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948A - 육아 기구 - Google Patents

육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948A
KR20030093948A KR10-2003-0028098A KR20030028098A KR20030093948A KR 20030093948 A KR20030093948 A KR 20030093948A KR 20030028098 A KR20030028098 A KR 20030028098A KR 20030093948 A KR20030093948 A KR 20030093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ir
frame members
vertical frame
se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0674B1 (ko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야마모토히로야스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3Arrangements for carrying as a back-p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62B7/12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from seat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4Carriages supporting a hammock-sty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pecial Chair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유모차(1)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10)과, 등받이 시트부(22)를 포함하는 좌석 해먹(20)과, 배면 서포트(30)와, 상단 연결 부재(40)를 구비한다. 배면 서포트(30)는, 등받이 시트부(22)를 배면측으로부터 뒤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늘어나 있는 배면 끈 부재(31, 32)를 포함한다. 상단 연결 부재(40)는,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부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고 그 양단이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에 연결되어 있는 상단 끈 부재를 포함한다. 상단 연결 부재(40)는, 등받이 시트부(22)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 될 때 까지는 부하가 걸리지 않는 느슨한 상태이고, 등받이 시트부(22)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부터 최대 후경 각도에 이르기까지는 부하가 걸려서 긴장된 상태로 되어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그 길이가 선택되어 있다.

Description

육아 기구{NURSING EQUIPMENT}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좌석을 구비하는 육아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받이부를 뒤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한 육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등받이부를 뒤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한 좌석을 구비한 육아 기구로서, 유모차, 아기 의자,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래크 등이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는, 전형적인 육아 기구의 예로서, 유모차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실개평 7-4248호 공보는, 차체 프레임 위에 해먹을 장착한 경량 타입의 유모차를 개시하고 있다. 해먹의 등받이부는 배면측으로부터 밸트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벨트의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등받이부의 후경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유모차라면,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구조를 상당히 간소하게 하여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유모차는, 보통, 아기를 좌석상에게 구속하기 위한 다리 벨트 및 허리 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벨트에 의해, 아기가 좌석으로부터 전방 및 측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개평 7-4248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경량 타입의 유모차의 경우, 좌석의 상방, 즉 해먹의 등받이부의 상방은, 개방되어 있다. 다리 벨트 및 허리 벨트는, 아기의 전방 및 측방으로의 튀어나감을 방지하는 데는 유효하지만, 상방으로의 튀어나감에 대해서는 그다지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특히, 등받이부를 크게 뒤로 기울여서 베드 형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유모차에 있어서는, 베드 상태시의 아기의 상방으로의 튀어나감(등받이부에 따라 뒤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튀어나가는 것)이 우려된다.
갓난 아기의 뇌는, 태생 7개월로부터 생후 3세까지의 사이에 가장 성장한다고 말하여지고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유아(乳幼兒)를 수용하는 육아 기구에 있어서는, 머리부의 보호가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의 머리부의 보호에 중점을 둔 육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아 기구는, 본체 프레임과, 좌석 해먹과, 배면 서포트와, 상단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본체 프레임은, 좌면 지지 부재와, 이 좌면 지지 부재의 후방 단 영역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좌석 해먹은, 좌면 지지 부재의 위로 늘어나 있는 좌면 시트부와, 이 좌면 시트부의 후방 단연에 접속되고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의 사이로 늘어나 있는 등받이 시트부를 포함한다. 배면 서포트는, 등받이 시트부를 배면측으로부터 뒤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본체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상단 연결 부재는,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부와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부재를 연결한다. 상단 연결 부재는, 뒤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는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부를 일으키도록 그 길이가 선택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육아 기구에 의하면, 등받이 시트부가 후방으로 경사된 상태에서는,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 영역이 나머지 등받이 시트부에 대해 일어나서,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를 덮는 형상으로 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단 연결 부재는, 등받이 시트부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 될 때 까지는 부하가 걸리지 않는 느슨한 상태이고, 등받이 시트부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부터 최대 후경 각도에 이르기까지는 부하가 걸려서 긴장된 상태로 되고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그 길이가 선택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등받이 시트부가 소정의 후경 각도에 이르기까지는, 등받이 시트부 전체가 일체로 되어 뒤로 기울어지는 동작을 행한다. 한편, 등받이 시트부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이 되면,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은 긴장된 상태로 되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등받이 시트부를 소정의 각도를 넘어서 더욱 크게 뒤로 기울이면,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 영역이 나머지 등받이 시트부에 대해 굴곡하여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를 덮는 형상으로 된다.
육아 기구가 의자 형상의 형태와 베드 형상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면, 바람직하기는, 상단 연결 부재는,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부를 일으키도록 그 길이가 선택되어 있다.
상단 연결 부재는, 바람직하기는,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부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며 그 양단이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단 끈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당히 단순한 기구로,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 영역의 굴곡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상단 연결 부재를, 좌석 해먹을 구성하고 있는 봉제 천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상단 연결 부재를, 좌석 해먹의 보강된 상방 단연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배면 서포트는, 바람직하기는, 등받이 시트부의 배면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고 그 양단이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배면 끈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기구를 상당히 심플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육아 기구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등받이 시트부는, 바람직하기는, 그 상방 단 영역에 위치하는 머리부 심재와, 이 머리부 심재의 하방 단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배면 심재를 포함한다. 등받이 시트부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부터 최대 후경 각도에 이르기까지는 머리부 심재와 배면 심재는 굴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머리부 심재 및 배면 심재를 구비함에 의해, 안정된 굴곡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머리부 심재 및 배면 심재는, 바람직하기는, 양자의 굴곡점이 되는 노치부를 배면에 형성한 1장이 연속된 평판이다.
해먹은, 바람직하기는, 등받이 시트부의 양 측연으로부터 세워져서 전방으로 뻗어나와 있는 한 쌍의 측면 시트부를 포함한다. 각 측면 시트부는, 착좌한 아기의 머리부의 높이에 대응한 위치에 보호 패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측방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아기의 머리부를 보호할 수 있다.
해당 육아 기구는, 전형적으로는, 의자 형상의 형태 및 베드 형상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유모차이다. 의자 형상의 형태에 있어서, 보호 패트를 갖는 한 쌍의 측면 시트부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보다도 전방으로 뻗어나와 있다. 베드 형상의 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 시트부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의자 형상 및 베드 형상의 양 상태에 있어서, 측방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아기의 머리부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유모차를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유모차의 측면도.
도 3은 유모차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등받이 시트부를 뒤로 기울여서 베드 형상의 형태로 한 유모차를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폭방향으로 축소하여 접어갠 상태의 유모차를 도시된 측면도.
도 6은 늘어뜨린 벨트 양단을 상방의 벨트 연결 포인트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된 도면.
도 7은 접어갠 유모차를 세로로 지니고 있는 양상을 도시된 도면.
도 8은 늘어뜨린 벨트의 한쪽 단을 상방의 벨트 연결 포인트에 연결하고, 다른쪽 단을 하방의 벨트 연결 포인트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된 도면.
도 9는 접어갠 유모차를 가로로 지니고 있는 양상을 도시된 도면.
도 10은 심재를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머리부 심재와 배면 심재와의 연결 부분을 도시된 측면도.
도 12는 배면 심재와 좌면 심재와의 연결 부분을 도시된 측면도.
도 13은 유모차의 측면 및 배면을 상세히 도시된 사시도.
도 14는 배면 서포트를 도시된 도면으로서, 로크 부재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된 도면.
도 15는 의자 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는 유모차의 좌석 부분을 상방에서 본 단면도.
도 16은 접어갠 유모차의 좌석 부분을 상방에서 본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유모차2 : 벨트
10 : 본체 프레임11 : 좌면 지지 부재
12 :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20 : 좌석 해먹
21 : 좌면 시트부22 : 등받이 시트부
23 : 측면 시트부24 : 안내 주머니띠
25 : 상방 단 영역30 : 배면 서포트
31 및 32 : 배면 끈 부재33 : 로크 부재
34 : 케이스35 : 손잡이
36 : 갈고리부37 : 스프링
40 : 상단 연결 부재41 : 안내 주머니띠
50 : 심재51 : 머리부 심재
52 : 배면 심재53 : 좌면 심재
54 : 쿠션재55 : 수지 플레이트
56 및 57 : 노치60 : 보호패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시된 유모차(1)는, 사용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의자 형상의 형태 및 도 4에 도시된 베드 형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는, 접어갠 상태에서, 폭방향의 치수가 축소하여 자동으로 세워진다. 폭방향으로 축소하여 접어개기 위한 기구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지져 있기 때문에,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는, 차체를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13)과, 그 위에 장착되는 좌석 해먹(20)을 구비한다. 본체 프레임(10)은, 좌면을 지지하는 좌면 지지 부재(11)와, 좌면 지지 부재(11)의 후방 단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의 상방 단은, 역U자 모양 연결 부재(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와 역U자 모양 연결부재(13)에 의해,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미는 봉을 구성한다.
좌석 해먹(20)은, 본체 프레임의 좌면 지지 부재(11)의 위로 늘어나 있는 좌면 시트부(21)와, 좌면 시트부(21)의 후방 단연에 접속되고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의 사이로 늘어나 있는 등받이 시트부(22)와, 등받이 시트부(22)의 양 측연으로부터 세워져서 전방으로 뻗어나와 있는 한 쌍의 측면 시트부(23)를 포함한다.
좌석 해먹(20)의 등받이 시트부(22) 및 좌면 시트부(21)에는, 도 10에 도시된 1장의 연속된 평판 형상의 심재(50)가 들어가 있다. 심재(50)는, 견고한 수지 플레이트(55)와, 그 위에 접착된 쿠션재(54)를 포함한다. 이 심재(50)는, 머리부 심재(51), 배면 심재(52) 및 좌면 심재(53)의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 심재(51)와, 배면 심재(52)는, 배면측의 수지 플레이트(55)에 마련한 노치(56)의 존재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굴곡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는, 노치에 의해 형성된 수지 플레이트(55)의 박육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머리부 심재(51)가 배면 심재(52)로부터 세워져 있다. 이 상태로부터, 머리부 심재(51)을 시계 방향에 회전시켜서 배면 심재(52)와 동일 평면이 되도록 하면, 머리부 심재(51)의 수지 플레이트의 단면(端面)과 배면 심재(52)의 수지 플레이트의 단면(端面)이 맞닿게 되기 때문에, 양자의 동일 평면 상태는 안정하게 유지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심재(52)와, 좌면 심재(53)는, 배면측의 수지 플레이트(55)에 마련한 3개소의 노치(57)의 존재에 의해, 원활하게 굴곡하도록연결된다. 굴곡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는, 노치에 의해 형성된 수지 플레이트(55)의 박육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3개소의 노치(57)를 마련함으로써, 배면 심재(52)와 좌면 심재(53)가 원활하게 만곡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착좌한 아기의 엉덩이를 넓은 면적에서 안정하게 지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심재(52) 및 머리부 심재(51)는,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는, 배면 심재(52) 및 머리부 심재(51)의 최대 폭 치수 부분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시트부(22)의 폭 치수 전체에 걸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면 심재(52) 및 머리부 심재(51)를 넓은 폭 치수로 하며 또한 좌면 심재(53)와 배면 심재(52)를 연속된 1장의 심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은 경량 타입의 유모차(1)에서도, 등받이 시트부(22)의 자세를 안정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폭방향으로 축소하여 접어개여지는 종래의 경량 타입의 유모차에서는, 접어개는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좌면 심재와 배면 심재를 분리하고, 또한 그들의 심재의 폭 치수를 작게 하고 있다. 아기가 좌석에 착좌하고 있을 때에는, 다리 벨트 및 허리 벨트에 의해 아기를 구속하기 때문에, 좌면 시트부의 움직임은 억제된다. 한편, 등받이 시트부는, 좌면 시트부에 대해 해먹의 천 만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고, 게다가 배면 심재의 폭 치수가 작기 때문에, 유모차의 이동에 수반하는 진동에 의해 등받이 시트부가 옆으로 요동하게 된다.
그에 대해, 도시된 유모차(1)에서는, 특히 배면 심재(52)와 바닥면 심재(53)를 1장의 공통된 심재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등받이 시트부(22)의 옆으로의 요동을 극력 적게 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배면 심재(52)의 폭 치수를 크게 하여 이 배면 심재(52)를 등받이 시트부(22)의 폭 치수 전체 길이에 차지하도록 함으로써, 한층 높아진다.
도 15는 유모차(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도 16은 유모차(1)의 접어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을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유모차의 접어갠 상태에서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의 간격은 좁혀진다. 배면 심재(52)는, 도 15에 도시된 사용 상태에서는, 등받이 시트부(22)의 폭 치수 전체 길이를 차지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된 접어갠 상태에서는 배면 심재(52)를 포함하는 등받이 시트부(22)는, 특히 폭방향으로 절곡되는 일이 없고,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의 배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접어갠 구조이기 때문에, 배면 심재(52)의 폭 치수를 크게 하여도, 폭방향으로 축소하는 유모차의 접어개는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 시트부(23)는, 착좌한 아기의 머리부의 높이에 대응한 위치에 보호 패드(6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15에 도시된 의자 형상의 형태에 있어서, 보호 패드(60)를 포함하는 한 쌍의 측면 시트부(23)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보다도 전방으로 뻗어나와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는, 보호 패드를 포함하는 측면 시트부(23)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도시된 유모차(1)에서는, 의자 형상 및 베드 형상의 양 형태에서, 측방으로부터의 충격에대해 아기의 머리부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에, 유모차(1)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의자 형상의 형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베드 형상의 형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명한다.
도 3에게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는, 등받이 시트부(22)를 배면측으로부터 뒤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본체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있는 배면 서포트(30)을 포함한다. 배면 서포트(30)의 상세는 도 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면 서포트(30)는, 등받이 시트부(22)의 배면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고 그 양단이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12)에 연결되어 있는 배면 끈 부재를 포함한다. 배면 끈 부재는,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벨트(31)와, 좌우의 끈(32)과, 로크 부재(33)로 구성된다. 좌우의 벨트(31)는, 한쪽 단이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에 연결되어 있다. 해먹이 등받이 시트부(22)의 배면에는, 좌우의 벨트(31)를 통과시키기 위한 한 쌍의 안내 주머니띠(24)가 꿰매져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주머니띠(24) 내를 통과한 좌우의 벨트(31)의 다른쪽 단부에, 좌우의 끈(32)이 연결된다.
좌우의 끈(32)은, 로크 부재(33) 내를 통과한다. 로크 부재(33)는, 케이스(34)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35)와, 손잡이(35)의 상방 단에 위치하는 갈고리부(36)와, 손잡이(35)를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세하는 스프링(37)을 구비한다. 등받이 시트부(22)에 배후 방향으로의 하중이 걸리면, 좌우의 벨트(31)에 대해 서로 멀어지게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로크 부재(33)의 갈고리부(36)와 케이스(34)가 좌우의 끈(32)을 물어서, 좌우의 끈(32)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렇게 하여, 등받이 시트부(22)의 자세는, 배면 서포트(30)에 의해 안정하게 유지된다.
의자 형상의 형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베드 형상의 형태로 이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로크 부재(33)의 손잡이(35)를 손가락으로 잡고 하방으로 당겨내릴 뿐이면 좋다. 손잡이(35)를 당겨내리면, 좌우의 끈(32)에 대한 갈고리부(36)의 물고 있음이 해제되기 때문에, 등받이 시트부(22)를 용이하게 후방으로 쓰러뜨릴 수 있다. 등받이 시트부(22)가 소망하는 각도 위치로 됐을 때에 손잡이(35)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스프링(37)에 의해 가세된 갈고기부(36)가 좌우의 끈(32)을 물어서 등받이 시트부(22)의 위치를 고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시트부(22)를 베드 형상의 형태로 될 때 까지 후방으로 경사시키면,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 영역(25)이, 나머지 등받이 시트부에 대해 굴곡하여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를 덮는 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변화는,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부와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를 연결하는 상단 연결 부재(40)를 마련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및 도 1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좌석 해먹(20)의 상방 단에는, 띠 모양 또는 끈 모양의 형태인 상단 연결 부재(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상단 연결 부재(40)는, 좌석 해먹(20)의 상방 단에 꿰매어진 안내 주머니띠(41) 내를 통과하고 있다. 좌석 해먹(20)의 한 쌍의 측면 시트부(23)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에 감긴 상태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면 시트부(23)에 붙어있는 숫버튼(26) 및 암 버튼(27)을,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에 붙어 있는 암 버튼(14) 및 숫 버튼(15)에 채운다.
상단 연결 부재(40)의 길이는, 이하의 동작을 달성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즉, 상단 연결 부재(40)는, 뒤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는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부를 일으키도록 그 길이가 선택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이 시트부(22)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 될 때 까지는, 상단 연결 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가 걸리지 않는 느슨한 상태이다. 한편, 등받이 시트부(22)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이 되면, 상단 연결 부재(40)는 긴장된 상태로 되고,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의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등받이 시트부(22)를 소정의 각도를 넘어 더욱 뒤로 기울이면,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 영역(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등받이 시트부에 대해 굴곡하여 아기의 머리 정수리부를 덮는 형상으로 된다.
도시된 유모차(1)는, 접어갠 상태에서의 운반에 편리함을 주기 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것을 도 6 내지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갠 상태의 유모차(1)을 늘어뜨린 벨트(2)에 의해 어깨에 지닐 수 있도록 하면, 유모차의 운반이 용이하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를 세로로 지니는 형태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를 옆으로 지니는 형태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편리하다. 또한, 좌우의 어깨의 어느쪽으로도 지닐 수 있도록 하면 편리하다.
상기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 유모차는, 늘어뜨린 벨트(2)와, 이 늘어뜨린 밸트(2)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4개소의 벨트 연결 포인트을 구비하고 있다. 밸트 연결 포인트는, 중량 균형을 잡기 위해, 접어갠 상태의 유모차의 중심(重心)을 끼우고 상방 영역의 좌우의 위치, 및 하방 영역의 좌우의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늘어뜨린 벨트(2)는, 항상 유모차에 연결하고 있어도 좋지만, 그 존재가 좌석에 착좌하고 있는 아기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벨트 연결 포인트를 유모차의 배면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도 6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의 벨트 연결 포인트로서,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에 스냅링(16)을 부착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한쪽의 측부의 스냅링(16)만이 도시되고 있지만, 다른쪽의 측부의 같은 위치에 같은 스냅링이 부착되어 있다. 늘어뜨린 벨트(2)는, 그 양단에, 공지의 구조의 훅을 갖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늘어뜨린 벨트(2)를 상방의 2개소의 벨트 연결 포인트에 연결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갠 상태의 유모차를 세로로 지닐 수 있다.
하방의 벨트 연결 포인트로서,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좌면을 지지하는 부재의 후단에 스냅링(17)을 부착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다른쪽의 측부에서도, 같은 스냅링(17)이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상방의 스냅링(16)과 좌측 하방의 스냅링(17)에 늘어뜨린 벨트(2)를 연결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갠 상태의 유모차를 옆으로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기의 머리부의 보호에 중점을 둔 육아 기구를 제공할 수으며,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 그 몇가지를 열거하여 설명한다.
(1) 육아 기구의 전형적인 예로서 유모차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아기 의자,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래크 등의 육아 기구에도 적용 가능하다. 요컨대, 좌석의 등받이부가 뒤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육아 기구에 적용 가능하다.
(2)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배면 서포트는, 등받이 시트부의 배면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고 그 양단이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배면 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였지만, 배면 끈 부재를 이용하지 않는 공지의 리클라이닝 기구를 이용하여도 좋다.
(3)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상단 연결 부재는,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단부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고 그 양 단이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단 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였다. "끈 부재"는, 좌석 해먹과는 별도롤 마련된 "끈" 뿐만 아니라, 좌석 해먹의 보강된 상방 단연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상단 연결 부재는, "끈" 형상의 부재뿐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등받이 시트부의 상방 영역의 양 측부와,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 등이라도 좋다.
(4)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이 시트부는 베드 형상의 형태로 될 때까지 후방으로 경사하는 것이 가능하엿다. 그러나, 본 발명은, 등받이 시트부가 후방으로 경사 가능한 좌석을 갖는 육아 기구에 적용 가능하고, 반드시 등받이 시트부가 베드 형상으로 될 때까지 뒤로 기울지 않아도 좋다.

Claims (11)

  1. 좌면(座面) 지지 부재(11)와, 상기 좌면 지지 부재(11)의 후방 단(端) 영역의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10)과,
    상기 좌면 지지 부재(11)의 위로 늘어나 있는 좌면 시트부(21)와, 상기 좌면 시트부(21)의 후방 단연(端緣)에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의 사이로 늘어나 있는 등받이 시트부(22)를 포함하는 좌석 해먹(20)과,
    상기 등받이 시트부(22)를 배면측으로부터 뒤로 기울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있는 배면 서포트(30)와,
    상기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부와 상기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를 연결하는 상단 연결 부재(40)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연결 부재(40)는, 뒤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는 상기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부를 일으키도록 그 길이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연결 부재(40)는, 상기 등받이 시트부(22)의 후경(뒤로 길울어지는)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 될 때 까지는 부하가 걸리지 않는 느슨한 상태이고, 상기 등받이 시트부(22)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부터 최대 후경 각도에 이르기까지는 부하가 걸려서 긴장된 상태로 되어 상기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부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그 길이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아 기구는, 의자 형상의 형태 및 베드 형상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 연결 부재(40)는, 상기 베드 형상의 형태에서 상기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부를 일으키도록 그 길이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연결 부재(40)는, 상기 등받이 시트부(22)의 상방 단부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고 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에 연결되어 있는 상단 끈(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연결 부재(40)는, 상기 좌석 해먹(20)을 구성하고 있는 봉제 천(옷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연결 부재(40)는, 상기 좌석 해먹(20)의 보강된 윗쪽 단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서포트(30)는, 상기 등받이 시트부(22)의 배면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고 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에 연결되어 있는 배면 끈 부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시트부(22)는, 그 상방 단 영역에 위치하는 머리부 심재(芯材)(51)와, 상기 머리부 심재(51)의 하방 단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배면(背面) 심재(52)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시트부(22)의 후경 각도가 소정의 값으로부터 최대 후경 각도에 이르기까지는 상기 머리부 심재(51)와 상기 배면 심재(52)는 굴곡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심재(51) 및 상기 배면 심재(52)는, 양자의 굴곡점이 되는 노치(56,57)를 배면에 형성한 1장이 연속된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20)은, 상기 등받이 시트부의 양 측연으로부터 세워져서 전방으로 뻗어나와 있는 한 쌍의 측면 시트부(23)를 포함하고,
    상기 각 측면 시트부는, 착좌한 아기의 머리부의 높이에 대응한 위치에 보호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육아 기구(1)는, 의자 형상의 형태 및 베드 형상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유모차이며,
    의자 형상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시트부(23)는, 상기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보다 전방으로 뻗어나와 있고,
    베드 형상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시트부(23)는, 상기 한 쌍의 측부 세로 프레임 부재(12)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
KR10-2003-0028098A 2002-06-05 2003-05-02 육아 기구 KR100520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4451 2002-06-05
JPJP-P-2002-00164451 2002-06-05
JPJP-P-2003-00044203 2003-02-21
JP2003044203A JP3766821B2 (ja) 2002-06-05 2003-02-21 育児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948A true KR20030093948A (ko) 2003-12-11
KR100520674B1 KR100520674B1 (ko) 2005-10-11

Family

ID=2955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098A KR100520674B1 (ko) 2002-06-05 2003-05-02 육아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08100B2 (ko)
EP (1) EP1369333B1 (ko)
JP (1) JP3766821B2 (ko)
KR (1) KR100520674B1 (ko)
CN (1) CN1275819C (ko)
TW (1) TWI2214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821B2 (ja) * 2002-06-05 2006-04-1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
TWI308538B (en) * 2003-01-09 2009-04-11 Combi Corp Stroller
US6880850B2 (en) * 2003-06-04 2005-04-19 Ben M. Hsia Stroller suitable for seating and reclining of a baby
US6877761B2 (en) * 2003-09-04 2005-04-12 Stroller suitable for seating and reclining of a baby
CA2562786A1 (en) * 2004-04-30 2005-11-17 Pdp Compass, Llc Foldable stroller
JP2006159930A (ja) * 2004-12-02 2006-06-22 Combi Corp ベビーカー
US7284797B2 (en) * 2005-03-28 2007-10-23 Mien Chen Huang Backrest adjustment structure for baby stroller
KR101397493B1 (ko) * 2005-09-30 2014-05-20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및 유모차의 가이드 암
NL1031214C2 (nl) * 2006-02-22 2007-08-24 Maxi Miliaan Bv Wandelwagen.
GB0703517D0 (en) * 2007-02-23 2007-04-04 Klever Kids Ltd Child carrying apparatus
GB2468956B (en) * 2009-03-23 2013-08-21 Wonderland Nursery Goods Foldable full-featured stroller capable of minimizing the folded size of the stroller
US8113523B2 (en) * 2009-10-14 2012-02-14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Backrest reclining mechanism and related stroller
CN102259659B (zh) * 2010-05-27 2013-04-24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具有头部保护构造的幼儿推车
JP5693916B2 (ja) * 2010-10-29 2015-04-0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WO2012089119A1 (zh) * 2010-12-29 2012-07-05 东莞盈利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背靠换向结构
CL2012001772A1 (es) 2011-07-01 2014-06-06 Wonderland Nursery Goods Un asiento para un niño que comprende un armazon de asiento con una parte posterior, una banda de anclaje que tiene una porcion intermedia y dos porciones de extremo provistas respectivamente con dos sujetadores operables para fijacion con una estructura de anclaje de un vehiculo, y cierre operable.
GB2512971B (en) 2011-10-19 2015-08-05 Wonderland Nursery Goods Child seat provided with an anchoring harness
CN103386906B (zh) 2012-05-10 2016-04-13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座椅
JP6009221B2 (ja) * 2012-05-22 2016-10-19 コンビ株式会社 シートおよびベビーカー
DE102015102538A1 (de) * 2015-02-23 2016-08-25 Cybex Gmbh Zusammenklappbarer Kindersitz sowie Kinderwagen mit einem solchen Kindersitz
NL2015358B1 (en) * 2015-08-27 2017-03-20 Maxi Miliaan Bv A child seat, a stroller comprising such a child seat as well as an additional seat for such a child seat
CN105438241B (zh) * 2015-12-08 2020-03-20 中山市爱贝尔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童车骨架
NL2016451B1 (nl) * 2016-03-17 2017-10-05 Mutsy Bv Inrichting voor het vervoeren van een kind, en kinderzitje
CN113017336B (zh) * 2018-06-25 2022-09-23 山东瑜韵家具制造有限公司 可按婴儿体型生长调整的伸展式婴儿家庭椅及使用方法
CN109733456A (zh) * 2019-01-22 2019-05-1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NL2023260B1 (en) * 2019-06-04 2020-12-11 Milk Holding B V A backrest structure and a buggy, stroller or pushchair
CN210235078U (zh) * 2019-06-11 2020-04-03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背靠角度调整机构及其幼儿载具
US11590994B2 (en) 2019-08-15 2023-02-28 Radio Flyer Inc. Foldable beach wagon
KR20220074824A (ko) * 2019-10-09 2022-06-03 라디오플라이어인코포레이티드 젖혀지는 시트백을 갖는 왜건
US11718337B2 (en) 2019-10-23 2023-08-08 Radio Flyer Inc. Handle release and locking mechanism
CN113954947A (zh) * 2020-07-21 2022-01-21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背靠可联动收合的婴儿车
WO2023120482A1 (ja) * 2021-12-24 2023-06-29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座席付き育児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1232A (en) * 1953-10-07 1956-06-19 Reo Motors Inc Baby stroller and latching mechanism therefor
US3424493A (en) * 1967-05-26 1969-01-28 Louis Gottfried Baby chair with releasable side guards
US4132429A (en) * 1977-09-07 1979-01-02 Woods Rosalind G Collapsible stroller
JPS55110370U (ko) * 1979-01-29 1980-08-02
IT1124602B (it) * 1979-10-10 1986-05-07 Perego Pines Spa Perfezionamenti ai "passeggini" per bambini,di tipo contraibile in larghezza e trasportabile a braccio a guisa di ombrello,e relativo passeggino perfezionato
US4426113A (en) * 1981-08-27 1984-01-17 Fine Art Pillow & Specialties Corp. Cover for seat of a collapsible stroller
NZ205664A (en) * 1982-09-23 1987-05-29 Maclaren Ltd Andrews Foldable chair frame: pivoted links support chair back
JPS61158568U (ko) * 1985-03-25 1986-10-01
ES286562Y (es) * 1985-04-16 1987-01-16 Jane Cabagnero Ramon Respaldo con cabezal articulado para coches-silla infantiles
IT206571Z2 (it) * 1986-04-23 1987-08-10 Perego Pines Gmbh Passeggino pieghevole perfezionato per bambini.
JPH0534470Y2 (ko) * 1987-09-10 1993-08-31
JP2536627Y2 (ja) * 1988-09-13 1997-05-21 コンビ 株式会社 乳母車用買物かご
US5087066A (en) * 1989-02-16 1992-02-11 Baby Trend, Inc. Foldable baby stroller
US4945587A (en) * 1990-01-22 1990-08-07 Ferro Robert M Beach chair with adjustable back having an air mattress attached thereto
JPH0752778Y2 (ja) * 1990-09-20 1995-12-0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H074248U (ja) * 1993-06-16 1995-01-2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JPH074248A (ja) 1993-06-18 1995-01-10 Isuzu Motors Ltd 副室式エンジン
US5590896A (en) * 1994-09-09 1997-01-07 Fisher-Price, Inc. Stroller
TW280801B (ko) *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KR0132876Y1 (ko) * 1995-10-24 1998-12-01 황산 유모차의 등판각도 조절장치
US5662380A (en) * 1995-11-09 1997-09-02 Fisher-Price, Inc. Folding seat back for stroller
US5738410A (en) * 1996-10-25 1998-04-14 Lisco, Inc. Collapsible three wheeled stroller with adjustable backrest
JP3177589B2 (ja) * 1997-04-03 2001-06-18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側頭サポート部材付ベビーキャリア
JPH1191587A (ja) * 1997-09-25 1999-04-06 Combi Corp 乳幼児用座席のずり落ち防止具
JP4028040B2 (ja) * 1997-09-26 2007-12-26 コンビ株式会社 着座装置の側板の可変機構
US6471222B1 (en) * 2001-04-26 2002-10-29 Ben M. Hsia Adjustable seat back arrangement for stroller
US6702316B2 (en) * 2001-10-18 2004-03-09 Ben M. Hsia Stroller with car seat fastening arrangement
JP3766821B2 (ja) * 2002-06-05 2006-04-1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9333A3 (en) 2007-08-22
CN1275819C (zh) 2006-09-20
EP1369333B1 (en) 2009-04-08
EP1369333A2 (en) 2003-12-10
KR100520674B1 (ko) 2005-10-11
US6908100B2 (en) 2005-06-21
US20030227158A1 (en) 2003-12-11
TW200307616A (en) 2003-12-16
JP3766821B2 (ja) 2006-04-19
JP2004058985A (ja) 2004-02-26
CN1468771A (zh) 2004-01-21
TWI221453B (en)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674B1 (ko) 육아 기구
US7445230B2 (en) Baby carriage
JP5827008B2 (ja) 運搬具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JP3148150B2 (ja)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US20100072236A1 (en)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KR100535136B1 (ko) 유모차
KR100212590B1 (ko) 유아 홀더
JPS5832067B2 (ja) 乳母車のハンモツク
JP4441231B2 (ja) 子守帯
JP5693916B2 (ja) ベビーカー
JP2004058986A (ja) 折り畳み式乳母車
JP2006141680A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95824Y1 (ko) 유아용 역류 방지 쿠션
JP6758905B2 (ja) 乳母車
KR200488095Y1 (ko) 유아착좌겸용 가방
US20020185895A1 (en) Collapsible infant's chair
JP2005118475A (ja) 子守帯
JP2005193789A (ja) 乳母車、座席ハンモックおよび座席芯材
CN117122169A (zh) 一种多功能婴儿背带装置
JP2005170240A (ja) 運搬車
JP2002223837A (ja) ウエストバッグ
JPS621323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