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652A -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652A
KR20230148652A KR1020220047708A KR20220047708A KR20230148652A KR 20230148652 A KR20230148652 A KR 20230148652A KR 1020220047708 A KR1020220047708 A KR 1020220047708A KR 20220047708 A KR20220047708 A KR 20220047708A KR 20230148652 A KR20230148652 A KR 20230148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o
ginger
mixture
aged
pre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호 filed Critical 조정호
Priority to KR102022004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652A/ko
Publication of KR2023014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6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을 포함한 토란 고약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껍질을 깎고 세척한 토란을 준비하는 제 1 단계,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찌는 제 2 단계, 상기 찐 토란을 2번 분쇄하는 제 3 단계, 볶은 소금, 방부제를 준비하여 상기 분쇄한 토란과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상기 토란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0.5 내지 1.5 중량부를 준비하여 분쇄하는 제 6 단계, 상기 분쇄된 생강에 방부제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7 단계, 상기 생강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8 단계,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물과 섞는 제 9 단계, 유근피와 밀가루를 준비하여, 상기 제 9 단계의 결과물과 혼합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aro ointment compositon containing ginger}
본 발명은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찐 토란을 숙성하고, 생 생강을 숙성한 뒤, 타 재료들과 섞어 재숙성하여 사용함으로써 관절의 붓기, 염좌, 통증완화, 타박상 등에 효과적이며 자극적이지 않은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남성과에 속하는 토란 (Colocasia esculenta L. Schott)은 이용가치가 높은 구황작물로 한국뿐만 아니라 인도, 인도네시아 등에 서식한다. 토란은 생산과 소비지역에 따라 taro, dasheen, eddoe 등으로 불리며, 수분을 제외하고 dextrin과 sucrose, galactan, galactose, mannose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토란은 생식을 하면 약간의 독이 있으며, 피와 원기를 보호하여 숙혈과 사기를 없애주는 특효약으로 민간요법에 이용되었다고 한다.
생강은 알싸하고 매운맛이 특징인데 이 맛은 진저롤(Gingerol), 쇼가올(Shogaols)이라는 성분에 의해 나타난다. 진저롤과 쇼가올은 혈액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돕는데, 체내에 산소와 영양을 전달하고 혈압과 체온을 정상화시켜 손발이 차갑거나 저리는 등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을 제거해 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진저롤과 쇼가올은 살균, 항균, 항산화 효과도 선사한다.
그러나, 기존 기술은 토란과 생강에 따로 전처리를 진행하지 않고 생 토란과 생 생강을 사용하며, 숙성과정 없이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화상을 입은 듯 화끈거리는 자극감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좁쌀모양의 뾰루지가 발현되는 등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34877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찐 토란을 숙성하고, 생 생강을 숙성한 뒤, 타 재료들과 섞어 재숙성하여 사용함으로써 관절의 붓기, 염좌, 통증완화, 타박상 등에 효과적이며 자극적이지 않은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껍질을 깎고 세척한 토란을 준비하는 제 1 단계,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찌는 제 2 단계, 상기 찐 토란을 2번 분쇄하는 제 3 단계, 볶은 소금, 방부제를 준비하여 상기 분쇄한 토란과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상기 토란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0.5 내지 1.5 중량부를 준비하여 분쇄하는 제 6 단계, 상기 분쇄된 생강에 방부제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7 단계, 상기 생강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8 단계,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물과 섞는 제 9 단계, 유근피와 밀가루를 준비하여, 상기 제 9 단계의 결과물과 혼합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7 내지 11 분 동안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볶은 소금 0.5 내지 1.5 중량부, 상기 방부제 0.1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9 단계, 상기 제 10 단계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0.3 내지 0.7 중량부, 상기 유근피 0.0025 내지 0.0035 중량부, 상기 밀가루 4.5 내지 5.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 단계, 상기 제 8 단계의 숙성은, 0 내지 5℃의 온도에서 5 내지 7개월 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1 단계의 숙성은, 0 내지 5℃의 온도에서 2 내지 3개월 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찐 토란을 숙성하고, 생 생강을 숙성한 뒤, 타 재료들과 섞어 재숙성하여 사용함으로써 관절의 붓기, 염좌, 통증완화, 타박상 등에 효과적이며 자극적이지 않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로 제조된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껍질을 깎고 세척한 토란을 준비하는 제 1 단계(S1),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찌는 제 2 단계(S2), 상기 찐 토란을 2번 분쇄하는 제 3 단계(S3), 볶은 소금, 방부제를 준비하여 상기 분쇄한 토란과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S4), 상기 토란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5 단계(S5),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0.5 내지 1.5 중량부를 준비하여 분쇄하는 제 6 단계(S6), 상기 분쇄된 생강에 방부제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7 단계(S7), 상기 생강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8 단계(S8),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물과 섞는 제 9 단계(S9), 유근피와 밀가루를 준비하여, 상기 제 9 단계(S9)의 결과물과 혼합하는 제 10 단계(S10), 상기 제 10 단계(S10)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11 단계(S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껍질을 깎고 세척한 토란을 준비하는 제 1 단계(S1)가 이뤄진다.
토란 (Colocasia esculenta L. Schott)은 이용가치가 높은 구황작물로 한국뿐만 아니라 인도, 인도네시아 등에 서식한다. 토란은 생산과 소비지역에 따라 taro, dasheen, eddoe 등으로 불리며, 수분을 제외하고 dextrin과 sucrose, galactan, galactose, mannose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토란은 생식을 하면 약간의 독이 있으며, 피와 원기를 보호하여 숙혈과 사기를 없애주는 특효약으로 민간요법에 이용되었다고 한다. 토란에 풍부하게 함유된 칼륨 성분은 체내에 축적된 염증과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이뇨 작용에 뛰어난 효능이 있다. 이렇게 염증이 배출됨에 따라 몸의 붓기나 부종 증상을 개선하는데도 토란 효능은 많은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찌는 제 2 단계(S2)가 이뤄진다.
상기 제 2 단계(S2)는, 7 내지 11 분 동안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토란을 쪄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생토란을 사용할 시 토란에서 물이 많이 나오면서 물러져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이 진득한 제형이 되어 고약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어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토란의 경우 수산칼슘이 함유되어 있다. 이런 수산칼슘에 의해 토란은 맨손으로 손질하게 되면 가려움증이나 손이 쓰린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의 수산칼슘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염증을 억제시키고, 붓기를 낫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므로, 그 함량이 적절하도록 조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토란 고약으로 제조되었을 때 수산칼슘에 의한 화끈거림, 따가움 등의 자극성이 발현될 수 있어 찌는 과정을 진행하지만, 다소 과하게 찌게 되면 토란에 의한 염증을 억제시키고, 붓기를 낫게 하는 효과가 사라지므로 본 발명인 생강을 함유한 토란 고약 조성물 제조방법에서는 반드시 적절한 시간 동안 쪄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찌는 시간은 7 내지 11분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토란의 내부는 다소 설익은 상태, 토란의 외부는 익은 상태로 제조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토란을 7분보다 적게 찌면, 토란의 외부도 익지 않아 토란에서 물이 많이 나오면서 물러져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이 진득한 제형이 되어 고약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토란을 11분보다 많이 찌면, 토란이 내부까지 익어버리면서 토란의 영양성분이 파괴될 수 있고, 질병의 원인이 되는 염증을 억제시키고, 붓기를 낫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산칼슘 또한 파괴되면서 고약의 효능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토란은 끓는 물에서 9분간 쪄서 외부는 익어 물이 나오지 않고, 내부는 설익어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찌는 과정에서 토란이 물이 닿지 않도록 조심히 넣어 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찐 토란을 2번 분쇄하는 제 3 단계(S3)가 이뤄진다.
다음으로, 볶은 소금, 방부제를 준비하여 상기 분쇄한 토란과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S4)가 이뤄진다.
상기 제 4 단계(S4)는,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볶은 소금 0.5 내지 1.5 중량부, 상기 방부제 0.1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볶은 소금은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볶은 소금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추후 토란의 숙성과정에서 토란에 상기 볶은 소금이 충분히 침투하지 않으면서, 토란이 부패하여 고약으로 제조 시 효능이 하락할 수 있고, 상기 볶은 소금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에 소금이 다소 많이 함유되어, 상처부위에 올려두었을 때 상처부위가 따가운 문제가 발현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추후 토란의 숙성과정에서 토란이 부패하지 않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부제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상기 방부제가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토란이 쉽게 부패할 수 있고, 0.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면, 0.3 중량부로 포함되었을 때와 큰 차이가 없다. 즉, 방부제는 저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인체에 더욱 무해하므로 상기 방부제는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볶은 소금 1.0 중량부, 상기 방부제 0.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토란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5 단계(S5)가 이뤄진다.
상기 제 5 단계(S5)의 숙성은, 0 내지 5℃의 온도에서 5 내지 7개월 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 단계(S5)는 숙성을 통해, 상처나 염증부위에 부착하였을 때 따갑거나 화끈거리는 등의 문제는 발현시키지 않으면서도 질병의 원인이 되는 염증을 억제시키고, 붓기를 낫게 해줄 수 있을 정도로 수산칼슘을 남길 수 있다. 즉, 토란은 상기 제 3 단계(S3)의 찌는 단계를 진행하여도 자극감을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숙성과정을 진행하여 상처, 염증부위에 자극감을 발현시키지 않으면서도 치료는 가능하도록 제조하기 위해서 숙성을 진행한다. 숙성을 충분히 진행하지 않고 토란고약으로 제조한다면, 상처나 염증에 고약을 발랐을 때, 적절치 못한 수산칼슘 함량에 의해 상처 부위가 화상입은 듯이 화끈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숙성이 0℃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면, 상기 토란이 얼면서 충분히 숙성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5℃보다 높은 온도에서 진행되면, 상기 토란이 쉽게 부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이 5개월보다 적게 진행되면 숙성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여전히 상처나 염증에 고약을 발랐을 때, 적절치 못한 수산칼슘 함량에 의해 상처 부위에 화상을 입은 듯이 화끈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개월보다 많이 진행되면 숙성이 과도하게 진행되면서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숙성은 3℃에서 6개월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0.5 내지 1.5 중량부를 준비하여 분쇄하는 제 6 단계(S6)가 이뤄진다.
생강은, 0.25~3.0%의 정유를 함유하고 있는데 주성분은 zingiberol, zingiberene, phellandrene, camphene, citral, linalool, methylheptenone, nonylaldehyde, d-borneol 등이다. 또한 매운 성분인 gingerol도 함유하고 있는데 분해하면 기름 모양의 매운 성분인 shogaol과 결정성의 매운 성분인 zingerone의 혼합물로 변한다. 또한 asparagic acid, serine, glycine 등도 함유하고 있다. 생강은 반하, 후박, 천남성, 물고기, 새고기, 짐승의 고기를 먹고 체한 것을 해독한다. 혹은 짓찧어서 즙을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시 짓찧어서 붙이거나 환부에 문지르고 또는 뜨겁게 볶은 것으로 환부를 찜질한다.
상기와 같은 효능을 지닌 생강을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키면 생강으로 인한 소염진통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생강 함유량이 다소 과하여 생강의 독성에 의해 상처 부위에 고약을 발랐을 때, 상처 부위가 화상입은 듯이 화끈하거나 좁쌀 같은 뾰루지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생강에 방부제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7 단계(S7)가 이뤄진다.
여기서, 상기 방부제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0.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며, 추후 생강의 숙성과정에서 생강이 부패하지 않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부제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부제가 0.0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생강이 쉽게 부패할 수 있고, 0.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0.05 중량부로 포함되었을 때와 큰 차이가 없다. 즉, 방부제는 저농도로 포함되어야 인체에 무해하므로, 생강의 부패를 막기 위해서는 상기 방부제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0.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부제 0.0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생강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8 단계(S8)가 이뤄진다.
상기 제 8 단계(S8)의 숙성은, 0 내지 5℃의 온도에서 5 내지 7개월 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8 단계(S8)는 숙성을 통해, 생 생강을 사용하여도 상처부위에 독성을 띄지 않고 소염진통제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게끔 생강의 매운 특성을 낮추는 단계이다. 여기서, 숙성을 충분히 진행하지 않고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으로 제조한다면, 상처나 염증 부위에 고약을 발랐을 때, 피부에 화상입은 듯이 화끈거리는 등 자극감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숙성이 0℃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면, 상기 생강이 얼면서 충분히 숙성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5℃보다 높은 온도에서 진행되면, 상기 생강이 쉽게 부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이 5개월보다 적게 진행되면 숙성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여전히 상처 부위에 고약을 발랐을 때, 상처 부위에 화상을 입은 듯이 화끈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개월보다 많이 진행되면 숙성이 과도하게 진행되면서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숙성은 3℃에서 6개월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물과 섞는 제 9 단계(S9)가 이뤄진다.
상기 제 9 단계(S9)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0.3 내지 0.7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9 단계(S9)는 물과 혼합함으로써,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이 적절히 섞일 수 있도록 돕는 단계로,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이 0.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토란혼합물과 상기 생강혼합물이 충분히 섞이지 못하여 토란고약으로 사용하기에 제형이 적절치 못하여 고약의 효능이 하락할 수 있고, 0.7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물 양이 많을 뿐 아니라, 추후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에서 즙이 나오면서 끈적해져 제형이 묽어지면서 고약으로의 효능이 하락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0.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유근피와 밀가루를 준비하여, 상기 제 9 단계(S9)의 결과물과 혼합하는 제 10 단계(S10)가 이뤄진다.
상기 제 10 단계(S10)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근피 0.0025 내지 0.0035 중량부, 상기 밀가루 4.5 내지 5.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근피는, 맛이 달고, 성질은 평하며 무독하고 귀경은 위, 대장, 소장경이며, 이수(利水), 통림(通淋), 소종(消腫) 및 이관절(利關節)의 효능이 있고 소변불통, 임탁(淋濁), 수종(水腫), 단독(丹毒) 및개선(疥癬), 늑막염, 유선염 등을 치료하며 수도를 잘통하게 하고 사기와 장위(腸胃)의 사열(邪熱) 등에도 사용되고부은 것을 빠지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외용(外用)으로는환부에 붙여 소염제로 이용해온 재료이다.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근피가 0.002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근피에 의한 소염 항염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여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유근피가 0.003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완료된 생강을 포함한 토란 고약에서 g당 생강과 토란의 함량이 줄어들면서 토란 및 소염에 의한 소염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여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근피가 0.00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가루는, 상기 제 9 단계(S9)의 결과물과, 유근피가 잘 뭉치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4.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잘 뭉쳐지지 않아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이 뭉쳐지지 않고 흩날리는 등 고약으로 사용하기에 제형이 적절치 못하여 고약으로서 효능이 하락할 수 있고, 5.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이 다소 과하게 뭉쳐지며 고약으로 사용하기에 제형이 적절치 못하여 고약으로서 효능이 하락할 수 있다. 또한, 고약 하나 당 포함되는 토란, 생강, 유근피 함량이 적어지면서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10 단계(S10)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11 단계(S11)가 이뤄진다.
상기 제 11 단계(S11)의 숙성은, 0 내지 5℃의 온도에서 2 내지 3개월 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1 단계(S11)는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 상기 유근피가 숙성되면서 서로 적절히 융합되고 발효되어 본 발명인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으로 제조하였을 때, 상처·염증부위의 항염·소염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는 단계이다.
즉, 상기 숙성이 0℃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면,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 상기 유근피가 얼면서 토란의 수산칼슘, 생강의 독성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면서 자극감이 발현될 수 있고, 5℃보다 높은 온도에서 진행되면,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 상기 유근피가 쉽게 부패되면서 고약으로서의 효능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이 2개월보다 적게 진행되면 숙성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서로 충분히 융합되지 않아 제조완료된 생강을 포함하는 상처, 염증 부위가 화끈거리는 자극감이 발현될 수 있고, 토란고약의 효능도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3개월보다 많이 진행되면 숙성이 과도하게 진행되면서 상처나 염증이 충분히 치유되지 않는 등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숙성은 3℃에서 6개월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인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이용하면, 도 2와 같이 하부에 마련되는 제 1 비닐(10), 상기 제 1 비닐(10)의 상부에 마련되는 거즈(20), 상기 거즈(20)의 상부에 마련되는 본 발명인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30), 상기 토란 고약 조성물(30) 상부에 마련되는 제 2 비닐(40)을 포함하여 토란 고약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비닐(40) 상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란 고약이 되는데 압력은 일반적으로 고약이나, 게토톱 등 통증 파스를 제조할 때의 압력과 유사하게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생강을 포함한 토란 고약 조성물을 이용한 토란 고약은 제 1 비닐(10)을 떼고 상처나 염증 부위에 붙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30)은 통상적으로 1g 정도로 마련되면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처나 염증 부위의 심각성에 따라 효과적인 양만큼 사용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인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의 자극감 시험, 인체에서 환부 증상의 개선 시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자극감 시험은 인체에서 환부 증상 개선 시험은, 하기에 기재된 비교예 및 실시예의 방법들로 제조된 토란 고약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따가움,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에 민감한 패널 15명을 대상으로 하기에 기재된 비교예 및 실시예의 방법들로 제조된 토란 고약을 각각 피부에 붙이고, 0.1점 단위로 하여 0~3.0 사이로 점수를 부여하여 따갑거나 화끈거리는 등의 자극감이 심할수록 3.0에 가까운 점수를 부여하고, 자극감이 전혀 없을 때 0점을 부여하였다. 평가점수에 따라 0~0.4는 자극 없음, 0.5~1.0은 약간 자극이 있음, 1.1~2.0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2.1~3.0 자극이 심함으로 기재하였다.
다음으로, 인체에서 환부 증상의 개선 시험은, 하기에 기재된 비교예 및 실시예의 방법들로 제조된 토란 고약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직경 1cm 정도의 타박상 상처가 있는 패널 15명을 대상으로 하기에 기재된 비교예 및 실시예의 방법들로 제조된 토란 고약을 각각 피부에 붙이고 이틀에 한번씩 토란 고약을 바꾸면서 일주일 간 토란 고약을 유지한 후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은, 일주일 후 상처에 전혀 흉이 남지 않았고 통증이 없다면 매우 양호, 흉이 남지 않았으나 약간의 통증이 남아있다면 양호, 흉이 옅어졌다면 보통, 상처가 채 아물지 않았다면 미흡, 상처의 직경이 여전히 1cm 정도로 남아있다면 매우 미흡으로 평가하였다.
(ㄱ) 재료들 전처리에 따른 자극감 시험 및 인체에서 환부 증상의 개선 시험
[비교예 1]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한 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5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7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11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13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토란
이용하는 토란 상태 토란 찌는 시간(분)
비교예 1 생 토란 X
비교예 2 찐 토란 5
실시예 1 찐 토란 7
실시예 2 찐 토란 9
실시예 3 찐 토란 11
비교예 3 찐 토란 13
구분 자극감 시험 인체에서 환부 증상의 개선 시험
비교예 1 자극이 심함 매우 미흡
비교예 2 자극 있음 미흡
실시예 1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2 자극 없음 매우 양호
실시예 3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3 자극 없음 미흡
표 1,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결과값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토란 전처리 과정 차이에서 기인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먼저, 비교예 1은, 생 토란을 사용하여, 토란에서 물이 많이 나오면서 물러지고,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이 진득하여 고약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아 환부 증상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토란에 함유된 수산칼슘이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여 다소 자극감이 있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2는 충분히 쪄지지 않아서, 외부가 충분히 익지 않았다고 판단되며, 그로 인해 토란에서 물이 많이 나오면서 물러지고,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이 진득하여 고약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아 환부 증상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토란에 함유된 수산칼슘에 의해 다소 자극감이 있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3은 토란이 다소 과하게 쪄지면서, 토란의 내부까지 익었다고 판단되며, 그로 인해 수산칼슘 등의 영양성분이 파괴되어 질병의 원인이 되는 염증을 억제시키고, 붓기를 낫게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여 환부 증상이 개선되지 못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생강을 이용한 토란 고약 조성물 제조방법에서는 반드시 찐 토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7 내지 11분 찌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분간 찌는 것이 바람직하다.
(ㄴ) 혼합 비율에 따른 자극감 시험 및 인체에서 환부 증상의 개선 시험
[비교예 4]
토란 5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물을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토란 5kg, 생강 0.5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토란 5kg, 생강 1.5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토란 5kg, 생강 2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토란 5kg, 생강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0.5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5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7]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2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8]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3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7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9]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900ml, 유근피 3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2.0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2.5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5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4.0g, 밀가루 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4.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4.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5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6.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포함되는,
생강
중량부
볶은 소금
중량부

중량부
유근피
중량부
밀가루
중량부
비교예 4 X 1.0 0.5 0.0030 5.0
실시예 4 0.5 1.0 0.5 0.0030 5.0
실시예 5 1.0 1.0 0.5 0.0030 5.0
실시예 6 1.5 1.0 0.5 0.0030 5.0
비교예 5 2.0 1.0 0.5 0.0030 5.0
비교예 6 1.0 X 0.5 0.0030 5.0
실시예 7 1.0 0.5 0.5 0.0030 5.0
실시예 8 1.0 1.5 0.5 0.0030 5.0
비교예 7 1.0 2.0 0.5 0.0030 5.0
비교예 8 1.0 1.0 X 0.0030 5.0
실시예 9 1.0 1.0 0.3 0.0030 5.0
실시예 10 1.0 1.0 0.7 0.0030 5.0
비교예 9 1.0 1.0 0.9 0.0030 5.0
비교예 10 1.0 1.0 0.5 X 5.0
비교예 11 1.0 1.0 0.5 0.0020 5.0
실시예 11 1.0 1.0 0.5 0.0025 5.0
실시예 12 1.0 1.0 0.5 0.0035 5.0
비교예 12 1.0 1.0 0.5 0.0040 5.0
비교예 13 1.0 1.0 0.5 0.0030 X
비교예 14 1.0 1.0 0.5 0.0030 4.0
실시예 13 1.0 1.0 0.5 0.0030 4.5
실시예 14 1.0 1.0 0.5 0.0030 5.5
비교예 15 1.0 1.0 0.5 0.0030 6.0
구분 자극감 시험 인체에서 환부 증상의 개선 시험
비교예 4 자극 없음 미흡
실시예 4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5 자극 없음 매우 양호
실시예 6 자극 없음 매우 양호
비교예 5 자극이 심함 양호
비교예 6 약간 자극이 있음 미흡
실시예 7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8 자극 없음 매우 양호
비교예 7 보통 정도의 자극 양호
비교예 8 자극 없음 매우 미흡
실시예 9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10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9 자극 없음 미흡
비교예 10 자극 없음 미흡
비교예 11 자극 없음 미흡
실시예 11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12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12 자극 없음 미흡
비교예 13 자극 없음 매우 미흡
비교예 14 자극 없음 미흡
실시예 13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14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15 자극 없음 미흡
표 3, 표 4와 같이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14의 시험 결과가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혼합 비율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4의 경우, 생강이 아예 함유되지 않아, 생강으로 인한 소염진통 효 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5의 경우, 생강 함유량이 많아 상처 부위에 고약을 발랐을 때, 상처 부위가 화상입은 듯이 화끈거리는 등의 자극감이 발현되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6의 경우, 볶은 소금이 아예 함유되지 않아, 토란의 숙성과정에서 토란이 부패되면서 토란의 수산칼슘 성분이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여 자극감이 발현되었고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7의 경우, 볶은 소금 함유량이 많아,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에 소금이 다소 많이 함유되어, 상처부위에 올려두었을 때 상처부위가 따갑거나 하는 등 자극감이 다소 발현되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8의 경우, 물이 아예 함유되지 않아, 상기 토란혼합물과 상기 생강혼합물이 충분히 섞이지 않으면서 고약으로써의 제형으로 제조되지 못하여 효능이 하락하였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9의 경우, 물의 함유량이 많아 추후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에서 즙이 나오면서 끈적해져 제형이 묽어져 고약으로써의 제형으로 제조되지 못하여 효능이 하락하였다고 판단되며, 제조완료된 생강을 포함한 토란 고약에서 토란과 생강의 비율이 줄어들면서 토란 및 생강에 의한 소염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10, 비교예 11의 경우, 유근피가 아예 함유되지 않거나, 유근피 함유량이 적어, 유근피에 의한 소염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12의 경우, 유근피가 많이 함유되면서, 제조완료된 생강을 포함한 토란 고약에서 토란과 생강의 비율이 줄어들면서 토란 및 생강에 의한 소염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13, 비교예 14의 경우, 밀가루가 아예 함유되지 않거나, 밀가루 함유량이 적어, 잘 뭉쳐지지 않아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이 뭉쳐지지 않고 흩날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고약으로써의 제형으로 제조되지 못하여 효능이 하락하였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15의 경우, 밀가루 함유량이 많아, 제조완료된 토란고약이 다소 과하게 뭉쳐지며, 잘 펴발라지지 않는 문제가 발현되며 그로 인해 고약으로써의 제형으로 제조되지 못하여 효율이 하락하였다고 판단되며, 제조완료된 생강을 포함한 토란 고약에서 토란과 생강의 비율이 줄어들면서 토란 및 생강에 의한 소염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14와 같이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0.5 내지 1.5 중량부, 볶은 소금 0.5 내지 1.5 중량부, 물 0.3 내지 0.7 중량부, 유근피 0.0025 내지 0.0035 중량부, 밀가루 4.5 내지 5.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1.0 중량부, 볶은 소금 1.0 중량부, 물 0.5 중량부, 유근피 0.0030 중량부, 밀가루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ㄷ) 숙성에 따른 자극감 시험 및 인체에서 환부 증상의 개선 시험
[비교예 16]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7]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4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5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7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8]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8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9]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0℃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5℃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0]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8℃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2]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4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5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7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3]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8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4]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0℃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5℃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5]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8℃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6]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7]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1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3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8]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4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9]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0℃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5℃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0]
토란 5kg, 생강 1kg, 볶은 소금 1kg, 방부제 총 240g, 물 500ml, 유근피 3g, 밀가루 5.0kg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토란의 껍질을 깎고 세척하고,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9분 동안 찐 후, 상기 토란을 2번 분쇄하고, 상기 토란, 상기 볶은 소금, 상기 방부제 중 200g을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생강을 분쇄하고, 상기 방부제 중 남은 40g을 상기 생강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고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상기 물과 섞고, 상기 유근피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후 8℃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여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 고약 조성물을 제조한 뒤, 1g을 이용하여 토란 고약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토란 숙성 생강 숙성 토란혼합물, 생강혼합물, 물, 유근피, 밀가루 숙성
기간(개월) 온도(℃) 기간(개월) 온도(℃) 기간(개월) 온도(℃)
비교예 16 X X 6 3 2 3
비교예 17 4 3 6 3 2 3
실시예 15 5 3 6 3 2 3
실시예 16 6 3 6 3 2 3
실시예 17 7 3 6 3 2 3
비교예 18 8 3 6 3 2 3
비교예 19 6 -3 6 3 2 3
실시예 18 6 0 6 3 2 3
실시예 19 6 5 6 3 2 3
비교예 20 6 8 6 3 2 3
비교예 21 6 3 X X 2 3
비교예 22 6 3 4 3 2 3
실시예 20 6 3 5 3 2 3
실시예 21 6 3 7 3 2 3
비교예 23 6 3 8 3 2 3
비교예 24 6 3 6 -3 2 3
실시예 22 6 3 6 0 2 3
실시예 23 6 3 6 5 2 3
비교예 25 6 3 6 8 2 3
비교예 26 6 3 6 3 X X
비교예 27 6 3 6 3 1 3
실시예 24 6 3 6 3 3 3
비교예 28 6 3 6 3 4 3
비교예 29 6 3 6 3 2 -3
실시예 25 6 3 6 3 2 0
실시예 26 6 3 6 3 2 5
비교예 30 6 3 6 3 2 8
구분 자극감 시험 인체에서 환부 증상의 개선 시험
비교예 16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양호
비교예 17 약간 자극이 있음 양호
실시예 15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16 자극 없음 매우 양호
실시예 17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18 자극 없음 미흡
비교예 19 약간 자극이 있음 미흡
실시예 18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19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20 약간 자극이 있음 미흡
비교예 21 자극이 심함 양호
비교예 22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양호
실시예 20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21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23 자극 없음 미흡
비교예 24 약간 자극이 있음 미흡
실시예 22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23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25 약간 자극이 있음 미흡
비교예 26 자극이 심함 미흡
비교예 27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미흡
실시예 24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28 자극 없음 미흡
비교예 29 약간 자극이 있음 미흡
실시예 25 자극 없음 양호
실시예 26 자극 없음 양호
비교예 30 약간 자극이 있음 미흡
표 5, 표 6을 통해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26 의 시험 결과가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숙성 과정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16, 비교예 17은 토란의 숙성과정이 없거나, 숙성 기간이 짧아, 숙성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적절치 못한 양의 수산칼슘이 남아있었을 수 있고 그로인해 여전히 상처 부위에 고약을 발랐을 때, 화상을 입은 듯이 화끈거리는 등 자극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18은 토란의 숙성 기간이 길어, 숙성이 과도하게 진행되면서 재료들이 부패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로 인해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다소 사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현되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19는 토란의 숙성 온도가 낮아 상기 토란이 얼면서 토란의 효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판단되고, 적절치 못한 수산칼슘의 양으로 약간의 자극감이 발현되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20은 토란의 숙성 온도가 높아 상기 토란이 쉽게 부패되면서 토란의 효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판단되고, 적절치 못한 수산칼슘의 양으로 약간의 자극감이 발현되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21, 비교예 22는 생강의 숙성과정이 없거나, 숙성 기간이 짧아, 숙성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생강의 독성이 남아있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상처 부위에 고약을 발랐을 때, 상처 부위에 화상을 입은 듯이 화끈거리는 등 자극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23은 생강의 숙성 기간이 길어 숙성이 과도하게 진행되면서 생강이 효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24는 생강의 숙성 온도가 낮아, 상기 토란이 얼면서 충분히 숙성이 진행되지 않아,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판단되고, 독성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약간의 자극감이 발현되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25는 생강의 숙성 온도가 높아, 상기 생강이 쉽게 부패되면서 생강의 효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판단되고, 독성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약간의 자극감이 발현되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26, 비교예 27은 토란혼합물, 생강혼합물, 물, 유근피, 밀가루 숙성과정이 없거나, 숙성 기간이 짧아 토란의 수산칼슘 성분과 생강의 독성이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였다고 판단되며, 서로 충분히 융합되지 않아 제조완료된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28은 토란혼합물, 생강혼합물, 물, 유근피, 밀가루 숙성 기간이 길어, 숙성이 과도하게 진행되면서 고약으로써의 효능이 충분하지 못했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29는 토란혼합물, 생강혼합물, 물, 유근피, 밀가루 숙성 온도가 낮아,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 상기 유근피가 얼면서 토란의 수산칼슘 성분과 생강의 독성이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였다고 판단되며, 서로 충분히 융합되지 않아 제조완료된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비교예 30은 토란혼합물, 생강혼합물, 물, 유근피, 밀가루 숙성 온도가 높아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 상기 유근피가 쉽게 부패되면서 토란의 수산칼슘 성분과 생강의 독성이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였다고 판단되며, 서로 충분히 융합되지 않아 제조완료된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의 효능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실시예 15 내지 실시예 26와 같이 토란과 생강은 각각 0 내지 5℃의 온도에서 5 내지 7개월 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란혼합물, 생강혼합물, 물, 유근피, 밀가루는 0 내지 5℃의 온도에서 2 내지 3개월 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상세하게 토란과 생강은 각각 3℃의 온도에서 6개월 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란혼합물, 생강혼합물, 물, 유근피, 밀가루는 3℃의 온도에서 2개월 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 : 껍질 깎고 세척한 토란 준비 단계
S2 : 토란 찌는 단계
S3 : 토란 분쇄 단계
S4 : 토란혼합물 제조 단계
S5 : 토란혼합물 숙성 단계
S6 : 생강 준비, 분쇄 단계
S7 : 생강혼합물 제조 단계
S8 : 생강혼합물 숙성 단계
S9 : 토란혼합물, 생강혼합물, 물 섞는 단계
S10 : 유근피, 밀가루 혼합 단계
S11 : 숙성 단계

Claims (5)

  1. 껍질을 깎고 세척한 토란을 준비하는 제 1 단계;
    끓는 물에 상기 토란을 넣어 찌는 제 2 단계;
    상기 찐 토란을 2번 분쇄하는 제 3 단계;
    볶은 소금, 방부제를 준비하여 상기 분쇄한 토란과 혼합하여 토란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상기 토란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0.5 내지 1.5 중량부를 준비하여 분쇄하는 제 6 단계;
    상기 분쇄된 생강에 방부제를 혼합하여 생강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7 단계;
    상기 생강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8 단계;
    상기 숙성된 토란혼합물과 상기 숙성된 생강혼합물을 물과 섞는 제 9 단계;
    유근피와 밀가루를 준비하여, 상기 제 9 단계의 결과물과 혼합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제 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7 내지 11 분 동안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토란 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볶은 소금 0.5 내지 1.5 중량부, 상기 방부제 0.1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 상기 제 10 단계는,
    상기 생강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 0.3 내지 0.7 중량부, 상기 유근피 0.0025 내지 0.0035 중량부, 상기 밀가루 4.5 내지 5.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상기 제 8 단계의 숙성은,
    0 내지 5℃의 온도에서 5 내지 7개월 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1 단계의 숙성은,
    0 내지 5℃의 온도에서 2 내지 3개월 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을 포함하는 토란고약 제조방법.

KR1020220047708A 2022-04-18 2022-04-18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30148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708A KR20230148652A (ko) 2022-04-18 2022-04-18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708A KR20230148652A (ko) 2022-04-18 2022-04-18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652A true KR20230148652A (ko) 2023-10-25

Family

ID=8851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708A KR20230148652A (ko) 2022-04-18 2022-04-18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6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776B1 (ko) 2019-12-17 2022-01-10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776B1 (ko) 2019-12-17 2022-01-10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9836A (zh) 一种防治寄生虫的养猪法
KR100649128B1 (ko) 매실을 주재료로 한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47231B1 (ko)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CN103750248B (zh) 一种低脂低盐脆皮烤肉用调料
KR101719108B1 (ko) 도라지와 여주의 혼합 분말, 그리고 그 캡슐과 제조방법
KR20090127970A (ko) 생식환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28147B1 (ko) 어성초와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추출물과 이를 응용한 환 및 발효주 제조방법
KR20230148652A (ko) 생강이 포함된 토란 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00092B1 (ko) 한방 동자 복숭아 장아찌의 제조방법
CN104543199A (zh) 一种清热润肺茶及其制备方法
KR102342590B1 (ko) 여주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CN103478595A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面条及其生产工艺
CN1242233A (zh) 足癣药的配制方法
KR20210060776A (ko) 비만 예방 및 부종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101752547B1 (ko) 비타민 c를 이용한 생강류 발효물의 제조방법.
WO2004047850A1 (de) Papaya-mus und dessen verwendung
KR100668461B1 (ko) 호깨나무를 주성분으로 한 식품첨가물
KR101546467B1 (ko) 숙취해소용 즉석 떡볶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숙취해소용 즉석 떡볶이
CN115414427B (zh) 治疗慢性皮肤瘙痒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KR20120064877A (ko) 다이어트 매실정과의 제조방법
KR102488531B1 (ko)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3139B1 (ko) 카레피자용 농축 믹스 제조방법 및 그 농축 믹스
CN107095947A (zh) 用于促进皮肤创面愈合的中药膏剂及其制备方法
CN105901489A (zh) 一种香椿芽水饺及其制作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