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629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629A
KR20230120629A KR1020237008835A KR20237008835A KR20230120629A KR 20230120629 A KR20230120629 A KR 20230120629A KR 1020237008835 A KR1020237008835 A KR 1020237008835A KR 20237008835 A KR20237008835 A KR 20237008835A KR 20230120629 A KR20230120629 A KR 2023012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tufting
length
less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키호 하야시다
요시타카 오노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제의 유지성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모 영역을 갖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접속하는 핸들부를 구비한다. 헤드부는, 단일의 모 다발로 식모 영역에, 식모 영역과 대향하는 정면측에서 보아, 독립된 면 형상으로 마련된 제1 식모부와, 단일의 모 다발로 식모 영역 중, 제1 식모부의 외주를 따르고, 또한 제1 식모부의 외측에 간극을 두고 마련된 제2 식모부를 갖는다. 제1 식모부와 가장 먼 제2 식모부는, 제1 식모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주위 방향의 폭이 0.7㎜ 이상 2㎜ 이하인 공극을 통해 단속적으로 둘러싼다. 공극을 제외한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는, 공극의 총폭과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 이상이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2월 24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20-21444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브러싱에 의한 구강 내의 청소는, 일반적으로는 연마제가 배합된 페이스트상의 치약제를 칫솔의 헤드부에 심어 마련된 복수의 모 다발의 모 끝으로 도포하고, 치면에 닿게 하여 왕복으로 움직임으로써 플라크를 제거한다. 이 브러싱에 있어서는, 청소 개시 직후부터, 치약제가 구강 내의 타액과 공기에 의해 고점도의 페이스트로부터 저점도의 거품이 되고, 브러시의 모 끝 및 모 다발에 거품을 유지시키면서 치면을 브러싱함으로써, 거품에 포함되어 있는 연마제와 치면이 접촉함으로써 청소된다.
그런데, 청소 중기부터, 치약제의 점도 저하에 수반하여, 식모부의 최외주의 모 다발끼리의 간극으로부터 연마제가 브러시의 밖으로 흘러 떨어져 버린다. 그 결과, 청소 종료 시에는, 식모부에 연마제의 대부분이 잔존하지 않기 때문에, 청소 초기부터 종료 시까지 일정한 연마제와 치면의 접촉 시간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치약제를 유지한 상태에서 치면에 치약제를 골고루 퍼지게 하는 칫솔로서는, 중앙부의 모 다발을 짧게 하여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치약제를 유지할 수 있는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한, 치약제의 유지성 및 분산성이 우수한 칫솔로서는, 브러시에 선단 분기모를 갖고, 모 다발 직경 및 식모 밀도를 제어한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에는, 중앙 모 다발의 모 길이가 외측 모 다발의 모 다발보다도 짧은 것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49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9876호 공보
상술한 선행 기술에서는, 오목부 또는 외측 모 다발의 모 다발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모 다발에서 치약제를 유지하는 구성이지만, 정면에서 보아 최외주에 위치하는 모 다발끼리의 간극이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치약제의 유지성은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치약제의 유지성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식모 영역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접속하는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는, 단일의 모 다발로 상기 식모 영역에, 상기 식모 영역과 대향하는 정면측에서 보아, 독립된 면 형상으로 마련된 제1 식모부와, 단일의 모 다발로 상기 식모 영역 중, 상기 제1 식모부의 외주를 따르고, 또한 상기 제1 식모부의 외측에 간극을 두고 마련된 제2 식모부를 갖고, 상기 제1 식모부와 가장 먼 상기 제2 식모부는, 상기 제1 식모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주위 방향의 폭이 0.7㎜ 이상 2㎜ 이하인 공극을 통해 단속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공극을 제외한 상기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는, 상기 공극의 총폭과 상기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장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단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길이보다도 크고, 상기 단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최대 길이는 3㎜ 이상 8㎜ 이하이고, 상기 단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최대 길이를 A라고 하고, 상기 제2 식모부의 폭을 B라고 하면, 1.5≤A/(2×B)≤8.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장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최대 길이는 6㎜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정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식모부의 면적과 상기 제2 식모부의 면적의 총합은, 상기 제2 식모부의 가장 외측의 외형 윤곽으로 둘러싸인 총 면적에 대하여, 55%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부와 상기 제2 식모부의 간극은 0.3㎜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모부의 폭은 0.5㎜ 이상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부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는, 당해 제1 식모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2 식모부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부의 선단면은,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단축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기 정면측을 향하는 오목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2 식모부의 모 다발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 식모부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식모부의 모 다발이 경사지는 각도는, 상기 식모 영역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모부는, 상기 제1 식모부의 외측에 서로 간극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치약제의 유지성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1)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II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1)의 부분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하고 있다.
[칫솔의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1)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II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칫솔(1)은, 식모 영역(2)을 갖는 헤드부(3)와, 헤드부(3)에 접속되는 핸들부(4)를 갖고 있다. 헤드부(3)는, 정면측에 식모 영역(2)을 갖는다. 헤드부(3)는, 핸들부(4)의 장축 방향(도 1 중, 좌우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식모 영역(2)의 법선 방향(도 1 중,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 도 2 및 도 3 중, 상하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하고, 장축 방향 및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 중, 상하 방향, 도 3 중, 좌우 방향)을 단축 방향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또한,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식모 영역(2)과 대향하는 측을 정면측이라고 하고, 정면측과 반대측을 배면측이라고 한다.
헤드부(3)는, 정면에서 보아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 형상이다. 헤드부(3)는, 식모 영역(2)에 제1 식모부(11)와 제2 식모부(21, 22)를 갖고 있다. 제2 식모부(21, 22)는, 제1 식모부(11)의 외측에 서로 간극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제1 식모부(11)는, 헤드부(3)의 장축 방향 및 단축 방향에 위치한다. 제1 식모부(11)는, 정면에서 보아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 형상이다. 제1 식모부(11)는, 단일의 모 다발로 독립된 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식모부(11)는, 복수개의 용모(用毛)가 묶인 단일의 모 다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식모부(11)의 용모는, 식모 영역(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식모부(11)는, 헤드부(3)의 식모 영역(2)에 마련된 오목부(31)에 식모되어 있다. 오목부(31)는, 제1 식모부(11)의 외경 윤곽과 동일한 정면에서 보아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 형상이다.
제1 식모부(11)의 장축 방향의 최대 길이는, 단축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크다. 제1 식모부(11)의 장축 방향의 최대 길이는, 6㎜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식모부(11)의 장축 방향의 최대 길이를 6㎜ 이상 20㎜ 이하로 함으로써, 제1 식모부(11)에 치약제를 유지하기 쉬워져, 충분한 치약제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1 식모부(11)의 장축 방향의 최대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치약제의 유지 면적이 커져 유지성이 높아짐과 함께,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단축 방향의 제1 식모부(11)의 최대 길이로서는, 3㎜ 이상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축 방향의 최대 길이를 3.0㎜ 이상 8.0㎜ 이하로 함으로써, 제1 식모부(11)에 치약제를 유지하기 쉬워져, 충분한 치약제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1 식모부(11)의 단축 방향의 최대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치약제의 유지 면적이 커져 유지성이 높아짐과 함께,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또한, 3㎜란 2.5 내지 3.4㎜를 포함하는 범위이고, 5㎜란 4.5 내지 5.4㎜를 포함하는 범위이고, 8㎜란 7.5 내지 8.4㎜를 포함하는 범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식모부(11)의 정면측의 선단면은, 장축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정면측을 향하는 오목면 형상이다. 제1 식모부(11)의 측면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제2 식모부(21)로부터 멀어지는 측(도 2에서는, 장축 방향의 중심측)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경사져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식모부(11)의 정면측의 선단면은, 단축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정면측을 향하는 오목면 형상이다. 제1 식모부(11)의 정면측의 선단면은, 장축 방향 및 단축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위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정면측을 향하는 오목면 형상이어도 된다.
제1 식모부(11)의 정면측의 선단면을 오목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치약제를 유지하기 쉬워져, 연마제와 치면의 접촉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제2 식모부(21)는, 제1 식모부(11)의 외주를 따르고, 또한 제1 식모부(11)의 외측에 일정 폭의 간극(41)을 두고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식모부(21)는, 제1 식모부(11)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일정 폭의 환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식모부(21)의 모 다발의 용모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제1 식모부(11)에 접근하는 측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각도 θ로 경사져 있다. 제2 식모부(21)의 모 다발의 경사 각도 θ는, 제1 식모부(11)의 측면의 경사 각도와 동일 각도이다. 제2 식모부(21)의 모 다발의 경사 각도 θ를 제1 식모부(11)의 측면의 경사 각도와 동일 각도로 함으로써, 간극(41)의 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2 식모부(21)의 모 다발의 용모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제1 식모부(11)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짐으로써, 제2 식모부(21)의 모 다발의 선단보다도 배면측에 있어서 치약제를 유지하는 공간이 넓어진다. 그 때문에, 치약제를 유지하기 쉬워져, 연마제와 치면의 접촉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제2 식모부(21)의 선단을 미리 제1 식모부(11)측으로 기울여 두면, 브러싱 시에 제2 식모부(21)가 외주 방향으로 쓰러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환 형상 구조가 흐트러지지 않고, 그 결과, 치약제의 유지성이 높아진다. 제2 식모부(21)의 모 다발이 경사지는 각도 θ는, 식모 영역(2)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식모부(21)의 모 다발이 경사지는 각도 θ를 15° 이하로 함으로써, 치약제의 유지성을 확보하면서, 치간이나 치경부의 피트성이 향상된다.
제2 식모부(21)는, 헤드부(3)의 식모 영역(2)에 마련된 오목부(32)에 식모되어 있다. 오목부(32)는, 제2 식모부(21)의 외경 윤곽과 동일한 정면에서 보아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환 형상의 홈이다.
제2 식모부(22)는, 제2 식모부(21)의 외주를 따르고, 또한 제2 식모부(21)의 외측에 일정 폭의 간극(42)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제2 식모부(22)는, 제2 식모부(21)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일정 폭의 환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식모부(22)의 모 다발의 용모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제2 식모부(21)에 접근하는 측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제2 식모부(21)의 모 다발의 경사 각도와 동일 각도 θ로 경사져 있다. 제2 식모부(22)는, 헤드부(3)의 식모 영역(2)에 마련된 오목부(33)에 식모되어 있다. 오목부(33)는, 제2 식모부(22)의 외경 윤곽과 동일한 정면에서 보아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환 형상의 홈이다.
제1 식모부(11)와 가장 멀리 배치된 제2 식모부(22)의 외주 길이(외주의 주위 방향의 길이)는, 오목부(33)의 외주 길이에 대한 비율은 100%이다.
제2 식모부(21) 및 제2 식모부(22)의 폭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2 식모부(21) 및 제2 식모부(22)의 폭으로서는, 0.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상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식모부(21) 및 제2 식모부(22)의 폭이 0.5㎜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식모부(21)의 용모와 치약제가 접촉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또한 제2 식모부(21)가 외주측으로 휘기 쉬워져, 치약제의 유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제2 식모부(21) 및 제2 식모부(22)의 폭은, 두꺼울수록 치약제를 유지하기 쉬워지지만, 헤드부(3)의 단축 방향의 폭이 커져 조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제2 식모부(21) 및 제2 식모부(22)의 폭을 0.5㎜ 이상 1.5㎜ 이하로 함으로써, 치약제의 유지성을 확보하면서,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식모부(21) 및 제2 식모부(22)의 폭이 큰 경우, 치약제가 접촉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식모부(21)가 외주측으로 휘기 어려워져 유지성이 높아짐과 함께,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제1 식모부(11)의 단축 방향의 최대 길이를 A라고 하고, 제2 식모부(21)의 폭을 B라고 하면, A/(2×B)로 표현되는 값은, 1.5≤A/(2×B)≤8.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1.7≤A/(2×B)≤8.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A/(2×B)≤5.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2×B)로 표현되는 값을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1 식모부에서의 치약제의 유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A/(2×B)로 표현되는 값을 8.0 이하로 함으로써, 제2 식모부에서의 치약제의 유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정면에서 보아, 제1 식모부(11)의 면적과 제2 식모부(21) 및 제2 식모부(22)의 면적의 총합은, 제2 식모부(22)의 가장 외측의 외형 윤곽으로 둘러싸인 총 면적에 대하여, 55% 이상 95% 이하의 식모부 충전율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 90% 이하의 식모부 충전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모부 충전율이 55% 미만인 경우,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식모부 충전율이 95%를 초과하면, 치약제를 유지하는 공극이 없어져, 유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식모부 충전율을 55% 이상 95% 이하로 함으로써,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향상됨과 함께, 치약제의 유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식모부의 수로서는, 2개 이상 4개 이하가 바람직하고, 2개 이상 3개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식모부의 수가 1개 이하인 경우는, 치약제의 유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제2 식모부의 수가 4개를 초과한 경우는, 헤드부(3)의 단축 방향의 폭이 커져 조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제2 식모부의 수를 2개 이상 4개 이하로 함으로써, 치약제의 유지성을 확보하면서,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식모부의 수를 많게 함으로써, 치약제의 유지 면적이 커져 유지성이 높아짐과 함께,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정면에서 본 헤드부(3)의 총 면적(㎟)에 대한, 제1 식모부(11) 및 제2 식모부(21, 22)의 식모 개수의 총합(본)의 비는, 15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 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헤드부(3)의 총 면적(㎟)에 대한, 제1 식모부(11) 및 제2 식모부(21, 22)의 식모 개수의 총합(본)의 비가 15 미만인 경우,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헤드부(3)의 총 면적(㎟)에 대한, 제1 식모부(11) 및 제2 식모부(21, 22)의 식모 개수의 총합(본)의 비가 90을 초과하면, 모가 휘기 어려워져, 치약제의 분산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즉, 치약제는 유지성에 더하여, 치약제를 과도하게 희석시키지 않고, 필요한 개소에 치약제를 필요한 양만큼 골고루 퍼지게 함과 함께, 브러시 내에서 치약제를 국소적으로 체류시키지 않기 위해 분산성에 대해서도 요구된다. 헤드부(3)의 총 면적(㎟)에 대한, 제1 식모부(11) 및 제2 식모부(21, 22)의 식모 개수의 총합(본)의 비를 15 이상 90 이하로 함으로써,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됨과 함께, 치약제의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간극(41) 및 간극(42)의 폭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간극(41) 및 간극(42)의 폭으로서는, 0.3㎜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41) 및 간극(42)의 폭이 0.3㎜ 미만인 경우에는, 헤드부(3)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있어서, 오목부(31 내지 33)를 성형하기 위한 돌출형 사이에, 간극(41) 및 간극(42)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간극(41) 및 간극(42)의 폭이 0.3㎜ 미만인 경우에는, 브러싱 종료 직전이 되어도, 유지한 치약제가 공기나 타액과 접할 수 없어, 분산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간극(41) 및 간극(42)의 폭이 1.0㎜를 초과하면 간극(41) 및 간극(42)에 치약제가 들어가 치약제의 유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간극(41) 및 간극(42)의 폭을 0.3㎜ 이상 1.0㎜ 이하로 함으로써, 분산성이 향상되는 것에 더하여, 헤드부(3)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제조가 용이해짐과 함께, 치약제를 유지하기 쉬워져, 연마제와 치면의 접촉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제1 식모부(1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는, 제1 식모부(11)와 인접하는 제2 식모부(2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식모부(1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는, 제1 식모부(11)와 인접하는 제2 식모부(2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4㎜ 이하의 단차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 이상 3㎜ 이하의 단차가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식모부(1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를 제1 식모부(11)와 인접하는 제2 식모부(2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 이하로 함으로써, 제2 식모부(21)로 둘러싸인 제1 식모부(11)의 정면측에 치약제를 유지하기 쉬워져, 연마제와 치면의 접촉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제1 식모부(1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와, 제1 식모부(11)와 인접하는 제2 식모부(2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의 단차가 4㎜를 초과한 경우, 제1 식모부가 치면에 도달하지 않아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제1 식모부(1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와, 제1 식모부(11)와 인접하는 제2 식모부(2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의 단차를 4㎜ 이하로 함으로써, 치약제의 유지성과 치면에 대한 피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식모부(1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로서는, 5.5㎜ 이상 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식모부(1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가 5.5㎜ 미만인 경우, 모가 휘기 어려워져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제1 식모부(1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가 8.5㎜를 초과한 경우, 모의 퍼짐이 커져 치약제의 유지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제1 식모부(11)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를 5.5㎜ 이상 8.5㎜ 이하로 함으로써, 치약제의 유지성을 확보하여,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을 확보할 수 있다.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식모부(22)의 모 길이로서는, 9.5㎜ 이상 1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식모부(22)의 모 길이가 9.5㎜ 미만인 경우, 모가 휘기 어려워져 치간부나 치경부의 피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식모부(22)의 모 길이가 12.5㎜를 초과한 경우, 조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식모부(22)의 모 길이를 9.5㎜ 이상 12.5㎜ 이하로 함으로써, 치간부나 치경부의 피트성과 조작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접하는 제2 식모부(21)와 제2 식모부(22) 중,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식모부(21)의 모 길이는,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식모부(22)의 모 길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식모부(21)의 모 길이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식모부(22)의 모 길이 이하로 함으로써, 연마제가 제2 식모부(22)를 타고 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식모부(11), 제2 식모부(21, 22)의 모 다발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스트레이트모나 모 끝을 향함에 따라 점차 그 직경이 작아지는 용모(테이퍼모, 슈퍼 테이퍼드모(초극세모; ST모)」), 선단 분기모, 스파이럴모, 이형 단면 용모 등을 들 수 있다. 교정 장치 주변이나 치경부의 청소 효과의 점에서, 모 다발을 구성하는 용모는, 테이퍼모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모를 테이퍼모로 함으로써, 긁어내기 힘을 확보하면서 잔 부분에도 모 끝을 닿게 하여 청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모 다발의 선단 형상은, 평절, 산절, 볼록 형상, 오목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모 다발의 선단 형상을 산절 혹은 언덕 형상으로 함으로써, 잔 부분에 모 끝을 닿게 하여 청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ST모는 원래 휘기 쉽지만, 제1 식모부(11)의 대경 모 다발에 ST모를 사용함으로써, 모 끝의 선단 부근만 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브러싱 시에 당해 식모부가 외주 방향으로 쓰러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치약제의 유지성과 치면에 대한 피트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모 다발은, 그 솔의 재질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는 하지만,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예: 6-12나일론, 6-10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예: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 재료를 복수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코어-시스 구조 등과 같이, 코어부와 시스부에서 다른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모 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용모 직경으로서는, 예를 들어 4 내지 8mil(1mil=1/1000inch=0.025㎜)로 된다. 4mil 이상이면, 치경부를 양호하게 청소할 수 있는 모 탄력이 확보되고, 8mil 이하이면, 잇몸 등에 의한 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유연성이 확보된다. 또한, 테이퍼모에 있어서의 용모 직경은, 기부에 있어서의 직경이다.
핸들부(4)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수지나, 폴리아세탈(POM)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식모부(11), 제2 식모부(21, 22)의 모 다발을 식모 영역(2)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모 다발 하단의 용융부를 헤드부(3)가 되는 용융 수지 중으로 압입하여 고정하는 열 융착법(압력-온도-시간(PTt)법), 모 다발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 덩어리를 형성한 후, 용융 수지를 금형 내에 주입하여 헤드부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 있어서는, 제1 식모부(11)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단일의 모 다발인 제2 식모부(21, 2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치약제의 유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칫솔의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칫솔(1)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1)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제2 식모부(22)가 공극(25)을 복수(도 4에서는 4개) 갖고 있다. 공극(25)은, 제2 식모부(22)에 있어서의 장축 방향의 중앙의 위치와, 단축 방향의 중앙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공극(25)은, 제2 식모부(22)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공극(25)은, 제2 식모부(22)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한다.
제2 식모부(22)는, 제1 식모부(11) 및 제2 식모부(21)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공극(25)을 통해 단속적으로 둘러싼다. 공극(25)을 제외한 제2 식모부(22)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의 길이는, 복수의 공극(25)의 총폭과 제2 식모부(22)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극(25)을 제외한 제2 식모부(22)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의 길이가 복수의 공극(25)의 총폭과 제2 식모부(22)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의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 미만인 경우에는, 치약제의 유지성이 저하된다.
공극(25)을 제외한 제2 식모부(22)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의 길이를 복수의 공극(25)의 총폭과 제2 식모부(22)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의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 이상으로 함으로써, 치약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공극(25)의 주위 방향의 폭으로서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공극(25)의 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공극(25)의 폭은 최대 폭으로 한다.
공극(25)의 주위 방향의 폭이 2㎜를 초과한 경우, 타액에 의해 희석된 치약제가 공극(25)으로부터 외측으로 흘러 떨어져 치약제의 유지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공극(25)의 주위 방향의 폭을 2㎜ 이하로 함으로써, 표면 장력에 의해 치약제가 공극(25)으로부터 외측으로 흘러 떨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치약제의 모 다발에 대한 유지성이 향상되어, 연마제와 치면의 접촉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2㎜ 이하란 1.5 내지 2.4㎜를 포함하고, 1㎜ 이하란 0.5 내지 1.4㎜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 있어서는, 제1 식모부(11)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2 식모부(22)에 공극(25)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도, 공극(25)의 주위 방향의 폭을 2㎜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식모부(22)에 공극(25)이 마련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식모부(21)에도 공극이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제2 식모부(21)에 마련되는 공극의 폭, 수에 대해서는, 제2 식모부(22)에 마련된 공극(25)과 마찬가지의 값을 적용 가능하다. 제2 식모부(21) 및 제2 식모부(22)의 양쪽에 공극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공극을 통해 치약제가 흘러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2 식모부(21)에 배치되는 공극의 주위 방향의 위치와, 제2 식모부(22)에 배치되는 공극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더 명확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2)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1], [표 2]에 나타내는 사양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2의 칫솔의 샘플을 제작했다.
각 예의 칫솔의 각 부위는 표 1, 표 2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 핸들부의 수지는 PP 수지를 사용했다.
실시예 1의 샘플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칫솔의 샘플로 했다. 실시예 2의 샘플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칫솔을 샘플로 했다. 실시예 3의 샘플은, 실시예 2의 샘플과 비교하여 공극의 수가 많은 칫솔을 샘플로 했다. 실시예 4의 샘플은, 실시예 2의 샘플과 비교하여 공극의 폭이 큰 칫솔을 샘플로 했다. 실시예 5의 샘플은, 실시예 1의 샘플과 비교하여 제1 식모부와 제2 식모부 사이의 간극, 제2 식모부끼리 사이의 간극의 폭을 크게 한 칫솔을 샘플로 했다. 실시예 6의 샘플은, 실시예 1의 샘플과 비교하여 제1 식모부의 단축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한 칫솔을 샘플로 했다. 실시예 7의 샘플은, 실시예 1의 샘플과 비교하여 제2 식모부의 폭을 작게 한 칫솔을 샘플로 했다. 실시예 8의 샘플은, 실시예 4의 샘플과 비교하여 내측의 제2 식모부에도 폭이 큰 공극을 마련한 칫솔을 샘플로 했다. 실시예 9의 샘플은, 실시예 6의 샘플과 비교하여 제1 식모부의 단축 방향의 길이가 5.0㎜를 하회하는 칫솔을 샘플로 했다.
비교예 1의 샘플은, 실시예 3의 샘플과 비교하여 공극의 폭이 크고, 공극을 제외한 제2 식모부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의 길이가, 복수의 공극의 총폭과 제2 식모부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의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를 하회하는 칫솔을 샘플로 했다. 비교예 2의 샘플은, 실시예 8의 샘플과 비교하여, 공극을 제외한 제2 식모부의 외주면의 주위의 방향 길이가, 복수의 공극의 총폭과 제2 식모부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의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를 하회하는 칫솔을 샘플로 했다.
[평가 방법]
(1) 치약제의 유지성
[시험 방법]
전문가 패널 10명을 이용한 관능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시판되고 있는 치약제 1g을 각 실시예, 비교예에 나타내는 칫솔에 얹고 3분간 브러싱을 행한 후, 칫솔에 남아 있는 치약제의 양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전문가 패널 10명의 평균점이 4.5점 이상 5.0점 이하를 「☆(star mark)」, 평균점이 4.0점 이상 4.5점 미만을 「◎(double circle mark)」, 평균점이 3.5점 이상 4.0점 미만을 「○(circle mark)」, 평균점이 3.0점 이상 3.5 미만을 「△(triangle mark)」, 3.0 미만을 「×(cross mark)」로 하고, ☆, ◎, ○ 또는 △의 유지성이 확보되는 것을, 양호한 유지성이 얻어지는 칫솔이라고 판단했다.
<평가 기준>
5점: 칫솔의 모 다발 사이에 치약제가 상당히 남아 있다.
4점: 칫솔의 모 다발 사이에 치약제가 꽤 남아 있다.
3점: 칫솔의 모 다발 사이에 치약제가 남아 있다.
2점: 칫솔의 모 다발 사이에 치약제가 약간 남아 있다.
1점: 칫솔의 모 다발 사이에 치약제가 전혀 남아 있지 않다.
(2) 치면에 대한 피트성
[시험 방법]
전문가 패널 10명을 이용한 관능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시판되고 있는 치약제 1g을 각 실시예, 비교예에 나타내는 칫솔 위에 얹고 3분간 브러싱을 행했을 때의 칫솔 치면에 대한 피트성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전문가 패널 10명의 평균점이 4.5점 이상 5.0점 이하를 「☆」, 평균점이 4.0점 이상 4.5점 미만을 「◎」, 평균점이 3.5점 이상 4.0점 미만을 「○」, 평균점이 3.0점 이상 3.5 미만을 「△」, 3.0 미만을 「×」로 하고, ☆, ◎, ○ 또는 △의 칫솔의 치면에 대한 피트성으로 되는 것을, 이 닦기 시에 양호한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얻어지는 칫솔이라고 판단했다.
<평가 기준>
5점: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상당히 느껴진다.
4점: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꽤 느껴진다.
3점: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느껴진다.
2점: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약간 느껴진다.
1점: 「치면에 대한 피트성」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식모부와 가장 먼 제2 식모부가, 제1 식모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주위 방향의 폭이 0.7㎜ 이상 2㎜ 이하인 공극을 통해 단속적으로 둘러싸고, 공극을 제외한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가 공극의 총폭과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 이상인 실시예 1 내지 9의 샘플에서는, 「치약제의 유지성」, 「치면에 대한 피트성」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또한, 단축 방향의 제1 식모부의 최대 길이가, 3㎜ 이상 8㎜ 이하이고, 단축 방향의 제1 식모부의 최대 길이 A와, 제2 식모부의 폭 B가, 1.5≤A/(2×B)≤8.0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실시예 1 내지 8의 샘플에서는, 「치약제의 유지성」, 「치면에 대한 피트성」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식모부 충전율이 55% 이상 95% 이하인 실시예 1 내지 9의 샘플에서는, 「치약제의 유지성」, 「치면에 대한 피트성」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제1 식모부와 제2 식모부의 간극이, 0.3㎜ 이상 1.0㎜ 이하인 실시예 1 내지 9의 샘플에서는, 「치약제의 유지성」, 「치면에 대한 피트성」의 양쪽에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이에 비해, 제1 식모부와 가장 먼 제2 식모부가, 주위 방향의 폭이 0.7㎜ 이상 2㎜ 이하인 공극을 통해 단속적으로 둘러싸는 것과, 공극을 제외한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가 공극의 총폭과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 이상인 것의 적어도 한쪽을 충족시키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2의 샘플에서는, 「치약제의 유지성」에 대하여 양호한 평가가 얻어지지 않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제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칫솔에 적용할 수 있다.
1: 칫솔
2: 식모 영역
3: 헤드부
4: 핸들부
11: 제1 식모부
21, 22: 제2 식모부
25: 공극

Claims (10)

  1. 식모 영역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접속하는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는,
    단일의 모 다발로 상기 식모 영역에, 상기 식모 영역과 대향하는 정면측에서 보아, 독립된 면 형상으로 마련된 제1 식모부와,
    단일의 모 다발로 상기 식모 영역 중, 상기 제1 식모부의 외주를 따르고, 또한 상기 제1 식모부의 외측에 간극을 두고 마련된 제2 식모부를 갖고,
    상기 제1 식모부와 가장 먼 상기 제2 식모부는,
    상기 제1 식모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주위 방향의 폭이 0.7㎜ 이상 2㎜ 이하인 공극을 통해 단속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공극을 제외한 상기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는, 상기 공극의 총폭과 상기 제2 식모부의 주위 방향의 길이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장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단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길이보다도 크고,
    상기 단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최대 길이는 3㎜ 이상 8㎜ 이하이고,
    상기 단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최대 길이를 A라고 하고, 상기 제2 식모부의 폭을 B라고 하면,
    1.5≤A/(2×B)≤8.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방향의 상기 제1 식모부의 최대 길이는 6㎜ 이상 20㎜ 이하인, 칫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식모부의 면적과 상기 제2 식모부의 면적의 총합은, 상기 제2 식모부의 가장 외측의 외형 윤곽으로 둘러싸인 총 면적에 대하여, 55% 이상 95% 이하인, 칫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부와 상기 제2 식모부의 간극은 0.3㎜ 이상 1.0㎜ 이하인,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모부의 폭은 0.5㎜ 이상 1.5㎜ 이하인, 칫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부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는, 당해 제1 식모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2 식모부의 모 길이의 최단 길이 이하인, 칫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부의 선단면은,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단축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기 정면측을 향하는 오목면 형상인, 칫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모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2 식모부의 모 다발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제1 식모부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식모부의 모 다발이 경사지는 각도는, 상기 식모 영역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15° 이하인, 칫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모부는, 상기 제1 식모부의 외측에 서로 간극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 칫솔.
KR1020237008835A 2020-12-24 2021-11-26 칫솔 KR202301206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14444 2020-12-24
JP2020214444 2020-12-24
PCT/JP2021/043427 WO2022137982A1 (ja) 2020-12-24 2021-11-26 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629A true KR20230120629A (ko) 2023-08-17

Family

ID=8215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835A KR20230120629A (ko) 2020-12-24 2021-11-26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2137982A1 (ko)
KR (1) KR20230120629A (ko)
CN (1) CN217089893U (ko)
WO (1) WO20221379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4905A (ja) 2009-06-24 2011-01-13 Nippon Shiken Kogyo Kk 歯ブラシ
JP2018019876A (ja) 2016-08-03 2018-02-0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3135U (ja) * 1981-11-12 1983-05-18 有限会社矢板製作所 歯ブラシ
JPH09182626A (ja) * 1995-12-28 1997-07-15 Lion Corp 歯ブラシ
JP2000004945A (ja) * 1998-06-19 2000-01-11 Lion Corp 歯ブラシ
JP5851115B2 (ja) * 2011-04-28 2016-02-0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EP4042902A1 (de) * 2016-04-20 2022-08-17 Trisa Holding AG Bürstenprodukt
CN111642892A (zh) * 2020-07-06 2020-09-11 幸福草(上海)口腔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牙刷头部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4905A (ja) 2009-06-24 2011-01-13 Nippon Shiken Kogyo Kk 歯ブラシ
JP2018019876A (ja) 2016-08-03 2018-02-0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089893U (zh) 2022-08-02
WO2022137982A1 (ja) 2022-06-30
JPWO2022137982A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1188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口腔护理工具和用于制造此类头部的方法
CN110494064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口腔护理工具和用于制造此类头部的方法
TWI421043B (zh) toothbrush
CZ20014617A3 (cs) ©tětina, způsob její výroby a kartáč s takovými ątětinami
JP6621497B2 (ja) 歯ブラシ
KR20050026532A (ko) 칫솔
JP2001218623A (ja) 歯ブラシ
JP4854280B2 (ja) 歯ブラシ
JP4544781B2 (ja) 歯ブラシ
KR20230120629A (ko) 칫솔
JP2004208816A (ja) 歯ブラシ
JP2002191436A (ja) 歯ブラシ
JP4904689B2 (ja) 歯ブラシ
JP2001178543A (ja) 歯ブラシ
JP6375535B2 (ja) 歯ブラシ
JP2020168465A (ja) 歯ブラシ
WO2022138016A1 (ja) 歯ブラシ
JP3943780B2 (ja) 歯ブラシ
JP2003144227A (ja) 歯ブラシ
JP2006181174A (ja) 歯ブラシ
JP3138318U (ja) 歯ブラシ
JP2022057213A (ja) 歯ブラシ
JP4688344B2 (ja) 歯ブラシ
JP2023090088A (ja) 歯ブラシ
JP6928472B2 (ja) 歯ブラ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