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936A -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936A
KR20230126936A KR1020220024398A KR20220024398A KR20230126936A KR 20230126936 A KR20230126936 A KR 20230126936A KR 1020220024398 A KR1020220024398 A KR 1020220024398A KR 20220024398 A KR20220024398 A KR 20220024398A KR 20230126936 A KR20230126936 A KR 2023012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high voltage
switching element
un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진
강은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936A/ko
Priority to PCT/KR2022/020747 priority patent/WO2023163349A1/ko
Publication of KR2023012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8Safety arrangements;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04C2240/403Electric motor with inverter for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8Electronic circuits (e.g. inverter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잔류 전압을 안정적으로 차단시켜 고전압 커넥터의 탈거로 인한 감전 또는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Residual voltage controller and electric compressor}
본 실시 예는 전동 압축기에 구비된 고전압 커넥터의 탈거에 따른 잔류 전압을 안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 적용되는 압축기에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기계식 압축기와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압축기가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 내에 전장화가 가속화되면서 전동식 압축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또한, 전동 압축기에서는 모터의 운전 속도를 가변 할 수 있는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의 개발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버터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는 인버터가 케이싱의 외주면 또는 일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전동 압축기에는 고전압을 인가 받아 작동되기 위해 고전압 커넥터가 구비된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는 인터락(Inter Lock) 기능을 이용하여 고전압 커넥터의 체결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특히 차량 공조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동 압축기는 차량에 축전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하므로 차량에 저장된 전력 상태에 따라 사용되는 전력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전력을 제한할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공조 시스템은 전동 압축기의 지령 분당 회전수(RPM)를 낮추어 전동 압축기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제한한다.
규정에 의하면 전기차의 사고나 수리 시 고전압 전원으로부터 이탈이 발생될 때 전동 압축기의 전위는 1초 이내 60V 이하를 만족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규정을 만족하기 위하여 DC 입력단에 큰 용량의 저항을 구비하여 상시 방전을 하거나 DC 링크단 커패시터의 용량을 축소하여 회로를 구성하여 사고로 인해 인터락 회로에 먼저 이상이 발생될 경우 고전압 계통을 차단시켜 사고 후 발생할 수 있는 감전 및 화재를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유도성 부하를 가지는 인버터의 특성상 고속 운전 중 전원 라인이 개방되었을 경우, 고전압 라인의 전원 레벨이 떨어지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 되고, 작업자가 수리 및 점검을 위해 고전압 커넥터를 점검하다가 잔여 전압으로 인한 감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01576호
본 실시 예들은 고전압 커넥터의 탈거로 인한 잔류 전압에 의한 감전 사고를 안전하게 예방하여 작업자의 안정적인 점검 및 수리를 도모할 수 있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잔류 전압 제어 장치는 인터락이 구비된 고전압 커넥터; 상기 고전압 커넥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가 정상 정지 신호 이전에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모터부의 잔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각각 연결된 전압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 제1 전압 제어부;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2 전압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압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인버터부로 인가되는 전압을 우선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제2 전압 제어부는 상기 모터부의 잔류 전압을 방전을 통해 감소시키는
상기 제1 전압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부에서 고전압 커넥터 방향으로 잔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구비된 제1 접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구비된 제2 접지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압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전기적인 결합 상태가 전환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될 경우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전압을 소모하는 저항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구비된 제3 접지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동 압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부; 인터락이 구비된 고전압 커넥터; 및 상기 모터부가 정상 정지 신호 이전에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모터부의 잔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각각 연결된 전압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전압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 제1 전압 제어부;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2 전압 제어부를 포함 한다.
상기 제1 전압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부에서 고전압 커넥터 방향으로 잔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압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전기적인 결합 상태가 전환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될 경우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전압을 소모하는 저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동 압축기의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잔류 전압을 즉시 차단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잔류 전압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점검 및 수리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제1 내지 제2 전압 제어부의 배치를 통해 안정적인 전기 릴레이를 구현하여 전동 압축기를 작동시킬 수 있어 작동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종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잔류 전압 제어 장치의 배치 상태를 간단히 도시한 회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전동 압축기가 정상으로 작동 중일 때의 제1,2 전압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전동 압축기에 구비된 고전압 커넥터가 탈거된 이후의 잔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첨부된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종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잔류 전압 제어 장치의 배치 상태를 간단히 도시한 회로도 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전동 압축기가 정상으로 작동 중일 때의 제1,2 전압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전동 압축기에 구비된 고전압 커넥터가 탈거된 이후의 잔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전동 압축기는 하우징(100)과, 모터부(200)와, 압축부(300)와, 인버터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200)와 상기 인버터부(400)는 터미널 유닛(5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전동 압축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부(200)는 프론트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부(300)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모터부(200)는 프론트 하우징(110)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20)에 결합되는 회전자(240)와, 상기 프론트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자(24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자(26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260)는 고정자 코어(262)와, 상기 고정자 코어(262)에 권선되는 코일(264)을 포함한다.
상기 압축부(300)는 상기 리어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20)에 편심 부시를 통해 결합되는 선회 스크롤(320)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 사이에 고정되어 선회 스크롤(320)과 함께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3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부(300)가 회전축(220)을 통해 모터부(200)와 연결됨으로써, 모터부(200)에서 생성된 회전력이 회전축(220)에 의해 압축부의 선회 스크롤(32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구비되되 모터부(200)를 기준으로 압축부(300)와 반대편에 결합된다. 상기 인버터부(400)는 모터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부(200)에 전원을 인가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자(260)는 인버터부(400)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고정자(260)가 형성한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자(240)가 회전함에 따라 압축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이 생성된다.
상기 인버터부(400)는 스위칭 소자(미도시)들이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수납되도록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인버터 케이스(460)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압축기는 인버터부(400)를 통해 운전자가 설정한 설정 온도에 따른 냉방 요구량에 따라 모터부(200)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안정적인 냉방을 도모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모터부(200)가 인터락 회로에서 이상이 발생되거나, 전동 압축기가 정지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전압 커넥터(600)에서 탈거가 발생될 경우 상기 모터부(20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에 60V 이상의 전압이 지속되지 않도록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와 인버터부(400) 간의 전기 회로를 안정적으로 차단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이를 통해 전동 압축기의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잔류 전압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점검 및 수리를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정상 정지 신호 이전에 고전압 커넥터(600)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모터부(200)의 잔류 전압을차단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와 상기 인버터부(400) 사이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각각 연결된 전압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제어부(700)는 일 예로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와 상기 인버터부(400)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 제1 전압 제어부(710)와,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와 상기 인버터부(400)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2 전압 제어부(72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제1 전압 제어부(710)가 고전압 커넥터(600)와 인버터부(400)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모터부(200)의 잔여 회전 작동으로 인해 고전압 터넥터(600)로 전압이 지속되는 현상을 즉시 차단함으로써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와 인버터부(4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전압 제어부(710)는 상기 인버터부(400)에서 고전압 커넥터(600) 방향으로 잔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스위칭 소자(712)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712)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7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714)를 포함 한다.
상기 제1 스위칭 소자(712)는 일 예로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가 사용되고, 상기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고전압 스위칭이 가능하여 높은 전압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712)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제1 접지 스위치(712a)가 구비되고, 제2 스위칭 소자(714)에도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제2 접지 스위치(714a)가 구비된다.
상기 제1,2 스위칭 소자(712, 714)는 정상적으로 전동 압축기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2 접지 스위치(712a, 714a)가 온(On) 상태로 접지되고, 정상 정지 명령이 미 입력된 상태에서 인터락이 탈거될 경우 접지된 상태가 오프(Off)되어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1 전압 제어부(710)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에서 인터락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인버터부(400)로 인가되는 전압을 우선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자의 감전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칭 소자(712)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에서 인버터부(400)로 순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전압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칭 소자(714)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에서 인버터부(400)를 향해 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정상적으로 전동 압축기가 작동될 경우 제1 접지 스위치(712a)의 온 으로 인한 접지 상태가 유지될 경우 상기 제2 스위치 소자(714)를 경유하여 인버터부(400)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 스위치(714a)는 전동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경우 온(On) 상태로 접지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전압이 안정적으로 인가된다.
본 실시 예는 제1 스위칭 소자(712)와 제2 스위칭 소자(714)의 스위칭 회로를 구현하여 인터락의 탈거와 동시에 제1,2 접지 스위치(712a, 714a)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 고전압 커넥터(600)의 탈거로 인한 전압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와 동시에 고전압 커넥터(600)의 인터락 탈거로 인해 모터부(200)가 소정의 알피엠으로 회전되면서 잔류 전압이 유지된다.이 경우 상기 잔류 전압이 제2 전압 제어부(720)을 통해 방전될 수 있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될 경우 0V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 제어부(720)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전기적인 결합 상태가 전환되는 제1 스위치(722)와, 상기 제1 스위치(7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스위칭 소자(724)와, 상기 제3 스위칭 소자(7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722)가 온(On)으로 전환될 경우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전압을 소모하는 저항부(7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스위칭 소자(724)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제3 접지 스위치(724a)가 구비되어 있어 전기적인 접속 또는 접속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722)는 전동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작동 중일 경우 온(On) 상태로 작동되고(도 4 참조), 인터락이 탈거될 경우 접속이 해제되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다(도 6 참조).
상기 제3 스위칭 소자(724)는 제3 접지 스위치(724a)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따른 접지 상태에 따라 인버터부(400)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역 방향으로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저항부(726)는 복수의 개별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인터락이 탈거될 경우 모터부(200)의 잔류 전압을 저항의 발열을 통한 방전을 통해 감소 시키는 역할을 한다.
저항부(726)는 모두 동일한 저항값을 갖거나, 서로 상이한 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잔류 전압에 의해 안정적으로 발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전압 커넥터(600)가 탈거되는 경우에도 전압을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정적인 점검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모터부
300 : 압축부
400 : 인버터부
500 : 터미널 유닛
600 : 고전압 커넥터
700 : 전압 제어부
710 : 제1 전압 제어부
712 : 제1 스위칭 소자
714 : 제2 스위칭 소자
720 : 제2 전압 제어부
722 : 제1 스위치
724 : 제3 스위칭 소자
726 : 저항부

Claims (12)

  1. 인터락이 구비된 고전압 커넥터;
    상기 고전압 커넥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가 정상 정지 신호 이전에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모터부의 잔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각각 연결된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 제1 전압 제어부;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2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인버터부로 인가되는 전압을 우선적으로 차단하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제어부는 상기 모터부의 잔류 전압을 방전을 통해 감소시키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부에서 고전압 커넥터 방향으로 잔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구비된 제1 접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구비된 제2 접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전기적인 결합 상태가 전환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될 경우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전압을 소모하는 저항부를 포함하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구비된 제3 접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잔류 전압 제어 장치.
  9.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부;
    인터락이 구비된 고전압 커넥터; 및
    상기 모터부가 정상 정지 신호 이전에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모터부의 잔류 전압을차단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각각 연결된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전압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 제1 전압 제어부;
    상기 고전압 커넥터와 상기 인버터부 사이에서 병렬로 연결된 제2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부에서 고전압 커넥터 방향으로 잔류 전압을차단하기 위해 구비된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제어부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에서 탈거가 이루어질 경우 전기적인 결합 상태가 전환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될 경우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전압을 소모하는 저항부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220024398A 2022-02-24 2022-02-24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KR20230126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398A KR20230126936A (ko) 2022-02-24 2022-02-24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PCT/KR2022/020747 WO2023163349A1 (ko) 2022-02-24 2022-12-19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398A KR20230126936A (ko) 2022-02-24 2022-02-24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936A true KR20230126936A (ko) 2023-08-31

Family

ID=8776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398A KR20230126936A (ko) 2022-02-24 2022-02-24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6936A (ko)
WO (1) WO202316334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576B1 (ko) 2008-12-09 2010-12-17 주식회사 두원전자 전동식 압축기용 인버터 연결단자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618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구동시스템
KR101661765B1 (ko) * 2010-06-17 2016-09-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1935283B1 (ko) * 2017-10-12 2019-01-04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전동식 압축기용 인버터 어셈블리
JP7221632B2 (ja) * 2018-10-01 2023-02-14 サンデン株式会社 電動コンプレッサの制御装置
KR20210098326A (ko) * 2020-01-31 2021-08-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 제조 정보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576B1 (ko) 2008-12-09 2010-12-17 주식회사 두원전자 전동식 압축기용 인버터 연결단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3349A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726B2 (en) Variable speed control of multiple motors
US7250017B2 (en) Auxiliary machine driven by engine and motor and capable of starting engine
EP1110773B1 (en) Driving device for motor-driven compressor
EP2679420B1 (en) Motor-driven compressor
JP2002322985A (ja) 圧縮機装置及び冷却装置
US20100172772A1 (en) Vehicle-air-conditioner compressor
JP2010158991A (ja) 電動圧縮機の配置構造
KR20230126936A (ko) 잔류 전압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US6651450B1 (en) Drive control device for hybrid compressor
CN111434921B (zh) 压缩机故障诊断装置、系统、方法及压缩机设备
JP5135161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JP5427416B2 (ja) 空気調和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102367739B1 (ko) 전동 압축기 과전류시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1567128B1 (ko) 가변용량형 하이브리드 압축기
JP5003429B2 (ja) インバータ装置
CN101769255A (zh) 高寿命压缩机
CN219888212U (zh) 压缩机组件及机动车辆
JP200704538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19725B1 (ko) 차량용 에어컨 압축기의 제어방법
JP4244959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CN208021142U (zh) 一种车用空调系统
JP5243088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KR20230037381A (ko) 전동 압축기
CN117751244A (zh) 电动压缩机及其控制方法
KR20220157178A (ko) 터미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