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216A - 에어로졸화 모듈 - Google Patents

에어로졸화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216A
KR20230148216A KR1020237032079A KR20237032079A KR20230148216A KR 20230148216 A KR20230148216 A KR 20230148216A KR 1020237032079 A KR1020237032079 A KR 1020237032079A KR 20237032079 A KR20237032079 A KR 20237032079A KR 20230148216 A KR20230148216 A KR 2023014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erosolization
housing
electrically conductive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더 디트만
로버트 윌리암 에멋
로라 갈림베르티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3014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05Devices without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38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by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rough a pl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fices
    • B05B17/0646Vibrating plates, i.e. plates being directly subjected to the vibrations, e.g. having a piezoelectric transduc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53Details
    • B05B17/0676Feeding means
    • B05B17/0684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20)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화 모듈(40)이 개시되어 있다. 에어로졸화 모듈(40)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진동식 변환기(41) 및 진동식 변환기(41)와 전기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401)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40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20)의 대응하는 접촉부(201)와의 탈착식 전기 연결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 에어로졸화 모듈(40)은 멤브레인(42)을 더 포함한다. 멤브레인(42)은 에어로졸 발생 구역(43)을 포함한다. 진동식 변환기(41)는, 사용시 멤브레인을 진동시키도록 멤브레인(42)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멤브레인(42)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멤브레인의 일부분은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화 모듈
본 개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이러한 에어로졸화 모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는 조립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형성하는 부품의 키트에 관한 것이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공지된 진동 분무기는 노즐의 분포를 갖는 멤브레인을 이용한다. 멤브레인은 진동식 변환기에 결합되어 있고, 변환기는 분무기의 제어기 및 전원에 고정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어기에 의해 변환기에 제공된 전기 신호는 변환기에 의해 진동 출력으로 변환되고, 이러한 진동 출력은 멤브레인의 진동을 유도한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멤브레인의 접촉 시, 멤브레인의 진동 작용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노즐을 통해 밀려 에어로졸 액적을 형성하게 한다. 멤브레인의 진동은 에어로졸 액적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공지된 진동 분무기는 에어로졸의 비-열적 발생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의 비-열적 발생"은 기재에 열을 첨가할 필요 없이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형성되는 에어로졸 액적을 지칭한다. 그러나, 계속 사용함에 따라, 이러한 공지된 진동 분무기의 멤브레인은 기재 또는 외부 오염물로부터의 잔여물로 막힐 수 있다. 이러한 잔여물은 멤브레인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 액적 패턴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한 멤브레인의 세척은 많은 이유로 인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은 일반적으로 취약한 구조이므로 멤브레인에 영구적인 손상을 주지 않고 세척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은 또한 분무기의 외부로부터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멤브레인은 손상으로부터 멤브레인을 보호하기 위해 분무기의 하우징 내에 함몰될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사용자가 멤브레인 상에 잔여물을 갖는 것 이외의 모든 측면에서 완전히 기능할 수 있는 진동 분무기를 폐기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화 모듈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화 모듈이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화 모듈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진동식 변환기, 및 진동식 변환기와 전기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와의 탈착식 전기 연결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진동식 변환기"는 에너지를 초기 형태로부터 상이한 형태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지칭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이한 형태는 진동 출력을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의 입을 거쳐 사용자의 폐 속으로 직접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흡연 장치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열 시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하는 기재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액체"는 액체 형태로 제공된 물질을 지칭하고 겔 형태로 제공된 물질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화 모듈의 특징부는 에어로졸화 모듈이 장치의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 시, 에어로졸화 모듈이 기재로부터의 잔여물 또는 다른 부스러기로 막히는 경우, 에어로졸화 모듈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어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다른 에어로졸화 모듈과 재사용 가능할 수 있다. 장치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와의 탈착식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의 제공은 전기 신호가 하우징으로부터 운반되어 변환기를 구동할 수 있게 하며, 접촉부의 탈착식 전기 연결성은 에어로졸화 모듈의 간편한 제거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장치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와의 탈착식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어 있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의 사용은, 분무기의 전원과 변환기 사이에 영구적인 결합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납땜된 와이어 접속을 사용할 수 있는 공지된 분무기와 대조를 이룬다.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진동식 변환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신호가 변환기로 직접 운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화 모듈은 멤브레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식 변환기는, 사용시 멤브레인을 진동시키도록 멤브레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로서 에어로졸화 모듈을 사용할 때, 멤브레인의 에어로졸 발생 구역에 공급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멤브레인의 진동을 통해 에어로졸화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구역에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노즐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노즐"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멤브레인을 통해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멤브레인을 통하는 애퍼처, 구멍 또는 보어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동안,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멤브레인의 제1 측면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멤브레인의 진동은 멤브레인의 제2 대향 측면으로부터 에어로졸 액적의 분무로서 방출되기 위해 액체 기재의 일부가 노즐을 통해 돌진되고 배출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노즐은 미리 결정된 에어로졸 액적 형성 패턴을 제공하도록 개별적으로 크기 설정되고 서로에 대해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형상이 원형이다. 원형 형상인 노즐의 사용은 원형 형상이 각각의 노즐의 주변부에 대한 면적의 비율을 최대화하고, 따라서 점성 항력 및 경계 층 축적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타원형 형상인 노즐의 사용은, 또한 에어로졸 액적 형성 결과의 관점에서 허용 가능한 성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멤브레인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멤브레인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소된 질량 및 관성의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멤브레인은 금속 재료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둘 이상의 상이한 재료의 복합체일 수 있다. 멤브레인에 사용되는 재료(들)의 선택은 에어로졸화 모듈과 함께 사용되고 에어로졸화 모듈에 의해 에어로졸화되도록 의도된 특정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들)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의 접촉의 결과로서 화학적으로 반응하거나 분해되지 않는 멤브레인용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단지 예시로서, 멤브레인은 팔라듐, 스테인리스 강, 구리-니켈 합금,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실리콘 또는 알루미늄 질화물 중 임의의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멤브레인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화 모듈이 흡연 장치로서 사용되도록 의도된 핸드헬드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를 형성할 때, 원형 멤브레인이 유익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멤브레인은 대안적으로 평면도에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멤브레인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의 일부분은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멤브레인 그 자체는 진동식 변환기를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제1 전기 전도성 접촉부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의 제1 부분은 제1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고, 멤브레인의 제2 부분은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진동식 변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는 압전 액추에이터이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전기 입력으로부터 진동 출력을 제공하는 에너지 효율적이며 가벼운 수단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압전 액추에이터는 전기에서 음향/기계 전력으로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갖는다. 또한, 압전 액추에이터는 매우 다양한 재료 및 형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압전 액추에이터에 대해, 전기 구동 신호를 압전 액추에이터에 입력하는 것은 진동 신호의 형태로 기계적 출력을 초래할 것이다. 에어로졸화 모듈의 진동식 변환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변환기 내에서 또는 변환기로서 압전 액추에이터의 사용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해 멤브레인의 진동을 유도하는 에너지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압전 액추에이터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전자기 소자, 자기 변형 소자, 또는 전기 변형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들)가 진동식 변환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화 모듈의 진동식 변환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진동식 변환기는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둘러싸기 위해 멤브레인의 표면에 결합된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단일 환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둘러싸는 환형부를 정의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들)는 하나 이상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추에이터(들)는 전자기 소자, 자기 변형 소자, 또는 전기 변형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화 모듈의 진동식 변환기가 멤브레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다른 예에서, 진동식 변환기는 제1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로서 제공된 한 쌍의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멤브레인의 환형부가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사이에 한정되도록 멤브레인의 대향 표면에 결합되도록 배열될 수 있고, 환형부는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둘러싼다.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제1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와 전기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기 전도성 접촉부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와 전기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사이에 멤브레인의 대향 표면을 한정함으로써, 멤브레인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로부터의 진동 출력 사이에서 파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멤브레인의 진동을 유도하도록 멤브레인에 효율적으로 운반된다.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단일 환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환형부를 정의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들)는 하나 이상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추에이터(들)는 전자기 소자, 자기 변형 소자, 또는 전기 변형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 모두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의 인접 위치 설정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와 에어로졸화 모듈의 접촉부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에어로졸화 모듈의 공통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통 표면 상에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제공하면, 에어로졸화 모듈의 접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다시 돕는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에어로졸화 모듈의 주변 측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이 시나리오에서, 상기 주변 측표면은 "공통 표면"을 형성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에어로졸화 모듈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이 시나리오에서, 상부 또는 하부 표면은 "공통 표면"을 형성한다. 상부 또는 하부 표면은 진동식 변환기 및 멤브레인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표면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상부" 및 "하부"는 상대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형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상의 평면형 접촉 영역의 사용은 각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의 평면형 접촉 영역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 사이의 슬라이딩 끼워 맞춤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끼워 맞춤의 용이성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화 모듈의 특징과 일치한다.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 커넥터의 사용은 에어로졸화 모듈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커넥터의 탄성은 각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가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에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본 개시의 제1 측면과 관련하여 개략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화 모듈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세장형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세장형 하우징은 전원을 함유하고,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에어로졸화 모듈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에 대응한다. 세장형 하우징은, 세장형 하우징이 진동식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우징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에 탈착식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모듈을 탈착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장형 하우징과 에어로졸화 모듈의 어셈블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장형 하우징은 하우징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통해 에어로졸화 모듈의 진동식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은 대응하는 접촉부를 통해 에어로졸화 모듈의 진동식 변환기에 전력을 운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또한 전력 공급부에 결합 가능한 제어기 및 진동식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진동식 변환기에 대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세장형 하우징 내에 함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기에 의해 발생된 구동 신호는 하우징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통해 진동식 변환기에 통신될 수 있다. 세장형 하우징 내에 전원과 제어기 모두를 갖는 것은 에어로졸화 모듈의 복잡성 및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제어기는 에어로졸화 모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시나리오에서, 전원은 하우징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통해 제어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에어로졸화 모듈의 일부인) 제어기가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진동식 변환기에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에어로졸화 모듈의 일부인 제어기를 갖는 것은 또한 각각의 에어로졸화 모듈의 제어기의 구성에 따라, 구별되는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구성된 상이한 에어로졸화 모듈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용어 "제어기"는 구동 신호를 진동식 변환기에 발생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 전자기기 및 프로세서(들)뿐만 아니라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예로서, 제어기는 제어 전자기기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컨대, 컴퓨터 메모리 모듈)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어 전자기기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컴퓨터 프로세서를 자체 포함하거나 이에 결합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은 재충전 가능하다. 예로서, 전원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측면에서, 에어로졸화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교체 가능한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세장형 하우징으로부터 에어로졸화 모듈을 제거하고 교체하는 능력은, 에어로졸화 모듈 및 세장형 하우징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의 탈착식 전기 연결로부터 도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비-열적으로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흡연 시스템을 형성한다. 에어로졸의 발생에 열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유해한 화합물을 생성할 위험이 감소하는데, 이는 이들이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또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열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히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 요소는 에어로졸화 모듈의 일부를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다.
세장형 하우징은 하우징이 사용자에 의해 핸드헬드될 수 있게 하는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세장형 하우징의 사용은 종래의 궐련 및 다양한 전자 궐련과 연관된 기하학적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부품 및 제2 하우징 부품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하우징 부품은 전원을 함유하고 제2 하우징 부품은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부품 및 제2 하우징 부품의 대응하는 축 방향 정합 말단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품 또는 제2 하우징 부품의 축 방향 정합 말단은 에어로졸화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의 대응하는 축 방향 정합 말단을 함께 결합하면 하우징과 에어로졸화 모듈의 확실한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는 자신의 입을 마우스피스와 맞물려서 에어로졸화 모듈로부터 나오는 에어로졸 액적을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은 서로 경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의 각각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의 대응하는 축 방향 정합 말단이 서로에 대해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서 에어로졸화 모듈을 하우징과 단단히 결합시키도록 자기 인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인력 부재"는 자기장(즉, 자석)을 발생시키거나 자기장에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는 부재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자기 인력 부재는 자석이다. 편리하게는, 제1 하우징 부품 및 제2 하우징 부품의 자기 인력 부재는 반대 극성의 자석이다.
하우징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시트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 내에 에어로졸화 모듈을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는 것은 에어로졸화 모듈 및 세장형 하우징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초래할 것이다. 시트 및 에어로졸화 모듈은, 에어로졸화 모듈이 시트 내에 미리 결정된 배향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끼워질 수 있다. 시트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서로에 대한 키잉(keying)은, 모듈 및 하우징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모듈이 하우징의 시트 내에 수용될 수 있다는 추가 보증을 제공할 수 있다.
세장형 하우징의 측벽면은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애퍼처는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어 있는 공동에 대한 접근 개구부를 정의한다.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공동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또한,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화 모듈의 삽입이 하우징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접촉부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초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측벽면에 이러한 애퍼처를 제공하면, 에어로졸화 모듈이 세장형 하우징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또는 세장형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시스템은 에어로졸화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크레이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크레이들은 접근 개구부를 통해 공동 내로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하다. 크레이들은 에어로졸화 모듈을 위한 홀더로서 기능할 것이다. 크레이들 및 에어로졸화 모듈은 에어로졸화 모듈이 크레이들에 미리 결정된 배향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끼워질 수 있다. 크레이들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서로에 대한 키잉은, 크레이들이 공동 내로 삽입될 때, 에어로졸화 모듈 및 세장형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보장되는 이러한 위치에서 모듈이 크레이들에 수용되는 것을 추가 보증을 제공할 수 있다. 크레이들은 세장형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크레이들 및 하우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하우징으로부터 크레이들의 결합 해제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이들 또는 하우징 중 하나는, 하우징으로부터 크레이들의 완전한 결합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크레이들 또는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대응 부품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크레이들은, 크레이들을 공동 내로 삽입한 후 세장형 하우징의 측벽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 끼워 맞춤을 정의하도록 프로파일링될 수 있다. 세장형 하우징의 측벽면과 크레이들의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 끼워맞춤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세장형 하우징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저장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저장조는 에어로졸화 모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저장조는 진동식 변환기와 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화 모듈의 제거 및 교체는 시스템에 새로운 진동식 변환기 및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새로운 저장조 둘 모두가 제공되게 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저장조는 에어로졸화 모듈과 구별되는 카트리지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가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화 모듈 내에 삽입된 후 저장조가 진동식 변환기와 유체 연통하도록 하우징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하다. 하우징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하고 에어로졸화 모듈과 구별되는 이러한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저장조가 에어로졸화 모듈에 개별적으로 갱신될 수 있게 한다.
사용되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많은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음 단락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위한 다양한 예시적이지만 비제한적인 재료 및 조성물을 설명한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 함유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 염 매트릭스일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식물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 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비-담배 함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 식물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사용 시 진하고 안정적인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또는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향미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 및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 및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2% 내지 약 10%의 니코틴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하우징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접촉부는 대응하는 접촉부들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제공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세장형 하우징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화 모듈의 특징과 일치한다. 예시로서, 세장형 하우징 또는 에어로졸화 모듈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본 개시의 제1 측면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형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세장형 하우징 또는 에어로졸화 모듈 중 하나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한다. 탄성 커넥터는 세장형 하우징 또는 에어로졸화 모듈 중 다른 하나의 대응하는 접촉부와 접촉 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측면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커넥터의 사용은 에어로졸화 모듈 및 세장형 하우징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측면에서, 부품의 키트가 제공되어 있으며, 조립될 때 부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형성한다. 부품은 제1 에어로졸화 모듈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의 각각은 전술한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른다. 상기 부품은 세장형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세장형 하우징은 전원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한다. 세장형 하우징은, 세장형 하우징이 진동식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우징 및 각각의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에 탈착식 전기 연결을 확립하도록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 중 하나를 탈착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은 세장형 하우징 내에 탈착식으로 수용되도록 세장형 하우징 내에서 서로 상호 교환 가능하다. 제1 에어로졸화 모듈은 제1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은 제2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에어로졸 방출 패턴은 서로 구별되어 있다. 이러한 키트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에어로졸 방출 패턴에 따라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 사이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어로졸 방출 패턴은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상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액적 크기 및 에어로졸 액적의 밀도(즉, 단위 부피 당 에어로졸 액적의 수).
다른 예에서, 키트는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갖는 추가 에어로졸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는 상이한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경험하기 위한 추가의 유연성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서 정의된다. 그러나, 아래에 비제한적인 예의 비포괄적인 목록이 제공된다. 이들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본원에 기재된 다른 예, 구현예, 또는 측면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Ex1: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화 모듈로서,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진동식 변환기; 상기 진동식 변환기와 전기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와의 탈착식 전기 연결을 위해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2: Ex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진동식 변환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3: Ex1 또는 Ex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은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식 변환기는 사용 시 상기 멤브레인을 진동시키도록 상기 멤브레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4: Ex3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노즐이 제공되어 있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5: Ex3 또는 Ex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멤브레인의 일부분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6: Ex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제1 전기 전도성 접촉부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형성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7: Ex1 내지 Ex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변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8: Ex3 내지 Ex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변환기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둘러싸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의 표면에 결합된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9: Ex8에 있어서, 상기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단일 환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10: Ex8에 있어서, 상기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둘러싸는 환형부를 정의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11: Ex3 내지 Ex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변환기는 제1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로서 제공된 한 쌍의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멤브레인의 대향 표면에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환형부가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사이에 한정되도록 하고, 상기 환형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둘러싸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상기 제1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와 전기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기 전도성 접촉부 및 상기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물품.
실시예 Ex12: Ex1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단일 환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13: Ex1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압전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환형부를 정의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14: Ex11 내지 Ex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15: Ex11 내지 Ex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공통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16: Ex1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주변 측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17: Ex15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18: Ex1 내지 Ex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형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19: Ex1 내지 Ex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실시예 Ex20: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Ex1 내지 Ex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에어로졸화 모듈; 세장형 하우징으로서, 전원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함유하는 상기 세장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하우징이 상기 진동식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에 탈착식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하우징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을 탈착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장형 하우징과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어셈블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실시예 Ex 20a: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Ex1 내지 Ex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에어로졸화 모듈; 세장형 하우징으로서, 전원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함유하는 상기 세장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하우징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을 탈착식으로 수용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에 탈착식 전기 연결을 확립하여서 상기 세장형 하우징이 상기 진동식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1: Ex20 또는 Ex20a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로서,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는 상기 전력 공급부에 결합 가능한 제어기 및 상기 진동식 변환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동식 변환기에 대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22: Ex21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하우징은 상기 제어기를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시, 상기 제어기에 의해 발생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통해 상기 진동식 변환기에 통신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23: Ex2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은 상기 제어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 시, 상기 전원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통해 상기 제어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24: Ex20 내지 Ex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부품 및 제2 하우징 부품을 가지고,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상기 전원을 함유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은 마우스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의 대응하는 축 방향 정합 말단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축 방향 정합 말단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25: Ex2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이 서로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26: Ex24 또는 Ex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품의 대응하는 축 방향 정합 말단이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을 상기 하우징과 단단히 결합시키도록 자기 인력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27: Ex24 내지 Ex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시트 내에 위치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28: Ex24 내지 Ex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이 미리 결정된 배향으로 상기 시트 내에 수용 가능하도록 서로에게 끼워져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29: Ex20 내지 Ex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하우징의 측벽면이 애퍼처를 포함하고, 상기 애퍼처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어 있는 공동에 대한 접근 개구부를 정의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상기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화 모듈의 삽입이 상기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초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0: Ex29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크레이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접근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동 내로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1: Ex30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이 미리 결정된 배향으로 상기 크레이들 내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크레이들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이 서로에 대해 끼워져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2: Ex30 또는 Ex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이 상기 세장형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3: Ex30 내지 Ex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 및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크레이들의 결합 해제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4: Ex30 내지 Ex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공동 내로의 크레이들의 삽입 후,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세장형 하우징의 측벽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 끼워맞춤을 정의하도록 프로파일링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5: Ex20 내지 Ex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6: Ex35에 있어서, 상기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저장조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장조는 상기 진동식 변환기와 유체 연통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7: Ex35에 있어서, 상기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저장조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과 구별되는 카트리지로서 제공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이 상기 하우징과 조립된 후에 상기 저장조가 상기 진동식 변환기와 유체 연통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8: Ex20 내지 Ex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은 상기 대응하는 접촉부들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39: Ex20 내지 Ex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하우징 또는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 중 하나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 커넥터는 상기 세장형 하우징 또는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다른 하나의 대응하는 접촉부와 접촉 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또는 장치.
실시예 Ex40: 부품의 키트로서, 상기 부품은 조립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부품은: 제1 에어로졸화 모듈; 제2 에어로졸화 모듈; Ex1 내지 Ex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의 각각; 세장형 하우징으로서, 전원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세장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 중 하나를 탈착식으로 수용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에 탈착식 전기 연결을 확립하여서 상기 세장형 하우징이 상기 진동식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이 상기 세장형 하우징 내에서 탈착식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세장형 하우징 내에서 서로 상호 교환 가능하고, 상기 제1 에어로졸화 모듈은 제1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은 제2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 방출 패턴은 서로 구별되는, 키트.
이제, 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사용된 에어로졸화 모듈의 멤브레인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어로졸화 모듈의 제1 실시예의 밑면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에어로졸화 모듈의 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에어로졸화 모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부 부분의 분해도이며, 모듈은 장치의 하우징의 원통형 벽면과 마우스피스 사이에 위치 설정되어 있다. 이 도면은 하우징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와 에어로졸화 모듈 사이의 탈착식 전기적 연결을 예시한다.
도 5a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어로졸화 모듈의 제2 실시예의 밑면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에어로졸화 모듈의 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 및 도 5b의 에어로졸화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능한 크레이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크레이들이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될 때에 장치의 하우징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와 에어로졸화 모듈 사이의 탈착식 전기 연결을 도시하는 도 6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에어로졸화 모듈의 제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은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11)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연 시스템이다. 시스템(10)은 세장형 하우징(20), 카트리지(30) 및 에어로졸화 모듈(40)을 갖는다.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 세장형 하우징(2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30)는 세장형 하우징(20) 내에서 탈착식으로 수용 가능하며, 이는 다음 단락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유사하게,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에어로졸화 모듈(40)은 또한 하우징(20) 내에서 탈착식으로 수용 가능하다. 카트리지(30) 및 에어로졸화 모듈(40)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의 교체 가능한 구성요소다. 결과적으로, 세장형 하우징(20)은 상이한 에어로졸화 모듈(30) 및 카트리지(40)와 함께 재사용 가능하다. 카트리지(30) 및 에어로졸화 모듈(40)이 세장형 하우징(20) 내에 조립될 때, 하우징, 카트리지 및 에어로졸화 모듈의 조합은 집합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형성한다.
세장형 하우징(20)은 전원(21), 제어기(22) 및 액체 피드 어셈블리(23)를 포함한다. 세장형 하우징(20)은 원통형 부분(20a) 및 마우스피스 부분(20b)을 갖는다. 마우스피스 부분(20b)은 원통형 부분(20a)의 일 말단에 끼워 맞춰져 세장형 하우징(20)의 마우스 말단을 형성한다. 전원(21)은 제어기(22)에 결합되어 전력을 이에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전원(21)은 전력의 공급원의 역할을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이다. 도시되고 설명된 예를 위해, 제어기(22)는 제어 전자기기의 형태를 취한다. 제어기(22)는 또한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접근 가능한 명령어를 함유하는 메모리 모듈(22a)을 포함한다. 제어기(22)는 하우징(20) 내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에, 배선 또는 유사한 전기 전도성 부재를 따라 운반되는 전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는 에어로졸화 모듈(40)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401)와 탈착식으로 인터페이스로 접속한다. 하우징(20)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 401)와 에어로졸화 모듈(40) 사이의 다양한 예시적인 인터페이스의 성질은 다음 단락에서 설명된다.
카트리지(30)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저장조(31)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을 함유한다. 카트리지(30)가 세장형 하우징(20) 내에 수용될 때, 카트리지는 액체 피드 어셈블리(23)에 유체 결합되어 있다. 액체 피드 어셈블리(23)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저장조(31)로부터 에어로졸화 모듈로 점진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카트리지(30)와 에어로졸화 모듈(40)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심지 재료의 형태를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액체 피드 어셈블리(23)는 전원(21)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 펌프이다. 추가의 대안적인 예(미도시)에서, 액체 피드 어셈블리(23)는 카트리지(30)의 일부를 형성한다.
에어로졸화 모듈(40)은 진동식 변환기(41) 및 멤브레인(42)을 갖는다. 진동식 변환기(41)는 한 쌍의 환형 압전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를 갖는다.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는 멤브레인(42)의 대향 표면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멤브레인의 환형부를 고정한다. 각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는 단일 링 형상의 단일 압전 액추에이터로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인 예(미도시)에서, 각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는 대신에 함께 결합되고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압전-액추에이터로 형성되어 링 형상 형태를 집합적으로 정의한다.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진동식 변환기(41)는 단일 압전-전기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예를 들어, 어셈블리(41U, 41L) 중 하나를 갖는다.
에어로졸화 모듈(40)이 세장형 하우징(20) 내에 수용될 때, 하우징(2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는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401)와 접촉하고 전기 통신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전술한 단락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대응하는 접촉부(201, 401)와 에어로졸화 모듈(4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에어로졸화 모듈이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비영구적이다. 이는 에어로졸화 모듈(40)이 (도 1에서 쌍촉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체 에어로졸화 모듈로 재삽입되거나 교환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교체 에어로졸화 모듈은 원래 에어로졸화 모듈에 의해 발생된 것과 상이한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에어로졸화 모듈(40)의 멤브레인(42)의 평면도를, 즉 도 1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를 나타낸다. 편의상, 한 쌍의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은 도 2에서 제외된다. 도시되고 기재된 구현예에서, 멤브레인(42)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재료는 멤브레인(42)을 위해 선택될 수 있으며, 멤브레인 재료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조성물과의 화학적 반응성이 최소 내지 0인 것이다. 멤브레인(42)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의 환형 성질에 대응하도록 평면도에서 원형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멤브레인(42)은 직사각형과 같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멤브레인(42)은 에어로졸 발생 구역(43)을 갖는다(이의 주변부는 도 2에서 파선으로 표현된다). 에어로졸 발생 구역(43)에는 (도 2에서 도트 패턴으로 표현된) 복수의 노즐(44)이 제공되어 있다. 노즐(44)은 멤브레인(42)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구멍의 형태이다. 환형 갭(45)은 멤브레인(42)의 주변부와 에어로졸 발생 구역(43)의 주변부 사이에 존재한다. 환형 갭(45)은 상부 및 하부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가 멤브레인(42)의 대향 표면에 대해 가압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용어 "상부" 및 "하부"는 서로에 대한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 및 멤브레인(42)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대적인 의미에서만 사용된다.
도 3a 및 도 3b는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하우징(20)과 에어로졸화 모듈(40) 사이에 탈착식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도 3a 및 도 3b의 에어로졸화 모듈(40)이 세장형 하우징(20)의 원통형부(20a)와 마우스피스부(20b) 사이에 어떻게 위치 설정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의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401)는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의 최하단 표면 상에 정의된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L, 401pU, 401nL, 401nU)로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401pL 및 401nL)은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의 전극(46L)에 연결된다. 플레이트(401pL, 401nL) 및 전극(46L)은 제어기(22)에 의해 발생된 전기 구동 신호를 진동식 변환기(41)의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401pU, 401nU)는 각각 금속 코어(47)에 연결되어 있다. 각 금속 코어(47)는 상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의 전극(46U)과 연결되도록 그 각각의 플레이트(401pU, 401nU)로부터 에어로졸화 모듈(40)의 높이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레이트(401pU, 401nU), 이들의 대응하는 금속 코어(47) 및 전극(46U)은 제어기(22)에 의해 발생된 전기 구동 신호를 진동식 변환기(41)의 상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의 경우,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L, 401pU, 401nL, 401nU)는 모두 에어로졸화 모듈(40)의 공통면, 즉 에어로졸화 모듈의 가장 낮은 표면 상에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플레이트(401pL, 401pU, 401nL, 401nU)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환형 시트(24)는 세장형 하우징(20)의 원통형 부분(20a)의 일 말단에 정의된다.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는 시트(24)의 베이스(25)로부터 돌출하는 전기 전도성 스프링-로딩된 핀 커넥터(201pL, 201pU, 201nL, 201nU)의 형태를 갖는다. 핀 커넥터(201pL 및 201nL)은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에 대한 전기 구동 신호와 연관되어 있다. 핀 커넥터(201pU 및 201nU)는 상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에 대한 전기 구동 신호와 연관되어 있다. 사용 시, 에어로졸화 모듈(40)은 에어로졸화 모듈의 가장 낮은 표면이 시트의 베이스(25) 상에 놓이도록 시트(24) 내에 배치될 것이다. 에어로졸화 모듈(40)이 시트(24) 내에 위치 설정될 때, 핀 커넥터(201pL, 201nL)는 플레이트(401pL, 401nL)의 대응 표면에 대해 가압하고, 핀 커넥터(201pU, 201nU)는 플레이트(401pU, 401nU)의 대응 표면에 대해 가압한다. 하우징(20)의 마우스피스 부분(20b)의 일 말단은 환형 시트(24)에 대응하는 환형 단계(26)와 함께 형성된다. 환형 단계(26)가 시트(24) 내에 위치하여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최상단 표면을 가압하도록, 마우스피스 부분(20b)은 원통형 부분(20a)과 정합되어 있다. 원통형 부분(20a) 및 마우스피스 부분(20b)을 함께 고정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미도시)이 제공되어 있다. 예로서(미도시), 원통형부(20a) 및 마우스피스부(2b)의 대응하는 면은 나사 끼워맞춤을 정의하도록 대응적으로 나사식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2개의 부분(20a, 20b) 사이에 베이어닛 끼워맞춤을 정의하도록 프로파일링될 수 있다. 추가 대안(미도시)에서, 원통형 부분(20a) 및 마우스피스 부분(20b)의 대응하는 면은 부분(20a, 20b)이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도록 반대 극성의 각각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 부분(20b)이 원통형 부분(20a)에 고정될 때, 에어로졸화 모듈(40)의 가장 낮은 표면은 핀 커넥터(201pL, 201pU, 201nL, 201nU)를 베이스(25)에 제공된 오목부(미도시) 내로 누르도록, 시트(24)의 베이스(25)에 대해 단단히 가압될 수 있다. 커넥터(201pL, 201pU, 201nL, 201nU)의 스프링-로딩된 성질은 에어로졸화 모듈(40)의 해당 플레이트(401pL, 401pU, 401nL, 401nU)의 표면에 대해 커넥터를 가압하는 것을 돕는다. 대안적인 예(미도시)에서, 에어로졸화 모듈(40) 및 시트(24)는 에어로졸화 모듈(40)과 시트(24) 사이에 미리 결정된 정렬을 제공하기 위한 인덱싱 특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인덱싱 특징부는 커넥터(201pL, 201pU, 201nL, 201nU)가 그들의 대응하는 플레이트(401pL, 401pU, 401nL, 401nU)와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로 접속하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적절한 인덱싱 특징부의 예는 에어로졸화 모듈(40) 및 시트(24) 상의 정합 러그 및 오목부를 포함한다.
사용시, 제어기(22)는 메모리 모듈(22a)에 접근하여, 내부 배선을 따라 또는 하우징(2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와 유사하게, 즉 핀 커넥터(201pL, 201pU, 201nL, 201nU)로 운반되는 전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핀 커넥터(201pL, 201pU, 201nL, 201nU)는 에어로졸화 모듈(40)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L, 401pU, 401nL, 401nU)와 접촉함에 따라, 전기 구동 신호가 상부 및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로 운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장형 하우징(20)은 에어로졸화 모듈(4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전기 구동 신호가 상부 및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에 공급되어 그 진동을 유도한다. 상부 및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로부터의 진동 출력은 멤브레인(42)의 진동을 유도한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액체 피드(23)에 의해 저장조(31)로부터 멤브레인(42)의 하부 표면으로 흡인된다. 멤브레인(42)의 진동 작용은 기재가 노즐(44)을 통해 에어로졸 액적의 패턴으로서 배출되게 한다.
도 5a 및 도 5b는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크레이들(50) 내에 위치 설정된 도 5a 및 도 5b의 에어로졸화 모듈(40)을 도시한다. 크레이들(50)은 세장형 하우징(20) 내부 및 외부로 슬라이딩하여 하우징(20)과 에어로졸화 모듈(40) 사이에 탈착식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크레이들(50)이 하우징(2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때 도 6의 섹션 B-B를 통한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5a 및 도 5b의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401)는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L, 401pU, 401nL, 401nU)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3a 및 도 3b의 에어로졸화 모듈(40)과 대조적으로, 도 5a 및 도 5b의 모듈의 경우,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과 연관된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L, 401nL) 및 상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와 연관된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U, 401nU)가 진동식 변환기(41)의 대향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L, 401nL)는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의 최하단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반면,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U, 401nU)는 상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의 최상단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플레이트(401pL, 401nL)은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의 전극(46L)에 연결되어 있다. 유사하게, 플레이트(401pU 및 401nU)는 상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의 전극(46U)에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트(401pL, 401nL) 및 전극(46L)은 제어기(22)에 의해 생성된 전기 구동 신호를 진동식 변환기(41)의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유사하게, 플레이트(401pU, 401nU) 및 전극(46U)은 제어기(22)에 의해 발생된 전기 구동 신호를 진동식 변환기(41)의 상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예에서, 플레이트(401pL, 401pU, 401nL, 401nU)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퍼처(27)는 하우징(20)의 원통형 부분(20a)의 측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애퍼처(27)는 크레이들(50)에 대한 접근 개구부를 정의한다. 에어로졸화 모듈(40)은 크레이들(50) 내에 위치 설정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에어로졸화 모듈(40) 및 크레이들(50)은 에어로졸화 모듈(40)과 크레이들 사이에 미리 결정된 정렬을 제공하기 위한 인덱싱 특징부를 구비한다. 적절한 인덱싱 특징부의 예는 에어로졸화 모듈(40) 및 크레이들(50) 상의 정합 러그 및 오목부를 포함한다.
크레이들(5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가능하다. 크레이들(50)에는 러그(51)가 제공되어 있다(도 7 참조). 크레이들(50)이 하우징(20)으로부터 슬라이딩될 때, 러그(51)는 하우징(20)의 측벽면의 내부 표면에 대해 반응하여, 하우징(20)으로부터 크레이들(50)의 결합 해제를 방지한다. 하우징(2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는 한 쌍의 스펀지-로딩된 커넥터(201pL, 201nL 및 201pu, 201nU)의 형태를 취한다. 도 7의 도면에서는 각 쌍의 단 하나의 커넥터만 볼 수 있다. 커넥터(201pL, 201nL, 201pu, 201nU)의 각각은, 루트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아암(202)을 가지며, 스프링(203)은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향해 커넥터를 편향시키기 위해 루트에 제공된다. 커넥터(201pL, 201nL 및 201pu, 201nU)의 각 쌍은 전기 배선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제어기(22)에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201pL, 201nL)은 제어기(22)에 의해 발생된 전기 구동 신호를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에 제공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커넥터(201pu, 201nU)는 상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에 전기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에어로졸화 모듈(40)을 유지하는 크레이들(50)이 하우징(20) 내부로 슬라이딩될 때, 커넥터의 하부 쌍(201pL, 201nL)은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L)의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L, 401nL)에 대해 스프링(203)에 의해 가압되고, 커넥터의 상부 쌍(201pu, 201nU)은 상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의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401pU, 401nU)에 대해 유사하게 가압된다.
사용 시, 제어기(22)는 메모리 모듈(22a)에 접근하고, 내부 배선을 따라 또는 하우징(2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와 유사하게, 즉 한 쌍의 스펀지-로딩된 커넥터 (201pL, 201nL 및 201pu, 201nU)로 운반되는 전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커넥터의 상부 쌍(201pU, 201nU)은 플레이트(401pU, 401nU)에 대해 가압된다. 커넥터의 하부 쌍(201pL, 201nL)은 플레이트(401pL, 401nL)에 대해 가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장형 하우징(20)은 에어로졸화 모듈(4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전기 구동 신호가 상부 및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에 공급되어 그 진동을 유도한다. 상부 및 하부 액추에이터 어셈블리(41U, 41L)로부터의 진동 출력은 멤브레인(42)의 진동을 유도한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액체 피드(23)에 의해 저장조(31)로부터 멤브레인(42)의 하부 표면으로 흡인된다. 멤브레인(42)의 진동 작용은 기재가 노즐(44)을 통해 에어로졸 액적의 패턴으로서 배출되게 한다.
도 8은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제3 실시예이며, 도 8은 멤브레인(42)의 평면도이다. 도 8의 에어로졸화 모듈(40)은 멤브레인(42)의 일 표면에 대해 위치 설정되어 있는 단일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형태의 진동식 변환기(41)를 갖는다. 멤브레인(42)은 제1 멤브레인 부분(42a) 및 제2 멤브레인 부분(42b)을 가지며, 각 멤브레인 부분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멤브레인 부분(42a, 42b)은 절연 스트립(48)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멤브레인 부분(42a)의 영역(401p)은 전기 접촉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유사하게, 멤브레인 부분(42b)의 영역(401n)은 또한 전기 접촉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전극(46)은 영역(401p, 401n)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 시, 세장형 하우징(2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는 영역(401p, 401n)과 접촉하여 전기 구동 신호를 제어기(22)로부터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진동식 변환기(41)로 공급할 것이다. 절연 스트립(43)은 영역(401p, 401n) 사이의 단락을 회피한다.
도 9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의 예시적인 시스템과 공통인 특징부는 유사 참조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지칭된다. 도 9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은 제어기(22)가 에어로졸화 모듈(40)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 1의 시스템과 상이하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22)는 진동식 변환기(41)의 주변 측표면에 결합되어 있고, 에어로졸화 모듈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401)는 제어기의 표면에 결합되거나 그 위에 제공된다. 에어로졸화 모듈(40)이 세장형 하우징(20) 내에 수용될 때, 하우징(20)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201)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401)와 접촉하고 전기 통신한다.
본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목적을 위해, 달리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양, 수량, 백분율 등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범위는 개시된 최대 및 최소 지점을 포함하며, 본원에 구체적으로 열거될 수 있거나 열거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중간 범위를 그 중에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수 "A"는 "A" ± "A"의 10%로 이해된다. 이러한 맥락 내에서, 숫자 "A"는 숫자 "A"가 수정하는 특성의 측정을 위한 일반적인 표준 오차 내에 있는 측정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일부 경우에, "A"가 기준을 벗어나는 양이, 청구된 발명의 기본 및 신규한 특징(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숫자 "A"는 위에서 열거된 백분율만큼 벗어날 수 있다. 또한, 모든 범위는 개시된 최대 및 최소 지점을 포함하며, 본원에 구체적으로 열거될 수 있거나 열거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중간 범위를 그 중에 포함한다.

Claims (15)

  1.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 내에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화 모듈로서,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화하기 위한 진동식 변환기;
    상기 진동식 변환기와 전기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접촉부와의 탈착식 전기 연결을 위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은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식 변환기는, 사용 시, 상기 멤브레인을 진동시키도록 상기 멤브레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멤브레인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멤브레인의 일부분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진동식 변환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구역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제1 전기 전도성 접촉부 및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멤브레인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형성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변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변환기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멤브레인의 표면에 결합된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단일 환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둘러싸는 환형부를 정의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식 변환기는 제1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로서 제공된 한 쌍의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멤브레인의 대향 표면에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환형부가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사이에 한정되도록 하고, 상기 환형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구역을 둘러싸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상기 제1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와 전기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기 전도성 접촉부 및 상기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와 전기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단일 환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 모듈.
  11.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화 모듈;
    세장형 하우징으로서, 전원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함유하는, 상기 세장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하우징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을 탈착식으로 수용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에 탈착식 전기 연결을 확립하여서 상기 세장형 하우징이 상기 진동식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부품 및 제2 하우징 부품을 가지고, 상기 제1 하우징 부품은 상기 전원을 함유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은 마우스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품의 대응하는 축 방향 정합 말단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부품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축 방향 정합 말단은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하우징의 측벽면이 애퍼처를 포함하고, 상기 애퍼처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어 있는 공동에 대한 접근 개구부를 정의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는 상기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화 모듈의 삽입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접촉부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초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크레이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접근 개구부를 통해 상기 공동 내로 탈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15. 부품들의 키트로서, 상기 부품은 조립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형성하되, 상기 부품은:
    제1 에어로졸화 모듈;
    제2 에어로졸화 모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의 각각;
    세장형 하우징으로서, 전원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부를 함유하는, 상기 세장형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 중 하나를 탈착식으로 수용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에어로졸화 모듈의 대응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부들 사이에 탈착식 전기 연결을 확립하여서 상기 세장형 하우징이 상기 진동식 변환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이 상기 세장형 하우징 내에서 탈착식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세장형 하우징 내에서 서로 상호 교환 가능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에어로졸화 모듈은 제1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에어로졸화 모듈은 제2 에어로졸 방출 패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 방출 패턴은 서로 구별되는, 키트.
KR1020237032079A 2021-02-24 2022-02-09 에어로졸화 모듈 KR20230148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59050 2021-02-24
EP21159050.0 2021-02-24
PCT/EP2022/053160 WO2022179854A1 (en) 2021-02-24 2022-02-09 Aerosolisation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216A true KR20230148216A (ko) 2023-10-24

Family

ID=7475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079A KR20230148216A (ko) 2021-02-24 2022-02-09 에어로졸화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38474A1 (ko)
EP (1) EP4297595A1 (ko)
JP (1) JP2024507503A (ko)
KR (1) KR20230148216A (ko)
CN (1) CN116867383A (ko)
CA (1) CA3209490A1 (ko)
WO (1) WO20221798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3430B2 (en) * 2002-05-24 2005-01-18 S. C. Johnson & Son, Inc. Low leakage liquid atomization device
DE102005006375B4 (de) * 2005-02-11 2007-10-11 Pari GmbH Spezialisten für effektive Inhalation Aerosolerzeugungsvorrichtung für Inhalationstherapiegeräte
WO2016154897A1 (zh) * 2015-03-31 2016-10-06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雾化组件和电子烟
CN206101579U (zh) * 2016-05-16 2017-04-19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烟雾化器
CN110394268B (zh) * 2018-04-25 2021-07-02 微邦科技股份有限公司 微雾生成装置及微雾产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67383A (zh) 2023-10-10
WO2022179854A1 (en) 2022-09-01
JP2024507503A (ja) 2024-02-20
EP4297595A1 (en) 2024-01-03
US20240138474A1 (en) 2024-05-02
CA3209490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7698B2 (ja) 電子蒸気供給システム、カートリッジ、制御ユニット、蒸気供給手段及び方法
CN108078009B (zh) 斜置超声雾化片结构及雾化器、电子烟
EP3432956B1 (en)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CA3003056C (en) An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vibratable element
US10420903B2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parts
EP4122335A1 (en) Electric heating non-combustion atomization device
KR20230148216A (ko) 에어로졸화 모듈
JP2015515351A (ja) ネブライザ及びネブライザの製造方法
JP2005058421A (ja) 電子吸入装置
JP2022511680A (ja) 蒸気供給システム用の構成要素
JP2023520311A (ja) 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114929043A (zh) 基于超声波的气溶胶生成装置及该装置的烟弹识别方法
JPWO2020255939A1 (ja) 加熱部及び非燃焼式吸引器
US10806868B1 (en) Mesh nebulizer systems
KR20200085478A (ko) 히터 분리형 미세입자 발생장치
CN217906316U (zh) 电子雾化装置
CN212590253U (zh) 一种抽吸装置
CN220109084U (zh) 超声雾化器及超声雾化装置
CN216220186U (zh) 一种烟弹及其雾化式电子烟
CN220966417U (zh) 雾化装置
WO2024095403A1 (ja) エアロゾル吸引器
CN219719757U (zh) 一种电子雾化装置
WO2021106922A1 (ja) 香味源容器及び非燃焼式吸引器
WO2023275951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JPH02189161A (ja) 超音波式噴霧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