-09-03
EP4300672A1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52122A (ko) 하우징, 배터리, 및 전자 디바이스
EP1734599B1 (en)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475206B1 (ja) 角形二次電池
KR102230638B1 (ko) 축전 소자 및 축전 장치
JP2002134071A (ja) 偏平角形電池
CN214706073U (zh) 电池壳体、电池和电子器件
CN209786057U (zh) 一种连接构件和二次电池
CN215869509U (zh) 一种电池及电子产品
CN214848800U (zh) 一种单体电池外壳、单体电池及电池模组
WO2023186105A1 (zh) 电池壳体和电池
CN212571138U (zh) 单体电池以及动力电池
CN218123566U (zh) 方形电池的壳体结构
KR20230136546A (ko) 전지 케이스 및 해당 전지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CN214013043U (zh) 一种电池模组的端板组件及电池模组
CN216648442U (zh) 一种钢壳电池及其外壳
WO2022181794A1 (ja) 電池用極板群、蓄電池、組電池、電動車、電池用セパレータ、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電池用極板群の製造方法
CN217387312U (zh) 电池壳体和电池
CN117317477A (zh) 电池壳体及电池
CN218215491U (zh) 方便定位组装的扣式电池
CN218896796U (zh) 电芯及电池包
CN217426831U (zh) 锂离子电池壳体及锂离子电池
CN218996892U (zh) 电池的盖板、电池以及用电装置
CN115347286B (zh) 电池制造方法及电池
CN218215500U (zh) 一种具有直角折边结构的纽扣电池
JP6105986B2 (ja) 蓄電素子およ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