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112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112A
KR20230128112A KR1020237026544A KR20237026544A KR20230128112A KR 20230128112 A KR20230128112 A KR 20230128112A KR 1020237026544 A KR1020237026544 A KR 1020237026544A KR 20237026544 A KR20237026544 A KR 20237026544A KR 20230128112 A KR20230128112 A KR 20230128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seat
stroller
cov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쓰 하라다
히로히코 구로이와
겐지로 사와야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8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1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에 장착된 좌석(60)과, 덮개(100)를 구비하고 있다. 좌석(60)은 배부(70)와 측방 프레임재(73)를 가진다. 측방 프레임재(73)는 배부(70) 위에 설치되어 있다. 덮개(100)는 측방 프레임재(73)에 장착되어 있다. 측방 프레임재(73)는, 덮개(100)가 접속하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를 가지고 있다. 덮개(100)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에 접속하는 덮개측 접속부(122)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유모차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유아를 승차시키는 유모차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JP2015-116938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유모차의 대부분은,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을 가지는 유모차 본체와, 유모차 본체에 설치된 좌석(座席)과, 좌석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덮개(canopy)를 가진다. 덮개는, 유모차의 좌석에 착석한 영유아를 햇살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덮개는 통상, 후각의 선단 부분 등, 유모차 본체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형 또는 원기둥형의 부재로서, 강성(剛性)이 높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유모차의 주행 중에 유모차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이 덮개에 전달되어 덮개가 파손되어 버릴 수가 있다. 그러므로, 유모차 본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덮개가 파손될 우려를 저감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유모차에서의 덮개의 장착 구조를 소형화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모차 본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덮개가 파손될 우려를 저감하면서, 유모차에서의 덮개의 장착 구조를 소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좌석으로서, 좌부(座部)와, 배부(背部)와, 상기 배부 위에 설치되고 상기 좌부 및 상기 배부와 함께 시트를 지지하는 측방 프레임재를 가지는 좌석과,
상기 측방 프레임재에 장착된 덮개
를 구비하고,
상기 측방 프레임재는, 상기 덮개가 접속하는 프레임재측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에 접속하는 덮개측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덮개가 파손될 우려를 저감하면서, 유모차에서의 덮개의 장착 구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를 전개(展開) 상태이면서 또한 배면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를 절첩(折疊)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유모차 유모차 본체를 전개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유모차 본체 및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의 좌석 및 덮개의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6은, 좌석의 유모차 본체로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 도 7은, 유지 부재의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斷面), 및 유지 부재의 받이구멍 내에 삽입된 삽입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유지 부재의 폭 방향을 따른 단면, 및 유지 부재의 받이구멍 내에 삽입된 삽입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도 5에 나타낸 지지 장치의 덮개측 접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은, 도 5에 나타낸 측방 프레임재의 프레임재측 접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덮개측 접속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프레임재측 접속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및 도 2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에 있어서, 유모차(10)는 전개 상태에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유모차(10)는 절첩 상태에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유모차 본체(20)에 장착된 좌석(60)과, 덮개(100)를 가지고 있다. 유모차 본체(20)가 상대 동작 가능한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가짐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에는 유지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유모차 본체(20)는, 이 유지 부재(50)를 통하여, 도 5에 나타내어진 좌석(60)을 착탈(着脫)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좌석(60)의 전후의 방향을 바꾸어, 즉 배면 상태와 대면 상태를 변경 가능하게 좌석(60)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0) 및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를 조종하는 조종자(유모차(10)의 이용자, 보호자)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1에서의 지면(紙面)의 왼쪽 하부과 오른쪽 상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유모차(10)를 조종하는 조종자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서의 지면의 왼쪽 하측이 유모차(10) 및 유모차 본체(20)의 전방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접지면(接地面)(G)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G)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폭 방향」이란, 가로 방향이며, 「전후 방향」및 「상하 방향」중 어디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좌석(60) 및 덮개(100)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좌석(60)에 착석한 영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5에서의 지면의 왼쪽 하부와 오른쪽 상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도 5에서의 지면의 왼쪽 하측이 좌석(60) 및 덮개(100)의 전방측이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유모차(10)에 포함되는 몇 가지의 구성 요소는, 일부의 도면에서는 나타내어져 있지만,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유모차 본체(20)에 설치된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되는 좌석(60)과, 덮개(10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유모차(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6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쿠션 시트(150)를 가지고 있다. 영유아는 쿠션 시트(150) 위에 타게 된다.
먼저,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유모차 본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른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을 가지고 있다. 유모차 본체(20)는, 하단(下端)에 전륜(33)을 포함한 전각(30)과, 하단에 후륜(38)을 포함한 후각(35)과, 핸들(40)을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전각(30), 후각(35) 및 핸들(40)에 더하여, 제1∼제3 링크 부재(21∼23)를 가지고 있다. 이들 구성 요소는, 유모차 본체(20)의 절첩 동작을 가능하게 하므로, 상대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20)에 필요한 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각(30)이나 후각(35), 핸들(40), 링크 부재(21∼23)는 예를 들면, 금속제 파이프나 강성이 높은 수지 성형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좌석(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석(60)은 영유아가 착석하는 부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60)은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기부(基部)(61)를 가지고 있다. 기부(61)에는, 유모차 본체(20)에 설치된 유지 부재(50)에 의해 지지되게 되는 피지지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기부(61) 사이에, 좌부(65) 및 배부(70)가 설치된다. 좌부(65)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영유아의 둔부에 대면하게 되는 부위이다. 좌부(65)는, 쿠션 시트(150)(도 1 참조)를 통하여 영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면(座面)을 형성한다. 배부(70)는 영유아의 등에 대면하게 되는 부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부(65)는, 한 쌍의 기부(61) 사이에 설치된 전방 프레임재(66) 및 중앙 프레임재(67)를 가지고 있다. 전방 프레임재(66)는 U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재다. 전방 프레임재(66)를 이루는 U자의 양단에 상당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기부(61)에 접속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재(66)는, 한 쌍의 기부(61)로부터 전방 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또한, 중앙 프레임재(67)는 폭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재다. 전방 프레임재(66) 및 중앙 프레임재(67)는, 예를 들면 금속제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 프레임재(66) 및 중앙 프레임재(67)에는, 좌면을 획정하는 천(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혹은, 전방 프레임재(66) 및 중앙 프레임재(67)는, 좌면을 획정하는 좌판(도시하지 않음)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좌판은 수지나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된 판형의 부재이다. 그리고, 전방 프레임재(66) 및 중앙 프레임재(67)를 생략하고, 좌판을 한 쌍의 기부(61)에 의해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좌부(65)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回動)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기부(6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방 프레임재(66)가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기부(6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좌부(65)의 전단(前端) 부분이 배부(70)에 접근하도록, 좌부(65)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좌부(65)를 배부(70)를 향하여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좌부(65)가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배부(70)는, 한 쌍의 기부(61) 사이에 설치된 후방 프레임재(71)를 가지고 있다. 후방 프레임재(71)는 U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재다. 후방 프레임재(71)를 이루는 U자의 양단에 상당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기부(61)와 접속하고 있다. 후방 프레임재(71)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후방 프레임재(7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기부(6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재(71)는, 한 쌍의 기부(61)로부터 상방 또한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다. 후방 프레임재(71)가 기부(61)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배부(70)를 좌부(65)에 대하여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 또한,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배부(70)를 좌부(65)를 향하여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배부(70)가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배부(70)는, 후방 프레임재(71)에 의해 지지되는 직물형 부재나 판형 부재를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좌석(6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부(61)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한 쌍의 측방 지지부(7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좌석(60)은, 배부(70) 위에 설치된 측방 프레임재(73)를 가지고 있다. 측방 프레임재(73)는 U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재다. 측방 프레임재(73)를 이루는 U자의 양단에 상당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측방 지지부(72)와 접속하고 있다. 측방 지지부(72)는, 폭 방향으로 평행한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측방 프레임재(73)를 지지하고 있다. 측방 프레임재(73)와 후방 프레임재(71) 사이에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재(74)가 설치되어 있다. 측방 프레임재(73)는 연결 프레임재(74)을 통하여 후방 프레임재(71) 위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프레임재(74)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재(74)는 후방 프레임재(71) 및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재(74)는 링크 부재로서 기능하고, 후방 프레임재(71) 및 측방 프레임재(73)의 한쪽의 요동에 수반하여 다른 쪽을 요동시킨다. 따라서, 배부(70)를 좌부(65)를 향하여 경사지게 하면, 측방 프레임재(73)도 좌부(65)를 향하여 경사진다. 또한, 연결 프레임재(74)는, 후방 프레임재(71)의 후방 부분과 측방 프레임재(73)의 후방 부분 사이에, 배부(70)가 누운 상태로 영유아의 두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벽부를 형성하고, 배부(70)가 일어선 상태로 영유아의 두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벽부를 형성한다.
측방 프레임재(73) 및 연결 프레임재(74)는, 좌부(65) 및 배부(70)와 함께 쿠션 시트(150)를 지지한다. 측방 프레임재(73) 및 연결 프레임재(74)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측방 프레임재(73)는 유모차 본체(20)를 구성하는 많은 구성 요소(예를 들면, 전각(30)이나, 후각(35), 링크 부재(21∼23) 등)와 비교하여 유연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2와 후술하는 도 6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좌석(60)의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는,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의 절첩 시에,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의 접지면(G)에 대하여 요동한다. 이 결과,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가 돌출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좌석(60)의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는,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의 절첩 시에, 좌부(65)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가 돌출하는 것이 자동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60)은, 각 기부(61)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나온 한 쌍의 가드 지지재(75)와, 한 쌍의 가드 지지재(75) 사이에 착탈 가능한 가드재(7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가드재(7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다음으로, 유지 부재(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한 쌍의 유지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유지 부재(50)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20)는, 이 한 쌍의 유지 부재(50)에 의해, 폭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링크 부재(21)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좌석(60)을 유지한다.
유지 부재(50)는, 좌석(60)에 설치된 피지지부(63)를 지지하는 지지부(51)와, 지지부(51)를 핸들(40)에 접속하는 접속부(55)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51)는, 상방으로 개구한 받이구멍(53), 또는, 상방으로 돌출한 삽입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피지지부(63)는, 지지부(51)의 받이구멍(53)에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돌출하는 삽입부(64), 또는, 지지부(51)의 삽입부를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개구한 받이구멍을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지지부(51)는, 상방을 향한 지지면(52)에 형성된 받이구멍(53)을 가지고 있다. 지지면(52)은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고 있다. 지지면(52)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 개구한 받이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석(60)의 피지지부(63)는 각 기부(61)에 설치되어 있다. 기부(61)는 하방을 향하는 피지지면(62)을 가지고 있다. 피지지면(62)은 지지면(52)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넓어지고 있다. 피지지면(62)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삽입부(64)가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51) 및 피지지부(63)의 구성에 의하면, 좌석(60)을 상하 방향에서의 상방으로부터 유모차 본체(20) 위에 내림으로써, 유지 부재(50)를 통하여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 위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석(60)을 내리는 것에 의해, 한 쌍의 기부(61)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삽입부(64)가, 대응하는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1)의 받이구멍(53)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기부(61)의 피지지면(62)이 유지 부재(50)의 지지면(52)과 접촉함으로써,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 위에 유지되게 된다.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지지부(51)가 피지지부(63)와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좌석(60)의 유모차 본체(20)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50)는 좌석(60)의 전후의 방향을 바꾸어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좌석(60)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도 6의 (a)에 나타내어진 영유아가 유모차(10)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하는 배면 상태와, 도 6의 (b)에 나타내어진 영유아가 유모차(10)의 조종자(보호자)와 대면하는 대면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유지 부재(50) 및 한 쌍의 기부(61)는,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덧붙여,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이구멍(53)의 전후에 지지면(52)이 넓어지고, 삽입부(64)의 전후에 피지지면(62)이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좌석(60)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4)의 선단 부분(64a)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는, 삽입부(64)의 기단 부분(64b)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작다. 도 7은,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1)의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 및 지지부(51)의 받이구멍(53) 내에 삽입된 삽입부(64)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받이구멍(53)은 이와 같은 삽입부(64)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받이구멍(53)의 상단(上端) 부분(53b)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는, 삽입부(64)의 선단 부분(64a)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크다. 이로써, 삽입부(64)를 받이구멍(53)에 꽂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64)의 기단 부분(64b) 및 선단 부분(64a)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부분은, 받이구멍(53)을 획정하는 면(53s)과 맞닿아 있다. 이러한 점에 의해서도,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고,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좌석(60)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64)의 선단 부분(64a)의 폭 방향에서의 치수는, 삽입부(64)의 기단 부분(64b)의 폭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작다. 받이구멍(53)은, 이와 같은 삽입부(64)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받이구멍(53)의 상단 부분(53b)의 폭 방향에서의 치수는, 삽입부(64)의 선단 부분(64a)의 폭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크다. 이러한 점에 의해서도, 삽입부(64)를 받이구멍(53)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도 8은, 유지 부재(50)의 지지부(51)의 폭 방향을 따른 단면, 및 지지부(51)의 받이구멍(53) 내에 삽입된 삽입부(64)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64)의 기단 부분(64b) 및 선단 부분(64a)의 폭 방향을 향하는 부분은, 받이구멍(53)을 획정하는 면(53s)과 맞닿아 있다. 이러한 점에 의해서도,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고, 유모차 본체(20)에 의해 좌석(60)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삽입부(64)는, 기단 부분(64b)과 선단 부분(64a) 사이에 중간 부분(64c)을 가진다. 삽입부(64)의 중간 부분(64c)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에서의 치수는, 기단 부분(64b)으로부터 선단 부분(64a)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또한, 받이구멍(53)은, 상단 부분(53b)와 하단 부분(53a) 사이에 중간 부분(53c)을 가진다. 받이구멍(53)의 중간 부분(53c)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에서의 치수도, 상단 부분(53b)으로부터 하단 부분(53a)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석(60)이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64)의 중간 부분(64c)은, 받이구멍(53)을 획정하는 면(53s)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즉, 삽입부(64)의 기단 부분(64b) 및 선단 부분(64a)만이, 받이구멍(53)을 획정하는 면(53s)과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64) 및 받이구멍(53)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삽입부(64) 및 받이구멍(53)의 치수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삽입부(64)의 중간 부분(64c) 및 받이구멍(53)의 중간 부분(53c)의 치수를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삽입부(64)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한 부분{기단 부분(64b)과 선단 부분(64a)}을, 받이구멍(53)을 획정하는 면(53s)과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덮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덮개(100)는, 햇살이나 비바람 등을 차단하여, 좌석(60) 위의 영유아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덮개(100)는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100)는 덮개 직물(101)과, 덮개 직물(101)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110)를 가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장치(110)는 기부재(基部材)(120)와, 기부재(1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대략 U자형의 제1 덮개 골격(131) 및 제2 덮개 골격(132)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덮개 골격(131) 및 제2 덮개 골격(132)은, 대략 가는 판형상이나 선형상의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덮개 직물(101)은 제1 덮개 골격(131) 및 제2 덮개 골격(132)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덮개 골격(131) 및 제2 덮개 골격(132)을 좌석(6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100)를 절첩 상태로 하거나, 전개 상태로 하거나 할 수 있다.
그런데, 도시와 같은 덮개에 대한 요구의 하나로서, 유모차 본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덮개(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부재)가 파손될 우려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덮개의 기부재는, 많은 경우, 후각 등, 유모차 본체의 일부를 이루는 강성이 높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유모차 본체의 강성이 높은 부재에 덮개가 접속되면, 유모차 본체에 가해진 충격은 밖으로 분산되지 않고 덮개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유모차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면, 덮개의 기부재가 파손되어 버릴 수가 있다. 혹은, 기부재가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기부재를 크게 하여 기부재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것은, 유모차에서의 덮개의 장착 구조의 치수의 증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덮개(100)는, 유모차 본체(2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기부재(120)가 파손될 우려를 억제하면서, 유모차(10)에서의 덮개(100)의 장착 구조를 소형화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하, 덮개(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먼저, 덮개 직물(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덮개 직물(101)은, 햇살이나 비바람을 차단할 수 있 유연한 재료, 예를 들면 직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덮개 직물(101)에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광, 통기, 투시 등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덮개 직물(101)의 일부분이 메쉬 소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덮개 직물(101)은 발수성(撥水性), 방수성, 내수성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덮개 직물(101)은, 도 1에 나타낸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영역과, 도 1에 나타낸 전개 상태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영역과,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의 영역인 중간 영역을 가진다. 덮개 직물(101)의 중간 영역은 제1 덮개 골격(131)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덮개 직물(101)의 전방 영역은 제2 덮개 골격(132)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덮개 직물(101)의 후방 영역은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쿠션 시트(15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덮개 골격(131) 및 제2 덮개 골격(132)의 좌석(60)에 대한 전후 방향의 요동에 따라, 덮개 직물(101)은 펴지거나, 또는 접힌다.
그리고, 덮개(10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덮개 직물(101)이 망가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심재(芯材)(134)가 덮개 직물(101)에 꿰매어 부착되거나 또는 덮개 직물(101)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보조 심재(134)는 예를 들면, 제1 덮개 골격(131) 및 제2 덮개 골격(132)보다 유연성이 풍부한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심재(134)는 기부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점에 있어서, 덮개 골격(131, 132)과 구별된다.
다음으로, 기부재(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재(120)는, 한 쌍의 접속 부재(121)와, 접속 부재(121)에 추착(樞着)한 한 쌍의 제1 지지 부재(128)와, 제1 지지 부재(128)에 추착한 제2 지지 부재(129)를 가진다. 각 제1 지지 부재(128)는, 제1 덮개 골격(131)의 대응하는 단부(端部)를 유지한다. 또한, 각 제2 지지 부재(129)는, 제2 덮개 골격(132)의 대응하는 단부를 유지한다. 접속 부재(121)와 제1 지지 부재(128)와 제2 지지 부재(129)는, 폭 방향을 따른 회전 축선의 주위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1 덮개 골격(131)을 좌석(6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제1 지지 부재(128)가 접속 부재(121)에 대하여 회전한다. 또한, 제2 덮개 골격(132)을 좌석(6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제2 지지 부재(129)가 접속 부재(121) 및/또는 제1 지지 부재(128)에 대하여 회전한다. 접속 부재(121), 제1 지지 부재(128) 및 제2 지지 부재(129)는 각각 수지 성형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 부재(12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측 접속부(122)를 가지고 있다. 덮개측 접속부(122)가 좌석(60)의 측방 프레임재(73)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유모차(10)에 덮개(100)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덮개측 접속부(122)는, 측방 프레임재(73)에 형성된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에 접속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는 U자의 측방 프레임재(73)의 양단 부분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는, 상방으로 개구한 접속구멍(141), 또는, 상방으로 돌출한 접속돌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측 접속부(122)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접속구멍(141)에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돌출하는 접속돌기(124), 또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접속돌기를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개구한 접속구멍을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프레임재측 접속부(140)는, 상방을 향한 지지면(140a)에 형성된 접속구멍(141)을 가지고 있다. 한편, 덮개측 접속부(122)는, 하방을 향하는 피지지면(121a)와, 피지지면(121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접속돌기(124)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및 덮개측 접속부(122)에 의하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접속구멍(141)에 덮개측 접속부(122)의 접속돌기(124)를 삽입하고, 덮개측 접속부(122)의 피지지면(121a)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지지면(140a)에 접촉함으로써, 덮개(100)가 좌석(60)의 측방 프레임재(73) 위에 유지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방 프레임재(73)는, 유모차 본체(20)를 구성하는 많은 구성 요소(예를 들면, 전각(30)이나, 후각(35), 링크 부재(21∼23) 등)와 비교하여 유연하다. 이와 같은 측방 프레임재(73)에 덮개(100)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 본체(20)에 가해진 충격을, 좌석(60)의 측방 프레임재(73)와 덮개(100)의 기부재(120)에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써, 기부재(120)가 파손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기부재(120){덮개측 접속부(122)}는 종래보다 낮은 충격을 견딜 수 있으면 되므로, 기부재(120){덮개측 접속부(122)}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유모차(10)에서의 덮개(100)의 장착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는, 유모차 본체(20)는 절첩 가능하다. 그리고, 유모차 본체(20)의 절첩 시에, 유모차 본체(20)에 유지된 좌석(60)의 좌부(65) 및 배부(70)가, 유모차 본체(20)의 접지면(G)에 대하여 요동한다. 덮개(100)가 장착된 측방 프레임재(73)는, 배부(70)에 추종하여 접지면(G)에 대하여 요동한다. 그러므로,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덮개(100)가 접지면(G)에 대하여 요동한다. 이 결과,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가 돌출하는 것이 억제되는 동시에, 덮개(100)가 돌출하는 것도 억제된다. 그리고,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는 좌부(6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를 좌부(65)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덮개(100)도 좌부(65)에 대하여 요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를 좌부(65)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가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덮개(100)가 돌출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좌석(60)의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는,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의 절첩 시에, 좌부(65)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덮개(100)도, 유모차(10){유모차 본체(20)}의 절첩 시에, 좌부(65)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요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유모차(10)의 절첩 시에,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덮개(100)가 돌출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접속돌기(12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돌기(124)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제3 접속돌기(125∼127)를 가진다. 또한, 접속구멍(14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돌기(124) 및 접속구멍(141)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좌석(60)에 대하여 덮개 골격(131, 132)을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킬 때, 덮개측 접속부(122)의 전단 부분 또는 후단 부분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전단 부분 또는 후단 부분에 접촉한다. 이로써,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의 주위를 기부재(120)가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회전할 우려(즉 측방 프레임재(73)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및 덮개측 접속부(122)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및 덮개측 접속부(122)의 전방 부분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하는 전방 고정 수단(145)과,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및 덮개측 접속부(122)의 후방 부분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하는 후방 고정 수단(146)을 가진다. 이로써, 덮개측 접속부(122)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에 고정된다. 이로써, 좌석(60)에 대하여 덮개 골격(131, 132)을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킬 때,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의 주위를 기부재(120)가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회전할 우려(즉 측방 프레임재(73)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측 접속부(122)는, 피지지면(121a)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1 접속돌기(125)와, 피지지면(121a)의 후방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2 접속돌기(126)를 가진다. 제1 접속돌기(125)의 선단 부분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걸어맞춤돌기(14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접속돌기(126)의 선단 부분에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2 걸어맞춤돌기(146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에는, 제1 접속돌기(125)의 제1 걸어맞춤돌기(145a)를 받는 제1 걸어맞춤구멍(14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후방을 향하는 부분에는, 제2 접속돌기(126)의 제2 걸어맞춤돌기(146a)를 받는 제2 걸어맞춤구멍(146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걸어맞춤돌기(145a)가 제1 걸어맞춤구멍(145b)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및 덮개측 접속부(122)의 전방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된다. 즉, 제1 걸어맞춤돌기(145a)와 제1 걸어맞춤구멍(145b)에 의해, 전방 고정 수단(145)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걸어맞춤돌기(146a)가 제2 걸어맞춤구멍(146b)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및 덮개측 접속부(122)의 후방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된다. 즉, 제2 걸어맞춤돌기(146a)와 제2 걸어맞춤구멍(146b)에 의해, 후방 고정 수단(146)이 형성된다.
제1 접속돌기(125) 및 제2 접속돌기(126)는 전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전후 방향으로 굴곡한다. 따라서, 덮개(100)를 측방 프레임재(73)에 장착할 때는, 덮개측 접속부(122)의 접속돌기(124)를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접속구멍(141)에 삽입하면, 접속구멍(141)을 획정하는 면(141s)에 의해 제1 걸어맞춤돌기(145a)가 후방을 향하여 눌리고, 또한, 제2 걸어맞춤돌기(146a)가 전방을 향하여 눌린다. 이로써, 제1 접속돌기(125)가 탄성변형되어 후방으로 굴곡하고, 또한 제2 접속돌기(126)가 탄성변형되어 전방으로 굴곡한다. 그리고, 제1 걸어맞춤돌기(145a) 및 제2 걸어맞춤돌기(146a)가 각각 제1 걸어맞춤구멍(145b) 및 제2 걸어맞춤구멍(146b)에 대면하는 위치에 접속돌기(124)가 도달하면, 제1 접속돌기(125) 및 제2 접속돌기(126)는, 그 복원력에 의해 굴곡 전의 자세로 되돌아가고, 제1 걸어맞춤돌기(145a) 및 제2 걸어맞춤돌기(146a)가 각각 제1 걸어맞춤구멍(145b) 및 제2 걸어맞춤구멍(146b)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덮개(100)를 측방 프레임재(73)로부터 분리해 낼 때는, 제1 걸어맞춤구멍(145b)을 통하여 노출되는 제1 걸어맞춤돌기(145a)를 후방을 향하여 누름으로써, 제1 접속돌기(125)가 탄성변형되어 후방으로 굴곡하고, 제1 걸어맞춤돌기(145a)가 제1 걸어맞춤구멍(145b)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로써, 전방 고정 수단(145)에 의한 제1 접속돌기(125)와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또한, 제2 걸어맞춤구멍(146b)을 통하여 노출되는 제2 걸어맞춤돌기(146a)를 전방을 향하여 누름으로써, 제2 접속돌기(126)가 탄성변형에 의해 전방으로 굴곡하고, 제2 걸어맞춤돌기(146a)가 제2 걸어맞춤구멍(146b)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로써, 후방 고정 수단(146)에 의한 제2 접속돌기(126)와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제1 접속돌기(125) 및 제2 접속돌기(126)와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접속돌기(124)를 접속구멍(141)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접속돌기(124)는 제1 접속돌기(125) 및 제2 접속돌기(126) 사이에 있어서, 피지지면(121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3 접속돌기(127)를 가진다. 제3 접속돌기(127)는 폭 방향으로 움패인 오목부(127a)를 가진다. 오목부(127a)는 제3 접속돌기(127)의 기단 부분으로부터 선단 부분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에는, 접속구멍(141) 내를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47)를 가진다. 볼록부(147)는, 접속구멍(141)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접속구멍(141)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하단 부분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돌기(124)가 접속구멍(141)에 삽입되면, 볼록부(147)는 오목부(127a)에 꼭 끼이고, 접속돌기(124)를 접속구멍(141) 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덮개측 접속부(122) 및 프레임재측 접속부(140)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돌기(124)는 탄성변형에 의해 폭 방향으로 굴곡되는 설부(舌部)(148)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설부(148)의 폭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돌기(148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돌기(124)가 삽입되는 접속구멍(141)이 형성된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또는 덮개측 접속부(122)에는, 걸어맞춤돌기(148a)가 끼워넣어지는 걸어맞춤구멍(149)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걸어맞춤구멍(149)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걸어맞춤돌기(148a)가 걸어맞춤구멍(149)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덮개측 접속부(122)와 프레임재측 접속부(140)가 걸어맞추어진다. 즉, 걸어맞춤돌기(148a)와 걸어맞춤구멍(149)에 의해 고정 수단이 형성된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돌기(148a)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구멍(149)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좌석(60)에 대하여 덮개 골격(131, 132)을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킬 때,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의 주위를 기부재(120)가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회전할 우려(즉 측방 프레임재(73)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설부(148)는, 그 상단부에 압압력(押壓力)을 가함으로써, 탄성변형되어 폭 방향으로 굴곡한다. 따라서, 덮개(100)를 측방 프레임재(73)에 장착할 때는, 접속돌기(124)를 접속구멍(141)에 삽입하면, 접속구멍(141)을 획정하는 면(141s)에 의해 걸어맞춤돌기(148a)가 폭 방향을 향하여 눌리고, 설부(148)가 탄성변형되어 폭 방향으로 굴곡한다. 그리고, 걸어맞춤돌기(148a)가 걸어맞춤구멍(149)에 대면하는 위치에 접속돌기(124)가 도달하면, 설부(148)는 그 복원력에 의해 굴곡 전의 자세로 되돌아가고, 걸어맞춤돌기(148a)가 걸어맞춤구멍(149)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덮개(100)를 측방 프레임재(73)로부터 분리해 낼 때는, 설부(148)의 상단부를 폭 방향으로 가압하여 굴곡시킴으로써, 걸어맞춤돌기(148a)가 걸어맞춤구멍(149)으로부터 빠져 나간다. 이로써, 접속돌기(124)와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접속돌기(124)를 접속구멍(141)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20)와, 유모차 본체(20)에 장착된 좌석(60)과, 덮개(100)를 구비하고 있다. 좌석(60)은 좌부(65)와, 배부(70)와, 측방 프레임재(73)를 가진다. 측방 프레임재(73)는 배부(70) 위에 설치되고, 좌부(65) 및 배부(70)와 함께 시트(150)를 지지한다. 덮개(100)는 측방 프레임재(73)에 장착되어 있다. 측방 프레임재(73)는, 덮개(100)가 접속하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를 가지고 있다. 덮개(100)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에 접속하는 덮개측 접속부(122)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 의하면, 비교적 유연한 측방 프레임재(73)에 덮개(100)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유모차 본체(20)에 가해진 충격은 측방 프레임재(73)와 덮개(100)에 분산된다. 이로써, 상기 충격에 의해 덮개(100){특히 덮개측 접속부(122)}가 파손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덮개측 접속부(122)는 종래보다 낮은 충격에 견딜 수 있으면 되므로, 덮개측 접속부(122)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유모차(10)에서의 덮개(100)의 장착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는, 상방으로 개구한 접속구멍(141), 또는, 상방으로 돌출한 접속돌기를 가지고 있다. 덮개측 접속부(122)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접속구멍(141)에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돌출한 접속돌기(124), 또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접속돌기를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개구한 접속구멍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접속구멍(141)에 덮개측 접속부(122)의 접속돌기(124)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혹은,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접속돌기를 덮개측 접속부(122)의 접속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덮개(100)를 측방 프레임재(73)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속돌기(124) 및 접속구멍(14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덮개 골격(131, 132)을 요동시킬 때(즉 덮개(100)를 개폐할 때), 덮개측 접속부(122)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가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에 접촉한다. 이로써, 덮개(100)가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회전할 우려(즉 측방 프레임재(73)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및 덮개측 접속부(122)는,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및 덮개측 접속부(122)의 전방 부분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하는 전방 고정 수단(145)과, 프레임재측 접속부(140) 및 덮개측 접속부(122)의 후방 부분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하는 후방 고정 수단(146)을 가진다. 이로써, 덮개측 접속부(122)의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에 고정된다. 이 결과,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덮개 골격(131, 132)을 요동시킬 때(즉 덮개(100)를 개폐할 때), 덮개(100)가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회전할 우려(즉 측방 프레임재(73)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하면, 프레임재측 접속부(14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구멍(149), 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돌기를 가지고 있다. 덮개측 접속부(12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걸어맞춤구멍(149)에 끼워넣어지는 걸어맞춤돌기(148a), 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레임재측 접속부(140)의 걸어맞춤돌기가 끼워넣어지는 걸어맞춤구멍을 가진다. 이로써,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덮개 골격(131, 132)을 요동시킬 때(즉 덮개(100)를 개폐할 때), 덮개(100)가 측방 프레임재(73)에 대하여 회전할 우려(즉 측방 프레임재(73)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20)는 절첩 가능하다.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는 좌부(6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다. 이로써, 유모차 본체(20)를 접었을 때,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를 좌부(65)에 대하여 요동시켜,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가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100)는 측방 프레임재(73)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를 좌부(65)에 대하여 요동시키는 것에 따라, 덮개(100)도 좌부(65)에 대하여 요동한다. 따라서,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를 좌부(65)에 대하여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덮개(100)가 돌출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20)는 절첩 가능하다. 또한, 유모차 본체(20)의 절첩 시에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는, 유모차 본체(20)의 접지면(G)에 대하여 요동한다. 이로써,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가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100)는 측방 프레임재(73)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가 접지면(G)에 대하여 요동시키는 것에 따라, 덮개(100)도 접지면(G)에 대하여 요동한다. 따라서, 배부(70) 및 측방 프레임재(73)를 접지면(G)에 대하여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에서 볼 때, 유모차 본체(20)로부터 덮개(100)가 돌출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접힌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좌석(60)은, 유모차 본체(20)에 설치된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된다. 유지 부재(50)는 상방으로 개구한 받이구멍(53)을 가지고 있다. 좌석(60)은 기부(61)와, 기부(61)에 설치된 좌부(65) 및 배부(70)와, 기부(6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삽입부(64)를 가지고 있다. 삽입부(64)는, 유지 부재(50)의 받이구멍(53)에 삽입 가능하다. 삽입부(64)의 선단 부분(64a)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는, 삽입부(64)의 기단 부분(64b)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작다. 이로써, 삽입부(64)를 받이구멍(53)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하면, 좌석(60)은 유모차 본체(20)에 설치된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된다. 유지 부재(50)는 상방으로 돌출한 삽입부를 가지고 있다. 좌석(60)은 기부(61)와, 기부(61)에 설치된 좌부(65) 및 배부(70)와, 기부(61)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구하는 받이구멍을 가지고 있다. 받이구멍은 삽입부를 삽입 가능하다. 삽입부의 선단 부분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는, 삽입부의 기단 부분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작다. 이로써, 삽입부를 받이구멍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삽입부(64)는, 기단 부분(64b)과 선단 부분(64a)을 접속하는 중간 부분(64c)을 가지고 있다. 좌석(60)이 유지 부재(50)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기단 부분(64b) 및 선단 부분(64a)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부분은, 받이구멍(53)을 획정하는 면(53s)과 맞닿고, 중간 부분(64c)은 받이구멍(53)을 획정하는 면(53s)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이로써, 삽입부(64) 및 받이구멍(53)의 치수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삽입부(64)의 중간 부분(64c) 및 받이구멍(53)의 중간 부분(53c)의 치수를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삽입부(64)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한 부분{기단 부분(64b)과 선단 부분(64a)}을, 받이구멍(53)을 획정하는 면(53s)과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좌석(60) 및 유모차 본체(20)의 상대 회전에 의한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해 온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삽입부(64)의 선단 부분(64a)의 폭 방향에서의 치수는, 삽입부(64)의 기단 부분(64b)의 폭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작다. 이로써, 삽입부(64)를 받이구멍(53)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좌석(60)을 유모차 본체(20)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의 변형예를 설명해 왔으나,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유모차, 20: 유모차 본체, 21: 제1 링크 부재, 22: 제2 링크 부재, 23: 제3 링크 부재, 30: 전각, 35: 후각, 40: 핸들, 50: 유지 부재, 53: 받이구멍, 60: 좌석, 64: 삽입부, 64a: 선단 부분, 64b: 기단 부분, 65: 좌부, 70: 배부, 73: 측방 프레임재, 122: 덮개측 접속부, 124: 접속돌기, 140: 프레임재측 접속부, 141: 접속구멍, 145: 전방 고정 수단, 146: 후방 고정 수단

Claims (10)

  1. 유모차 본체;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좌석으로서, 좌부와, 배부(背部)와, 상기 배부 위에 설치되고 상기 좌부(座部) 및 상기 배부와 함께 시트를 지지하는 측방 프레임재를 가지는 좌석(座席); 및
    상기 측방 프레임재에 장착된 덮개(canopy);
    를 구비하고,
    상기 측방 프레임재는, 상기 덮개가 접속하는 프레임재측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에 접속하는 덮개측 접속부를 가지고 있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는, 상방으로 개구한 접속구멍, 또는, 상방으로 돌출한 접속돌기를 가지고,
    상기 덮개측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의 접속구멍에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돌출한 접속돌기, 또는,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의 접속돌기를 삽입 가능한 하방으로 개구한 접속구멍을 가지고 있는, 유모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 및 상기 덮개측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 및 상기 덮개측 접속부의 전방 부분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하는 전방 고정 수단과,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 및 상기 덮개측 접속부의 후방 부분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하는 후방 고정 수단을 가지는, 유모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구멍, 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돌기를 가지고,
    상기 덮개측 접속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의 상기 걸어맞춤구멍에 끼워넣어지는 걸어맞춤돌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재측 접속부의 걸어맞춤돌기가 끼워넣어지는 걸어맞춤구멍을 가지는, 유모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절첩(折疊) 가능하고,
    상기 배부 및 상기 측방 프레임재는, 상기 좌부에 대하여 요동 가능한, 유모차.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절첩 가능하고,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절첩 시에 상기 배부 및 상기 측방 프레임재는,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접지면(接地面)에 대하여 요동하는, 유모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설치된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방으로 개구한 받이구멍을 가지고,
    상기 좌석은,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에 설치된 좌부 및 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유지 부재의 받이구멍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의 선단 부분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는, 상기 삽입부의 기단 부분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작은, 유모차.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설치된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방으로 돌출한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좌석은, 기부와, 상기 기부에 설치된 좌부 및 배부와, 상기 기부에 형성된 받이구멍으로서, 하방으로 개구하고 상기 삽입부를 삽입 가능한 받이구멍을 가지고,
    상기 삽입부의 선단 부분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는, 상기 삽입부의 기단 부분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작은, 유모차.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기단 부분과 상기 선단 부분을 접속하는 중간 부분을 가지고,
    상기 좌석이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단 부분 및 상기 선단 부분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부분은, 상기 받이구멍을 획정하는 면과 맞닿고,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받이구멍을 획정하는 면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유모차.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선단 부분의 폭 방향에서의 치수는, 상기 삽입부의 기단 부분의 폭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작은, 유모차.
KR1020237026544A 2021-03-23 2021-03-23 유모차 KR202301281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12084 WO2022201333A1 (ja) 2021-03-23 2021-03-23 乳母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112A true KR20230128112A (ko) 2023-09-01

Family

ID=8044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544A KR20230128112A (ko) 2021-03-23 2021-03-23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90954B1 (ko)
KR (1) KR20230128112A (ko)
CN (1) CN116897123A (ko)
WO (1) WO20222013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598Y2 (ko) * 1986-12-24 1992-02-10
JPH04154478A (ja) * 1990-10-16 1992-05-27 Konbi Kk ベビーカー等の座席構造
ES1062192Y (es) * 2006-02-14 2006-08-16 Jane Sa Dispositivo para el acoplamiento de asientos y analogos en el chasis de cochecitos infantiles
CN201042969Y (zh) * 2007-02-07 2008-04-02 林美伶 婴儿车座体框架与主架体结合构造
JP5194294B2 (ja) * 2007-04-27 2013-05-08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乳幼児用ベッドの支持構造
JP6479384B2 (ja) * 2014-09-22 2019-03-06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6858404B2 (ja) * 2017-08-30 2021-04-14 コンビ株式会社 幌およびカ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01333A1 (ko) 2022-09-29
JP6990954B1 (ja) 2022-01-14
CN116897123A (zh) 2023-10-17
WO2022201333A1 (ja)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3891B1 (en) Child seat and belt system
JP423451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7114743B2 (en) Foldable baby carriage
US8348340B2 (en) Seat structure
KR102393208B1 (ko) 절첩식 유모차
TW201618991A (zh) 嬰兒車
US7140634B2 (en) Foldable baby carriage
EP1442680B1 (en) Seat hammock for a child
US20040195879A1 (en) Child car seat having an adjustable armrest
KR20230128112A (ko) 유모차
KR20070037347A (ko) 유모차의 핸들
JP2007098996A (ja)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TWI752337B (zh) 嬰兒車
EP0519857B1 (en) Seat for children's pushchair
EP1470952A1 (en) Infant vehicle seat
KR102331278B1 (ko) 유모차
KR20180081447A (ko) 어린이 지지 장치
JP4421245B2 (ja) 乳幼児用シート
WO2005012032A1 (en) A car safety seat for a young child
CN107380242B (zh) 婴儿车
KR20230128148A (ko) 유모차
KR101710675B1 (ko) 요람 어셈블리
CN112606932B (zh) 自行车用儿童座椅
JP6910665B1 (ja) 育児器具およびガード装置
JP6976603B2 (ja) 乳母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