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264A -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 Google Patents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264A
KR20230130264A KR1020220027198A KR20220027198A KR20230130264A KR 20230130264 A KR20230130264 A KR 20230130264A KR 1020220027198 A KR1020220027198 A KR 1020220027198A KR 20220027198 A KR20220027198 A KR 20220027198A KR 20230130264 A KR20230130264 A KR 2023013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arc cover
circuit breaker
air circu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2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264A/ko
Priority to PCT/KR2023/001529 priority patent/WO2023167437A1/ko
Publication of KR2023013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6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8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아크 발생에 따른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중 차단기는 고정자에 대하여 가동자가 작동함으로써 아크가 발생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 상부에 설치되고, 아크를 1차적으로 소호하는 소호부; 및 상기 소호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호부를 통과한 고온의 가스가 머물 수 있도록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챔버 내부를 복수개로 구획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패널이 구비되어, 고온의 가스가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의해 안내되는 유로를 따라 제1 방향의 토출구로 배출되는 아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 having arc cover}
본 발명은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 발생에 따른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단기는 송변전 계통이나 선로에서 전력을 수전하는 장치를 개폐하거나 과부하, 단락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고, 전력계통과 부하기기를 보호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단기에는 가동자 및 가동자와 접촉하는 고정자가 구비되고, 가동자가 고정자와 접촉하는 경우, 선로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고, 선로에서 안전사고에 의해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 가동자는 고정자와 분리되어 선로의 전류를 차단시킨다.
최근에 전력계통의 전기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차단기에는 대전류 통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중 차단기는 사용자 안전 및 계통의 건정성을 위해 단락사고 발생 시 빠른 시간 내에 사고전류를 차단하는데, 높은 사고 전류 차단 시에는 소호부 내부의 전도성을 띤 아크가 소호부 외부로 배출되며 전도성을 포함하는 고온의 가스(Hot gas)를 함께 배출하여 인접한 배전반 등과 통전하여 2차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호부에서 1차로 소호된 고온 가스가 배출 시 전도성이 저하되도록 일정한 공간의 챔버 내부에서 머문 다음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정자에 대하여 가동자가 작동함으로써 아크가 발생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 상부에 설치되고, 아크를 1차적으로 소호하는 소호부; 및 상기 소호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호부를 통과한 고온의 가스가 머물 수 있도록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챔버 내부를 복수개로 구획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패널이 구비되어, 고온의 가스가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의해 안내되는 유로를 따라 제1 방향의 토출구로 배출되는 아크 커버;를 포함하는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아크 커버는 고온의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단면적이 토출구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 커버의 가이드 패널은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 커버의 내측 측면과 상기 가이드 패널에는 수직으로 내측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리브는 아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리브는 복수개 형성되고, 각 내측 리브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 커버의 외측 측면에는 수직으로 외측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패널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의 토출구는 기중 차단기의 전면의 상부 또는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호부와 상기 아크 커버 사이에는 고온 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호부와 상기 아크 커버 사이에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 홀이 형성된 쉴드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쉴드 패널은 상기 아크 커버의 하단부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쉴드 패널의 관통 홀이 형성되지 않은 폐쇄부는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는, 가이드 패널을 갖는 아크 커버가 제공되어 유체의 흐름이 변경됨으로써 충분히 가스의 전도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는 쉴드 패널, 가이드 패널, 그리고 아치형의 내측 리브에 의해 가스가 아크 커버의 챔버 내부에서 안내되면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흐르게 됨으로써 가스의 전도성에 의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아크 커버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크 커버와 소호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크 커버와 소호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크 커버와 소호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크 커버와 소호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크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크 커버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쉴드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크 커버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아크 커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1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작동부(30), 소호부(40), 그리고 아크 커버(2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1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기중 차단기(10)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에는 케이스(11)가 구비되어 내부 구성 부품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기중 차단기(10) 내부에는 고정자와 가동자가 설치된 작동부(40)가 전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이때 그 부분에서 아크가 발생하게 된다. 케이스(11) 내부에 구비된 작동부(40)의 상측에는 발생된 아크를 1차적으로 소호하기 위한 소호부(30)가 구비되어 있다. 소호부(30)의 상단, 여기서는 케이스(11) 상부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소호부(30)로부터 상승하는 고온의 가스를 2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아크 커버(2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아크 커버(20)의 전면 방향으로 토출구(20c)가 형성되어 아크 커버(20)에서 관리된 가스가 전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1) 후방에는 부스바(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후방으로 가스가 배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이때, 기중 차단기(10)는 소위 고정형과 인출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고정형은 내부 구성요소들이 교체하기 어렵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타입이고, 인출형은 내부 구성요소들의 상태에 따라 여러 구성 요소들을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는 타입이 알려져 있다. 고정형과 같이 내부 구성 요소를 교체하기 어려운 경우에 2차 사고가 더욱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형의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작동부(4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고정자에 대하여 가동자가 작동함으로써 아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4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소호부(3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작동부(40) 상부에 설치되고, 아크를 1차적으로 소호하게 된다. 소호부(40)는 측면에는 지지판(33)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아크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소호부(30)는 상부에는 상부 커버 패널(36)이 설치되어 있고, 소호부(30) 내측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개의 그리드(32)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40)에서 발생된 아크는 소호부(30)의 그리드(32)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호되고, 상부 커버 패널(36)의 관통 홀(36a)을 통과하여 아크 커버(20)의 챔버(20a) 내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소호부(30)에서 아크는 1차적으로 소호되고 고온의 가스는 아크 커버(20)의 챔버(20a)로 상승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아크 커버(2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소호부(3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호부(30)를 통과한 고온의 가스가 머물 수 있도록 챔버(20a)를 형성하며, 상기 챔버(20a) 내부를 복수개로 구획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패널(23)이 구비되어, 고온의 가스가 상기 가이드 패널(23)에 의해 안내되는 유로를 따라 기중 차단기(10)의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20c)로 배출될 수 있다. 아크 커버(2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면은 개방되어 고온의 가스가 그 상승 압력에 의해 챔버(20a)로 유입될 수 있고, 가이드 패널(23)의 안내에 따른 유로를 통과하여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20c)로 배기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패널(20c)은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나, 복수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아크 커버(20)는 고온의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단면적이 토출구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의 소호부(30)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가스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아크 커버(20)에서 토출되는 토출구(20c)의 토출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단면적의 비율은 설계 상태나 내부 작동부(40)에서 발생되는 아크의 온도 등을 모두 고려하여 실험을 통하여 최적화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 9를 참고하면, 상부 커버 패널(36) 하부에는 쉴드 패널(34)이 설치되어 있는데, 쉴드 패널(34)은 상기 소호부(30)와 상기 아크 커버(20)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관통 홀(34a)이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개의 관통 홀(34a)이 형성된 개방부(A)와 관통 홀(34a)이 형성되지 않은 폐쇄부(B)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쉴드 패널(34)의 고온 가스가 통과하는 단면적의 설계에 따라 관통 홀(34a)의 개수나 형태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폐쇄부(B)는 가이드 패널(23)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20b)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 패널(23)과 쉴드 패널(34)이 배치 및 형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온 가스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여기서는 쉴드 패널(34)이 소호부 구성 요소로 설명되고 있지만, 쉴드 패널의 위치와 관련하여, 소호부 내가 아니라, 다른 실시예로서, 아크 커버(20) 하단부에 결합되는 구조로도 설계 가능할 수 있다. 즉, 아크 커버(20)의 챔버(20a) 하단부에 결합 혹은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로 설계도 가능함은 물론이다.이때, 도 5, 6, 8을 참고하면, 상기 아크 커버(20)의 내측 측면과 상기 가이드 패널(23)에는 수직으로 내측 리브(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리브(24)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리브(24)는 아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아크 커버(20)의 모서리 부분이 다른 곳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아크 커버(20)의 외측 측면에는 수직으로 외측 리브(21)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리브(21)와 상기 내측 리브(2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 리브(24)와 외측 리브(21)가 형성됨으로써 측면에 가해지는 가스 압력에 더욱 견고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소호부(30)와 상기 아크 커버(20) 사이에는 고온 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아크 커버(20)의 플랜지부 하부면에 실링 부재를 위한 홈(2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22a)에 고무 재질의 실링 부재를 삽입한 다음 소호부(30)의 몸체와 피스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호부(30)와 아크 커버(20)의 조립된 부분 사이로는 고온 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중 차단기(10)에서 아크 커버(20)와 소호부(30)를 분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소호부(30)는 기중 차단기(10)의 케이스(11)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고, 아크 커버(20)는 소호부(30)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상부 공간에 내부 챔버(20a)를 형성할 수 있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아크 커버(20)로부터 배기되는 가스는 토출구(20c)가 아크 커버(20) 전면 상부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의 부스바(50)와 접촉할 확률은 매우 적다. 또한 기중 차단기(10)의 케이스(1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캐비닛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아크 커버(20)로 토출되는 가스는 이미 전도성을 상실한 후이므로 2차사고는 방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기중 차단기(10)의 아크 커버(20)와 소호부(30)가 서로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소호부(30)는 하부 측에 아크 커버(20)는 상부 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소호부(30)에서 소호된 고온의 가스는 고온이기 때문에 별다른 압력 제공 수단 없이도 상측으로 이동할 것이다. 즉 소호부(30)를 통과한 가스는 아크 커버(20)의 내부 챔버(20a)로 상승하게 된다. 아크 커버(20)와 소호부(30)는 피스에 의해 조립되는 바, 아크 커버(20)의 플랜지(22)와 소호부(30)의 프레임(31)이 밀착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실링 부재가 배치되고 피스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호부(30)와 아크 커버(20)의 조립 연결 부위는 실링되어 가스가 누출되지 않는다. 소호부(30)는 프레임(31) 양측면으로 지지판(33)이 조립되어 그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그리드(32)를 지지하게 된다. 이곳에서 아크의 소호가 이루어지게 되어 많은 열과 압력이 발생된다. 소호부(30)의 프레임(31)에는 그리드(32) 상부에 쉴드 패널(34)이 설치될 수 있다. 쉴드 패널(34)에는 복수개의 관통 홀(34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홀(34a)에 대한 설계에 따라 아크 커버(20)로 공급되는 고온 가스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쉴드 패널(34)은, 도 9를 참고하면, 개방부(A)와 폐쇄부(B)로 이루어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쉴드 패널(34) 상부에는 복수개의 메쉬 부재(35)가 설치되고, 그 메쉬 부재(35)들 상부에는 상부 커버 패널(36)이 프레임(31)에 조립된다. 상부 커버 패널(36)에도 관통 홀(36a)이 형성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도 있으나, 하부에 조립되는 부품들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커버 패널(36) 상부에 아크 커버(20)가 놓이고 아크 커버(20)의 플랜지(22)가 상부 커버 패널(36)에 피스 홀(22b)을 이용하여 피스로 조립된다. 아크 커버(2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외측 리브(21)가 형성되어 아크 커버(20)의 측면의 강도 보강에 조력하게 되고, 전면에는 토출구(20c)가 형성되어 전도성이 상실된 가스가 아크 커버(20)의 챔버(20a)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아크 커버(20)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소호부(30)로부터 상승 유입되는 고온의 가스는 전방 측, A 부분으로만 올라오고 B 부분은 폐쇄되어 있으므로 가스가 통과하지 못한다. 즉 소호부(30)의 가스는 쉴드 패널(34)을 통과하는데 폐쇄부(B)로는 통과하지 못하고, 관통 홀(34a)이 형성된 개방부(A)로만 통과하여 챔버(20a) 내부로 상승하게 된다. 가스는 내측 리브(24)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한 다음 가이드 패널(23)을 만난다. 고온의 가스는 가이드 패널(23)을 따라 후방으로 바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아치형 내측 리브(24)를 넘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더욱 챔버(20a) 내부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내측 리브(24)들을 모두 넘어간 다음 가이드 패널(23)과 아크 커버(20) 몸체의 후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개구(20b)를 통과한 다음 다시 전방으로 압력에 의해 이동한 다음 토출구(20c)로 배기된다. 따라서 도 6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유로를 따라 고온의 가스는 흐르게 된다. 이때 고온의 가스가 바로 아크 커버(20)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여러 번 절곡되는 유로를 따라 흐른 후 배기되기 때문에 전도성을 대부분 상실한 상태로 배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유체 흐름은 쉴드 패널(34)과 가이드 패널(23)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고, 내측 리브(24)들은 이러한 흐름에 조력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아크 커버(2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아크 커버(20)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외측 리브(21)가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리브(21)와 내측 리브(24)는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호부(30)로부터 상승하는 가스 압력에 아크 커버(20)가 견고하게 그 형상을 유지하여 감당할 수 있다. 아크 커버(20)의 플랜지(22)에는 홈(22a)이 형성되어 실링 부재가 함께 조립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아크 커버(20')의 토출구(20c')가 아크 커버(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4개의 아크 커버(20, 20') 중에 양단의 아크 커버(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면에 토출구(20c)가 형성되어 있고, 가운데 두 개의 아크 커버(20')에는 양측면에 토출구(20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아크 커버 전체가 전면으로 가스를 배기하는 경우보다 더욱 광범위한 방향으로 소호된 가스를 토출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2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아크 커버(20)는 내측 리브(24')는 복수개 형성되고, 각 내측 리브(24')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네 개의 내측 리브(24')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된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내측 리브(24')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가스 유로를 더욱 복잡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기되는 시간이 연장되어 가스의 전도성을 상실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1에서는 상하 방향의 내측 리브 높이를 변경하였으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내측 리브의 돌출 길이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크 커버(2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아크 커버(20)의 가이드 패널(23)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a)의 경우에는 가이드 패널(23')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이고, (b)의 경우에는 가이드 패널(23")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각 가이드 패널(23', 23")의 기울기에 따른 효율은 가이드 패널(23', 23")의 높이, 개구의 높이나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실험에 의해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기중 차단기
11 : 케이스 20 : 아크 커버
21 : 외측 리브 22 : 플랜지
23 : 가이드 패널 24 : 내측 리브
30 : 소호부 31 : 프레임
32 : 그리드 33 : 지지판
34 : 쉴드 패널 35 : 메쉬 부재
36 : 상부 커버 패널 40 : 작동부

Claims (13)

  1. 고정자에 대하여 가동자가 작동함으로써 아크가 발생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 상부에 설치되고, 아크를 1차적으로 소호하는 소호부; 및
    상기 소호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호부를 통과한 고온의 가스가 머물 수 있도록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챔버 내부를 복수개로 구획하고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패널이 구비되어, 고온의 가스가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의해 안내되는 유로를 따라 제1 방향의 토출구로 배출되는 아크 커버;를 포함하는,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커버는 고온의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단면적이 토출구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커버의 가이드 패널은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커버의 내측 측면과 상기 가이드 패널에는 수직으로 내측 리브가 형성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브는 아치 형태로 이루어진,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리브는 복수개 형성되고, 각 내측 리브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커버의 외측 측면에는 수직으로 외측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리브와 상기 내측 리브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은 복수개 형성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토출구는 기중 차단기의 전면의 상부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부와 상기 아크 커버 사이에는 고온 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부와 상기 아크 커버 사이에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 홀이 형성된 쉴드 패널이 설치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패널은 상기 아크 커버의 하단부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13.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쉴드 패널의 관통 홀이 형성되지 않은 폐쇄부는 상기 가이드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KR1020220027198A 2022-03-03 2022-03-03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KR20230130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198A KR20230130264A (ko) 2022-03-03 2022-03-03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PCT/KR2023/001529 WO2023167437A1 (ko) 2022-03-03 2023-02-02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198A KR20230130264A (ko) 2022-03-03 2022-03-03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264A true KR20230130264A (ko) 2023-09-12

Family

ID=8788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198A KR20230130264A (ko) 2022-03-03 2022-03-03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0264A (ko)
WO (1) WO20231674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3968A (ja) * 1998-06-09 199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KR100817122B1 (ko) * 2007-03-08 2008-03-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박스를 구비한 기중차단기
KR20170104878A (ko) * 2016-03-08 2017-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커버가 구비된 기중차단기
KR102556749B1 (ko) * 2020-03-13 2023-07-18 엘에스일렉트릭(주) 기중 차단기
CN214477304U (zh) * 2021-01-22 2021-10-22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灭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437A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5751A2 (en) Arc hood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064648B2 (en) Valve system for an arc extinguishing chamber and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US9715979B2 (en) Low voltage switch pole
JP5886910B2 (ja) 配線用遮断器
WO2020241397A1 (ja) 直流遮断器
EP2871655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1513211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2641636B1 (ko) 회로 차단기와, 그 배기 구조체
JP7163434B2 (ja) 相互に連通する少なくとも2つの消弧領域を備えるスイッチ装置
KR20230130264A (ko) 아크 커버를 갖는 기중 차단기
WO2021005889A1 (ja) 気中回路遮断器
US7368679B2 (en) Arrangement comprising a low voltage power switch and a switching gas damper provided with a carrier element and used for the low voltage power switch
US10665403B2 (en) Low-voltage multipolar circuit breaker
JP4153791B2 (ja) 消弧システムを備えた低電圧電力遮断器
KR20230130265A (ko) 터미널 쇼트 방지를 위한 절연지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
CN216215051U (zh) 一种开关柜顶部压力释放装置
CN215955222U (zh) 一种断路器的灭弧室装置
CN209896017U (zh) 一种断路器
CN217881353U (zh) 一种零飞弧塑壳断路器
CN218513396U (zh) 排气结构及断路器
CN217983247U (zh) 一种栅片式灭弧室
CN212810220U (zh) 一种断路器用灭弧机构和断路器
CN216957944U (zh) 小型断路器
CN219350129U (zh) 一种塑壳断路器基座结构
CN215069864U (zh) 一种挡弧插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