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54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547A
KR20230135547A KR1020230119209A KR20230119209A KR20230135547A KR 20230135547 A KR20230135547 A KR 20230135547A KR 1020230119209 A KR1020230119209 A KR 1020230119209A KR 20230119209 A KR20230119209 A KR 20230119209A KR 20230135547 A KR20230135547 A KR 20230135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awer
slider
lifting
low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제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547A/ko
Publication of KR2023013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05B65/46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for two or more drawers
    • E05B65/463Drawer interlock or anti-tilt mechanisms, i.e. when one drawer is ope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drawers is 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05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Dutch doors", i.e. upper and lower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8Anti-t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상부 도어; 상기 상부 도어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다른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하부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상부 도어 구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하부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하부 도어 구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부 도어의 인출시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하부 도어를 구속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인출시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를 구속하여,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동시에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는 회동에 의해 저장공간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서랍 도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는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랍 도어가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랍 도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상기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을 보다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 도어가 승강 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01335호에는 인출입되는 도어의 배면에 승강 가능한 저장용기가 구비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어와 저장용기 사이의 연결 부위가 노출되고, 전기 장치와 승강을 위한 구조물들이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상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3420호에는 도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바스켓이 승강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지지부재가 도어의 배면과 하면에서 그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사용상의 안전에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하부에 배치되는 도어의 일부가 자동 승강되는 구조에서는 하부의 도어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부 도어를 개방하게 될 경우 충격에 의한 파손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하부 도어의 동작에 따른 상부 도어의 동작을 제한하는 구조를 제시하지 못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부주의에 의해 상기 도어의 파손 또는 사용자의 안전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상하 복수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서랍식 도어가 동시에 열리게 되는 경우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어 냉장고 본체가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안전에 매우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서랍식 도어의 경우 무거운 식품이 수납된 경우 이러한 무게 중심의 이동으로 인한 문제가 보다 심각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서랍 도어의 내부 일부가 승강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부의 도어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부 도어의 개방을 강제 구속하여 사용 안전성을 확보하고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강을 위한 도어의 동작의 시작과 동시에 상방에 배치되는 다른 도어가 즉각적으로 강제 구속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서랍식 도어가 상하 배치된 경우 복수의 서랍식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어 냉장고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식 도어가 상하 배치된 경우 어느 하나의 서랍식 도어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의 서랍식 도어는 구속 상태가 되어 인출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서랍식 도어가 상하 배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도어가 인출되는 경우 다른 도어는 구속되어 인출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도어의 하방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도어와, 상기 하부 도어의 개방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는 상부 도어 구속장치와, 상기 상부 도어의 개방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는 하부 도어 구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 사이의 구획부재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 사이의 구획부재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는 하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상부 도어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는 하부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하부 도어의 하면을 구속하는 제 1 슬라이더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 도어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하부 도어의 개방시 상기 상부 도어를 구속하도록 제 1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상부 도어와 접하는 제 2 슬라이더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부 도어를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의 개방시 상기 하부 도어를 구속하도록 상기 제 2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상부 도어; 상기 상부 도어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다른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하부 도어; 상기 하부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 내부의 용기 또는 식품을 승강시키는 승강 어셈블리;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상부 도어 구속장치;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하부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하부 도어 구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부 도어의 인출시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하부 도어를 구속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인출시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를 구속하여,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동시에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상부 도어; 상기 상부 도어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다른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하부 도어; 상기 저장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배면과 접하는 구획부재; 상기 구획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하부 도어를 구속하고, 상기 하부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상부 도어를 구속하여,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 구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상부 도어; 상기 상부 도어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다른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하부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상부 도어 구속장치; 및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하부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하부 도어 구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부 도어의 인출시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하부 도어를 구속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인출시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를 구속하여,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동시에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부재의 양측에는 피니언이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과 대응하는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에는 상기 피니언이 기어 결합된 상태로 이동되는 상부 인출입 랙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사이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상하로 나누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접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 및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구획부재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저장 공간 전체 중 전단부를 가로지르조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구비되는 공간은 서로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 및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구획부재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와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구획부재의 상면과 하면을 통해 돌출되어 각각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구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구획부재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에 수용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 2 슬라이더; 상기 구속장치 케이스와 상기 제 2 슬라이더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하방이동시 인장되는 하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슬라이더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상부 도어의 하면과 걸림 구속되는 어퍼 파트와; 상기 어퍼 파트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어퍼 파트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하부 도어의 배면과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로어 파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도어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어퍼 파트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더를 하방으로 누르는 상부 구속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구속돌기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 파트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경사부와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부와 경사면은 서로 접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더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퍼 파트의 좌우 양측을 관통하며, 상기 어퍼 파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을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상기 상부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 슬롯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의 전면 하단에는 상기 어퍼 파트가 관통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배면의 구속홈에 출입되어 상기 하부 도어와 걸림 구속되는 락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락킹부재는 판상의 금속 소재로 별도 성형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절곡된 전면부가 상기 락킹부재의 전단에 돌출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하면과 접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전면 보다 더 전방에 전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속홈은,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전단과 대응하는 상기 하부 도어의 배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락킹 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락킹부재의 단부와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수용되는 공간의 상방에는 상부 저장공간이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저장공간에는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회전식 도어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 도어 내부의 수납 공간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 도어 내부의 식품의 수납시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무게가 무거운 식품 또는 식품이 수납된 용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주어 식품 또는 용기를 들어올려야 하지만, 서랍 도어 내부의 승강 부재가 승강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사용이 편리한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사용상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의 내부에는 식품 또는 용기가 안착되는 승강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을 위해 상기 서랍 도어의 양측방에서 승강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양측단 지지한 상태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가 기울어지거나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정적인 승강 운동 및 동작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하 각각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 중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도어를 인출하게 될 경우, 상부 도어 구속장치에 의해 상기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도어가 구속되어 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가 승강을 위해 인출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승강하게 되더라도 상기 상부 도어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이 제한되어 안전 사고 및 상기 서랍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 또는 상기 하부 도어에 저장된 식품이 상기 상부 도어와 충돌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하부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상기 상부 도어를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하부 도어를 인출하는 조작만으로 상기 상부 도어의 인출을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하부 도어를 닫는 조작만으로 상기 상부 도어의 인출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의 개방 조작시 상기 하부 도어가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도어 구속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도어와 하부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게중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냉장고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와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 사이의 구획부재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내 용적의 손실 없이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선택적인 구속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 및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모두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개폐시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 중 어느 하나가 닫히고 열리는 힘에 의해 동작되어 다른 도어를 구속하도록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구성이 간결하고 동작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 및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각각 기구적으로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인출입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도어 및 상부 도어를 구속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적인 장치에 의한 동작 딜레이를 방지하여 즉각적인 동작을 보장하며,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고 신뢰성있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및 신호의 전달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 및 서비스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종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의 도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랍 도어의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랍 도어에 내장되는 승강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 중 서랍측 장치의 동력전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하부 도어의 승강부재가 완전히 승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구속장치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도어 구속장치의 장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도어 구속장치의 장착 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부 도어 구속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가 구속 상태일 때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가 비 구속 상태일 때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A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상기 서랍 도어가 승강을 위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23은 상기 하부 도어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도어 구속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가 비 구속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가 구속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상부 도어가 인출 후 인입되는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종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공간은 냉장실(11)로, 하부의 공간은 냉동실(12)로 구획될 수 있다. 물론, 상부의 공간과 하부의 공간은 상기 냉장실(11) 또는 냉동실(12)이 아닌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부 저장공간(11) 및 하부 저장공간(12) 또는 제 1 저장공간과 제 2 저장공간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는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저장공간(11)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서랍 도어(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2)가 함께 배치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 도어(20)는 메인 도어(201)와 서브 도어(2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201)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개구된 중앙에 별도의 수납을 위한 도어 수납 공간(20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수납 공간(203)에는 다수의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2)는 상기 메인 도어(20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 도어(201)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저장공간(11)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202)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 수납 공간(203)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 또는 88세그먼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미세한 홀이 다수개 타공되어 투과되는 빛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 도어(20) 또는 서랍 도어(2)의 자동 회전 또는 인출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조작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2)의 인출입 또는 상기 서랍 도어(2)내부의 승강부재(35)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2)는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에 구비되며,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한 서랍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2)는 인출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2)의 일부는 인출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서랍 도어(2) 내부에 수납된 식품 용기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들어올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은 구획부재(18)에 의해 다시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8)는 하부 저장공간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18)는 상기 하부 저장공간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획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상기 서랍 도어(2)와 접하여 상기 서랍 도어(2)가 기밀될 수 있도록 전반부 일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저장공간에는 상기 구획부재(18)를 기준으로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는 모두 전방으로 인출되어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재(18)는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도어(60) 및 하부 도어(30)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 중 하부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도어(30)에 조작부(3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1)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01)는 사용자의 근접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의해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도어(30)의 하단에 조작장치(302)가 구비되어 영상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가상의 스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바닥면에는 인출입 모터(14)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도어(30)의 바닥면에는 상기 인출입 모터(14)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141)과 결합되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30)는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식품 또는 용기가 승강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도어(30)는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자동 인출입 및/또는 자동 승강이 조작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도어(30)는 인출입과 승강이 연계되어 연속하여 자동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과 승강이 각각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어(60) 또한 자동으로 인출입 또는 승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구획부재(18)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인출입 모터(17)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도어(60)의 하면에 상부 피니언(171)과 결합되는 상부 인출입 랙(64)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하부 도어(3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도어(60) 또한 상기 하부 도어(30)와 동일한 구조 및/또는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도어(30)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1)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시 도어부(31)의 배면에 위치되며, 저장을 위한 식품 또는 용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30)의 후방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후반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후면은 경사면(3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인출입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하부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구비되며 언더레일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은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과 연계되어 상기 하부 도어(30)의 자동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22,301)의 조작 입력시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되어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2)는 안정적인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서랍부(32)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을 잡고 밀거나 당겨서 상기 하부 도어(30)를 직접 인출입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전방 공간(S1)은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부재(35)와, 상기 승강부재(35)에 안착되어 상기 승강부재(35)와 함께 승강되는 용기(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김치통과 같은 밀폐형 상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 거리의 제한으로 상기 서랍부(32)의 전체가 상기 저장공간의 밖으로 인출될 수는 없으며, 적어도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저장공간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저장공간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 거리가 상기 인출입 랙(34) 또는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인출 거리가 길어질수록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30)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인출입 랙(34)의 변형 또는 파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부에는 승강부재(35)가 수용되며, 상기 승강부재(35)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승강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을 위한 구성(50)들은 상기 서랍부(32)의 좌우 양측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35)의 양측면 중앙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서랍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상기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면과 상면은 차폐되어 사용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 공간(S2)으로 접근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의 활용을 위해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포켓 또는 후방 공간의 형상과 대응하는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 작업성과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을 위한 승강 어셈블리(40)는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 및 분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도어측 장치(41)와, 상기 서랍부(32)에 구비되는 서랍측 장치(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측 장치(41)는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측 장치(41)의 일구성인 도어 연결부재(416)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측 장치(50)는 상기 서랍부(32)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와 대응하는 위치에 서랍 연결부재(522)가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와 서랍 연결부재(522)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 분리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는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가 상기 서랍부(32)에 고정될 때 서로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31)가 상기 서랍부(32)와 분리될 때 함께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동력원이 되는 승강 모터(4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모터(411)가 구비되는 공간의 상방에는 도어 커버(3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상기 승강 모터(411)를 포함한 상기 도어측 장치(4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311)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14) 그리고,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데코(312) 및 로어 데코(31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어측 장치(41)가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아웃 케이스(311)는 판상의 금속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의 하단에는 경사부(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11a)의 일측에는 조작장치 홀(31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장치 홀(311b)에는 가상 스위치의 출력 및 사용자의 조작 감지를 위한 조작장치(30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302)는 영상의 출력이 가능한 프로젝터 라이트 그리고 근접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데코(313)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장치(302)의 장착 및 상기 도어부(31) 내부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되는 전선의 배치를 위한 조작부 브라켓(31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314)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모터(411)를 비롯한 상기 도어측 장치(41)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함몰부(314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는 도어 커버(315)가 장착되어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되는 도어측 장치(41) 및 함몰부(314a)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는 연결부재 홀(31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홀(315a)은 상기 도어 커버(315)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는 상기 연결부재 홀(315a)을 통해서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를 분리하게 될 때,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와 상기 서랍 연결부재(522)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에는 상기 도어측 장치(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측 장치(41)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중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되는 구성들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승강 모터(411)와 기어들로 구성된 모터 어셈블리(412)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에 의해 회전되는 도어측 샤프트(413), 상기 도어측 샤프트(413)의 양단에 구비되는 베벨 기어 형상의 도어측 제 1 기어(414), 상기 도어측 제 1 기어(414) 및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와 결합되는 베벨 기어 형상의 도어측 제 2 기어(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측 장치(41)의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는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을 위한 동력글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부(31)의 전면과 수평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31) 내측의 함몰 공간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양측에서 연결되는 도어측 샤프트(413)에는 상기 승강 모터(411)와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6)이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를 연결하며, 상기 서랍부(32)가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14)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단과 접하여 상기 저장공간을 기밀시키는 가스켓(31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서랍 도어의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와, 상기 서랍 본체(38)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서랍측 장치(50)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랍 본체(38)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에 의해 상기 서랍부(32)의 내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서랍 본체(38)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내부에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좌우 양측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에 의해 상기 서랍부(32)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랙(34)은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상기 피니언 기어(141)가 회전하여 상기 인출입 랙(34)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출입 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381)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1)는 상기 서랍 본체의 좌우 측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서랍 본체(38)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을 위한 주요 구성 즉, 레일 어셈블리(51)은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35) 및 상기 승강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의 승강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1)는 이러한 집중 하중에도 상기 서랍 본체(38) 나아가 상기 서랍부(32)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인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인출입 레일(33)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로, 일단이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저장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아래에서 설명할 서랍 플랜지(380)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아웃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내측에는 상기 서랍측 장치(50)의 주요 구성인 레일 어셈블리(51)가 장착되는 장착부(38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83)는 상기 서랍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83)는 상하 방항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상단에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바닥면을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383)의 하단은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83)의 하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 및 인출입 레일(33)의 장착을 위한 구성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8)의 내측면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51)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도 상기 레일 어셈블리(51)의 안정적인 장착 상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장착부(383)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51) 외측면과 대응하는 단차지도록 형성되며,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51)가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51)는 상기 장착부(38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시 간섭을 방지하고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83)의 개구된 상면에는 장착부 브라켓(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브라켓(53)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상단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51)는 상기 승강 부재(35)의 양측단과 연결 브라켓(5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51)는 상기 승강부재(35)의 상하 이동을 위해 동작되며, 상기 승강부재(35)의 원활한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장착부(384)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상단에서 외측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383)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장착부(384)에 장착되는 서랍측 샤프트(52)는 상기 장착부(383)에 장착된 레일 어셈블리(51)와 결합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383)와 상기 샤프트 장착부(384)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서랍 플랜지(380) 영역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플랜지(380)의 외측으로 절곡된 영역의 하방에 상기 장착부(383)와 상기 샤프트 장착부(384)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83)와 샤프트 장착부(384)는 물론, 상기 장착부(383)와 샤프트 장착부(384)에 장착되는 레일 어셈블리(51)와 서랍측 샤프트(52) 또한 상기 서랍 플랜지(380)보다 더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일부를 구성하는 서랍측 장치(50)와 상기 서랍측 장치(50)의 장착을 위한 구조 모두 상기 서랍 플랜지(380)의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본체(38) 내부의 수납 공간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플랜지(380)의 영역 내측에 상기 보강 리브(381)와 상기 레일 장착부(382) 또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 외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특히,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에 장착되는 서랍측 샤프트(52) 및 인출입 레일(33) 등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의 상단에는 상단 절곡부(39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단 절곡부(391a)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상단 및 상기 장착부 브라켓(53)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 내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단 절곡부(391a)의 연장된 단부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1)의 상단과 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 내외측 및 상면이 모두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에는 상기 장착부(383)와 대응하는 크기의 사이드 개구(39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383)에 장착된 레일 어셈블리(51)가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브라켓(54)이 장착되어 상기 승강부재(3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에는 이너 플레이트(3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395a), 하면부(395b), 후면부(39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가 절곡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를 구성하는 상기 전면부(395a), 하면부(395b) 및 후면부(395c)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은 금속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수납 공간은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영역에서 차갑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냉각 성능 및 저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를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구획하는 커버 전면부(371)와,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상면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부재(35)가 배치되는 상기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공간(S2)은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승강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바닥면 중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서랍 도어에 내장되는 승강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동력전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전체적으로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되는 도어측 장치(41)와 상기 서랍부(32)에 배치되는 서랍측 장치(5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측 장치(41)와 서랍측 장치(50)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며,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도어측 장치(41)는, 승강 모터(411)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412)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도어측 샤프트(413) 그리고, 상기 도어측 샤프트(413)의 양단에 구비되는 도어측 제 1 기어(414)와 상기 도어측 제 1 기어(414)와 맞물리는 도어측 제 2 기어(415) 그리고 상기 도어측 제 2 기어(415)에 결합된 도어 연결부재(416)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도어측 제 2 기어(415)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한쌍의 레일 어셈블리(51)가 구동되므로 상기 도어측 제 1 기어(414) 및 도어측 제 2 기어(415)는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양만큼 회전되어 상기 승강부재(35)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어측 샤프트(41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를 관통하는 하나의 샤프트 또는 복수의 샤프트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터(411)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도어측 샤프트(413)는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측 샤프트(413) 단부의 도어측 제 1 기어(414)는 상기 도어측 제 2 기어(415)와 수직하게 교차된 상태로 기어 결합되며,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측 제 1 기어(414)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도어측 제 2 기어(415)는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에 결합된 상기 서랍 연결부재(522)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서랍측 장치(50)로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에 의해 상기 도어측 장치(41)는 서랍측 장치(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하나의 승강 모터(411)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 구비되는 서랍측 장치(50)의 구성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식품 또는 용기를 지지하는 승강 플레이트(351)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351)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승강 프레임(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는 식품 또는 용기(36)가 실질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안착부재 또는 트레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54)은 일측이 상기 승강 프레임(352)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51)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51)의 동작시 상기 연결 브라켓(54)에 의해 연결된 상기 승강 프레임(352) 즉, 상기 승강부재(35)가 승기 연결 브라켓(54)과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중 상기 서랍 본체(38)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측 장치(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랍측 장치(50)는 상기 승강부재(35)와, 상기 승강부재(35)의 양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장착부(383) 내측에 장착되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51), 상기 연결 브라켓(54) 그리고, 서랍측 샤프트(52), 상기 레일 어셈블리(51)를 구속하는 장착부 브라켓(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구동시 상기 도어측 샤프트(413)의 회전력은 서로 결합된 상태의 도어 연결부재(416)와 서랍 연결부재(522)에 의해 상기 서랍측 장치(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연결부재(522)의 회전으로 상기 서랍측 샤프트(5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서랍측 샤프트(52)와 결합된 레일 어셈블리(51) 내측의 승강 샤프트(57)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으로 상기 승강 샤프트(57)에 결합된 블럭 홀더(56)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연결 브라켓(54)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브라켓(54)을 승강시킬 수 있으며, 좌우 양측의 연결 브라켓(54)은 상기 승강 프레임(352)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승강부재(35)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모터 어셈블리(412)의 회전력은 도어측 샤프트(413)를 통해 상기 서랍측 샤프트(52)로 전달되고, 상기 승강 샤프트(57)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블럭 홀더(56)와 상기 연결 브라켓(54)은 상기 승강부재(3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승강부재(35)의 상하 방향 이상기 서랍측 장치(5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랍측 장치(50)는동을 위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50)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50) 및 상기 도어측 장치(4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서랍측 샤프트(52)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50)와 상기 승강부재(35)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51)의 배치 위치는 상기 전방 공간(S1)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 해당하는 위치이며, 상기 승강부재(35)의 양측면 중앙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35)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51)는 상기 장착부(383)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레일 하우징(55)과,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상단과 하단을 차폐하는 상부 캡(581) 및 하부 캡(585), 상기 레일 하우징(55) 내부의 승강 샤프트(57)를 따라 이동되는 블럭 홀더(56) 그리고,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개구된 일면을 차폐하는 레일 커버(5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하우징(55)과 레일 커버(5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 슬릿(511)을 형성하며,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511)을 따라서 상기 승강 블럭 및 블럭 홀더(56)가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하우징(55)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중앙부 돌출형성되며, 중앙부의 양측단이 단차진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승강 샤프트(57) 및 블럭 홀더(56)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부 공간은 상기 블럭 홀더(56)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블럭 홀더(56)의 중앙부가 상기 레일 하우징(55)에 개구된 하우징 개구(551)를 통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하우징 개구(55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51)를 향해 연장되는 상기 서랍측 샤프트(52)의 단부가 수용되는 샤프트 삽입구(5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삽입구(552)는 상기 서랍 샤프트(521)의 단부 및 서랍측 기어(5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샤프트(57) 상단에 결합되는 승강 샤프트(57)의 일부까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삽입구(552)를 통해서 상기 서랍측 샤프트(52)의 장착은 물론, 상기 서랍측 기어(523)와 상기 샤프트 기어(572)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57)는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부(553)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샤프트(57)는 외주면에 나사산(571)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시 상기 승강 블럭(567)이 상기 승강 샤프트(57)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샤프트(57)는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571)은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상부 즉, 상기 나사산(571)의 상단에는 샤프트 기어(5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기어(572)는 상기 나사산(571)의 상단에 위치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57)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기어(572)는 상기 서랍측 샤프트(52)에 장착된 서랍측 기어(523)와 수직하게 교차되는 상태로 기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측 샤프트(5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블럭 홀더(56)에 의해 중앙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 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시 상기 레일 하우징(55)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블럭 홀더(56)의 외측면 형상은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럭 홀더(56)의 중앙부는 돌출되어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중앙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블럭 홀더(56)의 양측면은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부 양측면에 수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 홀더(56)의 내측면은 상기 하우징 개구(551)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서랍부(32) 내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승강부재(35) 또는 연결 브라켓(5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럭 홀더(56)의 외측면 형상 및 이와 대응하는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면 형상은 다단으로 절곡 또는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시 상기 레일 어셈블리(50)에 가해지는 좌우측 방향 또는 전후방향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 홀더(56)의 양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구름부재(56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568)는 상기 블럭 홀더(56)의 양측면과 상기 레일 어셈블리(50)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블럭 홀더(56)의 승강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 어셈블리(50)는, 상기 승강 샤프트(57)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럭 홀더(56)가 상하 이동되고,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승강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레일 어셈블리(50)는 다단을 단차진 형상의 상기 블럭 홀더(56)가 상기 레일 어셈블리(50) 내측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50)를 따라 이동이 안내되어 상기 승강부재(35)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럭 홀더(56)의 내측 에는 중공된 공간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레일 커버(59)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레일 커버(59)와 상기 레일 하우징(55)이 형성하는 가이드 슬릿(511)을 따라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커버(59)는 상기 하우징 개구(551)를 차폐하며, 상기 가이드 슬릿(5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일 커버(59)는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동일한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커버(59)는 상기 하우징 개구(551)를 차폐하여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에 수용되는 구성을 차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 커버(59)는 상기 하우징 개구(551)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레일 커버의 양단은 상기 레일 하우징(55)의 내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슬릿(51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릿(511)을 따라 상기 블럭 홀더(56)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커버(59)의 단면 형상은 상기 블럭 홀더(56) 내부의 중공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럭 홀더(56)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레일 커버(59)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개구(551)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레일 커버(59)의 가로방향 폭은 상기 하우징 개구(551)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 커버(59)의 장착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 슬릿(51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하우징(55) 내측의 상기 레일 커버(59)의 양측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우징 개구(551)의 사이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51)가 장착된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은 상기 가이드 슬릿(511)에 의한 틈새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모두 금속 소재로 가려지도록 구성되어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샤프트 장착부(384)에는 상기 서랍측 샤프트(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측 샤프트(52)는 상기 서랍 샤프트(521)와 상기 서랍 샤프트(521) 전단의 서랍 연결부재(522) 그리고 상기 서랍 샤프트(521) 후단의 서랍측 기어(523), 그리고 상기 서랍 샤프트(521)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 장착부(384) 상에 고정시키는 샤프트 고정부재(5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샤프트(521)의 전단에는 상기 서랍 연결부재(522)가 결합되며, 상기 서랍 연결부재(52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양측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연결부재(5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측 장치(41)의 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샤프트(521)의 후단에는 서랍측 기어(5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측 기어(523)는 베벨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 하우징(55)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 기어(57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서랍측 샤프트(52)와 상기 승강 샤프트(57)는 상기 서랍측 기어(523)와 샤프트 기어(57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측 샤프트(52)에는 샤프트 고정부재(5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524)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측 샤프트(52)가 기울어지거나 유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술한 서랍측 장치와 도어측 장치 외에도 상기 서랍부의 승강을 위한 다양한 다른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승강을 위한 구조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서랍 도어(2)가 인출입 및 승강되는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식품의 저장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2)는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서랍 도어(2)를 인출입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2)는 상방과 하방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회전 도어(20) 또는 서랍 도어(2)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부(301)를 터치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2)에 구비되는 조작 장치(302)에 의한 개방 조작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와 조작 장치(302)가 각각 상기 서랍 도어(2)의 인출입 그리고 상기 승강 부재(35)의 승강을 개별적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서랍 도어(2)의 손잡이를 잡고 개방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2)중 가장 하방의 하부 도어(30)를 개방 및 승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방과 하방의 서랍 도어(2)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인출입 및 승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상기 하부 도어(30) 인출 조작에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30)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연장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도어(30)는 사용자가 직접 당겨서 개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인출입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하부 도어(30) 바닥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출입 된다.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거리까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35)가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상부 도어(60가 닫혀진 상태라면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상기 캐비닛(10) 및/또는 하부 도어(30)에 배치되는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하부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거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바닥에 자석(389)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0)에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하부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입 상태를 판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되는 위치와 인출되는 위치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거나, 상기 도어부(31) 배면과 상기 캐비닛(10) 전단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모터(411)가 구동되어 상기 승강부재(35)가 상승 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는 상기 하부 도어(30)가 충분히 인출되어 상기 승강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의 안전한 승강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출되어 상기 전방 공간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35)가 상승하여 상기 승강부재(35)에 안착된 용기(36) 또는 저장된 식품이 상기 상부 도어(6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는 상기 하부 도어(30)의 완전한 인출이 확인된 상태에서 상승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안전 및 저장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이 확인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승강부재(35)가 상승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 후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부재(35)의 상승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재차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출입 시키고, 상기 하부 도어(30)를 인출시킨 후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부재(35)가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상기 하부 도어의 승강부재가 완전히 승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35)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는 상기 승강 모터(411)의 동작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도어측 장치(40)와 상기 서랍부(32)의 서랍측 장치(5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승강부재(35)가 승강 가능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승강 모터(411)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승강 모터(411)와 연결된 양측의 상기 도어측 샤프트(41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도어측 샤프트(413)에 연결된 상기 도어측 제 1 기어(414)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도어측 제 1 기어(414)는 상기 도어측 제 2 기어(415)와 수직하게 기어결합된 상태로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양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도어측 제 1 기어(414)도어측 제 2 기어(415)의 기어 결합되어 의해 회전축의 방향이 수직하게 변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측 장치(41)의 회전력은 서로 연결된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와 서랍 연결부재(522)에 의해 서랍측 장치(5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도어 연결부재(416)와 결합된 상기 서랍 연결부재(52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서랍 연결부재(522)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서랍측 샤프트(52) 단부의 서랍측 기어(52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서랍측 기어(523)와 상기 샤프트 기어(572)는 서로 수직하게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며, 상기 서랍측 샤프트(52)의 회전력은 상기 승강 샤프트(57)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방에 배치된 상기 레일 어셈블리(50)의 상기 승강 샤프트(57)는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양측의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승강 샤프트(57)를 따라서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블럭 홀더(56)는 상기 연결 브라겟(54)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 브라켓(54)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연결 브라켓(54)과 결합된 승강부재(35) 또한 함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연결 브라켓(54)은 상기 승강부재의 양측면 중앙과 연결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 또한 상기 승강부재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 부재(35)는 기울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는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상기 승강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어 사용자가 식품 또는 용기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의 상승 높이는 상기 블럭 홀더(56)가 상기 승강 슬롯의 상단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35)의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 모터(411)는 구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35)의 상승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 모터(411)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승강부재(3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 감지장치(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재(35)의 최대 상승 위치와 상기 승강부재(35)의 최저 하강 위치와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자석(355)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35)에 구비되는 자석(355)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부재(35)의 상승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스위치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부재(35)가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승강 레일(44) 또는 상기 승강 샤프트(57)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35)가 최대 상승된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모터(411)에 가해지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35)의 최대 상승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35)가 최대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모터(411)는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35)는 상기 서랍부(32) 내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승강부재(35)에 안착된 식품이나 용기(36)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위해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의 식품 수납 작업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부재(35)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5)의 하강은 상기 승강 모터(411)의 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35)가 하강 완료되면 도 9 또는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승강부재(35)의 하강 완료는 상기 높이 감지장치(1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승강부재(35)가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승강부재(35)에 구비된 자석을 감지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35)의 하강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승강 모터(411)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모터(411)의 정지 후 상기 하부 도어(30)는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닫힐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닫힐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도어(3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출 및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도어(60)가 인출될 경우, 상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기 하부 도어(30)의 용기(36) 또는 식품과 상기 상부 도어(60)가 충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 도어(60)는 하부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강제로 구속되어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부 도어 구속장치(70)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가 동시에 개방되는 경우에는 무게 중심의 전방 이동으로 인해 상기 냉장고(1)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가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가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와 함께 상기 상부 도어(60)의 개방시 상기 하부 도어(30)를 구속하는 하부 도어 구속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 및 하부 도어 구속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구속장치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상기 캐비닛(10) 내측에는 상기 구획부재(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8)는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내측 전단에 구비되며,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전단을 구획하게 된다. 상기 구획부재(18)를 기준으로 상방에 상기 상부 도어(60)가 배치되고, 하부 도어(30)가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8)에 의해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은 상부와 하부가 완전히 구획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가 구비되는 공간은 연통되고 상기 하부 저장공간(12)의 전단부에서만 상기 구획부재(18)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가 구비되는 영역이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18)의 전단은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의 도어부(31) 배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도어(60) 및 하부 도어(30)의 상기 도어부(31) 배면의 가스켓(316)이 상기 구획부재(18)의 전면과 접하여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를 기밀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재(18)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 구속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60)를 구속하는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와, 하부 도어를 구속하는 하부 도어 구속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와 하부 도어 구속장치(80)는 각각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재(18)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를 살펴보면,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는 상기 하부 도어(30)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60)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는 상기 구획부재(18)의 후면과 하면의 모서리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30)에 의해 눌려지는 푸시부재(72)와 상기 푸시부재(72)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더(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기 하부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도어(60)의 도어 구속부(65)를 걸림 구속시키게 된다.
상기 도어 구속부(65)는 상기 상부 도어(6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도어(6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더(73)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구속부(65)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속 리브(651)와 상기 구속 리브(651)의 후방에서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6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상단은 상기 구속 리브(651)의 전면과 접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더(73)와 도어 구속부(65)가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60)는 구속되어 전방으로 인출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의 측방에 하부 도어 구속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는 상기 구획부재(18)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도어(30)의 하면과 걸림 구속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18)의 하방으로 락킹부재(84)가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부재(84)는 상기 상부 도어(60)의 개방시 상기 하부 도어(30)의 배면 일측과 걸림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도어 구속장치의 장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도어 구속장치의 장착 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부재(18)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구획부재 케이스(18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단열재(182)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18)의 전면에는 금속 판상의 프론트 플레이트(18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60) 및 하부 도어(3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가스켓과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83)가 서로 밀착되어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를 한층 더 기밀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재(18)의 내부에는 상부 인출입 모터(17)와 상부 피니언(17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인출입 모터(17)와 상부 피니언(171)은 상기 구획부재(18)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부 피니언(171)이 상기 구획부재(18)의 상면을 통해서 노출되어 상기 상부 도어(60) 하면의 상부 인출입 랙(64)과 기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인출입 모터(17)는 상기 구획부재(18) 내측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양측의 상부 피니언(171)이 샤프트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상부 인출입 모터(17)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인출입 모터(17)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상부 피니언(171)이 정역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피니언(171)이 상기 상부 인출입 랙(64)을 따라서 이동되어 상부 도어(60)는 자동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60)가 구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60)는 인출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구획부재(18)의 내부에는 인출입 모터(17)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때 상부 피니언(171)만 상기 구획부재(18)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상부 피니언(171)은 상기 상부 도어(6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 인출입 랙(64)과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60)의 인출입시 상기 상부 도어(60)가 기울어지지 않고 좌우 양측이 동시에 동일한 양만큼 인출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구획부재(18)의 양측면에는 상기 구획부재(18)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기 위한 구획부재 고정부(18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18)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가 장착되는 상부 구속장치 장착부(1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장치 장착부(185)는 상기 구획부재(18)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 케이스(181)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구속장치 장착부(185)는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가 후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후방 개구(185b)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의 푸시부재(72) 전단이 돌출되도록 하는 전방 개구(185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가 상기 후방 개구(185b)를 통해 상기 상부 구속장치 장착부(185)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개구(185a)를 통해 상기 푸시부재(72)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개구(185b)의 좌우 양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장착 보스(1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장착 보스(186)는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 양측의 제 1 케이스 장착부(7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 장착부(711)를 관통하는 스크류(187)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가 강기 구획부재(18)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재(18)에는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가 장착되는 하부 구속장치 장착부(188a,18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속장치 장착부(188a,188b)는 상기 구획부재(18)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는 상기 구획부재(18)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속장치 장착부(188a,188b)는 상부 개구(188a)와 하부 개구(18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개구(188a)와 하부 개구(188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개구(188a)와 하부 개구(188b)의 크기는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가 상기 상부 개구(188a)와 하부 개구(188b)를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개구(188b)의 양측에는 제 2 장착 보스(18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장착 보스(189)는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의 양측에 돌출된 제 2 케이스 장착부(814)가 스크류(189a)의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는 하방에서 상기 구획부재(18)를 관통하는 상태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가 상기 하부 구속장치 장착부(188a,188b)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의 락킹부재(84)는 상기 구획부재(18)의 하방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재(84)와 결합된 제 2 슬라이더(82)의 상단이 상기 구획부재(18)의 상방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가 구속 상태일 때의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가 비 구속 상태일 때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는 한쌍의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와,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 내부의 푸시부재(72), 제 1 슬라이더(73) 및 상부 탄성부재(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며,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는 내부에 상기 푸시부재(7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푸시부재(72)와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는 좌우 양측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외측 둘레를 따라서 테두리(712)가 형성되어 한쌍의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가 결합될 경우 내부에 푸시부재(72)와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712)를 따라서 다수개의 케이스 결합부(7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713)는 양측의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의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 결합에 의해 양측의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의 전단에는 상기 푸시부재(72)의 단부가 출입되는 푸시부재 개구(714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출입되는 제 1 슬라이더 개구(715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와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는 상기 푸시부재(72)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재(72)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의 내측은 상기 푸시부재(7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푸시부재(72)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푸시부재(72)의 이동 거리만큼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에는 상기 푸시부재(72)의 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푸시부재(72)가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탄성부재(74)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탄성부재(74)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와 상기 푸시부재(7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탄성부재(74)는 상기 푸시부재(72)의 이동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의 내측에는 제 1 상부 고정부(71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고정부(714b)는 상부 탄성부재(74)의 일단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 내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의 일측에는 상기 푸시부재(7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 가이드(714c)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714c)는 상기 푸시부재(72)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724a)에 수용되어 상기 푸시부재(72)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714c)는 상기 푸시부재(72)가 이동되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푸시부재(72)의 전후 방향 이동 거리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의 전단은 개구되어 상기 푸시부재 개구(714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는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와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는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 중 상기 푸시부재(72)의 경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는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의 후반부에서 상하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와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는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하단은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상단은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의 상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더 개구(715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상단 즉, 상기 제 1 슬라이더 개구(715a)를 통해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상단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7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상승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상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더 개구(715a)를 지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하방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연장 방향으로 더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속장치 삽입부(716)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장치 삽입부(716)는 상기 상부 구속장치 장착부(185)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가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속장치 삽입부(716) 및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는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보다 좌우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구속장치 장착부(185)의 후방 개구(185b)를 후방에서 완전히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부재(72)는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재 개구(714a)를 통해 출입되어 상기 하부 도어(30)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30)와의 접촉 상태에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푸시부재(72)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하부 도어(30)와 접촉되는 수평부(721,723)와, 상기 수평부(721,723)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더(73)를 상하 이동시키는 경사부(722,7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721,723)와 경사부(722,724)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30)와의 접촉 및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승강에 적합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부는 제 1 수평부(721)와 제 2 수평부(723)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제 1 경사부(722)와 제 2 경사부(7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 1 수평부(721)는 상기 푸시부재(72)의 전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푸시부재 개구(714a)를 통해서 전단이 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평부(721)는 상기 제 1 슬라이더(73)와는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722)는 상기 제 1 수평부(721)의 후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방 및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 1 경사부(722)는 상기 제 1 수평부(721)와 제 2 수평부(7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경사부(722)의 길이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배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722)의 후단에는 제 2 수평부(7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평부(723)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경사부(724)가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와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평부(723)는 상기 제 1 수평부(72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평부(723)에는 상기 상부 탄성부재(74)의 단부가 고정되는 제 2 상부 고정부(72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고정부(723a)는 상기 제 2 수평부(723)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탄성부재(74)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탄성부재(74)는 상기 제 1 상부 고정부(714b)와 제 2 상부 고정부(723a)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부재(72)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도 18과 같은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상부 탄성부재(74)가 인장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상부 탄성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시부재(72)는 도 17과 같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724)는 상기 제 2 수평부(724)의 후단에서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경사부(724)는 상기 제 1 슬라이더(73)를 관통하여 상기 푸시부재 수용부(714)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기 푸시부재(72)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714c)와 대응하는 상기 제 2 경사부(724)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724a)은 상기 푸시부재(72)의 장착시 상기 이동 가이드(714c)가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72)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 가이드(714c)에 의해 수평 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경사부(722) 및 제 2 경사부(724)는 상기 푸시부재(72)의 전후 방향 이동시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 중 상기 제 1 경사부(722)와 제 2 경사부(724)와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경사부(722) 및 제 2 경사부(724)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경사부(722)와 제 2 경사부(724)가 이동시에도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내측에 수용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부재(72)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기 푸시부재(72)보다 더 큰 가로 폭을 가지며, 하부 중앙에 관통구(7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폭 및 두께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통구(731)는 상기 푸시부재(72) 중 상기 제 2 경사부(724)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731)의 내측 상면과 하면이 상기 제 2 경사부(724)와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경사부(724)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부재(7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기 제 2 경사부(724)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기 푸시부재(72)가 완전히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상단은 상기 제 1 슬라이더 개구(715a)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더(73)가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단부는 상기 도어 구속부(65)와 구속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상단에는 경사면(7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732)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상단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더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6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더(73) 상단이 상기 제 1 슬라이더 개구(715a) 상방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도어 구속부(65)가 상기 경사면(732)과 접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더(73)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서랍 구속장치(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하부 도어(30)의 인출입에 따른 상부 도어(60)의 구속 및 구속해제 상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9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A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가 상기 캐비닛(10) 내의 하부 저장공간(12)을 차폐하게 된다.
그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30)는 상기 구획부재(18)의 전면에 상기 가스켓(316)이 밀착되어 기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하부 도어(30)의 상기 도어부(31) 배면은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푸시부재(72)를 누르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푸시부재(72)는 상기 상부 구속장치 케이스(71)의 내측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된 상태가 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재(74)는 최대 길이로 인장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기 제 2 경사부(724)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의 내측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상단은 상기 상부 도어(60) 하면의 도어 구속부(65)와 접하지 않는 상태게 되며, 상기 도어 구속부(65)의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상부 도어(60)의 인출입시 전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상부 도어(6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 후 다시 인입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 인출입 모터(17)가 구동되어, 상기 상부 피니언(171)이 상기 상부 인출입 랙(64)을 따라서 이동됨으로서 상기 상부 도어(60)가 자동으로 인출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도어(30)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언(141)이 상기 인출입 랙(34)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하부 도어(30) 또한 자동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30)는 인출 상태에서 상기 승강 모터(411)가 동작되어 상기 승강부재(35)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유로운 인출입 및 승강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22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하부 도어(30)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30)가 설정된 거리만큼 인출되면, 상기 승강 모터(411)가 동작되고, 상기 도어측 장치(41)와 서랍측 장치(50)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레일 어셈블리(50)는 상기 승강부재(35)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도어(30)는 인출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30)의 도어부(31)는 상기 푸시부재(72)와 떨어지게 된다. 상기 푸시부재(72)를 누르고 있던 상기 하부 도어(30)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상부 탄성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푸시부재(72)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72)의 전방 이동시 상기 푸시부재(72)의 가이드 홈(724a)과 상기 이동 가이드(714c)에 상기 푸시부재(72)는 전방으로의 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푸시부재(72)의 전방 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경사부(724)에 의해 관통되는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기 제 1 슬라이더 수용부(715)에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 2 경사부(724)의 전방 이동되는 경우 상기 관통구(731)의 경사진 내측 상면과 하면은 상기 제 2 경사부(724)의 경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슬라이더(73)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상단은 상기 제 1 슬라이더 개구(715a)를 지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더(73)의 돌출된 상단은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구속부(65)의 전방에서 상기 도어 구속부(65)의 전면과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도어(60)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도어(30)의 전방 인출과 동시에 상기 상부 탄성부재(74)에 의해 상기 푸시부재(72)가 전방 이동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더(73) 또한 상기 푸시부재(72)의 이동과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 구속부(65)와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도어(30)의 전방 인출과 동시에 상기 상부 도어(60)가 구속되므로, 상기 하부 도어(30)의 인출이 시작되면, 상기 상부 도어(60)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30)는 전방 인출 후 승강되므로 상기 하부 도어(30)가 승강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도어(30)는 인출된 상태로 상기 상부 도어(60)와 부딪히거나 간섭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상기 하부 도어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상부 도어(60)에 식품을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상부 도어(60)를 인출입 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60)의 인출을 위해 상기 상부 도어(60)의 상단에 함몰된 손잡이를 잡고 상기 상부 도어(60)를 당겨 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도어(6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30)는 닫혀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도어(6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30)도 인출되면, 상기 냉장고(1)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냉장고(1)가 전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도어(60) 및 하부 도어(30)의 내부에 무거운 식품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기 냉장고(1)가 전방으로 전도될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60)가 인출되면 상기 하부 도어(30)는 구속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도어(60)의 인출시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가 연동되어 상기 하부 도어(30)를 구속시키게 된다.
물론,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60)가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는 어느 하나의 도어가 인출되는 경우 다른 도어는 구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는 어떠한 경우에도 모두 인출될 수 없으며, 상기 냉장고(1)가 전도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부 도어 구속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도어(30)의 도어부(31) 배면에는 도어 라이너(314)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상부에는 하부 도어 구속장치(80)에 의해 걸림 구속되는 구속홈(3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홈(319)은 상기 도어 라이너(314)의 상단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형성되는 가스켓(317)과 상기 서랍부(32)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홈(319)은 상기 구획부재(18)의 하면보다는 다소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구획부재(18)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재(18)에 장착되는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가 상기 하부 도어(30)를 보다 용이하게 구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속홈(319)은 하방으로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락킹부재(84)의 전단이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구속홈(319)의 내측과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상단에 도어 라이트(318)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트(318)의 위치는 상기 구속홈(319)이 형성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구속홈(319)은 상기 도어 라이트(318)의 일측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60)의 하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상부 인출입 랙(64)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인출입 랙(64)의 사이에는 상부 구속돌기(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돌기(66)는 상기 상부 도어(6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구획부재(18)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의 상단과 걸림 구속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구속돌기(66)는 상기 하부 도어(3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의 제 2 슬라이더(82) 상단과 걸림 구속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돌기(66)는 상기 상부 도어(6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돌기(66)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 상단과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구속돌기(66)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간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돌기(66)는 수직부(661)와 경사부(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661)는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도어(60)의 서랍부(32) 하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후면과 접하여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도어(60)의 전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662)는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향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662)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 전면의 경사면(823)과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60)가 인출된 상태에서 닫히게 될 때 상기 경사부(662)는 상기 경사면(823)과 접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더(82)를 하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상부 도어(60)가 인출된 후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상부 구속돌기(66)가 상기 제 2 슬라이더(8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지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와,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 내부에 구비되는 제 2 슬라이더(82)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더(82) 하단에 장착되는 락킹부재(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는 상기 구획부재(18)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의 상면과 하면을 통해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는 좌측 케이스(811)와 우측 케이스(8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케이스(811)와 우측 케이스(8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의 내부에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케이스(811)와 우측 케이스(812)에는 스크류(813a)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8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813)에 의해서 상기 좌측 케이스(811)와 우측 케이스(812)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수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케이스(811)와 우측 케이스(812)에는 상기 제 2 장착 보스(189)에 결합되는 상기 제 2 케이스 장착부(8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 케이스(811)와 우측 케이스(812)의 하단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개된 케이스 절개부(8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절개부(815)는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의 일측에서 하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더ㅍ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절개부(815)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하단을 형성하는 로어 파트(822)의 두께보다 더 크게 절개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하 이동시 상기 로어 파트(822)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케이스(811)와 우측 케이스(812)의 내측면 상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상부 고정부(8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816)는 상기 좌측 케이스(811)와 우측 케이스(812) 중 적어도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슬라이더(82)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 탄성부재(83)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고정부(816)는 상기 좌측 케이스(811)와 우측 케이스(812)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더(8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어퍼 파트(821)와 로어 파트(8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8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로어 파트(822)는 상기 어퍼 파트(821)의 하단에서 상기 어퍼 파트(8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소정의 두께 또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와 접촉이 용이하여 구속 상황에서는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와 효과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하고 비 구속 상황에서는 상기 상부 구속돌기(66)를 넘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어(60) 및 하부 도어(30)의 구속 상태에서 가해지는 힘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플라스틱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821)는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821)의 상단에는 경사면(8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823)은 상기 어퍼 파트(821)의 전면과 상면의 모서리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의 경사부(662)와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823)은 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821)의 후면은 상기 수직부(66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821)의 후면은 상기 하부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661)보다 전방에 위치되거나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파트(821)에는 상기 어퍼 파트(821)의 좌우 양측을 관통하는 가이드 슬롯(8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824)은 상기 어퍼 파트(821)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824)은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고정부(816)가 상기 가이드 슬롯(824)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하 이동시 상기 상부 고정부(816)는 상기 가이드 슬롯(824)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슬롯(824)의 내측 하단에는 하부 탄성부재(83)의 하단이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8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824)에 상기 상부 고정부(816)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고정부(825)는 상기 상부 고정부(816)보다 더 하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상부 고정부(816)와 하부 고정부(825)는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롯(824)의 내측에는 하부 탄성부재(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탄성부재(83)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탄성부재(83)는 압축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탄성부재(83)의 상단은 상기 상부 고정부(816)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탄성부재(83)의 하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82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탄성부재(83)가 인장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탄성부재(83)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 2 슬라이더(8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될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슬라이더(8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면은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의 하면과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단이 서로 접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로어 파트(822)는 상기 어퍼 파트(821)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822)는 상기 케이스 절개부(815)를 통과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부 도어(30)의 배면에 형성된 구속홈(319)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822)에는 스크류 체결부(8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체결부(826)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락킹부재(84)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844a)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 파트(822)의 하면에 상기 락킹부재(84)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84)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 도어(30)의 배면에 형성된 구속홈(319)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하부 도어(30)를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어 파트(822)의 하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락킹부재(84)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일부가 상기 걸림 홈에 걸림 구속될 수도 있다.
상기 락킹부재(84)는 상기 하부 도어(30)가 닫히게 될 때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84)는 금속판의 양단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파트(821)의 하면과 접하는 하면부(841)와, 상기 하면부(84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전면부(842) 그리고 상기 하면부(84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후면부(8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84)의 하면부에는 상기 스크류 체결부(826)와 대응하는 위치에 스크류 홀(84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에서 스크류(844a)가 체결되어 상기 락킹부재(84)가 상기 로어 파트(822)의 하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84)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의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841)는 상기 로어 파트(822)의 전단보다 더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단부에서 상기 전면부(842)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부재(84)의 전단은 고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도어(30)의 배면에 형성된 구속홈(319)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84)가 상기 제 2 슬라이더(8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하단의 형상은 상기 락킹부재(84)와 같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842)와 같은 고리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구속홈(319)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843)는 상기 하면부(84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후면 하단의 모서리에 단차진 단차부(827)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6은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가 비 구속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가 구속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상기 상부 도어가 인출 후 인입되는 상태일 때의 단면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는 모두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인출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 도어(6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의 하단은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더(82)를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에 의해 눌려진 상태의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상기 하부 탄성부재(83)는 인장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상기 하부 탄성부재(83)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하면에 장착된 상기 락킹부재(84) 또한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부재(84)의 전면부는 상기 구속홈(319)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락킹부재(84)와 상기 구속홈(319)은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락킹부재(84)는 상기 하부 도어(30)를 구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도어(6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80)는 상기 하부 도어(30)를 구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30)는 언제든지 전방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출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70)가 동작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도어(60)의 인출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출 후 다시 인입 완료될 때까지 상기 상부 도어(60)는 인입 상태 및 구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도어(30)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부 도어(60)를 당겨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상부 도어(60)를 당기게 되면, 상기 상부 도어(60)는 전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상부 피니언(171)과 상부 인출입 랙(64)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60)는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도어(60)가 인출되면, 상기 제 2 슬라이더(82)를 누르는 상기 상부 구속돌기(66) 또한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상부 구속돌기(66)가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단을 지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 2 슬라이더(82)를 하방으로 누르는 외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인장된 상기 하부 탄성부재(8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하면에 구비된 상기 락킹부재(84) 또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락킹부재(84)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락킹부재(84) 전단의 전면부(842)가 상기 구속홈(319)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구속홈(319)과 상기 전면부(842)는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돌출 및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부재(84)에 의해서 상기 하부 도어(30)는 완전히 구속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도어(30)는 구속되어 인출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도어(60)를 인출하여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상방 이동되고, 상기 락킹부재(84)가 상기 하부 도어(30)를 구속하게 되는 과정은 상기 상부 도어(60)의 개방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60)의 인출 조작과 동시에 상기 하부 도어(30)는 구속상태가 되고, 상기 상부 도어(60)가 완전히 인입될 때까지 이와 같은 인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도어(30)가 구속되고, 상기 상부 도어(60)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부 도어(60)의 내부에 식품 수납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상부 도어(60)를 다시 인입 조작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상부 도어(60)를 인입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 도어(60)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상기 상부 구속돌기(66) 또한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 상기 하부 탄성부재(83)가 수축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최대 상승 상태가 된다.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최대 상승 상태에서는 상기 로어 파트(822)가 상기 절개부에 닿을때까지 상승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단이 상기 하부 구속장치 케이스(81)의 개구된 상면 및 상기 구획부재(18)의 상면 보다 더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의 후방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 구속돌기(66) 또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구속돌기(66)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와 점차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상부 도어(60)가 인입 완료되기 직전, 상기 상부 구속돌기(66)는 상기 제 2 슬라이더(82)와 접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의 후면에는 경사부(66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슬라이더(82)의 상단에는 상기 경사면(8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구속돌기(66)의 후방 이동으로 상기 경사부(662)와 경사면(823)이 서로 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부(662)와 경사면(823)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도어(60)가 더 인입되어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경사면(823)은 상기 경사부(662)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더(82)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 도어(6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제 2 슬라이더(82)가 하방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도 26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어(60)와 하부 도어(30)는 모두 개방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Claims (1)

  1.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상부 도어;
    상기 상부 도어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다른 일부를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하부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상부 도어 구속장치; 및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하부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하부 도어 구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부 도어의 인출시 상기 하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하부 도어를 구속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인출시 상기 상부 도어 구속장치는 상기 상부 도어를 구속하여,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동시에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30119209A 2018-08-30 2023-09-07 냉장고 KR20230135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9209A KR20230135547A (ko) 2018-08-30 2023-09-0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75A KR102580774B1 (ko) 2018-08-30 2018-08-30 냉장고
KR1020230119209A KR20230135547A (ko) 2018-08-30 2023-09-07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75A Division KR102580774B1 (ko) 2018-08-30 2018-08-3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547A true KR20230135547A (ko) 2023-09-25

Family

ID=678093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75A KR102580774B1 (ko) 2018-08-30 2018-08-30 냉장고
KR1020230119209A KR20230135547A (ko) 2018-08-30 2023-09-07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75A KR102580774B1 (ko) 2018-08-30 2018-08-30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935306B2 (ko)
EP (2) EP4368799A2 (ko)
KR (2) KR102580774B1 (ko)
CN (2) CN1133243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2935B1 (en) * 2017-12-29 2024-03-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580774B1 (ko) * 2018-08-30 2023-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79883B1 (ko) * 2018-12-28 2023-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9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4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7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8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8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1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2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6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8709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08707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617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8373A1 (de) * 1975-10-01 1977-04-07 Schaerer Soehne Ag Muensingen Arretiervorrichtung fuer in einem gestell nebeneinander angeordnete auszuege
GB2108564A (en) * 1981-10-16 1983-05-18 Marshall And Sons A Cabinet drawer interlocks
CN1029257C (zh) * 1988-05-10 1995-07-05 夏普公司 门的开关装置
DE8815528U1 (ko) * 1988-12-14 1989-02-02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8000 Muenchen, De
DE9105559U1 (ko) * 1991-05-01 1991-09-05 Martin Lehmann Gmbh & Co Kg, 4950 Minden, De
DE29620152U1 (de) * 1996-11-20 1997-04-03 Hekna Hermann Knapp Gmbh & Co Zentralverriegelung für Möbel
DE29701427U1 (de) * 1997-01-29 1997-03-20 Bsw Anlagenbau Gmbh Krankenhaus-Nachttisch mit gegeneinander verriegelbaren Schubladen
JP2001052474A (ja) * 1999-08-04 2001-02-23 Fujitsu Ltd ロック機構を備えたデッキ装置
KR100652583B1 (ko) *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40875B1 (ko) 2004-11-15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06018421A1 (de) * 2006-04-20 2007-10-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ystem zur Sicherung von kippgefährdeten Möbeln und Gerätschaften
JP2008025873A (ja) * 2006-07-19 2008-02-07 Soogo:Kk 冷凍・冷蔵倉庫等の扉開閉機構
KR20080101335A (ko)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823992B2 (en) * 2007-12-19 2010-11-02 King Slide Works Co., Ltd. Drawer interlock mechanism
US8434837B2 (en) * 2009-07-08 2013-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E202009005122U1 (de) * 2009-08-07 2010-12-30 Paul Hettich Gmbh & Co. Kg Vorrichtung zur Synchronisation von Schließvorrichtungen
CN103836864B (zh) * 2012-11-20 2016-08-17 Lg电子株式会社 冰箱
DE102016000369A1 (de) * 2015-12-14 2017-06-14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KR101862564B1 (ko) *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513874B2 (en) * 2016-06-16 2019-12-24 Dometic Sweden Ab Lock assembly
DE102016221940A1 (de) * 2016-11-09 2018-05-0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vorrichtung
WO2018088802A1 (en) * 2016-11-10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06766638B (zh) * 2016-12-30 2019-07-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及其控制方法
KR102289689B1 (ko) * 2017-03-10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9387020A (zh) * 2017-08-04 2019-02-2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KR102640307B1 (ko) * 2018-03-26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08816A (ko) *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KR102580774B1 (ko) * 2018-08-30 2023-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0308A1 (en) 2022-08-18
CN110873501B (zh) 2021-10-22
US20210131722A1 (en) 2021-05-06
KR102580774B1 (ko) 2023-09-20
CN113324370B (zh) 2022-11-08
US11346598B2 (en) 2022-05-31
US10935306B2 (en) 2021-03-02
EP3617630A1 (en) 2020-03-04
KR20200025515A (ko) 2020-03-10
EP3617630B1 (en) 2024-05-08
US20200072533A1 (en) 2020-03-05
CN113324370A (zh) 2021-08-31
EP4368799A2 (en) 2024-05-15
CN110873501A (zh)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0774B1 (ko) 냉장고
KR102640307B1 (ko) 냉장고
KR102595327B1 (ko) 냉장고
KR102658254B1 (ko) 냉장고
KR102633810B1 (ko) 냉장고
KR102622809B1 (ko) 냉장고
KR102625266B1 (ko) 냉장고
KR102613619B1 (ko) 냉장고
KR102309149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580773B1 (ko) 냉장고
KR102640808B1 (ko) 냉장고
KR102464922B1 (ko) 냉장고
KR102309146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550745B1 (ko) 냉장고
KR102596480B1 (ko) 냉장고
KR102542610B1 (ko) 냉장고
KR102586889B1 (ko) 냉장고
US11761702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617684B1 (ko) 냉장고
KR2020013478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