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594A -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594A
KR20230121594A KR1020230101302A KR20230101302A KR20230121594A KR 20230121594 A KR20230121594 A KR 20230121594A KR 1020230101302 A KR1020230101302 A KR 1020230101302A KR 20230101302 A KR20230101302 A KR 20230101302A KR 20230121594 A KR20230121594 A KR 20230121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 base
turn
base
unit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23010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594A/ko
Publication of KR2023012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5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8Indexing equipment having means for clamp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together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10Rotary ind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4Rotary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는: 메인베이스부와, 메인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턴베이스부와,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고, 턴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턴베이스부 상에 턴베이스부를 분할하게 장착되고, 턴베이스부 상에 안착되는 작업물을 분리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구동부는,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고, 턴베이스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턴베이스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중심지지부를 포함하고, 턴베이스부는,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메인베이스부에 안착되는 턴베이스프레임부와, 턴베이스프레임부의 중심부에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심공부와, 턴베이스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작업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턴베이스프레임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베이스판부를 포함하고, 회전중심지지부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중심지지부의 외경은 중심공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구획부는 턴베이스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획부는, 턴베이스프레임부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획프레임부와, 구획프레임부에 기립되어, 턴베이스프레임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턴베이스프레임부를 분할하여 작업물을 분할 배치하는 구획판부를 포함하고, 메인베이스부는, 고정판부와, 고정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환형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롤러부와, 일면이 롤러부에 안착되고, 타면에 턴베이스부가 안착되는 원형레일부를 포함하고, 원형레일부는 중공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턴베이스프레임부와 접촉되면서 턴베이스프레임부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TURN TABLE APPARATUS FOR WORKING}
본 발명은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턴베이스부에 복수개의 작업물이 로딩되고, 턴베이스부가 회전되면서 해당 작업물을 가공할 수 있는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가공 대상물인 작업물은 팔레트 등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을 하게 된다. 이 팔레트는 고정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다음 작업물을 팔레트에 로딩하고 고정해야 한다.
이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2개 이상의 작업물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8725호(2015.02.25 등록, 발명의 명칭: 턴 테이블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턴베이스부에 복수개의 작업물이 로딩되고, 턴베이스부가 회전되면서 해당 작업물을 가공할 수 있는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는: 메인베이스부;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턴베이스부;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턴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턴베이스부 상에 상기 턴베이스부를 분할하게 장착되고, 상기 턴베이스부 상에 안착되는 작업물을 분리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턴베이스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상기 턴베이스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중심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턴베이스부는,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안착되는 턴베이스프레임부;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의 중심부에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심공부; 및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베이스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중심지지부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지지부의 외경은 상기 중심공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턴베이스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획프레임부; 및 상기 구획프레임부에 기립되어,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를 분할하여 상기 작업물을 분할 배치하는 구획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는, 고정판부; 상기 고정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환형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롤러부; 및 일면이 상기 롤러부에 안착되고, 타면에 상기 턴베이스부가 안착되는 원형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레일부는 중공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축연결되고,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1기어부;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 및 일측이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턴베이스부에 연결되는 브래킷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치차가 구비되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2기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상기 턴베이스부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턴베이스부가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클램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작업물을 회전시키면서 연속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피로도가 절감되고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공간에서 작업물이 회전 및 공급되면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에 작업물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에 작업물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는 메인베이스부(100), 턴베이스부(200), 구동부(300), 구획부(400), 클램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베이스부(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측에 턴베이스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메인베이스부(100)는 고정판부(110), 롤러부(120), 원형레일부(130), 고정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부(110)는 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롤러부(120)는 고정판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환형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부(120)에 원형레일부(130)가 안착될 수 있다.
원형레일부(130)는 일면(도 2 기준 하측면)이 롤러부(120)에 안착되고, 타면(도 2 기준 상측면)에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프레임부(210)가 안착될 수 있다. 원형레일부(130)는 중공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레일부(130)는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프레임부(210)와 접촉되면서 턴베이스프레임부(210)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는 원형레일부(130)는 턴베이스프레임부(210)와 볼팅,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턴베이스프레임부(210)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고정지지부(140)는 고정판부(110)의 하측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지지부(140)는 지면에 고정되어, 고정판부(110)가 진동 등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지지부(140)는 고정판부(11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판부(110)를 승강시키면서 고정판부(110)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게 조절할 수 있다.
턴베이스부(200)는 메인베이스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턴베이스부(200)에는 작업물(10)이 장착되어, 턴베이스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작업물(1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턴베이스부(200)는 턴베이스프레임부(210), 중심공부(220), 턴베이스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턴베이스프레임부(210)는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메인베이스부(100)의 원형레일부(130)에 안착될 수 있다.
중심공부(220)는 턴베이스프레임부(210)의 중심부에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부(300)의 회전중심지지부(350)가 관통될 수 있다. 중심공부(220)의 내경은 회전중심지지부(35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중심공부(220)는 회전중심지지부(35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걸려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턴베이스판부(230)는 턴베이스프레임부(2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작업물(1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턴베이스판부(230)는 구획부(400)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턴베이스판부(230)는 구획부(400)에 의해 2개로 분할된다. 따라서 일측(도 1 기준 좌측)의 턴베이스판부(230)에 작업물(10)의 제1작업물(11)이 안착되고, 타측(도 1 기준 우측)의 턴베이스판부(230)에 작업물(10)의 제2작업물(13)이 안착될 수 있다. 턴베이스부(200)에서 제1작업물(11)이 작업되고, 제1작업물(11)은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판부(230)에서 로봇암(미도시)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턴베이스부(200)는 구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어, 제2작업물(13)이 작업될 수 있다. 이때 비어있는 턴베이스판부(230)에 다른 작업물(10)이 안착될 수 있다. 상술한 작업은 구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반복될 수 있다.
턴베이스판부(230)는 턴베이스프레임부(2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턴베이스판부(230)는 턴베이스프레임부(210)에 승강되면서 제1작업물(11) 또는 제2작업물(13)의 작업에 적합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턴베이스판부(230)는 실린더 등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메인베이스부(100)에 장착되고, 턴베이스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300)는 모터부(310), 제1기어부(320), 제2기어부(330), 브래킷부(340), 회전중심지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310)는 일측(도 4 기준 하측)에 모터축이 형성되고, 모터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부(310)의 모터축에는 제1기어부(32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기어부(320)는 모터부(310)의 모터축에 축연결되고, 모터부(31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1기어부(320)의 외측면에는 치차(toothed gear)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부(330)는 메인베이스부(100)에 장착되고, 제1기어부(320)와 치합될 수 있다. 제2기어부(330)는 제1기어부(320)의 치차와 치합되는 치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부(330)의 치차는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부(330)의 치차가 외측면에 형성되면, 제1기어부(320)는 제2기어부(333)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부(330)의 치차가 내측면에 형성되면, 제1기어부(320)는 제2기어부(333)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2기어부(330)는 메인베이스부(100)의 고정판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기어부(33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어부(320)는 모터부(310)의 작동에 의해 제2기어부(33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브래킷부(340)는 일측(도 2 기준 우측)이 모터부(310)에 연결되고, 타측(도 2 기준 좌측)이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프레임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어부(320)가 모터부(310)의 작동에 의해 제2기어부(33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브래킷부(340)를 통해 모터부(310)와 연결된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프레임부(210)도 회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물(10)의 제1작업물(11)과 제2작업물(13)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회전중심지지부(350)는 메인베이스부(100)에 장착되고, 브래킷부(340)와 턴베이스부(200)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중심공부(220)를 관통하며, 턴베이스부(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중심지지부(350)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중심지지부(350)의 외경은 중심공부(220)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턴베이스부(200)가 회전중심지지부(350)에서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구획부(400)는 턴베이스부(200) 상에 턴베이스부(200)를 분할하게 장착되고, 턴베이스부(200) 상에 안착되는 작업물(10)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획부(400)에 의해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판부(230)를 2개로 분할하고, 따라서 작업물(10)의 제1작업물(11)과 제2작업물(13)을 각각의 턴베이스판부(230)에 배치되어 분리할 수 있다.
턴베이스부(200)가 구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1작업물(11)과 제2작업물(13)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작업이 완료된 제1작업물(11)은 턴베이스판부(230)에서 이동되고, 다음 작업물(10)이 턴베이스판부(230)에 안착될 수 있다.
구획부(400)는 구획프레임부(410)와 구획판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프레임부(410)는 턴베이스프레임부(210)의 테두리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구획판부(420)를 기립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획부(400)의 구획프레임부(410)는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프레임부(210)의 테두리부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물(10)의 제1작업물(11)과 제2작업물(13)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제1작업물(11)과 제2작업물(13)이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판부(230) 안착되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구획판부(420)는 구획프레임부(410)에 기립되어,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프레임부(21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부(420)는 턴베이스프레임부(210)를 분할하여 제1작업물(11)과 제2작업물(13)의 분할 배치할 수 있다.
클램프부(500)는 메인베이스부(100)에 턴베이스부(200)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고, 턴베이스부(200)가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턴베이스부(200)의 회전 설정 각도는 180°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클램프부(500)는 클램프몸체부(510)와 정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몸체부(510)는 메인베이스부(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정지부(520)는 클램프몸체부(510)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외부 또는 클램프몸체부(5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력을 발생시켜 설정 각도 이상으로 턴베이스부(200)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지부(520)는 자력을 발생시겨 턴베이스부(200)는 180°씩 회전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클램프부(500)는 메인베이스부(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고, 턴베이스부(200)는 180°씩 회전되게 제한하기 위하여 메인베이스부(100)의 고정판부(110)에 대칭되는 위치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판부(230)에 로봇암 등을 이용하여 작업물(10)을 안착시킬 수 있다. 턴베이스판부(230)는 구획부(400)에 의해 2개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턴베이스판부(230)에 제1작업물(11)과 제2작업물(13)이 안착될 수 있다.
제1작업물(11)의 가공 작업이 마쳐지면, 제1작업물(11)의 로봇암을 이용하여 턴베이스판부(230)에서 벗어나게 될 수 있다.
구동부(300)에서 모터부(310)의 작동에 의해 제1기어부(320)와 제2기어부(330)와 맞물려 회전되고, 턴베이스부(200)의 턴베이스판부(230)도 회전될 수 있다. 클램프부(500)는 턴베이스부(20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2작업물(13)은 직전의 제1작업물(11)의 위치에 놓이게 되고, 제2작업물(13)의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비어 있는 턴베이스판부(230)에 다른 작업물(10)이 안착될 수 있다. 상술한 회전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작업물을 회전시키면서 연속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피로도가 절감되고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공간에서 작업물이 회전 및 공급되면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작업물 11: 제1작업물
13: 제2작업물 100: 메인베이스부
110: 고정판부 120: 롤러부
130: 원형레일부 140: 고정지지부
200: 턴베이스부 210: 턴베이스프레임부
220: 중심공부 230: 턴베이스판부
300: 구동부 310: 모터부
320: 제1기어부 330: 제2기어부
340: 브래킷부 350: 회전중심지지부
400: 구획부 410: 구획프레임부
420: 구획판부 500: 클램프부
510: 클램프몸체부 520: 정지부

Claims (4)

  1. 메인베이스부;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턴베이스부;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턴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턴베이스부 상에 상기 턴베이스부를 분할하게 장착되고, 상기 턴베이스부 상에 안착되는 작업물을 분리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턴베이스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상기 턴베이스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중심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턴베이스부는,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안착되는 턴베이스프레임부;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의 중심부에 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심공부; 및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베이스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중심지지부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지지부의 외경은 상기 중심공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턴베이스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획프레임부; 및
    상기 구획프레임부에 기립되어,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를 분할하여 상기 작업물을 분할 배치하는 구획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는,
    고정판부;
    상기 고정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환형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롤러부; 및
    일면이 상기 롤러부에 안착되고, 타면에 상기 턴베이스부가 안착되는 원형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레일부는 중공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턴베이스프레임부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축연결되고, 상기 모터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제1기어부;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 및
    일측이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턴베이스부에 연결되는 브래킷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치차가 구비되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2기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이스부에 상기 턴베이스부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턴베이스부가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클램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KR1020230101302A 2020-09-29 2023-08-02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KR20230121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302A KR20230121594A (ko) 2020-09-29 2023-08-02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57A KR102578934B1 (ko) 2020-09-29 2020-09-29 턴 테이블 장치
KR1020230101302A KR20230121594A (ko) 2020-09-29 2023-08-02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757A Division KR102578934B1 (ko) 2020-09-29 2020-09-29 턴 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594A true KR20230121594A (ko) 2023-08-18

Family

ID=8118211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757A KR102578934B1 (ko) 2020-09-29 2020-09-29 턴 테이블 장치
KR1020230101303A KR20230119619A (ko) 2020-09-29 2023-08-02 작업용 자동 턴 테이블 장치
KR1020230101302A KR20230121594A (ko) 2020-09-29 2023-08-02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KR1020230101301A KR20230121022A (ko) 2020-09-29 2023-08-02 자동 턴 테이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757A KR102578934B1 (ko) 2020-09-29 2020-09-29 턴 테이블 장치
KR1020230101303A KR20230119619A (ko) 2020-09-29 2023-08-02 작업용 자동 턴 테이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301A KR20230121022A (ko) 2020-09-29 2023-08-02 자동 턴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578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062B1 (ko) * 2022-09-30 2024-01-11 김주훈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545A (ko) * 2007-10-04 2009-04-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회전 테이블 장치
KR200448008Y1 (ko) * 2008-02-13 2010-03-09 주식회사 신영 용접용 턴테이블의 지그 교체장치
KR20180056435A (ko) * 2016-11-18 2018-05-29 주식회사 호원 회전형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934B1 (ko) 2023-09-15
KR20220043397A (ko) 2022-04-05
KR20230121022A (ko) 2023-08-17
KR20230119619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1594A (ko) 작업용 턴 테이블 장치
JP5125406B2 (ja) 旋回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円筒研削盤
US11331736B2 (en) Moving system and gear-cutting machine
JP2001239441A (ja) 研削ヘッド及び鋸刃研削盤
KR20120008717A (ko) 수평회전 및 상하회전이 가능한 공작물 가공용 회전기울림 테이블
CN104354161B (zh) 五轴机械手
CN110370348B (zh) 一种圆柱体工件多角度端口斜切器
US6264418B1 (en) Workpiece positioner
KR20180013496A (ko) 절삭장치
KR101333139B1 (ko) 멀티 턴 테이블 장치
JP6042173B2 (ja) 研削装置
KR101707310B1 (ko) 치구나 회전 본체 커터가 좌우 원호 방향으로 이동 조절 기능이 구비된 면취기.
KR101460485B1 (ko) 홈 가공기
CN106624149B (zh) 多功能带锯床
JP2013202746A (ja) 加工機用の回転支持治具
EP4010159A1 (en) Machine for cutting slabs, particularly made of marble, granite, glass and composite materials
CN208051058U (zh) 一种螺旋锥齿轮加工装置
CN116422973A (zh) 环锻件切割设备
JPS6234720A (ja) 歯切加工装置
JP6062274B2 (ja) 工作機械
JP3169810U (ja) 回転テーブル
KR101855160B1 (ko) 평면 각 및 가공 토크 조절 구조를 가지는 탭 드릴 머신
JPH03274101A (ja) 切断機
KR101630972B1 (ko) 인덱싱 테이블 장치
CN212578105U (zh) 一种自动液压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