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403A -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403A
KR20220026403A KR1020200107360A KR20200107360A KR20220026403A KR 20220026403 A KR20220026403 A KR 20220026403A KR 1020200107360 A KR1020200107360 A KR 1020200107360A KR 20200107360 A KR20200107360 A KR 20200107360A KR 20220026403 A KR20220026403 A KR 20220026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information
unit
driv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6403A/ko
Publication of KR2022002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traffic conditions, e.g. fog, heavy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7Rad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차량으로 인하여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는, 주변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운행 정보 수신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Contorl device of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차량으로 인하여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주변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각 램프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최근에는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와 더불어 차량 주변의 노면에 문자나 문양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운전자, 주변 차량의 운전자, 보행자 등이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때,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 상에 주변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중첩되는 경우에는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변 차량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경우에도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7992호 (2013.10.2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가 주변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는, 주변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운행 정보 수신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운행 정보는, 자차 정보, 도로 정보, 경로 정보,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운행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행 정보 획득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광학 센서 및 전자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행 정보 획득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운행 정보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의 속성은, 이미지의 색상, 명암, 채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전 시점과 현재 시점의 상기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 거리 이내에 상기 주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기본 설정에 대응되는 위치와 속성에 따라 상기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 주변의 노면에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때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하여 주변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으로 인하여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도시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에 중첩되도록 주변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도시된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크기가 조정되는 이미지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명암이 조정되는 이미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1)는 운행 정보 수신부(100), 이미지 선택부(200), 이미지 형성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정보 수신부(100)는 차량 운행 시 필요한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 운행 정보는 자차 정보, 주변 차량 정보, 도로 정보, 경로 정보, 기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차 정보는 차량 속도, 차량 주행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주변 차량 정보는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의 전방 차량의 위치와 후방에서 접근하는 후방 차량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로 정보는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종류, 차선 수, 곡률, 제한 속도, 공사 구간, 어린이 보호 구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경로 정보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상 정보는 차량이 위치한 지역의 강우량, 풍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행 정보는 전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운행 시 자차의 운전자나 주변 차량의 운전자 등이 인지할 필요가 있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운행 정보 수신부(100)는 운행 정보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운행 정보 획득부(110)는 센서부(111), 위치 판단부(112) 및 통신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1)는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1)는 자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속도 센서, 조향 센서 등과 더불어 카메라 센서, 적외선 센서, 라이다 센서 등의 광학 센서와,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등과 같은 전자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획득하려는 차량 운행 정보에 따라 센서부(111)에 포함되는 센서는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센서들은 단일의 차량 운행 정보 획득을 위하여 단일의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차량 운행 정보 획득을 위하여 단일의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단일의 차량 운행 정보 획득을 위하여 둘 이상의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은 주변 차량의 존재 여부와 주변 차량의 위치 등과 같은 주변 차량 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사용되는 동시에 도로 표지판이나 도로 마크 등과 같은 도로 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센서에 의해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과 라이다 센서의 감지 결과가 주변 차량의 존재 여부와 주변 차량의 위치 등과 같은 주변 차량 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치 판단부(112)는 GPS 등의 위성 항법 시스템을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위치를 지도 데이터에 대응시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차량의 위치는 전술한 도로 정보나 경로 정보 등의 획득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11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운행 정보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통신부(113)는 차량이 위치하는 지역의 기상 정보 등의 획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부(113)는 차량 운행 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행 정보 획득부(110)가 센서부(111), 위치 판단부(112) 및 통신부(113)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획득하려는 차량 운행 정보에 따라 운행 정보 획득부(11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미지 선택부(200)는 운행 정보 수신부(100)로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문자, 문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선택부(200)는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각종 이미지를 사전에 저장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선택부(200)는 통신부(113)를 통해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외부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미지 선택부(200)는 운행 정보 수신부(100)로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 별로 사전에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선택부(200)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는 단일의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차량 운행 정보의 조합에 대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선택부(200)는 현재 차량이 위치한 도로가 공사 구간인 경우 도로 공사를 알리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고, 현재 차량이 위치한 도로가 공사 구간이고 차량이 제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경고의 의미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선택부(200)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가 자차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선택부(200)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는 주변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 등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미지 형성부(300)는 이미지 선택부(200)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가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미지 형성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소정의 형성 위치와 속성을 가질 수 있고, 이미지의 속성은 이미지의 색상, 명암, 채도, 크기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도시된 개략도로서, 도 2는 차량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빔 패턴(P)과 함께 차량 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I)가 함께 형성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형성부(300)는 차량의 전방의 노면에 차량 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I)가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이 경우 차량의 전방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I)는 차량 전방의 소정 위치에 차량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빔 패턴(P)에 대하여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속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는 이미지 형성부(300)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여 차량의 전방 노면에 이미지(I)가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형성부(300)는 차량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미지가 형성되는 방향에 따라 이미지 형성부(300)의 설치 개수나 방향도 달라질 수 있다.
이미지 형성부(300)는 광원을 비롯하여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상, 경로, 밝기 등과 같은 광의 속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미러, 프리즘, 렌즈, 리플렉터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광학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미지 형성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와 속성에 따라 전술한 다양한 광학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광의 속성이 조정되어 이미지 형성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차량 운행 정보에 따라 이미지 형성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주변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어부(400)는 자차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에 주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와 속성이 기본 설정에 대응되도록 하고, 자차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에 주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위치와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하여 주변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으로 인하여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400)가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운행 정보 수신부(100)로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는 적어도 주변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자차(V)의 전방 노면에 이미지(I)가 형성된 상태에서 대향 차량(V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이미지(I) 중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경우 이미지(I)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도 4와 같이 자차(V) 전방 노면에 이미지(I)가 형성된 상태에서 후방 차량(V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이미지(I) 중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경우 이미지(I)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형성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주변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제어부(400)에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는 경우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대향 차량(V1)의 헤드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I)의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대향 차량(V1)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어부(400)는 운행 정보 수신부(100)로 수신되는 차량 운행 정보로부터 주변 차량 정보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 주변의 노면에 이미지(I)가 형성되는 위치가 조정되도록 이미지 형성부(30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어부(400)는 이전 시점과 현재 시점에서 대향 차량(V1)의 위치 차이에 따라 이미지(I)가 이동되어야하는 방향이나 거리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대향 차량(V1)의 헤드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이미지(I)에 중첩되지 않도록 대향 차량(V1)의 헤드 램프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벗어나 이미지(I)가 형성되도록 이미지(I)가 형성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후방 차량(V2)의 헤드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차량 주변의 노변에 이미지(I)의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후방 차량(V2)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어부(400)는 전술한 도 5와 유사하게 이전 시점과 현재 시점에서 후방 차량(V2)의 위치 차이에 따라 이미지(I)가 이동되어야하는 방향이나 거리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그 판단 결과에 이미지(I)가 형성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는 차량 주변에 형성되는 이미지(I)가 대향 차량(V1)이나 후방 차량(V2)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영역과 멀어지도록 이미지(I)의 위치가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I)가 형성되는 위치는 도 7과 같이 차량의 주행 방향과 차량의 주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조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과 같이 이미지의 속성으로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이미지의 속성으로서 이미지의 명암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때, 도 8 및 도 9는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는 유지하는 대신 이미지의 속성을 조정하는 경우로서, 도 8은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경우의 일 예이고, 도 9는 이미지의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에 광이 조사되는 양각 형태의 이미지를 이미지의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광이 조사되는 음각 형태의 이미지로 조정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의 시인성 저하가 방지되도록 이미지 위치와 속성을 각각 조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의 위치와 속성이 동시에 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이미지의 색상, 명암, 채도,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어 시인성 저하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먼저 운행 정보 수신부(100)가 운행 정보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10).
이미지 선택부(200)는 수신된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된다(S120). 이때, 이미지 선택부(200)는 수신된 차량 운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선택부(200)는 단일의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차량 운행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수신된 차량 운행 정보로부터 주변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130), 판단 결과 주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선택된 이미지가 주변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가 형성되는 위치와 이미지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게 된다(S140).
이미지 형성부(300)는 제어부(400)에 의해 결정된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에 따라 차량 주변의 노면에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S150).
한편, 제어부(400)는 전술한 S130 단계에서 주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본 설정에 대응되는 위치 및 속성에 따라 차량 주변의 노면에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차량 주변의 노면에 자차 운전자나 주변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필요가 있는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주변 차량의 존재 여부 및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하여 주변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이미지의 시인성이 저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운행 정보 수신부
110: 운행 정보 획득부
200: 이미지 선택부
300: 이미지 형성부
400: 제어부

Claims (8)

  1. 주변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운행 정보 수신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이미지 형성부; 및
    상기 주변 차량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하는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는,
    자차 정보, 도로 정보, 경로 정보,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운행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행 정보 획득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광학 센서 및 전자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정보 획득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운행 정보의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속성은,
    이미지의 색상, 명암, 채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전 시점과 현재 시점의 상기 주변 차량의 위치 차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 거리 이내에 상기 주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기본 설정에 대응되는 위치와 속성에 따라 상기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KR1020200107360A 2020-08-25 2020-08-25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KR20220026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360A KR20220026403A (ko) 2020-08-25 2020-08-25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360A KR20220026403A (ko) 2020-08-25 2020-08-25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403A true KR20220026403A (ko) 2022-03-04

Family

ID=8081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360A KR20220026403A (ko) 2020-08-25 2020-08-25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64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344A1 (ko) * 2022-03-29 2023-10-05 에스엘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992A (ko) 2012-04-19 2013-10-29 주식회사 센플러스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992A (ko) 2012-04-19 2013-10-29 주식회사 센플러스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344A1 (ko) * 2022-03-29 2023-10-05 에스엘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7740B2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CN105270254B (zh) 用于控制车辆的至少一个大灯的光发射的方法和设备
EP25944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dlamp of vehicle
JP5313638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US96168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headlamp of a vehicle
JP2009107543A (ja) 車両用照明装置
US10946787B2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 lighting module for generating a set of symbols
JP5361901B2 (ja) 前照灯制御装置
US10730427B2 (en) Lighting device
CN114222886A (zh) 用于控制可变的光分布的方法
KR20220026403A (ko)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CN114829198A (zh) 用于控制机动车辆照明系统的方法
US20230373530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20190077304A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headlight
JP564387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533763B2 (ja) 車載レーダ装置
JP2009087146A (ja) 接触事故防止装置
CN113212292A (zh) 车辆的控制方法及装置、车载设备、车辆、介质
JP2012185669A (ja) 車両検知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車両配光制御装置
JP2017177941A (ja) 車両の配光制御装置
CN111712854A (zh) 图像处理装置及车辆用灯具
US20240109475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vehicle headlamps
US20240051455A1 (en) Method for adjusting vehicle lighting when driving through a building site, and vehicle
US20230249608A1 (en) Vehicle headlight device
US20230249610A1 (en) Vehicle headlight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