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727B1 - 맞춤식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맞춤식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727B1
KR101156727B1 KR1020100087742A KR20100087742A KR101156727B1 KR 101156727 B1 KR101156727 B1 KR 101156727B1 KR 1020100087742 A KR1020100087742 A KR 1020100087742A KR 20100087742 A KR20100087742 A KR 20100087742A KR 101156727 B1 KR101156727 B1 KR 101156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fastening
le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693A (ko
Inventor
홍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트로닉
홍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트로닉, 홍승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0008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7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리부재와 좌판부재의 높낮이와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측면부위에 맞게끔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세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사용자의 상체에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허리부재를 착용하여 등받이에 지지하여 자세교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체로부터 머리까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맞춤식 교정용 의자{A chair using customized rectification}
본 발명은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리부재와 좌판부재의 높낮이와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측면부위에 맞게끔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세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사용자의 상체에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허리부재를 착용하여 등받이에 지지하여 자세교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체로부터 머리까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애인용 의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애인용 의자는 크게 상체가 지지되는 등받이(1)와, 등받이(1)에 연결되어 하체가 안착되는 좌판(2)과, 좌판(2)의 양측과 등받이(1)의 측면 하단에 결합되는 양측 팔걸이(3)와, 팔걸이(3)의 상측에 마련되어 음식물 등을 안착할 수 있는 상판(4)과, 좌판(2)의 하부에 다리로 형성되는 프레임(6)과,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발판(5)으로 이루어진다.
등받이(1)는 편평한 판넬형상으로 상체의 등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고, 등받이(1)의 상하 양측에 안내구(101)를 형성하여 상측 전방에서 하측 후방으로 소켓형 체결구(111)를 가진 어깨벨트(11)가 구비되며, 어깨벨트(11)는 좌우 측에 치우쳐 한쌍이 마련되고, 어깨벨트(11)의 중간부분에서 연장되어 소켓식 체결구(121)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슴벨트(12)가 마련된다.
좌판(2)은 등받이(1)의 하단부에 직각보다 약간 큰 각으로 절곡 연결되고 하체가 안착 지지되도록 충분한 넓이를 가지는 편평한 판넬 형상을 가지며, 전방측에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장애인이 착석하는 경우 양 다리가 서로 분리되어 위치되도록 안내한다.
좌판(2)의 양측과 등받이(1)의 양측 하단에 접하여 지지판(3a)이 장착되고 이 지지판(3a)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팔걸이(3)는 상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전방에서 볼 때 'ㄱ'자 형태를 가지며, 팔걸이(3)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팔걸이 볼트(31)가 체결되고, 팔걸이 볼트(31)는 지지판(3a)에 형성되는 상하방향의 길다란 장홈에 대해 이동가능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됨으로써 팔걸이가 지지판(3a)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낮이 조절된다.
상판(4)은 팔걸이(3)의 절곡된 상측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저면에 결합턱(41)이 'ㄴ'자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식물을 담은 용기 등이 미끄러져 상판(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401)가 형성된다.
또한, 상판(4)의 결합턱(41)의 일측에는 매직테이프(42)가 형성되고 상판(4)이 팔걸이(3)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등받이(1) 쪽으로 완전히 장착된 경우 매직테이프(42)에 대응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매직테이프(42a)가 등받이(1)에 마련된다.
다리를 이루는 프레임(6)은 좌판(2)의 저면을 지지하고 하방으로 길다란 형 상을 가지며 흔들림이 없도록 복수의 기둥체가 결합된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6)의 전방으로는 발판 보강대(53)가 마련되고 발판 보강대(52)를 통과하여 발판 볼트가 프레임(6) 사이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발판 보강대(52)에 안착 결합되는 발판(5)은 상하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해진다.
발판(5)에는 장애인이 착석한 상태에서 양 발을 조여 고정할 수 있도록 매직테이프(5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장애인용 의자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장애인이 착성하면 어깨벨트(11)로 양팔이 고정되고, 가슴벨트(12)에 의해 가슴이 조여짐으로써 상체 교정이 강화된다.
좌판(2) 착석된 상태에서 양다리는 돌출부(21)를 사이에 두기 벌어지기 때문에 돌출부(21)에 의해 좌판(2)으로부터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리는 발판(5) 상에 놓여지고 발판(5)에 형성되는 매직테이프(51)에 의해 양 발이 고정되며, 팔걸이(3)의 결합턱이 상판(4)의 절곡부와 서로 슬라이딩 체결되어 결합되면 매직테이프(42, 42a)가 서로 부착됨으로써 상판(4)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판(4)에는 가이드(401)가 형성되어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 등이 놓인 상태에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가이드(401)에 걸려 용기가 상판(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종래의 장애인용 의자에 의하면 어깨 및 가슴 벨트(11, 12)에 의해 상체가 고정되고, 좌판(2)의 돌출부(21)를 통해 좌판(2)으로부터 하체가 미끄러지는 것이 억제되며, 발판(5)에 매직테이프(51)로 양발이 고정됨으로써 식사 동안에 장애인의 움직임이 안정되고, 상판(4)의 가이드(401)에 의해 음식 용기의 미끄러짐과 이탈이 방지되어 보다 안전하게 식사를 할 수 있는 동시의 자세 교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애인용 의자는 기존의 의자에 적용할 수 없고 별도로 특별하게 제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고, 어깨벨트(11) 및 가슴 벨트(12)는 상체만을 고정하므로 하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21)의 구성요소가 별도로 부가되어 구성이 복잡하며, 또한 다리 사이에 이러한 돌출부(21)가 설치되기 때문에 착석시에 불편함을 주고, 머리를 지지하는 부분이 없어 장애 정도에 따라 머리 교정이 요구되는 경우에 이를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판부재의 하부와 연계되어 구동롤러와 연결되는 다리부재의 높낮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좌판부재의 전/후방으로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리와 안착된 좌석과의 긴밀한 밀착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안전한 자세로 교정 및 착석할 수 있도록 하고,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착석함에 허리와 목의 자세교정이 필요시 허리보부재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석하여 등받이에 설치된 고정밴드를 상기 허리부재와 결속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맞춤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와, 등받이에 연결되어 하체가 안착되는 좌판부재와, 상기 좌판부재 양측으로 수직으로 상향되어 신체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측면부재와, 상기 좌판부재와 연계되어 지면에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연결되는 다리부재 및, 상기 다리부재 하단부와 연계되어 정면으로 돌출되어 발을 안착시키는 발안착판으로 이루어진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는 상부에 형성된 좌판을 지지하도록 후방의 양측에 소정의 기울기로 하향으로 절곡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제1결속구가 다수개 형성된 제1고정부가 형성되는 “H”형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전방의 양측 상면에 관통된 제2결속구가 형성되어 전방 양측에 각각 내속되어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제3결속구가 형성되는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제3결속구와 지지프레임의 제2결속구를 통해 결속되는 제1체결핀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일단과 일체로 소정의 기울기로 절곡되어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제4결속구가 형성되는 절곡부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다리부재는, 지면에서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연결되며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제5결속구가 형성되어 전/후방에 각각 한쌍이 설치되는 다리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 한쌍의 다리프레임 상단 내부에 보조프레임의 절곡부가 삽입되어 다리프레임의 제5결속구를 보조프레임의 제4결속구가 결속되도록 제2체결핀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한쌍의 다리프레임 상단 내부에 지지프레임의 제1고정부가 삽입되어 다리프레임의 제5결속구를 통해 지지프레임 제1고정부의 제1결속구가 결속되도록 제3체결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측면부재는, 지지프레임의 양측 하단면에 각각 체결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제6결속구가 형성된 수직단면이 “ㄱ”자형태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제6결속구에 결속되도록 다수개의 제4체결핀이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4체결핀 상부 일면에 한쌍의 제5체결핀이 형성되고, 일면 일측의 상부에 곡선형으로 관통된 제1조절구를 형성하는 판상의 측면판과, 상기 제5체결핀이 삽입되어 상/하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조절구를 가진 판상의 조절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 양측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된 제6, 7체결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6체결핀이 측면판의 곡선형 제1조절구에 삽입되어 등받이가 소정의 각도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7체결핀은 측면판 일면에 결속되어 힌지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 후면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밴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 일단과 전면이 결속되도록 사용자가 착용하는 허리보호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적인 해결 수단을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우를 위한 맞춤식 교정용 의자로서, 착석시 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체의 체형에 따라 좌판에 안착되는 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측면부재의 높낮이와 너비를 조절하는 동시에 등받이를 조절하여 착석시 안정감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체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허리보호대를 착용하여 등받이로부터 결속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지체장애의 상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가져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상하체뿐만 아니라 머리까지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락한 안착감을 주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장애인용 의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좌판부재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좌판부재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다리부재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다리부재와 지지프레임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지지프레임과 측면프레임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측면프레임 양측으로 측면판 결합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측면판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판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측면판에 설치된 조절판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서 조절판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측면판 후면에 설치되는 등받이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등받이가 측면판에 설치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의 측면판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 허리보호대를 성치하는 구조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 착용자가 안착시 고정밴드 착용 구조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서 목받침대-팔받침대-다리받침대가 설치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본 발명에 따른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서 목받침대-팔받침대-다리받침대가 설치되는 분리사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100)와, 등받이(100)에 연결되어 하체가 안착되는 좌판부재(200)와, 상기 좌판부재(200) 양측으로 수직으로 상향되어 신체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측면부재(400)와, 상기 좌판부재(200)와 연계되어 지면에 구동되는 구동롤러(20)와 연결되는 다리부재(300) 및, 상기 다리부재(300) 하단부와 연계되어 정면으로 돌출되어 발을 안착시키는 발안착판(30)으로 이루어진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200)는 상부에 형성된 좌판(40)을 지지하도록 후방의 양측에 소정의 기울기로 하향으로 절곡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제1결속구(221)가 다수개 형성된 제1고정부(220)가 형성되는 “H”형의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 전방의 양측 상면에 관통된 제2결속구(211)가 형성되어 전방 양측에 각각 내속되어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제3결속구(233)가 형성되는 수평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231)의 제3결속구(233)와 지지프레임(210)의 제2결속구(211)를 통해 결속되는 제1체결핀(235)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231)의 일단과 일체로 소정의 기울기로 절곡되어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제4결속구(234)가 형성되는 절곡부(232)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100)를 제공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판부재(200)를 구성하는 “H”형의 지지프레임(210)은 후방 양측에 소정의 기울기로 하향으로 절곡된 제1고정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프레임(210)의 상면에 좌판부재(200)이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전면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프레임(230)에 있어, 상기 보조프레임(230)의 수평부(231)가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전면 일단부에 내속되어 설치되어 지지프레임(210) 전면 상부에 형성된 제2결속구(211)와 내속된 보조프레임(230)의 수평부(231) 제3결속구(233)가 연통된 상태에서 제1체결핀(235)을 결속시켜 보조프레임(230)을 고정하게 된다.
이에 다리를 앞쪽으로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프레임(230)으로 인해 착석시 장애를 가진 다리를 보호하며 안정적인 다리 자세를 교정하게 한다. 이는 양쪽다리의 장애정도에 맞추어 보조프레임(230)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인 자세를 갖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230)의 수평부(231)와 연결되어 절곡된 절곡부(232)는 하기에 서술되는 다리부재(300)에 연계되어 다리의 높낮이 조절을 하는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재(300)는, 지면에서 구동되는 구동롤러(20)와 연결되며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제5결속구(311)가 형성되어 전/후방에 각각 한쌍이 설치되는 다리프레임(310)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 한쌍의 다리프레임(310) 상단 내부에 보조프레임(230)의 절곡부(232)가 삽입되어 다리프레임(310)의 제5결속구(311)를 보조프레임(230)의 제4결속구(234)가 결속되도록 제2체결핀(32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한쌍의 다리프레임(310) 상단 내부에 지지프레임(210)의 제1고정부(220)가 삽입되어 다리프레임(310)의 제5결속구(311)를 통해 지지프레임(210) 제1고정부(220)의 제1결속구(221)가 결속되도록 제3체결핀(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100)를 제공한다.
즉, 도 5와 같이 상기 다리프레임(310) 상단부의 내부로 보조프레임(230)의 절곡부(232)가 삽입되어 상기 다리프레임(310)의 제5결속구(311)와 보조프레임(230)의 절곡부(232)에 형성된 제4결속구(234)가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제2체결핀(320)을 상기 연통된 제4, 5결속구(234, 311)를 통해 결속시킨다.
이에 상기 다리프레임(310)을 보조프레임(230)의 절곡부(232)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하여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안정감 있는 착석을 가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10), 보조프레임(230) 및 다리프레임(310)은 단면이 사각형태를 가지며 내부가 공간부를 가진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단면이 사각형태 외에 원형등과 같은 다각형을 가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400)는, 지지프레임(210)의 양측 하단면에 각각 체결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제6결속구(411)가 일면에 형성된 수직단면이 “ㄱ”자형태의 측면프레임(410)과, 상기 측면프레임(410)의 제6결속구(411)에 결속되도록 다수개의 제4체결핀(421)이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4체결핀(421) 상부 일면에 한쌍의 제5체결핀(422)이 형성되고, 일면 일측의 상부에 곡선형으로 관통된 제1조절구(423)를 형성하는 판상의 측면판(420)과, 상기 제5체결핀(422)이 삽입되어 상/하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조절구(431)를 가진 판상의 조절판(4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100)를 제공한다.
상기 측면부재(400)는 측면프레임(410), 측면판(420) 및 조절판(430)으로 구성되며, 도 7과 같이 상기 “ㄱ”자형태의 측면프레임(410)은 지지프레임(210) 양측 하단면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10) 하단면에 고정된 측면프레임(410) 정면에 관통된 제6결속구(411)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프레임(410)의 제6결속구(411)에 결속되어 고정되어 사용자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판(420)이 설치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4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제4체결핀(421)이 고정되어 상기 측면프레임(410)의 제6결속구(411)에 연통되어 고정되어 진다. 이때 상기 제4체결핀(421)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도 무관하며, 측면프레임(421)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6결속구(411)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측면판(420)을 사용하여야 함에 다수의 제6결속구(411)를 형성함으로서 체형에 맞는 측면판(420)을 제작하여 제6결속구(411)로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기 측면판(420) 일면 상부에 제5체결핀(422) 한쌍이 고정됨으로서, 상기 측면판(420) 내측으로 설치되는 조절판(430)에 형성된 제2조절구(431)에 상기 제5체결핀(422)이 결속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판(430)을 형성하게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430) 일면에 관통된 제2조절구(431)는 소정의 길이로 관통된 수직공(43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공(432)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되게 다수개의 수평공(433)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제공된다.
도 10과 같이 상기 수평공(433) 일단에 단차지게 함몰된 제2안착홈(434)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판(420)의 제5체결핀(422)이 상기 수직공(432)을 따라 정해진 높이의 수평공(433)으로 이동되어 제2안착홈(434)에 수용되면 상기 조절판(430)이 견고히 결속되어 안착되게 된다.
이러한 조절판(430)의 높낮이의 조절은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팔걸이 또는 팔받침 구실을 하는 반면, 지체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팔이 의자 외측으로 나가는 것을 방어하는 구실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100) 양측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된 제6, 7체결핀(110, 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6체결핀(110)이 측면판(420)의 곡선형 제1조절구(423)에 삽입되어 등받이(100)가 소정의 각도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7체결핀(120)은 측면판(420) 일면에 결속되어 힌지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100)를 제공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4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조절구(423)를 통해 상기 등받이(100) 측면에 고정된 제6체결핀(110)이 삽입되어 등받이(100)가 소정의 기울기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제1조절구(423)는 곡선형태를 가짐으로서 소정의 기울기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 13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절구(423)는 타원형상을 가진 통공(424)으로 상기 통공(424) 하부로 연통된 제1안착홈(425)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6체결핀(110)이 통공(424)을 따라 정해진 기울기에 형성된 제1안착홈(425)에 수용되어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등받이(100)를 제공하데 된다,
한편, 도 15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100) 후면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밴드(1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130) 일단과 전면이 결속되도록 사용자가 착용하는 허리보호대(5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100)를 제공한다.
상기 허리보호대(500)는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하여 의자(10)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100) 후면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밴드(130)가 착용자의 어깨를 가로질러 착용한 허리보호대(500) 전면에 결속되어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허리보호대(500)를 착용하여 상체를 교정하는 역할로 제공된다.
상기 고정밴드(130) 일단에 밸크로타입의 결속부재가 형성되어 허리보호대(500) 전면에 형성된 밸크로와 암/수 결합이 되어 결속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허리보호대(500)는 전면이 수직으로 절개되어 사용자가 허리에 쉽게 착용하게 되며, 상기 절개된 양측으로 암/수 밸크로타입의 접착부재가 형성된 결속밴드(5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7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100) 전단부에 끼움홈(14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40)을 통해 목받침대(600a)의 지지대(610)가 삽입되어 등받이(100) 후면에 형성된 조절나사(620)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목받침대(600a)는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몸을 보호하기 위해 목받침대(600a)에 지지하여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400) 전단부에 팔받침대(600b)가 형성되며,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자세를 취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300)에 다리받침대(600c)를 체결하여 체형에 따른 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다리 또는 발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맞춤형 교정용 의자 : 10, 구동롤러 : 20, 발안착판 : 30, 좌판 : 40, 등받이 : 100, 제6체결핀 : 110, 제7체결핀 : 120, 고정밴드 : 130, 끼움홈 : 140, 좌판부재 : 200, 지지프레임 : 210, 제2결속구 : 201, 제1고정부 : 220, 제1결속구 : 221, 보조프레임 : 230, 수평부 : 231, 절곡부 : 232, 제3결속구 : 233, 제4결속구 : 234, 제1체결핀 : 235, 다리부재 : 300, 제5결속구 : 310, 제2체결핀 : 320, 제3체결핀 : 330, 측면부재 : 400, 측면프레임 : 410, 제6결속구 : 411, 측면판 : 420, 제4체결핀 : 421, 제5체결핀 : 422, 제1조절구 : 423, 통공 : 424, 제1안착홈 : 425, 조절판 : 430, 제2조절구 : 431, 수직공 : 432, 수평공 : 433, 제2안착홈 : 434, 허리보호대 : 500, 결속밴드 : 510, 목받침대 : 600a, 팔받침대 : 600b, 다리받침대 : 600c, 지지대 : 610, 조절나사 : 620

Claims (7)

  1.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100)와, 등받이(100)에 연결되어 하체가 안착되는 좌판부재(200)와, 상기 좌판부재(200) 양측으로 수직으로 상향되어 신체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측면부재(400)와, 상기 좌판부재(200)와 연계되어 지면에 구동되는 구동롤러(20)와 연결되는 다리부재(300) 및, 상기 다리부재(300) 하단부와 연계되어 정면으로 돌출되어 발을 안착시키는 발안착판(30)으로 이루어진 맞춤식 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200)는 상부에 형성된 좌판(40)을 지지하도록 후방의 양측에 소정의 기울기로 하향으로 절곡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제1결속구(221)가 다수개 형성된 제1고정부(220)가 형성되는 “H”형의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 전방의 양측 상면에 관통된 제2결속구(211)가 형성되어 전방 양측에 각각 내속되어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제3결속구(233)가 형성되는 수평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231)의 제3결속구(233)와 지지프레임(210)의 제2결속구(211)를 통해 결속되는 제1체결핀(235)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231)의 일단과 일체로 소정의 기울기로 절곡되어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제4결속구(234)가 형성되는 절곡부(232)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300)는, 지면에서 구동되는 구동롤러(20)와 연결되며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제5결속구(311)가 형성되어 전/후방에 각각 한쌍이 설치되는 다리프레임(310)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 한쌍의 다리프레임(310) 상단 내부에 보조프레임(230)의 절곡부(232)가 삽입되어 다리프레임(310)의 제5결속구(311)를 보조프레임(230)의 제4결속구(234)가 결속되도록 제2체결핀(32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한쌍의 다리프레임(310) 상단 내부에 지지프레임(210)의 제1고정부(220)가 삽입되어 다리프레임(310)의 제5결속구(311)를 통해 지지프레임(210) 제1고정부(220)의 제1결속구(221)가 결속되도록 제3체결핀(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400)는, 지지프레임(210)의 양측 하단면에 각각 체결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된 제6결속구(411)가 일면에 형성된 수직단면이 “ㄱ”자형태의 측면프레임(410)과, 상기 측면프레임(410)의 제6결속구(411)에 결속되도록 다수개의 제4체결핀(421)이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4체결핀(421) 상부 일면에 한쌍의 제5체결핀(422)이 형성되고, 일면 일측의 상부에 곡선형으로 관통된 제1조절구(423)를 형성하는 판상의 측면판(420)과, 상기 제5체결핀(422)이 삽입되어 상/하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조절구(431)를 가진 판상의 조절판(4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430) 일면에 관통된 제2조절구(431)는 소정의 길이로 관통된 수직공(43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공(432)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되게 다수개의 수평공(433)이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0) 양측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된 제6, 7체결핀(110, 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6체결핀(110)이 측면판(420)의 곡선형 제1조절구(423)에 삽입되어 등받이(100)가 소정의 각도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7체결핀(120)은 측면판(420) 일면에 결속되어 힌지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구(423)는 타원형상을 가진 통공(424)으로 상기 통공(424) 하부로 연통된 제1안착홈(425)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0) 후면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밴드(1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130) 일단과 전면이 결속되도록 사용자가 착용하는 허리보호대(5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식 교정용 의자.
KR1020100087742A 2010-09-08 2010-09-08 맞춤식 교정용 의자 KR101156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742A KR101156727B1 (ko) 2010-09-08 2010-09-08 맞춤식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742A KR101156727B1 (ko) 2010-09-08 2010-09-08 맞춤식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693A KR20120025693A (ko) 2012-03-16
KR101156727B1 true KR101156727B1 (ko) 2012-06-14

Family

ID=4613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742A KR101156727B1 (ko) 2010-09-08 2010-09-08 맞춤식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820B1 (ko) * 2019-01-24 2019-10-10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친환경 d.i.y. 착석 보조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43Y1 (ko) * 2013-03-19 2014-05-27 주식회사이지무브 장애인의 자세유지용 시트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711A (ko) * 1998-07-03 2000-02-07 김현수 휠체어
KR20070093951A (ko) * 2007-08-30 2007-09-19 윤주선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장치
KR20100001106U (ko) * 2008-07-23 2010-02-02 미키코리아(주) 가변형 휠체어
KR101035675B1 (ko) 2009-07-29 2011-05-1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체간 및 골반 정상화를 위한 재활치료용 교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711A (ko) * 1998-07-03 2000-02-07 김현수 휠체어
KR20070093951A (ko) * 2007-08-30 2007-09-19 윤주선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장치
KR20100001106U (ko) * 2008-07-23 2010-02-02 미키코리아(주) 가변형 휠체어
KR101035675B1 (ko) 2009-07-29 2011-05-1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체간 및 골반 정상화를 위한 재활치료용 교정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820B1 (ko) * 2019-01-24 2019-10-10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친환경 d.i.y. 착석 보조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693A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51248B (zh) 幼儿载具
ES2409348T3 (es) Respaldo de silla
US10492621B2 (en) Multi-function high chair
US9089219B2 (en) Footrest for car seat
US20140290667A1 (en) Sitting tool and chair
US20130038104A1 (en) Infant lounger
US20110260513A1 (en) Horizontal oscillating device providing postural adjustment
CN103932520B (zh) 具有一体化的背板单元的椅子
US6089654A (en) Modular furniture for children
KR101482769B1 (ko) 자세보조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101156727B1 (ko) 맞춤식 교정용 의자
RU2372010C2 (ru) Крепежный кронштейн
US9707140B2 (en) Walker seat
KR200461464Y1 (ko) 이동형 아동용 의자
US9049945B2 (en) Space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KR200483176Y1 (ko) 유아용 웨건
KR200473715Y1 (ko) 등받이 방석
CN203153169U (zh) 一种多功能便携式婴儿托座
RU2414158C2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ины
EP2628412B1 (en) Furniture element
TWI417071B (zh) 可拆卸腳踏板之幼兒高腳椅
KR200308252Y1 (ko) 장애인용 교정의자
KR200476173Y1 (ko) 의자등받이의 등받이 쿠션 체결구조
CN216702125U (zh) 一种用于儿童坐姿纠正的座椅
KR200372816Y1 (ko) 장애인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