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870A - 액체식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식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870A
KR20230137870A KR1020237015913A KR20237015913A KR20230137870A KR 20230137870 A KR20230137870 A KR 20230137870A KR 1020237015913 A KR1020237015913 A KR 1020237015913A KR 20237015913 A KR20237015913 A KR 20237015913A KR 20230137870 A KR20230137870 A KR 2023013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food
line
thi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스케 야스하라
유스케 우라카와
타카시 스미토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이즈미푸드머시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이즈미푸드머시너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이즈미푸드머시너리
Publication of KR2023013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3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식품로스를 가능한 한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액체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
액체식품 제조장치(1)는, 제품규격에 적합한 액체식품(Q)이 통과하는 액체식품 통과라인(2)과,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 잔존한 물(Q2)에 의하여 희석된 액체식품(Q)의 박액(Q3)을, 액체식품 통과라인(2)으로부터 회수하는 회수라인(3A)과, 액체식품(Q)이 액체식품 통과라인(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수라인(3A)으로부터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 박액(Q3)을 공급하여, 액체식품(Q)에 박액(Q3)을 혼합시키는 공급라인(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체식품 제조장치
본 발명은, 액체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프나 아이스크림제품 등의 액체 또는 반액체식품을 제조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액체 또는 반액체의 베이스제품을 열처리하는 제1 용기와, 베이스제품을 제1 용기에 공급하는 제2 용기(3)와, 제1 용기(2) 내의 베이스제품을 혼합하는 교반기(4) 등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0-167993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 등과 같은 액체식품 제조장치에서는, 장치 내를 정기적으로 물로 세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써, 베이스제품을 장기간에 걸쳐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세정에 제공된 물은, 장치 내에 잔류되어 버려, 세정 후에 제조되는 액체식품을 희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희석된 액체식품은, 제품규격을 충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폐기되어 버려, 식품로스로 이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로스를 가능한 한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액체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의 일 양태는, 제품규격에 적합한 액체식품이 통과하는 액체식품 통과라인과,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에 잔존한 물에 의하여 희석된 상기 액체식품의 박액(薄液)을 회수하는 회수라인과,
상기 액체식품이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수라인으로부터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에 상기 박액을 공급하여, 상기 액체식품에 상기 박액을 혼합시키는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부터 폐기되고 있던 박액을, 액체식품에 혼합시켜 재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박액을 불필요하게 폐기하는 것을 가능한 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즉, 식품로스를 가능한 한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회로도(사용 전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회로도(액체식품 제조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회로도(세정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회로도(박액회수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회로도(박액폐기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회로도(박액공급·액체식품 제조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회로도(박액공급·박액회수상태)이다.
이하, 도 1~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를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적합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액체식품 제조장치(액체식품 제조설비)(1)는, 제품규격에 적합한 액체식품(Q1)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액체식품(Q1)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쥬스 등의 청량음료, 누들스프베이스 등 액체조미료 등이다.
또, "제품규격에 적합한"이란, 액체의 농도(성분농도)가 시장에 유통, 판매 가능하게 조합된 상태를 말한다.
도 1(도 2~도 7에 대해서도 동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식품 제조장치(1)는, 액체식품 통과라인(2)과, 회수라인(제1 회수라인)(3A)과, 회수라인(제2 회수라인)(3B)과, 공급라인(4)과, 폐기라인(5)을 구비한다.
다만, 도 1에서는,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는, 좌상(左上)으로부터 우하(右下)로 경사진 해칭이 실시되어 있고, 회수라인(3A)에는, 우상(右上)으로부터 좌하(左下)로 경사진 해칭이 실시되어 있으며, 회수라인(3B)에는, 크로스해칭이 실시되어 있고, 공급라인(4)에는, 좌상으로부터 우하로 경사진 해칭(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해칭보다 조밀)이 실시되어 있으며, 폐기라인(5)에는, 우상으로부터 좌하로 경사진 해칭(공급라인(3A)의 해칭보다 조밀)이 실시되어 있다.
액체식품 통과라인(2)은, 제품규격에 적합한 액체식품(Q1)이 통과하는 유로이며(도 2 참조), 예를 들면,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상류측은, 액체식품(Q1)의 원료액과 물을 소정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액체식품(Q1)을 생성하는 블렌더(1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하류측은, 액체식품(Q1)을 용기 등에 충전하는 충전기(1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액체식품 제조장치(1)는,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도중에 마련된 제1 탱크(밸런스탱크)(21)와, 농도검출부(22)와, 펌프(23)와, 유량검출부(24)와, 기능부(25)와, 제2 탱크(26)를 구비한다. 제1 탱크(21), 농도검출부(22), 펌프(23), 유량검출부(24), 기능부(25), 제2 탱크(26)는, 상류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탱크(21)는, 액체식품(Q1)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부이다. 이로써, 원하는 일정량의 액체식품(Q1)을 제2 탱크(26)를 향하여 안정적으로 유하(流下)시킬 수 있다.
또, 제1 탱크(21)는, 액체식품(Q1)을 교반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제1 탱크(21) 내에서의 액체식품(Q1)의 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기(12)로부터 각 용기에 액체식품(Q1)을 충전할 때, 그 액체식품(Q1)의 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는, 예를 들면 세정에 제공된 물(Q2)이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물(Q2)에 의하여, 액체식품(Q1)은, 희석되어, 제품규격으로부터 벗어난 박액(희석액)(Q3)이 된다. 액체식품 제조장치(1)는, 액체식품(Q1)을 제조할 때, 그 액체식품(Q1)에 박액(Q3)을 혼합시켜 혼합액(Q4)을 생성할 수 있다.
농도검출부(22)는, 혼합액(Q4)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계이다. 농도검출부(22)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의 굴절률로부터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 액체의 밀도를 계측하는 밀도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농도검출부(22)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혼합액(Q4)(박액(Q3)을 혼합시킨 액체식품(Q1))이 제품규격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혼합액(Q4)이 제품규격에 적합한 경우에는, 그 혼합액(Q4)을 충전기(12)로 용기에 충전하여, 시장에 유통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한편, 혼합액(Q4)이 제품규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혼합액(Q4)은, 박액(Q3)으로서 재이용된다.
다만, 혼합액(Q4)이 제품규격에 적합한지 아닌지의 판단은, 농도검출부(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판단부(10)로 행해진다. 판단부(10)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
펌프(23)는, 액체식품(Q1)(혼합액(Q4))을 강제적으로 액체식품 통과라인(2)을 통과시키는 펌프이다.
유량검출부(24)는, 액체식품 통과라인(2)을 통과하는 액체식품(Q1)(혼합액(Q4))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계이다.
기능부(25)는, 액체식품(Q1)(혼합액(Q4))을 가열하는 가열부(251)와, 액체식품(Q1)(혼합액(Q4))을 냉각하는 냉각부(252)를 갖는다.
가열부(251)는, 액체식품(Q1)(혼합액(Q4))이 가열부(251)를 통과할 때, 액체식품(Q1)을 가열하여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부(251)는, 액체식품(Q1)을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냉각부(252)는, 살균 후의 액체식품(Q1)(혼합액(Q4))이 충분히 냉각된 상태의 액체식품(Q1)을 용기에 충전할 수 있고, 충전 후도, 액체식품(Q1) 중에서의 잡균의 재번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탱크(26)는, 액체식품(Q1)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부이다. 이로써, 원하는 일정량의 액체식품(Q1)을 충전기(12)를 향하여 안정적으로 유하시킬 수 있다.
회수라인(3A) 및 회수라인(3B)은, 박액(Q3)을 액체식품 통과라인(2)으로부터 회수하는 유로이며(도 2 참조), 예를 들면,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수라인(3A)의 상류측은,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기능부(25)와 제2 탱크(26)의 사이에, 밸브(61)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밸브(61)의 작동에 의하여, 제2 탱크(26)로 향하는 흐름(도 2, 도 3, 도 6)과, 회수라인(3A)으로 향하는 흐름(도 4, 도 5, 도 7)으로 전환할 수 있다.
회수라인(3A)의 하류측에는, 박액저류부(31)가 접속되어 있다. 박액저류부(31)는, 박액(Q3)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부이다. 이로써, 공급라인(4)을 통하여,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 박액(Q3)을 공급할 때까지, 박액(Q3)을 계속 저류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 박액(Q3)을 공급할 때에는, 그 공급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회수라인(3A)은, 그 도중에, 밸브(62)를 통하여 분기된 분기라인(32)을 갖는다. 분기라인(32)의 하류측은, 제1 탱크(21)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62)의 작동에 의하여, 박액저류부(31)로 향하는 흐름과, 분기라인(32)으로 향하는 흐름으로 전환할 수 있다.
회수라인(3B)의 상류측은,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제1 탱크(21)와 블렌더(11)의 사이에, 밸브(63)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회수라인(3B)의 하류측은, 박액저류부(31)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63)의 작동에 의하여, 제1 탱크(21)로 향하는 흐름과, 박액저류부(31)로 향하는 흐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액체식품 제조장치(1)는, 회수라인(3A)의 도중에 접속된 가스공급부(33A)와, 회수라인(3B)의 도중에 접속된 가스공급부(33B)를 구비한다.
가스공급부(33A)는, 회수라인(3A)에, 가스를 분사하여, 공급할 수 있다. 가스공급부(33B)도, 회수라인(3B)에, 가스를 분사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회수라인(3A)이나 회수라인(3B)에 잔류한 박액(Q3)을 박액저류부(31)에 강제적으로 향하게 할 수 있고, 박액(Q3)을 가능한 한 낭비없이 회수할 수 있다. 이 회수는, 후술하는 식품로스의 저감 또는 방지로 이어진다.
다만, 가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기 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가스가 박액(Q3)의 성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회수라인(3A)의 가스공급부(33A)보다 하류측이고, 또한, 박액저류부(31)보다 상류측에는, 농도검출부(박액용 농도검출부)(34)가 마련되어 있다. 농도검출부(34)는, 회수라인(3A)을 통과하는 박액(Q3)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계이다. 농도검출부(34)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의 굴절률로부터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 액체의 밀도를 계측하는 밀도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0)는, 농도검출부(34)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박액(Q3)이 소정의 농도 범위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판단부(10)는, 농도검출부(22)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혼합액(Q4)이 제품규격에 적합한지 아닌지도 판단할 수 있다.
폐기라인(5)은, 박액(Q3)이 소정의 농도 범위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부(10)에서 판단된 경우에, 박액(Q3)을 폐기하는 유로이며, 예를 들면,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폐기라인(5)의 상류측은, 회수라인(3A)의 농도검출부(34)와 박액저류부(31)의 사이에, 밸브(6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폐기라인(5)의 하류측은, 예를 들면, 박액(Q3)이나 세정에 제공된 물(Q2) 등이 흘러드는 하수도나 배수처리설비가 접속되어 있다. 밸브(64)의 작동에 의하여, 박액저류부(31)로 향하는 흐름(도 4 참조)과, 하수도나 배수처리설비(폐기라인(5))로 향하는 흐름(도 5 참조)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회수라인(3A) 중, 밸브(64)로부터 박액저류부(31)까지의 부분을, "재이용라인(35)"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공급라인(4)은, 액체식품(Q1)이 액체식품 통과라인(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박액저류부(31)(회수라인(3A))로부터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 박액(Q3)을 공급하는 유로이며(도 6 참조), 예를 들면,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공급에 의하여, 액체식품(Q1)에 박액(Q3)을 혼합시킨 혼합액(Q4)이 얻어진다.
공급라인(4)의 상류측은, 박액저류부(31)에 접속되어 있다.
공급라인(4)의 하류측은,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기능부(25)보다 상류측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라인(4)의 하류측은,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기능부(25)와 밸브(63)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박액(Q3)을 가능한 한 상류측에서 액체식품(Q1)에 합류시킬 수 있고, 그 후, 농도검출부(22)에 도달하기 전에, 액체식품(Q1)과 박액(Q3)을 충분히 혼합시키는 시간이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 기능부(25)는, 살균하기 위하여 가열기능을 갖는 경우가 많지만, 그 경우, 박액(Q3)은, 기능부(25)에서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어, 살균되어 있는 것이라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박액저류부(31)에는, 살균되어 있는 박액(Q3)과, 살균되어 있지 않은 박액(Q3)이 혼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박액(Q3)을 재이용할 때에는,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기능부(25)보다 상류측에서 박액(Q3)을 액체식품(Q1)에 합류시키고, 이 합류에 의하여 생성된 혼합액(Q4)은, 기능부(25)에서 가열되어 살균될 필요가 있다.
또, 액체식품 제조장치(1)는, 공급라인(4)의 도중에 마련된 펌프(41)와, 유량검출부(42)와, 농도검출부(박액용 농도검출부)(43)와, 밸브(44)를 구비한다. 펌프(41), 유량검출부(42), 농도검출부(43), 밸브(44)는, 상류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펌프(41)는, 박액(Q3)을 강제적으로 공급라인(4)을 통과시키는 펌프이다.
유량검출부(42)는, 공급라인(4)을 통과하는 박액(Q3)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계이다.
농도검출부(43)는, 박액(Q3)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계이다. 농도검출부(43)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의 굴절률로부터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 액체의 밀도를 계측하는 밀도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판단부(10)는, 농도검출부(43)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박액(Q3)이 소정의 농도가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박액(Q3)이 소정의 농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박액(Q3)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박액(Q3)이 소정의 농도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박액(Q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폐기처분된다. 혹은, 박액(Q3)의 농도에 따라 공급라인(4)을 통과하는 박액(Q3)의 유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밸브(44)는, 유량검출부(42)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박액(Q3)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부로서 기능하는 스로틀밸브이다. 이로써, 액체식품 통과라인(2)으로의 박액(Q3)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유량조정부로서, 밸브(44)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펌프(41)를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펌프(41)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박액(Q3)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 공급라인(4)을 따른 펌프(41), 유량검출부(42), 농도검출부(43), 밸브(44)의 배치 순번에 대해서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액체식품 제조장치(1)의 사용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도 2~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식품 통과라인(2)을 통하여, 액체식품(Q1)을 블렌더(11)로부터 충전기(12)로 송출한다. 이로써, 액체식품(Q1)을 용기에 충전할 수 있다. 액체식품(Q1)은, 상품(제품)으로서 유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품의 소정의 로트제조가 완료된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 물(Q2)을 통과시킨다. 이로써, 액체식품 통과라인(2)을 세정할 수 있다. 다만, 액체식품 통과라인(2)으로의 물(Q2)의 공급개소(주입개소)에 대해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복수 존재한다.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세정 후, 액체식품 통과라인(2)으로부터 물(Q2)을 배출한다. 이때 액체식품 통과라인(2) 중의 모든 물(Q2)을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는, 물(Q2)이 잔존한 개소가 복수 존재한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렌더(11)로부터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 액체식품(Q1)을 공급한다. 이로써,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서는, 액체식품(Q1)이 물(Q2)에 의하여 희석되어 박액(Q3)이 된다.
그리고,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밸브(61)를 전환함으로써, 박액(Q3)을 회수라인(3A)으로 향하게 한다.
또, 회수라인(3A)의 농도검출부(34)에 의하여, 박액(Q3)의 농도를 검출한다. 이 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의 범위 내이면, 박액(Q3)은, 액체식품(Q1)에 혼합시키는 것에 적합한 것으로서, 박액저류부(31)에 회수, 저류된다.
이에 대하여, 박액(Q3)의 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박액(Q3)은, 밀도가 너무 낮아, 액체식품(Q1)에 혼합시키는 것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라인(3A)의 밸브(64)를 전환하여, 박액(Q3)을 폐기라인(5)으로 향하게 한다. 이로써, 박액(Q3)을 폐기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의 로트제조를 재개할 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렌더(11)로부터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 액체식품(Q1)을 공급한다. 이로써, 액체식품(Q1)이 액체식품 통과라인(2)을 통과한다.
액체식품(Q1)의 통과에 따라, 공급라인(4)을 통하여,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 박액(Q3)을 공급한다. 이로써,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서는, 액체식품(Q1)과 박액(Q3)이 혼합되어 혼합액(Q4)이 생성된다.
다만, 액체식품 통과라인(2)으로의 박액(Q3)의 공급량은, 공급라인(4)의 밸브(44)의 작동, 또는, 펌프(41)의 작동에 의하여, 조정되고 있다.
또, 공급라인(4)의 농도검출부(43)에 의하여, 박액(Q3)의 농도를 재차 검출한다. 이 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의 범위 내이면, 박액(Q3)은, 액체식품(Q1)에 혼합시키기에 적합한 것으로서, 액체식품 통과라인(2)으로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에 대하여, 박액(Q3)의 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박액(Q3)은, 밀도가 너무 낮아, 액체식품(Q1)에 혼합시키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고, 액체식품 통과라인(2)으로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 정지는, 펌프(41)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혹은, 박액(Q3)의 농도에 따라 공급라인(4)을 통과하는 박액(Q3)의 유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액체식품 통과라인(2)에서 생성된 혼합액(Q4)은, 농도검출부(22)에 의하여, 농도가 검출된다. 이 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혼합액(Q4)은, 제품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어, 충전기(12)에 보내진다. 이로써, 혼합액(Q4)은, 용기에 충전되어, 액체식품(Q1)과 동일하게, 상품(제품)으로서 유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대하여, 혼합액(Q4)의 농도가 소정의 임계값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혼합액(Q4)은, 제품규격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밸브(61)를 전환하여, 혼합액(Q4)을 회수라인(3A)으로 향하게 한다. 그리고, 밸브(64)를 전환함으로써, 재이용라인(35)를 통하여, 혼합액(Q4)을 박액저류부(35)로 향하게 한다. 이로써, 혼합액(Q4)은, 박액저류부(35)에 회수되어, 박액(Q3)으로서 재이용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액체식품 제조장치(1)에서는, 종래 폐기되고 있던 박액(Q3)을, 액체식품(Q1)에 혼합시켜 재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박액(Q3)을 불필요하게 폐기하는 것을 가능한 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즉, 식품로스를 가능한 한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식품(Q1)과 박액(Q3)이 혼합된 혼합액(Q4)은, 제품규격에 적합한 경우에는, 액체식품(Q1)과 동일하게, 상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기라인(32)은, 밸브(62)의 개도(開度)를 조정함으로써 일부의 혼합액(Q4)을 분기라인(32)에 공급하고, 제 1탱크(밸런스탱크)(21)에 공급해도 된다(나머지는, 밸브(64)에서 재이용라인(35)으로 전환한다).
이로써, 소량의 혼합액(Q4)이면, 농도를 그다지 낮추지 않고 제품기획에 적합하게 할 수 있고, 박액(Q3)을 재이용할 수 있다.
또, 회수라인(3B)은, 세정 후의 소정 기간은, 밸브(63)를 제어하여, 박액저류부(31)에 공급하면 된다. 세정 후는, 밸브(63)와 블렌더(11)의 사이에서는, 농도가 낮은 박액(Q3)이 되기 때문에, 박액저류부(31)에 공급한다. 이로써 액체식품 통과라인(2)의 농도를 제품기획에 적합한 농도로 빨리 수렴시킬 수 있다.
혹은, 도시하지는 않지만, 제2 탱크(26)로부터 충전기(12)에서 발생한 박액(Q3)도 동일하게 회수라인을 마련하고,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액체식품 제조장치를 도시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체식품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각부(各部)는,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의 것과 치환할 수 있다. 또, 임의의 구성물이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 농도검출부나 유량검출부에는, 도시되어 있는 것 이외에, 도시가 생략된 것도 있다.
또, 기능부는, 가열부 및 냉각부 중 일방이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1 액체식품 제조장치(액체식품 제조설비)
2 액체식품 통과라인
21 제1 탱크(밸런스탱크)
22 농도검출부
23 펌프
24 유량검출부
25 기능부
251 가열부
252 냉각부
26 제2 탱크
3A 회수라인(제1 회수라인)
3B 회수라인(제2 회수라인)
31 박액저류부
32 분기라인
33A 가스공급부(제1 가스공급부)
33B 가스공급부(제2 가스공급부)
34 농도검출부(박액용 농도검출부)
35 재이용라인
4 공급라인
41 펌프
42 유량검출부
43 농도검출부(박액용 농도검출부)
44 밸브
5 폐기라인
61 밸브
62 밸브
63 밸브
64 밸브
10 판단부
11 블렌더
12 충전기
Q1 액체식품
Q2 물
Q3 박액(희석액)
Q4 혼합액

Claims (11)

  1. 제품규격에 적합한 액체식품이 통과하는 액체식품 통과라인과,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에 잔존한 물에 의하여 희석된 상기 액체식품의 박액을,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으로부터 회수하는 회수라인과,
    상기 액체식품이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수라인으로부터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에 상기 박액을 공급하여, 상기 액체식품에 상기 박액을 혼합시키는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식품과 상기 박액이 혼합된 혼합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검출부를 구비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검출부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혼합액이 상기 제품규격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이 상기 제품규격에 적합하지 않다고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경우에, 상기 혼합액을 상기 박액으로서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라인을 구비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식품을 살균하는 기능과, 상기 액체식품을 냉각하는 기능 중 적어도 일방의 기능을 갖는 기능부를 구비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은, 상기 액체식품 통과라인의 상기 기능부보다 상류측에 접속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에 마련되고, 상기 박액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부와,
    상기 공급라인에 마련되며, 상기 유량검출부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박액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부를 구비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에 마련되고, 상기 박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박액용 농도검출부를 구비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라인에 마련되고, 상기 박액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박액저류부를 구비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라인에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박액을 상기 박액저류부에 강제적으로 향하게 하는 가스공급부를 구비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라인에 마련되고, 상기 박액저류부보다 상류측에, 상기 박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박액용 농도검출부를 구비하는 액체식품 제조장치.
KR1020237015913A 2021-02-01 2021-11-26 액체식품 제조장치 KR20230137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4368 2021-02-01
JP2021014368 2021-02-01
PCT/JP2021/043379 WO2022163107A1 (ja) 2021-02-01 2021-11-26 液体食品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870A true KR20230137870A (ko) 2023-10-05

Family

ID=8265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913A KR20230137870A (ko) 2021-02-01 2021-11-26 액체식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2163107A1 (ko)
KR (1) KR20230137870A (ko)
TW (1) TWI785941B (ko)
WO (1) WO202216310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7993A (ja) 2019-04-02 2020-10-15 エイエルアイ グループ ソチ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カルピジャーニALI GROUP S.r.l.CARPIGIANI 液体または半液体食品を熱処理するための機械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687A (ja) * 1995-04-25 1996-11-05 Sanyo Electric Co Ltd 流動性飲食物を扱うラインの洗浄方法
US6889603B2 (en) * 2002-12-24 2005-05-10 Nestec S.A. Clean-in-place automated food or beverage dispenser
GB2397505B (en) * 2003-01-24 2006-01-04 Kraft Foods R & D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JP5472627B2 (ja) * 2010-06-10 2014-04-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無菌充填方法及び装置
US20200352190A1 (en) * 2019-05-08 2020-11-12 The Quaker Oats Company Non-dairy fermented water kefir base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7993A (ja) 2019-04-02 2020-10-15 エイエルアイ グループ ソチ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カルピジャーニALI GROUP S.r.l.CARPIGIANI 液体または半液体食品を熱処理するための機械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85941B (zh) 2022-12-01
JPWO2022163107A1 (ko) 2022-08-04
WO2022163107A1 (ja) 2022-08-04
TW202231344A (zh)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74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steurizing at least one liquid
CN101448441B (zh) 用于从预定饮用温度的已消毒水来制备饮料的设备
KR890000188B1 (ko) 식품의 제조 및 열처리 방법과 장치
JP4825400B2 (ja) 濃縮液から作られ熱処理された飲料のインライン生産用システムと装置
JP7116036B2 (ja) 飲料充填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装置
JP5149255B2 (ja) 液体充填方法及び装置
US20080160149A1 (en) Sterilization of Flowable Food Products
US20200148522A1 (en) Sterilization process transition method, product fill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of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product filling apparatus
RU27682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ачи напитков с модулем очистки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указ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20251697A1 (en)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semiliquid and/or semisolid products
US9242280B2 (en) System for treating and/or processing liquid products and method for cleaning components of such systems
US20200339401A1 (en) Method of cleaning and sterilizing drink filling apparatus
US20070102357A1 (en) Heat sanitization for reverse osmosis systems
CN102190100A (zh) 用于将两种不同的产品流无菌灌装到容器中的方法和设备
WO2018179984A1 (ja) 飲料供給装置
KR20230137870A (ko) 액체식품 제조장치
JP4530492B2 (ja) 容器殺菌装置
WO1996001567A2 (en)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rocessed cheese
JP6077825B2 (ja) 液体混合装置、および液体混合方法
JP7250084B2 (ja) 製品液管路内圧力の制御方法
WO2021230342A1 (ja) 無菌充填機の洗浄・殺菌方法及び無菌充填機
JP2000509323A (ja) 熱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中間脱ガス装置
JP2008290781A (ja) 液体充填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