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999Y1 - 장식용 체중계 - Google Patents

장식용 체중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999Y1
KR200416999Y1 KR2020060002187U KR20060002187U KR200416999Y1 KR 200416999 Y1 KR200416999 Y1 KR 200416999Y1 KR 2020060002187 U KR2020060002187 U KR 2020060002187U KR 20060002187 U KR20060002187 U KR 20060002187U KR 200416999 Y1 KR200416999 Y1 KR 200416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bject
decorative
watch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소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소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소앤코
Priority to KR2020060002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9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체중계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몸무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장식용 시계로의 사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체중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지면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는 피측정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측 공간인 피측정자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그의 전면이 상기 피측정자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시간 표시용 시계부; 하단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시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시계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센싱된 무게 및 여타 필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를 제공한다.
장식용, 체중계, 시계, 연결부, 텔레스코픽, 임피던스 측정부, 체지방

Description

장식용 체중계{The scales for decor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의 구조 중 임피던스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부 110. 로드셀
200. 시계부 210. 전면
211. 시침 212. 분침
213. 초침 220. 둘레면
300. 연결부 410. 디스플레이부
420. 버튼 500. 제어부
510. 연산처리장치(CPU) 520. 메모리
600. 임피던스 측정부 611,612. 전극판
620. 변환기
본 고안은 체중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내 장식이 가능함과 더불어 장식용 시계의 역할도 겸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체중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중계는 몸무게를 측정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체중계는 그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는데, 보통 가정에서 사용되는 체중계는 높이가 낮은 발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가정용 체중계는 수치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발이 얹히는 면(몸체의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몸무게를 측정하고자 할 때 그 몸무게에 대한 수치 확인은 항상 고개를 숙여서 봐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키가 큰 사용자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와 사용자 눈까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충분히 커야만 하여 결국 제품에 대한 단가가 상승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가정용 체중계는 단순히 체중계로만 사용될 뿐 장식용으로는 사용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장소에 보관을 하게 되는데, 통상의 가정용 체중계가 비교적 얇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크기도 비교적 작은 편이기 때문에 침대 밑 등과 같은 구석진 장소에 숨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다음번 사용 때에는 사용자가 쉽게 찾지 못하였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가정용 저울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몸무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장식용 시계로의 사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도를 최대화한 새로운 구조의 장식용 체중계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지면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는 피측정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측 공간인 피측정자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피측정자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시간 표시용 시계부; 하단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시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시계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센싱된 무게 및 여타 필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시계부는 아날로그 시계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체중(무게), 온도, 날짜, 체지방 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시계부의 전면이나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시계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선택적으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에는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측정한 후 그 측정값으로 체지방 량을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임피던스 측정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되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을 통해 취득된 아날로그 형태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값을 연산처리하여 체지방 량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극판은 피측정자의 양 발이 접촉되도록 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판과, 피측정자의 양 손이 접촉되도록 시계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의 전극판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시계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판은 상기 시계부의 각 부위 중 그 둘레면 양측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장식용 체중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크게 몸체부(100)와, 시계부(200)와, 연결부(300)와, 디스플레이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몸체부(100)는 체중계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몸체 부위로써, 지면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는 피측정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1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각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여타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00)가 인체의 양 발이 얹힐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가지는 평판형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시계부(200)는 시간을 표시하는 통상의 시계이다.
상기 시계부(2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시계부(200)가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아날로그 시계임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한 시계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측 공간인 피측정자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그의 전면(시침(211)이나 분침(212) 혹은, 초침(213)이 존재하는 면)(210)은 상기 피측정자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시계부(30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연결부(300)는 그의 하단이 상기 몸체부(100)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단은 상기 시계부(2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한 연결부(300)는 내부가 빈 파이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몸체부(100)에 내장된 각종 회로 혹은, 신호선들과 상기 시계부(200)에 내장된 각종 회로 혹은, 신호선들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상기한 연결부(300)는 그의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 및 상기 시계부(200)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제품에 대한 포장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의 경우, 상기 연결부(300)를 통해 몸체부(100) 및 시계부(200)와 연결되는 전선들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넥터 등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연결부(300)는 선택적으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10)는 상기 몸체부(100)의 로드셀(110)에 의해 센싱된 무게 및 여타 필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창이다.
이때, 상기 여타 필요 정보라 함은 날짜나 온도나 체지방 량 등과 같은 각종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치가 포함된다.
상기한 디스플레이부(410)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각종 정보의 원활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LED 혹은, LCD 창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한 디스플레이부(410)는 상기 시계부(200)의 전면(210)이나 둘레면(220)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10)가 종래 통상의 체중계와 같이 몸체부(100)의 상면에 설치될 경우 피측정자가 머리를 숙여 확인한다는 불편함과 상기 피측정자의 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410) 간의 거리가 멀다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디스플레이부(410)가 상기 시계부(200)의 전면(210)에 설치됨을 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에는 그의 필요에 따라 각종 정보의 변경 혹은, 정보의 입력 등을 위한 버튼(4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버튼(42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10)와 함께 시계부(200)의 전면(210)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시계부(200)가 시각적으로 복잡해 보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버튼(420)은 실시예로 도시된 도 1과 같이 몸체부(100)의 상면에 구비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된 도 2와 같이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에서는 각종 정보의 연산을 위한 연산처리장치(CPU)(510)와 각종 정보의 임시 저장을 위한 메모리(520)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어부(500)는 상기 몸체부(100) 혹은, 상기 시계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시계부(200) 내에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하,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통상적인 보관시에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거실 등에 장식되는 시계로 사용된다.
이때, 시계부(200)의 높낮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결부(300)를 조작하여 자유롭게 조절하면 된다.
특히, 이의 경우 디스플레이부(410)를 통해서는 현재의 날짜나 온도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날짜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500)의 메모리(520)에 미리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매일 변경된다. 또한, 상기 온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도시되지는 않음)로부터 센싱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부(500)가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4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전술한 상태에서 사용자(피측정자)가 그의 필요에 따라 장식용 체중계로 몸무게를 측정하고자 몸체부(100)의 상면으로 오른다면, 로드셀(110)에 의해 해당 사용자의 무게가 측정되고, 이렇게 측정된 무게는 제어부(500)로 제공된 후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4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는 그 필요에 따라 연결부(300)를 조작하여 상기 시계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410)에 디스플레이되는 체중에 대한 정보를 간단하고 정확히 확인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가 도시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장식용 체중계가 체지방을 측정하는 역할도 더불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에 임피던스 측정부(60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600)는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측정한 후 그 측정값으로 체지방 량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부(41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임피던스 측정부(600)는 임피던스 회로와 연계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극판(611,612)과, 변환기(62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임피던스 회로는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구축된 회로로써, 예컨대,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각 전극판(611,612)을 통해 흘려준 전류에 대한 전압값을 측정함으로써 저항값을 검출해 낼 수 있도록 구성된 회로이다.
이때, 상기 전극판(611,612)은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측정하기 위해 피부와 접촉되는 금속 부위로써,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전극판(611,612)이 몸체부(100)의 상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피측정자의 양 발이 접촉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한 전극판(611,612)은 양 발이 접촉되는 한 쌍의 전극판 및 양 손이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또 다른 한 쌍의 전극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상기한 전극판(611,612)이 시계부(200)에만 설치되어 피측정자의 양 손이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전극판(611,612)이 시계부(200)에 설치될 경우 상기 시계부(200)의 각 부위 중 그 둘레면(220) 양측에 각각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해당 부위에 대한 두 손의 파지가 가장 편안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변환기(620)는 상기 각 전극판(611,612)을 통해 취득된 아날로그 형태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변환기(62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값을 변수값으로 지정한 후 연산처리하여 체지방 량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체지방 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41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비용의 절감 등을 위해서는 다양한 역할(체지방 측정, 체중 측정, 온도, 날짜 및 기타 제어)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시계부(200)에 구비되는 제어부(500)로 통합하여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의 체지방 측정을 위한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통상적인 보관시에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거실 등에 장식되는 시계로 사용된다.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피측정자)가 몸체부(100)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전극판(611,612)에 두 발바닥을 접촉시킨 후 체지방 량의 측정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체지방 량의 측정 요청은 몸체부(100)의 상면에 설치된 각종 버튼(420) 중 체지방 량의 측정을 위한 선택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진행된다. 물론, 상기 체지방 량의 측정은 별도의 측정 요청이 없더라도 체중 측정시 자동으로 측정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체지방 량의 측정 요청이 이루어졌다면 제어부(500)는 상기 한 쌍의 전극판(611,612)으로 일정한 전류(I)를 흘려줌과 동시에 상기 각 전극판(611,612)의 전압(V)을 측정한다.
상기한 전류(I)와 전압값(V)을 토대로 저항값(R)에 대한 검출(R=V/I)이 가능하게 되고, 이렇게 검출된 데이타는 변환기(620)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후 제어부(500)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공받은 디지털 값과 로드셀(110)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피측정자의 체중 데이터를 토대로 체지방 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체지방 량을 디스플레이부(4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전술한 체지방 량의 측정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는 도중 더욱 정확한 체지방 량의 계산을 위해서는 피측정자의 키(신장) 및/혹은, 성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이때의 상기 피측정자의 키 및/혹은, 신장에 대한 정보는 어느 한 입력 버튼(420)를 통해 해당 피측정자로부터 미리 입력받음이 바람직하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해 피측정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를 통해 자신의 체중과 함께 체지방 량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는 평소 보관시에는 시계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식용으로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체중 혹은, 체지방의 측정을 위해 사용됨에 따라 보관에 따른 사용자의 불만이 해소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체중계는 장식용으로의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항상 눈에 잘 띄는 곳에 장식됨에 따라 분실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지면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는 피측정자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측 공간인 피측정자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그의 전면이 상기 피측정자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시간 표시용 시계부;
    하단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시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시계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센싱된 무게 및 여타 필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부는 아날로그 시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체중(무게), 온도, 날짜, 체지방 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계부의 전면이나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시계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선택적으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측정한 후 그 측정값으로 체지방량을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임피던스 측정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되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을 통해 취득된 아날로그 형태의 생체 임피던스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변환기와,
    상기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값을 연산처리하여 체지방 량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피측정자의 양 발이 접촉되도록 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판과, 피측정자의 양 손이 접촉되도록 시계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의 전극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판은
    상기 시계부의 각 부위 중 그 둘레면 양측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중계.
KR2020060002187U 2006-01-24 2006-01-24 장식용 체중계 KR200416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87U KR200416999Y1 (ko) 2006-01-24 2006-01-24 장식용 체중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87U KR200416999Y1 (ko) 2006-01-24 2006-01-24 장식용 체중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999Y1 true KR200416999Y1 (ko) 2006-05-24

Family

ID=4176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187U KR200416999Y1 (ko) 2006-01-24 2006-01-24 장식용 체중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9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06B1 (ko) 2018-12-07 2019-09-02 최민준 다기능 체중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06B1 (ko) 2018-12-07 2019-09-02 최민준 다기능 체중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5613B1 (en) Bio-characteristic value measuring device with graphical display
US6781067B2 (en) Floor tile scale with wall display
JP4578187B2 (ja) 子供用判定機能付き体組成計
US20020049546A1 (en) Body type determination apparatus
JP5088184B2 (ja) 体組成計
JP2005261488A (ja) 体組成計
WO2007139251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shoe mounting a controller and method for measuring quantity of motion
JP2010181377A (ja) 体重管理装置、体重管理方法、および体重管理プログラム
US8932062B2 (en) Body weight management device
JP4923648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EP1488742B1 (en) Biological data acquiring apparatus
US6782340B1 (en) Body composition measuring apparatus with built-in weight meter
KR200416999Y1 (ko) 장식용 체중계
JPH07213499A (ja) 脈拍測定装置
JP2019526329A (ja) 身体組成解析装置
JP3124681U (ja) 杖の構造
JP5202907B2 (ja) 生体測定装置
KR200421254Y1 (ko) 이동식 디지털 체중계
JPH10305072A (ja) 消費カロリー計算機能付きお風呂タイマー
CN202019404U (zh) 具有健康提示功能的电视机
KR101798727B1 (ko) 헬스케어체어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작동방법
JP2002253301A (ja) 体重測定器具付き履物
JPH0915028A (ja) 電子体重計
KR101626451B1 (ko) 머리 압력 측정 장치
CN215304254U (zh) 一种智能学习桌的矫姿器及一种智能学习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