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620Y1 -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 Google Patents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620Y1
KR200268620Y1 KR2020010036897U KR20010036897U KR200268620Y1 KR 200268620 Y1 KR200268620 Y1 KR 200268620Y1 KR 2020010036897 U KR2020010036897 U KR 2020010036897U KR 20010036897 U KR20010036897 U KR 20010036897U KR 200268620 Y1 KR200268620 Y1 KR 200268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ed
weight
infant
displa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김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환 filed Critical 김대환
Priority to KR2020010036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620Y1/ko

Link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중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어 성장기 유아 또는 어린이에 대한 체중의 변화를 생활빈도가 높은 침대(또는 요람)를 이용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별도의 체중측정 활동이 필요 없이 언제든지 측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위해 본 고안은 침대 하면에 형성된 하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 내에 설치되며 체중의 측정을 통한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전자저울과;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기 쉽도록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표시창과, 명료한 데이터 수치를 전달하기 위한 수치표시창과, 데이터의 입력 및 기능선택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한 입력/표시부와, 외부 또는 내부의 전원을 사용하기 위해 변압의 기능을 가진 전원공급부와, 각각의 구성요소를 관리하고 원활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모듈과, 사용자에게 데이터 출력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모듈을 구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표시부가 막이판에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침대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침대는 지난 데이터를 저장하고 언제든지 불러내어 그래픽 또는 수치로 그 변화의 추이를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성장에 따른 명확한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 또한 크다 하겠다.

Description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Bed for infant weight measurement}
본 고안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의 체중과 성장에 따른 체중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고안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성장기 어린이들은 성인에 비해 비교적 짧은 기간에 많은 신체적인 성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신체적인 성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체중계를 구비하여 측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그때마다 체중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지난 측정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도 상당한 노력이 요구되는 작업일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체중기를 이용한 체중측정에서 수행되던 것과 비교하여 별도의 체중측정에 따르는 수고를 할 필요 없이 생활에서 자주 이용되는 물품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자연스럽게 체중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과거의 체중기록을 보관하여 언제든지 비교 및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의 전체 외형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A-A'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통해 내부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a는 상기 도 1에서의 표시부 외부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b는 도 1에서 도시한 표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회로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대 110 : 하면
120 : 하면공간 130 : 막이판
200 : 표시부 210 : 메모리부
220 : 입력표시부 221 : 그래픽표시창
222 : 수치표시창 223 : 키패드
230 : 전원공급부 240 : 제어부
241 : 관리모듈
242 : 응용모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부에 전자저울을 설치하고 또한 침대 상부에 별도의 디지털 표시부를 구비한 유아용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에 대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예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통상의 유아용 침대 하면(110)의 하부공간(120)에 전자저울을 삽입하고 있는 구조를 지니며 또한 상기 전자저울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인 표시부(200)를 상기 침대의 일측면인 막이판(130)에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하면(110)은 신체가 놓여지는 수평한 면을 칭한다. 또한 상기 막이판(130)은 상기 하면(110)에서 상향되게 구성된 판 또는 블록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침대 하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보조하는 구조물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침대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절개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의 하면(110) 아래에 구성된 하부공간(120)에 장착되는 전자저울(300)이 상기 침대의 하면과 접하여 내치되어 있는 형상으로서, 상기 전자저울(300)은 통상의 전자저울로 체중에 의한 물리적인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전자저울(30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대의 하면(110)에 접하도록 하여 내치된다.
상기 전자저울(300)은 본 고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하면(110)의 하부공간(120) 내에 위치할 수 도 있으나, 또한 응용하여 체중측정을 위한 일종의 압력센서, 즉 체중측정장치를 상기 침대와 방바닥면 사이에 위치시켜 전체 중량에서 침대의 체중을 감하는 방법을 사용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상기 도 1에 도시된 표시부(2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표시부 외부구성 및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100)의 하부공간(120) 내에 설치된 전자저울(3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10)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기 쉽도록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표시창(221)과, 명료한 데이터 수치를 전달하기 위한 수치표시창(222)과, 데이터의 입력 및 기능선택을 위한 키패드(223)를 구비한 입력/표시부(220)와; 외부 또는 내부의 전원을 사용하기 위해 변압의 기능을 가진 전원공급부(230)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200) 각각의 구성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전자저울(300)과 연계한 표시부(200)의 원활한 동작을 제어할 관리모듈(241)과, 또한 사용자가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를 사용함에 있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응용모듈(242)을 구비한 제어부(240)로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전자저울(3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표시한다.
상기 입력표시부(220)의 그래픽표시창(221) 및 수치표시창(222)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및/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23)는 기능의 전환, 전원의 온/오프(ON/OFF), 기간의 설정, 데이터의 입/출력 및 저장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10)는 데이터저장공간으로서, 상기 전자저울(300)에 의해 입력받은 체중 데이터를 연도, 날짜, 시간 등의 데이터와 같이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표시부(200)와 상기 침대의 하부공간에 설치된 전자저울(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240)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 구성을 가지는데, 우선 상기 전자저울(300)과 연계한 표시부(200)의 원활한 동작을 제어할 관리모듈(241)과, 또한 사용자가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를 사용함에 있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응용모듈(242)을 필수적으로 탑재하고 있다. 물론 상기 전자저울(30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받고 또한 별도의 출력 또는 인쇄를 위해 컴퓨터단말기와 같은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를 가짐은 당연하므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관리모듈(241)은 상기 표시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들을 구동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해당할 수 있겠고, 또한 상기 응용모듈(242)은 상기 유아의 체중데이터와 같이 저장되는 연도, 날짜, 시간 등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즉 상기 데이터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23)로 특정 날짜 또는 기간을 입력하면 해당 날짜 또는 기간에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표시창(221) 또는 수치표시창(222)에 정렬하여 출력해주는 기능과, 측정된 체중 데이터와 미리 입력된 기준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한 현재의 체중에 대한 평가 등을 출력해주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상기 기준데이터는 예를 들어, 정상적인 유아의 성장에 따른 체중데이터가 있겠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200)는 상기 막이판(130)에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침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침대내부의 하면(110)에 유아가 놓여지면 상기 침대 하부공간(120)에 상기 침대의 하면과 접하도록 설치된 상기 전자저울(300)에 의해 유아의 체중이 측정된다.
상기 전자저울(300)에 의해 측정된 유아의 체중데이터는 상기 제어부(240)로 전송되고, 상기 메모리부(210)에 연도, 날짜, 시간 등의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되는 체중측정 데이터는 또한 상기 입력표시부(220)의 그래픽표시창(221) 또는 수치표시창(222)에 출력되는데 상기 키패드(223)를 이용하여 상기 두 가지 모드 중 선택하거나 또는 병행하여 표시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데이터는 언제든지 불러내어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용모듈(242)에서 기능을 제공하는데, 상기 키패드(223)를 이용하여 기간을 설정하면 해당 데이터를 상기 그래픽표시창(221) 및/또는 수치표시창(222)에 표시해 준다.
또한 상기 데이터의 표시에 있어서 상기에서 전술한 그래픽, 수치 이외에 음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침대뿐만 아니라 좌변기 등 다양한 제품에 응용가능한 바, 이는 모두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응용가능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상기와 같이 전술되는 본 고안에 따른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는 성장기 유아 또는 어린이에 대한 체중의 변화를 생활빈도가 높은 침대(또는 요람)을 이용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별도의 체중측정 활동이 필요 없이 언제든지 측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지난 데이터를 저장하고 언제든지 불러내어 그래픽 또는 수치로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성장에 따른 명확한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 또한 크다 하겠다.

Claims (1)

  1. 하면(110)을 가지고 상기 하면에서 상향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막이판(130)을 가지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 하면(110)에 형성된 하부공간(120)과,
    상기 하부공간 내에 설치되며 체중의 측정을 통한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전자저울(300)과;
    상기 막이판(130)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10)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기 쉽도록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표시창(221)과, 명료한 데이터 수치를 전달하기 위한 수치표시창(222)과, 데이터의 입력 및 기능선택을 위한 키패드(223)를 구비한 입력/표시부(220)와, 외부 또는 내부의 전원을 사용하기 위해 변압의 기능을 가진 전원공급부(230)와, 각각의 구성요소를 관리하고 원활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모듈(241)과, 사용자에게 데이터 출력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모듈(242)을 구비한 제어부(240)로 구성되는 표시부(200)
    를 포함하는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침대
KR2020010036897U 2001-11-29 2001-11-29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KR200268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97U KR200268620Y1 (ko) 2001-11-29 2001-11-29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97U KR200268620Y1 (ko) 2001-11-29 2001-11-29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620Y1 true KR200268620Y1 (ko) 2002-03-16

Family

ID=7307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897U KR200268620Y1 (ko) 2001-11-29 2001-11-29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6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022B1 (ko) * 2012-08-24 2014-03-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
KR20210070057A (ko) * 2019-12-04 2021-06-14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요람관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022B1 (ko) * 2012-08-24 2014-03-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
KR20210070057A (ko) * 2019-12-04 2021-06-14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요람관리장치
KR102295028B1 (ko) 2019-12-04 2021-08-30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요람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439B2 (en) Balance control system for weight scales
US7087016B2 (en) Health management device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KR890012614A (ko) 건강관리 측정 장치
US20170108371A1 (en) Scale
CN101396264B (zh) 生物测定装置
WO2001003582A1 (en) Medical measuring device
IL221157A0 (en) System for displaying utility commodity cost and usage data at a subscriber&#39;s location and for local or remote control of utility commodity usage
US20060175097A1 (en) Wireless weighing system for a bed
WO2014192888A1 (ja) タイマー装置及び時間計測システム
JP2601224Y2 (ja) 脈拍計
CN101589903A (zh) 一种计量调羹
KR200268620Y1 (ko) 체중측정이 가능한 유아용 침대
CN209883635U (zh) 一种智能货架系统、智能仓储系统及供应链监控系统
US20080154602A1 (en) Speech generating means for use with signal sensors
CN106579707B (zh) 智能儿童餐盒及工作方法
CN110339067A (zh) 一种婴幼儿智能奶瓶底座及控制方法
KR101151056B1 (ko) 냉장고의 체중관리장치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KR20080070104A (ko) 내용물 온도 간접측정 받침대 및 측정방법
KR100346081B1 (ko) 가정용 의료 측정단말기
JPH08159856A (ja) 測定装置
KR20130027329A (ko) 체중계가 장착된 변기커버 및 비데
KR200416999Y1 (ko) 장식용 체중계
CN213600190U (zh) 一种多功能秤
JP3225523U (ja) 体重体組成計
JPH11332846A (ja) 体脂肪計、体重計及び体脂肪率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