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464B1 -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464B1
KR101961464B1 KR1020170026190A KR20170026190A KR101961464B1 KR 101961464 B1 KR101961464 B1 KR 101961464B1 KR 1020170026190 A KR1020170026190 A KR 1020170026190A KR 20170026190 A KR20170026190 A KR 20170026190A KR 101961464 B1 KR101961464 B1 KR 10196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hielding member
space
spring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142A (ko
Inventor
윤종찬
임재훈
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to KR102017002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4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유로의 유로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축과 스프링 그리고 다이아프램을 일체형이 아닌 각각 구분되게 설치하여 조립의 편이성을 높이고, 다이아프램의 손상을 방지해 사용기간을 늘일 수 있으며, 스프링 상부에 스프링 커버를 포함함으로 스프링과 다이아프램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디와 상부커버 하부커버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조절축과 스프링 및 다이아프램이 각각 구분되게 별도로 조립된다.

Description

레귤레이터{REGULATOR}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유로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축과 스프링 그리고 다이아프램을 일체형이 아닌 각각 구분되게 설치하여 조립의 편이성을 높이고, 다이아프램의 손상을 방지해 사용기간을 늘일 수 있으며, 스프링 상부에 스프링 커버를 포함함으로 스프링과 다이아프램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귤레이터(Regulater)는 기체 또는 액체를 포함하는 유체(流體)를 대상으로 한쪽 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 압력 대비 토출량 압력을 조절하여 원하는 토출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를 말한다.
이러한 레귤레이터는 가스설비, 급수설비, 증기설비 등 항공기, 선박, 차량, 및 각종 선업설비에서 두루 설치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산업에서는 더욱 정밀한 정압기능을 통해 효율을 높이고, 내구성을 증가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함과 동시에 단가 절감이 가능한 레귤레이터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레귤레이터가 이용되고 원리가 적용된 기술은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0157 과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93480 에서와 같이 다양한 기술이 고안되고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적용된 레귤레이터의 일 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종래의 레귤레이터(1)는, 좌측에 유입구(11)와 우측에 배출구(12)를 가지며 내부에 메인유로(13)를 가지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커버(30)와, 상기 바디(10)의 하부에 스프링(S)의 작동을 가이드하며 바디(10) 하부와 연통되게 결합된 하부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유로(13)에는 유로를 구획 형성하는 내벽(14)을 가진다.
한편, 배출구(12)와 내벽(14) 사이에는 상기 하부커버(20)의 공간부로 연통되는 연결로(15)를 가지며, 다이아프램(50)이 메인유로(13)와 연결로(15)를 덮으면서 공간부를 상부의 조절공간와 하부의 차단공간(16)으로 구분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S)은 하부커버(20)에 조절스크류(21) 등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다이아프램(50)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하부로 연장된 조절축(40)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레귤레이터(1)는 유입구(10)를 통해 고압 또는 변동되는 압력의 유체가 유입되고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될 때는 정압으로 토출될 수 있게 하는데, 이러한 압력조절은 압력에 따라 연결로(15)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스프링(S)의 힘을 이기고 다이아프램(50)을 하부로 밀게됨에 따라 조절축(40)의 상부에 구비된 패킹이 구획된 메인유로(13)의 개폐 및 유로 크기를 조절하여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게 되는 원리를 가진다.
한편, 상술의 다이아프램(50)은 통상 천연고무, 합성고무, 금속판 등 연질의 재질로 휨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하 왕복운동(Stroke)을 하게 된다.
즉, 다이아프램(50)은 일정부분이 수축과 팽창을 하며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하게 되며 수명이 있는 소모성 부품으로 일정 주기에 따라 교체해야만 하는 부품이다.
한편, 상기 다이아프램(50)은 하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로 오링(O)이 구비되며, 조절축(40)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사용 시간에 따라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조절축(40)의 바디(10)의 상.하로 동작하면서 오링(O)부에서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조절축(40)이 다이아프램(50)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설치되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통부분에 미세틈이 형성되고 유체가 차단공간(16) 내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유체의 누설은 스프링(S) 및 하부커버(20)의 손상을 가져오고 전체 레귤레이터(1)의 효율을 떨어뜨려 사용수명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더불어, 종래의 레귤레이터(1)는 유체가 연결로(15)를 통해 직접 다이아프램(50)을 밀어 수축과 팽창됨을 조절하는데, 레귤레이터의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소지가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연질의 다이아프램(50)을 손상시켜 수명을 떨어뜨리게 되고 결국 다이아프램(50)의 잦은 교체가 생기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종래의 레귤레이터(1)는 생산을 위한 조립시 바디(10)에 상부커버(30) 및 하부커버(20)가 결합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레귤레이터(1)는 조절축(40)과 다이아프램(50) 및 스프링(S)이 서로 연결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이 복잡하여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0157 (2006.06.22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93480 (2014.07.2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조절축과 스프링 및 다이아프램을 각각 구분되게 별도 설치하여 조립의 편이성을 높일 수 있는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조절축의 하부에 차폐부재를 구비하고, 차폐부재의 하부에 다이아프램을 구비함으로 유체가 직접적으로 다이아프램과 접촉하지 않아 이물질에 의한 다이아프램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프링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스프링 커버를 구비해 스프링과 다이아프램이 평행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다이아프램이 기울어져 작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는, 일측의 유입구 및 타측의 배출구와, 내부에 메인유로를 구획하며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내벽과, 내벽과 배출구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의 공간부와 연결되는 연결로를 가지는 바디와; 바디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커버와; 내부 가이드부에 위치된 스프링을 가이드하며 바디의 하부로 공간부를 공유하며 결합된 하부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조절축과 다이아프램 및 스프링 커버를 포함한다.
이때, 조절축은, 메인유로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는 패킹을 가진 패킹홀더가 상부에 구비되고, 내벽의 하부로 관통구멍과 연결로를 덮으면서 공간부를 상부의 조절공간과 하부의 차단공간으로 구분시키는 차폐부재를 하부에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하로 동작한다.
그리고, 다이아프램은, 홀이 없는 일체형의 판상 구조로, 차폐부재의 하부에 상면이 접하면서 차단공간을 상부 차단공간과 하부 차단공간으로 구분시키고, 하부커버와 바디의 결합부위에 플랜지부가 끼워지면서 결합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 커버는, 하부커버의 스프링 상단부를 덮으며 가이드부에 삽입된 캡 형상을 가지며, 다이아프램의 저면과 접하면서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조절축의 차폐부재는, 관통구멍에 기밀되게 위치된 제1 차폐부재와, 내벽의 하부로 관통구멍과 연결로를 덮으면서 공간부에 기밀되게 위치되고 제1 차페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차폐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제1 차페부재와 제2 차폐부재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일측에 오링을 더 포함한다.
한편, 다이아프램은, 연질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다이아프램은, 만곡면을 가지는 판상의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연장되고 양측 단부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플랜지부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다이아프램은 인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보강막을 더 포함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스프링 커버는, 돌출된 높이를 가지며 다이아프램의 만곡된 본체와 접면하도록 상부가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는, 첫째, 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조절축과 스프링 및 다이아프램을 각각 구분되게 별도 설치하여 조립의 편이성을 높이고 보수 및 작업시간을 줄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조절축의 하부에 차폐부재를 구비하고 차폐부재의 하부에 다이아프램을 구비하는 구조로 유체가 직접적으로 다이아프램과 접촉하지 않아 이물질에 의한 다이아프램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스프링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스프링 커버를 구비해 스프링과 다이아프램이 평행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다이아프램이 기울어져 작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에 적용되는 다아이프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향은 상부커버가 결합된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하부 또는 하방향은 이에 반대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통상의 레귤레이터와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에 적용되는 다아이프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100)는, 바디(110)와, 스프링(S)을 구비한 하부커버(120)와, 상부커버(130), 조절축(140) 및 다이아프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바디(110)의 관통구멍(116)과 하부커버(120)의 가이드부(121)에 구비되는 스프링(S) 및 조절축(140)은 동일축(C) 선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부커버(130)와 하부커버(120)는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표현한 명칭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100)는, 조립되는 부품인 조절축(140)과 스프링(S) 및 다이아프램(150)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구성되지 않고 각각 분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S)의 상부에는 스프링 커버(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1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100)의 바디(110)는, 일측에 유입구(111)와 타측에 배출구(112)를 형성하며,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연결하는 메인유로(113)를 내부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113)를 구획하고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16)을 형성하는 내벽(114)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내벽(114)과 배출구(112) 사이에는 바디(110)의 하부에 하부커버(120)와 함께 공유하는 공간부와 연결된 연결로(115)를 가진다.
한편,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130)가 결합되며, 상기 바디(110)의 하부에는 내부 가이드부(121)에 위치된 스프링(S)을 가이드하며 바디(110)의 하부로 공간부를 공유하며 하부커버(1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관통구멍(116)과 동일축을 가지며 조절축(140)이 상.하 작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간부에는 상부와 하부를 분리시켜 차단하는 다이아프램(150)이 구비된다.
상기의 레귤레이터(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공지된 레귤레이터 구조에 적용되어 동일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지된 기술적 특징인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100)에 적용되는 조절축(140)은, 다이아프램(15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부품으로, 상부에 패킹(141)이 구비된 패킹홀더(142)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하부에 차페부재(143)를 일체형으로 가진다.
그리고, 관통구멍(116)과 동일축(C)을 가지며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패킹(141) 및 패킹홀더(142)는 메인유로(113)의 개폐를 조절하면서 유체 흐름을 조절한다.
다시 말해,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높을 경우 연결로(115)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조절축(14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패킹(141)을 구비한 패킹홀더(142) 또한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유로(113)의 개폐 및 유로 크기를 조절하여 유체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차폐부재(143)는 상기 내벽(114)의 하부로 관통구멍(116)과 연결로(115)를 덮으면서 상기 공간부를 상부의 조절공간(117)과 하부의 차단공간(118)으로 구분시킨다.
상기 조절공간(117)은 연결로(115)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차폐부재(143)는 하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공간(118)은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공간이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조절축(140)의 차폐부재(143)는, 상기 관통구멍(116)에 기밀되게 위치된 제1 차폐부재(143a)와, 상기 내벽(114)의 하부로 관통구멍(116)과 연결로(115)를 덮으면서 상기 공간부에 기밀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 차페부재(143a)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차폐부재(143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차페부재(143a)와 제2 차폐부재(143b)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일측에 오링(O)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다이아프램(150)은 다른 구성요소가 관통되는 홀이 없이 일체형의 판상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다이아프램(15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축(140)의 차폐부재(143) 하부에 상면이 접하면서 상기 차단공간(118)을 재차 상부측의 상부 차단공간(118a)과 하부측의 하부 차단공간(118b)으로 구분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120)와 바디(110)의 결합부위에 플랜지부(152)가 끼워지면서 결합고정된다.
한편, 상기 다이아프램(150)은 강도와 탄성이 우수한 연질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a)을 참조하면, 상기 다이아프램(150)은 만곡면을 가지는 판상의 본체(151)와, 본체(151)의 양측에 연장되고 양측 단부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플랜지부(152)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다이아프램(150)은 수축과 팽창시 작동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주름부(1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에서 상기 주름부(153)는 하방향으로 융기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방향으로 융기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120)는 필요에 따라 하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상기 플랜지부(15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122)을 더 형성하여 구성되며,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바디(110) 또한 상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5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미도시.)을 형성한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다이아프램(150)의 인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면 또는 하면에 보강막(미도시.)를 더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막(미도시.)은 다이아프램(150)의 저면에 결합되며, 보강막은 천과 같이 자유롭게 변형되고 인장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강막은 다이아프램(150)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고 반복적으로 변형되는 다이아프램의 파손을 억제시켜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필요에 따라 보강막이 다이아프램(15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커버(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스프링 커버(160)는 하부커버(120)의 스프링(S) 상단부를 덮으며 상기 가이드부(121)에 삽입된 캡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다이아프램(150)의 저면과 접하면서 가이드부(121)의 가이드면(121a)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스프링 커버(160)는 상부가 하부 차단공간(118b) 내부로 돌출되도록 돌출된 높이(a)를 가지며, 다이아프램(150)의 만곡된 본체(151)와 접면하여 맞닿을 수 있도록 상부가 만곡면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바디(110)의 관통구멍(116)과 하부커버(120)의 가이드부(121)에 구비되는 스프링(S) 및 조절축(140)은 동일축(C) 선상에 위치된다.
이어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귤레이터(100)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4는 유입구(111)를 통해 적정 압력을 가지는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메인유로(113)를 통과하면서 내벽(114)을 넘어 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적정 압력을 가지는 유체는 연결로(115)를 통해 공간부의 조절공간(117)으로 유입되는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스프링(S)이 스프링 커버(160)를 통해 다이아프램(150)을 밀고 재차 다이아프램(150)이 차폐부재(143)를 밀어올려 조절축(140)을 밀어올리는 압력보다 낮기 때문에 메인유로(113)는 일정한 개도를 유지하고 배출구(112)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 또한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도 5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이 증가하여 바디(110) 내부의 유체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이다.
이때, 유체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바디(11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메인유로(113)과 내벽(114)을 월류한 유체가 연결로(115)로 유입되는 양 또한 증가하여 조절공간(117)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또한 높아진다.
그리고, 조절공간(117)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량이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S)의 탄성력 및 다이아프램(150)의 탄성력의 합력보다 커지게 되고 다아이프램(150)이 변형되면서 조절축(14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절축(140)의 상부 패킹(141)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메인유로(113)와 내벽(114)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흐름이 조절되고 압력이 조절된다.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계속 증가하게 되면 상기 패킹(141)에 의해 메인유로(113)는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술의 이유로 유체의 유량과 흐름이 조절되면 배출구(112) 측의 유체 압력 또한 일정 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로(115)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또한 낮아지고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축(140)은 다시 상승하고 다이아프램(150)은 복원된다.
그리고, 메인유로(113)은 유로 통로가 다시 커지게 된다.
상술의 도 4와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100)의 작용이 반복되면서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적정 압력으로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레귤레이터(100)는 역류 등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구(111)의 통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체크 밸브(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구성되어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100)는, 조절축(140)와 다이아프램(150)과 스프링(S)이 각각 구분되게 별도로 구성되고, 스프링(S)의 상부를 덮으면서 구비된 스프링 커버(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100) 조립의 편이성을 높이고 조립하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보수 작업이 필요할 경우 분리가 용이해 작업시간을 줄여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조절축(140)의 차폐부재(143)가 공간부를 조절공간(117)과 차단공간(118)으로 구분하고, 상기 차단공간(118)을 재차 다이아프램(150)이 상부와 하부(118a, 118b)구분하여 차단함에 따라 연질의 다이아프램(150)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유체가 직접적으로 다이아프램(150)과 접촉하지 않아 이물질에 의한 다이아프램(15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스프링 커버(160)를 구비해 상부가 다이아프램(150)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다이아프램(150)이 기울어져 작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레귤레이터 110 : 바디
111 : 유입구 112 : 배출구
113 : 메인유로 114 : 내벽
115 : 연결로 116 : 관통구멍
117 : 조절공간 118 : 차단공간
118a : 상부 차단공간 118b : 하부 차단공간
120 : 하부커버 121 : 가이드부
121a : 가이드면 122 : 끼움홈
130 : 상부커버 140 : 조절축
141 : 패킹 142 : 패킹홀더
143 : 차폐부재 143a : 제1 차폐부재
143b : 제2 차폐부재 150 : 다이아프램
151 : 본체 152 : 플랜지부
153 : 주름부 160 : 스프링 커버
S : 스프링

Claims (7)

  1. 일측의 유입구(111) 및 타측의 배출구(112)와, 내부에 메인유로(113)를 구획하며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16)을 형성한 내벽(114)과, 상기 내벽(114)과 배출구(112)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의 공간부와 연결되는 연결로(115)를 가지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커버(130)와; 내부 가이드부(121)에 위치된 스프링(S)을 가이드하며 상기 바디(110)의 하부로 상기 공간부를 공유하며 결합된 하부커버(120);를 포함하는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113)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는 패킹(141)을 가진 패킹홀더(142)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벽(114)의 하부로 관통구멍(116)과 연결로(115)를 덮으면서 상기 공간부를 상부의 조절공간(117)과 하부의 차단공간(118)으로 구분시키는 차폐부재(143)를 하부에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하로 동작하는 조절축(140)과;
    홀이 없는 일체형의 판상 구조로, 만곡면을 가지는 판상의 본체(151)와, 상기 본체(151)의 양측에 연장되고 양측 단부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플랜지부(152)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커버(120)와 바디(110)의 결합부위에 플랜지부(152)가 끼워지면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차폐부재(143)의 하부에 상면이 접하면서 상기 차단공간(118)을 상부 차단공간(118a)과 하부 차단공간(118b)으로 구분시키는 다이아프램(150)과;
    상기 하부커버(120)의 스프링(S) 상단부를 덮으며 상기 가이드부(121)에 삽입된 캡 형상으로, 상기 다이아프램(150)의 저면과 접하면서 상기 가이드부(121)의 가이드면(121a)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스프링 커버(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축(140)의 차폐부재(143)는,
    상기 관통구멍(116)에 기밀되게 위치된 제1 차폐부재(143a)와, 상기 내벽(114)의 하부로 관통구멍(116)과 연결로(115)를 덮으면서 상기 공간부에 기밀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 차폐부재(143a)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차폐부재(143b)로 구성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재(143a)와 제2 차폐부재(143b)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일측에 오링(O)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150)은, 연질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150)은, 인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보강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커버(160)는, 돌출된 높이(a)를 가지며 상기 다이아프램(150)의 만곡된 본체(151)와 접면하도록 상부가 만곡면인 것을 특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
KR1020170026190A 2017-02-28 2017-02-28 레귤레이터 KR10196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90A KR101961464B1 (ko) 2017-02-28 2017-02-28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190A KR101961464B1 (ko) 2017-02-28 2017-02-28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42A KR20180099142A (ko) 2018-09-05
KR101961464B1 true KR101961464B1 (ko) 2019-07-17

Family

ID=6359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190A KR101961464B1 (ko) 2017-02-28 2017-02-28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186B1 (ko) * 2019-12-13 2021-05-26 디케이락 주식회사 레귤레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820Y1 (ko) * 2004-02-10 2004-04-30 주식회사 비엠티 레귤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157Y1 (ko) 2006-04-17 2006-06-28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보일러용 수압조절밸브
US20120241662A1 (en) * 2011-03-21 2012-09-27 Jason David Clifford Interchangeable valve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regulators
KR20140093480A (ko)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조인앤조이 액화석유가스와 압축천연가스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820Y1 (ko) * 2004-02-10 2004-04-30 주식회사 비엠티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42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9638A1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WO2006073132A1 (ja) 流量調整装置
US11384862B2 (en) Seal structure, and device with said seal structure
KR20110040485A (ko) 급수용 감압밸브
KR20100084121A (ko) 배압제어밸브
EP0943799B1 (en) Pulsation suppression device for a pump
KR101961464B1 (ko) 레귤레이터
KR19990013821A (ko) 흡입밸브
EP3792532A1 (en) Gate valve
JP2009026054A (ja) 減圧弁
US11261990B2 (en) Actuator and valve device
US10338611B2 (en) Regulator
CN108603497B (zh) 主动式调压室
US4982758A (en) Regulator with fluid supported and operated diaphragm
KR102629406B1 (ko) 다이어프램 밸브
KR101370151B1 (ko) 고압 유체용 레귤레이터
US20200141428A1 (en) Actuator, valve device, and fluid supply system
JP7109591B2 (ja) 吐水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KR101982592B1 (ko) 레귤레이터
CN109424773B (zh) 调节器
KR101793791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구비한 감압밸브 장치
KR101403994B1 (ko) 감압 밸브
JP2020041565A (ja) アクチュエータ、バルブ、流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半導体製造装置
CN112081987B (zh) 内置于比例阀的稳压装置
JP2014031811A (ja) 液体供給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