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028B1 - 요람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요람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028B1
KR102295028B1 KR1020190160074A KR20190160074A KR102295028B1 KR 102295028 B1 KR102295028 B1 KR 102295028B1 KR 1020190160074 A KR1020190160074 A KR 1020190160074A KR 20190160074 A KR20190160074 A KR 20190160074A KR 102295028 B1 KR102295028 B1 KR 10229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module
cover
fram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057A (ko
Inventor
최순필
Original Assignee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초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16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0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다양한 방식으로 요람에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신생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신생아용 요람관리장치가 제공된다. 요람관리장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말단부에 복수 개의 연결면이 형성된 바디프레임, 바디프레임의 일부분을 덮는 제1커버, 및 제1커버와 분리되어 바디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면에 신생아가 수용되는 요람이 안착되는 바디모듈, 연결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연결면으로부터 요람의 상부로 연장되어 요람에 수용된 신생아를 모니터링하는 메인모듈, 및 연결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메인모듈을 제어하는 조작모듈을 포함하는 요람관리장치.

Description

요람관리장치{Cradle man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요람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방식으로 요람에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신생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신생아용 요람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어난 지 얼마 안된 신생아나 영아들은 각별한 보호가 필요하다. 면역력이 약하고 신체적으로도 미숙할 뿐만 아니라 의사표현이 어렵기 때문에, 맥박, 체온 등 기본적인 생체신호로부터 움직임이나 자세변화에 이르기까지 면밀히 관찰하여 문제를 발견되면 신속하게 조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 병원이나 산후조리원 등에서는 다수의 신생아들이 훨씬 적은 수의 간호사에게 관리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현실적 문제로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간호사와 같은 관리자의 부주의나 관리미숙 등에 의한 사고 발생확률이 높고 문제상황에서 아기에게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도 크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어, 원격관리나 제어에 관한 기술을 접목하여 아기의 상태를 보다 쉽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하려는 시도 등도 이루어지고 있다(예,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08193등). 그러나 대부분 종전의 센서를 요람에 단순 부착한 정도의 개념적인 수준에 불과한 경우가 많고 실제 사용시 효율성 문제도 있어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8193호, (2017. 01. 2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요람에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신생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신생아용 요람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요람관리장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말단부에 복수 개의 연결면이 형성된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부분을 덮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분리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면에 신생아가 수용되는 요람이 안착되는 바디모듈; 상기 연결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요람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요람에 수용된 신생아를 모니터링하는 메인모듈; 및 상기 연결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모듈을 제어하는 조작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와 상기 바디프레임 사이와, 상기 제2커버와 상기 바디프레임 사이에 각각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모듈 및 상기 조작모듈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각각 결합되며, 끝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요람의 이탈을 방지하는 엔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연결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커넥터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메인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가로프레임 사이에 상기 세로프레임이 교차된 'H'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각각 상기 세로프레임의 일부와 상기 가로프레임을 덮는 'T'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프레임 상부의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되며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요람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모듈은, 신생아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LED 모듈이 설치된 헤드부가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신생아를 바라보는 방향이 조절되며, 신생아의 손 또는 발에 연결되어 신생아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요람관리장치는, 병원이나 산후조리원 또는 가정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종전에 사용중인 요람을 그대로 쓸 수 있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필요한 형태로 장치를 변형시키며 요람에 적용함으로써 안전성과 관리자의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공간활용도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아기와 인접한 요람 주변에 불필요하게 장착된 부가물을 없애 심리적 안정효과를 높이고 그러한 부가물 없이도 장치자체에서 아기의 각종 생체신호와 체중 및 움직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신생아에 대한 매우 효과적이고 면밀한 보호와 관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람관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람관리장치의 재결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바디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람관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람관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요람관리장치(1)는 바디모듈(100)에 의해 지지되며 메인모듈(200)과 조작모듈(300)이 바디모듈(100)과 연결된 형태로 되어있다. 바디모듈(100)은 다중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단에는 요람을 안착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모듈(200)과 조작모듈(300)은 이러한 프레임구조의 바디모듈(100) 말단부에 결합되어 바디모듈(100) 상단의 공간을 자유롭게 개방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메인모듈(200)과 조작모듈(300)은 바디모듈(100)에 배열된 복수의 연결면(도 5 내지 도 7의 100a참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도 5 및 도 6참조). 따라서 요람관리장치(1)는 그 전체적인 형상과 구조배치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연결면(100a) 사이에서 및/또는 이들을 통해 전력전송 및 전기신호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있어 이러한 형상과 구조배치의 변화에 영향 받지 않고 메인모듈(200)과 조작모듈(300)이 상호 연동되며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요람관리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요람관리장치(1)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말단부에 복수 개의 연결면(100a)이 형성된 바디프레임(도 5 내지 도 7의 130참조), 바디프레임(130)의 일부분을 덮는 제1커버(110), 및 제1커버(110)와 분리되어 바디프레임(130)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커버(120)를 포함하며 상면에 신생아가 수용되는 요람이 안착되는 바디모듈(100), 연결면(100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연결면(100a)으로부터 요람의 상부로 연장되어 요람에 수용된 신생아를 모니터링하는 메인모듈(200), 및 연결면(100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입력부(310)와 디스플레이부(320)가 형성되어 메인모듈(200)을 제어하는 조작모듈(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요람관리장치(1)는 연결면(100a) 중 메인모듈(200) 및 조작모듈(300)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각각 결합되며 끝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되어 요람의 이탈을 방지하는 엔드모듈(400)을 포함하며, 제1커버(110)와 바디프레임(130) 사이, 제2커버(120)와 바디프레임(130) 사이에 각각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센서(도 7의 140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조 및 작용효과 등을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 미처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도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바디모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종의 프레임구조로 형성된다. 바디모듈(100)은 바디프레임(도 5 내지 도 7의 130참조)과 바디프레임(130)을 덮는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를 포함하며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에 의해 덮이지 않은 바디프레임(130)의 말단부에 복수 개의 연결면(도 5 내지 도 7의 100a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면(100a)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모듈(200), 조작모듈(300), 및 엔드모듈(400)이 결합되면 갈무리되며 결합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연결면(100a)을 선택적으로 활용한 다양한 구조배치의 변화가 가능하면서도 외관상으로는 간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바디모듈(100)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바디프레임(130)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서로 수직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즉, 실질적으로 바디프레임(130)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는 각각 바디프레임(130)의 서로 다른 부분을 덮도록 되어 있고 서로 분리된다.
서로 분리된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 내측에는 이들에 의해 덮인 바디프레임(130)과의 사이에 각각 로드센서(도 7의 140참조)가 배치된다. 따라서 바디모듈(100) 상부의 개방된 공간에 요람을 안착시키면 로드센서(140)를 이용하여 바디모듈(100)에서 요람과 요람 안에 있는 신생아의 무게를 바로 측정할 수 있다. 무게 감지신호는 전술한 연결면(100a)을 통한 전기신호의 교환으로 메인모듈(200) 또는 조작모듈(300)에 즉시 전송될 수 있다. 바디모듈(100)의 바디프레임(130) 안쪽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연결면(100a) 사이를 연결하는 전송선로가 배열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130)과 연결면(100a) 등 바디모듈(1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모듈(200)은 바디모듈(100)의 연결면(도 5 내지 도 7의 100a참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바디모듈(100)에 연결된다. 즉 메인모듈(200)은 연결면(100a)을 선택하여 결합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메인모듈(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며 요람의 상부로 연장되어 요람에 수용된 신생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메인모듈(200)은, 신생아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21)과 LED모듈(222)이 설치된 헤드부(220)가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신생아를 바라보는 방향이 조절되며, 신생아의 손 또는 발에 연결되어 신생아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211)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모듈(200)은, 바 형상으로 수직 배열된 수직연장부(210)와, 수직연장부(210) 상단에 힌지(223)로 결합된 헤드부(220)로 구성될 수 있고 헤드부(220)에 카메라모듈(221)과 LED모듈(222)이 배치될 수 있다. 산소포화도측정부(211)는 힌지(223) 아래의 수직연장부(210)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223)에 의해 결합된 헤드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카메라모듈(221)이 신생아를 바라보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신생아가 수용된 요람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모듈(100)의 상단에 형성된 개방된 공간에 안착되므로 메인모듈(200)의 헤드부(220)를 조절하여 신생아를 모니터링하기 좋은 각도로 바꾸어 줄 수 있다. 바디모듈(100) 하단에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받침부(150) 등이 형성되어 장치 전체의 수평도 맞추어 줄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헤드부(220)가 단일 힌지(223)로 결합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헤드부(2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힌지구조를 적용하여 보다 다양한 각도로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등에 나타난 카메라모듈(221)과 LED모듈(222)의 배치도 한정적이지 않으며 역시 필요에 따라 배치는 적절히 바꾸어 줄 수 있다.
조작모듈(300)은 전술한 연결면(도 5 내지 도 7의 100a참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바디모듈(100)과 연결된다. 따라서 조작모듈(300)의 결합위치도 연결면(100a)을 선택하여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메인모듈(200)과 조작모듈(300)의 결합위치는 장치의 배열, 공간의 선정, 보호자의 동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고 따라서 특정 위치로 한정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요람관리장치(1)를 복수로 사용한다면 각 요람관리장치(1)의 위치나 해당 공간의 형상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른 형태로 각각의 요람관리장치(1)를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호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를 선정하거나 공간 배열을 고려한 적절한 구조 변경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조작모듈(300)은 입력부(310)와 디스플레이부(320)가 형성되어 메인모듈(200)을 제어하는 조작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면(100a)을 통해 전기신호의 교환이 가능하므로 제어신호 등을 전송하고 측정신호 등을 입력 받으면서 조작모듈(300)로 바디모듈(100)의 다른 위치에 결합된 메인모듈(200)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예를 들어, 각종 입력버튼과, 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320)는 LCD 등으로 형성된 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해 장치에서 감지된 각종 생체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입력부(310)를 이용하여 메인모듈(200)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조작모듈(300)의 형상이나 입력부(310), 디스플레이부(320)의 구성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도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바디모듈(100), 메인모듈(200), 및 조작모듈(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요람관리장치(1)의 전체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모듈(100)과 연결된 메인모듈(200), 조작모듈(300)이 바디모듈(100)을 통해 전력이나 전기신호를 교환하며 상호 연동된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복수 개의 연결면(도 5 내지 도 7의 100a참조)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커넥터(도 5 내지 도 7의 101a참조)를 각각 포함하여 조작모듈(300)이 메인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메인모듈(200)은 전원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연동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메인모듈(200)에 배치된 카메라모듈(221), 산소포화도측정부(211) 등의 촬영영상과 감지신호, 로드센서(140)의 감지신호 등을 조작모듈(300)의 디스플레이부(320)로 표시할 수 있고 조작모듈(300)의 입력부(310)를 통해서는 카메라모듈(221), LED모듈, 산소포화도측정부(211), 로드센서(140) 등의 동작시간이나 동작패턴 등 각종 설정을 바꾸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바디모듈(100), 메인모듈(200), 조작모듈(300)을 상호 연동시키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디모듈(100), 메인모듈(200), 조작모듈(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신생아의 생체신호(예를 들면, 체온, 맥박 등) 및/또는 주변환경(온도, 습도, 오염물질 농도 등)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감지장치들이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요람관리장치(1)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감지하고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치를 바디모듈(100), 메인모듈(200), 및 조작모듈(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추가적으로 장착하고 이들의 감지신호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신생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신생아를 모니터링한 정보는 통신장치를 통해 보호자나 관리자 등에게 원격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특정 감지장치 등에 관련된 것으로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한편, 엔드모듈(400)은 연결면(도 5 내지 도 7의 100a참조) 중 메인모듈(200) 및 조작모듈(300)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결합되어 연결면(100a)을 갈무리한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엔드모듈(400)은 끝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되어 요람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엔드모듈(400)은 끝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410)가 요람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엔드모듈(400)의 개수는 연결면(100a)의 개소 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모듈(200)과 조작모듈(300)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연결면(100a)을 모두 차폐할 수 있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드모듈(400) 역시 메인모듈(200)이나 조작모듈(300)처럼 바디모듈(100)로부터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하며 위치를 바꾸어주며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러한 결합방식과 바디모듈(100)의 구조 등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람관리장치의 재결합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바디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바디모듈(100)의 프레임구조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메인모듈(200), 조작모듈(300), 엔드모듈(400)의 다중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방은 다른 구조물 없이 개방된 상태로 놓여 요람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모듈(100)은 커버로 둘러싸인 내측의 바디프레임(130)과, 서로 분할되어 바디프레임(130)을 덮는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를 포함한다. 연결면(100a)은 도시된 것처럼 바디프레임(130)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바디모듈(100)은 바디프레임(130)을 기초로 하여 그 위에 커버가 덮힌 구조로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난 바디모듈(100)의 외형은 실질적으로 바디프레임(130)의 형상을 그대로 반영한다. 따라서 바디모듈(100)을 보면서 내부의 바디프레임(130)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130)은 서로 수직하게 가로 및 세로로 교차 배열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말단부에 복수 개의 연결면(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수직하게 교차된 형태로 세로프레임[조작모듈(300)이 결합되는 연결면(100a)을 말단부로 하며 조작모듈(300)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과 가로프레임[조작모듈(300)이 결합되는 연결면(100a)과 수직한 연결면(100a)을 말단부로 하며 메인모듈(200)을 향해 길이방향을 배열된 것과 이와 평행한 것일 수 있다]이 형성되어 바디프레임(130)을 이룰 수 있고 그와 동등한 형태로 바디모듈(100)의 프레임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프레임(130)은, 한 쌍의 가로프레임 사이에 세로프레임이 교차된 'H'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는 각각 세로프레임의 일부와 가로프레임을 덮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 상에서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가 분할하여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프레임 상부의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부로 돌출되어 요람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11, 12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1, 121)는 세로프레임 상에서 세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바디모듈(100)의 중앙 측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요람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도 7의 전면으로 보이는 연결면(100a)은 모두 가로프레임의 말단부일 수 있고, 도 5 및 도 6의 조작모듈(300)이 결합되는 연결면(100a)은 모두 세로프레임의 말단부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커버(110)와 바디프레임(130)의 사이, 제2커버(120)와 바디프레임(130)의 사이에는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센서(140)가 배치된다. 로드센서(140)는 바디모듈(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요람과 요람에 수용된 신생아의 무게나 그 변화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면(100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커넥터(101a)가 형성되며 이들은 바디프레임(130)의 내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난 서로 다른 연결면(100a)들을 통해서 전력이나 전기신호를 자유롭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면(100a)에는 전원커넥터(101a) 외에, 고정돌기(231, 331, 421)가 삽입되는 고정홈(10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홈(103a)등도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는 이러한 연결면(100a)과 중첩되는 일부가 개방 또는 절개되어 연결면(100a)을 노출시키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모듈(100)의 프레임구조를 이용하여 메인모듈(200), 조작모듈(300), 및 엔드모듈(400)을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자유롭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즉, 메인모듈(200)과 조작모듈(300)을 도 5의 위치에서 각각의 연결면(100a)으로부터 분리하여, 이와 다른 도 6의 연결면(100a)으로 위치를 바꾸어 재결합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연결면(100a)들에는 바뀐 위치에 대응하여 엔드모듈(400)들을 결합함으로써 연결면(100a)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메인모듈(200), 조작모듈(300), 엔드모듈(400)의 연결면(100a)과 중첩하는 면에는 각각 고정편(231, 331, 421)이 돌출된 연결부(230, 330, 420)가 형성되어 고정편(231, 331, 421)이 고정홈(102a)에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모듈(200) 및 조작모듈(300)의 연결부(230, 330)에는 각각 연결면(100a)의 전원커넥터(101a)와 연결되는 전원단자(232, 332)가 형성되어 전력 및/또는 전기신호가 교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면(100a)과 연결부(230, 330, 420)는 서로 맞닿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나 홈의 삽입구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활용하여 바뀐 위치에서 메인모듈(200), 조작모듈(300), 및 엔드모듈(400)과 바디모듈(100) 사이의 결합을 더욱 공고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인모듈(200), 조작모듈(300), 및 엔드모듈(400)을 바디모듈(100)의 서로 다른 연결면(100a)[또는 동등하게 바디프레임(130)의 서로 다른 말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다시 분리 및 재결합함으로써 요람관리장치(1)의 배치구조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면 보다 적절한 위치로 바꾸어 메인모듈(200)이 신생아를 모니터링 하도록 할 수 있고, 보호자나 관리자의 경우에는 보다 편리한 위치에서 쉽게 조작모듈(300)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 연결면(100a)은 엔드모듈(400)에 의해 보호되며 또한 엔드모듈(400)의 상향 만곡된 돌출부위에 의해 요람이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바 요람을 안전하게 수용하면서,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간이 한정된 경우라도 장치의 배치구조를 적합하게 변형시키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요람관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요람관리장치(1)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바디모듈(100) 상단의 공간에 신생아가 수용된 요람(A)을 안착시키고 요람 상부로 연장된 메인모듈(200)을 이용하여 신생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카메라모듈(221)에서 촬영된 영상, 로드센서(140)에서 측정된 무게, 산소포화도측정부(211)에서 측정된 산소측정량 등의 영상 및 생체신호 등은 조작모듈(3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통신장치 등을 통해 보호자 등에게 원격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산소포화도측정부(211)는 신생아의 손이나 발에 부착된 측정용 패드(미도시) 등과 연결선 등으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LED모듈(222)은 예를 들어, 색조절이 가능한 투광판 등으로 적정량의 빛을 투과시켜 은은한 조명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모듈(200)의 헤드부(220)는 각도를 조절하여 보다 원활한 각도로 신생아가 바라보이도록 방향을 바꾸어 가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외에도, 전술한 것처럼 필요에 따라 신생아의 생체신호 및/또는 주변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추가적인 감지장치들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엔드모듈(400)은 전술한 연결면(100a)을 차폐하여 노출을 막는다. 동시에 상단으로 만곡하여 돌출된 돌출부(410)로는 요람(A)의 좌우 이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 상부의 고정돌기(111, 121)가 요람(A)에 밀착하여 요람(A)을 고정시키므로 요람(A)은 매우 안정적으로 요람관리장치(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요람관리장치(1)에 다양한 형태의 요람(A)을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놓고 사용자의 의도대로 배치된 메인모듈(200), 바디모듈(100), 조작모듈(300)을 이용하여 신생아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요람관리장치 100: 바디모듈
100a: 연결면 101a: 전원커넥터
102a: 고정홈 103a: 나사홈
110: 제1커버 120: 제2커버
111, 121: 고정돌기 130: 바디프레임
140: 로드센서 150: 받침부
200: 메인모듈 210: 수직연장부
211: 산소포화도측정부 220: 헤드부
221: 카메라모듈 222: LED모듈
223: 힌지 230, 330, 420: 연결부
231, 331, 421: 고정편 232, 332: 전원단자
300: 조작모듈 310: 입력부
320: 디스플레이부 400: 엔드모듈
410: 돌출부 A: 요람

Claims (7)

  1.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말단부에 복수 개의 연결면이 형성된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부분을 덮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분리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면에 신생아가 수용되는 요람이 안착되는 바디모듈;
    상기 연결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요람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요람에 수용된 신생아를 모니터링하는 메인모듈;
    상기 연결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모듈을 제어하는 조작모듈, 및
    상기 연결면 중 상기 메인모듈 및 상기 조작모듈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각각 결합되며, 끝단부가 상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요람의 이탈을 방지하는 엔드모듈을 포함하는 요람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바디프레임 사이와, 상기 제2커버와 상기 바디프레임 사이에 각각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센서를 더 포함하는 요람관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연결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커넥터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메인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요람관리장치.
  5.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말단부에 복수 개의 연결면이 형성된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부분을 덮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분리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면에 신생아가 수용되는 요람이 안착되는 바디모듈;
    상기 연결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요람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요람에 수용된 신생아를 모니터링하는 메인모듈; 및
    상기 연결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모듈을 제어하는 조작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바디프레임은 한 쌍의 상기 가로프레임 사이에 상기 세로프레임이 교차된 'H'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각각 상기 세로프레임의 일부와 상기 가로프레임을 덮는 'T'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람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 상부의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되며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요람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요람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신생아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LED 모듈이 설치된 헤드부가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신생아를 바라보는 방향이 조절되며,
    신생아의 손 또는 발에 연결되어 신생아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가 결합되는 요람관리장치.
KR1020190160074A 2019-12-04 2019-12-04 요람관리장치 KR102295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74A KR102295028B1 (ko) 2019-12-04 2019-12-04 요람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74A KR102295028B1 (ko) 2019-12-04 2019-12-04 요람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57A KR20210070057A (ko) 2021-06-14
KR102295028B1 true KR102295028B1 (ko) 2021-08-30

Family

ID=7641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074A KR102295028B1 (ko) 2019-12-04 2019-12-04 요람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0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620Y1 (ko) 2001-11-29 2002-03-16 김대환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022B1 (ko) * 2012-08-24 2014-03-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
KR101623167B1 (ko) * 2014-05-16 2016-05-24 수상에스티(주) 신생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69725A (ko) * 2014-12-09 2016-06-17 승상우 영유아용 스마트 요람
KR101710675B1 (ko) * 2015-03-24 2017-02-28 권희자 요람 어셈블리
KR101792779B1 (ko) * 2016-01-22 2017-11-03 주식회사 소셜빈 전동요람
KR20170008193A (ko) 2016-12-16 2017-01-23 (주)지오그라픽스 IoT 기반을 위한 적외선 체온 측정 및 건강신호 알람 기능을 내장한 아기 요람
KR20180095366A (ko) * 2017-02-17 2018-08-27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환경정보와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신생아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620Y1 (ko) 2001-11-29 2002-03-16 김대환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57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7440A1 (en) Connector switch
JP4847149B2 (ja) 再使用可能部分を有する近赤外分光装置
WO2014132908A1 (ja) サーバ監視装置及びサーバ監視システム
CN101396261B (zh) 传感器装置
CN101548891B (zh) 探针装置
US20180368505A1 (en) Head Unit System With Connector For Peripheral Device
KR101999934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시스템, 표시 제어 방법, 표시 제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
CN103858076A (zh) 可配置的患者监测系统
WO2011002837A2 (en) System for at-home eye movement monitoring
KR102295028B1 (ko) 요람관리장치
KR100978907B1 (ko) 산소포화도 측정기
WO2012161639A1 (en) Exercise glasses
JP6904836B2 (ja) 撮像装置
JP4464144B2 (ja) 平衡機能診断システム
KR20200079600A (ko) 병원용 환자 감시 시스템
US8974383B2 (en) Patient monitor
KR20200001331A (ko) 열적외선 스마트 유아용 요람
KR102276315B1 (ko) 듀얼 ip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070059307A (ko) 환자 침상 (병원, 집) 부착 너싱 모니터 시스템
KR102674263B1 (ko) 반려동물 구강 영상 제공 시스템
JP6421265B1 (ja) 眼球測定装置および接顔フレーム
KR102147295B1 (ko) 사용자의 자세를 모사하는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실시간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Gomez Differences in cognitive processing between real objects and images
KR100574084B1 (ko) 환자감시장치 케이스와 그를 포함하는 통합 환자감시장치
JP6847588B2 (ja) 機器表示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