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675B1 - 요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요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675B1
KR101710675B1 KR1020150040546A KR20150040546A KR101710675B1 KR 101710675 B1 KR101710675 B1 KR 101710675B1 KR 1020150040546 A KR1020150040546 A KR 1020150040546A KR 20150040546 A KR20150040546 A KR 20150040546A KR 101710675 B1 KR101710675 B1 KR 101710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by
fastening
sw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297A (ko
Inventor
권희자
Original Assignee
권희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희자 filed Critical 권희자
Priority to KR102015004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6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신생아가 사용하는 요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본체에 구비되되 안착수단이 결합되는 제2 본체를 구비하되, 상기 제2 본체는 제1 본체로부터 스윙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 또는 신생아가 안착수단에 눕혀졌을 때 편안함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제2 본체로부터 경사각이 조절하여, 요람으로서의 기능을 할 때, 수유를 할 때, 트림을 유도할 때 등 각각의 상황에 따라 유아 또는 신생아의 자세를 편안하게 바꿀 수 있는 요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요람 어셈블리{CRADLE ASSEMBLY}
본 발명은 유아, 신생아가 사용하는 요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본체에 구비되되 안착수단이 결합되는 제2 본체를 구비하되, 상기 제2 본체는 제1 본체로부터 스윙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 또는 신생아가 안착수단에 눕혀졌을 때 편안함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제2 본체로부터 경사각이 조절하여, 요람으로서의 기능을 할 때, 수유를 할 때, 트림을 유도할 때 등 각각의 상황에 따라 유아 또는 신생아의 자세를 편안하게 바꿀 수 있는 요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람은, 바구니 형태로 젖먹이(신생아, 유아)를 태우고 흔들어 놀게 하거나 잠재우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요람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184114호 『전동식요람』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바스켓이 매달려지는 프레임 자체를 요람의 폭방향쪽으로 전,후진 왕복운동시키면서 미동되게 하여 프레임의 운동방향이 바뀔 때마다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바스켓을 요동되게 한 전동식 요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4-0028265호 『다용도 요람』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한쌍씩의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의 연결구조로서 베이스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의자제2 본체가 지지되면서 베이스프레임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는 지지바가 제1피봇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제2피봇을 통하여 위치결정바가 연결되어 세로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가이드바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접철이 가능토록 하면서 의자의 높이가 조절되는 다용도 요람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88680호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요람용 침대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밑면을 좌,우로 스윙이 되도록 곡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지지판은 항시 중심점으로 복귀하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작은 구동력으로도 2개의 작동레버를 통해 요람용 침대가 그네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지지판의 곡면을 따라 좌, 우로 스윙을 함에 있어서 모터의 작은 구동력만으로도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윙 작동이 부드럽고 안정감이 있으며 스윙이 원활한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525953호 『안전장치가 있는 자동스윙요람』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스탭핑모터를 구동하는 입력배선에 누전차단기를 장치하고, 이 누전차단기는 콘트롤러에 연결하여 작동시간 및 작동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콘트롤러에서 주입력배선을 요람 밖으로 뽑아 플러그를 외부로 돌출시켜 놓고, 콘트롤러의 측면에는 전기배선을 이용하여 충전기를 연결하되 충전기는 볼트에 의해 쉽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치하고, 콘트롤러의 또 다른 입출력선의 끝단에는 위치감지센서를 브라켓에 장치하여 요람조립체의 연결볼와 일직선상에 있는 중심선상에 위치하게 하였으며, 요람조립체의 측면에는 스윙각의 허용 최대값을 선정 후 그 선정값에 해당하는 위치 면에 아이마크를 각각 장치하여 스윙요람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있는 자동스윙요람을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기의 수면 등을 유도하기 위한 요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아이에게 수유를 하는 경우, 아이의 트림을 유도하는 경우에 아기의 자세를 달리하여야 하는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요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아기를 눕히고, 스윙 운동 등을 통하여 아기를 편안하게 해 줄 수는 있으나, 수유 및 트림유도를 위해 자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아기를 안는 등 요람에서 아기를 들어 올려야 하여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요람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본체에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스윙 운동이 가능한 제2 본체를 구비하되, 상기 제2 본체에는 제2 본체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수단을 구비하여 요람, 수유, 트림유도에 따라 아기를 눕히는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요람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본체에 가림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가림수단에 자바라 형식으로 연장가능하게 형성되어 젖병이 결합되는 홀딩부재를 더 구비함에 따라 안착수단의 각도를 변화시켜 수유 하는 경우에 아기가 젖병을 손쉽게 물 수 있도록 하여 안정감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직접 젖병을 잡을 필요가 없는 요람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홀딩부재와 가림수단을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통하여 홀딩부재가 상기 가림수단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요람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는
하부에 평탄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스윙부가 형성되는 제1 본체;
상기 스윙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에 결합되어 유아를 눕힐 수 있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안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본체에는 상기 안착수단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본체에는 가림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가림수단은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굴절 형성되는 가림부재와, 상기 가림부재 단부에 결합되는 홀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는 제1 본체에 스윙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본체로 인하여 아기를 눕혔을 때 자연스럽게 스윙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아기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제2 본체에 아기가 눕혀지는 안착수단을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요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수유를 하기 위한 경우, 트림을 유도하기 위한 경우에 따라 아기가 눕혀지는 경사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수유 및 트림 유도를 보다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본체에 가림수단을 더 구비하여 아기를 외부 자극(조명의 빛 등)으로부터 아기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림수단에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져 젖병이 결합되는 홀딩부재를 더 구비함에 따라 안착수단의 각도를 변화시켜 수유 하는 경우에 아기가 젖병을 손쉽게 물 수 있도록 하여 안정감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직접 젖병을 잡을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의 안착수단 및 각도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A)는 제1 본체(10)와, 상기 제1 본체(10) 상부에 구비되는 제2 본체(20) 및 상기 제2 본체(20)에 결합되어 유아(젖먹이와 같이 요람에 탑승하는 아이를 칭하는 것으로 한다.)가 눕혀질 수 있는 안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받침수단은 집안에 안정적으로 놓여 질수 있도록 하부에 평탄부(11)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평탄부(11)로부터 양측으로 곡선부(13)를 형성하여 바구니 형상으로 내부에 스윙부(15)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에 스윙부(15)를 형성하는 바구니 형상의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제1 본체(10)의 스윙부(15)에는 안착수단(30)이 결합되는 제2 본체(20)가 결합되어 있는데, 안착수단(30)과 제2 본체(20)의 결합에 대하여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고, 먼저 제2 본체(20)는 상기 스윙부(15)에 스윙부재(19)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본체(20)는 후술하는 안착수단(30)이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부(21)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본체(20)의 상단(아기의 머리가 놓여지는 방향)에는 보호부(2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부(25)는 상기 제2 본체(2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기가 ??■??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안전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상기 제2 본체(20)는 상기 제1 본체(10)에 스윙결합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본체(20)를 스윙시키기 위하여 스윙결합부재가 구비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요람에 아기가 눕혀지는 경우에는 아기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요람을 흔들게 되고, 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 분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스윙결합부재는 상기 제1 본체(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91)과, 상기 지지프레임(191)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윙돌기(193) 및 상기 제1 본체(10)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윙돌기(193)가 내삽되는 스윙홈(19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도 2 의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체의 양측에는 지지프레임(191)이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91)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스윙돌기(193)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본체(20)의 양측에는 스윙홈(195)이 형성되어 잇으며, 상기 스윙돌기(193)가 상기 스윙홈(195)에 안착되어 제2 본체(20)가 제1 본체(10)에 결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윙돌기(19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 본체(20)가 제1 본체(10) 내에서 스윙돌기(193) 및 스윙홈(195)을 축으로 회전(스윙;swing)운동을 할 수 있어 후술하는 상기 제2 본체(20)에 결합되는 안착수단(30)에 눕혀진 아기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본체(20)의 공간부(21)에는 안착수단(30)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안착수단(3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상기 안착수단(30)은 아기를 눕힐 수 있는 안착부(31)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착부(31)는 아기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헤드부(311)와, 아기의 몸을 받치는 바디부(313) 및 아기의 다리를 받치는 레그부(315)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안착부(31)가 형성돈 안착수단(30)은 쿠션감이 좋은 가죽 침구류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아기가 편안하게 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수단(30)은 상기 제2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 본체(20)와의 경사각(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재(23)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아기가 안정감을 갖고 누워 있기 위해서는(요람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안착수단(30)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기에게 수유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기의 머리가 위로 올라가도록 약간의 기울임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수유가 끝난 뒤 아기의 트림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아기를 안고 아기가 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세를 교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아기의 눕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각도조절부재(23)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3)는 상기 제2 본체(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31)와 상기 구동모터(23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233), 상기 구동축(233)의 단부에 구비되는 톱니부재(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수단(3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톱니부재(235)가 결합되는 톱니홉(237)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수단(30)에는 톱니모양의 톱니홉(2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홉(237)에 톱니부재(235)가 결합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233) 및 톱니부재(235)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안착수단(30)이 회전하여 안착수단(3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본체(10)의 외면에는 이러한 요람의 기능을 위한 경사각을 형성하는 버튼, 수유를 위한 경사를 형성하는 버튼, 트림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각을 형성하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제어부(17)가 구비되어 있어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안착수단(3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터와 제어부(17)의 전원 연결에 대해서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에 사용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경사각은 사용자의 편의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A)에는 아기에게 그늘을 형성할 수 있는 가림수단(4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림수단(40)은 제1 본체(10)의 일측(아기의 머리가 놓여지는 방향)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자연스럽게 굴절부를 형성하여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아기에게 그늘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요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림막과 동일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기가 수유하는 경사를 형성하는 경우, 젖병(A2)이 결합되는 홀딩부재(43)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림부재(41)의 단부에는 아기의 머리 방향으로 굴절된 홀딩부재(43)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부재(43)는 자바라 형식으로 복수개의 주름부(431)가 연속 형성되어 이루어져 손쉽게 연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홀딩부재(43)의 단부에는 젖병(A2)이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재(431A)가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부재(431A)는 젖병(A2)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젖병(A2)을 끼워 아기에게 보다 손쉽게 젖병을 물릴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젖병(A2)이 고정부재(431A)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431A)의 내측에는 탄성고정체(431B)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고정체(431B)는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젖병(A2)의 하단을 억지끼움 함으로서 젖병을 상기 고정부재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람 어셈블리(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홀딩부재(43)가 상기 가림부재(41)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의 결속력을 강화하되 손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수단(50)에 의하여 결합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림부재(41)의 단부에는 체결구(411)가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재(43)에는 상기 체결구(411)에 결합되는 삽입부(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둘은 체결수단(50)에 의하여 결합을 하게 된다.
다시 체결구(411), 가림부재(41) 및 체결수단(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구(411)는 상기 가림부재(41)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딩부재(43)에 구비되는 삽입부(53)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4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53)는 상기 체결구(411)의 중공(413)으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삽입부(53)의 단부는 상기 체결구(411)의 중공(413)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50)은 체결구(411)로 삽입된 삽입부(53)가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고, 의도적으로 분리시키는 때에는 간편하게 분리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체결수단(50)은 탄성부재(51), 끼움홈(55), 안치홈(5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51)는 원형꼬임부(511), 누름부(513), 꺽임부(5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51)는 탄성이 우수한 금속 와이어를 한바퀴 꼬고, 양측 단부를 절곡시켜서, 중앙에 상기 원형꼬임부(511)를 형성하고 양측에 각각 상기 누름부(513)와 꺽임부(515)를 형성한다.
상기 원형꼬임부(511)는 상기 체결구(411)의 내부 중공(413)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부(513)는 상기 체결구(411)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꺽임부(515)는 상기 체결구(411)의 내면에 형성되는 안치홈(57)에 안치되어 걸린다.
상기 탄성부재(51)를 상기 체결구(411)에 내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체결구(411)의 일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홀(58)이 형성되어서 원형꼬임부(511) 및 꺽임부(515)를 중공(413)으로 집어넣은 상태에서 탄성부재(51)가 이동홀(58)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동홀(58)의 수직된 방향에는 연결홀(59)에 형성되고, 이 연결홀에는 폭을 줄여주는 미세돌기(59a)가 돌출되어서 연결홀로 이동되어온 탄성부재(5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411)의 내면에 형성되는 상기 안치홈(57)은 상기 꺽임부(515)가 억지끼움식으로 안치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항아리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안치홈(57)에 안치된 꺽임부(515)는 상기 원형꼬임부(511)가 형성하는 홀이 체결구(411)의 중공(413)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서, 가림부재(41)의 삽입부(53)가 무리없이 삽입 관통되도록 한다. 즉, 원형꼬임부(511)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서 원형꼬임부(511)가 형성하는 홀이 체결구(411)의 중공(413) 방향과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53)는 상기 홀딩부재(43)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체결구(411)의 중공(413)으로 삽입되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51)의 원형꼬임부(511) 내측으로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삽입부(53)의 외경은 상기 원형꼬임부(511)의 내경 보다 길어서 삽입부(53)는 원형꼬임부(511) 내측으로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1)는 탄성을 가져서 원형꼬임부(511)의 내경이 쉽게 확장되어 삽입부(53)가 삽입되는데 무리가 없다.
상기 끼움홈(55)은 상기 삽입부(5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서 상기 원형꼬임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체결수단(50)을 통해 가림부재(41)가 홀딩부재(43)에 체결되는 과정과 분리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홀딩부재(43)를 가림부재(41)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삽입부(53)의 전방을 체결구(411)의 중공(413)으로 밀어 넣으면, 삽입부(53)가 원형꼬임부(511)를 지나가게 되고, 이때 원형꼬임부의 내경(511)이 삽입부에 접촉되면서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삽입부의 전진을 허용하게 되고, 삽입부(53)가 일정 이상으로 삽입되어 원형꼬임부가 삽입부(53)의 외면에 형성된 끼움홈(55)에 위치하면 탄성복원력으로 원형꼬임부(511)의 내경이 줄어들면서 끼움홈(53)에 안착되어 끼움결합되어서 삽입부(53)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잡아줌으로써 홀딩부재(43)는 체결구(411)에 체결된다.
다음으로, 홀딩부재(43)를 가림부재(41)에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탄성부재(51)의 누름부(513)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원형꼬임부(511)의 내경이 확장되면서 원형꼬임부(511)가 끼움홈(55)에서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홀딩부재(43)를 잡아당기면 아무런 방해 없이 삽입부(53)는 체결구(411)에서 분리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요람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요람 어셈블리 10 : 제1 본체
11 : 평탄부 13 : 곡선부
15 : 스윙부 17 : 제어부
19 : 스윙부재 191 : 지지프레임
193 : 스윙돌기 195 : 스윙홈
20 : 제2 본체 21 : 공간부
23 : 각도조절부재 231 : 구동모터
233 : 구동축 235 : 톱니부재
237 : 톱니홈 25 : 보호부
30 : 안착수단 31 : 안착부
311 : 헤드부 313 : 바디부
315 : 레그부 40 : 가림수단
41 : 가림부재 411 : 체결구
413 : 중공 43 : 홀딩부재
431 : 주름부 50 : 체결수단
51 : 탄성부재 511 : 원형꼬임부
513 : 누름부 515 : 꺽임부
53 : 삽입부 55 : 끼움홈
57 : 안치홈 58 : 이동홀
59 : 연결홀 591 : 미세돌기

Claims (4)

  1. 하부에 평탄부(11)를 형성하고, 내부에 스윙부(15)가 형성되는 제1 본체(10);
    상기 스윙부(15)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부(21)를 형성하는 제2 본체(20);
    상기 제2 본체(20)에 결합되어 유아를 눕힐 수 있는 안착부(31)를 형성하는 안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본체(20)에는 상기 안착수단(3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2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본체(10)에는 가림수단(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가림수단(40)은
    상기 제1 본체(10)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굴절 형성되는 가림부재(41)와, 상기 가림부재(41) 단부에 결합되는 홀딩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림부재(41)의 단부에는 중공(413)이 형성된 체결구(411)가 구비되고, 상기 홀딩부재(43)에는 상기 중공(413)에 삽입 체결되는 삽입부(5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411)와 삽입부(53)에는 이들을 결합하는 체결수단(5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체결수단(50)은
    원형꼬임부(511)와, 상기 원형꼬임부(511) 양측에 구비되는 누름부(513)와 꺽임부(515)를 형성하는 탄성부재(51)와, 상기 삽입부(5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원형꼬임부(511)가 삽입되어 끼움결합하는 끼움홈(55) 및 상기 꺽임부(515)가 억지끼움식으로 안칙되되, 체결구(411)의 내면에 형성되는 안치홈(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구(411)의 일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홀(58)이 형성되어 원형꼬임부(511) 및 꺽임부(515)를 중공(413)으로 넣은 후 탄성부재(51)가 이동홀(58)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홀(58)의 수직방향에는 연결홀(59)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59)에는 폭을 감소시키는 미세돌기(591)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탄성부재(51)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람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11)의 내면에 형성되는 안치홈(57)은 상기 꺽임부(515)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항아리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람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43)는 복수개의 주름부(431)가 구비되는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져 연장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람 어셈블리.
  4. 삭제
KR1020150040546A 2015-03-24 2015-03-24 요람 어셈블리 KR10171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546A KR101710675B1 (ko) 2015-03-24 2015-03-24 요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546A KR101710675B1 (ko) 2015-03-24 2015-03-24 요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297A KR20160114297A (ko) 2016-10-05
KR101710675B1 true KR101710675B1 (ko) 2017-02-28

Family

ID=5715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546A KR101710675B1 (ko) 2015-03-24 2015-03-24 요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28B1 (ko) * 2019-12-04 2021-08-30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요람관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036B2 (ja) * 1990-06-22 2001-07-30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伝送装置
JP2001340405A (ja) * 2000-05-31 2001-12-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赤ちゃん用マッサージ器
KR200274241Y1 (ko) * 2002-01-25 2002-05-06 김휘욱 유아용 요람 침대
US20120235450A1 (en) 2011-03-14 2012-09-20 Tiny Love Ltd. Infant bounc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036B2 (ja) * 1990-06-22 2001-07-30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伝送装置
JP2001340405A (ja) * 2000-05-31 2001-12-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赤ちゃん用マッサージ器
KR200274241Y1 (ko) * 2002-01-25 2002-05-06 김휘욱 유아용 요람 침대
US20120235450A1 (en) 2011-03-14 2012-09-20 Tiny Love Ltd. Infant bou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297A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2621B2 (en) Multi-function high chair
US6966089B2 (en) Deformable infant head support
US6702316B2 (en) Stroller with car seat fastening arrangement
EP3064396A1 (en) Footrest for car seat
EP2716494B1 (en) Child safety seat
JP2010524605A5 (ko)
JP2010524605A (ja) 運搬具
JP2013165963A (ja) 乳児支持シート
US20130088063A1 (en) Child Neck Support Apparatus for Seats
EP2421413A1 (en) A baby carrier
US10427557B2 (en) Seat base and a child safety seat
KR20030093948A (ko) 육아 기구
JP201707787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80046742A (ko) 헤드레스트
KR101710675B1 (ko) 요람 어셈블리
KR101491741B1 (ko) 수유용 의자
KR20180002971U (ko) 유아용 카시트
EP1642803A1 (en) Seat with seat belt capable of holding baby with simple structure
KR10136125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 레스트를 구비한 카시트
KR102349798B1 (ko)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KR101790557B1 (ko) 다기능 아기띠
US20080048482A1 (en) Infant seat assembly with retention member
KR101918838B1 (ko) 자세 교정용 외발 의자
KR101156727B1 (ko) 맞춤식 교정용 의자
KR100988588B1 (ko) 유아용 헤드레스트 승강수단이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