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806A - 슬러지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806A
KR20230124806A KR1020220021595A KR20220021595A KR20230124806A KR 20230124806 A KR20230124806 A KR 20230124806A KR 1020220021595 A KR1020220021595 A KR 1020220021595A KR 20220021595 A KR20220021595 A KR 20220021595A KR 20230124806 A KR20230124806 A KR 20230124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awdust
housing
inle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철
정옥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Priority to KR102022002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806A/ko
Publication of KR2023012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7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 B01F27/171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for disintegrating, e.g. for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7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 B01F27/172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for cutting, e.g. with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10Addition or removal of substances other than water or air to or from the material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05Mixing or agitating manure, du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2Mixing fertiliser ingredients
    • B01F2101/33Mixing compost ingredients or organic was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제1, 제2, 제3, 제4투입구로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을 공급하되, 제1, 제2구동모터로 교반이송장치 및 분쇄장치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켜, 하우징 내로 공급된 톱밥이 교반이송장치의 교반블레이드에 의해 하우징 후단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발효품 및 슬러지와 순차적으로 교반되도록 하고, 톱밥 및 발효품이 혼합된 슬러지를 교반이송장치를 통해 분쇄장치로 이송시켜, 분쇄장치에서 슬러지를 분쇄하면서 분쇄된 슬러지 사이로 제4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톱밥을 혼재시켜, 슬러지 내에 톱밥 및 발효품이 고르게 혼재된 발효 가능한 상태의 슬러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이송장치를 통해 톱밥 및 발효품을 1차 교반하고, 톱밥 및 발효품이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장치로 분쇄하면서, 분쇄된 슬러지 사이로 톱밥을 혼재시켜, 톱밥 및 발효품이 슬러지 내에 고르게 혼재되며, 톱밥 및 발효품이 슬러지 내에 고르게 혼합되면서 발효 가능한 상태의 슬러지로 변화되고, 분쇄된 슬러지 내로 혼재된 톱밥에 의해 슬러지 내에 호기층이 형성되며, 호기층이 형성된 슬러지 내로 발효품이 침투되어, 호기층 내에서 발효품이 서식 가능하고, 발효장치 내로 투입하여, 발효장치 작동시 슬러지 내의 호기층에서 서식하는 발효품이 슬러지를 발효 분해시켜, 슬러지의 발효 성능이 향상과 동시에 발효 시간이 단축된다.

Description

슬러지 교반장치{Sludge mixing qeuipment}
본 발명은 슬러지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로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를 공급하여 교반이송장치로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를 교반 이송하되, 이때, 하우징 후단으로 이송된 슬러지를 분쇄장치로 분쇄하면서, 슬러지 내로 톱밥을 공급하여, 발효건조용 슬러지를 형성하는 슬러지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교반장치는 슬러지(예컨대, 분뇨 또는 음식물찌꺼기 등)에 다양한 성분을 갖는 물질을 공급하면서, 슬러지와 물질을 서로 교반하여, 발효가능한 상태의 슬러지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효 가능한 슬러지를 열을 가하거나 혹은 산소를 공급하면서, 교반기로 교반시켜 처치 곤란한 슬러지를 비료화 하는 발효건조장치에 투입하여, 슬러지를 발효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슬러지의 혼합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형상으로, 일단 외면에 건조슬러지의 투입을 허용하는 제1투입구를 형성하고, 제1투입구와 직교되는 외면에 습슬러지의 투입을 허용하는 제2투입구를 형성하며, 타단 외면에 배출구를 형성한 케이스와, 케이싱부 내에 구비되고, 일단이 케이싱부 내벽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이 케이싱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케이싱 내로 투입된 건조슬러지와 습슬러지를 혼합 성형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제1블레이드부와, 케이싱부 내에 구비되고, 제1블레이드부와 평행하도록 일단 케이싱부 내벽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타단이 케이싱부 외부로 노출되어 제1블레이드부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며, 케이싱 내로 투입된 건조슬러지와 습슬러지를 혼합 성형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제2블레이드부와, 제1블레이드부 또는 제2블레이드부 중 어느 하나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1블레이드 또는 제2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케이스의 제1투입구로 건조슬러지를 공급하고, 제2투입구로 습슬러지를 공급하여, 구동부로 제1블레이드부 또는 제2블레이드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면, 제1, 제2블레이드부가 서로 맞물려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블레이드로 건조슬러지와 습슬러지를 혼합 교반하고, 이와 동시에 배출구 방향을 향해 혼합 슬러지를 이동시켜, 배출구를 통해 혼합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1투입구로 투입되는 건조슬러지의 함수율은 10%이하이고, 제2투입구로 투입되는 습슬러지의 함수율은 70~90%로 형성됨으로써, 건조슬러지와 습슬러지가 혼합되면서 그 함수율이 25~30%로 변화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상대적으로 함수율이 낮은 건조슬러지를 습슬러지에 혼합하여, 슬러지의 함수율을 단순 저하시킨 것으로서, 제1, 제2블레이드부 사이에서 습슬러지와 건조슬러지를 교반하면서, 단순 이동시켜 점성을 갖는 습슬러지 내로 건조슬러지가 침투되지 못하고, 습슬러지 표면에 건조슬러지가 단순 혼합되어, 습슬러지와 건조슬러지의 혼합 비율이 저하됨과 동시에 습슬러지 내부에 혐기층이 형성되며, 혐기층을 갖는 혼합 슬러지를 발효장치 내로 투입시, 혼합 슬러지의 혐기층으로 호기성 미생물이 침투되어, 이 혼합 슬러지 내에서 호기성 미생물이 사멸될 우려가 있으며, 호기성 미생물 사멸로 인해 혼합 슬러지 내에서 발효 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해 혼합 슬러지 발효 시간 증가 또는 기능이 상실되고, 혼합 슬러지 발효를 위해 발효장치 내로 주기적으로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하여, 호기성 미생물 투입량이 증가되며, 이에따라, 유지보수 비용 증가와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988064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면에 제1, 제2, 제3, 제4투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에 외면에 나선방식으로 이음연결된 교반블레이드를 형성하여, 타단을 하우징 후단으로 노출 결합한 회전축을 형성한 교반이송장치를 구비하며, 교반이송장치 후단에 하우징 후단으로 이송된 슬러지를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형성하고, 하우징 외부에 회전축 타단과 연결되는 제1구동모터를 형성하며, 하우징 외부에 분쇄장치 후단과 연결되는 제2구동모터를 형성하여, 하우징의 제1, 제2, 제3, 제4투입구 각각으로,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을 공급하되, 제1, 제2구동모터로 교반이송장치 및 분쇄장치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작동시켜, 하우징 내로 공급된 톱밥이 교반이송장치의 교반블레이드에 의해 하우징 후단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발효품 및 슬러지와 순차적으로 교반되도록 하고, 톱밥 및 발효품이 혼합된 슬러지를 교반이송장치를 통해 분쇄장치로 이송시켜, 분쇄장치에서 슬러지를 분쇄하면서 분쇄된 슬러지 사이로 제4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톱밥을 혼재시켜, 슬러지 내에 톱밥 및 발효품이 고르게 혼재된 발효 가능한 상태의 슬러지를 생성하는 슬러지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는, 중공형상으로, 전단 외면에 내부공간으로 톱밥을 공급하는 제1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투입구 일측에 내부공간으로 발효품을 공급하는 제2투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1투입구와 반대되는 상기 제2투입구 일측에 내부공간으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제3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투입구와 반대되는 후단 외면에 내부공간으로 톱밥을 공급하는 제4투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4투입구와 반대되는 외면에 배출구를 형성한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 내측 전단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하우징 후단으로 노출되는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 외면에 나선방식으로 이음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제1, 제2, 제3투입구로 투입된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를 교반하여 상기 하우징 후단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이송장치; 상기 제4투입구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교반이송장치 후단에 설치되어, 중앙부로 상기 회전축을 통과시키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후단으로 노출되며, 상기 교반이송장치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작동되어 상기 하우징 후단으로 이송된 톱밥 및 발효품이 포함된 슬러지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분쇄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장치;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후단으로 노출된 상기 회전축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교반이송장치의 회전축을 회전작동시키는 제1구동모터;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후단으로 노출된 상기 분쇄장치 후단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장치를 상기 교반이송장치의 회전축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이송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제1투입구에서 상기 제3투입구 거리에 비례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제1, 제2, 제3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를 교반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이송장치의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 후단으로 노출된 타단에 제1스프로킷을 형성하여, 상기 제1스프로킷을 상기 제1구동모터와 제1밸트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장치는,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을 통과시키는 통과홀을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 후단으로 노출된 타단에 상기 제2구동모터와 제2밸트로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을 형성한 회전관체와; 상기 회전관체의 통과홀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관체가 상기 회전축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회전관체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분쇄장치 방향으로 이송된 슬러지를 분쇄하는 분쇄칼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투입구로 수분 10% 이하를 갖는 톱밥을 공급하고, 상기 제2투입구로 수분 15% 이하를 갖는 발효품을 공급하며, 상기 제3투입구로 수분 85% 이하를 갖는 슬러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4투입구로 수분 10% 이하를 갖는 톱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이송장치를 통해 톱밥 및 발효품을 1차 교반하고, 이 톱밥 및 발효품이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장치로 분쇄하면서, 이 분쇄된 슬러지 사이로 톱밥을 혼재시켜, 톱밥 및 발효품이 슬러지 내에 고르게 혼재되며, 톱밥 및 발효품이 슬러지 내에 고르게 혼합되면서 발효 가능한 상태의 슬러지로 변화되고, 분쇄된 슬러지 내로 혼재된 톱밥에 의해 슬러지 내에 호기층이 형성되며, 이 호기층이 형성된 슬러지 내로 발효품(예컨대, 호기성 미생물)이 침투되어, 호기층 내에서 발효품이 서식 가능하고, 특히, 호기층 및 발효품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발효장치 내로 투입하여, 발효장치 작동시 슬러지 내의 호기층에서 서식하는 발효품이 슬러지를 발효 분해시켜, 슬러지의 발효 성능이 향상과 동시에 발효 시간이 단축되며, 이에따라, 발효 가능한 상태의 슬러지를 손쉽게 생성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1 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의 교반이송장치와 분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의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중공형상으로, 전단 외면에 내부공간으로 톱밥을 공급하는 제1투입구(101)를 형성하고, 상기 제1투입구(101) 일측에 내부공간으로 발효품을 공급하는 제2투입구(102)를 형성하며, 상기 제1투입구(101)와 반대되는 상기 제2투입구(102) 일측에 내부공간으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제3투입구(103)를 형성하고, 상기 제1투입구(101)와 반대되는 후단 외면에 내부공간으로 톱밥을 공급하는 제4투입구(104)를 형성하며, 상기 제4투입구(104)와 반대되는 외면에 배출구(105)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원형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를 수용하여, 슬러지에 톱밥 및 발효품이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제1, 제2, 제3, 제4투입구(101, 102, 103, 104)는 각각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을 시간차를 두고 공급받거나 혹은 동시에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투입구(101, 102, 103, 104)로 투입되는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 공급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투입구(101, 102, 103, 104)는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을 상기 하우징(100) 내로 낙하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105)는 상기 분쇄장치(300)에 의해 분쇄된 슬러지가 하방으로 낙하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105)는 슬러지를 발효 건조하는 발효건조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발효건조장치(미도시)로 톱밥이 혼재된 슬러지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후단 외부로 상기 교반블레이드(202)의 회전축(201) 및 상기 분쇄장치(300) 후단이 노출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하우징은(100) 상기 제1투입구(101)로 수분 10% 이하를 갖는 톱밥을 공급하고, 상기 제2투입구(102)로 수분 15% 이하를 갖는 발효품을 공급하며, 상기 제3투입구(103)로 수분 85% 이하를 갖는 슬러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4투입구(104)로 수분 10% 이하를 갖는 톱밥을 공급한다.
교반이송장치(20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 내측 전단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되는 회전축(201)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201) 외면에 나선방식으로 이음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제1, 제2, 제3투입구(101, 102, 103)로 투입된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를 교반하여 상기 하우징(100) 후단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블레이드(202)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이송장치(200)는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20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201)은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교반블레이드(202)가 상기 하우징(100) 후단 방향을 향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201)은 상기 분쇄장치(300)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다.
상기 회전축(201)은 후단이 상기 제1구동모터(4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40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회전축(201)은 상기 분쇄장치(300)의 베어링(302)에 지지되어, 상기 분쇄장치(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의 회전축(201)은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타단에 제1스프로킷(201a)을 형성하여, 상기 제1스프로킷(201)을 상기 제1구동모터(400)와 제1밸트(401)로 연결한다.
상기 제1스프로킷(201a)은 상기 제1구동모터(4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축(201)을 일체로 회전시킨다.
상기 교반블레이드(202)는 상기 하우징(100) 내의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에 교반되도록 하면서, 톱밥 및 발효품이 혼재된 슬러지를 상기 분쇄장치(300) 방향으로 이송한다.
상기 교반이송장치(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투입구(101)에서 상기 제3투입구(103) 거리에 비례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제1, 제2, 제3투입구(101, 102, 103)를 통해 투입된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를 교반 이송한다.
상기 교반블레이(202)드 중 상기 회전축(201) 전단에 위치된 정해진 구간의 상기 교반블레이드(202) 간격은 상기 회전축(201) 후단에 위치된 정해진 구간의 상기 교반블레이드(202)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슬러지를 교반 이송할 수 있다.
분쇄장치(300)는 상기 제4투입구(104)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교반이송장치(200) 후단에 설치되어, 중앙부로 상기 회전축(201)을 통과시키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되며,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작동되어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이송된 톱밥 및 발효품이 포함된 슬러지가 상기 배출구(105)를 통해 분쇄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분쇄장치(300)는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의 회전축(20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슬러지를 고르게 분쇄하여, 분쇄된 슬러지 사이로 상기 제4투입구(104)를 통해 낙하 공급되는 톱밥이 혼재되도록 한다.
상기 분쇄장치(300)는 슬러지를 분쇄하여, 슬러지가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05)를 통해 톱밥과 동시에 낙하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분쇄장치(300)는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201)을 통과시키는 통과홀(301a)을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타단에 상기 제2구동모터(500)와 제2밸트(501)로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301b)을 형성한 회전관체(301)와, 상기 회전관체(301)의 통과홀(301a)과 상기 회전축(20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관체(301)가 상기 회전축(20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302) 및 상기 회전관체(301)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분쇄장치(300) 방향으로 이송된 슬러지를 분쇄하는 분쇄칼날(30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관체(301)는 상기 회전축(20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분쇄칼날(303)을 일체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관체(301)의 통과홀(301a) 직경은 상기 회전축(20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01)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2스프로킷(301b)은 상기 제2구동모터(50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관체(301)를 일체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2스프로킷(301b)은 그 외면이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302)은 내주면이 상기 회전축(201)에 밀착되되, 외주면이 상기 회전관체(301)의 통과홀(301a)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관체(301)와 상기 회전축(201)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베어링(302)은 상기 회전관체(301)의 통과홀(301a)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관체(301)와 상기 회전축(201)의 회전을 지지한다.
상기 분쇄칼날(303)은 상기 회전관체(301)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슬러지를 분쇄한다.
상기 분쇄칼날(303)은 슬러지를 분쇄하면서, 슬러지 내에 톱밥이 혼재되도록 한다.
제1구동모터(400)는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상기 회전축(201)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의 회전축(201)을 회전작동시킨다.
상기 제1구동모터(400)는 상기 회전축(201)의 후단에 형성된 제1스프로킷(201a)과 제1밸트(401)로 연결되어, 상기 밸트(401)를 통해 상기 제1스프로킷(201a)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구동모터(400)는 상기 제2구동모터(500)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01)을 회전시킨다.
제2구동모터(500)는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상기 분쇄장치(300) 후단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장치(300)를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의 회전축(20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2구동모터(500)는 상기 분쇄장치(300)의 회전관체(301) 후단에 형성된 제2스프로킷(301b)과 제2밸트(501)로 연결되어, 상기 제2밸트(501)를 통해 상기 제2스프로킷(301b)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구동모터(500)는 상기 제1구동모터(400)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분쇄장치(300)의 회전관체(301)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하우징(100)에 형성된 각각의 제1, 제2, 제3, 제4투입구(101, 102, 103, 104)에 공급호스(미도시)를 연결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구동모터(400, 500)를 작동시켜, 상기 교반이송장치(200) 및 분쇄장치(300)를 회전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투입구(101, 102, 103, 104) 각각에는 순차적으로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이 공급되고, 이때, 상기 제1, 제4투입구(101, 104)로 투입되는 톱밥의 수분 함유량은 10% 이하이고, 상기 제2투입구(102)로 투입되는 발효품은 호기성 미생물로, 수분 함유량은 15% 이하이며, 상기 제3투입구(103)로 투입되는 슬러지는 85% 이하의 수분 함유량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투입구(101)로 톱밥을 투입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에 톱밥을 공급하면, 상기 제1구동모터(400)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의 회전축(201)이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교반블레이드(202)를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회전축(201) 외면에 나선방식으로 형성된 상기 교반블레이드(202)가 나선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하우징(100) 내의 톱밥을 상기 제2투입구(102)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제1구동모터(400)는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의 회전축(201)에 형성된 제1스프로킷(201a)과 제1밸트(401)로 연결되어, 상기 제1밸트(401)를 통해 상기 제1스프로킷(201a)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스프로킷(201a)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축(201)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교반블레이드(202)에 의해 상기 제2투입구(102) 방향으로 이송된 톱밥은 상기 제2투입구(10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는 발효품과 상기 교반블레이드(202)에 의해 서로 혼합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교반블레이드(202)에 의해 연속 이송되어 상기 제3투입구(103)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3투입구(10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슬러지가 공급되고, 이 슬러지는 상기 교반블레이드(202)에 의해 이송된 톱밥 및 발효품과 서로 혼합되면서, 슬러지 내에 톱밥 및 발효품이 혼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슬러지에 혼재되는 발효품은 호기성 미생물로, 상기 교반블레이드(202)에 의해 톱밥과 동시에 슬러지 내로 침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톱밥 및 발효품이 혼합된 슬러지는 상기 교반블레이드(202)에 의해 교반 이송되어, 상기 제4투입구(104)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이때, 상기 분쇄장치(300)의 회전관체(301)가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분쇄칼날(303)을 회전시켜, 상기 분쇄칼날(303)에 의해 슬러지가 분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구동모터(500)는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상기 분쇄장치(300)의 회전관체(301) 후단에 형성된 제2스프로킷(301b)과 제2밸트(501)로 연결되어, 상기 제2밸트(501)를 통해 상기 제2스프로킷(301b)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2스프로킷(301b)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관체(301)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관체(301)는 그 통과홀(301a)로 상기 회전축(201)을 통과시켜, 상기 회전축(201)이 상기 회전관체(301)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모터(500)는 상기 제1구동모터(4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분쇄장치(300)의 회전관체(301)를 상기 회전축(201)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여기서, 상기 회전축(201)과 상기 회전관체(301) 사이에는 베어링(302)이 설치되어 있어, 이 베어링(302)에 의해 상기 회전관체(301)와 상기 회전축(201)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동시 회전되는 것이 지지된다.
이어서, 상기 분쇄칼날(303)에 의해 분쇄된 슬러지는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05)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되, 이때, 상기 제4투입구(104)를 통해 투입되는 톱밥이 낙하 방식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05)로 배출되면서, 분쇄된 슬러지 사이에 혼재되어, 슬러지 내에 톱밥이 혼재되는 것이다.
그러면, 슬러지 사이로 톱밥이 침투되면서, 슬러지 내에 호기층이 형성되고, 이에따라, 이 호기층 내에 발효품(예컨대, 호기성 미생물)이 서식한다.
이후, 호기층을 형성한 발효 가능한 상태의 슬러지를 발효건조장치(미도시) 내로 투입하고, 그 상태에서 발효건조장치(미도시)를 작동시켜, 발효건조장치(미도시) 내에서 슬러지 내에 포함된 발효품으로 슬러지를 발효 분해하여, 퇴비화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 제2, 제3, 제4투입구(101, 102, 103, 104)로 각각의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이 순차 공급되는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 제2, 제3, 제4투입구(101, 102, 103, 104)로 투입되는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의 공급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 내로 톱밥, 발효품, 슬러지 및 톱밥을 공급하여, 교반이송장치(200)로 1차 교반하되, 분쇄장치(300)로 슬러지를 분쇄하면서, 분쇄된 슬러지 사이로 톱밥이 혼재되도록 하는 구조는, 교반이송장치(200)를 통해 톱밥 및 발효품을 1차 교반하고, 이 톱밥 및 발효품이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장치(300)로 분쇄하면서, 이 분쇄된 슬러지 사이로 톱밥을 혼재시켜, 톱밥 및 발효품이 슬러지 내에 고르게 혼재되며, 톱밥 및 발효품이 슬러지 내에 고르게 혼합되면서 발효 가능한 상태의 슬러지로 변화되고, 분쇄된 슬러지 내로 혼재된 톱밥에 의해 슬러지 내에 호기층이 형성되며, 이 호기층이 형성된 슬러지 내로 발효품(예컨대, 호기성 미생물)이 침투되어, 호기층 내에서 발효품이 서식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교반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하우징 101 : 제1투입구
102 : 제2투입구 103 : 제3투입구
104 : 제4투입구 105 : 배출구
200 : 교반이송장치 201 : 회전축
201a : 제1스프로킷 202 : 교반블레이드
300 : 분쇄장치 301 : 회전관체
301a : 통과홀 301b : 제2스프로킷
302 : 베어링 303 : 분쇄칼날
400 : 제1구동모터 401 : 제1밸트
500 : 제2구동모터 501 : 제2밸트

Claims (5)

  1. 중공형상으로, 전단 외면에 내부공간으로 톱밥을 공급하는 제1투입구(101)를 형성하고, 상기 제1투입구(101) 일측에 내부공간으로 발효품을 공급하는 제2투입구(102)를 형성하며, 상기 제1투입구(101)와 반대되는 상기 제2투입구(102) 일측에 내부공간으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제3투입구(103)를 형성하고, 상기 제1투입구(101)와 반대되는 후단 외면에 내부공간으로 톱밥을 공급하는 제4투입구(104)를 형성하며, 상기 제4투입구(104)와 반대되는 외면에 배출구(105)를 형성한 하우징(100)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 내측 전단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되는 회전축(201)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201) 외면에 나선방식으로 이음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제1, 제2, 제3투입구(101, 102, 103)로 투입된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를 교반하여 상기 하우징(100) 후단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블레이드(202)를 포함하는 교반이송장치(200);
    상기 제4투입구(104)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교반이송장치(200) 후단에 설치되어, 중앙부로 상기 회전축(201)을 통과시키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되며,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작동되어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이송된 톱밥 및 발효품이 포함된 슬러지가 상기 배출구(105)를 통해 분쇄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장치(300);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상기 회전축(201)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의 회전축(201)을 회전작동시키는 제1구동모터(400);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상기 분쇄장치(300) 후단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장치(300)를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의 회전축(20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5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교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이송장치(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투입구(101)에서 상기 제3투입구(103) 거리에 비례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제1, 제2, 제3투입구(101, 102, 103)를 통해 투입된 톱밥, 발효품 및 슬러지를 교반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교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이송장치(200)의 회전축(201)은,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타단에 제1스프로킷(201a)을 형성하여, 상기 제1스프로킷(201)을 상기 제1구동모터(400)와 제1밸트(401)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교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장치(300)는,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201)을 통과시키는 통과홀(301a)을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100) 후단으로 노출된 타단에 상기 제2구동모터(500)와 제2밸트(501)로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301b)을 형성한 회전관체(301)와;
    상기 회전관체(301)의 통과홀(301a)과 상기 회전축(20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관체(301)가 상기 회전축(20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302);
    상기 회전관체(301)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분쇄장치(300) 방향으로 이송된 슬러지를 분쇄하는 분쇄칼날(30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교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100),
    상기 제1투입구(101)로 수분 10% 이하를 갖는 톱밥을 공급하고,
    상기 제2투입구(102)로 수분 15% 이하를 갖는 발효품을 공급하며,
    상기 제3투입구(103)로 수분 85% 이하를 갖는 슬러지를 공급하고,
    상기 제4투입구(104)로 수분 10% 이하를 갖는 톱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교반장치.
KR1020220021595A 2022-02-18 2022-02-18 슬러지 교반장치 KR20230124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595A KR20230124806A (ko) 2022-02-18 2022-02-18 슬러지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595A KR20230124806A (ko) 2022-02-18 2022-02-18 슬러지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806A true KR20230124806A (ko) 2023-08-28

Family

ID=8780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595A KR20230124806A (ko) 2022-02-18 2022-02-18 슬러지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8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064B1 (ko) 2008-11-21 2010-10-1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슬러지의 혼합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064B1 (ko) 2008-11-21 2010-10-1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슬러지의 혼합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753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장치
KR101769833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90015864A (ko) 축산분뇨, 농수산 부산물 또는 남은 음식물의 혼합발효에 의한 유기질 비료 생산을 위한 퇴비화 장치
CN211800305U (zh) 一种化合物进料混合装置
CN108004125A (zh) 一种新型厌氧发酵装置
KR20230124806A (ko) 슬러지 교반장치
CN206586332U (zh) 一种果冻混合装置
KR20240050674A (ko) 슬러지 교반장치
CN217725336U (zh) 一种有机化肥生产用配比装置
CN213074053U (zh) 一种饲养小龙虾用投食装置
KR102415832B1 (ko) 파쇄수단이 구비된 드럼 믹서
JP2005111422A (ja) 流動破砕乾燥装置に併設する原料と添加物とを混合撹拌しながら搬送する装置
KR100453284B1 (ko) 다축을 갖는 퇴비 고속 발효기
CN209493564U (zh) 餐厨垃圾完全生物降解消灭专用双轴刮板式混合机
KR20080095445A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장치가 구비된 비료제조장치
CN110922230A (zh) 一种堆肥好氧发酵前处理装置
KR100993762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석회처리비료 제조 시스템
KR101724570B1 (ko)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8296442U (zh) 一种生物质颗粒螺旋搅拌机
KR19990025554A (ko) 유기성 폐기물의 고속분해 발효장치
CN218358948U (zh) 有机肥原料预混搅拌装置
CN217594411U (zh) 一种用于有机肥制备的混合搅拌装置
CN216879112U (zh) 一种生物有机肥生产用原料混合装置
JPH07136621A (ja) 生ごみ分解処理装置
CN216224139U (zh) 一种饲料生产用原料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