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678A -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678A
KR20230121678A KR1020220064974A KR20220064974A KR20230121678A KR 20230121678 A KR20230121678 A KR 20230121678A KR 1020220064974 A KR1020220064974 A KR 1020220064974A KR 20220064974 A KR20220064974 A KR 20220064974A KR 20230121678 A KR20230121678 A KR 20230121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semogasari
disease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혜
Original Assignee
레드원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드원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드원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2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6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Abstract

본 명세서는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or prevention, treatment and/or improvement of hyperpigmented diseases, comprising Gloiopeltis tenax extract and/or dehydrololiolid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명세서는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고, 기미 또는 잡티를 생성하는 데는 여러 요인들이 관여하며, 특히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멜라노사이트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 여러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인자는 멜라닌 색소로,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다양한 유전적 요인과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 요인, 자외선 등의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동물, 식물, 미생물에 널리 분포하는 흑색 또는 갈색의 페놀 고분자로서, 그 함량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며, 주로 환경적인 스트레스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균에서는 항생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곰팡이에서는 건조, 고온, 자외선, 살균제, 용해효소에 대한 세포 저항성을 증가시키며, 또한 식물의 진균증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식물에서 멜라닌은 세포벽의 중요한 강화 요소로 작용한다. 포유류에서는 흑색 및 갈색의 유멜라닌 (eumelanin)과 분홍 내지 적색을 띄는 피오멜라닌 (pheomelanin)의 2가지 형태로 나뉘고, 사람 신체에서 주로 머리카락과 피부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과도한 빛을 차단하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티로시나제는 식물, 미생물, 포유동물 세포에서 일어나는 멜라닌 생합성의 가장 중요한 효소이다. 이 효소는 티로신 (tyrosine)으로부터 도파 (dopa), 도파퀴논 (dopaquinone)으로 변환되고 도파크롬 (dopachrome)을 거쳐 흑색 또는 갈색의 멜라닌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멜라닌의 과잉생산은 기미,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을 유발하는 원인 중에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 저해제는 미백화장품 소재뿐만 아니라 부분색소침착 (localized hyperpigmentation) 치료제로도 활용되고 있다.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으며, 케라티노사이트가 노화되어 제 기능을 다하고 표피에서 떨어져나갈 때 케라티노사이트와 함께 피부로부터 제거된다. 현재까지 피부 미용적 측면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멜라닌의 생합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 저해 물질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집중되었으며, 멜라닌 생성 저해제로서 파라메톡시페놀 (p-methoxy phenol),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코직산 (kojic acid) 또는 알부틴 (arbutin)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저해제들은 활성이 약하거나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 외에 피부괴사, 색소 세포 변성, 피부 세포 독성, 피부 자극 유발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하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역시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는 바, 부작용 없이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진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세모가사리, 특히 세모가사리 내에 포함된 다히아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가 어두운 피부색의 발현을 유발할 수 있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며 기존에 미백제 성분으로 사용되던 알부틴보다도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것에 더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인간을 비롯한 동물에 적용되어 이의 미백을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는 세모가사리 및/또는 상기 세모가사리에 포함된 화합물 등의 모든 형태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는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또는
3) 이들의 조합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 일 예는,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또는
3) 이들의 조합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또는
3) 이들의 조합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색소 침착을 저해,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하는 효과 및/또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있을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세모가사리 (Gloiopeltis tenax)"는 홍조류에 속하는 적갈색 한해살이 바닷말로 풀가사리류 중 줄기가 가는 것을 지칭하며 우리나라 제주도 및 남해안 각지, 동해안 죽변, 울진, 월성, 영일만, 고리 등지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 세모가사리는 조간대 상부의 바위 위에서만 생육하며, 몸의 줄기는 가는 원주상 또는 편평하며, 한 장소에서 다수의 개체들이 뭉쳐서 직립하며 군락을 이룬다. 크기는 10 ~ 20 cm 정도, 엽체의 굴기는 1 ~ 4 mm 정도이며, 분류학적으로 홍조식물문 (Rhodophyta), 진정홍조강 (Florideophyceae), 돌가사리목 (Gigartinales), 풀가사리과 (Endocladiaceae), 풀가사리속 (Gloiopeltis)에 속한다. 세모가사리, 세모가시리, 참가사리 등 지칭하는 용어가 다수이나 세모가사리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으며, 학명인 참풀가사리보다 세모가사리가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세모가사리는 연안 해조군집의 우점종으로 생태 중요도와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어 있으나 현재로서는 식용 외 다른 산업적 이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상기 세모가사리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여과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세모가사리의 전초 또는 일부 (예컨대, 열매, 뿌리, 잎, 꽃, 및/또는 줄기 등)를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천연소재의 전초 또는 일부 (예컨대, 열매, 뿌리, 잎, 꽃, 및/또는 줄기 등)는 생약 그대로 또는 건조 및/또는 가열된 상태로 추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C1) 내지 4 (C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코올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예컨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메틸 알코올), 에탄올 (에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70 내지 100 (v/v)%, 80 내지 100 (v/v)%, 90 내지 100 (v/v)%, 95 내지 100 (v/v)%, 96 내지 100 (v/v)%, 97 내지 100 (v/v)%, 98 내지 100 (v/v)%, 99 내지 100 (v/v)%, 99.5 내지 100 (v/v)%, 99.8 내지 100 (v/v)%, 99.9 내지 100 (v/v)%, 70 내지 99.99 (v/v)%, 80 내지 99.99 (v/v)%, 90 내지 99.99 (v/v)%, 95 내지 99.99 (v/v)%, 96 내지 99.99 (v/v)%, 97 내지 99.99 (v/v)%, 98 내지 99.99 (v/v)%, 99 내지 99.99 (v/v)%, 99.5 내지 99.99 (v/v)%, 99.8 내지 99.99 (v/v)%, 99.9 내지 99.99 (v/v)%, 70 내지 99.9 (v/v)%, 80 내지 99.9 (v/v)%, 90 내지 99.9 (v/v)%, 95 내지 99.9 (v/v)%, 96 내지 99.9 (v/v)%, 97 내지 99.9 (v/v)%, 98 내지 99.9 (v/v)%, 99 내지 99.9 (v/v)%, 99.5 내지 99.9 (v/v)%, 또는 99.8 내지 99.9 (v/v)%, 예컨대, 99.9 (v/v)%의 농도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 제조를 위한 추출방법은 통상의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회정증발기를 이용한 추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초음파 추출, 열수 추출, 진탕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추출 시간은 6 내지 42시간, 6 내지 36시간, 6 내지 30시간, 6 내지 26시간, 12 내지 42시간, 12 내지 36시간, 12 내지 30시간, 12 내지 26시간, 18 내지 42시간, 18 내지 36시간, 18 내지 30시간, 18 내지 26시간, 22 내지 42시간, 22 내지 36시간, 22 내지 30시간 또는 22 내지 26시간, 예컨대, 24시간 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 추출시의 추출온도는 10 내지 80℃, 20 내지 80℃, 30 내지 80℃, 35 내지 80℃, 36 내지 80℃, 10 내지 70℃, 20 내지 70℃, 30 내지 70℃, 35 내지 70℃, 36 내지 70℃, 10 내지 60℃, 20 내지 60℃, 30 내지 60℃, 35 내지 60℃, 36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50℃, 30 내지 50℃, 35 내지 50℃, 36 내지 50℃, 10 내지 45℃, 20 내지 45℃, 30 내지 45℃, 35 내지 45℃, 36 내지 45℃, 10 내지 42℃, 20 내지 42℃, 30 내지 42℃, 35 내지 42℃, 36 내지 42℃, 10 내지 40℃, 20 내지 40℃, 30 내지 40℃, 35 내지 40℃, 36 내지 40℃, 10 내지 37℃, 20 내지 37℃, 30 내지 37℃, 35 내지 37℃, 36 내지 37℃, 10 내지 36℃, 20 내지 36℃, 30 내지 36℃, 또는 35 내지 36℃, 예컨대, 36℃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세모가사리를 그대로 원료로 사용하거나, 원심 분리 또는 여과 등 후처리 공정 단계를 거쳐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세모가사리의 유효물질을 활용하기 위해 양적인 손실을 줄이고자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 전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세모가사리 추출물의 상등액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
상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여 피부의 색소 침착을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할 수 있고,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천연물 유래, 화학적 합성, 및/또는 생물학적 합성 등 여러 방법을 통해 획득 및/또는 생성이 가능하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세모가사리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 내지 1000ppm, 1 내지 500ppm, 1 내지 300ppm, 1 내지 200ppm, 1 내지 150ppm, 1 내지 100ppm, 1 내지 80ppm, 1 내지 60ppm, 1 내지 55ppm, 5 내지 1000ppm, 5 내지 500ppm, 5 내지 300ppm, 5 내지 200ppm, 5 내지 150ppm, 5 내지 100ppm, 5 내지 80ppm, 5 내지 60ppm, 5 내지 55ppm, 10 내지 1000ppm, 10 내지 500ppm, 10 내지 300ppm, 10 내지 200ppm, 10 내지 150ppm, 10 내지 100ppm, 10 내지 80ppm, 10 내지 60ppm, 10 내지 55ppm, 15 내지 1000ppm, 15 내지 500ppm, 15 내지 300ppm, 15 내지 200ppm, 15 내지 150ppm, 15 내지 100ppm, 15 내지 80ppm, 15 내지 60ppm, 15 내지 55ppm, 20 내지 1000ppm, 20 내지 500ppm, 20 내지 300ppm, 20 내지 200ppm, 20 내지 150ppm, 20 내지 100ppm, 20 내지 80ppm, 20 내지 60ppm, 20 내지 55ppm, 30 내지 1000ppm, 30 내지 500ppm, 30 내지 300ppm, 30 내지 200ppm, 30 내지 150ppm, 30 내지 100ppm, 30 내지 80ppm, 30 내지 60ppm, 30 내지 55ppm, 40 내지 1000ppm, 40 내지 500ppm, 40 내지 300ppm, 40 내지 200ppm, 40 내지 150ppm, 40 내지 100ppm, 40 내지 80ppm, 40 내지 60ppm, 40 내지 55ppm, 45 내지 1000ppm, 45 내지 500ppm, 45 내지 300ppm, 45 내지 200ppm, 45 내지 150ppm, 45 내지 100ppm, 45 내지 80ppm, 45 내지 60ppm, 또는 45 내지 55ppm, 예컨대 50ppm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 내지 1000ppm, 1 내지 500ppm, 1 내지 300ppm, 1 내지 200ppm, 1 내지 150ppm, 1 내지 100ppm, 1 내지 80ppm, 1 내지 60ppm, 1 내지 55ppm, 5 내지 1000ppm, 5 내지 500ppm, 5 내지 300ppm, 5 내지 200ppm, 5 내지 150ppm, 5 내지 100ppm, 5 내지 80ppm, 5 내지 60ppm, 5 내지 55ppm, 10 내지 1000ppm, 10 내지 500ppm, 10 내지 300ppm, 10 내지 200ppm, 10 내지 150ppm, 10 내지 100ppm, 10 내지 80ppm, 10 내지 60ppm, 10 내지 55ppm, 15 내지 1000ppm, 15 내지 500ppm, 15 내지 300ppm, 15 내지 200ppm, 15 내지 150ppm, 15 내지 100ppm, 15 내지 80ppm, 15 내지 60ppm, 15 내지 55ppm, 20 내지 1000ppm, 20 내지 500ppm, 20 내지 300ppm, 20 내지 200ppm, 20 내지 150ppm, 20 내지 100ppm, 20 내지 80ppm, 20 내지 60ppm, 20 내지 55ppm, 30 내지 1000ppm, 30 내지 500ppm, 30 내지 300ppm, 30 내지 200ppm, 30 내지 150ppm, 30 내지 100ppm, 30 내지 80ppm, 30 내지 60ppm, 30 내지 55ppm, 40 내지 1000ppm, 40 내지 500ppm, 40 내지 300ppm, 40 내지 200ppm, 40 내지 150ppm, 40 내지 100ppm, 40 내지 80ppm, 40 내지 60ppm, 40 내지 55ppm, 45 내지 1000ppm, 45 내지 500ppm, 45 내지 300ppm, 45 내지 200ppm, 45 내지 150ppm, 45 내지 100ppm, 45 내지 80ppm, 45 내지 60ppm, 또는 45 내지 55ppm, 예컨대 50ppm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적용 대상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하면서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의 유효작용을 보유하고,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의 임의의 모든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일 수 있다. 상기 유리산은 무기산과 유기산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산의 예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산의 예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후마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있으며,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조성물 및 방법에서, 유효성분으로서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수화물 등의 용매화물, 및 가능한 유도체와 이성질체, 예를 들어, 광학 이성질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의 수화물, 용매화물, 유도체 및 이성질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과색소성 질환” 및/또는 “멜라닌 과생성 관련 질환”은 멜라닌 생성 억제에 의하여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이 가능한 질환이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색소성 질환” 및/또는 “멜라닌 과생성 관련 질환”은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또는 염증 후 과색소 침착 (Post-Inflammatory Hypopigmentation), 자외선 노출 또는 염증 후 피부 색소 침착, 노인흑색점, 갈색반점 및 검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색소 침착”은 생리적으로 피부에 있는 색소의 양이 비정상적인 경우, 또는 이상이 있을 경우, 생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색소가 병적 조건 아래에서 발생하는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는 피부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 생성된 멜라닌의 분해를 촉진하는 것과 같이 피부에서 멜라닌의 함량을 낮추고, 색소의 침착을 억제하는 기전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멜라노마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거나,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lpha-MSH)로 인해 증가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저해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미백” 또는 “피부 미백”은 피부에서의 색소침착을 예방, 개선, 완화, 및/또는 치료하는 모든 활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주근깨, 기미, 검버섯, 잡티 등의 예방, 개선, 완화, 및/또는 치료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미”는 불규칙한 모양, 다양한 크기의 갈색 점이 노출부위, 특히 얼굴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주근깨”는 햇빛에 노출된 부위의 피부에 주로 생기는 황갈색의 작은 색소성 반점을 의미하고, 주로 뺨이나 팔의 윗부분, 앞가슴, 등 위쪽에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검버섯”은 노화 및 햇빛의 자외선 노출과 관련된 피부 상의 얼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는 증상 (예컨대, 피부의 색소침착 등)의 경감 또는 개선, 질병 (예컨대, 과색소성 질환 등) 진행의 지연 또는 완화, 질환 상태 또는 증상의 개선, 경감 또는 안정화, 부분적 또는 완전한 회복 또는 제거, 기타 다른 이로운 치료 결과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개선”은 (예컨대, 피부의 색소침착 등)의 경감 또는 개선, 질병 (예컨대, 과색소성 질환 등) 진행의 지연 또는 완화, 질환 상태 또는 증상의 개선, 경감 또는 안정화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방”은 특정 질병을 갖지 않는 대상에게 작용하여 상기 특정 질병이 발병하지 않도록 하거나, 그 발병 시기를 늦추는 모든 기작 및/또는 효과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이들은 용액, 연고, 외용연고, 크림, 에센스, 폼, 화장수, 영양화장수, 유연수, 유연화장수, 팩,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비누, 세정료, 입욕제, 선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파운데이션,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유도체 및/또는 이성질체 이외에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투여 제제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경구 투여를 위한 것인 경우 (예컨대, 약학적 조성물(경구) 또는 식품 조성물),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상기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3) 또는 이들의 조합의 농도는, 전체 조성물 부피를 기준으로, 0.1 내지 10000ug/mL, 0.1 내지 5000ug/mL, 0.1 내지 3000ug/mL, 0.1 내지 2000ug/mL, 0.1 내지 1000ug/mL, 0.1 내지 500ug/mL, 0.1 내지 300ug/mL, 0.1 내지 200ug/mL, 0.1 내지 100ug/mL, 1 내지 10000ug/mL, 1 내지 5000ug/mL, 1 내지 3000ug/mL, 1 내지 2000ug/mL, 1 내지 1000ug/mL, 1 내지 500ug/mL, 1 내지 300ug/mL, 1 내지 200ug/mL, 1 내지 100ug/mL, 10 내지 10000ug/mL, 10 내지 5000ug/mL, 10 내지 3000ug/mL, 10 내지 2000ug/mL, 10 내지 1000ug/mL, 10 내지 500ug/mL, 10 내지 300ug/mL, 10 내지 200ug/mL, 10 내지 100ug/mL, 100 내지 10000ug/mL, 100 내지 5000ug/mL, 100 내지 3000ug/mL, 100 내지 2000ug/mL, 100 내지 1000ug/mL, 100 내지 500ug/mL, 100 내지 300ug/mL 또는 100 내지 200ug/mL 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 원숭이 등의 영장류, 마우스, 랫트 (rat), 토끼 등의 설치류, 이외의 개, 고양이, 소, 돼지, 양, 말, 염소 등을 포함하는 포유류, 닭, 오리, 거위 등을 포함하는 조류, 뱀, 도마뱀, 거북, 악어 등을 포함하는 파충류, 양서류, 및 어류 등의 척추동물에서 선택된 대상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투여, 또는 정맥투여, 근육투여, 피하투여, 복막내 투여, 병변 부위의 국소 투여 또는 복강 주사 같은 비경구 투여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 또는 경피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때, 비경구 경로는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 서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약학 조성물은 0.1 ~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간격,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약학 조성물의 1회 또는 1일 투여량은 유효성분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의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10000㎎/kg,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000㎎/kg, 0.01 내지 5000㎎/kg, 0.01 내지 3000㎎/kg, 0.01 내지 2500㎎/kg, 0.01 내지 2000㎎/kg, 0.01 내지 1800㎎/kg, 0.1 내지 10000㎎/kg, 0.1 내지 5000㎎/kg, 0.1 내지 3000㎎/kg, 0.1 내지 2500㎎/kg, 0.1 내지 2000㎎/kg, 0.1 내지 1800㎎/kg, 1 내지 10000㎎/kg, 1 내지 5000㎎/kg, 1 내지 3000㎎/kg, 1 내지 2500㎎/kg, 1 내지 2000㎎/kg, 1 내지 1800㎎/kg, 10 내지 10000㎎/kg, 10 내지 5000㎎/kg, 10 내지 3000㎎/kg, 10 내지 2500㎎/kg, 10 내지 2000㎎/kg, 10 내지 1800㎎/kg, 100 내지 10000㎎/kg, 100 내지 5000㎎/kg, 100 내지 3000㎎/kg, 100 내지 2500㎎/kg, 100 내지 2000㎎/kg, 또는 100 내지 1800㎎/kg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회 또는 1일 투여량은 단위 용량 형태로 하나의 제제로 제제화되거나, 적절하게 분량하여 제제화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유효성분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학적 관행 (Standard phar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학적 및/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조제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약학적 및/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담체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및/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는 약학 조성물의 적절한 제제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윤할제,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 등의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의 경우, 상기 부형제는 이러한 고형 제제의 제제화를 위한 적어도 1종 이상의 물질, 예컨대,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외에도,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의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의 제제화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적절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내 또는 혀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 (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 (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인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염, 특히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염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은 유효성분으로서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3) 또는 이들의 조합에 더하여, 화장료에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캡슐형,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 원숭이 등의 영장류, 마우스, 랫드, 토끼 등의 설치류, 이외의 개, 고양이, 소, 돼지, 양, 말, 염소 등을 포함하는 포유류, 닭, 오리, 거위 등을 포함하는 조류, 뱀, 도마뱀, 거북, 악어 등을 포함하는 파충류, 양서류, 및 어류 등의 척추동물에서 선택된 대상에 적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상기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3) 또는 이들의 조합 농도는, 전체 조성물 부피를 기준으로, 0.1 내지 10000ug/mL, 0.1 내지 5000ug/mL, 0.1 내지 3000ug/mL, 0.1 내지 2000ug/mL, 0.1 내지 1000ug/mL, 0.1 내지 500ug/mL, 0.1 내지 300ug/mL, 0.1 내지 200ug/mL, 0.1 내지 100ug/mL, 1 내지 10000ug/mL, 1 내지 5000ug/mL, 1 내지 3000ug/mL, 1 내지 2000ug/mL, 1 내지 1000ug/mL, 1 내지 500ug/mL, 1 내지 300ug/mL, 1 내지 200ug/mL, 1 내지 100ug/mL, 10 내지 10000ug/mL, 10 내지 5000ug/mL, 10 내지 3000ug/mL, 10 내지 2000ug/mL, 10 내지 1000ug/mL, 10 내지 500ug/mL, 10 내지 300ug/mL, 10 내지 200ug/mL, 10 내지 100ug/mL, 100 내지 10000ug/mL, 100 내지 5000ug/mL, 100 내지 3000ug/mL, 100 내지 2000ug/mL, 100 내지 1000ug/mL, 100 내지 500ug/mL, 100 내지 300ug/mL 또는 100 내지 200ug/mL 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식품 조성물에서, 용어 "식품"은 영양소를 한 가지 이상 함유하고 있는 식용의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각종 일반 식품, 건강기능성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의미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식품 조성물"은 상기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인간, 원숭이 등의 영장류, 마우스, 랫드, 토끼 등의 설치류, 이외의 개, 고양이, 소, 돼지, 양, 말, 염소 등을 포함하는 포유류, 닭, 오리, 거위 등을 포함하는 조류, 뱀, 도마뱀, 거북, 악어 등을 포함하는 파충류, 양서류, 및 어류 등의 척추동물에서 선택된 대상에 적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색소 침착 또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는 세모가사리 추출물 내의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는 세모가사리 추출물 내의 화합물의 질량분석 결과를 나타난 그래프이다.
도 1c는 세모가사리 추출물 내의 화합물의 LC-MS 상에서 확인한 자외선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난 그래프이다.
도 2는 세모가사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재해도 및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NC 및 PC는 각각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을 의미한다.
도 3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의 멜라닌 생성 저해도 및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NC 및 PC는 각각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모가사리 추출물 제조
국내에서 세모가사리 (Gloiopeltis tenax) (완도맘; http://wandomom.com)를 수집하여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99.9 (v/v)% 에탄올 (ethanol)에 넣어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무형광 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하고, 36℃에서 회전증발기 (rotary evaporator; WEV-1001V; DAEHAN)를 이용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이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의 분리 및 정제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세모가사리의 추출물을 물 (H2O)과 메탄올 (MeOH)의 20, 40, 50, 60, 70, 80, 100 (v/v)%까지 메탄올의 단계적 구배에 따르는 C-18 실리카를 이용한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였다. 그 중 20% 메탄올 / 80% 물로 분획한 첫 번째 분획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그 분획물 (잔류물)을 5ml 메탄올에 녹이고, 이에 대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사용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Phenomenex Luna C-18 (2), 250×10.0 mm
유속 2.0 mL/분, 5 mm, 100 Å, UV = 210 nm, 아세토나이트릴 (CH3CN) : 물 (H2O) = 20 : 80
상기 용리 조건에서 머무름 시간 48분에 분리함으로써 제조한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를 동정한 결과, 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임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
이를 통해, 세모가사리 추출물로부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제조하는 것에 성공하여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제조하는 새로운 제조공정을 확립할 수 있었다. 상기 분리한 화합물들을 MS (Agilent 6120 quadrupole LC-MS) 및 핵자기공명분광기 (AVANCE III 400 Bruker)를 이용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으며, 그 결과 화합물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은 분자량 194이며, 분자식이 C11H14O3인 노란색 가루상의 물질인 것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a에 나타내었고, 상기 화합물의 질량분석 결과 및 LC-MS 상에서 확인한 자외선 스펙트럼 결과를 각각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멜라닌 생성 저해능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세모가사리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2에서 분리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의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B16-F10 멜라노마 세포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USA)를 2 x 104 cells/well로 48 웰 플레이트에 600μL씩 분주한 후에 인큐베이터에서 37℃, 5% CO2 환경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 배지로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igh glucose 배지 (ATCC, USA)를 사용하였다. 멜라닌 생성 촉진 자극원인 α-MSH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0.4μM, Sigma-Aldrich, USA)와 DMSO (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켜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12.5, 25, 50ppm의 농도로,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25 ppm 농도로 제조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기존의 잘 알려진 미백 물질인 알부틴 (Sigma-Aldrich, USA) 50 ppm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는 α-MSH만 단독 처리하였고.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도 준비하였다. 분주된 웰 내의 배지를 제거한 후에 제조된 배지를 웰 당 600μL씩 넣어주었다. 72시간 후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1N NaOH 를 웰 당 200μL씩 넣어준 후 60℃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로부터 멜라닌을 용해시켰다. 용해된 멜라닌 시료 100μL를 96 웰 플레이트에 옮겨 담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 저해도를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멜라닌생성 저해도(%) = 1 - (ODS-ODc)/(ODm-ODc)×100
ODS: 시험물질 (화학식 1의 화합물)과 α-MSH를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ODm: α-MSH만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ODc: 시험물질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α-MSH 미처리 음성대조군 (1N NaOH 100μL)의 흡광도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세모가사리 (Gloiopeltis tenax) 추출물은 12.5ppm, 25ppm, 50ppm으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증가함을 보였다. 특히 저농도 (12.5ppm)에서 50ppm의 양성대조군 알부틴과 약 59%로 비슷한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25ppm의 농도에서는 약 67%로 50ppm의 알부틴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고, 50ppm의 동일 농도에서는 약 86%로 훨씬 높은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세모가사리 (Gloiopeltis tenax)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매우 우수하며, 종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해 미백을 위해 사용되던 물질인 알부틴과 비교할 때에도, 보다 낮은 농도로 이용되더라도 멜라닌 생성 저해도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멜라닌 생성 저해를 통한 미백 효능이 뛰어나고, 피부 색소침착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 및 병태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세모가사리 (Gloiopeltis tenax) 추출물에서 분리된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25ppm 농도에서 50ppm의 양성대조군 알부틴과 약 49%로 비슷한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세모가사리 (Gloiopeltis tenax) 추출물 유래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매우 우수하며, 종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해 미백을 위해 사용되던 물질인 알부틴과 비교할 때에도, 보다 낮은 농도로 이용되더라도 멜라닌 생성 저해도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멜라닌 생성 저해를 통한 미백 효능이 뛰어나고, 피부 색소침착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 및 병태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세포 안전성 확인 (세포 독성 측정)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세모가사리 추출물과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가 세포에 대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간이나 동물의 피부세포에서 미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12.5, 25, 50ppm,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25 ppm의 농도가 되도록 배지를 제조하고, 양성대조군, 음성대조군 및 대조군을 준비하고, 분주된 웰 내의 배지를 제거한 후에 제조된 배지를 웰 당 600μL씩 넣어주었다. 72시간 배양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TT 어세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PBS에 25mg/ml 농도로 희석한 MTT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처리하여 3시간 동안 37℃, 5% CO2 환경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를 300ul씩 넣고 1시간이상 흔들어 준 다음, 54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ELISA Reader (BioTek)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도 2와 같이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50ppm, 25ppm, 12.5ppm으로 농도가 낮아질수록 세포 독성이 약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12.5ppm에서는 50ppm 농도의 알부틴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의 경우, 25ppm 처리한 멜라노마 세포의 수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3). 이를 통해, 세모가사리 추출물과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처리한 멜라노마 세포의 수의 감소를 거의 유발하지 않아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26)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또는
3) 이들의 조합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세모가사리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한 용매 추출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세모가사리를 물, 또는 70 내지 100 (v/v)% 에탄올로 추출한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ppm 내지 1000ppm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ppm 내지 1000ppm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색소 침착 또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또는
3) 이들의 조합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색소성 질환은 멜라닌 생성 억제에 의하여 예방 또는 치료 가능한 질환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색소성 질환은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또는 염증 후 피부 색소 침착, 노인흑색점, 갈색반점, 및 검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ppm 내지 1000ppm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ppm 내지 1000ppm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또는
3) 이들의 조합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과색소성 질환은 멜라닌 생성 억제에 의하여 예방 또는 치료 가능한 질환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과색소성 질환은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또는 염증 후 피부 색소 침착, 노인흑색점, 갈색반점, 및 검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ppm 내지 1000ppm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ppm 내지 1000ppm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 세모가사리 추출물;
2)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dehydrololiolide),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 또는
3) 이들의 조합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과색소성 질환은 멜라닌 생성 억제에 의하여 예방 또는 치료 가능한 질환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과색소성 질환은 주근깨,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또는 염증 후 피부 색소 침착, 노인흑색점, 갈색반점, 및 검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모가사리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ppm 내지 1000ppm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질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ppm 내지 1000ppm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20064974A 2022-02-11 2022-05-26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1216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437 2022-02-11
KR20220018437 2022-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678A true KR20230121678A (ko) 2023-08-21

Family

ID=8784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974A KR20230121678A (ko) 2022-02-11 2022-05-26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6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499B1 (ko)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06112686A1 (en) Novel lignan compounds, their preparation methods and their uses
KR20230121678A (ko)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03732B1 (ko) 배향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49702B1 (ko) 산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923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36060A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1995220B1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486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7028803B2 (ja) 美白剤
JP6669786B2 (ja) ムレスズメ根抽出物を含有する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2625308B1 (ko)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0978A (ko) 데옥시바시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데옥시바시시논 제조방법
KR20230080977A (ko) 아니시아틴 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아니시아틴 에이 제조방법
KR102560191B1 (ko)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08425A (ko) 플라보노이드 8-o-글루쿠로니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04580B1 (ko)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612269B1 (ko) 떨꿩나무 잎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능력 조성물
KR101122297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 산화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91441B1 (ko) 자두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82876B1 (ko) 방향족 케톤계 화합물, 이의 생산 방법, 및 용도
KR100759466B1 (ko) 3-카페오일-4-다이하이드로카페오일 퀴닌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