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680A -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680A
KR20230122680A KR1020237026139A KR20237026139A KR20230122680A KR 20230122680 A KR20230122680 A KR 20230122680A KR 1020237026139 A KR1020237026139 A KR 1020237026139A KR 20237026139 A KR20237026139 A KR 20237026139A KR 20230122680 A KR20230122680 A KR 20230122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let
guide member
check valv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이시자키
다케시 오우치
에이지 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자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자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자키
Publication of KR2023012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68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7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stem guided at two or more p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Compressor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체크 밸브(1)는, 유입구(23b)를 가지는 입구 관체부(23)와, 유출구(25b)를 가지는 출구 관체부(25)와, 유체의 흐름을 멈추게 하는 위치와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위치로 동작 가능한 가동체(왕복 이동체(2))와, 왕복 이동체(2)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12)를 구비한다. 입구 관체부(23)와 출구 관체부(25)와 밸브 박스(12)의 내부는 연통되고, 유입구(23b)에서 유출구(25b)를 향해 만곡된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왕복 이동체(2)는, 밸브체(6)를 가진다. 입구 관체부(23)에 밸브 시트(23c)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시트(23c)는, 밸브체(6)를 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유입구(23b)와 밸브 시트(23c)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입구 관체부(23)에서의 유로의 아웃코스측 내벽면(23y)이, 유입구(23b)로부터 밸브 시트(23c)에 가까워짐에 따라 출구 관체부(25)측을 향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체크 밸브
본 발명은,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배관 내의 유체를 한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체크 밸브가 알려져 있다. 체크 밸브에는, 밸브체의 동작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다양한 방식의 것이 있다.
이 중, 리프트식 체크 밸브는, 밸브 본체가 밸브 시트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신속한 폐지(閉止) 동작이 가능하다. 특히, 스모렌스키식의 리프트식 체크 밸브는,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수격(水擊)의 발생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밸브 시트와, 밸브 시트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왕복 요동하는 밸브체를 포함하고, 밸브 시트측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 방향과, 유체가 밸브체를 통과하여 유출되는 유출 방향이 교차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공개 제2013/180108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체크 밸브에는, 압력 손실을 줄이는 것에 대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체크 밸브는, 유입 방향과 유출 방향이 교차하는 앵글형 체크 밸브로서, 유입구를 가지는 입구 관체(管體)부와, 유출구를 가지는 출구 관체부와, 유체의 흐름을 멈추게 하는 위치와, 상기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위치로 동작 가능한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 관체부와 상기 출구 관체부와 상기 밸브 박스의 내부는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해 만곡된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체는 밸브체를 가지며,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 밸브 시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밸브체를 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밸브 시트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 관체부에서의 상기 유로의 아웃코스측 내벽면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출구 관체부측을 향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구 관체부에서 출구 관체부로 유체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어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닫힌 상태의 체크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3] 열린 상태의 체크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4] 체크 밸브를 구성하는 왕복 이동체를 도시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5] 체크 밸브를 구성하는 왕복 이동체를 도시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6] 왕복 이동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7] 하측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어댑터를 도시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8] 상판부, 상측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어댑터를 도시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9]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에 설명하는 부재의 형상, 치수, 배치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하 방향을 규정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구성요소의 상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관한 제품의 제조시나 사용시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체크 밸브의 개요>
우선,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의 개요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닫힌 상태의 체크 밸브(1)의 종단면도, 도 3은, 열린 상태의 체크 밸브(1)의 종단면도이다.
밸브축(7)의 축심, 그리고 입구 관체부(23) 및 출구 관체부(25)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단면을 종단면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유입 방향과 유출 방향이 교차하는 앵글형 체크 밸브이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체크 밸브(1)는, 유입구(23b)를 가지는 입구 관체부(23)와, 유출구(25b)를 가지는 출구 관체부(25)와, 유체의 흐름을 멈추게 하는 위치와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위치로 동작 가능한(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체(왕복 이동체(2))와, 왕복 이동체(2)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12)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입구 관체부(23)와 출구 관체부(25)와 밸브 박스(12)의 내부는 연통되고, 유입구(23b)에서 유출구(25b)를 향해 만곡된 유로(FL)가 형성되어 있다. 왕복 이동체(2)는, 밸브체(6)를 가진다.
입구 관체부(23)에 밸브 시트(23c)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시트(23c)는 밸브 박스(12)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밸브 시트(23c)는, 밸브체(6)를 지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유입구(23b)와 밸브 시트(23c)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입구 관체부(23)에서의 유로(FL)의 아웃코스측 내벽면(23y)이, 유입구(23b)로부터 밸브 시트(23c)에 가까워짐에 따라 출구 관체부(25)측을 향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앵글판으로서의 체크 밸브(1)는, 유체의 유입 방향의 연장상에 왕복 이동체(2)의 왕복 이동 영역이 있고, 왕복 이동체(2)의 왕복 이동 영역을 사이에 두고 유입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유체를 유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는, 밸브 시트(23c)에 대해 왕복 이동체(2)가 근접/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리프트식 체크 밸브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는, 지상형 풋 밸브로서 이용되는 것이며, 리프팅(揚送) 펌프(미도시)의 1차측에 이용함으로써 지수(止水)의 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양수관에서의 낙수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윙식이나 웨이퍼식 등의 체크 밸브여도 좋다. 또, 체크 밸브(1)에 의해 역류가 규제되는 유체는 물 등의 액체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체크 밸브(1)를 통과하는 유체는 공기 등의 기체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 관체부(23)와 출구 관체부(25)와 밸브 박스(12)는 일체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별개의 것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출구 관체부(25)측을 향하도록」이란, 「출구 관체부(25)에 근접하도록」과 동일한 의미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구 관체부(23)에서의 유로(FL)의 아웃코스측 내벽면(23y)이, 밸브 시트(23c)에 가까워짐에 따라 출구 관체부(25)측을 향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됨으로써, 입구 관체부(23)로부터 출구 관체부(25)에 유체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어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후술하는 캡(3)의 보스(5a) 내의 잔류 공기에 의한 압력에 의해 밸브체(6)의 이동이 저해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원하는 양의 유통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면, 밸브체(6)는 반드시 전개(全開) 상태가 되는 구성이 아니어도 좋다. 도 3에서는, 밸브체(6)의 전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왕복 이동체(2)의 질량 및 스프링체(21)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6)의 개방도는 유량에 따라 바뀌게 된다.
<<각 부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를 구성하는 각 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체크 밸브(1)는, 왕복 이동체(2)와, 입구 관체부(23)와, 왕복 이동체(2)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12)와, 밸브 박스(12)에 장착되는 캡(캡(3))과, 밸브체(6)를 1차 유로측에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 부재(스프링체(21))와, 유체의 유출구인 출구 관체부(25)를 주로 구비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체크 밸브(1)는, 밸브체(6) 등을 내부에 포함하는 관 조인트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관체부>
(입구 관체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입구 관체부(23)는, 상기와 같이 유체의 유입구(23b)를 가지며, 유입 단부측의 테두리에 플랜지부(23a)를 가진다.
입구 관체부(23)에서의 유로(FL)(도 3 참조)의 인코스측 내벽면(23x)은, 유입구(23b)측에서 보아 밸브체(6)보다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입구 관체부(23)에서의 유로(FL)의 아웃코스측 내벽면(23y)은, 유입구(23b)측에서 보아 밸브체(6)보다 직경 방향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구 관체부(23)로부터, 밸브체(6)를 통해 출구 관체부(25)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입구 관체부(23)측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입구 관체부(23)에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흡인 펌프(미도시)에 접속된 흡인관(미도시)을 장착하기 위한 평탄한 장착대(15)가, 주위보다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플랜지부(13)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장착대(15)에는, 밸브 박스(12)의 1차 유로측(유입구측)의 내부까지 관통하는 감압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흡인 펌프를 작동하여 흡인관으로부터 유체를 감압구(15a)를 향해 끌어당김으로써 밸브체(6)보다 상류측을 부압(負壓)으로 하여 유체로 채울 수 있게 된다.
감압구(15a)에 압력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작업자는, 입구 관체부(23) 내부의 압력 상태를 확인하여 입구 관체부(23)의 내부가 유체로 채워져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밸브 박스)
밸브 박스(12)는, 왕복 이동체(2)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부위로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밸브 박스(12)는, 로스트 왁스 제법에 의해, 입구 관체부(23) 및 출구 관체부(25)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밸브 박스(12)의 상단부 내벽에는, 상측 가이드 부재(19)를 장착하기 위한 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밸브 박스(12)에는, 유입 방향(상방향)의 연장상에, 후술하는 캡(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출구 관체부)
출구 관체부(25)는, 상기와 같이 유체의 유출구(25b)를 가지며,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유출 단부측의 테두리에 플랜지부(25a)를 가진다.
체크 밸브(1)는, 상기 입구 관체부(23)의 플랜지부(23a) 및 출구 관체부(25)의 플랜지부(25a)에서, 배관류(미도시)에 대해 볼트·너트 등의 조임쇠(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왕복 이동체>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추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왕복 이동체(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체크 밸브(1)를 구성하는 왕복 이동체(2)를 도시한 상측 사시도, 도 5는, 왕복 이동체(2)를 도시한 하측 사시도, 도 6은, 왕복 이동체(2)의 종단면도이다.
왕복 이동체(2)는, 밸브체(6)를 밸브 시트(23c)에 대해 근접/이격시킴으로써 유량에 따라 밸브체(6)의 개구량을 조정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왕복 이동체(2)는, 밸브 박스(12) 내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아래쪽에 위치하여 밸브 시트(23c)(도 3 참조)에 접촉할 때, 유체의 흐름을 제한한다. 또, 왕복 이동체(2)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위쪽에 위치할 때에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여 유로(FL)를 형성한다.
(밸브축)
가동체(왕복 이동체(2))는, 밸브 시트(23c)에 접촉/이격 가능한 밸브체(6)와, 왕복 이동체(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마련되어 밸브체(6)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장착된 밸브축(7)을 가진다.
밸브축(7)은, 후술하는 하측 가이드 부재(17) 및 가이드 어댑터(18), 및 상측 가이드 부재(19) 및 가이드 어댑터(20)에 슬라이딩하여 왕복 이동체(2)가 왕복 이동할 때에, 왕복 이동체(2)가 밸브축(7)의 축심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직경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밸브축(7)은,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왕복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하측 가이드 부재(17)(및 가이드 어댑터(18)) 및 후술하는 가이드 어댑터(20)에 의해 안내된다. 밸브축(7)은, 유입구(23b)측에서 보아 유입구(23b)의 중심(23v)(도 2 참조)보다 유로(FL)의 인코스측으로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밸브축(7)은 유입구(23b)측에서 보아 유로(FL)의 아웃코스측 내벽면(23y)보다 인코스측 내벽면(23x)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밸브축(7)이 유입구(23b)의 중심(23v)보다 유로(FL)의 인코스측으로 벗어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입구 관체부(23)에 마련된 밸브 시트(23c)를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즉, 밸브축(7)의 위치에 의해 밸브축(7)에 고정된 밸브체(6)의 위치가 정해지고, 밸브체(6)의 위치에 의해 이것을 지지하는 밸브 시트(23c)의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입구 관체부(23)에서의 유로(FL)의 아웃코스측 내벽면(23x)이, 유입구(23b)로부터 밸브 시트(23c)에 가까워짐에 따라 출구 관체부(25)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 시트(23c)의 위치 및 밸브 시트(23c)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하측 가이드 부재(17)의 위치는, 밸브축(7)이 유입구(23b)의 중심(23v)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위치가 된다.
따라서 하측 가이드 부재(17)와 겹쳐지는 위치 또는 하측 가이드 부재(17)보다 아래쪽까지 연장되는 밸브축(7)이 유입구(23b)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왕복 이동체(2)의 스트로크양을 줄여,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의 밸브체(6)의 폐지 타이밍을 앞당길 수 있다.
밸브축(7)은, 후술하는 너트(11)가 체결되는 나사부(7a)와, 후술하는 밸브체(6)의 하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7b)와, 후술하는 하측 디스크(26)의 걸어맞춤 돌기(26e)가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오목부(7c)를 가진다.
걸어맞춤 오목부(7c)는, 나사부(7a)와 스토퍼(7b) 사이에 있으며, 나사부(7a) 및 스토퍼(7b)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축(7)의 주위에 장착된 스프링체(21)는, 도 2에 도시한 닫힌 상태 및 도 3에 도시한 열린 상태의 양쪽 상태에서, 후술하는 밸브체(6)(상측 디스크(27))의 상면(시트면(27d))을 탄성적으로 탄성가압하고 있다.
(밸브체)
밸브체(6)는, 체크 밸브(1)의 주요부로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밸브축(7)의 하측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닫힌 상태에서, 밸브체(6)는, 스프링체(21)에 탄성가압되어 밸브 시트(23c)(도 3 참조)에 눌러대어져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체크 밸브(1)는, 이른바 스모렌스키식이다. 따라서 스프링체(21)에 의한 탄성가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1)는 유체의 흐름이 출구 관체부(25)측에서 입구 관체부(23)측으로 흐르는 역류로 바뀌는 순간에, 밸브체(6)가 밸브 시트(23c)에 접촉하여 신속하게 유로를 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역류를 방지하여 수격 발생을 억제하고, 그 폐지 상태의 확실성(지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체크 밸브(1)는, 스프링체(21)를 구비하여 밸브 시트(23c)에 밸브체(6)를 압압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왕복 이동체(2)의 자중으로만, 또는 왕복 이동체(2)의 자중과 밸브축(7)과 후술하는 가이드 어댑터(20)에 의한 댐퍼 기구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밸브 시트(23c)에 밸브체(6)를 압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밸브체(6)는, 하측 디스크(26)와, 상측 디스크(27)와, 하측 디스크(26)와 상측 디스크(27) 사이에 끼워지고, 도 2에 도시한 왕복 이동체(2)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시트(23c)(도 3 참조)에 대해 주회(周回)형으로 밀착되는 원판형 패킹(8)(도 4 및 도 6 참조)을 구비한다.
작업자는, 스토퍼(7b)와 나사부(7a) 사이에, 하측 디스크(26), 패킹(8) 및 상측 디스크(27)가 배치된 상태에서 너트(11)를 나사부(7a)에 체결한다.
그러면, 하측 디스크(26), 패킹(8) 및 상측 디스크(27)가 너트(11) 사이에 마련된 와셔(11a)와 스토퍼(7b)와의 사이에서 일체로 협지되게 되어, 밸브축(7)과 함께 왕복 이동체(2)가 조립된다.
(하측 디스크)
밸브체(6)(하측 디스크(26)) 하부의 적어도 일부(저면(26a))는, 유입구(23b)를 향해 돌출된 부분 구면(球面)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6)(하측 디스크(26)) 하부의 중앙 부분에는, 저면(26a)보다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부(26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6b)는, 밸브축(7)과 밸브체(6)(하측 디스크(26)) 하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가이드 부재(가이드 어댑터(18))가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측 디스크(26)에는, 후술하는 상측 디스크(27)의 원기둥형 오목부(27e) 내에 끼워넣어지도록 위쪽으로 돌출된 돌기부(26c)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6c)의 직경 방향 중앙 부분에 삽입통과공(26f)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통과공(26f)의 내벽면에, 밸브축(7)의 걸어맞춤 오목부(7c)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돌기(26e)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기부(26c)의 중앙에서의 삽입통과공(26f)의 테두리 부분에, 위쪽으로 연장된 통(筒) 형상의 지지부(26d)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6d)는, 밸브축(7)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밸브축(7)을 적절히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돌기부(26c)의 안쪽에, 부분 구면상의 저면(26a)보다 위쪽으로 오목한 원기둥형 오목부(2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6)(하측 디스크(26))에서의 오목부(26b)의 직경 방향 외측의 저면(26a)이 부분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6b)는, 후술하는 가이드 어댑터(18)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오목부(26b)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가이드 어댑터(18)보다 큰 직경으로, 또한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오목부(26b)의 위쪽에 있는 저면이 가이드 어댑터(18)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26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6)와 가이드 어댑터(18)가 간섭(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여, 밸브 시트(23c)를 가지는 후술하는 하측 가이드 부재(17)를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입구(23b)측이 부분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가 밸브체(6)를 통과할 때에 유체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시트(23c)로의 유입 방향과 밸브체(6)의 통과 방향이 교차하는 리프트식 체크 밸브(1)에서도 낮은 손실 수두로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패킹)
패킹(8)은, 체크 밸브(1)가 닫힌 상태에서 밸브체(6)와 밸브 시트(23c) 사이에 끼워넣어지도록 압압되어 지수하는 부재로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하측 디스크(26)와 상측 디스크(2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패킹(8)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공(孔)(8a)을 가지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심공(8a)은, 밸브축(7)의 축심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서, 하측 디스크(26)에 형성된 돌기부(26c)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중심공(8a)는, 상측 디스크(27)에 형성된 오목부(27e)의 내주면의 직경과 동일한('대략 동일한'을 포함)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패킹(8)은, 중심공(8a)에 하측 디스크(26)의 돌기부(26c)를 통해, 하측 디스크(26)에서의 돌기부(26c)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상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됨으로써 돌기부(26c) 하단부의 주위에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패킹(8)은 고무제이므로 변형성이 좋아 밸브 시트(23c)에 밀착시킴으로써 양호하게 지수할 수 있다.
패킹(8)의 직경 방향의 중앙 부분은, 왕복 이동체(2)의 왕복 이동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했을 때에 위쪽으로 보았을 때, 하측 디스크(26)에 의해 가려지게 위치하고 있다. 한편, 패킹(8) 전체는 아래쪽으로 보았을 때에, 상측 디스크(27)에 의해 가려지게 위치하고 있다.
패킹(8)과 하측 디스크(26) 및 상측 디스크(27)는,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의 점착체에 의해 추가로 접착(또는 점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측 디스크)
상측 디스크(27)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원판형 평판부(27a)와, 평판부(27a)의 중앙부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원통부(27c)와, 스프링체(21)의 하단부 및 너트(11)의 와셔(11a)를 지지하는 시트면(27d)을 주로 구비한다.
시트면(27d)의 중앙에 관통공(27f)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27f)에 밸브축(7)을 삽입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통부(27c)의 하면측에, 상기의 하측 디스크(26)의 돌기부(26c)를 수용하는 오목부(27e)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27a)와 원통부(27c) 사이에, 측면에서 보아 삼각형상의 4개의 리브(27b)가, 평면에서 보아 중심각 45도씩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리브(27b)는, 상측 디스크(27)의 주연(周緣); 27g)에 도달할 때까지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평판부(27a)에 접속되어 있다.
상측 디스크(27)는, 나사부(7a)에 체결된 너트(11)로부터 와셔(11a)를 개재하여 상면(시트면(27d))을 밀어넣음으로써, 하측 디스크(26)와의 사이에 패킹(8)을 면방향으로 균등하게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하측 디스크(26)와 상측 디스크(27)는, 별개의 부재가 조립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측 디스크(26)와 상측 디스크(27)가, 별개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패킹(8)을 쉽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패킹(8)에 가요성이 있기 때문에, 패킹(8)을 변형시킴으로써 밸브체(6)에 장착할 수 있다면, 반드시 하측 디스크(26)와 상측 디스크(27)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가이드 부재>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추가하여 도 7 및 도 8을 주로 참조하여 왕복 이동체(2)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하측 가이드 부재(17) 및 가이드 어댑터(18)를 도시한 하측 사시도, 도 8은, 상판부(5), 상측 가이드 부재(19) 및 가이드 어댑터(20)를 도시한 하측 사시도이다.
(하측 가이드 부재)
입구 관체부(23)에는, 밸브축(7)(의 하부)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하측 가이드 부재(17))가 마련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 부재(17)는, 입구 관체부(23)가 아닌 밸브 박스(12)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하측 가이드 부재(17)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밸브축(7)이 통과하는 중앙부(17a)와, 중앙부(17a)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으며 밸브 시트(23c)를 포함하는 외측부(17b)와, 중앙부(17a)와 외측부(17b)를 연결하는 연결부(17c)를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연결부(17c)는, 중앙부(17a)로부터 중심각 120도의 간격으로 방사 방향으로 3개 연장되어 외측부(17b)에 접속된 봉재(棒材)이다.
중앙부(17a)의 하단부(17d)는, 밸브체(6)의 부분 구면형 부위(저면(26a))보다 곡률이 큰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부(17a)는, 왕복 이동체(2)가 왕복 이동할 때에 왕복 이동체(2)의 하단측이 밸브축(7)의 직경 방향(밸브축(7)의 축심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측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중앙부(17a)는, 두꺼운 링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부(17c)보다 상하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축(7)이 통과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통과공을 중앙 부분에 가진다.
상기와 같이, 중앙부(17a)의 하단부(17d)가 부분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의 유입구(23b)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하단부(17d)에 닿아 직경 방향 외측에 확산되고, 중앙부(17a)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된 하측 디스크(26)의 저면(26a)을 향해 유동되어 이것을 밀어 올리게 된다.
중앙부(17a)에는, 가이드 어댑터(18)의 하단부가 감합(嵌合)되어 있다. 가이드 어댑터(18)는, 밸브축(7)에 대한 중앙부(17a)의 가이드 범위를 위쪽까지 연장하는 기능을 가지며, 중앙부(17a)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중앙부(17a)의 하단부(17d)가 유체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밸브체(6)보다 곡률이 커서, 유입구(23b)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대한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외측부(17b)는, 입구 관체부(23)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높이 방향으로 두껍고 두께 방향으로 얇은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부(17b)의 하측연(下側緣)(17e)이 그 상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까지 연장되어, 입구 관체부(23)의 내벽면에 형성된 홈에 감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부(17b)의 상측연(17f)이 다른 부위(특히 하측연(17e))보다 직경 방향 외측까지 연장되어 밸브 시트(23c)를 형성하고 있다.
즉, 유입구(23b)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중, 하측 가이드 부재(17)의 중앙부(17a)의 하측연(17e)에 접촉하는 것은, 하측연(17e)에 닿아 확산되고, 밸브체(6)의 저면(26a)에 닿아 밸브체(6)를 밀어 올린다.
가이드 부재(하측 가이드 부재(17))에서의 중앙부(17a) 및 연결부(17c)는, 외측부(17b)보다 밸브체(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연결부(17c)는, 중앙부(17a)로부터 방사형으로 확산되면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외측부(17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부(17a) 및 연결부(17c)는, 외측부(17b)보다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측부(17b)의 상면에 있는 밸브 시트(23c)에 접촉하는 밸브체(6)의 일부인 저면(26a)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밸브체(6)(의 저면(26a))가 중앙부(17a)에 간섭(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측 가이드 부재)
밸브 박스(12)에는, 밸브축(7)의 상부를 가이드하는 상측 가이드 부재(19)가 마련되어 있다.
상측 가이드 부재(19)는, 중앙부(19a)와, 중앙부(19a)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는 외측부(19b)와, 중앙부(19a)와 외측부(19b)를 연결하는 연결부(19c)를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연결부(19c)는, 중앙부(17a)로부터 중심각 120도의 간격으로 방사 방향으로 3개 연장되어 외측부(19b)에 접속된 봉재이다.
외측부(19b)의 주면(周面)(외벽(19e))에는, 직경 방향 안쪽으로 균등하게 패인 역L자형 수용 홈(19d)이 중심 각도 90도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용 홈(19d)은, 밸브 박스(12) 상부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 줄기(突條)를 수용하는 부위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홈과, 이 세로홈의 상부로부터 측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연장되는 가로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홈과 가로홈의 둘레방향의 길이는 동일하고('대략 동일한'을 포함), 세로홈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가로홈의 상하 방향 길이의 2배이다. 외벽(19e) 중, 세로홈과 가로홈이 교차하는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에, 다른 부위보다 위쪽으로 연장된 걸어맞춤 돌기(19f)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19f)는, 밸브 박스(12) 상부의 내벽에 형성된 돌출 줄기의 일부에 걸어맞춤되어 상측 가이드 부재(19)를 밸브 박스(12)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측 가이드 부재(19)의 중앙부(17a)에 가이드 어댑터(20)의 상단부가 감합되어 있다. 가이드 어댑터(20)는, 상측 가이드 부재(19)로부터 아래쪽(유입구(23b)측)을 향해 세워져 있다.
가이드 어댑터(20)는, 왕복 이동체(2)가 직경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밸브축(7)의 상단측의 왕복 동작을 그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20c)의 내벽면이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안내하는 것이다.
가이드 어댑터(20)는, 원판부(20a)와, 원판부(20a)의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통부(20b)를 주로 구비한다. 원판부(20a)와 통부(20b) 사이에, 측면에서 보아 삼각형인 4개의 리브(20d)가, 저면에서 보아 중심각 45도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캡>
캡(3)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밸브 박스(1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밸브체(6)의 상방측을 봉지(封止)하는 것이다. 캡(3)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원반형의 상판부(5)와, 상판부(5)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보스(5a)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판부(5)는, 페룰 플랜지를 단연(端緣)에 가지며, 밸브 박스(12)의 상단부에 형성된 페룰 플랜지에 가스켓(16)을 사이에 두고 겹쳐져서 페룰(2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보스(5a)는, 내부에 중공 공간을 가지고 위쪽으로 이동한 밸브축(7)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X)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크 밸브(1X)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체크 밸브(1X)의 종단면도이다.
입구 관체부(43)에는, 밸브축(7)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하측 가이드 부재(17))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 관체부(43)에서의 하측 가이드 부재(17)를 지지하는 부위에서, 유로(FL)(도 3 참조)의 인코스측 외벽면(43z)에 주위보다 돌출된 돌출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43d)는, 입구 관체부(43)에서의 하측 가이드 부재(17)를 지지하는 부위의 외벽면(43z)에서, 유로(FL)(도 3 참조)의 인코스측에만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43d)는, 도 10의 종단면에 도시한 것처럼, 입구 관체부(43)의 외벽면(43z)의 인코스측에서의 유로(FL)를 따르는 가상의 원호에 대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 부재(17)는, 입구 관체부(43)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밸브 박스(12)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구 관체부(43) 또는 밸브 박스(12)에서의 가이드 부재(하측 가이드 부재(17))를 지지하는 부위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밸브체(6)가 하측 가이드 부재(17)의 상면인 밸브 시트(23c)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 위치가 되는 상하 방향의 위치를 낮추어 유로(FL)의 중심 위치에, 밸브 시트(23c)에 지지되었을 때의 밸브체(6)를 가깝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의 하중이 밸브체(6)에 효율적으로 작용하여 밸브체(6)를 동작시킬 때의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여러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를 구성하는 왕복동(往復動) 부재의 각종 구성요소는 각각 독립적인 존재일 필요는 없다. 복수의 구성요소가 한 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어느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인 것, 어느 구성요소의 일부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 등을 허용한다.
본 실시 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유입 방향과 유출 방향이 교차하는 앵글형 체크 밸브로서,
유입구를 가지는 입구 관체부와,
유출구를 가지는 출구 관체부와,
유체의 흐름을 멈추게 하는 위치와, 상기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위치로 동작 가능한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 관체부와 상기 출구 관체부와 상기 밸브 박스의 내부는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해 만곡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체는 밸브체를 가지며,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 밸브 시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밸브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밸브 시트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입구 관체부에서의 상기 유로의 아웃코스측 내벽면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출구 관체부측을 향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2)
상기 가동체는 밸브축을 더 가지며,
상기 밸브축은, 상기 유입구측에서 보아 상기 유입구의 중심보다 상기 유로의 인코스측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체크 밸브.
(3)
상기 입구 관체부에서의 상기 유로의 인코스측 내벽면은, 상기 유입구측에서 보아 상기 밸브체보다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입구 관체부에서의 상기 유로의 상기 아웃코스측의 상기 내벽면은, 상기 유입구측에서 보아 상기 밸브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체크 밸브.
(4)
상기 가동체는 밸브축을 더 가지며,
상기 밸브체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구를 향해 돌출되는 부분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는, 상기 밸브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밸브축이 통과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고 상기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외측부와, 상기 중앙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의 하단부는, 상기 밸브체의 부분 구면형 부위보다 곡률이 큰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5)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의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측부보다 상기 밸브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4)에 기재된 체크 밸브.
(6)
상기 가동체는 밸브축을 더 가지며,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는, 상기 밸브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의 하부의 중앙 부분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밸브축과 상기 밸브체의 상기 하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7)
상기 가동체는 밸브축을 더 가지며,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는, 상기 밸브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서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부위에서, 상기 유로의 인코스측 외벽면에 주위보다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체크 밸브.
본 출원은, 2021년 3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일본 특허출원 2021-39670호) 및 2022년 3월 8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일본 특허출원 2022-35357호)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 전부를 여기에 편입시킨다.
1, 1X 체크 밸브
2 왕복 이동체(가동체)
3 캡
5 상판부
5a 보스
6 밸브체
7 밸브축
7a 나사부
7b 스토퍼
7c 걸어맞춤 오목부
8 패킹
8a 중심공
11 너트
11a 와셔
12 밸브 박스
13, 14 플랜지부
15 장착대
15a 감압구
16 가스켓
17 하측 가이드 부재(가이드 부재)
17a 중앙부
17b 외측부
17c 연결부
17d 하단부
17e 하측연
17f 상측연
18 가이드 어댑터(가이드 부재)
19 상측 가이드 부재(가이드 부재)
19a 중앙부
19b 외측부
19c 연결부
19d 수용 홈
19e 외벽
19f 걸어맞춤 돌기
20 가이드 어댑터(가이드 부재)
20a 원판부
20b 통부
20c 관통공
20d 리브
21 스프링체
22 페룰
23 입구 관체부
23a 플랜지부
23b 유입구
23c 밸브 시트
23v 중심
23x, 23y 내벽면
25 출구 관체부
25a 플랜지부
25b 유출구
26 하측 디스크
26a 저면
26b 오목부
26c 돌기부
26d 지지부
26e 걸어맞춤 돌기
26f 삽입통과공
27 상측 디스크
27a 평판부
27b 리브
27c 원통부
27d 시트면
27e 오목부
27f 관통공
27g 주연
43 입구 관체부
43d 돌출부
43z 외벽면
FL 유로

Claims (7)

  1. 유입 방향과 유출 방향이 교차하는 앵글형 체크 밸브로서,
    유입구를 가지는 입구 관체부와,
    유출구를 가지는 출구 관체부와,
    유체의 흐름을 멈추게 하는 위치와, 상기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위치로 동작 가능한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수용하는 밸브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 관체부와 상기 출구 관체부와 상기 밸브 박스의 내부는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해 만곡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체는 밸브체를 가지며,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 밸브 시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밸브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밸브 시트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입구 관체부에서의 상기 유로의 아웃코스측 내벽면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출구 관체부측을 향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밸브축을 더 가지며,
    상기 밸브축은, 상기 유입구측에서 보아 상기 유입구의 중심보다 상기 유로의 인코스측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체크 밸브.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입구 관체부에서의 상기 유로의 인코스측 내벽면은, 상기 유입구측에서 보아 상기 밸브체보다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입구 관체부에서의 상기 유로의 상기 아웃코스측의 상기 내벽면은, 상기 유입구측에서 보아 상기 밸브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체크 밸브.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밸브축을 더 가지며,
    상기 밸브체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구를 향해 돌출되는 부분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는, 상기 밸브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밸브축이 통과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있고, 상기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외측부와, 상기 중앙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의 하단부는, 상기 밸브체의 부분 구면형 부위보다 곡률이 큰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의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측부보다 상기 밸브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밸브축을 더 가지며,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는, 상기 밸브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의 하부의 중앙 부분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밸브축과 상기 밸브체의 상기 하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밸브축을 더 가지며,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는, 상기 밸브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입구 관체부 또는 상기 밸브 박스에서의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부위에서, 상기 유로의 인코스측 외벽면에 주위보다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체크 밸브.
KR1020237026139A 2021-03-11 2022-03-09 체크 밸브 KR202301226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9670 2021-03-11
JP2021039670 2021-03-11
JPJP-P-2022-035357 2022-03-08
JP2022035357 2022-03-08
PCT/JP2022/010289 WO2022191239A1 (ja) 2021-03-11 2022-03-09 逆止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680A true KR20230122680A (ko) 2023-08-22

Family

ID=8322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139A KR20230122680A (ko) 2021-03-11 2022-03-09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06830A1 (ko)
JP (1) JPWO2022191239A1 (ko)
KR (1) KR20230122680A (ko)
CA (1) CA3213154A1 (ko)
MX (1) MX2023010277A (ko)
TW (1) TWI812060B (ko)
WO (1) WO20221912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4241A (ja) * 2005-07-20 2007-02-01 Denso Corp 流体制御弁
JP5331831B2 (ja) * 2011-01-31 2013-10-30 Ckd株式会社 流体制御弁
ES2716856T3 (es) 2012-05-31 2019-06-17 Ishizaki Corp Válvula de retención y sistema de agua caliente
JP2015094275A (ja) * 2013-11-12 2015-05-18 愛三工業株式会社 排気還流バルブ
JP6744137B2 (ja) * 2016-06-07 2020-08-19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サーモスタット装置
JP7304778B2 (ja) 2019-09-05 2023-07-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材料特性予測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2035357A (ja) 2020-08-20 2022-03-04 株式会社空環工房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3010277A (es) 2023-09-11
TW202242288A (zh) 2022-11-01
CA3213154A1 (en) 2022-09-15
JPWO2022191239A1 (ko) 2022-09-15
EP4306830A1 (en) 2024-01-17
US20240133474A1 (en) 2024-04-25
WO2022191239A1 (ja) 2022-09-15
TWI812060B (zh)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585B2 (en) Rocker type diaphragm valve
US20100001223A1 (en) Valve with a springy diaphragm
US7175157B2 (en) Fluid controller
CN110832238B (zh) 止回阀和止回阀用往复移动体
US20090014077A1 (en) One piece double membrane diaphragm valve
US11846455B2 (en) Valve needle assembly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having the valve needle assembly
US10738901B1 (en) Check valve
CN113646562A (zh) 隔膜及隔膜阀
EP3792532A1 (en) Gate valve
KR20230122680A (ko) 체크 밸브
CN211039697U (zh) 一种气动角座阀
US20200149653A1 (en) Actuator and valve device
CA3097290C (en) Check valve
US20240229949A9 (en) Check valve
CN117015673A (zh) 止回阀
KR101588961B1 (ko) 리프트형 체크밸브
KR102357776B1 (ko) 밸브
JP2022552147A (ja) 気液分離器及び圧縮システム
KR101961464B1 (ko) 레귤레이터
KR101793791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구비한 감압밸브 장치
JP2019120318A (ja) バルブ機構
JP7443506B2 (ja) 気液分離器及び圧縮システム
JP2005030553A (ja) 流体圧力作動体
US20220325802A1 (en) Valve device
CN113551072A (zh) 一种无骨架水力主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