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580B1 -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580B1
KR101804580B1 KR1020110124232A KR20110124232A KR101804580B1 KR 101804580 B1 KR101804580 B1 KR 101804580B1 KR 1020110124232 A KR1020110124232 A KR 1020110124232A KR 20110124232 A KR20110124232 A KR 20110124232A KR 101804580 B1 KR101804580 B1 KR 10180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rmula
dilinoleoyl
glycero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299A (ko
Inventor
황재성
구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티브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티브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티브온
Priority to KR102011012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5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인 유래 화합물인 1,3-디올레인,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멜라닌 과잉 형성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인 유래 화합물인 1,3-디올레인,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은 알파 글루코시데이즈 억제효과와 멜라닌 생성억제효과가 우수하여 멜라닌 과잉생성으로 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한편, 피부 미백 활성에도 매우 효과적일 수 있어, 제약산업상 및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skin hyper-pigmented diseases and for whitening skin containing 1,3-Diolein or 1,3-Dilinoleoyl-rac-glycerol}
본 발명은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인을 구성하는 주요한 두 화합물인 1,3-디올레인(1,3-Diolein),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1,3-Dilinoleoyl-rac-glycerol)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과잉 형성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상기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 불리는 피부 세포에서 만들어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여기서 멜라닌은 핵 주변에 모자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유전자를 보호하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제거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보호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멜라닌생성(melanogenesis)은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색소가 생합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세포내 및 세포외 환경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멜라닌생성은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촉발되는데, 이는 티로신을 도파퀴논으로 산화시키고, 상기 도파퀴논은 계속해서 엷은 황색/적색 화합물인 페오멜라닌(pheomelanin)과 연갈색 내지 흑색인 유멜라닌(eumelanin)으로 전환된다. 피부에서, 멜라닌은 색소형성에 영향을 주고, 피부를 자외선과 다른 피부 질환의 원인들로부터 보호하지만, 반면에 멜라닌의 비정상적인 축적은 기미와 주근깨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멜라닌 과잉 형성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으로는 유전적 피부 질환, 예를 들어, 백반, 바덴부르그 증후군, 후천적 피부 질환, 예를 들어, 후염증성 백색 비강진, 원인불명 물방울 멜라닌 저하증, 기미, 약물치료에 기인한 피부 질환, 예를 들어, 미노사이클린, 블레오마이신, 부술판, 지도부딘, 및 감염을 통해 전이된 피부 질환, 예를 들어, 어루러기 등이 있다.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고 다만 케라티노사이트가 표피에서 떨어져나갈 때, 멜라닌과 함께 피부에서 떨어져나가는 것으로 제거된다.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나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레져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더욱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과도한 멜라닌 생성을 막는 미백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동안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졌다.
이제까지의 미백제 개발은 주로 멜라닌 생합성에서 없어서는 안될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통해 멜라닌 양을 줄이는 물질을 찾는 것으로 이루어져왔다. 합성 미백제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서 알콕시 벤조에이트 및 알콕시 신나메이트 유도체, 및 하이드록삼산의 용도가 탐색된 바 있다. 다른 연구들은 공지된 티로시나아제 저해제의 유도체, 예를 들어 5-[(3-아니노프로필) 포스피노옥시]-2-(하이드록시메틸)-4H-피란-4-온(5-[(3-aminopropyl) phosphinooxy]-2-(hydroxymethyl)-4H-pyran-4-one), 및 N-하이드록시신나모일펜알킬-아미드(N-hydroxycinnamoylphenalkyl-amide) 유도체의 합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렇게 개발된 미백제로 코직산, 알부틴, 글루타치온, 비타민 A, 비타민 C 등이 있지만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미백효과를 갖지 못하고 있으며 부작용 때문에 그 사용량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이제까지의 미백제보다 효능이 뛰어나고 좀 더 안전한 미백제를 개발하는 것이 절실한 시점이 되었다.
멜라닌을 생합성 하는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는 당단백질로써, 생체 내 당단백질 합성 과정인 글라이코실레이션(glycosylation)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 글라이코실레이션 과정에 문제가 생겨 타이로시네이즈의 당 부분에 이상이 생기면 타이로시네이즈는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장소인 멜라노좀(melanosome)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따라서 멜라닌 생성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상기 글라이코실레이션 과정에는 많은 효소가 관여하는데 그 중 중요한 효소가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이다. 만약 이 효소의 효소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멜라닌의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미백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25053호 ‘방선균 배양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는 방선균(Actinomycetes) 균주 또는 방선균(Actinomycetes) 배양물 추출물이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를 합성하는 글라이코실레이션(glycosylation)의 과정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베타-글루코시다제(beta-glucosidase)의 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타이로시네이즈의 글라이코실레이션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인(桃仁, 생약명: Peach Kernel: Persicae Semen)은 복사나무(Prunus persica Batsch) 또는 산복사(Prunus davidiana Maximowicz, 장미과 Rosaceae)의 씨이다. 생약으로는 종자를 사용하며 도인(桃仁, Persicae Semen)이라한다.
도인은 혈결(血結), 어혈, 소염, 진통, 월경불순, 변비에 효과 있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작용도 있다. 일반적으로 장미과에 속하는 복사나무의 과실이 성숙한 후 채취하여 과육과 핵곡을 제거하고 종인만 취하여 건조한 후 분말을 내어 사용하는데, 성분은 지방유 40~50%, 청산배당체 amygdalin 3.49%, prunasin 0.38%, emusin, 그리고 항응혈 활성 물질 등으로되어 있으며, 항응혈작용(抗凝血作用)과 약한 용혈작용(弱溶血作用)이 있어 피가 굳는 것을 풀어주므로 어혈을 풀어주고 건조한 것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타박상이나 어혈종통(瘀血腫痛)을 풀어주고(중약대사전, p1788) 피를 잘 돌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혈, 거담 및 윤활장작용 등의 약리 작용을 한다.
최근 과학적인 연구결과에 의한 도인의 효과를 살펴보면 UV로 인한 정상 인간 케라틴세포(keratinocyte)와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으며(Archives of Phamacial Research, 2000, 23(4), 396-400), 돌연변이 유발 물질(mutagen)에 대한 억제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었고(Yakugaku Zasshi-J,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1992, 112(12), 934-9), 하이포콜레스테롤(hypocholesterolemic) 생쥐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Kor. J. Pharmacogn., 1990, 21(2), 153-157)와 산소 래디칼(oxygen radical) 소거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다(Yakugaku Zasshi-J.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1985, 105(9), 895-901).
도인추출물은 여러 생약재의 혼합 형태로 미백제로,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82003호 ‘도인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103894호 ‘캄페롤-3-갈락토피라노사이드,캄페롤-3-0-알파-L-람노피라노사이드, 캄페롤-3-0-베타-L-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함유된 도인 추출물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로 개발된 예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의 미백제 보다 효능이 뛰어나고 좀 더 안전한 새로운 미백 물질을 개발하고자 여러 식물 추출물에서 글로코시데이즈 효소 활성 억제능을 검색해본 결과, 도인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글루코시데이즈 효소 활성 억제능을 가지며, 이는 1,3-디올레인과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에 기인한 것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82003호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103894호
1. Archives of Phamacial Research, 2000, 23(4), 396-400 2. Yakugaku Zasshi-J,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1992, 112(12), 934-9 3. Kor. J. Pharmacogn., 1990, 21(2), 153-157 4. Yakugaku Zasshi-J.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1985, 105(9), 895-90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인 유래 1,3-디올레인과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과잉 생성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인 유래 1,3-디올레인과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과잉 생성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인 유래 1,3-디올레인과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인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물로부터 재차 분획물을 제조한 후, 이들 분획물중 알파 글루코시데이즈 억제효과가 우수한 분획을 도출해낸 후, 상기 분획의 화학구조를 동정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도인 유래 하기 화학식 1의 1,3-디올레인과 하기 화학식 2의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과잉 생성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1093629184-pat00001
Figure 112011093629184-pat00002
본 발명은 또한 도인 유래 상기 화학식 1의 1,3-디올레인과 화학식 2의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과잉 생성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도인 유래 상기 화학식 1의 1,3-디올레인과 하기 화학식 2의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이라 함은 내재된 약리작용에 의해 그 의약품의 효능·효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현한다고 기대되는 물질 또는 물질군(약리학적 활성성분 등이 밝혀지지 않은 생약 등을 포함한다)으로서 주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피부 세포에서 멜라닌을 생합성 하는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 합성 과정인 글라이코실레이션(glycosylation) 과정 관여하는 글루코시데이즈(glucosidase)의 효소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멜라닌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활성을 증기시킬 수 있는 동시에, 멜라인의 과잉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그로 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과잉 형성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으로는 유전적 피부 질환, 예를 들어, 백반, 바덴부르그 증후군, 후천적 피부 질환, 예를 들어, 후염증성 백색 비강진, 원인불명 물방울 멜라닌 저하증, 기미, 약물치료에 기인한 피부 질환, 예를 들어, 미노사이클린, 블레오마이신, 부술판, 지도부딘, 및 감염을 통해 전이된 피부 질환, 예를 들어, 어루러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 및 피부에 직접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멜라닌 과잉 생성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등이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 추가 성분으로서 식품첨가 제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 첨가제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도인은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로션,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형들은 당업계에 종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 내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함량도 당업계에 종래 알려진 함량 범위 내(약 1-10 중량%)에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인(Persicae semen)을 30~40 mesh로 분쇄 후 고온에서 로스팅한 후, 착유기를 이용해서 압착하여 압착유를 얻어냈고, 이를 필터 후 원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도인 압착유를 이용하여, 알파-글루코시데이즈가 p-니트로페닐(pNP) 알파-D-글루코사이드의 글루코사이드 부분을 기질로 인식하여, pNP와 알파-D-글루코사이드를 효소반응으로 끊어주고, 여기서 나온 pNP의 양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것으로 알파-글루코시데이즈 활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인 압착유가 효소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 참조).
압착유의 구조를 동정하여 압착유의 주요 물질이 1,3-디올레인,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임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물질에 대하여 글루코시데이즈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인 유래 화합물인 1,3-디올레인 ,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은 알파 글루코시데이즈 억제효과와 멜라닌 생성억제효과가 우수하여 멜라닌 과잉생성으로 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한편, 피부 미백 활성에도 매우 효과적일 수 있어, 제약산업상 및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도인 압착유의 알파-글루코시데이즈 활성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도인 압착유의 주요 구성 물질인 1,3-디올레인,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의 알파 글루코시데이즈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도인 압착유의 주요 구성성분을 GC-MASS로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인 압착유의 피부 조직에 대한 색소형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도인 압착유를 처리한 피부 조직의 L값을 측정하여 밝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인 압착유를 처리한 피부 조직을 염색하여 멜라닌 과립 형성이 억제되었음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도인 추출물 제조
도인(Persicae semen) 30~40 mesh로 분쇄 후, 고온에서 로스팅한 뒤, 착유기를 이용해서 압착하여 압착유를 얻어내어 이를 필터후 원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도인 추출물 제조
도인(Persicae semen)을 30~40 mesh로 분쇄 후,증숙기로 압력 2~3 kgf/cm3 범위에서 스팀으로 열처리한 뒤,샘플을 실온에서 건조시켜 에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한다.
실시예 3 : 도인 추출물 제조
도인(Persicae semen)을 30~40 mesh로 분쇄한 뒤, 유기용매(예: 에탄올)와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하였다.
실험예 1 : 알파 글루코시데이즈 억제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분획에 대하여, 알파-글루코시데이즈가 p-니트로페닐(pNP) 알파-D-글루코사이드의 글루코사이드 부분을 기질로 인식하여, pNP와 알파-D-글루코사이드를 효소반응으로 끊어주고, 여기서 나온 pNP의 양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것으로 알파-글루코시데이즈 활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50 mM 인산염 완충액(pH 6.5)에 시료물질과 알파-글루코시데이즈(0.6 unit/ml)을 넣어주고, 10 mM의 pNP 알파-D-글리코사이드 용액을 첨가하여 37℃에서 50분 동안 효소 반응 시킨 후, 0.1M의 Na2CO3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효소 반응에서 생성된 pNP의 양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유 분획이 효소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 1,3- 디올레인 , 1,3- 디리노레오일 -락-글리세롤의 글루코시데이즈 저해 효과
상기 실험예 1에서 알파 글루코시데이즈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 도인 압착유에 대하여 압착유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인 1,3-디올레인,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 분획을 얻었다.
상기 분획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글루코시데이즈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3-디올레인(화합물 1),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화합물 2)의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상기 화합물은 각각 화학식 1,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1 [1,3- 디올레인 (1,3- Diolein )]
화학식 1
Figure 112011093629184-pat00003
화합물 2 [1,3- 디리노레오일 -락-글리세롤 (1,3- Dilinoleoyl - rac - glycerol )]
화학식 2
Figure 112011093629184-pat00004
실험예 3 : 사람의 피부 조직배양을 통한 멜라닌 형성 저해 효과
사람의 피부 조직을 배양하여 도인 압착유 처리 전, 3일, 5일, 7일, 9일째 되는 날 색소 침착이 진행됨에 따라 도인 압착유가 조직에 작용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인 DMSO에 비해 양성 대조군인 코지산(Kojic acid)을 처리하였을 때, 색소 침착 차이의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또한 도인 압착유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직의 밝기 차이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토샵으로 조직 사진의 L값을 측정하여 시간대 별로 처리 전의 L값을 빼주어 그래프화 하였을 때, 음성 대조군인 DMSO에 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인 압착유에서 피부 조직의 밝기가 덜 어두워져 피부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조직에 물질 처리를 9일 동안 한 후에 Fontana Mason 및 H&E 염색을 하여 멜라닌 색소 형성과 분포 정도를 측정한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인 압착유를 처리군에서 음성 대조군인 DMSO에 비해 멜라닌 과립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1,3-디올레인, 화학식 2의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 바덴부르그 증후군, 후염증성 백색 비강진, 원인불명 물방울 멜라닌 저하증, 기미 및 어루러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55066486-pat00014

    화학식 2
    Figure 112017055066486-pat0001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또는 주사제 형태로 제형화된 것이 특징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의 화학식 1의 1,3-디올레인, 화학식 2의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 바덴부르그 증후군, 후염증성 백색 비강진, 원인불명 물방울 멜라닌 저하증, 기미 및 어루러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건강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향미제, 풍미제, 탄수화물, 착색제, 영양제, 증진제, 펙트산 또는 그의 염, 알긴산 또는 그의 염, 유기산,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쥬스 중에서 선택되는 식품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식품 조성물.
  6. 제5항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캡슐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식품 조성물.
  7. 제1항의 화학식 1의 1,3-디올레인, 화학식 2의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조제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의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및 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24232A 2011-11-25 2011-11-25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80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232A KR101804580B1 (ko) 2011-11-25 2011-11-25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232A KR101804580B1 (ko) 2011-11-25 2011-11-25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299A KR20130058299A (ko) 2013-06-04
KR101804580B1 true KR101804580B1 (ko) 2017-12-06

Family

ID=4885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232A KR101804580B1 (ko) 2011-11-25 2011-11-25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3133B2 (ja) * 2014-11-06 2017-04-12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Lipids, Volume 2011(2011), Article ID 419809, 10 p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49 no.2, 2006, pp.135 - 139
도인 껍질의 화장품약리활성 및 항염효과, 대한보초학회지, 21(2), 87-93(2006.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299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175B1 (ko) 검은콩, 하수오, 감태 및 다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 및 발모 효능이 증진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70073308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89813B1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0756A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195117B1 (ko) 도인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 치료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2017013594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utumn soybean leaves
KR101804580B1 (ko) 1,3-디올레인 또는 1,3-디리노레오일-락-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071899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28202A (ko)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7141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36060A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062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90063171A (ko) 까마중 추출물 또는 솔라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01305B1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89209B1 (ko) 구아이아콜, 피톨 및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2431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94949B1 (ko) 흑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7002536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20160068316A (ko) 황벽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