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467B1 -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헤드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헤드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467B1
KR101749467B1 KR1020167003066A KR20167003066A KR101749467B1 KR 101749467 B1 KR101749467 B1 KR 101749467B1 KR 1020167003066 A KR1020167003066 A KR 1020167003066A KR 20167003066 A KR20167003066 A KR 20167003066A KR 101749467 B1 KR101749467 B1 KR 101749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distribution
vehicle
parti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190A (ko
Inventor
군나르 쾨터
알렉산더 티엘
미카엘 뮐러
마티아스 탐
세베스티안 포글러
헨닝 키일
올라프 스틴들
아냐 봇처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2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21S41/153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arranged in a matri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6Blades, i.e. screens moving in a vertical plane
    • F21S48/1154
    • F21S48/1742
    • F21S48/1747
    • F21S48/17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1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2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oncom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광 분포를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헤드라이트(1, 2)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두 헤드라이트(1, 2) 각각은 상호 간에 분리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모듈(3) 및 하나의 제2 모듈(4)을 포함하고, 제1 모듈(3)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7)과, 이 광원(7)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로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10, 11)를 각각 포함하며, 제2 모듈(4)은 행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13)을 각각 포함한다. 본원의 방법의 경우, 제1 모듈(3)의 조명 기능의 제1 부분 광 분포(23, 36)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10, 11)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생성되고 제2 모듈(4)의 동일한 조명 기능의 제2 부분 광 분포(24, 37)는 복수의 광원(13) 중 개별 광원들(13) 또는 광원들(13)의 그룹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생성된다. 조명 기능의 전체 광 분포는, 제1 부분 광 분포(23, 36)와 제2 부분 광 분포(24, 37)가 중첩되는 것을 통해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라이트 장치에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헤드라이트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 HEADLIGHT ARRANGEMENT FOR A VEHICLE AND SUCH A HEADLIGHT ARRANGEMENT}
본 발명은 전체 광 분포를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헤드라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두 헤드라이트 각각은 상호 간에 분리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모듈 및 하나의 제2 모듈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이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로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可動) 부재를 각각 포함하며, 제2 모듈은 행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각각 포함한다.
차량의 헤드라이트의 임무는, 시야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 특히 어두울 때,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있는 주변, 특히 차도를 조명하는 것에 있다. 추가로 헤드라이트는 타인의 주행 차량들을 위한 인식 특징으로서 이용된다.
주행 방향으로 광 방출을 위해 로우빔 기능 및 하이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헤드라이트를 제공하는 점은 알려져 있다. 이 경우, 하이빔 기능은 주변에 대한 매우 광범위한 조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하이빔 기능은, 타인의 주행 차량들에게, 특히 선행 차량들 및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차량들의 운전자들에게 눈이 부시게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 반대로, 로우빔으로는 타인의 주행 차량들에게 눈이 부시지 않게 하는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주변에 대한 조명은 하이빔 기능에서보다 훨씬 더 낮다. 그 사이 매우 높아진 교통 밀도로 인해, 하이빔 기능은 매우 드물게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로우빔 기능보다 더 나은 조명을 제공하지만, 하이빔 기능처럼 타인의 주행 차량들에게 눈이 부시지 않게 하는 헤드라이트 장치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특허 공보 DE 10 2009 054 227 A1, DE 2009 054 228 A1, DE 10 2009 054 238 A1, DE 10 2009 054 248 A1 및 DE 10 2009 054 249 A1로부터, 타인의 주행 차량들이 하이빔 기능으로부터 마스킹(masking)될 수 있게 함으로써 주행 차량들에게 결코 눈이 부시지 않게 하는 헤드라이트는 알려졌다. 이 경우, 헤드라이트는 마스킹이 광로 내로 이동 가능한 마스크를 통해 실현되고 헤드라이트 레벨링은 헤드라이트를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실현되는 기계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이런 광 분포는 상기 특허 공보들에서, 그리고 하기에서도 마스킹된 영구 하이빔(masked permanent high beam)으로서 지칭된다. 상기 기계식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광 분포는 특히 광 분포의 외부 영역들에서 기술적 제한 사항 및 광학적 특성들로 인해 자신의 한계에 부딪친다. 상기 영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충분한 조명이 더 이상 제공될 수 없다.
또한, 행렬로 배치되는 광원들을 포함하는 이른바 행렬 헤드라이트도 알려져 있다. 행렬 헤드라이트의 경우, 여러 가지 광 분포는 행렬 내의 여러 가지 광원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달성된다. 행렬 헤드라이트의 경우 광원들은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들이다. 그러므로 행렬 헤드라이트의 기술은 일반적으로 순수 전자 과정들을 기반으로 한다. 행렬 헤드라이트 및 그 제어를 위한 방법들에 대한 예시들은 특허 공보 DE 100 09 782 A1, DE 10 2009 060 781 A1 및 DE 10 2011 112 716 A1에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행렬 헤드라이트는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높은 비용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행렬 헤드라이트 역시도 예컨대 헤드라이트 내에서 증가되는 열 발생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를 다수의 열(row)로 배치하는 것을 통해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불균일한 줄무늬 유형의 광 분포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 주변의 광범위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제9항에 따른 헤드라이트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구현예 및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경우, 제1 모듈의 조명 기능(lighting function)의 제1 부분 광 분포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생성되고, 제2 모듈의 동일한 조명 기능의 제2 부분 광 분포는 복수의 광원 중 개별 광원들 또는 광원들의 그룹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생성되며, 조명 기능의 전체 광 분포는 제1 부분 광 분포와 제2 부분 광 분포가 중첩되는 것을 통해 생성된다. 가동 부재의 각각의 구성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점은 가동 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역시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조명 기능이 기계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듈을 통해 생성된 부분 광 분포와 전자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부분 광 분포의 조합을 통해 생성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 결과, 두 기술적 특성의 장점들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두 모듈의 조합을 통해,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행렬을 통해 발생하는 줄무늬 유형의 광 분포는 기계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듈의 광 분포의 중첩을 통해 평활화된다. 그 결과, 광 분포의 높은 균일성이 달성된다. 특히 전체 광 분포의 명암(light/dark) 경계는 차량 근접 영역과 차량 이격 영역으로 분할되고, 차량 근접 영역은 제1 부분 광 분포에 의해 생성되며 차량 이격 영역은 제2 부분 광 분포에 의해 생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 부분 광 분포의 여러 특성은 전체 광 분포를 위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방향으로 전체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확대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 광 분포의 명암 경계는, 제2 부분 광 분포가 전자 모듈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충분히 폭넓은 명암 경계를 생성할 수 없는 위치에서 더 넓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부분 광 분포는, 제1 부분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폭이 기계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듈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이미 다시 좁혀지거나, 또는 계속하여 확대되지 않는 위치에서 더 넓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 이격 영역의 경우, 이는 측면 영역들 내에 더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더 넓은 전체 광 분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행 차량이 헤드라이트 장치의 광 방출의 방향으로 검출된다. 그런 다음, 제1 부분 광 분포는, 이 제1 부분 광 분포가 검출되는 주행 차량까지의 이격 간격보다 더 작은 조명 범위(lighting range)를 갖는 중앙 영역과, 검출된 주행 차량까지의 이격 간격보다 더 큰 조명 범위를 가지면서 중앙 영역의 양쪽 옆에서 생성되는 2개의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제2 부분 광 분포는, 단지 제1 부분 광 분포의 측면 영역들에서만 검출되는 주행 차량까지의 이격 거리보다 더 큰 조명 범위를 갖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이는 특히 타인의 주행 차량들이 전체 광 분포로부터 마스킹되고 그에 따라 눈이 부시지 않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특히 이미 언급한 마스킹된 영구 하이빔 기능을 제공한다.
수직으로 배열되는 이동 스크린(traveling screen) 상에서 마스킹된 영구 하이빔의 명암 경계를 고려한다면, 특히 검출되는 주행 차량의 전방에서 수평 명암 경계가 형성되고, 검출되는 주행 차량의 옆에는 수직 명암 경계가 형성되며, 이 수직 명암 경계는 검출되는 주행 차량 옆의 영역 내의 상대적으로 더 높은 조명 범위에 상응한다. 제2 전체 광 분포에서 특히 검출되는 주행 차량에까지 다다르는 중앙 영역 내의 조명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이미 제공되어 있는 헤드라이트 레벨링을 통해 조절된다. 명암 경계는 중앙 영역에서 제1 모듈에 의해서만 제공되므로, 상기 헤드라이트 레벨링은 제1 모듈만을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조명 범위"란 개념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광 세기가 한계 값을 하회하는 도로 상에서의 각도에 따른 거리를 의미한다. 조명 범위를 넘어가는 거리에서, 광 세기는 타인의 주행 차량들에게 더 이상 눈이 부지시 않을 정도로 낮다. 각도는 특히, 헤드라이트 또는 헤드라이트 장치를 통과하는 종축, 및 명암 경계 상의 한 지점과, 횡축과 교차하는 종축의 교차점의 연결선이면서 헤드라이트 또는 헤드라이트 장치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상기 연결선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 각도이다.
한 추가 구현예에서, 전체 광 분포 내의 중앙 영역 및 측면 영역들을 통해 광이 없는 통로(light-free corridor)가 형성되며, 이 광이 없는 통로는 중앙 영역에 의해 차량에 대한 횡방향으로 생성되는 하나의 에지와, 측면 영역들에 의해 차량에 대한 종방향으로 생성되는 2개의 에지를 포함하고, 측면 영역들에 의해 생성되는 에지들은 실질적으로 제2 부분 광 분포에 의해 생성되며, 측면 영역들에 의해 생성되는 에지들 사이에서 횡방향의 이격 간격은 검출되는 주행 차량의 폭에 따라서 결정된다. 측면 영역들에 의해 생성되는 에지들이 실질적으로 제2 부분 광 분포에 의해 생성된다면, 이는 광이 없는 통로가 검출되는 주행 차량에 가깝게 접근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광원들의 행렬을 통해 선택된 광원들의 열들이 측면 영역들을 형성하고 이 측면 영역들은 다시금 측면 영역들의 에지들을 생성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 결과, 측면 영역들의 에지들을 수 ㎝까지 검출되는 주행 차량에 접근시킬 수 있게 하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광 방출이 가능하다. 그 결과, 광이 없는 통로에 이르기까지 전체 광 분포에서 큰 틈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차량의 주행 방향과 차량에서부터 검출되는 주행 차량까지의 연결선 사이의 수평 각도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에서 제1 부분 광 분포의 조명 범위는 소정의 각도부터 측면 영역이 단지 제2 부분 광 분포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방식으로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조명 범위의 감소는 기계 방식으로 제어되는 모듈의 기술적 한계를 통해, 그리고 광로 내로 유입되는 가동 부재의 광학적 특성을 통해 제한된다. 요컨대 광로에서 가동 부재의 위치의 변경은 특히 더 먼 거리에서 광 분포에서의 상당한 변동을 야기한다. 이는, 특히 가동 부재의 극한 위치에서, 다시 말하면 예컨대 제1 모듈에서 완전히 외부에서, 두 측면 영역 중 일측 측면 영역에서, 또는 두 측면 영역에서 제1 부분 광 분포로 인한 조명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한다. 상기 측면 영역들이 조명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 광 분포는 그 해당 위치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다시금 주변의 광범위한 조명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제2 부분 광 분포는 적어도 2개의 광 빔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두 광 빔 중 적어도 하나의 광 빔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차량에서부터 검출되는 주행 차량까지의 연결선 사이의 수평 각도에 따라서 2개의 부분 광 빔으로 분할되며, 그럼으로써 일측 부분 광 빔은 일측 측면 영역을 단독으로 생성하고 타측 부분 광 빔은 적어도 제2 부분 광 분포의 타측 광 빔과 함께 타측 측면 영역을 생성한다. 이 경우, 일측 광 빔은 특히 우측 헤드라이트의 제2 모듈에 의해 생성되고 타측 광 빔은 좌측 헤드라이트의 제2 모듈에 의해 생성된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좁은 커브에서도, 또는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까지의 이격 간격이 짧은 경우에서도 타인의 주행 차량들에게는 눈이 부시지 않는 점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제2 부분 광 분포는 측면 영역들에서 복수의 부분 영역으로 분할되며, 휘도는 최내부 부분 영역에서부터 최외부 부분 영역 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광 분포의 영역과 조명되지 않는 주변 환경 사이에서 휘도가 갑자기 감소하는 점은 방지된다. 광 분포와 주변 환경 간의 유연한 전이가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 조명 기능은 하이빔 기능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예컨대 로우빔 기능이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지 못하는 고속도로 및 지방도로처럼 조명 상태가 불충분한 주행 구간에서도 주변의 광범위한 조명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을 위한 헤드라이트 장치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라이트 장치는 전체 광 분포를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헤드라이트를 포함하고, 두 헤드라이트는 상호 간에 분리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모듈 및 하나의 제2 모듈을 각각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이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로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를 각각 포함한다. 제2 모듈은 행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라이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조명 기능의 제1 부분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1 모듈을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광원 중 개별 광원들 또는 광원들의 그룹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동일한 조명 기능의 제2 부분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2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도 포함한다. 또한, 제어 장치에 의해 헤드라이트는, 제1 부분 광 분포와 제2 부분 광 분포를 중첩시키는 것을 통해 전체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트 장치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원의 방법이 주행 차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면, 헤드라이트 장치는 추가로 차량 전방에서 주행 방향으로 주행 차량들을 검출하기 위한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런 경우, 제어 장치는, 예컨대 제2 제어 장치를 통해, 검출하기 위한 유닛과도 연결된다.
특히 제1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또는 제2 모듈의 복수의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이다. 제1 모듈의 가동 부재는 자신의 위치와 관련하여 변경 가능한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는 분리된 샤프트 섹션을 구비한 마스크 샤프트일 수 있고, 분리된 샤프트 섹션은 상이한 초점 선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초점 선 중 적어도 하나의 초점 선으로 제1 부분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들과 관련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라이트 장치의 헤드라이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a는 헤드라이트의 제1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b는 헤드라이트의 제2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라이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1 모듈의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의 광로 내로 유입된 마스크가 없는 하이빔 기능의 제1 및 제2 부분 광 분포의 중첩 상태를 다양한 교통 상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a, 5c, 5e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고 선행 주행 차량이 검출되는 주행 상황에서 마스킹된 영구 하이빔 기능의 제1 부분 광 분포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b, 5d, 5f는 선행 주행 차량이 검출되는 도 5a, 5c 및 5e에서와 동일한 주행 상황에서 제1 및 제2 부분 광 분포가 중첩될 때 광 분포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 6c, 6e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고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이 검출되면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이동 스크린 상에서 관찰되는 주행 상황에서 마스킹된 영구 하이빔 기능의 제1 부분 광 분포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b, 6d, 6f는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이 검출되는 도 6a, 6c 및 6e에서와 동일한 주행 상황에서 제1 및 제2 부분 광 분포가 중첩될 때 광 분포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다.
전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헤드라이트 장치는 전방에서 차량의 우측 및 좌측 상에 알려진 방식으로 배치되는 2개의 이격된 헤드라이트(1 및 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라이트(1, 2) 중 일측 헤드라이트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타측에 배치되는 헤드라이트(2)는 좌우가 뒤바뀐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1에는, 좌측 헤드라이트(1)가 차량 횡축(QA) 및 수직선(V)에 의해 펼쳐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절단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헤드라이트(1)는 제1 모듈(3)과 제2 모듈(4)을 포함한다. 제1 모듈(3)에 의해 제1 부분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고 제2 모듈에 의해서는 제2 부분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들 부분 광 분포는 동일한 조명 기능을 생성한다. 또한, 헤드라이트(1)는 추가 조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추가 모듈(5 및 6)도 포함한다. 이 경우, 모듈(5)은 예컨대 곡선 광(curve light)을 실현할 수 있고 모듈(6)은 로우빔 기능의 근거리 조명(near-field illumin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에는, 제1 모듈(3)의 일 실시예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모듈(3)은 프로젝션 모듈로서 형성된다. 제1 모듈(3)은 알려진 유형 및 방식으로 회전 타원형으로서 형성된 반사판(8)에 의해 에워싸인 광원(7)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반사판(8)은 2개의 초점을 포함한다. 광원(7)은 반사판(8)의 초점들 중 하나의 초점에 위치된다. 광원(7)에 의해 방출된 광은 반사판(8)에 의해 제1 모듈(3)의 광 방출 방향(L)에서 투영 렌즈(9)의 방향으로 반사된다. 평평한 마스크(10 및 11)를 포함하는 마스크 어셈블리는 투영 렌즈(9)의 초점 상에, 그리고 반사판(8)의 제2 초점에 가깝게 배치된다. 평평한 마스크(10 및 11)의 법선은 광 방출 방향(L)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광원(7), 반사판(8), 렌즈(9) 및 마스크(10, 11)는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 모듈(3)의 제1 부분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형태는, 마스크(10 및 11)가 광원(7)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로 내에서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변경된다. 다시 말해, 마스크(10 및 11)에 의해 수직 명암 경계뿐만 아니라 수평 명암 경계도 생성될 수 있고, 수직 명암 경계는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우측 및 좌측 방향으로 변위되며 수평 명암 경계는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 대안으로, 수평 명암 경계의 변위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제1 모듈(3)을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실현된다. 이런 경우, 광로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마스크(11)는 필요하지 않다. 이동 가능한 마스크(10, 11)와, 수평축 및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모듈(3)로 이루어진 조합 역시도 가능하다.
도 2b에는, 헤드라이트 장치가 그 내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을 향해 바라본 모습으로 제2 모듈(4)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모듈(4)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인 복수의 광원(13)을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는 행렬에서 수직 열(55 내지 62)에 분포된다. 열(55 내지 62)은 개별적으로, 및/또는 함께 제어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여러 부분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차후에 재차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발광 다이오드(13)에 의해 방출된 광은 광 방출 방향(L)으로 방출된다. 이 경우, 수직 열당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개수는 임의의 개수일 수 있다. 특히 수직 열당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만이 배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3과 관련하여, 우측 및 좌측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각 하나의 헤드라이트(1, 2)를 포함하는 헤드라이트 장치의 일 실시예가 기재된다.
헤드라이트(1, 2)는 각각 제어 유닛(14)과 연결된다. 제어 유닛(14)에 의해서는, 중첩되어 전체 광 분포를 제공하는 헤드 라이트(1 및 2)의 부분 광 분포가 제어된다.
제어 유닛(14)은, 헤드라이트(1 및 2)가 액추에이터(16)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헤드라이트(1 및 2)를 위한 헤드라이트 레벨링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유닛(14)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헤드라이트(1 및 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15)도 제어한다. 액추에이터(15)에 의해서는, 헤드라이트(1) 또는 헤드라이트(2)의 광 방출 방향(L)이 화살표(B1)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5)는 예컨대 이미 제공되어 있는 곡선 광의 부분이다. 또한, 제1 모듈(3) 역시도 액추에이터(16)에 의해서만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제1 모듈은 화살표(A)(도 2a 참조)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리고 액추에이터(15)에 의해서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제1 모듈은 화살표(B2)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제1 모듈(3)은 상호 간에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14)은 액추에이터(17)를 이용하여 우측 및 좌측 헤드라이트(1, 2)를 위한 제1 모듈(3)의 마스크(10 및 11)의 수직 위치 및/또는 수평 위치를 제어한다. 액추에이터(14)는 스텝 모터를 포함하고, 이 스텝 모터의 샤프트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런 회전축에는 반경 방향 연결 부재를 통해 핀이 연결되며, 이 핀은 스텝 모터의 작동 동안 원형 경로 상에서 이동된다.
마스크(10 및 11)의 이동을 통해 얼마만큼 다양한 제1 부분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는지 그 유형 및 방식은 예컨대 DE 10 2007 045 150 A1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와 관련된 상기 독일 공보의 내용은 참조를 통해 본 출원에 인용된다.
그 대안으로, 제1 부분 광 분포는, 제1 부분 광 분포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초점 선을 구비한 회전 가능한 마스크 샤프트를 통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은 기어 장치를 통해 여러 회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제1 광원(7)에 의해 방출된 광의 광로 내에서 병진 운동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회전은 액추에이터(14)를 통해 실행되고 병진 변위는 액추에이터(15)를 통해 실행된다. 상기 마스크 샤프트는 예컨대 EP 0 935 728 B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헤드라이트(1 및 2)가 유리 패널(21)에 의해 폐쇄되는 점도 도시되어 있다. 유리 패널(21)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확산 디스크(diffusion disk)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리 패널은, 제1 모듈(3)을 덮는 위치에서 확산 디스크(21)로서 형성되고, 제2 모듈(4)을 덮는 위치에서는 김서림 방지 디스크(anti-mist disk)로서 형성된다.
하기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헤드라이트 장치의 헤드라이트(1 및 2)에 의해 일반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하이빔 기능의 제1 및 제2 부분 광 분포가 기재된다. 이 경우, 마스크(10)는 광원(7)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로 내에 위치되지 않으며, 제2 모듈의 모든 발광 다이오드(13)는 도 4a의 초기 상황에서 활성화된다.
헤드라이트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전체 광 분포는 도로 상에 명암 경계에 따라서 나타나며, 상기 전체 광 분포는 2개의 부분 광 분포(23 및 24)로 분할된다. 또한, 하이빔의 전체 광 분포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조절된다.
도 4a에 도시된 전체 광 분포는 속도가 예컨대 v < 90㎞/h일 때 설정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전체 광 분포의 설정이 개시되는 기준이 되는 또 다른 속도 한계도 가능하다.
전체 광 분포는 제1 모듈(3)에 의해 생성된 제1 부분 광 분포(23)와 제2 모듈(4)에 의해 생성된 제2 부분 광 분포(24)로 구성된다.
경계(32) 상에서, 제2 부분 광 분포(24)는 제1 부분 광 분포(23)의 명암 경계를 넘어간다. 그 결과, 차량(22) 전방의 영역은 차량 근접 영역(30)과 차량 이격 영역(31)으로 분할된다.
차량 근접 영역(30)에서, 전체 광 분포의 명암 경계는 제1 부분 광 분포(23)에 의해 생성된다. 차량 이격 영역(31)에서 명암 경계는 제2 부분 광 분포(24)에 의해 생성된다.
제1 부분 광 분포(23)는 차량(22)의 근처에서 제2 부분 광 분포(24)보다 더 넓기 때문에, 제1 부분 광 분포(23)는 차량 근접 영역(30)에서 주행하는 차도의 폭넓은 조명을 보장한다. 제1 부분 광 분포(23)는 차량 이격 영역(31)을 비록 여전히 조명하기는 하지만, 그러나 그 해당 위치에서 더 이상 더 넓어지지 않는다. 제2 부분 광 분포(24)는 차량 이격 영역(31)에서 제1 부분 광 분포(23)의 명암 경계보다 더 넓은 명암 경계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제2 부분 광 분포(24)의 명암 경계의 폭은 발광 다이오드(13)가 장착된 표면의 폭에 따라서 결정된다.
제2 부분 광 분포(24)가 차량 이격 영역(31)에서 상대적으로 더 넓은 명암 경계를 보유하는 것을 통해, 차량(22)의 운전자는 이미 먼 거리에서부터 도로 상의, 또는 그 옆의 위험들을 식별할 수 있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그 결과, 경우에 따라 필요한 반응들이 더욱 이른 시점에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좌측 헤드라이트(1)의 제2 모듈(4)에 의해 생성된 제2 부분 광 분포(24)는 복수의 부분 영역(25 내지 29)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 부분 영역(25)은 발광 다이오드(13)의 열(60)에 의해, 부분 영역(26)은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9)에 의해, 부분 영역(27)은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8)에 의해, 부분 영역(28)은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7)에 의해, 그리고 부분 영역(29)은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6 및 55)에 의해 생성된다. 전체 광 분포와 조명되지 않는 주변 사이에서 갑작스런 휘도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부분 영역(25 내지 29)의 휘도는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그에 따라, 최외부 부분 영역(25)은 부분 영역(25 내지 29) 중 최소 휘도를 갖는다. 이는, 여러 부분 영역(25 내지 29)을 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13)의 열이 서로 상이한 광도로 감광(dimming)되는 것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부분 영역(27 내지 29)을 생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3)의 열은 동일한 광도로 작동될 수도 있고, 단지 부분 영역(25 및 26)을 생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3)의 열만이 감광될 수 있다.
우측 헤드라이트(2)의 제2 모듈(4)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부분 광 분포(24)는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의 부분 영역(25 내지 28)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 발광 다이오드(13)의 최내부 열(55 및 56)은 활성화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부분 광 분포(23)는 제2 부분 광 분포(24)에 의해 조명되지 않는 영역(33)을 포함한다. 이런 영역(33)은 차량(23) 바로 전방에 위치된다. 그 결과, 상기 영역(33) 역시도 충분히 조명되는 점이 보장된다.
제1 부분 광 분포(23)와 제2 부분 광 분포(24)의 중첩은, 두 광 분포(23 및 24)의 광도들이 가산되는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밝은 광을 제공하는 하이빔을 생성하며, 그에 반해 두 광 분포 중 일측 광 분포(23 또는 24)만을 이용할 경우 조명되지 않는 영역도 역시 조명된다. 다시 말해, 제1 모듈(3)과 제2 모듈(4)의 조합은 전체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폭넓은 조명이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더 밝은 전체 광 분포를 달성한다.
도 4b에 도시된 전체 광 분포는 예컨대 v ≥ 90㎞/h의 속도에서 하이빔 기능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부분 광 분포(23)와 제2 부분 광 분포(24)는 원칙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된다.
주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우, 먼 거리에서 조명 및 초점을 보장하기 위해, 주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경우에서보다 더 넓은 조명 범위 및/또는 그 전체와 관련하여 더욱 집속된 광 분포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도 4b에 도시된 전체 광 분포의 경우, 조명 범위는 대개 제2 부분 광 분포(24)를 통해 조절된다. 이 경우, 제2 부분 광 분포(24)는,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부분 광 분포(23)에 비해 변경되지 않는다.
도 4a의 제2 부분 광 분포(24)의 부분 영역(25 및 26)을 생성한 발광 다이오드(13)의 열(61 및 62)은 비활성화된다. 그 결과, 차량(22)의 운전자의 초점은 더욱 먼 거리로 향하게 된다.
도 4c에는, 왼쪽 커브를 중심으로 하는 주행 동안 전체 광 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커브가 검출되고 제1 부분 광 분포(23)는 좌측 방향으로 제1 모듈을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똑같은 정도로 좌측 방향으로 안내된다.
제2 부분 광 분포(24)는, 좌측 헤드라이트(2)의 제2 모듈(4)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점점 더 활성화되는 것을 통해 좌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좌측 제2 모듈(4)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외부 열(61 및 62)이 활성화되며, 이 외부 열의 발광 다이오드는 이제 좌측 헤드라이트(1)의 제2 모듈(4)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부분 광 분포(24)의 부분 중 최외부 부분 영역(25 및 26)을 생성한다. 좌측 제2 모듈(4)의 최내부 열(55 및 56)은 비활성화된다.
우측 헤드라이트(2)의 제2 모듈(4)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부분 광 분포(24)의 부분은 전체적으로 자신의 휘도 및 폭과 관련하여 발광 다이오드(13)의 상응하는 열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감소된다.
전체적으로 운전자에게는 제2 부분 광 분포(24)가 제1 부분 광 분포와 동일한 정도로 좌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는 인상이 제공된다.
예시로서, 왼쪽 커브가 기재되었다. 오른쪽 커브의 경우에는 제2 모듈(4)의 발광 다이오드(13)의 좌우가 뒤바뀐 제어와 제1 모듈(3)의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공된다.
도 5a, 도 5c 및 도 5e와 관련하여, 명확성을 위해, 제1 모듈(3)에 의해 생성되는 마스킹된 영구 하이빔이 생성된다. 도 5b, 도 5d 및 도 5f에는, 제1 부분 광 분포(36)와 제2 부분 광 분포(37)가 중첩되어,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는 전체 광 분포를 생성하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출발점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체 광 분포이다.
우선 선행하는 주행 차량(34)이 카메라(18)에 의해 검출된다.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이 검출되는 유형 및 방식은 예컨대 DE 10 2009 054 227 A1에 기재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와 관련된 상기 독일 공보의 내용은 참조를 통해 본 출원에 인용된다.
이런 경우, 마스크(10 및 11)는, 차도 상에 도 5a에 도시된 제1 부분 광 분포(36)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제1 모듈(3)의 광원(7)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로 내로 이동된다.
도 5a에 도시된 제1 부분 광 분포(36)는 영역(M)에서 적어도 검출되는 주행 차량(34)까지의 이격 간격보다 더 작도록 조절되는 조명 범위를 나타낸다.
검출되는 주행 차량(34)의 방향으로 중앙 영역(M) 옆의 적어도 일측 측면에는, 조명 범위가 제1 부분 광 분포(36)의 영역(M) 내 조명 범위보다 더 큰 측면 영역(S1)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주행 차량(34)의 옆에서는, 차량(22)의 운전자에게 차량(22) 전방의 교통 구역의 보다 적합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옆을 지나가는 방식으로 조명된다. 측면 영역(S1) 내의 조명 범위는 예컨대 종래의 하이빔 기능에서의 조명 범위에 상응할 수 있다. 전체 광 분포의 타측 측면에서도, 역시 중앙 영역(M) 내 조명 범위보다 더 큰 조명 범위를 갖는 측면 영역(S2)이 형성된다. 측면 영역(S2)의 조명 범위 역시도 종래의 하이빔 기능의 조명 범위에 상응하며, 그럼으로써 전체 광 분포는, 광 분포에서 한 영역이 주행 차량(34)이 검출되는 경우 주행 차량(22)의 전방의 주행 방향으로 제외되는 종래의 하이빔에 상응한다.
도 5b에는, 제2 모듈(4)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부분 광 분포(37)가 제1 부분 광 분포(36)와 중첩되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부분 광 분포(37)는 2개의 부분 광 빔(46 및 47)을 포함하며, 광 빔(46)은 좌측 헤드라이트(1)의 제2 모듈(4)에 의해 생성되고 광 빔(47)은 우측 헤드라이트(2)의 제2 모듈(4)에 의해 생성된다. 이 경우, 좌측 광 빔(46)은 좌측에서, 그리고 우측 광 빔(47)은 우측에서 검출된 주행 차량(34)의 옆을 지나가는 방식으로 광을 방사한다. 이 경우, 제1 부분 광 분포(36) 및 제2 부분 광 분포(37)의 휘도는 2개의 측면 영역(S1 및 S2)에서 가산되며, 그에 반해 중앙 영역(M)에서는 제1 부분 광 분포(36)만이 조명을 제공한다.
또한, 제2 부분 광 분포(37)의 좌측 광 빔(46)은 부분 영역(42 내지 45)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 부분 영역(42)은 좌측 제2 모듈(4)의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8 및 59)에 의해, 그리고 부분 영역(43 내지 45)은 그에 상응하게 그 발광 다이오드(13)의 열(60 내지 62)에 의해 생성된다.
우측 광 빔(47)은 부분 영역(42, 44 및 45)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 좌측 광 빔(46) 및 우측 광 빔(47)의 부분 영역에 대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휘도를 의미한다. 이 경우, 부분 영역(42)은 우측 제2 모듈(4)의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9 및 60)에 의해, 그리고 부분 영역(44 및 45)은 그에 상응하게 그 발광 다이오드(13)의 열(61 및 62)에 의해 생성된다.
좌측 제2 모듈(4)의 발광 다이오드(13)의 내부 열(55 내지 57) 및 우측 제2 모듈(4)의 발광 다이오드(13)의 내부 열(55 내지 58)은 비활성화된다.
중앙 영역(M)은, 헤드라이트 장치로부터 자신의 이격 간격이 제1 모듈(3)의 광원(7)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로에서 마스크(10 및 11)의 위치 및 조명 범위를 통해 결정되는 에지(39)를 생성한다. 또한, 제2 부분 광 분포(37)에 의해 생성되는 측면 영역(S1 및 S2)은 차량(22)에 대한 종방향(LR)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2개의 에지(40 및 41)를 생성하며, 차량(22)에 대한 횡방향(QR)으로 상기 두 에지의 상호 간의 이격 간격은 검출되는 차량(34)의 폭에 따라 결정된다. 에지(39, 40 및 41)를 통해, 검출되는 차량(34)이 위치되는 광이 없는 통로(38)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서 기재되는 마스킹된 영구 하이빔의 전체 광 분포에 상응하는, 도 5a의 단일의 제1 부분 광 분포(36)에 비해, 확인되는 점에 따르면, 제1 부분 광 분포(36)와 제2 부분 광 분포(37)로 구성되는 도 5b의 전체 광 분포는 두 부분 광 분포(36 및 37)의 휘도의 가산을 통해 더욱 밝아질 뿐만 아니라, 제2 부분 광 분포(37)를 통해 더 멀리 도달하는 조명 범위 역시도 나타내며, 그리고 광이 없는 통로(38)는 검출되는 주행 차량(34)에 매우 긴밀하게 접근될 수 있다.
따라서, 두 부분 광 분포(36 및 37)로 구성되는 전체 광 분포는, 선행 주행 차량(34)에게 눈이 부시지 않게 하면서, 전체적으로 더 크고 더 넓은 발광 필드(luminous field)를 나타내고 많은 영역에서는 더 높은 휘도를 나타낸다. 또한,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발광 다이오드(13)의 휘도가 감소하는 것을 통해, 발광 필드와 비발광 필드 간의 유연한 전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c에는, 왼쪽 커브를 통과하는 주행 동안 제1 부분 광 분포(36)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분명한 점은, 측면 영역(S2)의 조명 범위가 중앙 영역(M)의 조명 범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정도로까지 감소된다는 점에 있다. 이는, 광이 없는 통로(38)가 검출되는 주행 차량(34)을 추적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마스크(10 및 11)가 좌측 제1 모듈(3)의 광원(7)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로 내로 변위되어야만 하는 점을 통해 야기된다. 변위는, 마스크(10 및 11)의 소정의 위치부터, 제1 광 분포(36) 내의 측면 영역(S2)을 생성할 수도 있는 광이 차광되게 한다. 측면 영역(S2)은 제1 부분 광 분포에 의해 더 이상 형성될 수 없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측면 영역(S2)은 완전히 조명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우측 측면에서, 검출되는 차량(34)과 측면 영역(S1) 사이의 이격 간격(35)은 도 5a에 비해 증대된다.
그러나 제1 부분 광 분포(36)가, 도 5d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황에서 제2 부분 광 분포(37)에 중첩된다면, 측면 영역(S2)의 더 넓은 조명도 가능해진다.
제2 부분 광 분포(37)는 일반적으로 도 5b에서처럼 구성된다. 선행 주행 차량(34)에 눈이 부시게 하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5b에서 광 빔(46)의 내부 부분 영역(42 및 43)을 생성한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5 및 56)은 비활성화되고, 그럼으로써 좌측 광 빔(46)은 이제 더 작은 폭을 가지며, 그리고 열(58 및 59)이 동일한 광도의 광을 방출하는 조건에서, 단지 열(57, 58 및 59)에 의해서만 생성되게 된다. 우측 광 빔(47)은 변함없이 유지된다.
제1 부분 광 분포(36)와 제2 부분 광 분포(37)를 중첩시킴으로써, 도 5c의 단일의 제1 부분 광 분포(36)에 비해, 제1 모듈(3)이 기술적 조건 및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자신의 한계에 부딪칠 때에도 측면 영역(S2)의 조명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측면 영역(S1)과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사이의 이격 간격(35) 역시도 급격히 감소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광이 없는 통로(38)는 검출되는 주행 차량(34)에까지 닿게 된다.
도 5e에는, 좁은 커브를 통과하는 주행 동안 제1 부분 광 분포(36)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1 부분 광 분포는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정상 커브에서 제1 부분 광 분포(36)와 더 이상 다르지 않다. 이 경우, 검출되는 주행 차량(34)과 측면 영역(S1) 사이의 이격 간격(35)은 도 5b에서보다 훨씬 더 크다.
도 5f에는, 다시금 제1 부분 광 분포(36)와 제2 부분 광 분포(37)가 상호 간에 중첩하는 것을 통해 생성되는 전체 광 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부분 광 분포(37)의 경우, 좌측 헤드라이트(2)의 제2 모듈(4)의 발광 다이오드(13)는, 좌측 광 빔(46)이 2개의 부분 광 빔(48 및 49)으로 분할되도록 제어된다. 이는, 원래 좌측 광 빔(46)의 하부 영역(42 및 43)을 생성했던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8 및 59)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 하부 영역(42 및 43)은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6 및 57)에 의해 생성된다. 추가로 발광 다이오드(13)의 최내부 열(55) 역시도 비활성화되며, 그럼으로써 추가 부분 영역(50)이 생성된다. 그 결과, 부분 광 빔(49)은 우측에서 선행 주행 차량(34)의 옆을 지나가는 방식으로 광을 방사하며, 그리고 더 이상 원래처럼 좌측에서는 선행 주행 차량(34)의 옆을 지나가는 방식처럼 광을 방사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우측 광 빔(47)과 좌측 광 빔(46)의 부분 광 빔(49)이 중첩되며, 그에 따라 선행 주행 차량(34) 우측 옆의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밝은 조명을 제공한다.
이런 방식으로, 측면 영역(S1)과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사이의 이격 간격(35) 역시도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부분 영역(45 및 44)은 변함없이, 도 5d에 도시된 것처럼, 발광 다이오드(13)의 동일한 열(61 및 62)에 의해 생성된다. 그 결과, 제2 부분 광 빔(48)은 좌측에서 선행 차량의 옆을 지나가는 방식으로 안내된다.
도 5c, 도 5d, 도 5e 및 도 5f에는, 예시로서 왼쪽 커브를 통과하는 주행이 도시되어 있다. 오른쪽 커브를 통과하는 주행의 경우에는 제1 부분 광 분포(36) 및 제2 부분 광 분포(37)도 동일한 방식으로 단지 제1 모듈(3) 및 제2 모듈(4)의 좌우가 뒤바뀐 제어를 통해 생성된다.
도 6a 내지 도 6f와 관련하여, 도 5a 내지 도 5f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선 제1 부분 광 분포(36)는 단지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있는 교통 상황에서만 설명된다. 여기서는, 제1 모듈(3) 및 제2 모듈(4)의 다양한 위치를 통해 부분 광 분포(36 및 37)의 실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부분 광 분포(36 및 37)는,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차량(22) 전방에 설치된 화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b, 도 5d 및 도 5f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제2 부분 광 분포(37)의 조명 범위는 일반적으로 제1 부분 광 분포(36)의 조명 범위보다 더 넓다. 이를 도 6b, 도 6d 및 도 6f에서 나타내기 위해, 제2 부분 광 분포(37)는 빗금에서 더 작은 선 밀도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반대 차선에서 주행 차량(53)이 접근하는 경우 부분 광 분포(36 및 37)는 커브 주행 동안 선행 주행 차량(34)의 경우와 같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출발점은 다시금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하이빔 기능의 전체 광 분포이다.
우선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53)이 카메라(18)에 의해 검출된다.
그런 다음, 마스크(10 및 11)는, 광 분포 내에서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리세스(54)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제1 모듈(3)의 광원(7)에 의해 검출되는 광의 광로 내로 유입된다. 리세스(54)는,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53)이 위치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차도 상에서 중앙 영역(M)과 두 측면 영역(S1 및 S2)의 형성으로 이어진다.
이와 동시에, 제2 모듈(4)의 발광 다이오드(13)는, 제2 모듈(4) 내에서 최내부 위치에 배치되는 발광 다이오드(13)의 열(55 및 56)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비활성화되는 열의 개수는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53)의 폭 및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그 결과, 제1 부분 광 분포 내에서와 동일한 위치에서 제2 부분 광 분포 내에 리세스가 생성된다.
중첩된 부분 광 분포(36 및 37)는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이로부터 특히 분명해지는 점은, 제2 부분 광 분포(37)가, 제1 부분 광 분포(36)가 조명을 제공하지 않는 외부 및 내부 영역에서도 조명을 제공하는 데 반해, 제1 부분 광 분포(36)는 제2 부분 광 분포(37)가 조명하지 않는 위치에서 조명한다는 점이다. 제2 부분 광 분포(37)는 특히 차량(22)의 전방 근거리(63)에서 조명을 제공하지 않는다.
전체 광 분포 내의 리세스(54)를 통해, 차도 상에는 광이 없는 통로(38)가 생성되며, 이 통로 내에서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차량(53)이 이동된다.
두 차량(22 및 53)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기 때문에,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53)까지 차량(22)의 이격 간격은 감소된다. 소정의 이격 간격부터, 차량(22)의 주행 방향(51)과, 차량(22)에서부터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차량(53)까지의 연결선(52)의 사이에는 감소하는 이격 간격과 더불어 증가하는 각도(φ)가 형성된다.
차량이 더 가까이 근접하는 경우 전체 광 분포가 유지되기라도 한다면, 이는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53)의 마스킹을 야기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각도(φ)에 따라서, 전체 광 분포 내에 존재하는 리세스는 좌측 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6c에는, 제1 부분 광 분포(36) 내에서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에 대해 리세스(54)를 매칭시키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제1 모듈(3)의 마스크(10 및 11)는 수직에서 좌측 방향으로, 그리고 수평에서는 하부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 결과, 제1 부분 광 분포(36)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차량(53)의 이격 간격에 매칭되는 오프셋 된 리세스가 제공된다. 그 대안으로, 마스크(10)만이 수직에서 좌측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그에 반해 조명 범위의 매칭를 위해 그와 동시에 제1 모듈(3)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헤드라이트 장치가 회전 가능한 마스크 샤프트를 포함한다면, 이 마스크 샤프트는,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53)이 제1 부분 광 분포(36)에서 우묵하게 들어가는 방식으로 초점 선이 광로 내에 포지셔닝될 때까지 회전된다. 이를 달성할 만큼 마스크 샤프트의 회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추가로 마스크 샤프트는 광로 내에서 병진 이동을 통해 변위된다.
도 6d에는, 중첩된 제1 부분 광 분포(36) 및 제2 부분 광 분포(37)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모듈(4)은, 제2 부분 광 분포(37) 내에서 리세스를 생성하기 위해 이전까지 비활성화되었던 발광 다이오드(1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성화되고, 그에 반해 측면 영역(S2)을 생성하기 위해 이전까지 활성화되었던 다른 발광 다이오드(1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이 경우, 발광 다이오드(13)는, 좌측 방향으로 오프셋 된 새로운 리세스(54)가 제2 부분 광 분포(37) 내에서 형성되도록 각각 활성화되고 비활성화된다.
그에 따라, 전체 광 분포 내에,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53)의 위치를 추적하는 광이 없는 통로(38)가 형성된다.
앞에서 이미 설명한 제1 모듈(3)의 기술적 제한 사항을 통해, 소정의 각도(φ)부터 측면 영역(S2) 내 제1 부분 광 분포의 조명 범위는 중앙 영역(M) 내 제1 부분 광 분포의 조명 범위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감소된다. 이는 도 6e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좌측 제1 모듈(3)의 마스크(10 및 11)의 최대 변위 위치에 도달할 때 수행된다.
도 6c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르면, 소정의 각도(φ)부터 측면 영역(S2)에서 제1 부분 광 분포(36)는 더 이상 전체 광 분포에 기여하지 않는다.
이런 경우, 단지 제2 부분 광 분포(37)만이 제2 모듈(4) 내에서 최외부 발광 다이오드(13)의 제어를 기반으로 측면 영역(S2) 내의 전체 광 분포를 생성한다.
이런 경우,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53)이 눈이 부지지 않게 하면서 차량(22)을 통과할 수 있는 점을 보장하기 위해, 측면 영역(S2)의 단일의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 다이오드(13)는 꺼져야만 한다.
동일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선행 주행 차량의 경우 도 5b, 도 5d 및 도 5f에 도시된 전체 광 분포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한 대보다 많은 주행 차량이 검출되어 광 분포에서 마스킹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선행 주행 차량(34)과 이와 동시에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53)이 검출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그 결과에 따른 제1 및 제2 부분 광 분포는 도 5b, 도 5d 및 도 5f뿐만 아니라 도 6b, 도 6d 및 도 6f의 제1 및 제2 부분 광 분포가 조합된 부분 광 분포이다.
또한, 제1 광 분포의 측면 영역(S2) 내 조명 범위를 연속해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수평 각도(φ)에 따라서 수행된다. 제1 부분 광 분포(36)를 위한 수평 각도(φ)에 따르는 상세한 헤드라이트 레벨링은 예컨대 DE 10 2009 054 227 A1에 기재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와 관련된 상기 독일 공보의 내용은 참조를 통해 본 출원에 인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라이트 장치에 의해, 또 다른 조명 기능들도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로우빔 기능 역시도 제공될 수 있다.
1: 우측 헤드라이트 2: 좌측 헤드라이트
3: 제1 모듈 4: 제2 모듈
5, 6: 추가 모듈 7: 제1 모듈의 광원
8: 제1 모듈의 반사판 9: 투영 렌즈
10, 11: 마스크 12: 제1 모듈의 하우징
13: 제2 모듈의 광원 14: 제어 장치
15, 16, 17: 액추에이터 18: 카메라
19: 제어 장치 20: 차량 버스
21: 유리 패널 22: 차량
23: 제1 부분 광 분포 24: 제2 부분 광 분포
25~29: 제2 부분 광 분포의 부분 영역
30: 차량 근접 영역 31: 차량 이격 영역
32: 차량 근접 영역과 차량 이격 영역 사이의 경계
33: 차량의 전방 영역 34: 선행 주행 차량
35: 공지된 마스킹된 영구 하이빔의 전체 광 분포
36: 제1 부분 광 분포 37: 제2 부분 광 분포
38: 광이 없는 통로 39: 중앙 영역의 에지
40, 41: 측면 영역들의 에지 42~45: 제2 부분 광 분포의 부분 영역
46: 좌측 광 빔 47: 우측 광 빔
48: 제1 부분 광 빔 49: 제2 부분 광 빔
50: 제2 부분 광 분포의 추가 부분 영역
51: 차량의 주행 방향
52: 차량과 타인의 주행 차량 사이의 연결선
53: 반대 차선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
54: 리세스 55~62: 발광 다이오드들의 열
63: 차량의 전방 근거리 M: 중앙 영역
S1, S2: 광 분포의 측면 영역 QA: 차량 횡축
QR: 차량에 대한 횡방향 LR: 차량의 종방향
L: 광 방출 방향 φ: 수평 각도
V: 차량과 관련한 수직선

Claims (10)

  1. 전체 광 분포를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헤드라이트(1, 2)를 포함하는 차량(22)용 헤드라이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두 헤드라이트(1, 2) 각각은 상호 간에 분리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모듈(3) 및 하나의 제2 모듈(4)을 포함하고, 제1 모듈(3)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7)과, 이 광원(7)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광로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10, 11)를 각각 포함하며, 제2 모듈(4)은 행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13)을 각각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제1 모듈(3)의 조명 기능의 제1 부분 광 분포(23, 3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10, 11)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생성되고,
    - 상기 제2 모듈(4)의 동일한 조명 기능의 제2 부분 광 분포(24, 37)는 상기 복수의 광원(13) 중 개별 광원(13) 또는 광원들(13)의 그룹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생성되며,
    - 상기 조명 기능의 전체 광 분포는, 상기 제1 부분 광 분포(23, 36)와 상기 제2 부분 광 분포(24, 37)가 중첩되는 것을 통해 생성되고,
    - 적어도 하나의 주행 차량(34, 53)이 상기 헤드라이트 장치의 광 방출의 방향으로 검출되고,
    - 상기 제1 부분 광 분포(36)는,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53)까지의 이격 간격보다 더 작은 조명 범위를 갖는 중앙 영역(M)과,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53)까지의 이격 간격보다 더 큰 조명 범위를 가지면서 상기 중앙 영역(M)의 양쪽 옆에서 생성되는 2개의 측면 영역(S1, S2)을 포함하며,
    - 상기 제2 부분 광 분포(37)는, 단지 상기 제1 부분 광 분포(36)의 측면 영역(S1, S2)에서만,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53)까지의 이격 간격보다 더 큰 조명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광 분포의 명암 경계는 차량 근접 영역(30)과 차량 이격 영역(31)으로 분할되며, 상기 차량 근접 영역(30)은 상기 제1 부분 광 분포(23, 36)에 의해, 그리고 상기 차량 이격 영역(31)은 상기 제2 부분 광 분포(24, 37)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광 분포 내의 상기 중앙 영역(M) 및 상기 측면 영역(S1, S2)을 통해, 상기 중앙 영역(M)에 의해 차량(22)에 대한 횡방향(QR)으로 생성되는 하나의 에지(39)와, 상기 측면 영역(S1, S2)에 의해 차량(22)에 대한 종방향(LR)으로 생성되는 2개의 에지(40, 41)를 포함하는 광이 없는 통로(light-free corridor)(38)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영역(S1, S2)에 의해 생성되는 에지(40, 41)는 상기 제2 부분 광 분포(37)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측면 영역(S1, S2)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에지들(40, 41) 사이의 횡방향(QR)으로의 이격 간격은 검출되는 주행 차량(40, 41)의 폭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22)의 주행 방향(51)과 차량(22)에서부터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53)까지의 연결선(52) 사이의 수평 각도(φ)에 따라서, 미리 정해놓은 각도(φ)부터 상기 측면 영역(S1, S2)은 단지 상기 제2 부분 광 분포(37)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영역(S1, S2)에서 상기 제1 부분 광 분포(36)의 조명 범위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광 분포(37)는 적어도 2개의 광 빔(46, 47)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2개의 광 빔 중 적어도 하나의 광 빔(46)은 차량(22)의 주행 방향과 차량(22)에서부터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53)까지의 연결선 사이의 수평 각도에 따라서 2개의 부분 광 빔(48, 49)으로 분할되며, 그럼으로써 일측 부분 광 빔(48)은 일측 측면 영역(S2)을 단독으로 생성하고 타측 광 빔(49)은 적어도 상기 제2 부분 광 분포(37)의 타측 광 빔(47)과 함께 타측 측면 영역(S1)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영역(S1, S2) 내의 상기 제2 부분 광 분포(37)는 복수의 부분 영역(42, 43, 44, 45, 50)으로 분할되며, 광도는 최내부 부분 영역(42, 50)에서부터 최외부 부분 영역(45) 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능은 하이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9. 차량(22)용 헤드라이트 장치로서,
    - 전체 광 분포를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헤드라이트(1, 2)로서, 두 헤드라이트(1, 2) 각각은 상호 간에 분리되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모듈(3) 및 하나의 제2 모듈(4)을 포함하고, 제1 모듈(3)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7)과, 이 광원(7)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광로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10, 11)를 각각 포함하며, 제2 모듈(4)은 행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13)을 각각 포함하는 것인, 적어도 2개의 이격된 헤드라이트; 및
    - 제어 장치(14)로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10, 11)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조명 기능의 제1 부분 광 분포(23, 36)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1 모듈(3)을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광원(13) 중 개별 광원들(13) 또는 광원들(13)의 그룹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동일한 조명 기능의 제2 부분 광 분포(24, 37)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2 모듈(4)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부분 광 분포(23, 36)와 제2 부분 광 분포(24, 37)를 중첩시키는 것을 통해 전체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헤드라이트(1, 2)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인,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 적어도 하나의 주행 차량(34, 53)이 상기 헤드라이트 장치의 광 방출의 방향으로 검출되고,
    - 상기 제1 부분 광 분포(36)는,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53)까지의 이격 간격보다 더 작은 조명 범위를 갖는 중앙 영역(M)과,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53)까지의 이격 간격보다 더 큰 조명 범위를 가지면서 상기 중앙 영역(M)의 양쪽 옆에서 생성되는 2개의 측면 영역(S1, S2)을 포함하며,
    - 상기 제2 부분 광 분포(37)는, 단지 상기 제1 부분 광 분포(36)의 측면 영역(S1, S2)에서만, 검출되는 주행 차량(34, 53)까지의 이격 간격보다 더 큰 조명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3)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7) 또는 상기 제2 모듈(4)의 상기 복수의 광원(13) 또는 양자 모두는 발광 다이오드이며,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가동 부재는 자신의 위치와 관련하여 변경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스크(10, 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
KR1020167003066A 2013-08-16 2014-06-30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헤드라이트 장치 KR101749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6318.5 2013-08-16
DE102013216318.5A DE102013216318A1 (de) 2013-08-16 2013-08-16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einwerf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Scheinwerferanordnung
PCT/EP2014/063820 WO2015022115A1 (de) 2013-08-16 2014-06-30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einwerf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scheinwerfer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190A KR20160027190A (ko) 2016-03-09
KR101749467B1 true KR101749467B1 (ko) 2017-06-20

Family

ID=5116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066A KR101749467B1 (ko) 2013-08-16 2014-06-30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헤드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33248B1 (ko)
KR (1) KR101749467B1 (ko)
CN (1) CN105452058B (ko)
DE (1) DE102013216318A1 (ko)
WO (1) WO2015022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9592A1 (de) * 2014-06-27 2015-12-31 Audi Ag Scheinwerfer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einwerfervorrichtung
CN106166980A (zh) 2015-05-22 2016-11-30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控制前照灯的方法和装置
FR3038697B1 (fr) 2015-07-10 2017-08-11 Valeo Vision Procede de controle d’un faisceau lumineux et module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correspondant
DE102015012416A1 (de) * 2015-09-25 2017-03-30 Audi Ag Projizieren eines vorgebbaren Lichtmusters
KR101968661B1 (ko) * 2015-12-29 2019-04-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상기 차량용 램프를 제어하는 방법
JP6751307B2 (ja) 2016-05-17 2020-09-0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DE102016211552A1 (de) * 2016-06-28 2017-12-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DE102016122492A1 (de) * 2016-11-22 2018-05-24 HELLA GmbH & Co. KGaA Erzeugung einer homogenen Lichtverteilung in Abhängigkeit von der Topografie und der gemessenen Leuchtdichte
DE102017214346A1 (de) 2017-08-17 2019-02-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einwerfer für ein Fahrzeug
JP6992428B2 (ja) * 2017-11-15 2022-02-0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EP3671017A1 (de) * 2018-12-18 2020-06-24 ZKW Group GmbH Beleucht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20220186899A1 (en) * 2019-02-21 2022-06-16 HELLA GmbH & Co. KGaA Lighting device, in particular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DE102019005674A1 (de) * 2019-08-13 2021-02-18 Daimler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variablen Lichtverteilung
DE102020115384B4 (de) * 2020-06-10 2023-03-16 HELLA GmbH & Co. KGaA Verfahren zur Steuerung zweier Beleuchtungsmodule eines Scheinwerfers, System mit einem Scheinwerfer mit zwei Beleuchtungsmodulen und einer Steuerungseinheit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und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System
CN115143424A (zh) * 2022-08-02 2022-10-04 张帅 一种发动机的前大灯照明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1654U1 (de) * 2010-02-01 2010-05-20 Delvis Gmbh Leucht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9089A1 (de) 1997-09-06 1999-03-11 Hella Kg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DE10009782B4 (de) 2000-03-01 2010-08-12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06038915A1 (de) * 2006-08-18 2008-02-21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system für Fahrzeuge
DE102007045150B4 (de) 2006-09-27 2021-03-04 HELLA GmbH & Co. KGaA Scheinwerf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einwerferanordnung
DE102007054048A1 (de) * 2007-11-13 2009-05-14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e Fahrlichtsteuerung eines Fahrzeugs
DE102008036193B4 (de) * 2008-08-02 2020-03-12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60949B4 (de) * 2008-12-06 2023-09-28 Mercedes-Benz Group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nsteuerung von Fahrzeugscheinwerfern
JP2010192411A (ja) * 2009-02-20 2010-09-02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DE102009054248A1 (de) 2009-11-21 2011-05-2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einwerf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Scheinwerferanordnung
DE102009054238A1 (de) 2009-11-21 2011-05-2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einwerf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Scheinwerferanordnung
DE102009054249A1 (de) 2009-11-21 2011-05-2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einwerf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Scheinwerferanordnung
DE102009054227A1 (de) 2009-11-21 2011-05-2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einwerf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Scheinwerferanordnung
DE102009054228A1 (de) 2009-11-21 2011-05-2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weinwerf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Scheinwerferanordnung
DE102009060781A1 (de) 2009-12-22 2011-06-30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72762 Lichtmodul für eine Beleuchtung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sowie Beleuchtungseinrichtung mit einem solchen Lichtmodul
JP5716320B2 (ja) * 2010-08-26 2015-05-1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DE102011112716A1 (de) 2011-09-07 2013-03-07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cheinwerfer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103313A1 (de) * 2012-04-17 2013-10-17 Hella Kgaa Hueck & Co. Lichtmodul für den Scheinwerfer eines Fahrzeu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1654U1 (de) * 2010-02-01 2010-05-20 Delvis Gmbh Leucht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52058B (zh) 2017-11-17
EP3033248B1 (de) 2018-10-10
CN105452058A (zh) 2016-03-30
WO2015022115A1 (de) 2015-02-19
KR20160027190A (ko) 2016-03-09
EP3033248A1 (de) 2016-06-22
DE102013216318A1 (de)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467B1 (ko) 차량용 헤드라이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헤드라이트 장치
US10232763B1 (en) Solid state adaptive headlight
US8801242B2 (en) Light module of motor vehicle for generating spot distribution of high-beam-light distribution and vehicle headlights having such module
EP2085264B1 (en)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KR101239454B1 (ko) 차량용 전조등 장치
US10670216B2 (en) Vehicle lamp including rotary reflector
KR102052137B1 (ko) 코너링 라이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조등 시스템 및 방법
US8628226B2 (en) Vehicle headlamp unit having multiple adjacent projection lenses
CN101008481A (zh) 车辆用灯具
CN108349426B (zh) 用于机动车辆的照明系统
JP6862113B2 (ja) 光ビームを制御する方法、及び関連する照明・信号モジュール
JP2013023182A (ja) ヘッドランプの配光制御手段
CN107606579B (zh) 车辆用灯具
JP6514510B2 (ja) 車両用灯具
WO2019131055A1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及び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
EP2230128B1 (en)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pattern
US10640034B1 (en) Vehicle front headlight device
KR20170080240A (ko) 차량용 램프
CN110500558B (zh) 车辆用前照灯装置
KR20160125693A (ko) 차량용 램프
US9267656B2 (en) Head lamp for vehicle
KR20190007606A (ko) 차량용 램프 제어장치
JP7495539B2 (ja) 光学装置及び進行方向表示装置
WO2022168543A1 (ja) 路面描画装置
KR102111239B1 (ko) 차량용 램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