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925A -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925A
KR20230150925A KR1020230141884A KR20230141884A KR20230150925A KR 20230150925 A KR20230150925 A KR 20230150925A KR 1020230141884 A KR1020230141884 A KR 1020230141884A KR 20230141884 A KR20230141884 A KR 20230141884A KR 20230150925 A KR20230150925 A KR 2023015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abilization
electronic device
area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3694B1 (ko
Inventor
송원석
이보희
이세현
조정환
하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3694B1/ko
Publication of KR2023015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3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3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a processor, e.g. controlling the readout of an image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션 센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미지 획득 모드가 수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안정화 방식은, 제 1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안정화 방식과, 상기 제 1 마진 영역보다 큰 제 2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2 안정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AN ELECTRONIC DEVICE FOR STABILIZING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미지 촬영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손 떨림 방지 기술을 이용한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신저 서비스, 방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 서비스 및 음악 재생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해지고, 다양한 촬영 효과가 적용된 자신만의 독특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떨림이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으로 인하여 촬영 이미지에 잔상이 생기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손떨림 보정 방식으로는 비디오 디지털 이미지 안정화(video digital image stabilization) 또는 디지털 이미지 안정화(digital image stabilization)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디지털 이미지 안정화 방식은 입력 이미지의 움직임(예: 피사체 또는 배경의 움직임)과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또는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마진 영역(예: 보정 범위)을 고려하여 입력 이미지의 일부(예: 입력 이미지의 90% 영역)를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고, 입력 이미지 내에서 출력 영역을 전자 장치의 움직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지털 이미지 안정화 방식으로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화 방식의 성능은 입력 이미지와 출력 이미지의 사이즈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사이즈 비율은 입력 이미지에서 출력 이미지를 뺀 마진 영역의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진 영역이 넓을수록 출력 영역의 이동 범위가 넓어질 수 있으며, 이는 큰 움직임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휴대성을 고려하는 전자 장치에서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의 사이즈는 한정적이며, 이러한 이유로 전자 장치의 디지털 이미지 안정화 방식은 적은 움직임에 대한 보정이 적합하고 큰 움직임에 대하여 보정하는 경우에는 자연스럽지 않는 영상이 출력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적은 움직임, 뿐만 아니라 큰 움직임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션 센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미지 획득 모드가 수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안정화 방식은, 제 1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안정화 방식과, 상기 제 1 마진 영역보다 큰 제 2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2 안정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미지 획득 모드가 수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안정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지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안정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미지 획득 모드가 수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안정화 방식은, 제 1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안정화 방식과, 상기 제 1 마진 영역보다 큰 제 2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2 안정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제 1 이미지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작은 움직임, 뿐만 아니라 큰 움직임에 대한 흔들림 보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획득 모드가 실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이미지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선택하도록 지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제 1 이미지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이미지 안정화 방식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이미지를 보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180)을 예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흔들림 보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안정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가이드 하는 상황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롤링 셔터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가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정화 경로 결정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정화 레벨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정화 방식 선택 가이드를 제공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180)을 예시하는 블럭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80)은 렌즈 어셈블리(210), 플래쉬(220), 이미지 센서(230),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 메모리(250)(예: 버퍼 메모리), 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이미지 촬영의 대상인 피사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집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카메라 모듈(180)은, 예를 들면, 듀얼 카메라, 360도 카메라, 또는 구형 카메라(spherical camera)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210)들 중 일부는 동일한 렌즈 속성(예: 화각, 초점 거리, 자동 초점, f 넘버(f number), 또는 광학 줌)을 갖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는 다른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속성들과 다른 하나 이상의 렌즈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예를 들면, 광각 렌즈 또는 망원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22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는 빛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래쉬(220)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예: RGB(red-green-blue) LED, white LED, infrared LED, 또는 ultraviolet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어 렌즈 어셈블리(210)를 통해 전달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230)는, 예를 들면, RGB 센서, BW(black and white) 센서, IR 센서, 또는 UV 센서와 같이 속성이 다른 이미지 센서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 센서, 동일한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또는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에 포함된 각각의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면,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카메라 모듈(180)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렌즈 어셈블리(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230)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이미지 센서(230)의 동작 특성을 제어(예: 리드 아웃(read-out) 타이밍을 조정 등)할 수 있다. 이는 촬영되는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움직임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의 적어도 일부를 보상하게 해 준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은 카메라 모듈(18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자이로 센서(미도시) 또는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80) 또는 전자 장치(101)의 그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예를 들면, 광학식 이미지 스태빌라이저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이미지 센서(230)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다음 이미지 처리 작업을 위하여 적어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에 따른 이미지 획득이 지연되거나, 또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고속으로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원본 이미지(예: Bayer-patterned 이미지 또는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메모리(250)에 저장이 되고, 그에 대응하는 사본 이미지(예: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표시 장치(160)을 통하여 프리뷰될 수 있다. 이후,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예: 사용자 입력 또는 시스템 명령) 메모리(250)에 저장되었던 원본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획득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50)는 메모리(130)의 적어도 일부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이미지 센서(230)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 또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이미지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은, 예를 들면, 깊이 지도(depth map) 생성, 3차원 모델링, 파노라마 생성, 특징점 추출, 이미지 합성, 또는 이미지 보상(예: 노이즈 감소, 해상도 조정, 밝기 조정, 블러링(blurring), 샤프닝(sharpening), 또는 소프트닝(softening)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카메라 모듈(18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이미지 센서(230))에 대한 제어(예: 노출 시간 제어, 또는 리드 아웃 타이밍 제어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는 추가 처리를 위하여 메모리(250)에 다시 저장 되거나 카메라 모듈(180)의 외부 구성 요소(예: 메모리(130), 표시 장치(160),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프로세서(120)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거나, 프로세서(12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이 프로세서(120)과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경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는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그대로 또는 추가의 이미지 처리를 거친 후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각각 다른 속성 또는 기능을 가진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각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망원 카메라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300)이다. 이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의 구성은 전술한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구성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제 1 카메라(310), 제 2 카메라(320), 모션 센서(330), 프로세서(340), 디스플레이(350) 및 메모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310) 및 제 2 카메라(320)는 도 1의 카메라 모듈(180)일 수 있으며, 렌즈를 통해 보여지는 이미지(예: 사진 또는 동영상)를 촬영(또는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310) 및 제 2 카메라(320)은 각각 또는 동시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카메라(310) 및 제 2 카메라(320)는 서로 상이한 화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310) 또는 제 2 카메라(320) 중 하나는 다른 카메라 보다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 2 카메라(320)가 제 1 카메라(310) 보다 넓은 화각을 가지는 경우, 제 2 카메라(320)는 제 1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넓은 화각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카메라(310) 및 제 2 카메라(32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35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프리뷰 이미지로 출력되거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모션 센서(33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션 센서(330)은 제 1 카메라(310) 또는 제 2 카메라(3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미지가 획득되는 동안의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330)는 제 1 카메라(310) 또는 제 2 카메라(32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되는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모션 센서(33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또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모션 센서(33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와 같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4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42)(예: 도 2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 및 흔들림 보정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42) 및 흔들림 보정부(344)는 프로세서(34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안정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안정화 방식은, 도 3b의 흔들림 보정부(344), 도 5a 및 도 5b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마진 영역(예: 보정 범위)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안정화 방식과, 제 1 마진 영역보다 큰 제 2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2 안정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진 영역은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영역으로, 입력 이미지에서 출력 영역을 뺀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획득 이벤트(예: 동영상 촬영 모드 실행)가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안정화 방식 중 하나를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제 1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안정화 방식 중 하나(예: 제 1 안정화 방식)를 이용하여 이미지7 안정화 동작이 수행되는 중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식을 다른 방식(예: 제 2 안정화 방식)으로 변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안정화 방식은 전자 장치(또는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안정화 방식은, 도 14 및 도 15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40)는 안정화 방식 선태 가이드를 제공하고, 안정화 방식 선택 가이드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여 안정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310) 또는 제 2 카메라(320)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예를 들어,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42) 및 흔들림 보정부(344)를 제어하여 안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42) 및 흔들림 보정부(344)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42)는, 제 1 카메라(310) 및 제 2 카메라(320)를 이용하여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안정화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42)는, 제 1 카메라(310) 및 제 2 카메라(320)를 이용하여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들(또는 복수의 입력 이미지들)로부터 일부 영역을 크롭(crop)할 수 있다. 크롭된 이미지(예: 입력 이미지의 출력 영역)는 디스플레이(350)를 통해 프리뷰 이미지로 출력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영역의 사이즈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42)는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획득되는 제 1 사이즈의 이미지에서 지정된 출력 영역을 크롭함으로써 제 1 마진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출력 영역은 지정된 픽셀 수, 지정된 시야(field of view) 또는 지정된 화각(angle of view)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42)는 제 2 카메라(320)를 통해 획득되는 제 2 사이즈의 이미지에서 지정된 사이즈를 가지는 출력 영역을 크롭함으로써 제 1 마진 영역보다 큰 제 2 마진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마진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영역으로 입력 이미지에서 출력 영역을 뺀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흔들림 보정부(344)는, 제 1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안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안정화 방식은 제 1 카메라(310)를 통하여 획득된 복수의 제 1 사이즈의 이미지들에 대하여 흔들림을 보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제 1 사이즈의 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마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흔들림 보정부(344)는, 획득되는 이미지에 대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획득되는 입력 이미지 안에서 출력 영역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이미지 내의 피사체 또는 배경의 움직임에 대한 제 1 움직임 정보와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제 2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움직임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의 비교(예: 특징점 비교 등) 결과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제 2 움직임 정보는 전자 장치의 모션 센서(330)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제 1 움직임 정보 및 제 2 움직임 정보는 이동(Translation) 성분 정보 및 회전(Rotation) 성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성분 정보는 이동 좌표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회전 성분 정보는 회전되거나 기울어진 각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부(344)는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획득되는 이전 입력 이미지(예: 제 n-1 입력 이미지)의 출력 영역에 비해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획득되는 현재 입력 이미지(예: 제 n 입력 이미지)의 출력 영역에서 피사체가 움직임 방향(또는 전자 장치가 움직인 반대 방향)으로 현재 입력 이미지에 대한 출력 영역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흔들림 보정부(344)는 제 1 사이즈를 가지는 입력 이미지의 제 1 마진 영역 안에서 출력 영역의 위치 조정함으로써 흔들림 보정, 다시 말해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흔들림 보정부(353)는, 제 2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안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안정화 방식은 제 2 카메라(320)를 통하여 획득된 복수의 제 2 사이즈의 이미지들에 대하여 흔들림을 보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제 2 사이즈의 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마진 영역보다 큰 제 2 마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흔들림 보정부(344)는, 획득되는 이미지에 대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카메라(320)를 통해 획득되는 입력 이미지 안에서 출력 영역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부(344)는 제 2 카메라(320)를 통해 획득되는 이전 입력 이미지(예: 제 n-1 입력 이미지)의 출력 영역에 비해 제 2 카메라(320)를 통해 획득되는 현재 입력 이미지(예: 제 n 입력 이미지)의 출력 영역에서 피사체가 움직임 방향(또는 전자 장치가 움직인 반대 방향)으로 현재 입력 이미지에 대한 출력 영역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흔들림 보정부(344)는 제 1 마진 영역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제 2 마진 영역 안에서 출력 영역의 위치 조정함으로써 흔들림 보정, 다시 말해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동안, 전자 장치(또는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롤링 셔터 왜곡(Rolling Shutter Distortion)을 보정(correction)할 수도 있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흔들림 보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380)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흔들림 보정부(344)는 주파수 조절부(382), 안정화 경로 결정부(384) 및 안정화 처리부(38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주파수 조절부(382)는 움직임 정보의 검출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검출 빈도는 모션 센서(382)의 검출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파수 조절부(382)는 전자 장치(또는 이미지)의 움직임이 지정된 빈도 결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예: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 지정된 제 1 빈도(예: 대략 100 Hz)에 기초하여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고, 움직임이 지정된 빈도 결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예: 움직임이 큰 경우)에는 움직임 검출 빈도를 제 2 빈도(예: 대략 400 Hz ~ 500 Hz)로 증가시킴으로써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성능을 향상시키고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소모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주파수 조절부(382)는 획득되는 이미지의 수(예: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검출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조절부(382)는 프레임 레이트가 지정된 빈도 결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예: 60 fps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지정된 제 1 빈도(예: 대략 100 Hz)로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고, 움직임이 지정된 빈도 결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예: 60 f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움직임 검출 빈도를 제 2 빈도(예: 대략 400 Hz ~ 500 Hz)로 증가시킴으로써 흔들림 및 롤링 셔터 왜곡 보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움직임 검출 빈도에 대한 수치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움직임 검출 빈도에 대한 수치 또는 수치 범위는 설계자, 및/또는 전자 장치의 성능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정화 경로 결정부(384)는 흔들림 보정 영역(예: 입력 이미지의 출력 영역)이 원본 이미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카메라 패스 플래닝(camera path planning)이라 표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정화 경로 결정부(384)는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전자 장치 또는 이미지의 움직임을 고려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의 비교 결과 또는 전자 장치의 모션 센서(330)를 통해 획득되는 센서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움직임 정보가 제 1 결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안정화 경로 결정부(384)는 제 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가 제 2 결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안정화 경로 결정부(384)는 제 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정화 처리부(386)는 안정화 동작, 다시 말해서, 흔들림 보정의 강도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정화 처리부(386)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보정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이미지 지터(image jitter)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 처리부(386)는 전자 장치(또는 이미지)의 움직임이 지정된 강도 조절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예: 이미지 지터가 발생되지 않는 정도로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 셔터 스피드를 제 1 속도로 낮추고, 움직임이 지정된 강도 조절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예: 이미지 지터가 발생되는 정도로 움직임이 큰 경우)에는 셔터 스피드를 제 2 속도로 높임으로써 이미지 지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정화 처리부(386)는 움직임 정보 또는 주변 밝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보정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이미지 지터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 처리부(386)는 주변 밝기 및 움직임이 지정된 강도 조절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예: 실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큰 경우)에 흔들림 보정 성능을 제 1 레벨로 낮추고 이미지 지터 개선 성능을 제 2 레벨로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보정 성능을 낮춘다는 것은 보정 강도를 낮춘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흔들림 보정은 안정화 경로 결정 이전의 카메라의 위치(또는 궤적)와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의 위치(또는 궤적)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량은 안정화 경로 결정 이전의 카메라의 위치(또는 궤적)로부터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의 위치(또는 궤적)의 차이일 수 있다. 예컨대, 안정화 처리부(360)는 보정량의 일부만 보정하도록 보정 성능을 제 1 레벨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안정화 처리부(384)는 주변 밝기 및 움직임이 지정된 강도 조절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예: 실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는 흔들림 보정 성능을 제 2 레벨로 증가시키고 이미지 지터 개선 성능을 제 1 레벨로 낮출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 처리부(360)는 보정량 전체를 보정하도록 보정 성능을 제 2 레벨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션 센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미지 획득 모드가 수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안정화 방식은, 제 1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안정화 방식과, 상기 제 1 마진 영역보다 큰 제 2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2 안정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는, 제 1 화각을 가지는 제 1 카메라와 상기 제 1 화각보다 넓은 제 2 화각을 가지는 제 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정화 방식이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카메라를 동작하고, 상기 제 2 안정화 방식이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카메라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속도 및 상기 움직임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모션 센서의 검출 빈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검출 빈도로 변경이 불가한 경우,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가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보정을 위한 안정화 경로 결정을 위한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 밝기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밝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안정화 동작의 강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결정된 안정화 동작의 강도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이미지 안정화 방식 또는 상기 제 2 이미지 안정화 방식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움직임이 안정화 방식 변경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선택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다른 이미지 안정화 방식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이미지 획득 모드가 수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안정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지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안정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정화 방식이 선택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보정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사이즈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안정화 방식이 선택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보정 영역보다 큰 제 2 보정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사이즈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400)이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안정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00), (510)이다.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410에서, 이미지 획득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모드는 제 1 카메라(310)(또는 제 1 이미지 획득 장치) 또는 제 2 카메라(320)(또는 제 2 이미지 획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310)는 제 1 화각을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 2 카메라(310)는 제 1 화각 보다 큰 제 2 화각을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420에서,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제 1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안정화 방식 중 하나를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안정화 방식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310)를 통하여 획득된 복수의 제 1 사이즈 이미지들(502)로부터, 지정된 출력 영역(504)을 크롭함으로써 제 1 마진 영역(예: d1, d2)을 확보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정된 픽셀 수, 지정된 시야(field of view) 또는 지정된 화각(angle of view)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정화 방식은 제 1 마진 영역 안에서 출력 영역의 위치를 피사체가 움직임 방향(또는 전자 장치가 움직인 반대 방향)으로 조정(506)함으로써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508)할 수 있다. 제 2 안정화 방식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카메라(320)를 통하여 획득된 복수의 제 2 사이즈 이미지들(512)로부터, 지정된 출력 영역(514)을 크롭함으로써 제 2 마진 영역(예: d3, d4)을 확보하는 방식일 수 있다. 제 2 사이즈의 이미지는, 제 1 이미지의 사이즈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제 2 안정화 방식은 제 1 마진 영역보다 사이즈가 큰 제 2 마진 영역 안에서, 출력 영역의 위치를 피사체가 움직임 방향(또는 전자 장치가 움직인 반대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430에서, 결정된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결정된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 또는 제 2 카메라 중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440에서,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비디오 디지털 이미지 안정화(video digital image stabiliz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도 6a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흐름도(600)이다. 그리고, 도 6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가이드 하는 상황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370)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6의 동작들은, 도 4의 동작 420 및 동작 430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일 수 있으며,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610에서, 제 1 카메라(310)(또는 제 1 이미지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화각을 가지는 제 1 사이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화각은 대략 50° 에서 80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 범위 미만의 작은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 1 사이즈의 이미지에서 지정된 출력 영역을 크롭함으로써 제 1 마진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입력 이미지의 제 1 마진 영역 안에서 출력 영역의 위치 조정함으로써 흔들림 보정, 다시 말해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이동(Translation) 성분 정보 및 회전(Rotation) 성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성분 정보는 이동 좌표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회전 성분 정보는 회전되거나 기울어진 각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모션 센서(330)를 통해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340)는 제 1 카메라(310)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들의 비교(예: 특징점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630에서, 움직임 정보가 이미지 안정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안정화 조건은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출력 이미지의 흔들림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기준 움직임 이상인 경우 이미지 안정화 조건을 만족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기준 움직임 미만인 경우에는 이미지 안정화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02))는, 이미지 안정화 조건이 만족됨을 판단한 경우, 동작 640에서 제 2 카메라(320)(또는 제 2 이미지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카메라(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화각 보다 넓은 제 2 화각을 가지는 제 2 사이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화각은 대략 70° 에서 130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 범위 이상의 큰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 2 사이즈의 이미지에서 지정된 출력 영역을 크롭함으로써 제 2 마진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입력 이미지의 제 2 마진 영역 안에서 출력 영역의 위치 조정함으로써 흔들림 보정, 다시 말해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안정화 조건이 만족됨을 판단한 경우,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이미지 안정화 방식이 실행됨을 가이드 정보(674)를 디스플레이(67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가이드 정보는, 이미지 안정화 방식의 변경을 선택 또는 취소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340)는 가이드 정보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이미지 안정화 방식으로 변경하거나 이전의 이미지 안정화 방식이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02))는, 이미지 안정화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판단한 경우, 동작 650에서 제 1 이미지 획득 장치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제 1 카메라(310)에서 제 2 카메라(320)로 변경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 예에 반대로, 제 2 카메라(320)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중,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카메라(31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680)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6c의 동작들은, 도 6a의 동작 640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일 수 있으며,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681에서, 제 2 카메라(320)(또는 제 2 이미지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카메라(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화각을 가지는 제 2 사이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683에서,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Translation) 성분 정보 및 회전(Rotation) 성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모션 센서(330)를 통해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340)는 제 2 카메라(310)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들의 비교(예: 특징점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685에서, 움직임 정보가 이미지 안정화 방식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안정화 방식 변경 조건은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기준 움직임 미만의 흔들림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기준 움직임 미만인 경우 이미지 안정화 방식 변경 조건을 만족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기준 움직임 이상인 경우에는 이미지 안정화 방식 변경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02))는, 이미지 안정화 방식 변경 조건이 만족됨을 판단한 경우(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기준 움직임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 동작 687에서 제 1 카메라(310)(또는 제 1 이미지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화각 보다 좁은 제 1 화각을 가지는 제 1 사이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02))는, 이미지 안정화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을 판단한 경우(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기준 움직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동작 689에서 제 2 이미지 획득 장치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700)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7의 동작들은, 도 6a의 동작 640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일 수 있으며,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710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대한 움직임 정보(또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제 2 카메라(320)(또는 제 2 이미지 획득 장치)를 통해 제 2 사이즈의 이미지가 획득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720에서, 획득되는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제 2 사이즈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카메라 패스 플래닝(camera path planning)이라 표현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예: 피사체)의 움직임에 상응하거나,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미지(예: 입력 이미지)의 출력 영역을 위치시키는 안정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좌측으로 흔들려서 입력 이미지들에 포함된 피사체들이 오른쪽으로 이동된 경우, 프로세서(340)는 이미지의 출력 영역을 좌측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안정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730에서, 결정된 안정화 경로에 기초하여 제 2 카메라(320)(또는 제 2 이미지 획득 장치)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출력 영역이 입력 이미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입력 이미지의 마진 영역 내에서 출력 영역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동안, 전자 장치(또는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롤링 셔터 왜곡(Rolling Shutter Distortion)을 보정(correction)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740에서,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350)(또는 표시 장치(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보정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 내부(예: 메모리(360))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8))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롤링 셔터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00)이다. 그리고,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가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900)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8의 동작들은, 도 7의 동작 730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일 수 있으며,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810에서 움직임 검출 빈도 변경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움직임 검출 빈도는 흔들림 보정 및 롤링 셔터 왜곡 보정 성능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검출 빈도가 높을수록 이미지에 보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기준 움직임을 초과하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 또는 기준 프레임 레이트를 초과하는 이미지의 수(예: 프레임 레이트)가 감지되는 상황을 움직임 검출 빈도 변경 이벤트로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820에서, 움직임 검출 빈도 변경 이벤트에 대응하여, 움직임 검출 빈도의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 빈도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의 발열 상태,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상태, 전자 장치의 프로세스 처리 능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움직임 검출 빈도의 변경이 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830에서, 움직임 검출 빈도를 변경하고, 변경된 검출 빈도에 기초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검출 빈도 이벤트의 검출에 대응하여, 움직임 정보의 검출 빈도를 제 1 빈도(예: 100 Hz)에서 제 1 빈도보다 높은 제 2 빈도(예: 500 Hz)로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340)는 검출 빈도를 변경함으로써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 보정에 사용되는 움직임 정보의 량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서 이미지 보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동작 840에서, 획득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움직임 검출 빈도의 변경이 불가한 경우,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850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의 가공은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 보정에 사용되는 움직임 정보의 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보간하여 추가적인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의 그래프는 제 1 검출 빈도(예: 200 Hz)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한 것이고, 도 9b의 그래프는 제 2 검출 빈도(예: 500 Hz)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한 것이다. 또한, 그래프의 Y축은 움직임 벡터를 나타내고 X축은 이미지의 프레임 수를 나타내며, 점선 라인(902). (912)는 입력 이미지를 통해 얻어지는 제 1 움직임 정보(예: 피사체 또는 배경에 대한 움직임) 정보이고, 실선 라인(904), (914)는 전자 장치의 모션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제 2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도 9a의 그래프의 움직임 변화가 많은 부분에서는 제 1 움직임 정보(902)와 제 2 움직임 정보(904) 사이의 차이가 발생되며, 도 9a의 그래프의 움직임 변화가 많은 부분에서는 제 1 움직임 정보(912)와 제 2 움직임 정보(914) 사이의 차이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40)는 제 1 빈도에 기초하여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제 2 빈도에 기초하여 검출된 움직임 정보와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해지도록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동작 860에서, 가공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00)이다. 그리고, 도 11a 내지 도 11b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정화 경로 결정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10의 동작들은, 도 7의 동작 720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일 수 있으며,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1010에서 이미지(또는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안정화 경로 결정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움직임이 지정된 수준을 벗어나는 경우(예: 움직임이 큰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a의 그래프 (1110) 및 그래프 (1120)는 움직임이 지정된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예: 전자 장치가 사용자 손에 파지된 상태로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예: 제 1 파라미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각 그래프의 Y축은 움직임 벡터를 나타내고 X축은 이미지의 프레임 수를 나타내며, 이점 쇄선 라인 (c)와 일점 쇄선 라인 (d)는 보정 범위의 최대 값과 보정 범위의 최소 값을 나타낸다. 또한, 실선 라인 (a)는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의 위치(또는 궤적)을 나타내며, 점선 라인 (b)는 안정화 경로 결정 이전의 카메라 위치(또는 궤적)을 나타낸다. 도 11a의 그래프 (1110)를 참조하면, 움직임이 적은 상태에서 제 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 위치가 직선의 모습을 보이는 성향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움직임 보정량은 실선 라인 (a)와 점선 라인 (b)의 차이로 결정되는 것으로 움직임이 적은 상태에서는 제 1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 이미지 흔들림이 보정되는 것으로 의미한다. 반면, 도 11a의 그래프 (1120)를 참조하면, 움직임이 작은 상태에서 제 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 위치가 안정화 경로 결정 이전의 카메라의 위치와 비슷해지는 성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선 라인 (a)와 점선 라인 (b)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움직임이 적은 상태에서는 제 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 이미지 흔들림의 보정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움직임이 적은 상태 및 움직임이 큰 상태와 제 1 파라미터의 관계를 비교해 보면, 도 11a의 그래프 (1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이 작은 상태에서는 제 1 파라미터로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 점선 (b)와 같이, 안정화 경로 결정 이전의 변화되는 카메라 위치와 상관없이 X 축과 평행한 것으로, 이는 이미지 흔들림 보정 성능이 향상된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움직임이 큰 상태에서는 제 1 파라미터로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 실선 (a)와 같이 안정화 경로 결정 이전의 변화되는 카메라의 위치를 따라 X 축과 평행하지 않은 것으로 이미지 흔들림 보정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b의 그래프 (1160) 및 그래프 (1170)는 움직임이 지정된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예: 움직임이 큰 경우)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예: 제 2 파라미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각 그래프의 Y축은 움직임 벡터를 나타내고 X축은 이미지의 프레임 수를 나타내며, 실선 라인 (a)와 일점 쇄선 라인 (d)는 보정 범위의 최대 값과 보정 범위의 최소 값을 나타낸다. 또한, 점선 라인 (c)는 안정화 경로 결정 이전의 카메라의 위치(또는 궤적)을 나타내며, 이점 쇄선 라인 (b)는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 위치(또는 궤적)을 나타낸다. 도 11b의 그래프 (1160)를 참조하면, 움직임이 큰 상태에서 제 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 위치가 울퉁불퉁한 형태(예: 안정화 경로 결정 이전의 카메라 위치와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 위치 사이의 차이가 적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11b의 그래프 (1170)를 참조하면, 움직임이 큰 상태에서 제 2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 위치가 곡선 형태(예: 안정화 경로 결정 이전의 카메라 위치와 안정화 경로 결정 이후의 카메라 위치 사이의 차이가 비교적 많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움직임이 적은 상태 및 움직임이 큰 상태와 제 2 파라미터의 관계를 비교해 보면, 도 11b의 그래프 (11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이 큰 상태에서는 제 1 파라미터로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예: 점선 (b)) 이미지 흔들림 보정 성능이 저하되고, 반대로 움직임이 큰 상태에서는 제 2 파라미터로 안정화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예: 실선 (a))에는 이미지 흔들림 보정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1020에서 변경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안정화 경로는 입력 이미지로부터 카메라의 최단 거리를 계산하는 것으로, 프로세서(340)는 이미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안정화 경로 결정에 사용되는 입력 이미지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움직임이 지정된 수준을 벗어나는 경우(예: 움직임이 큰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예: 움직임이 적은 경우) 보다 많은 입력 이미지를 이용하여 안정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200)이다. 그리고,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정화 레벨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300)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12의 동작들은, 도 7의 동작 730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일 수 있으며,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동안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 정보는 주변 밝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1220에서 추가 정보 또는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안정화 레벨(또는 보정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이미지 흔들림 보정 중에 발생되는 이미지 지터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보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밝기 및 움직임이 지정된 제 1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예: 실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큰 경우)에 흔들림 보정 성능을 제 1 레벨로 낮추고 이미지 지터 개선 성능을 제 2 레벨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주변 밝기 및 움직임이 지정된 제 2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예: 실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는 흔들림 보정 성능을 제 2 수준으로 증가시키고 이미지 지터 개선 성능을 제 1 레벨로 낮출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전자 장치(또는 이미지)의 움직임이 지정된 수준을 만족하는 경우(예: 이미지 지터가 발생되지 않는 정도로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 셔터 스피드를 제 1 속도로 낮추고 움직임이 지정된 수준을 벗어나는 경우(예: 이미지 지터가 발생되는 정도로 움직임이 큰 경우) 셔터 스피드를 제 2 속도로 높임으로써 이미지 지터의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1230에서, 결정된 안정화 레벨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안정화 레벨을 통지하는 알림 정보를 표시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이 작은 입력 이미지(1310)에 대한 안정화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작은 움직임(또는 낮은 안정화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정보(1312)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이 큰 입력 이미지(1320)에 대한 안정화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큰 움직임(또는 큰 안정화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정보(1322)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흐름도(1400)이다. 그리고,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정화 방식 선택 가이드를 제공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500)이다.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1410에서, 이미지 획득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획득 모드는 제 1 카메라(310)(또는 제 1 이미지 획득 장치) 또는 제 2 카메라(320)(또는 제 2 이미지 획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1420에서, 안정화 방식 선택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안정화 방식 선택 가이드는 제 1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안정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지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정화 방식은, 도 5a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310)를 통하여 획득된 복수의 제 1 사이즈 이미지들(502)로부터 제 1 마진 영역(예: d1, d2)을 확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제 2 안정화 방식은, 도 5b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카메라(320)를 통하여 획득된 복수의 제 2 사이즈 이미지들(512)로부터 제 2 마진 영역(예: d3, d4)을 확보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획득 모드가 실행된 상태(1510)에서 안정화 방식 선택 가이드를 시각적으로 출력(1520)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안정화 방식 선택 가이드는 청각적, 촉각적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1430에서, 입력에 기초하여 안정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출력된 안정화 방식 선택 가이드를 통해 감지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안정화 방식 또는 제 2 안정화 방식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1440에서, 결정된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결정된 안정화 방식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제 1 안정화 방식이 선택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카메라(3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제 2 안정화 방식이 선택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2 카메라(3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프로세서(340))는, 동작 1450에서,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40)는 비디오 디지털 이미지 안정화(video digital image stabiliz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미지 획득 모드가 수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안정화 방식은, 제 1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안정화 방식과, 상기 제 1 마진 영역보다 큰 제 2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2 안정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안정화 방식이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화각을 가지는 제 1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동작 및 상기 제 2 안정화 방식이 결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화각보다 넓은 제 2 화각을 가지는 제 2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속도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 획득 속도 및 상기 움직임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의 검출 빈도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된 검출 빈도로 변경이 불가한 경우,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가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보정을 위한 안정화 경로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 밝기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주변 밝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안정화 동작의 강도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정화 동작의 강도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된 강도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이미지 안정화 방식 또는 상기 제 2 이미지 안정화 방식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된 움직임이 안정화 방식 변경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선택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다른 이미지 안정화 방식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른 이미지 안정화 방식으로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변경된 이미지 안정화 방식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화각을 가지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화각보다 넓은 제2 화각을 가지는 제2 카메라;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카메라 또는 상기 제2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이미지 획득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에 대응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에서, 제1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제1 안정화 레벨 보다 큰 제2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1 그래픽 객체 또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움직임 정보와 제1 크기의 제1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제2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세트 또는 제2 이미지 세트에 대응되는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에 동영상 촬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1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2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영역을 크롭(crop)하는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영역을 크롭하는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화각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제1 마진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크롭하고,
    상기 제2 화각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제2 마진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크롭하는 전자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세트에 대응하는 제3 화각은 상기 제1 화각보다 좁고,
    상기 제2 이미지 세트에 대응하는 제4 화각은 상기 제2 화각보다 좁은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이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1 알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이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알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화각을 가지는 제1 카메라;
    상기 제1 화각보다 넓은 제2 화각을 가지는 제2 카메라;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 대해 상기 움직임 정보와 제1 크기의 제1 마진 영역을 기초로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에 대응하는 제1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에서 제2 안정화 방식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상기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제2 마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에 대응하는 제2 안정하 레벨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세트 또는 제2 이미지 세트에 대응되는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에 동영상 촬영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1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2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영역을 크롭(crop)하는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영역을 크롭하는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화각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제1 마진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크롭하고,
    상기 제2 화각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제2 마진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크롭하는 전자 장치.
  11. 제1 화각을 갖는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화각보다 넓은 제2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또는 상기 제2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이미지 획득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상기 제1 카메라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에 대응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에서, 제1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제1 안정화 레벨 보다 큰 제2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그래픽 객체 또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움직임 정보와 제1 크기의 제1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제2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1 이미지 세트 또는 제2 이미지 세트에 대응되는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에 동영상 촬영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1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2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영역을 크롭(crop)하는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영역을 크롭하는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각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제1 마진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크롭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화각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제2 마진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크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세트에 대응하는 제3 화각은 상기 제1 화각보다 좁고,
    상기 제2 이미지 세트에 대응하는 제4 화각은 상기 제2 화각보다 좁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이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1 알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이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알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 화각을 갖는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화각보다 넓은 제2 화각을 갖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모션 센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 대해 상기 움직임 정보와 제1 크기의 제1 마진 영역을 기초로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에 대응하는 제1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에서 제2 안정화 방식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상기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제2 마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에 대응하는 제2 안정하 레벨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1 이미지 세트 또는 제2 이미지 세트에 대응되는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에 동영상 촬영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1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2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영역을 크롭(crop)하는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영역을 크롭하는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각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제1 마진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을 크롭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화각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영역에서 상기 제2 마진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크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1.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또는 상기 제2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이미지 획득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상기 제1 카메라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에 대응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에서, 제1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제1 안정화 레벨 보다 큰 제2 안정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그래픽 객체 또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움직임 정보와 제1 크기의 제1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제1 안정화 방식을 수행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제2 마진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해 제2 안정화 방식을 수행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제1 이미지 세트 또는 제2 이미지 세트에 대응되는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에 동영상 촬영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1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1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 세트이면, 상기 제2 안정화 방식에 따라 안정화된 제2 이미지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141884A 2019-02-19 2023-10-23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713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1884A KR102713694B1 (ko) 2019-02-19 2023-10-23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77A KR102710139B1 (ko) 2019-02-19 2019-02-19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230141884A KR102713694B1 (ko) 2019-02-19 2023-10-23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477A Division KR102710139B1 (ko) 2019-02-19 2019-02-19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32476A Division KR20240150738A (ko) 2024-09-30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925A true KR20230150925A (ko) 2023-10-31
KR102713694B1 KR102713694B1 (ko) 2024-10-07

Family

ID=720425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477A KR102710139B1 (ko) 2019-02-19 2019-02-19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230141884A KR102713694B1 (ko) 2019-02-19 2023-10-23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477A KR102710139B1 (ko) 2019-02-19 2019-02-19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558553B2 (ko)
EP (1) EP3909233A4 (ko)
KR (2) KR102710139B1 (ko)
CN (3) CN116896675A (ko)
WO (1) WO2020171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6774A (ja) * 2019-02-14 2020-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を検出する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2710139B1 (ko) * 2019-02-19 2024-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470254B1 (en) * 2019-06-21 2022-10-11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stabilization of videos
KR20220101470A (ko) * 2021-01-11 2022-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흔들림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51451A (ko) * 2021-05-06 2022-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347504B (zh) * 2021-05-31 2022-10-1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图像防抖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WO2022255612A1 (en) * 2021-06-03 2022-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tifying an image
JP2023005846A (ja) * 2021-06-29 2023-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KR20230023506A (ko) * 2021-08-10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안정화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5714915A (zh) * 2021-08-12 2023-02-24 蒂普爱可斯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图像稳定化方法及其相机模块
CN116723382B (zh) * 2022-02-28 2024-05-03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相关设备
WO2023250261A1 (en) * 2022-06-21 2023-12-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image capture device configuration for improved image stabilization
WO2024014761A1 (ko) * 2022-07-15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023A (ko) * 2013-03-22 2014-10-0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60087682A (ko) * 2015-01-14 2016-07-22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장치 및 손떨림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83439A (ko) * 2016-01-08 201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센서 동작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65B2 (ja) 1980-07-05 1984-03-09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透磁率の温度係数が負となる磁性材料
JPS6027412Y2 (ja) 1981-11-04 1985-08-19 名伸電機株式会社 封印具
JPS5910565U (ja) 1983-04-20 1984-01-23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溶融ガラス貯槽
JPH0767015A (ja) * 1993-08-24 1995-03-10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US6747691B1 (en) 1997-09-09 2004-06-08 Minolta Co., Ltd. Apparatus capable of determining shake of the apparatus relative to an object
US6510283B1 (en) * 1999-11-22 2003-01-21 Canon Kabushiki Kaisha Photo-ta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dapted for the photo-tak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supplying control program adapted for the photo-taking apparatus
JP2002333644A (ja) 2001-05-10 2002-11-22 Canon Inc 像振れ検出装置
JP4164424B2 (ja) * 2003-08-29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方法
JP5869876B2 (ja) 2011-12-27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4171110A (ja) 2013-03-04 2014-09-18 Canon Inc 映像再生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910565B2 (ja) 2013-04-11 2016-04-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撮影装置および動画像揺れ補正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600163B2 (ja) * 2014-08-19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068407A (ko) * 2014-12-05 2016-06-15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9525821B2 (en) * 2015-03-09 2016-12-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deo stabilization
JP6598549B2 (ja) * 2015-07-23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52681B1 (ko) 2015-07-27 202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안정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JP6600232B2 (ja) * 2015-11-05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及び方法
JP6652300B2 (ja) * 2016-01-14 2020-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2520225B1 (ko) * 2016-06-30 202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촬영 방법
KR102537210B1 (ko) * 2016-07-29 2023-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7770433B (zh) * 2016-08-15 2020-08-04 广州立景创新科技有限公司 影像获取装置及其影像平顺缩放方法
KR102328539B1 (ko) * 2017-07-27 2021-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KR102348504B1 (ko) * 2017-08-23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간의 시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85360B1 (ko) * 2017-09-19 202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033928B2 (ja) * 2018-01-12 2022-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防振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71698B2 (en) * 2018-08-31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Image stabilization using machine learning
KR102710139B1 (ko) * 2019-02-19 2024-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023A (ko) * 2013-03-22 2014-10-0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60087682A (ko) * 2015-01-14 2016-07-22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장치 및 손떨림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83439A (ko) * 2016-01-08 201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센서 동작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58553B2 (en) 2023-01-17
CN118118784A (zh) 2024-05-31
EP3909233A1 (en) 2021-11-17
US12069369B2 (en) 2024-08-20
CN113454982A (zh) 2021-09-28
US20240314434A1 (en) 2024-09-19
US20200267320A1 (en) 2020-08-20
WO2020171583A1 (en) 2020-08-27
US20230113885A1 (en) 2023-04-13
CN113454982B (zh) 2024-04-19
KR20200101180A (ko) 2020-08-27
EP3909233A4 (en) 2022-03-09
KR102713694B1 (ko) 2024-10-07
KR102710139B1 (ko) 2024-09-26
CN116896675A (zh)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13694B1 (ko)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64504B2 (en) Method for reducing parallax of multiple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385360B1 (ko)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25000B1 (ko) 복수의 이미지들이 합성된 이미지를 깊이 정보에 기반하여 흐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45667B1 (ko)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671701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ommending compos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82871B1 (ko) 렌즈의 포커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330264B1 (ko)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90476A (ko) 단일 카메라로 줌 시나리오에서 화질 향상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EP371829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focus of camera
US11297237B2 (en) Electronic device for auto focusing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92620A (ko) 카메라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57559B1 (ko)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40150738A (ko)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92762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의 가림을 인식하는 방법
KR20240010372A (ko) 카메라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40050969A (ko) 슬로우 셔터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