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284A -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284A
KR20230140284A KR1020220039237A KR20220039237A KR20230140284A KR 20230140284 A KR20230140284 A KR 20230140284A KR 1020220039237 A KR1020220039237 A KR 1020220039237A KR 20220039237 A KR20220039237 A KR 20220039237A KR 20230140284 A KR20230140284 A KR 20230140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temperature
power outage
power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영
권기출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284A/ko
Publication of KR2023014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기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가열원을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여 취사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검출부를 통해 정전 및 복전상태를 검출하며, 상기 정전 검출부에서 정전 검출시 현재 진행 중인 취반 공정과 측정된 온도를 메모리부를 통해 기억 저장하고, 정전 상태에서 정전 시간을 카운터 하는 카운터부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Cook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status when power failure is restored during cooking}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서 정전 복귀시 정전전 온도, 복귀 시 온도, 복귀 시간과 취반 공정 단계에 따른 판단 조건을 달리하여 취반을 재수행하거나 취반을 취소하여 밥의 설익음과 좋지 않은 밥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 하는 조리기기에서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를 제어하는 취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탈곡, 정미한 상태에서는 70-80%가 전분상태로 되어있는데, 이 상태의 전분, 즉, '생전분'은 취반(炊飯)하기 전에는 전분의 구조가 규칙적인 분자배열을 가지는 베타전분으로 수분의 함량이 적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지만 규칙적인 분자배열로 씹기 힘들고 소화가 어렵다. 이 베타 전분 상태의 쌀을 물과 열을 가하여 취반(炊飯)하게 되면 베타 전분의 분자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팽윤 현상으로 호화(糊化)가 일어나 불규칙한 분자배열을 갖는 알파화된 전분으로 상태가 변하여 씹기 좋고 소화가 잘되는 상태로 변하게 된다. 한편, 쌀을 취반하는 취반기, 전자레인지, 오븐레인지 등(이하, '조리기기'라 한다)의 가열 조리기기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온도, 시간 등이 미리 프로그램된 조작 키를 누르거나 사용자가 조리시마다 조작키나 손잡이를 조작하여 온도와 시간 등을 설정하여 스타트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이 실행된다. 종래 가열 조리기기의 경우 정전 후 복구에 대한 취반 대응 방법이 별도로 세팅되거나 프로그래밍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리 중 정전 발생 후 정전 상태가 복구되었을때 가열조리기기에 리세트가 걸리거나 초기 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리를 다시 하던가 남은 시간을 적당히 인위적으로 판단하여 대응하고 있다. 즉 정전까지 10분정도 가열한 것으로 판단되면 나머지는 30분 정도를 추가 가열 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에 의해 메뉴얼에 따라 조작 키 등을 조작하여 조리를 계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취반기능을 구비하는 가열 조리기기는 취반 중 정전 후 특정 시간 이내에 복귀 되면 이전 진행 사항을 이어서 하거나 또는 특정 시간이 경과 하면 정정 에러를 발생시켜 취반을 취소하고 있으며, 일정시간 이내에 정전 복귀시 단순히 이전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취반 재료의 낭비가 생기거나 취반이 완료되었다고 하더라도 후 공정이 불안정하여 호화상태가 달라지는 3층밥으로 취반되는 등의 현상의 발생되고, 밥이 설익거나 좋지 않은 냄새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8039호(2004년12월23일)
특허문헌 2. 국내 공고특허공보 제10-1997-0011546호(1997년07월11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조리기기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 복귀 시 온도, 복귀 시간과 취반 공정 단계에 따른 판단 조건을 달리 하여 취반을 재수행하거나 취반을 취소하여 밥의 설익음과 좋지 않은 밥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원을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여 취사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검출부를 통해 정전 및 복전상태를 검출하며, 상기 정전 검출부에서 정전 검출시 현재 진행 중인 취반 공정과 측정된 온도를 메모리부를 통해 기억 저장하고, 정전 상태에서 정전 시간을 카운터 하는 카운터부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취반 중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취반 공정과 온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기억하고, 복귀시 복귀되는 시간과 복귀후 온도를 측정하며, 각 취반 공정 별로 유효한 복귀 경과 시간과 복귀 전과 후의 온도차를 비교하여 취반의 재진행 또는 취소를 판단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가열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쌀의 수분을 흡수시키고 쌀을 익히기 위해 비등온도까지 강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1 공정; 상기 비등온도에 도달 후 수분을 증발 시키기 위해 증발검출온도까지 비등온도로 가열하는 제1 공정 화력보다 낮은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증발검출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가열원을 소화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뜸을 들여 취사를 종료하는 제3 공정;으로 취반 공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설정된 기포발생온도 이하인 경우 취반을 재시작하고, 정전 전 온도가 기포발생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1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1 공정을 재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비등온도를 초과 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2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2 공정을 재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공정에서 정전 복귀시 정전 경과 시간 시간 보다 뜸들이기 시간이 긴 경우 상기 제3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경과 시간이 뜸들이기 시간 보다 긴 경우 취반 완료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가열원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여 취사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검출부를 통해 정전 및 복전상태를 검출하며, 상기 정전 검출부에서 정전 검출시 현재 진행 중인 취반 공정과 측정된 온도를 메모리부를 통해 기억 저장하고, 정전 상태에서 정전 시간을 카운터부를 통해 카운터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방법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단계는, 취반 중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취반 공정과 온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기억하고, 복귀시 복귀되는 시간과 복귀후 온도를 측정하며, 각 취반 공정 별로 유효한 복귀 경과 시간과 복귀 전과 후의 온도차를 비교하여 취반의 재진행 또는 취소를 판단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가열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단계는, 쌀의 수분을 흡수시키고 쌀을 익히기 위해 비등온도까지 강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1 공정; 상기 비등온도에 도달 후 수분을 증발 시키기 위해 증발검출온도까지 비등온도로 가열하는 제1 공정 화력보다 낮은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증발검출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가열원을 소화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뜸을 들여 취사를 종료하는 제3 공정;으로 취반 공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설정된 기포발생온도 이하인 경우 취반을 재시작하고, 정전 전 온도가 기포발생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1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1 공정을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비등온도를 초과 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2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2 공정을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3 공정에서 정전 복귀시 정전 경과 시간 시간 보다 뜸들이기 시간이 긴 경우 상기 제3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경과 시간이 뜸들이기 시간 보다 긴 경우 취반 완료로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 복귀 시 온도, 복귀 시간과 취반 공정 단계에 따른 판단 조건을 달리 하여 취반을 재수행하거나 취반을 취소하여 밥의 설익음과 좋지 않은 밥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취반 중 가열이 중지 될 경우 솥 재질, 취반기의 구조, 취사 양에 의해 내부 온도 유지가 다르기 때문에 정전 시간만으로 취반 재 진행을 판정하는 것보다 정전 전과 복귀 시 온도 차를 활용하여 취반 단계별 각각 다른 조건으로 취반 진행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재 취반시 밥의 설익음과 냄새 발생을 방지하여 재료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조리기기의 일종인 다단식 취반기의 예시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다단식 취반기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를 블럭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 공정 별 기준온도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 공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의 제1 공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의 제2 공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의 제3 공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조리기기의 경우 정전 후 복구에 대한 취반 대응 방법이 별도로 세팅되거나 프로그래밍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리 중 정전 발생 후 정전 상태가 복구되었을때 조리기기에 리세트가 걸리거나 초기 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리를 다시하던가 남은 시간을 적당히 인위적으로 판단하여 대응하고 있다.
즉 정전까지 10분정도 가열한 것으로 판단되면 나머지는 30분 정도를 추가 가열 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에 의해 매뉴얼에 따라 조작 키 등을 조작하여 조리를 계속하게 되지만, 조리기기는 취반 중 정전 후 특정 시간 이내에 복귀 되면 이전 진행 사항을 이어서 하거나 또는 특정 시간이 경과 하면 정정 에러를 발생시켜 취반을 취소하고 있으며, 일정시간 이내에 정전 복귀시 단순히 이전 공정을 실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취반 재료의 낭비가 생기거나 취반이 완료되었다고 하더라도 후 공정이 불안정하여 호화상태가 달라지는 3층밥으로 취반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고, 밥이 설익거나 좋지 않은 냄새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 복귀 시 온도, 복귀 시간과 취반 공정 단계에 따른 판단 조건을 달리 하여 취반을 재수행하거나 취반을 취소하여 밥의 설익음과 좋지 않은 밥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시된다.
도 1은 가열기기의 일종인 취반기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는 가열기기의 일종인 취반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예시이다.
가열기기(100)의 일종인 취반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200)을 투입하는 투입구(130)가 형성된 케이스(110), 케이스(110)의 투입구(130) 전면에 설치되어 투입구(130)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도어(140), 케이스(110) 내부 하부에 글라스 상판(150)이 배치되어 상면에 밥솥(200)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을 가지며 밥솥(200)을 인덕션 히팅 코일(미도시)이 배치된 가열존을 통해 가열하는 조리실(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원(100a)인 히팅 코일(미도시)은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케이스(110) 내부에 실장형으로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원(100a)인 워킹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고 취반 공정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 검출 신호에 따라 취반 공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리기기'는 취반기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취반이 가능한 가열원을 가지는 기기들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취반기, 전자레인지, 오븐레인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 제품 기기들이 조리기기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를 블럭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 공정과 그 온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예시이다.
본 발명은, 가열원(100a)을 구비하는 조리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해 조리기기(100)의 주변부에 구비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될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원(100a)에 의해 취사 공정을 진행하고, 정전 검출부를 통해 정전 및 복전을 검출하며, 정전 검출시 취반 단계와 온도를 기억하고 정전 상태에서도 정전 시간을 카운터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00)를 제어하여 취사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검출부(310)를 통해 정전 및 복전상태를 검출하며, 상기 정전 검출부(310)에서 정전 검출시 현재 진행 중인 취반 공정과 측정된 온도를 메모리부(320)를 통해 기억 저장하고, 정전 상태에서 정전 시간을 카운터 하는 카운터부(330)로 구성된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취반 중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취반 공정과 온도 측정부(340)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기억하고, 복귀시 복귀되는 시간과 복귀후 온도를 측정하며, 각 취반 공정 별로 유효한 복귀 경과 시간과 복귀 전과 후의 온도차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취반의 재진행 또는 취소를 판단하여 조리기기(100)의 가열원(100a)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쌀의 수분을 흡수시키고 쌀을 익히기 위해 비등온도까지 강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1 공정; 비등온도에 도달 후 수분을 증발 시키기 위해 증발검출온도까지 비등온도로 가열하는 제1 공정 화력보다 낮은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증발검출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가열원을 소화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뜸을 들여 취사를 종료하는 제3 공정으로 취반 공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1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설정된 기포발생온도(H) 이하인 경우 취반을 재시작하고, 정전 전 온도가 기포발생온도(H)를 초과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1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1 공정을 재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2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비등온도를 초과 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2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2 공정을 재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3 공정에서 정전 복귀시 정전 경과 시간 시간 보다 뜸들이기 시간이 긴 경우 상기 제3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경과 시간이 뜸들이기 시간 보다 긴 경우 취반 완료로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방법은, 조리기기의 가열원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여 취사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검출부를 통해 정전 및 복전상태를 검출하며, 상기 정전 검출부에서 정전 검출시 현재 진행 중인 취반 공정과 측정된 온도를 메모리부를 통해 기억 저장하고, 정전 상태에서 정전 시간을 카운터부를 통해 카운터하는 제어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는, 취반 중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취반 공정과 온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기억하고, 복귀시 복귀되는 시간과 복귀후 온도를 측정하며, 각 취반 공정 별로 유효한 복귀 경과 시간과 복귀 전과 후의 온도차를 비교하여 취반의 재진행 또는 취소를 판단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가열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는, 쌀의 수분을 흡수시키고 쌀을 익히기 위해 비등온도까지 강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1 공정; 상기 비등온도에 도달 후 수분을 증발 시키기 위해 증발검출온도까지 비등온도로 가열하는 제1 공정 화력보다 낮은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증발검출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가열원을 소화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뜸을 들여 취사를 종료하는 제3 공정;으로 취반 공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는, 제1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설정된 기포발생온도(H) 이하인 경우 취반을 재시작하고, 정전 전 온도가 기포발생온도(H)를 초과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1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1 공정을 재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는, 제2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비등온도를 초과 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2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2 공정을 재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계는, 제3 공정에서 정전 복귀시 정전 경과 시간 시간 보다 뜸들이기 시간이 긴 경우 상기 제3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경과 시간이 뜸들이기 시간 보다 긴 경우 취반 완료로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 공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가열원에 전원이 인가되어 취반을 시작하는 경우(S110), 정전 상태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제어부(300)의 정전 검출부(310)를 통해 판단된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정전 검출이 없는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취반 시작(S110) 모드로 실행되고, 상기 S1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정전 검출이 있는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온도와 취반 단계를 저장한다(S130).
이어서, 정전 시간에 대한 카운터를 실행하고(S140), 전원의 재인가 여부가 판된다(S150).
상기 S15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전원의 재 인가가 없는 경우, 정전 시간에 대한 카운터를 계속적으로 실행하고, 상기 S150 단계에의 판단 결과, 전원이 재인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전전 실행되었던 취반 제1 공정 내지 제3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으로 조리기기의 가열원을 제어하여 취반 공정을 수행하고 종료하도록 제어된다(S16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의 제1 공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 제1 공정에서의 정전 복귀 시(S210), 정전 전의 취반 온도가 기포발생온도(H) 이하 인지가 판단된다(S220).
상기 S2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정전 전 온도가 기포발생온도(H) 이하인 경우, 정전 전 온도와 정전 복귀 후 온도차가 제1 제한온도 이내인지가 판단되고(S240), 정전 전 온도와 정전 복귀 후 온도차가 제1 제한온도 이내이면, 취반 제1 공정 재시작 모드로 실행되고(S250)된다.
상기 S2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정전 전 온도가 기포발생온도(H) 이상인 경우, 취반 취소 모드로 실행된다(S230). 또한, 상기 S24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정전 전 온도와 정전 복귀 후 온도차가 제1 제한온도 이상인 경우, 취반 취소 모드로 실행된다(S230).
한편, 취반 제1공정은 물을 포함한 쌀을 물이 끓는 온도까지 가열하는 과정으로서, 쌀을 포함한 물을 비등점까지 가열하는 과정이다.
이때, 가열 후 기포발생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가열원과 대면되는 부분에서 기포가 발생하며, 이 기포는 쌀을 유동시켜, 날알을 부서트리며, 이때 부서진 면에서 전분과 유용성 성분이 빠져나온다.
기포발생온도에서 비등점까지 가열하는 시간이 유효하게 짧은 일반적인 취반과정에서와는 달리, 기포발생온도 이상이며 비등점 이하로 가열된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정전이 발생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으나, 부서진 면에서의 전분과 유용성 성분이 물속에 녹여지며, 이상태로 취반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밥맛이 떨어지며 밥에서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취반 제1공정에서 기포발생온도 이상에서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취반을 취소하고, 사용자에게 수세후 재 취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취반과정에서 침지시간이 길어지면 쌀알에 수분이 흡수된 상태로 경도가 낮아지게 되며, 낮아진 경도로 인해 쉽게 부서지게 되므로, 밥맛이 떨어지며,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미의 경우 120분이상 침지를 제한하나, 물의 온도, 쌀의 종류에 따라 침지제한시간이 변동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220단계 이후, 정전 전 온도와 정전 복귀후 온도차가 침지 제한시간 이내로 판별할 수 있는 제1 제한온도 이내인지를 판별하여, 침지상태를 판별하고, 취반 제1공정 재시작(S250)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1 제한온도는, 취반기의 취반양, 정전 전 온도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의 제2 공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 제2 공정에서의 정전 복귀 시(S310), 정전 전 온도가 설정된 정전 전 온도와 정전 복귀 후 온도차가 제2 제한온도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20), 취반 제2 공정을 재시작하고(S330), 정전 전 온도와 정전 복귀 후 온도차가 제2 제한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취반 취소 모드로 실행된다(S340).
한편, 취반 제2공정은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쌀의 배타전분을 알파전분으로 변화시키는 호화과정으로, 화력을 낮게 제어하여 취반 솥의 바닥 늘어붙음을 방지하기 위해 화력을 제한하되, 물이 증발되어 온도가 비등점을 초과하여 증발검출온도까지 상승되는 과정이다.
쌀은 '생전분'인 규칙적인 분자배열을 가지는 배타전분에서 물과 열을 가해 불규칙적인 분자배열을 갖는 알파전분으로 변화한 이후, 수분이 건조되면 베타화 전분으로 되돌아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취반 제2공정에서 가열로 인해 물이 증발될 때 서서히 증발되어 수두가 낮아지게 되며, 이때 정전이 되는 경우, 수분이 없는 밥층(상단층)에서는 베타화전분으로 변해가고, 수분이 있는 밥층(하단층)에서는 알파전분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정전시간이 오래 될수록 상단층과 하단층의 밥맛이 상이한 층밥이 될 수 있고, 수분이 없는 밥층(상단층)에서는 베타화과정이 심해져 꼬들하거나 딱딱한 밥으로 진행되고, 수분이 있는 밥층(하단층)은 질은 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S320단계에서, 취반 제2 공정에서 정전이 발생할 때 정전 발생시간을 정전 전 온도와 정전 복귀 후 온도차를 제2 제한온도 이내로 제한하여, 비등온도로 가열중인 취반온도가 층밥이 되었는지 판단하는 제2 제한온도 이내인 경우 취반 제2공정을 재시작하여 양호한 취반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의 제3 공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예시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 제3 공정에서의 정전 복귀 시(S410), 정전 경과시간과 잔여 뜸들이기 시간이 비교 판단된다(S420).
상기 S4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정전 경과시간이 잔여 뜸들이기 시간에 비해 긴 경우, 취반 제3 공정 중 잔여 공정을 재시작하고(S430), 정전 경과시간이 뜸들이기 시간 보다 길지 않은 경우 취반 완료로 판단하도록 제어된다(S440).
한편, 취반 제3 공정은 취반 제2 공정에서 물이 모두 증발된 상태 이후, 화력을 제한한 상태로 뜸을 들이는 공정으로, 정해진 뜸 시간 동안 솥내부에서 밥알간의 수분함유량을 평균화하는 과정이다.
이때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정해진 뜸 시간에서 정전이 발생한 시간까지 진행된 시간을 뺀 잔여 뜸 시간에서, 정전이 발생하여 경과한 정전 경과시간을 비교하여, 잔여 뜸시간보다 정전 경과시간이 많을 때, 정전이 복귀되면 취반 완료(S440)로 판단하여 소비자에게 취반완료 상태를 알려주며, 잔여 뜸 시간보다 정전 경과시간이 작은 상태로 정전이 복귀되면, 잔여 공정을 재 시작하는 S430 과정을 진행한다.
즉, 정해진 뜸 시간에서, 정전이 발생하기 전까지의 뜸 시간과 정전 진행시간을 뺀 잔여 공정 시간 만큼 뜸을 진행한 이후 취반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 복귀 시 온도, 복귀 시간과 취반 공정 단계에 따른 판단 조건을 달리 하여 취반을 재수행하거나 취반을 취소하여 밥의 설익음과 좋지 않은 밥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반 중 가열이 중지 될 경우 솥 재질, 취반기의 구조, 취사 양에 의해 내부 온도 유지가 다르기 때문에 정전 시간만으로 취반 재 진행을 판정하는 것보다 정전 전과 복귀 시 온도 차를 활용하여 취반 단계별 각각 다른 조건으로 취반 진행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재 취반시 밥의 설익음과 냄새 발생을 방지하여 재료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조리기기(취반기) 100a: 가열원
300: 제어부 310: 정전 검출부
320: 메모리부 330: 카운터부
340: 온도 측정부

Claims (12)

  1. 가열원을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여 취사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검출부를 통해 정전 및 복전상태를 검출하며, 상기 정전 검출부에서 정전 검출시 현재 진행 중인 취반 공정과 측정된 온도를 메모리부를 통해 기억 저장하고, 정전 상태에서 정전 시간을 카운터 하는 카운터부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취반 중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취반 공정과 온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기억하고, 복귀시 복귀되는 시간과 복귀후 온도를 측정하며, 각 취반 공정 별로 유효한 복귀 경과 시간과 복귀 전과 후의 온도차를 비교하여 취반의 재진행 또는 취소를 판단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가열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를 제어하는 취반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쌀의 수분을 흡수시키고 쌀을 익히기 위해 비등온도까지 강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1 공정; 상기 비등온도에 도달 후 수분을 증발 시키기 위해 증발검출온도까지 비등온도로 가열하는 제1 공정 화력보다 낮은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증발검출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가열원을 소화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뜸을 들여 취사를 종료하는 제3 공정;으로 취반 공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설정된 기포발생온도 이하인 경우 취반을 재시작하고, 정전 전 온도가 기포발생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1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1 공정을 재시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비등온도를 초과 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2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2 공정을 재시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공정에서 정전 복귀시 정전 경과 시간 시간 보다 뜸들이기 시간이 긴 경우 상기 제3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경과 시간이 뜸들이기 시간 보다 긴 경우 취반 완료로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7. 조리기기의 가열원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여 취사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검출부를 통해 정전 및 복전상태를 검출하며, 상기 정전 검출부에서 정전 검출시 현재 진행 중인 취반 공정과 측정된 온도를 메모리부를 통해 기억 저장하고, 정전 상태에서 정전 시간을 카운터부를 통해 카운터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취반 중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취반 공정과 온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기억하고, 복귀시 복귀되는 시간과 복귀후 온도를 측정하며, 각 취반 공정 별로 유효한 복귀 경과 시간과 복귀 전과 후의 온도차를 비교하여 취반의 재진행 또는 취소를 판단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가열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를 제어하는 취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쌀의 수분을 흡수시키고 쌀을 익히기 위해 비등온도까지 강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1 공정; 상기 비등온도에 도달 후 수분을 증발 시키기 위해 증발검출온도까지 비등온도로 가열하는 제1 공정 화력보다 낮은 화력으로 가열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증발검출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가열원을 소화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뜸을 들여 취사를 종료하는 제3 공정;으로 취반 공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설정된 기포발생온도 이하인 경우 취반을 재시작하고, 정전 전 온도가 기포발생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1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1 공정을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2 공정에서 정전 복귀 시 정전 전 온도가 비등온도를 초과 하는 경우 정전 전 온도에서 정전 복귀후 온도를 차감한 온도가 제2 제한온도 이내이면 상기 제2 공정을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3 공정에서 정전 복귀시 정전 경과 시간 시간 보다 뜸들이기 시간이 긴 경우 상기 제3 공정을 실행하고, 정전 경과 시간이 뜸들이기 시간 보다 긴 경우 취반 완료로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방법.
KR1020220039237A 2022-03-29 2022-03-29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30140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37A KR20230140284A (ko) 2022-03-29 2022-03-29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37A KR20230140284A (ko) 2022-03-29 2022-03-29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284A true KR20230140284A (ko) 2023-10-06

Family

ID=8829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237A KR20230140284A (ko) 2022-03-29 2022-03-29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028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46A (ko) 1995-08-14 1997-03-27 에릭 하우크 액체, 특히 가솔린을 담는 탱크용 내부 라이닝과 그 탱크
KR20040108039A (ko) 2003-06-16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밥솥의 정전 표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46A (ko) 1995-08-14 1997-03-27 에릭 하우크 액체, 특히 가솔린을 담는 탱크용 내부 라이닝과 그 탱크
KR20040108039A (ko) 2003-06-16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밥솥의 정전 표시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19936B (zh) 一种低糖米饭的烹饪方法及烹饪器具
CN110448164B (zh) 加压烹饪器具的排气控制方法以及加压烹饪器具
CN109798553B (zh) 一种灶具及其防干烧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09101211A (ja) 炊飯器
CN110960080B (zh) 用于煮饭器的烹饪方法及烹饪器具
KR20030013181A (ko) 취반기능을 갖는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JP5496168B2 (ja) 加熱調理器
KR20230140284A (ko) 취반 중 정전 복귀 시 취반 상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17798B1 (ko) 인분수 판정 기능을 구비한 전기 밥솥 및 전기 밥솥의 인분수 판정 방법
JP5056129B2 (ja) 加熱調理器
CN113425168B (zh) 一种电蒸箱的智能加水方法
US20230272905A1 (en) Operating a domestic steam-treatment appliance, and domestic steam-treatment appliance
JP3319255B2 (ja) 炊飯器
JP6774783B2 (ja) 炊飯器
JPH09164064A (ja) 炊飯器
JP2903681B2 (ja) 加熱調理器の温度制御装置
JP3180565B2 (ja) 炊飯器
KR950001188B1 (ko) 취반기
KR100327620B1 (ko) 취반기능을 구비한 곤로 및 그 제어방법
JPH11253308A (ja) 炊飯器
JP7248291B2 (ja) ガス炊飯器
CN115813195A (zh) 电压力锅确定食物类型的方法及相关组件
JP2002022184A (ja) 加熱調理器
CN116262004A (zh) 厨房电器的控制方法及其控制模块和可读存储介质
JPS611441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