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032A -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032A
KR20230127032A KR1020220024599A KR20220024599A KR20230127032A KR 20230127032 A KR20230127032 A KR 20230127032A KR 1020220024599 A KR1020220024599 A KR 1020220024599A KR 20220024599 A KR20220024599 A KR 20220024599A KR 20230127032 A KR20230127032 A KR 20230127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olvent
extr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864B1 (ko
Inventor
김성재
박종일
이송이
하서은
이승지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2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864B1/ko
Publication of KR2023012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8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대나무의 내부가 비어있는 특수한 성질을 이용하여 감압 및 가압처리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추출 용매를 대나무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시키면서 조직 내의 유효성분을 대나무의 내부로 이동시켜 추출함으로써 항염, 피부 진정, 피부보습에 도움이 되는 아미노산과 폴리페놀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Preparation method of bamboo extracts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대나무의 내부가 비어있는 특수한 성질을 이용하여 감압 및 가압처리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추출 용매를 대나무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시키면서 조직 내의 유효성분을 대나무의 내부로 이동시켜 추출함으로써 항염, 피부 진정, 피부보습에 도움이 되는 아미노산과 폴리페놀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피부 개선용 화장료로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 대나무아과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줄기는 땅속을 옆으로 뻗어가는 근경으로부터 직립하며, 둥글며 속이 비어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에는 십여 종의 대나무가 자생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종류로는 왕대(Phyllostachys bambusoides), 솜대(P. nigra var. henonis), 맹종죽(죽순대, P. pubescens), 조릿대(Sasa borealis), 신이대(Sasa coreana) 등을 들 수 있다.
대나무에는 flavone glycosides, phenolic acids, coumarin lactones, anthraquinones, amino acids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 대나무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약제 보조제, 미용향장소재 및 식품 첨가물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죽력(竹瀝)은 대나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얻어지는 수액으로서 예로부터 의약품 및 식품의 원료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혈당강하, 혈압강하, 간기능 개선 및 해열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나무로부터 추출된 색소가 천연 기능성 염료로 이용되기도 하며, 대나무 추출물의 트리신(tricin)과 같은 폴리페놀성분은 혈청 내 염증매개물질들의 수치(IgE)를 감소시켜,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억제 및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어, 의약품이나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1918호 "아임계 용매를 이용하는 대나무 잎 추출물의 추출방법"에는 '일반 유기용매 대신에 아임계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효율이 높고 생리활성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대나무의 추출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0027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된 대나무 추출물 제조방법"에는 '생대나무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대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대나무 분말에 7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80℃의 조건에서 용매추출한 후, 감압여과하여 침전물 및 추출액을 분리하고, 추출액을 수득하여 에탄올 수용액 추출액을 제조하는 추출액 제조단계; 상기 추출액 제조단계에서 분리된 에탄올 수용액 추출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제조단계; 및 상기 추출물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물에 녹인 추출물 수용액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진공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하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가 포함된 대나무 추출물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2764호 "대나무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는 '대나무를 분쇄하여 대나무 가루를 얻는 분쇄 공정과, 대나무 가루를 유산균에 의해 발효시켜 대나무 발효물을 얻는 발효 공정과, 대나무 발효물을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 추출 공정을 포함하는 대나무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대나무의 추출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대나무의 내부가 비어있는 특수한 성질을 이용하여 감압 및 가압처리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추출 용매를 대나무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시키면서 조직 내의 유효성분을 대나무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추출하는 경우에 항염, 피부 진정, 피부 보습에 도움이 되는 아미노산과 폴리페놀 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대나무 추출물이 얻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아미노산과 폴리페놀을 고함량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개선활성을 나타내는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염, 피부진정 및 피부보습활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A)대나무의 마디와 마디사이의 내부 공간이 손상되지 않도록 대나무를 절단하는 단계;
(B)대나무를 세척하는 단계;
(C)대나무가 뜨지 않도록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
(D)감압과 가압을 번갈아 수행하여 대나무 내부 공간의 기체를 제거하면서, 외부의 용매를 대나무 내부공간으로 침투시키며 추출하는 단계;
(E)구멍을 뚫어 대나무 내부의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 및
(F)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단계에서 대나무는 왕대, 솜대, 죽순대 및 밤부사 불가리스(Bambusa vulgaris), 가시대나무, 위버대나무, 오죽, 모소밤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C)단계에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탄소수 2 내지 6의 무수 또는 함수 다가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세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 있어서, 감압 처리는 0~1bar의 압력조건에서, 가압 처리는 1~10bar의 압력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염증 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의하면, 내부가 비어있는 대나무의 특성을 이용하여 외부의 용매를 대나무의 조직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대나무의 피부개선 활성성분을 내부로 이동시켜 추출할 수 있으므로, 추출효율이 높고, 아미노산, 폴리페놀 등과 같은 피부개선 활성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대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추출용매에 따라 제조된 각 대나무 추출물의 항염 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대나무 추출물의 아미노산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대나무 추출물의 항염 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대나무 추출물의 피부 보습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대나무 줄기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나무를 분쇄한 후 다양한 용매로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대나무를 분쇄하는 공정 없이 추출압력의 변화를 통해 용매가 대나무 내부 조직사이에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대나무에 함유된 피부개선 활성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화장료로 이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대나무의 마디와 마디사이의 내부 공간이 손상되지 않도록 대나무를 절단하는 단계; (B)대나무를 세척하는 단계; (C)대나무가 뜨지 않도록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 (D)감압과 가압을 번갈아 수행하여 대나무 내부 공간의 기체를 제거하면서, 외부의 용매를 대나무 내부공간으로 침투시키며 추출하는 단계; (E)구멍을 뚫어 대나무 내부의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 및 (F)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대나무 추출은 감압(진공)펌프와 가압펌프가 구비된 내압용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추출에 사용되는 대나무는 바람직하게는 왕대, 솜대, 죽순대 및 밤부사 불가리스(Bambusa vulgaris), 가시대나무, 위버대나무, 오죽, 모소밤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생대나무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먼저 대나무를 마디와 마디사이의 내부 공간이 손상되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이어서, 절단된 대나무의 외부를 세척한다. 바람직하게는 물로 세척한 후, 70% 에탄올로 다시 한 번 세척하여 추출에 사용한다.
외부가 세척된 대나무를 뜨지 않도록 용매에 침지시킨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감압(진공)펌프와 가압펌프가 구비된 내압용기에 대나무와 용매를 넣는다. 이때 대나무의 내부가 비어 있어 용매에 뜨게 되는데, 이 경우 추출효율이 떨어지므로 대나무의 외부면이 용매에 모두 접할 수 있도록 침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탄소수 2 내지 6의 무수 또는 함수 다가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세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함수 에탄올, 1,2-헥산디올이 사용된다.
이어서, 추출용기 내부의 압력을 감압하고 가압하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추출한다. 상기 감압 처리는 0~1 bar의 압력조건에서, 즉 1 bar 미만의 압력조건으로 장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0~24시간 행해진다. 상기 감압 처리 후 음압을 상압으로 조절한다. 이어서 1~10 bar의 조건으로 장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0~24시간 다시 가압 처리한다. 이와 같은 감압 처리 및 가압 처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추출을 진행한다. 상기 추출기간은 압력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0~20일간 수행한다.
상기 감압 처리를 통하여 대나무 내부의 기체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가압처리를 통하여 대나무를 감싸고 있던 용매가 대나무 내부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 공정에 의하여 대나무 조직 사이로 추출용매가 서서히 침투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대나무의 피부개선 활성성분인 아미노산, 폴리페놀 등이 함께 이동되어 대나무의 내부공간에 모이는 방식으로 추출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대나무에 구멍을 내어서 대나무 내부 공간에 모인 추출액을 수득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아미노산, 폴리페놀이 고농도로 함유된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얻어진 추출액을 프리필터로 여과하고, 0.2 ㎛ 멤브레인으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대나무 추출물은 대나무를 분쇄 후 추출한 추출물에 비하여 폴리페놀 및 아미노산 함량이 높았으며, 우수한 항염 및 보습활성을 나타내었다.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 함유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 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젤,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하기의 실시예와 시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 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내부공간이 손상되지 않도록 절단된 대나무(Phyllostachys bambusoides)를 물로 세척한 후, 70% Ethanol로 다시 한 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대나무를 감압펌프와 가압펌프가 구비된 내압용기에 넣고, 떠오르지 않도록 50% Ethanol에 침지시켰다. 감압펌프를 이용하여 대나무 내부의 기체를 제거해주기 위해 0.1 bar로 24시간 동안 감압하였다. 감압 하루 후 추출기 내부의 음압을 상압으로 다시 조절하고, 에어 콤프레셔를 이용하여 2 bar로 가압하여 외부의 압력을 높여줘 24시간 동안 외부의 용매가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감압/가압 공정을 2주간 반복하여 대나무 내부 공간에 추출액이 가득 찰 수 있도록 하였다.
대나무를 추출기에서 꺼내고, 대나무 마디에 구멍을 뚫어 내부에 포함된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대나무 내부 추출액을 프리필터로 여과하고, 0.2 ㎛ 멤브레인으로 여과하여 대나무 내부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용매를 70% 에탄올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여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용매를 40% 1,3-butylene glyc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여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용매를 10% 1,2-Hexanedi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여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내부공간이 손상되지 않도록 절단된 대나무(Phyllostachys bambusoides)를 물로 세척한 후, 70% Ethanol로 다시 한 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대나무를 감압펌프와 가압펌프가 구비된 내압용기에 넣고, 떠오르지 않도록 50% Ethanol에 침지시켰다. 감압펌프를 이용하여 대나무 내부의 기체를 제거해주기 위해 0.1 bar로 24시간 동안 감압하였다. 감압 하루 후 추출기 내부의 음압을 상압으로 다시 조절하고, 에어 콤프레셔를 이용하여 2 bar로 가압하여 외부의 압력을 높여줘 24시간 동안 외부의 용매가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감압/가압 공정을 2주간 반복하여 대나무 내부 공간에 추출액이 가득 찰 수 있도록 하였다.
대나무를 추출기에서 꺼내고, 추출기에 남아있는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추출액을 프리필터로 여과하고, 0.2 ㎛ 멤브레인으로 여과하여 대나무 외부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용매를 70% 에탄올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여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용매를 40% 1,3-butylene glyc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여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용매를 10% 1,2-Hexanedi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여 대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추출 효율 확인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의 대나무 내부추출물과 비교예의 대나무 외부추출물의 색상과 냄새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용매에서 대나무의 외부추출물 보다 용매가 내부로 이동하여 추출된 실시예의 대나무 내부추출물의 색상이 더 진하며, 특유의 냄새 또한 더욱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용매가 내부/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대나무의 조직 사이를 이동하며 대나무 조직 사이사이의 성분을 추출하며 같이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고농도로 대나무 활성성분이 추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항염 효능 평가
추출물의 항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NO assay를 수행하였다. RAW 264.7 세포를 48-well plate에 1×105cells/well의 농도로 seeding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에 DPBS로 세척하고, 시험물질을 각각 0.25, 0.5, 1% 농도를 함유한 배지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상층액 100 μl를 새 96-well plate에 옮긴 후에 Griess reagent 100 μl를 넣어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에 spectrophotometer 기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생성량 보정값은 WST-8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양을 측정한 값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모든 용매에서 실시예의 대나무 내부추출물이 외부추출물보다 월등히 좋은 항염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0% EtOH와 50% EtOH를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가 없었으므로, 경제적인 부분과 제형 적용을 고려하였을 시 50% EtOH가 더 효율적이라 판단하였다. 또한 10% 1,2-HD는 방부문제, 제형적용, 자체적인 보습효과 등으로 인하여 매우 효율적인 추출 용매로 판단되어 추출용매는 50% EtOH와 10% 1,2-HD가 가장 적절한 추출용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5: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대나무(Phyllostachys bambusoides) 줄기를 가로 0.5cm, 세로 3cm 이하의 펠렛형태로 세절하여 50% Ethanol에 침지시켜 2주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프리필터로 여과하고, 0.2 ㎛ 멤브레인으로 여과하여 대나무 50% EtOH 일반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6: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대나무(Phyllostachys bambusoides) 줄기를 가로 0.5cm, 세로 3cm 이하의 펠렛형태로 세절하여 10% 1,2-hexanediol에 침지시켜 2주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프리필터로 여과하고, 0.2 ㎛ 멤브레인으로 여과하여 대나무 10% 1,2-HD 일반추출물을 얻었다.
시험예 2: 대나무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대나무 내부추출물, 대나무 외부추출물과 대나무 일반추출물에 포함된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용매 폴리페놀 함량(ppm)
대나무 외부추출물
(비교예 1, 4)
대나무 내부추출물
(실시예 1, 4)
대나무 일반추출물
(비교예 5, 6)
50% EtOH 103.6 612.3 262.0
10% 1,2-HD 109.8 698.7 191.3
분석 결과 대나무 외부추출물의 경우 폴리페놀 함량이 50% EtOH에서 103.6 ppm, 10% 1,2-HD에서 109.8 ppm이 분석되었고, 내부추출물의 경우 50% EtOH에서 각각 612.3 ppm, 10% 1.2-HD에서 698.7 ppm이 분석되어 폴리페놀이 외부추출물에 비하여 6배 이상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쇄 후 추출한 일반추출물의 경우 50% EtOH에서 262.0 ppm, 10% 1,2-HD에서 191.3 ppm이 분석되어, 이와 비교하여도 내부추출물이 각각 약 2.3배, 3.7배 많이 포함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대나무 추출물의 아미노산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대나무 내부추출물, 대나무 외부추출물과 대나무 일반추출물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아미노산은 NMF로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석은 TLC로 수행하였고, ninhydrin 반응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대나무 내부추출물은 비교예의 외부추출물이나 일반추출물에 비해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험예 2에서 일반추출물이 외부 추출물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데 반해 아미노산은 일반추출물보다 외부추출물의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 추출로 아미노산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없지만 본 공정으로 아미노산을 더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대나무 추출물의 항염 효능 평가
NO 생성량을 측정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대나무 내부추출물, 대나무 외부추출물과 대나무 일반추출물의 항염 효능을 평가하였다.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50% EtOH 용매와 1,2-HD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실시예의 대나무 내부추출물이 비교예의 일반추출물과 외부추출물보다 NO 생성 저해효과가 뛰어난 것을 볼 수 있었다. 용매별로 보면 1,2-HD 용매가 50% EtOH 용매보다 NO 생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대나무 추출물의 보습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대나무 내부추출물, 대나무 외부추출물과 대나무 일반추출물의 보습 효능을 평가하였다.
보습인자인 AQP3, 장벽인자 Keratin 1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6-well plate에 2×105cells/well의 농도로 seeding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 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에 DPBS로 세척하고 시험물질을 각각 0.125, 0.25 및 0.5% 농도를 함유한 배지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로 세척하여 RNA를 추출하고 cDNA로 합성하였다. 1 μl cDNA, 1 μl AQP3 또는 Keratin 1 primer, 8 μl 3차 증류수, 10 μl SYBR Green PCR supermix와 혼합하여 Real-time PCR 기기에 넣고 40 cycle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의 대나무 내부추출물을 시료로 사용한 경우에, 비교예 4의 대나무 외부추출물 및 비교예 6의 대나무 일반추출물에 비하여 AQP3 및 Keratin 1의 mRNA 발현량이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대나무 추출물(실시예 4)을 함유한 크림을 하기 표 2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
대나무 추출물(실시예 4) 2.0
시어버터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미네랄 오일 10.0
디메치콘 3.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세테아릴알코올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폴리머 0.25
트리에탄올아민 0.25
페녹시에탄올 적량
정제수 To 100

Claims (7)

  1. (A)대나무의 마디와 마디사이의 내부 공간이 손상되지 않도록 대나무를 절단하는 단계;
    (B)대나무를 세척하는 단계;
    (C)대나무가 뜨지 않도록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
    (D)감압과 가압을 번갈아 수행하여 대나무 내부 공간의 기체를 제거하면서, 외부의 용매를 대나무 내부공간으로 침투시키며 추출하는 단계;
    (E)구멍을 뚫어 대나무 내부의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 및
    (F)상기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대나무는 왕대, 솜대, 죽순대 및 밤부사 불가리스(Bambusa vulgaris), 가시대나무, 위버대나무, 오죽, 모소밤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탄소수 2 내지 6의 무수 또는 함수 다가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세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감압 처리는 0~1bar의 압력조건에서, 가압 처리는 1~10bar의 압력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염증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24599A 2022-02-24 2022-02-24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669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599A KR102669864B1 (ko) 2022-02-24 2022-02-24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599A KR102669864B1 (ko) 2022-02-24 2022-02-24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032A true KR20230127032A (ko) 2023-08-31
KR102669864B1 KR102669864B1 (ko) 2024-05-28

Family

ID=8784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599A Active KR102669864B1 (ko) 2022-02-24 2022-02-24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9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4785B1 (ko) * 2024-05-08 2025-02-12 (주)제로투세븐 매화, 금은화, 감국 및 대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09A (ko) * 2001-04-24 2002-11-01 조수연 대나무통 숙성주의 제조방법
KR20060129607A (ko) * 2005-06-13 2006-12-18 담양군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대나무추출물
JP2007006865A (ja) * 2005-06-03 2007-01-18 Kensuke Ishii 竹エキス入り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5219A (ko) * 2010-09-07 2012-03-15 윤영수 대나무통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71738A (ko) * 2012-12-04 2014-06-12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549A (ko) * 2017-11-30 2019-06-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09A (ko) * 2001-04-24 2002-11-01 조수연 대나무통 숙성주의 제조방법
JP2007006865A (ja) * 2005-06-03 2007-01-18 Kensuke Ishii 竹エキス入り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29607A (ko) * 2005-06-13 2006-12-18 담양군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대나무추출물
KR20120025219A (ko) * 2010-09-07 2012-03-15 윤영수 대나무통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71738A (ko) * 2012-12-04 2014-06-12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549A (ko) * 2017-11-30 2019-06-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4785B1 (ko) * 2024-05-08 2025-02-12 (주)제로투세븐 매화, 금은화, 감국 및 대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9864B1 (ko) 202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3083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207558B1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1411B1 (ko) 딱지꽃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0081A (ko)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9864B1 (ko) 항염 및 보습활성이 우수한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1750B1 (ko)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된 니파야자 추출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니파야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9344B1 (ko) 패각 용해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어진 오크라, 여주 및 노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9181A (ko) 주름예방에 적합한 화장용 복합 추출물
KR102504487B1 (ko) 피부장벽 보호 기능이 있는 금전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6B1 (ko) 녹두씨, 만주자작나무수액 및 소리쟁이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