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062A -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29062A KR20230129062A KR1020237026383A KR20237026383A KR20230129062A KR 20230129062 A KR20230129062 A KR 20230129062A KR 1020237026383 A KR1020237026383 A KR 1020237026383A KR 20237026383 A KR20237026383 A KR 20237026383A KR 20230129062 A KR20230129062 A KR 202301290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housing
- drum
- cable drum
- drive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Deflectors;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33—Form or shape having protru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유리(4)의 홀딩을 위한 레일 슬라이더(3)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2)을 위한 기능 캐리어(11) 및 케이블 구동 장치(8)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리프트(1)에 관한 것이며, 케이블 구동 장치(8)는 서보 구동부(9) 및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는 서보 구동부(9)와 결합 가능하고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케이블 드럼(16)이 수용되거나 수용 가능하고, 이러한 케이블 드럼은 견인 케이블(5)에 의해 주위가 감기거나 감길 수 있고,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베이스 플레이트(19)와, 케이블 드럼(16)의 수용을 위한 복수의 원통형 벽부 요소(33)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기능 캐리어(11)는 서보 구동부(9)에 케이블 드럼(16)을 결합하기 위한 관통 개구(29)의 둘레 측에, 내부 삽입된 케이블 드럼(10)을 갖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10)과의 형태 결합 연결부의 형성을 위한 결합 윤곽(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유리의 홀딩을 위한 레일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을 위한 기능 캐리어 및 케이블 구동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윈도우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윈도우 리프트의 기능 캐리어에 또는 그 내부에 케이블 드럼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동식 차량 윈도우 유리들은 전형적으로는 (차량) 윈도우 리프트로서의 전기식 또는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조절 장치들을 통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이러한 윈도우 리프트는 케이블 구동부 또는 서보 구동부로서의 (전기)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를 윈도우 유리와 연결하거나 힘 전달 기술로서 결합하는, 자동차 도어 또는 자동차 차체에 할당된 서보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서보 메커니즘은, 안내 레일에서 변위 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동부 또는 종동부 기능을 갖는 레일 슬라이더에 의하여, 이동될 윈도우 유리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안내 레일에서의 레일 슬라이더의 안내를 위해, 서보 메커니즘은 윈도우 유리를 조정 경로에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보든 케이블(Bowden cable) 또는 케이블 외피가 없는 (보든 케이블이 아닌) 견인 케이블 형태의 유연한 견인 수단을 포함한다. 견인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윈도우 리프트의 편향 요소들, 예를 들어 편향 풀리들을 통해 안내되고, 이러한 편향 요소들은 각각의 안내 레일 및 서보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구동 장치의 일부로서, 하기에 기능 캐리어라고 불리는, 예를 들어 도어 내부 플레이트 형태의 조립체 캐리어 또는 도어 모듈 캐리어에 또는 그 상에 배열되거나 그에 고정된다. 이러한 유형의 케이블 견인 메커니즘들을 구비한 윈도우 리프트들은 케이블 견인 윈도우 리프트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구동 장치는 서보 구동부 또는 케이블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케이블 드럼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블 드럼은 견인 케이블에 의해 주위가 감기고, 이를 위해 나선형 또는 나사형의 케이블 홈(케이블 그루브)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블 홈 내에는 전형적으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굴곡부들에 의하여, 예를 들어 케이블 고리로서의 견인 케이블이 놓여진다. 대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서 하우징 측 장착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견인 케이블에 의해 주위가 감기는 케이블 드럼은 (전기) 서보 모터에 의하여, 일반적으로는 그와 결합된, 특히 90° 앵글 기어로서의 웜기어 형태의 기어 장치를 거쳐 회전 구동된다. 다시 말해, 서보 구동부, 특히 기어 장치가 결합된 전기 모터와, 견인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거나 권취될 수 있는 케이블 드럼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은 케이블 구동 장치를 형성한다.
케이블 드럼의 회전 운동의 결과로, 견인 케이블은 케이블 섹션(케이블 단부)에 의해 케이블 드럼 상에 와인딩되고, 다른 (하나의) 케이블 섹션(케이블 단부)에 의해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언와인딩된다. 이를 통해, 견인 케이블에 의해 형성된 케이블 고리가 변위되는데, 이는 다시금 안내 레일을 따른 레일 슬라이더의 이동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윈도우 유리의 조정을 유도한다.
DE 10 2018 201 023 A1호로부터 공지된 윈도우 리프트(윈도우 리프트 조립체)는, (케이블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융기된 하우징 윤곽과, 케이블 드럼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하우징 윤곽과 함께 견인 케이블의 인입 또는 인출되는 케이블 섹션을 위한 예각의 인입 영역 및 인출 영역을 형성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 벽부를 갖는 삼각별 형상의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은 구조적으로, 구성적으로 그리고 힘 기술적으로 특정 차량 시스템 또는 차량 도어 시스템이나 도어 모듈들에 대해 형성되고, 다른 시스템들에 용이하게 전용 가능하지 않다. 이와 같이, 이미 상이한 위치들, 고정 패턴들 및/또는 나사 조임 레이아웃들로 인해서도, 그리고 동일한 자동차라 할지라도 우측 차량 도어 및 좌측 차량 도어의 비대칭의 결과로써,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상이한 형상들 또는 다양한 디자인들이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게, 재료, 생산 및 비용에 있어서의 상응하게 심한 낭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적절한 케이블 구동 장치를 갖는 윈도우 리프트(윈도우 리프트 시스템, 윈도우 리프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케이블 구동 장치의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또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이 적절하게, 다양한 윈도우 리프트들 또는 윈도우 리프트 시스템들(윈도우 리프트 조립체들)에서도 그리고/또는 동일한 자동차의 차량 도어들(좌측 및 우측 차량 도어)에서도 가능한 한 보편적으로 사용 가능해야 한다. 또한, 윈도우 리프트의 기능 캐리어에 또는 그 내부에, 특히 이미 권취되어 있는 견인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드럼을 장착하기 위한 특히 적절한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트와 관련하여 그리고 청구항 제10항의 특징들을 갖는 조립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자동차를 위한, 특히 윈도우 리프트 시스템 또는 윈도우 리프트 조립체로서의 윈도우 리프트는, 특히 차량 유리의 홀딩을 위한 종동부 기능을 갖는 레일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을 위한 기능 캐리어 및 케이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도어의 도어 모듈의 구성 부품인 기능 캐리어는 적절하게는 플레이트형 부품이고, 이러한 플레이트형 부품은 압인부들 및/또는 윤곽들을 갖는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천공-만곡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특히, (각각의) 안내 레일은 레일 슬라이더를 위한 레일 윤곽으로서 기능 캐리어에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레일 슬라이더들을 갖는 안내 레일들 및 케이블 구동 장치가 기능 캐리어 상에 장착되거나, 안내 레일들이 기능 캐리어에 통합되고, 레일 슬라이더 및 케이블 구동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 "윈도우 리프트"는 여기에서 그리고 하기에서 윈도우 리프트 조립체, 특히 그 동의어로서 윈도우 리프트 시스템을 의미하기도 한다.
케이블 구동 장치는 특히 전동식의 서보 구동부와, 하기에 케이블 드럼 하우징이라고도 불리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는 서보 구동부와 결합되거나 결합 가능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케이블 드럼이 수용되거나 수용 가능하다. 서보 구동부의 전기 모터가 모터 샤프트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전기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90° 앵글 기어로서의 웜기어와 결합되는 (브러시리스형 또는 브러시형) 전기 모터이다. 모터 샤프트는 회전자, 적절하게는 코일 권선 또는 모터 권선이 제공되는 정류자를 지니고, 이러한 정류자는, 전류 공급되거나 전류 공급 가능한 카본 브러시에 의해 스치게 된다. 회전자와, 적절하게는 영구 자석으로 형성된 고정자는, 전기 모터(정류자 모터)의, 특히 냄비형의 모터 하우징[폴 포트(pole pot)] 내에 수용된다.
케이블 드럼은, (각각의) 레일 슬라이더와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한 견인 케이블에 의해 주위가 감긴다. 적절하게, 견인 케이블은 장착 상태에서, 인입되는 케이블 섹션 및 인출되는 케이블 섹션의 형성 하에, 복수의 굴곡부들을 구비한 케이블 드럼 상에 권취되고, 케이블 섹션들은 편향 요소들을 통해 안내된다. 원통형 케이블 드럼은, 견인 케이블이 내부에 놓이고 드럼 측으로 안내되는 나선형 또는 나사형의 케이블 홈(케이블 그루브)을 외피 측에 포함한다.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원 형상 또는 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복수의 벽부 요소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벽부 요소들 사이에는 케이블 드럼이 배열되어 있거나 배열된다. 벽부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고, (케이블 드럼의 회전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벽부 요소들은 원통 외피형 축방향 섹션들로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요소들 또는 섹션들 3개가 제공되고, 그들 사이에는 리세스들 또는 간극들이 형성된다. 적절하게, 베이스 플레이트 내에는 중앙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수용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서보 구동부 또는 케이블 구동부의 기어 장치 부품(베어링 저널 또는 결합 저널)의 샤프트 저널을 위한 수용부로서 사용된다.
기능 캐리어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또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과의 형태 결합 연결부, 특히 축방향 형태 결합부의 형성을 위한 결합 윤곽을 포함한다. 캐리어 측 결합 윤곽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또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수용된, 배열된) 케이블 드럼에 대한 서보 구동부 또는 케이블 구동부의 결합이 실행 또는 형성되도록 하는 캐리어 측 관통 개구의 둘레 측에 배열된다.
서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부품들 사이의 "형태 결합부" 또는 "형태 결합식 연결부(형태 결합 연결부)"는 여기에서 그리고 하기에서 특히, 서로 연결된 부품들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결합이 부품들 자체의 윤곽들의 직접적인 상호 맞물림을 통해 실행되거나 추가 연결 부품을 통한 간접적인 상호 맞물림을 통해 실행됨을 의미한다. 즉, 이러한 방향으로의 상호 이동의 "차단"은 형상에 기인하여 실행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은 원주 방향(방위각 방향)으로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그루브를 포함한다.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드럼에 대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회전 운동을 통해(또는 그 반대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에 대한 케이블 드럼의 회전 운동을 통해)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 내에 삽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결합 요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드럼 측 결합 요소는 적절하게는, 케이블 드럼의 드럼 외피부 또는 드럼 몸체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의 반경 방향 세그먼트이다.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과 케이블 드럼의 래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래칭 요소는 적절하게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샤프트 저널/기어 장치 저널을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중앙에) 배열된, 특히 슬리브형의 수용부에 제공된다. 그곳의 래칭 요소 또는 결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 드럼의 장착이 진행되는 중에 대응하는 드럼 측 그루브(환형 그루브)에 맞물린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특히 바람직하게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축방향 벽부 요소들 사이의 영역 내에는 반경 방향 외부 래칭 요소 및/또는 반경 방향 내부 래칭 요소가 제공된다. 반경 방향 외부 래칭 요소들은 적절하게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로의 케이블 드럼의 삽입이 진행되는 중에 래칭 연결부의 형성 하에 케이블 드럼의 (이러한) 반경 방향 결합 요소들에 의해 뒤에서 맞물린다.
케이블 드럼은 적절하게, 서보 구동부와의 바람직하게는 형태 결합식 결합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드럼 측 결합 윤곽을 갖는 중앙 수용 개구를 포함한다. 케이블 드럼의 각각의 반경 방향 결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수용 개구를 갖는 단부면에 대향된 케이블 드럼의 단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드럼 측 결합 요소들을 위한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들은 하우징 측 벽부 요소들 내에,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로의 전환부에 제공된다.
장착 시에,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드럼 측 결합 요소들이 하우징 측의 인접한 벽부 요소들 사이의 리세스들 내에 도달하므로, 이어서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 경우 회전 운동이 진행되는 중에 드럼 측 결합 요소들은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들 내에 도달한다. 따라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과 케이블 드럼의,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연결은 순수 삽입-회전 잠금 또는 바요넷(bayonet) 잠금 방식으로 실행된다.
축방향 벽부 요소들 사이에 제공된,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측 래칭 요소들을 갖도록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이 형성될 때, 삽입이 진행되는 중에는 드럼 측 결합 요소들과 하우징 측 래칭 요소 또는 결합 요소의 래칭이 실행되고, 이어서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 고정되고, 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 또는 수용된다.
바람직하게, 케이블 드럼이 삽입-회전 잠금에 의하여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 삽입된 이후에, 캐리어 측 결합 윤곽과의 형태 결합 연결부가 형성될 때, 견인 케이블은 케이블 드럼 상에 이미 권취되어 있다. 드럼 측 결합 요소들이 2개의 회전 방향들로, 원주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들을 통과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음으로써,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과 캐리어 측 결합 윤곽의 형태 결합 연결부 내에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의 케이블 드럼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벽부 요소들은 축방향으로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벽부 요소 사이에는 사면 또는 사면 형태의 전환부가 형성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적절하게, 각각의 벽부 요소의 반경 방향 외부 벽부 영역과 반경 방향 내부 벽부 영역 사이에는 특히 링 형상 또는 링 세그먼트 형상의 접촉 칼라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플레이트와 벽부 요소 사이의 사면 형태의 전환부 또는 계단 형상에 의해서는 각각의 벽부 요소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드럼 측 결합 요소를 위한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가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특히 계단 형상에 의하여 벽부 요소들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된 하우징 측 접촉 칼라는,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의 영역 내에 제공된 (캐리어 측) 지지 칼라에 대응한다. 다시 말해,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각각의) 벽부 요소와,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은 대응하는 접촉 윤곽 또는 지지 윤곽을 포함하고, 이러한 접촉 윤곽 또는 지지 윤곽은, 적어도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과 기능 캐리어 사이의 결합 연결부 또는 형태 결합 연결부가 형성되는 동안 또는 이러한 형성이 진행되는 중에, 견인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는 내부 수용된 케이블 드럼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을 위한 축방향 정지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캐리어 측 결합 윤곽은, 특히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배향된 래칭 후크를 구비한 축방향 래칭 아암 형태의 복수의 래칭 요소들을 포함한다. 캐리어 측 래칭 요소들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과의 형태 결합 연결부 내에서, 하우징 측 벽부 요소들 반대편의 플레이트 측면 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맞물린다.
캐리어 측 결합 윤곽의 적절한 일 개선예에 따라, 이러한 결합 윤곽은 특히 원통형의 복수의 동축 벽부 섹션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결합 연결부 또는 형태 결합 연결부가 형성되는 동안 또는 이러한 형성이 진행되는 중에 작용하는, 이미 내부 수용되어 있고 견인 케이블에 의해 주위가 감기는 케이블 드럼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을 위한 (축방향) 정지부는 캐리어 측에서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의 이러한 동축 벽부 섹션의 반경 방향 내부로부터 제공된다. 이러한 정지부는, 바람직하게는 둘레 측에서 중단되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을 위한 지지 윤곽으로서의 접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동축 벽부 섹션들 중 추가의, 특히 중간의 벽부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둘레 측에서 다시금 중단되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을 위한 지지 윤곽으로서의 추가 접촉면을 형성한다.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의 동축 벽부 섹션들 중 (반경 방향) 외부 벽부 섹션은 적절하게, 내부 삽입된 케이블 드럼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위한, 바람직하게는 원추형의 접촉면을 포함한다. 하우징 측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응하는) 원추형 플레이트 에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동축 벽부 섹션들 중 (반경 방향) 외부 벽부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래칭 요소들 또는 래칭 아암들을 지닌다. 이들의 래칭 후크들은 캐리어 측 결합 윤곽의 동축 벽부 섹션들을 넘어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적절하게, 내부 삽입된 케이블 드럼을 갖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은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 내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홀딩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축 벽부 섹션들 사이의 또는 캐리어 측 결합 윤곽 내의 둘레 측 리세스들 또는 축방향 그루브들이 이를 위해 제공되고, 축방향 그루브들에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방향 설정된 벽부 요소들이 특히 원주 방향(방위각 방향)으로 형태 결합식으로 맞물린다.
또한, 벽부 섹션들 내에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리세스들이 제공되고, 이러한 리세스들을 통해, 견인 케이블의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케이블 섹션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으로부터 그리고 캐리어 측 결합 윤곽으로부터 나오도록 안내되어 있거나 안내된다. 이 경우,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벽부 요소들 사이의 하우징 측 리세스들은 캐리어 측 결합 윤곽의 리세스들과 동일 평면에 놓인다.
결합 연결 또는 형태 결합 연결이 진행되는 중에, 바람직하게 캐리어 측 벽부 섹션들에 의해서는 캐리어 측 결합 윤곽 내로의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삽입 깊이가 축방향으로 제한된다. 또한, 권취되어 있는 견인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서 회전 잠금을 통해 고정된다. 캐리어 측 결합 윤곽에 의해 둘러싸인 관통 개구를 통해 케이블 드럼과 서보 구동부 또는 케이블 구동부가 결합되자마자, 케이블 드럼은 2개의 축방향들로 축방향 고정되고,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기능 캐리어에 견인 케이블을 위한 케이블 드럼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서, 견인 케이블이 이미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이어서, 내부 수용되고 견인 케이블에 의해 주위가 감기는 케이블 드럼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또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은 기능 캐리어와 특히 축방향으로, 형태 결합식으로 결합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플레이트형 기능 캐리어; 및 케이블 구동 장치; 그리고, 케이블 구동 장치와 연결되는, (차량) 윈도우 유리를 위한 종동부 기능을 갖는 레일 슬라이더들이 안내되는 2개의 안내 레일들;을 구비한 윈도우 리프트(윈도우 리프트 조립체, 윈도우 리프트 시스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도(II)를 더 큰 축척으로, 케이블 드럼이 놓여 있는, 기능 캐리어와 결합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과 함께, 캐리어 측 결합 윤곽에 래칭된, 케이블 드럼을 갖거나 케이블 드럼을 위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을 갖고, (일부가 도시된)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을 포함하는 캐리어 측면 상에 있는 케이블 드럼을 갖고, 그리고 다른 캐리어 측면 상에 있는 케이블 구동부(서보 구동부)를 갖는 케이블 구동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기능 캐리어의 일부를, 케이블 드럼과 서보 구동부(케이블 구동부) 사이의 커플링 위치 또는 커플링 인터페이스로서의 캐리어 측 관통 개구의 영역 내의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벽부 요소들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드럼 단부면에 있는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 결합 요소들을 구비한 케이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권취되어 있는 견인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드럼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을 서보 구동부를 위한 드럼 측 결합 윤곽을 갖는 수용 개구 상에서 도시한 사시 평면도이다.
도 8은 케이블 드럼과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결합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래칭 요소들을 구비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그와 래칭된 케이블 드럼(견인 케이블 없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도(II)를 더 큰 축척으로, 케이블 드럼이 놓여 있는, 기능 캐리어와 결합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과 함께, 캐리어 측 결합 윤곽에 래칭된, 케이블 드럼을 갖거나 케이블 드럼을 위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을 갖고, (일부가 도시된)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을 포함하는 캐리어 측면 상에 있는 케이블 드럼을 갖고, 그리고 다른 캐리어 측면 상에 있는 케이블 구동부(서보 구동부)를 갖는 케이블 구동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기능 캐리어의 일부를, 케이블 드럼과 서보 구동부(케이블 구동부) 사이의 커플링 위치 또는 커플링 인터페이스로서의 캐리어 측 관통 개구의 영역 내의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벽부 요소들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드럼 단부면에 있는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 결합 요소들을 구비한 케이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권취되어 있는 견인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드럼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을 서보 구동부를 위한 드럼 측 결합 윤곽을 갖는 수용 개구 상에서 도시한 사시 평면도이다.
도 8은 케이블 드럼과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의 결합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래칭 요소들을 구비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그와 래칭된 케이블 드럼(견인 케이블 없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서로 상응하는 부품들 및 변수들에는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동부 기능을 갖는 레일 슬라이더(3)들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2개의 평행한 안내 레일(2)들을 구비한, 자동차의 또는 자동차를 위한 윈도우 리프트(1), 본 실시예에서는 소위 2순위 케이블 윈도우 리프트를 도시한다. 레일 슬라이더(3)들에는 윈도우 유리(4)가 홀딩되고, 예를 들어 클램핑 고정된다. 레일 슬라이더(3)들은 견인 케이블(5)과 연결되고, 이러한 견인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편향 풀리들의 형태인 상부 편향 요소 및 하부 편향 요소(6 또는 7)를 통해 안내되고, 케이블 구동 장치(8)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동식의 케이블 구동 장치(8)의 회전 운동은, 윈도우 유리(4)가 개방 위치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케이블 구동 장치(8)는 서보 구동부 또는 케이블 구동부(9) 그리고 케이블 드럼 하우징 또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이러한 하우징 내에는 서보 구동부(9)와 결합된 케이블 드럼이 회전축(D)(도 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케이블 드럼은 레일 슬라이더(3)들과 연결된 견인 케이블(5)에 의해 주위가 감긴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방법 및 방식으로, 서보 구동부(9)는 기어 장치와 결합된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케이블 구동 장치(8)는 기능 캐리어(11) 상에 장착되고, 안내 레일(2)들은 이러한 기능 캐리어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이러한 기능 캐리어에 통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자동차 도어의 도어 모듈의 구성 부품으로서의 기능 캐리어(11)는 레일 슬라이더(3)들을 위한 안내 레일(2)들로서의, 레일 윤곽들이 내부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성형 부품일 수 있다. 또한, 편향 요소(6, 7)들은 이미 기능 캐리어(11) 내에 성형되어 있을 수 있다.
안내 레일(2)들 및 안내 레일들에서 안내되는 레일 슬라이더(3)들을 갖고, 견인 케이블(5),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및 케이블 드럼을 포함하는 케이블 구동 장치(8)를 갖는 윈도우 리프트(1)는 여기에서 그리고 하기에서 윈도우 리프트 조립체 또는 윈도우 리프트 시스템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케이블 구동 장치(8)가 내부에 배열되고 캐리어 측에 장착되는 기능 캐리어(11)의 영역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 측 고정 위치(12)들, 본 실시예에서는 별 형상으로 배열된 3개의 고정 위치(12)들이 제공되고, 이러한 고정 위치들에서는 서보 구동부(9)가 결합 저널 또는 나사 저널(13)에 의해 기능 캐리어(11)에 고정되고, 예를 들어 나사 고정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전기 모터의 모터 하우징(9a)을 볼 수 있고, 이러한 전기 모터는 케이블 구동 장치(8)의 서보 구동부(케이블 구동부)(9)의, 도 3에 도시된 기어 장치 저널 또는 회전 저널(14)과 결합된다. 서보 구동부(9)의 전기 모터는 90° 앵글 기어로서의 웜기어와 결합되고, 이러한 웜기어는 서보 구동부(9)의 기어 장치 하우징(9b) 내에 배열되고, 회전 저널(14)을 포함하거나 구동한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방법 및 방식으로, 모터 샤프트는 코일 권선 또는 모터 권선이 제공된 정류자를 지니고, 이러한 정류자는, 전류 공급되거나 전류 공급 가능한 카본 브러시에 의해 스치게 된다. 회전자와, 영구 자석으로 형성된 고정자는 냄비형 모터 하우징(9a) 내에 배열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능 캐리어(11)의, 케이블 구동부 또는 서보 구동부(9) 반대편의 (대향된) 측면 상에는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이 제공되고, 이러한 결합 윤곽 내로는 케이블 드럼(16)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또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10)이 삽입되고 래칭된다. 이를 위해,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의 래칭 요소(17)들이 제공되고, 이러한 래칭 요소들의 단부 측 래칭 후크(18)들은, 하기에 단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이라고 불리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또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10)의 베이스 플레이트(19) 위에 맞물린다. 이를 통해, 형태 결합 연결부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드럼(16)의 회전축(D) 및 이에 대해 동축인 축방향(A)에 대하여, 이 경우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과 기능 캐리어(11)의, 형태 결합식 결합 연결부로서의 기능 캐리어의 결합 윤곽(15)을 통한 축방향 형태 결합부가 형성된다.
도 3은, 외부 치형부(20)를 갖는 기어 장치 측 회전 저널(14)을 통해 서보 구동부(9)와 결합되는 케이블 드럼(16)이 내부에 수용되고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이를 위해, 케이블 드럼(16)은 서보 구동부(9)의 회전 저널(14)의 외부 치형부(20)와의 형태 결합식 결합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치형부(22) 형태의 드럼 측 결합 윤곽을 갖는 중앙 수용 개구(21)를 포함한다.
케이블 드럼(16)을 관통하는 기어 장치 측 샤프트 저널(23)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베이스 플레이트(19)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 내에 성형되는 수용부(24) 내로 안내된다.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원주 방향(U)으로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그루브(25)를 포함한다. 케이블 드럼(16)은, 드럼 몸체 또는 드럼 외피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26)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되는, 기능 캐리어(11)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결합 상태에서, 케이블 드럼(16)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에서 회전축(D)을 중심으로 2개의 회전 방향들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드럼 측 결합 요소(26)는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25)를 2개의 회전 방향들로 사실상 접촉없이 통과할 수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드럼(16)은 견인 케이블(5)에 의해 주위가 감긴다. 이를 위해, 견인 케이블(5)은 장착 상태에서, 도 1에서 27a로 표시된 인입되는 케이블 섹션 및 도 1에서 27b로 표시된 인출되는 케이블 섹션의 형성 하에, 복수의 굴곡부들을 구비한 케이블 드럼(16) 상에 권취되고, 케이블 섹션(27a, 27b)들은 편향 요소(6, 7)들을 통해 안내된다. 이를 위해, 원통형 케이블 드럼(16)은, 견인 케이블(5)이 내부에 놓이는 나선형 또는 나사형의 케이블 홈(케이블 그루브)(28)을 외피 측에 포함한다.
도 4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또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10)과의 형태 결합 연결부의 형성을 위한 기능 캐리어(11)의 결합 윤곽(15)의 영역에서의 기능 캐리어의 관련 부분도를 도시한다.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또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10) 내에 수용된 케이블 드럼(16)에 대한 서보 구동부 또는 케이블 구동부(9)의 결합이 실행되도록 하는 캐리어 측 관통 개구(29)의 둘레 측에 배열된다.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은 동축의 복수의 원통형 벽부 섹션들, 즉 반경 방향 외부 벽부 섹션(15a), 반경 방향 중간 벽부 섹션(15b) 및 반경 방향 내부 벽부 섹션(15c)을 포함한다. 중간 벽부 섹션(15b)은 내부 벽부 섹션 및 외부 벽부 섹션(15c 또는 15a)보다 더 낮은 축방향 높이를 갖는다. 또한, 외부 벽부 섹션(15a)은 내부 벽부 섹션(15b)을 넘어 돌출된다. 외부 벽부 섹션(15a)에는 래칭 후크(18)들을 갖는 래칭 아암들로서의 래칭 요소(17)들이 통합된다. 이러한 래칭 요소들은 축방향으로, 즉 회전축(D)과 동축인 축방향(A)으로 내부 벽부 섹션(15b)을 넘어 돌출된다. 중간 벽부 섹션(15b)과 내부 벽부 섹션(15c)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위한 지지면 또는 접촉면(30b 또는 30c)을 형성한다.
도 3에서 비교적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벽부 섹션(15a)은, 축방향(A)으로 캐리어 측 관통 개구(29)를 향해 테이퍼링되는 원추형 접촉면(30a)을, 바람직하게는 외부 에지 측에서 마찬가지로 원추형인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베이스 플레이트(19)에 대해 형성한다. 원주 방향(U)으로 원통 외피형 벽부 섹션(15a 내지 15c)들 사이에서는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 내에 2개의 리세스들 또는 간극(31)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리세스(31)들을 통해, 견인 케이블(5)의 인입되는 케이블 섹션 및 인출되는 케이블 섹션(27a, 27b)은 본 실시예에서 서로에 대한 대략 220° 내지 230°의 각도 하에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으로부터 나오도록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은 또한 반경 방향 내부 벽부 섹션(15c) 내에 3개의 축방향 그루브(32)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축방향 그루브(32)들 중 하나의 축방향 그루브는 리세스(31)들 중 하나의 리세스로 이어진다.
도 5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베이스 플레이트(19)를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벽부 요소(33)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벽부 요소들 사이에는 케이블 드럼(16)이 수용되어 있거나 수용된다. 벽부 요소(33)들은 원통 외피형 축방향 섹션들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벽부 요소들 사이에는 축방향 리세스들 또는 간극(34)들이 형성된다. 벽부 요소(33)들은 축방향(A)으로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벽부 요소(33)의 반경 방향 외부(하부) 벽부 영역과 반경 방향 내부(상부) 벽부 영역(33a 또는 33b) 사이에는 외측으로 링 형상 또는 링 세그먼트 형상의 접촉 칼라(35)가 형성된다. 계단 형상에 의해서는, 상응하는 벽부 요소(33)의 내측에 각각의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25)가 형성된다. 이 경우 3개의 벽부 요소(33)들로 인하여,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이러한 3개의 결합 그루브(25)들을 포함한다.
하우징 측 접촉 칼라(35)는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의 중간 벽부 섹션(15b)에 대응한다. 하우징 측 베이스 플레이트(19)는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의 내부 벽부 섹션(15c)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벽부 요소(33)들 및 베이스 플레이트(19)와, 기능 캐리어(11)의 결합 윤곽(15)은 대응하는 접촉 윤곽 또는 지지 윤곽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벽부 요소 측 접촉 칼라(35)에 의해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9)에 의해 플레이트 에지 측에서 지지면 또는 접촉면(30b, 30c)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기능부는, 견인 케이블(5)이 권취되어 있는 내부 배열된 케이블 드럼(16)과 함께 결합 연결부 또는 형태 결합 연결부의 형성 하에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 내에 삽입될 때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위한 축방향 정지부를 형성한다.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이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 내에 삽입될 때, 하우징 측 벽부 요소(33)들은 벽부 섹션(15c)의 캐리어 측 축방향 그루브(32)들에 맞물린다. 이러한 축방향 그루브들 상에서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이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열되는 반면, 케이블 드럼(16)은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케이블 드럼 상에 권취되어 있는 견인 케이블(5)이 없거나 이러한 견인 케이블을 갖는 내부 수용된 케이블 드럼(16)과 함께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도시한다. 내부 치형부(22)를 갖는 드럼 측 수용 개구(21)를 볼 수 있다. 케이블 드럼(16)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환 세그먼트 형 결합 요소(26)들은, 수용 개구(21) 반대편이고, 장착 상태에서 하우징 측 베이스 플레이트(19)를 향하는 단부면 상에 제공되고, 그곳에서 케이블 드럼(16)에 일체로 형성된다. 케이블 드럼(16)에 대한(또는 그 반대로의)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회전 운동을 통하여, 드럼 측 결합 요소(26)들은 하우징 측 결합 요소(25)들에 맞물린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케이블 드럼(16)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에서 축방향 고정된다.
도 7은 견인 케이블(5)이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 드럼(16)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도시한다. 수용 개구(21)의 영역 내에는 드럼 에지 측으로 니플 챔버(36)가 제공되고, 이러한 니플 챔버 내에는 견인 케이블(5)의 케이블 단부에 고정된 케이블 니플(37)이 위치한다. 케이블 드럼(16)이 내부 치형부(22)를 갖는 드럼 단부면 상에서, 하우징 측 수용부(24)는 케이블 드럼(16)의 드럼 측 중앙 리세스 또는 수용 윤곽(38) 내에 수용된다. 이를 통해,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에 의하여 그리고/또는 하기에 설명되는 각각의 래칭 요소(39, 40 또는 41)들에 의하여, 케이블 드럼(16)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에 반경 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변형예에 따라, 이러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과 케이블 드럼(16)의 래칭 연결부 또는 결합 연결부의 형성을 위한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 또는 이러한 복수의 래칭 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9)에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성형된 3개의 반경 방향 외부 래칭 요소(39)들이 도시된다. 이러한 반경 방향 외부 래칭 요소(39)들은, 원주 방향(U)으로 인접한 벽부 요소(33)들 사이의 하우징 측 간극(34)들 내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3개의 반경 방향 내부 래칭 요소(40)들도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래칭 요소은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19)에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성형되고, 하우징 측 간극(34)들 내에 배열된다는 것도 볼 수 있다.
또한, 단 하나의 래칭 요소(41)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슬리브형 수용부(24)에 제공될 수 있다. 그곳의 래칭 요소 또는 결합 요소(41)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 드럼(16)의 장착이 진행되는 중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방법 및 방식으로, 특히 케이블 드럼(16)의 리세스 또는 수용 윤곽(38)의 영역 내의 드럼 측 환형 그루브에 맞물린다.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래칭 요소(39, 40, 41)들의 변형예들 중 단지 하나의 변형예만을 가질 수 있거나, 래칭 요소(39, 40 및/또는 41)들의 이러한 변형예들 중 2개의 변형예들 또는 3개의 변형예들 모두를 가질 수도 있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외부 래칭 요소(39)들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로의 삽입이 진행되는 중에 래칭 연결부의 형성 하에 케이블 드럼(16)의 반경 방향 결합 요소(26)들에 의해 뒤에서 맞물린다.
장착 시에, 견인 케이블(5)이 이미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 드럼(16)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10)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드럼 측 결합 요소(26)들이 하우징 측 벽부 요소(33)들 사이의 리세스(34)들 내에 도달하므로, 이어서 케이블 드럼(16)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에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 경우 회전 운동이 진행되는 중에 드럼 측 결합 요소(26)들은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25)들 내에 도달한다.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과 케이블 드럼(16)의,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연결은 순수 삽입-회전 잠금 또는 바요넷 잠금 방식으로 실행된다. 회전 잠금을 통하여, 견인 케이블(5)이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 드럼(16)은, 특히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기능 캐리어(11)에 또는 그 위에 장착하는 것의 준비를 위하여 그리고 이러한 장착 동안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에 고정된다.
수용부(24)에 있는 래칭 요소(41)를 갖도록 또는 축방향 벽부 요소(33)들 사이에 제공된 베이스 측 래칭 요소(40 및/또는 41)들을 갖도록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이 형성될 때, 삽입이 진행되는 중에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과 케이블 드럼(16)의 래칭이 실행된다. 반경 방향 외부 래칭 요소(39)들의 경우,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럼 측 결합 요소(26)들과의 래칭이 실행된다. 이 경우, 래칭이 실행된 이후, 케이블 드럼(10)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에 축방향 고정되지만, 이러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이어서, 내부 수용되고 견인 케이블(5)에 의해 주위가 감기는 케이블 드럼(16)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또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10)은 기능 캐리어(11)와 형태 결합식으로 결합된다. 결합 연결 또는 형태 결합 연결이 진행되는 중에, 상응하는 캐리어 측 벽부 섹션(15)들에 의해서는 캐리어 측 결합 윤곽(11) 내로의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삽입 깊이가 축방향으로 제한된다.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에 의해 둘러싸인 관통 개구(29)를 통해 케이블 드럼(16)과 서보 구동부 또는 케이블 구동부(9)가 결합될 때, 케이블 드럼(16)은 2개의 축방향(A)들로 축방향 고정된다. 드럼 측 결합 요소(26)들이 2개의 회전 방향들로 원주 방향(U)으로의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25)들을 통과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음으로써,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과 캐리어 측 결합 윤곽(15)의 형태 결합 연결부 내에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의 케이블 드럼(16)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갖는 케이블 구동 장치(8)를 구비하고 기능 캐리어(11)를 구비한 윈도우 리프트 조립체로서의 또는 윈도우 리프트 시스템으로서의 윈도우 리프트(1)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는 견인 케이블(5)에 의해 주위가 감기는, 서보 구동부(9)와 결합 가능한 케이블 드럼(16)이 수용되고,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케이블 드럼(16)의 수용을 위한 벽부 요소(33)들 및 베이스 플레이트(19)를 포함하고, 기능 캐리어(11)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과의 형태 결합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결합 윤곽(15)을 포함한다.
청구된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청구된 발명의 대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개시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들도 이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특히,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개별 특징들이, 청구된 발명의 대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개시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다른 방식으로도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설명된 해결책은 특별히 도시된 적용예에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도어 시스템 및 테일게이트 시스템에서, 싱글 스트렌드 윈도우 리프트들에서, 차량 잠금 장치들에서, 조정 가능한 탑승 공간 시스템 및 내부 공간 시스템에서 그리고 전기 구동부들, 제어부들, 센서들 및 이들의 차량 내 배열체에서와 같은 여타 차량 적용예들에서 유사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1
윈도우 리프트/윈도우 리프트 조립체/윈도우 리프트 시스템
2 안내 레일
3 레일 슬라이더
4 윈도우 유리
5 견인 케이블/내부 케이블
6 상부 편향 요소
7 하부 편향 요소
8 케이블 구동 장치
9 서보 구동부/케이블 구동부
9a 모터 하우징
9b 기어 장치 하우징
10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
11 기능 캐리어
12 고정 위치
13 결합 저널/나사 저널
14 기어 장치 저널/회전 저널
15 캐리어 측 결합 윤곽
15a 외부 벽부 섹션
15b 중간 벽부 섹션
15c 내부 벽부 섹션
16 케이블 드럼
17 래칭 요소
18 래칭 후크
19 베이스 플레이트
20 외부 치형부
21 수용 개구
22 내부 치형부
23 샤프트 저널/기어 장치 저널
24 수용부
25 결합 그루브
26 결합 요소
27a 인입되는 견인 케이블 섹션
27b 인출되는 견인 케이블 섹션
28 케이블 그루브
29 관통 개구
30a 원추형 접촉면
30b 지지면/접촉면
30c 지지면/접촉면
31 캐리어 측 리세스/간극
32 축방향 그루브
33 벽부 요소
33a 외부(하부) 벽부 영역
33b 내부(상부) 벽부 영역
34 하우징 측 리세스/간극
35 접촉 칼라
36 니플 챔버
37 케이블 니플
38 리세스/수용 윤곽
39 래칭 요소
40 래칭 요소
41 래칭 요소
A 축방향
D 회전축
U 원주 방향
2 안내 레일
3 레일 슬라이더
4 윈도우 유리
5 견인 케이블/내부 케이블
6 상부 편향 요소
7 하부 편향 요소
8 케이블 구동 장치
9 서보 구동부/케이블 구동부
9a 모터 하우징
9b 기어 장치 하우징
10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케이블 드럼 하우징
11 기능 캐리어
12 고정 위치
13 결합 저널/나사 저널
14 기어 장치 저널/회전 저널
15 캐리어 측 결합 윤곽
15a 외부 벽부 섹션
15b 중간 벽부 섹션
15c 내부 벽부 섹션
16 케이블 드럼
17 래칭 요소
18 래칭 후크
19 베이스 플레이트
20 외부 치형부
21 수용 개구
22 내부 치형부
23 샤프트 저널/기어 장치 저널
24 수용부
25 결합 그루브
26 결합 요소
27a 인입되는 견인 케이블 섹션
27b 인출되는 견인 케이블 섹션
28 케이블 그루브
29 관통 개구
30a 원추형 접촉면
30b 지지면/접촉면
30c 지지면/접촉면
31 캐리어 측 리세스/간극
32 축방향 그루브
33 벽부 요소
33a 외부(하부) 벽부 영역
33b 내부(상부) 벽부 영역
34 하우징 측 리세스/간극
35 접촉 칼라
36 니플 챔버
37 케이블 니플
38 리세스/수용 윤곽
39 래칭 요소
40 래칭 요소
41 래칭 요소
A 축방향
D 회전축
U 원주 방향
Claims (12)
- 차량 유리(4)의 홀딩을 위한 레일 슬라이더(3)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2)을 위한 기능 캐리어(11) 및 케이블 구동 장치(8)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리프트(1)로서,
케이블 구동 장치(8)는 서보 구동부(9) 및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는 서보 구동부(9)와 결합 가능하고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케이블 드럼(16)이 수용되거나 수용 가능하고, 이러한 케이블 드럼은 견인 케이블(5)에 의해 주위가 감기거나 감길 수 있고,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베이스 플레이트(19) 및 복수의 벽부 요소(33)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벽부 요소들 사이에는 케이블 드럼(16)이 배열되거나 수용 가능하고, 그리고
기능 캐리어(11)는 서보 구동부(9)에 케이블 드럼(16)을 결합하기 위한 관통 개구(29)의 둘레 측에, 내부 삽입된 케이블 드럼(10)을 갖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10)과의 형태 결합 연결부의 형성을 위한 결합 윤곽(15)을 포함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1항에 있어서,
견인 케이블(5)이 이미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 드럼(16)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에 삽입되거나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케이블 드럼(16)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의 사전 장착 상태에서 이러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 내에 회전 잠금 또는 바요넷 잠금 방식으로 축방향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원주 방향(U)으로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그루브(25)를 포함하고, 그리고
케이블 드럼(16)은, 케이블 드럼(16)에 대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회전 운동을 통해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25) 내에 도달하거나 삽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결합 요소(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4항에 있어서,
케이블 드럼(16)은 서보 구동부(9)와의 결합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드럼 측 결합 윤곽(22)을 갖는 중앙 수용 개구(21)를 포함하고, 그리고
반경 방향 결합 요소(26)들은 중앙 수용 개구(21)에 대향된 케이블 드럼(16)의 단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벽부 요소(33)들은 축방향(A)으로 계단형이고, 그리고/또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베이스 플레이트(19)와 벽부 요소(33) 사이에는 사면 또는 사면의 전환부가 형성되거나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특히 반경 방향 외부 벽부 영역과 반경 방향 내부 벽부 영역(33a, 33b) 사이에서, 각각의 벽부 요소(33) 외측에는 하우징 측 접촉 칼라(35)가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벽부 요소(33) 내측에는 (하나의) 하우징 측 결합 그루브(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캐리어(11)의 결합 윤곽(15)은 복수의 래칭 요소(17)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래칭 요소들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과의 형태 결합 연결부 내에서, 벽부 요소(33)들 반대편의 플레이트 측면 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9) 위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캐리어(11)의 결합 윤곽(15)은 복수의 동축 벽부 섹션(15a, 15b, 15c)들을 포함하고,
기능 캐리어(11)의 결합 윤곽(15)의 반경 방향 내부 벽부 섹션(15c)은, 내부 삽입된 케이블 드럼(16)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벽부 요소(33)들을 위한 접촉면(30c)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기능 캐리어(11)의 결합 윤곽(15)의 반경 방향 중간 벽부 섹션(15b)은, 내부 삽입된 케이블 드럼(16)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베이스 플레이트(19)를 위한 접촉면(30b)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기능 캐리어(11)의 결합 윤곽(15)의 반경 방향 외부 벽부 섹션(15a)은, 내부 삽입된 케이블 드럼(16)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베이스 플레이트(19)를 위한 원추형 접촉면(30a)을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과 케이블 드럼(16)의 래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39, 40, 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래칭 요소(39, 40, 41)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의 수용부(24)에 그리고/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9)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삽입된 케이블 드럼(16)을 갖는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은 기능 캐리어(11)의 결합 윤곽(15) 내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리프트(1). - 특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윈도우 리프트(1)의 기능 캐리어(11)에 견인 케이블(5)을 위한 케이블 드럼(16)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견인 케이블(5)이 이미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 드럼(16)은 케이블 구동부 하우징(10) 내에 삽입되고, 그리고
내부 수용되고 견인 케이블(5)에 의해 주위가 감기는 케이블 드럼(16)을 갖는 케이블 드럼 하우징(10)은 기능 캐리어(11)와 특히 축방향으로, 형태 결합식으로 결합되는, 케이블 드럼의 장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21200084.3A DE102021200084A1 (de) | 2021-01-07 | 2021-01-07 | Fensterheber eines Kraftfahrzeugs |
DE102021200084.3 | 2021-01-07 | ||
PCT/EP2021/085583 WO2022148612A1 (de) | 2021-01-07 | 2021-12-14 | Fensterheber eines kraftfahrzeug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9062A true KR20230129062A (ko) | 2023-09-05 |
Family
ID=7918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6383A KR20230129062A (ko) | 2021-01-07 | 2021-12-14 |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트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349221A1 (ko) |
EP (1) | EP4251837A1 (ko) |
JP (1) | JP2024502841A (ko) |
KR (1) | KR20230129062A (ko) |
CN (1) | CN116783364A (ko) |
DE (1) | DE102021200084A1 (ko) |
WO (1) | WO2022148612A1 (ko)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03559B2 (ja) * | 1995-11-29 | 2003-05-06 | 矢崎総業株式会社 | 筒状体の端面へのカバー固定構造 |
US5890321A (en) * | 1996-08-05 | 1999-04-06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Window regulator mounting panel |
FR2799493B1 (fr) * | 1999-10-07 | 2001-11-23 | Sai Automotive Sal Gmbh | Ensemble comprenant une doublure interieure de portiere de vehicule et un mecanisme leve-vitre fixe a cette doublure |
FR2811038B1 (fr) * | 2000-07-03 | 2003-06-27 | Meritor Light Vehicule Sytems | Systeme d'assemblage de deux composants d'un dispositif d'activation de leve-vitre sur un support |
FR2836507A1 (fr) * | 2002-02-22 | 2003-08-29 |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 Dispositif comprenant un tambour de cable maintenu par un joint dans un carter et procede d'assemblage correspondant |
WO2005078221A1 (de) * | 2004-02-12 | 2005-08-2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 Gehäuse zur aufnahme einer seiltrommel |
DE102004061254A1 (de) * | 2004-12-20 | 2006-06-29 |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 Baugruppe mit einem Fensterheberantrieb und einer damit verbundenen Motor/Getriebe-Einheit |
DE102006033519A1 (de) * | 2006-07-17 | 2008-01-24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Gehäuse zur Lagerung eines um eine Achse drehbaren Verstellelementes einer Kraftfahrzeugverstelleinrichtung |
DE102007014935A1 (de) * | 2007-03-23 | 2008-09-2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Verstellsystem in einem Kraftfahrzeug, Träger einer solchen Antrieb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solchen Antriebsvorrichtung |
DE102007030044A1 (de) * | 2007-06-26 | 2009-01-08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Fensterheb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Fensterheberanordnung |
DE202007012996U1 (de) | 2007-09-17 | 2009-02-12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 Befestigung eines Seilantriebsgehäuses und einer Seilspannvorrichtung |
DE102008000476B4 (de) * | 2008-02-29 | 2010-12-30 |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 Fensterhebervorrichtung für einen Seilfensterheber eines Kraftfahrzeugs |
JP5173668B2 (ja) * | 2008-08-18 | 2013-04-03 | 株式会社ミツバ | 減速機構付モータ |
DE202010002223U1 (de) * | 2010-02-04 | 2011-06-09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96103 | Verstellvorrichtung mit einer Umlenkbaugruppe |
US20160036287A1 (en) * | 2014-07-31 | 2016-02-04 | Hi-Lex Controls, Inc. | Window Regulator Drive Unit |
JP6723801B2 (ja) * | 2016-04-12 | 2020-07-15 | シロキ工業株式会社 | 車両用開閉体駆動装置の組付判定方法 |
DE102016216877A1 (de) * | 2016-09-06 | 2018-03-08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m Anschlagsring für eine Seiltrommel |
DE102016216884A1 (de) * | 2016-09-06 | 2018-03-08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Antriebsvorrichtung mit akustischer Entkopplung für einen Fensterheber |
DE102016216879A1 (de) | 2016-09-06 | 2018-03-08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r Anlagestruktur an einem Trägerelement |
DE102016216876A1 (de) * | 2016-09-06 | 2018-03-08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
DE102018201023A1 (de) | 2018-01-23 | 2019-07-2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Fensterheberbaugruppe mit spannendem Ausgleichselement an einem Antriebsgehäuse für ein flexibles Zugmittel |
DE102019215367A1 (de) * | 2019-05-22 | 2020-11-26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Modulbaugruppe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und Kraftfahrzeug |
DE102020201696A1 (de) * | 2020-02-11 | 2021-08-12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Seilantriebs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
-
2021
- 2021-01-07 DE DE102021200084.3A patent/DE102021200084A1/de active Pending
- 2021-12-14 KR KR1020237026383A patent/KR20230129062A/ko unknown
- 2021-12-14 WO PCT/EP2021/085583 patent/WO2022148612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14 CN CN202180089528.9A patent/CN116783364A/zh active Pending
- 2021-12-14 JP JP2023541372A patent/JP2024502841A/ja active Pending
- 2021-12-14 EP EP21835753.1A patent/EP4251837A1/de active Pending
-
2023
- 2023-07-07 US US18/348,510 patent/US20230349221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349221A1 (en) | 2023-11-02 |
JP2024502841A (ja) | 2024-01-23 |
EP4251837A1 (de) | 2023-10-04 |
CN116783364A (zh) | 2023-09-19 |
DE102021200084A1 (de) | 2022-07-07 |
WO2022148612A1 (de) | 2022-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54203B2 (en) | Motor and brush device | |
EP1284042B2 (de) | Antriebseinheit | |
JPS58165641A (ja) | 自動車用直流電動機の取付構造 | |
CN109863674B (zh) | 具有用于将定子固定在壳体中的轴承元件的用于车窗升降器的驱动设备 | |
CN113165459B (zh) | 挂车接合器 | |
US5768942A (en) | Drive device for a movable motor vehicle part | |
RU2549270C1 (ru) | Электромотор-редуктор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 |
US5181891A (en) | Drive device for an adjustable part of a vehicle | |
EP0538495A1 (de) | Motorischer Fensterheber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 |
US10221608B2 (en) | Mechanical reducer case forming a guide rail, system for driving an opening | |
JP4563119B2 (ja) | ギアユニットおよびケーブル窓昇降システム用のモータ駆動ギアユニット | |
JP2015503042A (ja) | 自動車用ドアロック | |
EP3542449B1 (de) |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m bürstenhalter-bauteil und einem steckermodul | |
EP0860573B1 (de) | Elektromotorische Antriebsvorrichtung | |
WO2012076268A2 (de) | Elektromotorantrieb | |
EP1425842B1 (de) | Antriebseinheit mit einem elektromotor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 |
KR20230129062A (ko) |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트 | |
CN113366187A (zh) | 用于窗升降器的具有传动装置盖的驱动器设备 | |
CN102219002A (zh) | 车辆用外侧镜装置 | |
EP1145405B1 (de) | Getriebemotore | |
US10734863B2 (en) | Fastening arrangement of an electric motor and seat | |
WO2005015709A1 (de) | Getriebe-antriebseinheit | |
JP7175676B2 (ja) | モータ装置 | |
JP2019074191A (ja) | 減速機構 | |
CN118128406A (zh) | 用于机动车辆的电动马达式调节驱动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