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163A -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163A
KR20230140163A KR1020220038956A KR20220038956A KR20230140163A KR 20230140163 A KR20230140163 A KR 20230140163A KR 1020220038956 A KR1020220038956 A KR 1020220038956A KR 20220038956 A KR20220038956 A KR 20220038956A KR 20230140163 A KR20230140163 A KR 2023014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ttern image
unit
lighting syste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해
김종운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163A/ko
Priority to PCT/KR2023/003350 priority patent/WO2023191344A1/ko
Publication of KR2023014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light guides for distributing the light between several lighting or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위치에 패턴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패턴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조사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조명 장치; 및 차량 상태 및 차량 주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조사광이 조사되는 목표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위치에 패턴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주변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각 램프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최근에는 단순히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만으로는 전달 가능한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차량 주변의 노면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패턴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7992호 (2013.10.2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차량 주변의 서로 다른 위치에 패턴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주변의 서로 다른 위치에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더라도 균일한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패턴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조사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조명 장치; 및 차량 상태 및 차량 주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조사광이 조사되는 목표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조사광이 생성되는 광원부; 및 상기 생성된 조사광이 상기 목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광로를 조정하는 광로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로 조정부는, 상기 조사광이 상기 목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조사광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방향은, 상기 생성된 조사광의 진행 방향에 나란한 상기 광원부의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의 법선 방향에 나란한 상기 광로 조정부의 주축의 틸팅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은, 상기 광로 조정부의 주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틸팅되어 상기 패턴 이미지가 설정된 크기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광로 조정부의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이 틸팅되는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조사광의 광 조사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광로 조정부에 의해 진행하는 광이 조사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생성된 조사광의 광량 및 상기 광 조사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조사광이 도달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생성된 조사광의 광량 및 상기 광 조사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조사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가 균일한 밝기와 크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조사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상기 광 조사 각도가 감소되도록 하고, 상기 광원부의 광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상태 및 상기 차량 주변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되는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목표 방향 및 상기 패턴 이미지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이미지의 속성은, 상기 패턴 이미지의 크기, 밝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목표 방향 및 상기 패턴 이미지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운전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차량 상태는, 차량 속도, 변속단, 주행 방향 및 도어 열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상태는, 주변 밝기, 노면 상태 및 기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차량 정차 시 상기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 주변의 서로 다른 위치에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의 공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주변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가 균일한 크기와 밝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하우징이 도시된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합성부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광로 조정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주축과 광로 조정부의 주축 사이의 틸팅 각도에 따라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로 조정부의 주축을 기준으로 틸팅되는 반사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로 조정부의 주축을 기준으로 반사면의 틸팅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의 개구부 내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커버의 통과 홀이 도시된 개략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실링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의 회전에 의해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도시된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도시된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로부터 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도시된 개략도.
도 31은 도 30의 광 도달 거리에 대응되는 반사면의 틸팅 각도가 도시된 개략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로부터 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도시된 개략도.
도 33은 도 32의 광 도달 거리에 대응되는 반사면의 틸팅 각도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0)는 광 조사부(1100) 및 구동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명 장치(1000)는 차량의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 등과 같은 조명 기능, 차량의 주행 상태를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포지션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과 같은 신호 기능, 차량 주변의 노면에 주변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는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는 전술한 기능들 중 단일의 기능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기능으로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1000)가 차량 주변의 노면에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패턴 이미지는 차량 상태를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탑승자의 승차 또는 하차 시 차량이 반응하도록 하는 웰컴 기능이나 바이 기능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턴 이미지는 탑승자를 포함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1000)가 차량 주변의 노면에 패턴 이미지를 형성하는 기능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가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명 장치(100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차량의 측방 또는 측후방에 대한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미러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의 용이한 확인이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미러의 미러 하우징(1400)의 일부가 제거된 경우의 일 예이다.
전술한 도 7 및 도 8에서는 카메라 미러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차량 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 대신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거울이 장착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미러 하우징(1400)은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의 장착을 위한 장착 프레임(1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착 프레임(1410)은 미러 하우징(1400)과 일체로 제조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광 조사부(1100)는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의 용도에 적합한 패턴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1100)는 광원부(1110) 및 광로 조정부(1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부(1110) 및 광로 조정부(1120)는 케이스(1130) 내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케이스(1130)는 내부에 광원부(1110) 및 광로 조정부(1120)가 수용 가능하도록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서브 케이스(1131) 및 제2 서브 케이스(1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서브 케이스(1131) 및 제2 서브 케이스(1132)는 나사 결합, 후크 결합, 접착제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30)가 2개의 서브 케이스(1131, 1132)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1130)는 레이 아웃이나 설계 상의 이유 등에 따라 단일의 서브 케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서브 케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110)는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 및 광 합성부(1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의 색상, 밝기, 크기 등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 속성에 따라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광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합성을 통해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가 보다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의 속성에 따라 광원부(1110)에 포함되는 광원의 개수나 광의 색상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집광 렌즈(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에 의해 집광되어 광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게 된다.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은 복수의 집광 렌즈(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와 함께 방열부(1113)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으로부터 광이 발생될 때 함께 발생되는 열로 인한 발광 성능 저하가 방지되도록 신속하게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방열부(1113)는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 홀(1113a, 1113b, 1113c, 1113d, 1113e)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안내 홀(1113a, 1113b, 1113c, 1113d, 1113e)에 의해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 중 서로 다른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 사이에 광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열이 제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가 미러 하우징(1400)과 같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때 설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경우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이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광원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광량이나 색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으로서 5개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이 사용되고, 이 중에서 3개의 광원(1111a, 1111b, 1111c)이 제1 방향으로 제1 열을 형성하고, 나머지 2개의 광원(1111d, 1111e)이 제1 방향으로 제2 열을 형성하며, 제1 열과 제2 열이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2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광원(1111a, 1111d)(1111b, 1111e)는 동일한 색상의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광 합성부(1112)은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합성하여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에서 조사되는 조사광을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합성부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합성부(1112)는 제1 합성부(1115) 및 제2 합성부(1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합성부(1115)는 제1 열에 포함된 광원(1111a, 1111b, 1111c)의 광을 합성하여 제1 합성광(L1)을 생성하고, 제2 열에 포함되는 광원(1111d, 1111e)의 광을 합성하여 제2 합성광(L2)을 생성하며, 제2 합성부(1116)는 제1 합성광(L1) 및 제2 합성광(L2)을 합성하여 제3 합성광(L3)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3 합성광(L3)이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로부터 조사되는 조사광으로 이해될 수 있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 합성광(L3)을 조사광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1 합성부(1115)는 일부 파장의 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 파장의 광은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면(1115a, 1115b, 1115c)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합성부(1116)도 제1 합성부(1115)와 유사하게 일부 파장의 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 파장의 광은 투과시키는 복수의 반사면(1116a, 1116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이 복수의 열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합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열의 광원(1111a, 1111b, 1111c)과 제2 열의 광원(1111d, 1111e) 중 동일한 색상의 광원이 제2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합성부(1115)의 복수의 반사면(1115a, 1115b, 1115c) 중 동일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복수의 광원(1111a, 1111b, 1111c, 1111d, 1111e)이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도 광 합성부(1112)의 공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광 합성부(1112)는 방열부(1113) 및 방열부(1113)와 결합되는 고정 커버(11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수용될 수 있으며, 고정 커버(1114)는 일측에 광 합성부(1112)에 의해 생성되는 조사광이 광로 조정부(1120)로 진행되도록 개구 홀(1114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구 홀(1114a)이 조사광의 진행 방향과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조사광이 개구 홀(1114a)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1117)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사광의 진행 방향에 개구 홀(1114a)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반사 미러(1117)가 생략될 수도 있다.
광로 조정부(1120)는 수평 방향으로 광원부(1100)에 비하여 차체에 가깝게 위치하여 광원부(1110)의 조사광이 목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광로를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 및 광로 조정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로 조정부(1120)는 광원부(1110)에서 생성되는 조사광이 목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광로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로 조정부(1120)는 조사광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차량 주변의 노면에 조사되어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의 용도에 적합한 패턴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목표 방향은 광원부(1110)의 주축(Ax1)과 광로 조정부(1120)의 주축(Ax2) 사이의 틸팅 각도(θ)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광원부(1110)의 주축(Ax1)은 생성된 조사광의 진행 방향에 나란한 축으로 이해될 수 있고, 광로 조정부(1120)의 주축(Ax2)은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의 법선 방향에 나란한 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부(1110)의 주축(Ax1)을 "제1 주축"이라 칭하고, 광로 조정부(1120)의 주축(Ax2)을 "제2 주축"이라 칭하기로 한다.
광로 조정부(1120)는 제1 주축(Ax1)을 기준으로 제2 주축(Ax2)의 틸팅 각도(θ)를 조정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광로 조정부(1120)가 광원부(1110)에 비하여 차량에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도 15와 같이 제1 주축(Ax1)과 제2 주축(Ax2) 사이의 각도가 θ1일 때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P)와 차량 사이의 거리(d1)에 비하여 제1 주축(Ax1)과 제2 주축(Ax2) 사이의 각도가 θ1보다 작은 θ2일 때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P)와 차량 사이의 거리(d2)가 더 클 수 있다.
이때, 도 1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로 조정부(1120)로서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도시된 경우의 일 예이다.
이와 같이, 제1 주축(Ax1)을 기준으로 제2 주축(Ax2)의 틸팅 각도(θ)의 조정이 가능한 경우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차체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로 조정부(1120)가 단일의 반사면(1121)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로 조정부(1120)는 개별적으로 틸팅 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반사면 각각에 의해 반사되는 광에 의해 차량 주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패턴 이미지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광원부(1110)로부터 생성되는 조사광의 진행 경로 상에는 액정 패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픽셀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가 보다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이 광원부(1110)로부터 생성되는 조사광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조사광의 진행 경로를 따라 광원부(1110)와 광로 조정부(112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광로 조정부(1120)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하는 조사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광로 조정부(1120)의 이전단 또는 이후단에 위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을 대체할 수도 있고, 이 경우 광원부(1110)에서 생성되는 조사광이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을 투과하여 패턴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부(1110)의 조사광이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에 조사되도록 광원부(1110)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은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도 16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틸팅되도록 회전축(C)을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가 적절한 크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6은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동일한 각도(+α, -α)로 틸팅되는 경우의 일 예이며, "+"와 "-"는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틸팅되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α와 -α는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틸팅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17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틸팅되지 않고 고정되는 경우에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의 크기(S1)에 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교대로 빠르게 반복적으로 틸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의 틸팅 각도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들이 합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틸팅되지 않는 경우에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보다 더 큰 크기(S2)의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케이스(1130)는 광원부(1110)와 광로 조정부(1120)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연결 홀(1130a, 113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로 조정부(1120)에 의해 광로가 조정되는 조사광이 투과되도록 하기 위한 투과 홀(1130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30)는 투과 홀(1130c)에 대응되는 통과 홀(1141)이 형성되는 커버(11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1140)는 나사 결합, 후크 결합, 접착제 등에 의해 케이스(1130)와 결합되어 케이스(1130)와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커버(1140)가 케이스(1130)와 일체로 회전된다는 것은 일체로 제조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별도로 제조되어 서로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도록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미러 하우징(1400)은 도 18과 같이 투과 홀(1130c)과 통과 홀(1141)을 거쳐 진행하는 조사광이 목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개구부(14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1140)는 통과 홀(1141) 주변에 개구부(1420)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면(114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후술할 구동부(1200)에 의해 광 조사부(1100)가 회전됨에 따라 도 19 및 도 20과 같이 광 조사부(1100)와 함께 커버(1140)가 회전되어 통과 홀(1141)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조사광이 진행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게 되고, 개구부(1420) 중 통과 홀(114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차폐면(1142)에 의해 차폐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에 의해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1과 같이 통과 홀(1141)이 개구부(1420)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회전되는 동시에 커버(1140)의 차폐면(1142)에 의해 개구부(1420)가 차폐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미러 하우징(14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미러 하우징(1400)은 도 22와 같이 개구부(1420) 주변에 개구부(1420)와 커버(114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는 실링부(14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링부(1430)가 개구부(1420) 주변으로부터 커버(1140)의 테두리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부(1430)는 개구부(1420)와 커버(1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개구부(1420)와 커버(1140)의 테두리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부(1200)는 광 조사부(1100)를 회전시켜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광 조사부(1100)는 구동부(1200)의 회전 로드(1210)에 결합되어 구동부(1200)의 구동 시 광 조사부(1100)가 회전 로드(12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 경우 전술한 도 19 내지 도 21과 같이 광 조사부(1100)가 커버(1140)와 일체로 회전되어 조사광이 진행 방향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케이스(1130)는 회전 로드(12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일단부에는 회전 로드(12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샤프트(1133)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미러 하우징(140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회전 샤프트(11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샤프트(1133)에는 구동부(1200)의 회전 로드(12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홈(113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 홈(1133a)은 회전 로드(12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결합 홈(1133a) 내에서 회전 로드(121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여 구동부(1200)의 구동력이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 로드(1210)는 차폭 방향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로 인해 구동부(1200)에 의해 광 조사부(1100)가 회전될 때 도 23 및 도 24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게 된다.
구동부(1200)에 의해 광 조사부(1100)가 회전될 때 결합 샤프트(1133) 및 회전 샤프트(1134) 중 적어도 하나가 정위치에 이탈되는 경우 패턴 이미지가 정위치에 형성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결합 샤프트(1133) 및 회전 샤프트(1134) 중 적어도 하나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 프레임(1410)과 고정 부재(1441, 1442)는 결합 샤프트(1133) 및 회전 샤프트(1134) 각각의 의해 서로 다른 일부가 감싸여지도록 폐곡선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결합 샤프트(1133) 및 회전 샤프트(1134)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장착 프레임(1410) 및 고정 부재(1441, 1442) 중 적어도 하나에는 걸림턱(1411, 1441a)이 형성되고, 결합 샤프트(1133) 및 회전 샤프트(1134) 중 적어도 하나에는 걸림 돌기(113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초기에 광 조사부(1100)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의 초기 구동 시 구동부(1200)에 의해 회전 샤프트(1134)의 걸림 돌기(1134a)가 장착 프레임(1410) 및 고정 부재(1441)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1411, 1441a)에 걸릴 때까지 광 조사부(1100)가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샤프트(1134)의 걸림 돌기(1134a)가 장착 프레임(1410) 및 고정 부재(1441)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1411, 1441a)에 걸리게 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광 조사부(1100)를 회전시켜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26은 회전 샤프트(1134)와 회전 샤프트(1134)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 부재(1441)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결합 샤프트(1133)와 결합 샤프트(1133)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 부재(1442)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결합 샤프트(1133) 및 회전 샤프트(1134)에는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옥시메틸렌 등과 같이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유성 등이 우수한 POM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싱 부재(1133b, 1134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1443)는 일단부가 장착 프레임(14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회전 샤프트(1134)에 압력을 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443)는 외부 힘이 가해질 때 탄성 변형되고 외부 힘의 제거 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443)의 타단부에는 회전 샤프트(1134)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443a)를 형성하고, 돌출부(1443a)는 회전 샤프트(1134)에 회전 샤프트(1134)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 홈(1134c)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광 조사부(1100)의 회전 시 광 조사부(1100)가 설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1)은 조명 장치(1000) 및 제어 장치(20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1)에서 조명 장치(10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조명 장치로서,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 장치(2000)는 감지부(2100), 입력부(2200) 및 처리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100)는 차량 상태 및 차량의 주변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상태는 차량 속도, 변속단, 주행 방향, 도어 열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의 주변 상태는 노면 상태, 기상 상태, 주변 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100)는 조명 장치(1000)에 의해 이전에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나 패턴 이미지의 속성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속성의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예로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밝기나 크기가 동일한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입력부(2200)는 감지부(2100)의 감지 결과나 운전자의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처리부(2300)는 입력부(2200)로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노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가 조명 장치(100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제어 명령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패턴 이미지의 형성 위치나 패턴 이미지의 속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2300)는 입력부(2200)로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 설정된 속성을 가지는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처리부(2300)는 차량이 정차하거나 차량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낮고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는 차량의 후측방 부근에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탑승자의 하차를 사전에 인지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차량 주변 노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차량에 탑승자가 탑승하고자 할 때에는 차량의 측방 부근에 차량이 탑승자를 반기는 듯한 반응으로 보이도록 하는 웰컴 기능을 위한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처리부(2300)는 주변 밝기가 높아지거나 기상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광원부(1100)의 상대적으로 광량을 증가시켜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1)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탑승자를 포함하며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인지할 필요가 있는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량 상태 및 차량 주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나 속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처리부(2300)는 광 조사부(1100)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틸팅되는 각도를 조정하여 조명 장치(1000)의 광 조사 각도가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틸팅되는 각도가 동일한 경우 본 발명의 조명 장치(1)로부터 광이 도달되는 거리에 따라 광이 확산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크기의 패턴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게 되고, 패턴 이미지의 크기나 속성이 변하는 경우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패턴 이미지를 형성한 차량을 오인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명 장치(1000)로부터 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틸팅되는 각도를 감소시켜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가 다르더라도 균일한 크기의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0 내지 도 33과 같이 조명 장치(1000)로부터 노면에 수직하게 광이 조사되는 경우 조명 장치(1000)로부터 노면에 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g1이고, 설정된 속성의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α1, - α1의 각도로 반복적으로 틸팅되는 상태에서, 광 조사부(1100)의 회전으로 인해 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g1에 비하여 g2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속성의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α1, - α1보다 작은 +α2, -α2의 각도로 틸팅되도록 하여 조명 장치(1000)로부터 노면에 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속성의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α1, - α1의 각도로 틸팅되는 경우 조명 장치(1000)의 광 조사 각도는 2*α1이 되고,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α2, -α2의 각도로 틸팅되는 경우 조명 장치(1000)의 광 조사 각도는 2*α2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0)로부터 노면에 조사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g1에서 g2로 증가되는 경우에는 광이 확산되어 패턴 이미지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광원부(1110)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켜 광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명 시스템(1)은 조명 장치(1000)로부터 차량 주변 노면에 광이 조사되는 위치에 따라 광원부(1110)의 광량이나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의 틸팅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균일한 속성을 가지는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명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교대로 반복 틸팅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은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틸팅될 수도 있고, 양방향으로 틸팅되되 서로 다른 각도로 틸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양측으로 동일한 각도로 틸팅되는 경우라도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다른 광 조사 범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121)이 제2 주축(Ax2)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반복적으로 틸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조명 장치
1100: 광 조사부
1110: 광원부
1111a, 1111b, 1111c, 1111d, 1111e: 광원
1111a', 1111b', 1111c', 1111d', 1111e': 집광 렌즈
1112: 광 합성부
1113: 방열부
1114: 고정 커버
1115: 제1 합성부
1116: 제2 합성부
1117: 반사 미러
1120: 광로 조정부
1121: 반사면
1130: 케이스
1131, 1132: 서브 케이스
1133: 결합 샤프트
1134: 회전 샤프트
1140: 커버
1141: 통과 홀
1142: 차폐면
1200: 구동부
1210: 회전 로드
1400: 하우징
1410: 장착 프레임
1420: 개구부
1430: 실링부
1441, 1442, 1443: 고정 부재
2000: 제어 장치
2100: 감지부
2200: 입력부
2300: 처리부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패턴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조사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조명 장치; 및
    차량 상태 및 차량 주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조사광이 조사되는 목표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조사광이 생성되는 광원부; 및
    상기 생성된 조사광이 상기 목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광로를 조정하는 광로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로 조정부는,
    상기 생성된 조사광이 상기 목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조사광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방향은,
    상기 생성된 조사광의 진행 방향에 나란한 상기 광원부의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의 법선 방향에 나란한 상기 광로 조정부의 주축의 틸팅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조명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은,
    상기 광로 조정부의 주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틸팅되어 상기 패턴 이미지가 설정된 크기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광로 조정부의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이 틸팅되는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조사광의 광 조사 각도를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광로 조정부에 의해 진행하는 광이 조사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생성된 조사광의 광량 및 상기 광 조사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조명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조사광이 도달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생성된 조사광의 광량 및 상기 광 조사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조사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 이미지가 균일한 밝기와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조사광이 도달되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상기 광 조사 각도가 감소되도록 하고, 상기 광원부의 광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상태 및 상기 차량 주변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되는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목표 방향 및 상기 패턴 이미지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이미지의 속성은,
    상기 패턴 이미지의 크기, 밝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목표 방향 및 상기 패턴 이미지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운전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조명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는,
    차량 속도, 변속단, 주행 방향 및 도어 열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주변 상태는,
    주변 밝기, 노면 상태 및 기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차량의 정차 시 상기 패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
KR1020220038956A 2022-03-29 2022-03-29 조명 시스템 KR20230140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56A KR20230140163A (ko) 2022-03-29 2022-03-29 조명 시스템
PCT/KR2023/003350 WO2023191344A1 (ko) 2022-03-29 2023-03-13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56A KR20230140163A (ko) 2022-03-29 2022-03-29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163A true KR20230140163A (ko) 2023-10-06

Family

ID=8820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956A KR20230140163A (ko) 2022-03-29 2022-03-29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0163A (ko)
WO (1) WO202319134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992A (ko) 2012-04-19 2013-10-29 주식회사 센플러스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9438B2 (en) * 2016-05-12 2018-01-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ynamic logo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589027B1 (ko) * 2018-05-18 2023-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외부 표시 조명 장치
KR102329632B1 (ko) * 2020-02-17 2021-1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라이팅 장치
JP7492665B2 (ja) * 2020-05-29 2024-05-3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照明装置、車両及び光の照射方法
KR20220026403A (ko) * 2020-08-25 2022-03-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992A (ko) 2012-04-19 2013-10-29 주식회사 센플러스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344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0145B (zh) 车辆用灯具以及具有该车辆用灯具的车辆
US8801242B2 (en) Light module of motor vehicle for generating spot distribution of high-beam-light distribution and vehicle headlights having such module
KR101239454B1 (ko) 차량용 전조등 장치
KR101749467B1 (ko)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헤드라이트 장치
KR101315659B1 (ko) 차량용 등기구
US7478934B2 (en) Lamp assembly automatically controlling main beam direction and additional beam direction
JP4873584B2 (ja) 種々異なる特性を有する光束を生ぜしめるための、車両用の前照灯装置
JP4654921B2 (ja) 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を備える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EP2381162B1 (en) A vehicular illumination lamp
CN112262284A (zh) 具有至少两个光模块的机动车前照灯
US11788701B2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010062096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CN109562727A (zh) 车辆用检测装置及车辆用灯具
CN114954216A (zh) 车辆用灯体装置
JP4038383B2 (ja) 車両用前照灯
KR20230140163A (ko) 조명 시스템
KR20230140161A (ko) 조명 장치
KR20230140158A (ko) 조명 장치
KR100832515B1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CN211442116U (zh) 车辆不可见光投射装置、目标物检测装置及智能驾驶汽车
US11987174B2 (en) Lighting device
US11946610B2 (en) Vehicle lamp with rotatable movable unit for road surface pattern emission
CN212667251U (zh) 车辆用灯具
WO2023191345A1 (ko) 조명 장치
EP4151509B1 (en) Adaptive illuminating head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