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002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9002A KR20230119002A KR1020237024583A KR20237024583A KR20230119002A KR 20230119002 A KR20230119002 A KR 20230119002A KR 1020237024583 A KR1020237024583 A KR 1020237024583A KR 20237024583 A KR20237024583 A KR 20237024583A KR 20230119002 A KR20230119002 A KR 202301190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pper
- iron core
- movable
- contact
- movable iron
- Prior art date
Links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MFGNRRURHSENX-UHFFFAOYSA-N beryllium copper Chemical compound [Be].[Cu] DMFGNRRURHSE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8—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전자 계전기는, 고정 접점, 가동 접점, 가동 접촉편, 가동 철심, 구동축, 코일 및 스토퍼를 구비한다.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과 대향한다. 가동 접촉편은 가동 접점에 연결된다. 가동 철심은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가까워지는 접촉 방향 및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철심은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구멍을 포함한다. 구동축은 가동 접촉편에 연결된다. 구동축은 축 구멍을 통과한다. 구동축은 가동 철심에 고정된다. 코일은 가동 철심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력을 발생시킨다. 스토퍼는 구동축에 연결된다. 스토퍼는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계전기에는 가동 접촉편과 가동 철심이 구동축을 통하여 연결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가동 철심이 이동한다. 구동축과 가동 접촉편은 가동 철심과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접점이 개폐된다.
상기 전자 계전기에서는, 구동축은, 용접, 나사 또는 코킹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가동 철심에 고정되어 있다. 열 또는 충격 등의 요인에 의해 고정 수단이 파괴되었을 때에는 가동 철심의 움직임이 구동축에 전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점의 개폐가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동축과 가동 철심 고정이 손상된 상태여도, 전자 계전기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고정 접점, 가동 접점, 가동 접촉편, 가동 철심, 구동축, 코일 및 스토퍼를 구비한다.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과 대향한다. 가동 접촉편은 가동 접점에 연결된다. 가동 철심은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가까워지는 접촉 방향 및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철심은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구멍을 포함한다. 구동축은 가동 접촉편에 연결된다. 구동축은 축 구멍을 통과한다. 구동축은 가동 철심에 고정된다. 코일은 가동 철심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력을 발생시킨다. 스토퍼는 구동축과 연결된다. 스토퍼는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본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에서는, 구동축과 가동 철심의 고정이 손상되었을 때, 스토퍼가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과 가동 철심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구동축은 가동 철심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축과 가동 철심 고정이 손상된 상태여도, 전자 계전기의 동작이 가능하다.
스토퍼는 축 구멍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가 축 구멍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는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축 구멍은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멍은 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구멍은 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구멍은 제1 구멍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구멍은 제1 구멍보다 클 수 있다. 구동축은 제1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스토퍼는 제2 구멍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는 제1 구멍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가 제1 구멍에 대해서 빠짐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는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스토퍼가 제2 구멍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토퍼의 배치 공간을 생략할 수 있다.
전자 계전기는 중간 부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중간 부품은 스토퍼와 별개일 수 있다. 중간 부품은 스토퍼와 가동 철심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 또는 가동 철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중간 부품은 스토퍼와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중간 부품을 스토퍼 및 가동 철심보다 유연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스토퍼 또는 가동 철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스토퍼는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립공수가 삭감된다. 스토퍼는 구동축과 별개일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축 및 스토퍼의 제조가 용이하다.
스토퍼는 가동 철심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축과 가동 철심의 고정이 손상되었을 때, 스토퍼에 의해 구동축으로 대한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바로 규제된다.
스토퍼는 가동 철심으로부터 이동 방향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동 방향 에서의 스토퍼와 가동 철심 사이의 거리는,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고 나서의 가동 철심의 접촉 방향으로의 가동 범위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축과 가동 철심의 고정이 손상되었을 때, 스토퍼는 가동 철심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위치에서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구동축이 가동 철심과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된 상태로부터 구동축을 접촉 방향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점의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다.
스토퍼는 가동 철심에 대하여 접촉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는,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접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과 가동 철심 고정이 손상되어도,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다.
스토퍼는 가동 철심에 대하여 개방 분리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는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개방 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과 가동 철심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방 분리시킬 수 있다.
스토퍼는 가동 철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는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접촉 방향으로의 이동과 개방 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을 모두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과 가동 철심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으며,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방 분리시킬 수 있다.
스토퍼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는 가동 철심에 대하여 개방 분리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스토퍼는 가동 철심에 대하여 접촉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토퍼는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개방 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2 스토퍼는 구동축에 대한 가동 철심의 접촉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과 가동 철심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으며,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방 분리시킬 수 있다.
가동 철심은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은 축 구멍과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슬릿은 이동 방향과 이동 방향에 수직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슬릿을 통해 구동축을 가동 철심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가동 철심은 축 구멍을 통과하는 분할면에서 분할된 복수의 분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분할체의 사이에 구동축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분할체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동축을 가동 철심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과 가동 철심의 고정이 손상된 상태여도, 전자 계전기의 동작이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제1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제1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제1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b는 제1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8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8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제9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가동 철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가동 철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제1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제1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제1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b는 제1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8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8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제9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가동 철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가동 철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는, 케이스(2), 접점 장치(3) 및 구동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는 수지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단, 케이스(2)는 세라믹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 내에는 접점 장치(3)가 수용되어 있다.
접점 장치(3)는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가동 접촉편(8), 가동 기구(9), 제1 고정 접점(10), 제2 고정 접점(11),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을 포함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가동 접점(12)에서 제1 고정 접점(10)을 향하는 방향을 「접촉 방향(Z1)」으로 정의한다. 접촉 방향은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제1 고정 접점(10)에서 제1 가동 접점(12)을 향하는 방향을 「개방 분리 방향(Z2)」으로 정의한다. 개방 분리 방향은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이동 방향(Z1, Z2)은 접촉 방향(Z1)과 개방 분리 방향(Z2)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가동 접촉편(8), 제1 고정 접점(10), 제2 고정 접점(11),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가동 접촉편(8)은, 인청동, 베릴륨동, 황동 또는 터프 피치 동 등의 단자재로서 공지의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다. 단,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및 가동 접촉편(8)은, 이들과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제1 고정 접점(10), 제2 고정 접점(11),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은 구리계 금속 또는 은계 금속 등의 접점재로서 공지의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가로 방향(X1, X2)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가로 방향(X1, X2)은 이동 방향(Z1, Z2)에 수직한 방향이다. 제1 고정 단자(6)에는 제1 고정 접점(10)이 연결되어 있다. 제2 고정 단자(7)에는 제2 고정 접점(11)이 연결되어 있다. 제1 고정 접점(10) 및 제2 고정 접점(11)은 케이스(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은 케이스(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은 가동 접촉편(8)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가동 접점(12)은 제1 고정 접점(10)과 마주보고 있다. 제1 가동 접점(12)은 제1 고정 접점(10)에 대하여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하다. 제2 가동 접점(13)은 제2 고정 접점(11)과 마주보고 있다. 제2 가동 접점(13)은 제2 고정 접점(11)에 대하여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하다. 제1 가동 접점(12)은 제2 가동 접점(13)과 가로 방향(X1, X2)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이동 방향(Z1, Z2)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가동 접촉편(8)은 접촉 방향(Z1)과 개방 분리 방향(Z2)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접촉편(8)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8)이 개방 위치일 때, 가동 접점(12, 13)은 고정 접점(10, 11)에서 떨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8)이 폐쇄 위치일 때, 가동 접점(12, 13)은 고정 접점(10, 11)에 접촉되어 있다.
가동 기구(9)는 가동 접촉편(8)을 지지한다. 가동 기구(9)는 구동축(15)과 접점 스프링(16)을 포함한다. 구동축(15)은 가동 접촉편(8)에 연결된다. 구동축(15)은 이동 방향(Z1, Z2)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동 접촉편(8)을 이동 방향(Z1, Z2)으로 관통하고 있다. 가동 접촉편(8)은 구멍(17)을 포함한다. 구멍(17)은 가동 접촉편(8)에서 이동 방향(Z1, Z2)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동축(15)은 구멍(17)에 통과되어 있다. 구동축(15)은 가동 접촉편(8)과 함께 이동 방향(Z1, Z2)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구동축(15)은 가동 접촉편(8)에 대하여 이동 방향(Z1, Z2)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동축(15)에는 제1 홀더(18) 및 제2 홀더(19)가 고정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제1 홀더(18)와 제2 홀더(1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홀더(18) 및 제2 홀더(19)는 구멍(17)보다 크다. 제1 홀더(18)는 개방 분리 방향(Z2)으로의 구동축(15)의 이동을 규제한다. 접점 스프링(16)은 가동 접촉편(8)과 제2 홀더(1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16)은 가동 접촉편(8)을 접촉 방향(Z1)으로 부세(付勢)한다.
구동 장치(4)는 코일(21), 스풀(22), 가동 철심(23), 고정 철심(24), 요크(25) 및 복귀 스프링(26)을 포함한다. 구동 장치(4)는, 전자력에 의해 가동 기구(9)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8)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코일(21)은 스풀(22)에 권회되어 있다. 가동 철심(23) 및 고정 철심(24)은 스풀(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21)은 가동 철심(23)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력을 발생시킨다.
가동 철심(23)은 구동축(15)에 연결되어 있다. 가동 철심(23)은 이동 방향(Z1, Z2)으로 이동 가능하다. 고정 철심(24)은 가동 철심(23)과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26)은 가동 철심(23)을 개방 분리 방향(Z2)으로 부세하고 있다.
가동 철심(23)은 이동 방향(Z1, Z2)으로 연장되는 축 구멍(27)을 포함한다. 축 구멍(27)은 이동 방향(Z1, Z2)으로 가동 철심(23)을 관통하고 있다. 축 구멍(27)에는 구동축(15)이 통과되어 있다. 구동축(15)은 가동 철심(23)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축(15)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가동 철심(23)에 고정되어 있다. 단, 구동축(15)은 나사 또는 코킹 등의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가동 철심(23)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축(15)에는 스토퍼(28)가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28)는 구동축(15)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28)는 가동 철심(23)에 대하여 개방 분리 방향(Z2)에 위치한다. 스토퍼(28)는 구동축(15)으로부터 구동축(15)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28)는 구동축(15)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28)는 가동 철심(23)에 접촉되어 있다. 스토퍼(28)의 외형은 축 구멍(27)의 내경보다 크다. 스토퍼(28)는 구동축(15)에 대한 가동 철심(23)의 개방 분리 방향(Z2)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전자 계전기(1)에서는 코일(21)이 통전되면, 코일(21)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에 의한 자력에 의해 가동 철심(23)이 고정 철심(24)에 흡인된다. 이에 따라, 가동 철심(23)과 구동축(15)이 복귀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접촉 방향(Z1)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편(8)이 접촉 방향(Z1)으로 이동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동 접점(12)이 제1 고정 접점(10)에 접촉되고, 제2 가동 접점(13)이 제2 고정 접점(11)에 접촉된다. 그 후, 가동 철심(23)이 접촉 방향(Z1)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15)이 가동 접촉편(8)에 대하여 접촉 방향(Z1)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접점 스프링(16)이 압축됨으로써 가동 접점(12, 13)과 고정 접점(10, 11) 사이에 높은 접촉력이 확보된다.
코일(21)에 대한 통전이 오프되면, 가동 철심(23)과 구동축(15)이 복귀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의해 개방 분리 방향(Z2)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편(8)이 도 1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으로부터 멀어진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서는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었을 때, 스토퍼(28)가 구동축(15)에 대한 가동 철심(23)의 개방 분리 방향(Z2)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구동축(15)은 가동 철심(23)과 함께 개방 분리 방향(Z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계전기(1)에서는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된 상태여도, 가동 접점(12, 13)을 고정 접점(10, 11)으로부터 개방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스토퍼(28)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28)는 접촉 방향(Z1)을 향해 스토퍼(28)의 외형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구멍(27)은 제1 구멍(31) 및 제2 구멍(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멍(31)은 이동 방향(Z1, Z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구멍(32)은 제1 구멍(31)에 대하여 개방 분리 방향(Z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구멍(32)은 이동 방향(Z1, Z2)으로 연장되어 제1 구멍(31)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구멍(32)의 내경은 제1 구멍(31)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구동축(15)은 제1 구멍(31)을 통과할 수 있다. 스토퍼(28)의 외형은 제1 구멍(31)의 내경보다 크지만, 제2 구멍(32)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스토퍼(28)는 제2 구멍(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구멍(32)의 내경은 개방 분리 방향(Z2)을 향해 확대될 수 있다. 스토퍼(28)는 제2 구멍(32)의 내면을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스토퍼(28)의 외형은 개방 분리 방향(Z2)을 향해 확대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동 접촉편(8)이 개방 위치일 때 가동 철심(23)은 요크(25)에 접촉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25)는 오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접촉편(8)이 개방 위치일 때, 스토퍼(28)는 오목부(33)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가동 접촉편(8)이 개방 위치일 때, 가동 철심(23)은 요크(25)가 아닌 케이스에 접촉될 수 있다. 그 경우, 오목부(33)는 케이스에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는 중간 부품(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중간 부품(34)은 스토퍼(28)와 별개이며, 스토퍼(28)와 가동 철심(23)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중간 부품(34)은 스토퍼(28)와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는 금속제이며 중간 부품(34)은 수지제일 수 있다. 또는, 스토퍼는 금속제이며, 중간 부품(34)은 스토퍼보다 유연한 금속제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제1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A-A 단면도이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28)는 구동축(15)과 별개일 수 있다. 구동축(15)은 홈(3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8)는 홈(35)에 걸림으로써 구동축(15)에 장착될 수 있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28)는 구멍(36) 및 구멍(36)과 연통하는 슬릿(37)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37)은 가로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토퍼(28)는 슬릿(37)을 통해 가로 방향(X1, X2)에 구동축(15)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B-B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15)은 가로 방향(X1, X2)으로 연장된 구멍(3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8)는 구멍(38)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서, 스토퍼(28)는 가동 철심(23)에 대하여 접촉 방향(Z1)에 위치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와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서는,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었을 때, 스토퍼(28)가 구동축(15)에 대한 가동 철심(23)의 접촉 방향(Z1)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 때문에,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구동축(15)은 가동 철심(23)과 함께 접촉 방향(Z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계전기(1)에서는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된 상태여도, 가동 접점(12, 13)을 고정 접점(10, 11)에 접촉시킬 수 있다.
한편, 스토퍼(28)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28)는 개방 분리 방향(Z2)을 향해 스토퍼(28)의 외형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15)은 제1 축(41)과 제2 축(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축(41)의 외경은 제2 축(42)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제2 축(42)은 축 구멍(2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축(41)의 외경은 축 구멍(27)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스토퍼(28)는 제1 축(41)과 제2축(42) 사이의 단차부일 수 있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구멍(27)은 제1 구멍(43) 및 제2 구멍(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멍(43)은 이동 방향(Z1, Z2)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2구멍(44)은 제1 구멍(43)에 대하여 접촉 방향(Z1)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구멍(44)은 이동 방향(Z1, Z2)으로 연장되며 제1 구멍(43)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구멍(44)의 내경은 제1 구멍(43)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구동축(15)은 제1 구멍(43)을 통과하여 있을 수 있다. 스토퍼(28)의 외형은 제1 구멍(43)의 내경보다 크지만, 제2구멍(44)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스토퍼(28)는 제2 구멍(4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구멍(44)의 내경은 접촉 방향(Z1)을 향해 확대될 수 있다. 스토퍼(28)는 제2 구멍(44)의 내면을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스토퍼(28)의 외형은 접촉 방향(Z1)을 향해 확대될 수 있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동 접촉편(8)이 폐쇄 위치일 때, 가동 철심(23)은 고정 철심(24)에 접촉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철심(24)은 오목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접촉편(8)이 폐쇄 위치일 때, 스토퍼(28)는 오목부(45)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는 중간 부품(4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중간 부품(46)은 스토퍼(28)와 별개이며, 스토퍼(28)와 가동 철심(23)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중간 부품(46)은 스토퍼(28)와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는 금속제이며, 중간 부품(46)은 수지제일 수 있다. 또는, 스토퍼는 금속제이며, 중간 부품(46)은 스토퍼보다 유연한 금속제일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는 도 18a의 C-C 단면도이다.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28)는 구동축(15)과 별개일 수 있다. 구동축(15)은 홈(47)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8)는 홈(47)에 걸림으로써 구동축(15)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28)는 구멍(48) 및 구멍(48)과 연통하는 슬릿(49)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49)은 가로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토퍼(28)는 슬릿(49)을 통해 가로 방향(X1, X2)으로 구동축(15)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8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b는 도 19a의 D-D 단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15)은 가로 방향(X1, X2)으로 연장되는 구멍(5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8)는 구멍(5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제9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28)는 가동 철심(23)으로부터 접촉 방향(Z1)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20은 도 3과 마찬가지로,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에 접촉했을 때의 구동축(15) 및 가동 철심(23)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방향(Z1, Z2)에서의 스토퍼(28)와 가동 철심(23) 사이의 거리(D1)는,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에 접촉하고 나서의 접촉 방향(Z1)으로의 가동 철심(23)의 가동 범위(D2)보다 작을 수 있다. 가동 철심(23)의 가동 범위(D2)는 이동 방향(Z1, Z2)에서의 가동 철심(23)과 고정 철심(24) 사이의 거리이다.
이 경우,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 고정이 손상되어도, 스토퍼(28)가 가동 철심(23)의 접촉 방향(Z1)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15)은 가동 철심(23)과 함께 접촉 방향(Z1)으로 이동한다. 이때, 구동축(15)은 스토퍼(28)와 가동 철심(23) 사이의 거리(D1)와 가동 철심(23)의 가동 범위(D2)의 차이에 상당하는 거리(D2-D1)만큼 접촉 방향(Z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점 스프링(26)이 압축됨으로써, 가동 접점(12, 13)과 고정 접점(10, 11) 사이에 접촉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는 제1 스토퍼(28A) 및 제2 스토퍼(28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토퍼(28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토퍼(28)와 마찬가지로, 가동 철심(23)에 대하여 개방 분리 방향(Z2)에 위치한다. 제2 스토퍼(28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토퍼(28)와 마찬가지로, 가동 철심(23)에 대하여 접촉 방향(Z1)에 위치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와 동일하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서는,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었을 때, 제1 스토퍼(28A)가 구동축(15)에 대한 가동 철심(23)의 개방 분리 방향(Z2)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구동축(15)은 가동 철심(23)과 함께 개방 분리 방향(Z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었을 때, 제2 스토퍼(28B)가 구동축(15)에 대한 가동 철심(23)의 접촉 방향(Z1)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구동축(15)은 가동 철심(23)과 함께 접촉 방향(Z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계전기(1)에서는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된 상태여도, 가동 접점(12, 13)과 고정 접점(10, 11)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28A, 28B)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A, 28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토퍼(28A)는 구동축(15)과 별개이며, 제2 스토퍼(28B)는 구동축(15)과 일체일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제1 스토퍼(28A)는 구동축(15)과 일체이고, 제2 스토퍼(28B)는 구동축(15)과 별개일 수 있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A, 28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토퍼(28A)와 제2 스토퍼(28B)가 둘 다 구동축(15)과 별개일 수 있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가동 철심(2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이동 방향(Z1, Z2)으로부터 바라본 가동 철심(23)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철심(23)은 축 구멍(27)과 연통하는 슬릿(5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51)은 이동 방향(Z1, Z2)과 가로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슬릿(51)은 이동 방향(Z1, Z2)으로 가동 철심(23)을 관통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슬릿(51)을 통해 구동축(15)을 가동 철심(23)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1과 같이 제1 스토퍼(28A)와 제2 스토퍼(28B)가 둘 다 구동축(15)과 일체일 수 있으며, 구동축(15)을 용이하게 가동 철심(23)에 장착할 수 있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A, 28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 철심(23)이 슬릿(51)을 포함하는 경우,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는 가이드(5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52)는 이동 방향(Z1, Z2)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동 철심(23)은 가이드(5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52)는 이동 방향(Z1, Z2)으로의 가동 철심(2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가동 철심(2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이동 방향(Z1, Z2)으로부터 바라본 가동 철심(23)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철심(23)은 축 구멍(27)을 통과하는 분할면(53)에서 분할된 복수의 분할체(23A, 23B)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면(53)은 가동 철심(23)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분할면(53)은 이동 방향(Z1, Z2) 및 가로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동 철심(23)은 제1 분할체(23A) 및 제2 분할체(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분할체(23A)와 제2 분할체(23B) 사이에 구동축(15)을 끼우고, 제1 분할체(23A)와 제2 분할체(23B)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동축(15)이 가동 철심(23)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 21과 같이, 제1 스토퍼(28A)와 제2 스토퍼(28B)가 둘 다 구동축(15)과 일체여도, 구동축(15)을 용이하게 가동 철심(23)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분할체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보다 많을 수 있다.
제1 스토퍼(28A)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토퍼(28A)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내지 제7 변형예의 형상일 수 있다. 제2 스토퍼(28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내지 제9 변형예의 형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스토퍼(28)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서는 스토퍼(28)가 가동 철심(23) 내에 위치한다. 가동 철심(2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축 구멍(27)을 통과하는 분할면에서 분할된 복수의 분할체(23A, 23B)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가동 철심(23)은 제1 분할체(23A) 및 제2 분할체(23B)를 포함한다. 제1 분할체(23A)는 축 구멍(27) 내에서 제1 오목부(54A)를 포함한다. 제2 분할체(23B)는 축 구멍(27) 내에서 제2 오목부(54B)를 포함한다. 스토퍼(28)는 제1 오목부(54A) 및 제2 오목부(54B) 내에 배치된다. 제1 분할체(23A)와 제2 분할체(23B) 사이에 구동축(15)을 끼우고, 제1 분할체(23A) 및 제2 분할체(23B)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동축(15)이 가동 철심(23)에 장착된다. 한편, 분할체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보다 많을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와 동일하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서는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었을 때, 스토퍼(28)가 구동축(15)에 대한 가동 철심(23)의 개방 분리 방향(Z2)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구동축(15)은 가동 철심(23)과 함께 개방 분리 방향(Z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었을 때, 스토퍼(28)가 구동축(15)에 대한 가동 철심(23)의 접촉 방향(Z1)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되어도, 구동축(15)은 가동 철심(23)과 함께 접촉 방향(Z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계전기(1)에서는, 구동축(15)과 가동 철심(23)의 고정이 손상된 상태여도, 가동 접점(12, 13)과 고정 접점(10, 11)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스토퍼(28)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28)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중 모든 형상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접점 장치(3) 및 구동 장치(4)의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보다 많을 수 있다. 고정 접점(10, 11)은 고정 단자(6, 7)와 일체일 수 있다. 가동 접점(12, 13)은 가동 접촉편(8)과 일체일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축(15)이 구동 장치(4)로부터 밀어내어짐으로써,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에 접촉된다. 그러나, 구동축(15)이 구동 장치(4)로 인입됨으로써,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에 접촉할 수 있다. 가로 방향은 이동 방향(Z1, Z2)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고, 상기 실시 형태의 가로 방향(X1, X2)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과 가동 철심의 고정이 손상된 상태여도, 전자 계전기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10:제1 고정 접점, 12:제1 가동 접점, 8:가동 접촉편, 15:구동축, 21:코일, 23:가동 철심, 23A:제1 분할체, 23B:제2 분할체, 27:축 구멍, 28:스토퍼, 28A:제1 스토퍼, 28B:제2 스토퍼, 31:제1 구멍, 32:제2구멍, 34:중간 부품, 43:제1 구멍, 44:제2구멍, 46:중간 부품, 51:슬릿
Claims (15)
-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가동 접점;
상기 가동 접점에 연결된 가동 접촉편;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가까워지는 접촉 방향 및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구멍을 포함하는 가동 철심;
상기 가동 접촉편에 연결되며, 상기 축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가동 철심에 고정된 구동축;
상기 가동 철심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에 대한 상기 가동 철심의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전자 계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축 구멍보다 큰 전자 계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구멍은,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구멍; 및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구멍과 연통하며 상기 제1 구멍보다 큰 제2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제1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구멍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구멍보다 큰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별개이며,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동 철심 사이에 끼워지는 중간 부품을 더 구비하는 전자 계전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품은 상기 스토퍼와 다른 재료로 형성되는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축과 별개인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철심에 접촉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철심으로부터 상기 이동 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이동 방향에서의 상기 스토퍼와 상기 가동 철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고 나서의 상기 가동 철심의 상기 접촉 방향으로의 가동 범위보다 작은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철심에 대하여 상기 접촉 방향에 위치하는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철심에 대하여 상기 개방 분리 방향에 위치하는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철심 내에 위치하는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철심에 대하여 상기 개방 분리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가동 철심에 대하여 상기 접촉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축 구멍과 연통하며,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방향에 수직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축 구멍을 통과하는 분할면에서 분할된 복수의 분할체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1029801A JP2022131064A (ja) | 2021-02-26 | 2021-02-26 | 電磁継電器 |
JPJP-P-2021-029801 | 2021-02-26 | ||
PCT/JP2022/001551 WO2022181117A1 (ja) | 2021-02-26 | 2022-01-18 | 電磁継電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9002A true KR20230119002A (ko) | 2023-08-14 |
Family
ID=8304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4583A KR20230119002A (ko) | 2021-02-26 | 2022-01-18 | 전자 계전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20165A1 (ko) |
JP (1) | JP2022131064A (ko) |
KR (1) | KR20230119002A (ko) |
CN (1) | CN116848609A (ko) |
DE (1) | DE112022001277T5 (ko) |
WO (1) | WO2022181117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096474A (ja) | 2017-11-22 | 2019-06-20 |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35716Y2 (ko) * | 1975-06-24 | 1980-08-22 | ||
JP2003100190A (ja) * | 2001-09-21 | 2003-04-04 | Omron Corp | 封止接点装置 |
JP3937844B2 (ja) * | 2002-01-18 | 2007-06-27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マグネットスイッチ |
JP6836116B2 (ja) * | 2016-07-19 | 2021-02-24 |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 電磁継電器 |
JP2019036434A (ja) * | 2017-08-10 | 2019-03-07 | オムロン株式会社 | 接続ユニット |
JP6856001B2 (ja) * | 2017-10-31 | 2021-04-07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7103091B2 (ja) * | 2018-09-07 | 2022-07-20 | オムロン株式会社 | リレー |
JP7088074B2 (ja) * | 2019-02-20 | 2022-06-21 | オムロン株式会社 | リレー |
-
2021
- 2021-02-26 JP JP2021029801A patent/JP2022131064A/ja active Pending
-
2022
- 2022-01-18 WO PCT/JP2022/001551 patent/WO202218111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1-18 US US18/263,345 patent/US20240120165A1/en active Pending
- 2022-01-18 DE DE112022001277.3T patent/DE112022001277T5/de active Pending
- 2022-01-18 KR KR1020237024583A patent/KR20230119002A/ko unknown
- 2022-01-18 CN CN202280013048.9A patent/CN116848609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096474A (ja) | 2017-11-22 | 2019-06-20 |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81117A1 (ja) | 2022-09-01 |
US20240120165A1 (en) | 2024-04-11 |
JP2022131064A (ja) | 2022-09-07 |
CN116848609A (zh) | 2023-10-03 |
DE112022001277T5 (de) | 2023-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49236E1 (en) |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 |
CN110323107B (zh) | 继电器 | |
EP3264437B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CN109314016B (zh) | 电磁继电器 | |
US11935716B2 (en) | Relay | |
EP3929958A1 (en) | Relay | |
US11640889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US11791119B2 (en) | Relay | |
KR20230119002A (ko) | 전자 계전기 | |
US11640890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7322643B2 (ja) | リレー | |
US11373830B2 (en) | Electromagnetic relay to ensure stable energization even when contact is dissolved | |
JP2022139817A (ja) | 電磁継電器 | |
US20240355565A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WO2022181118A1 (ja) | 電磁継電器 | |
EP3929959B1 (en) | Relay | |
JP7310508B2 (ja) | リレー | |
JP7287225B2 (ja) | リレー | |
JP7327061B2 (ja) | リレー | |
US20220102102A1 (en) | Relay | |
JP7050650B2 (ja) | 電磁リレー | |
CN212230360U (zh) | 电磁继电器 | |
US20240355566A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WO2023042443A1 (ja) | 電磁継電器 | |
JP2024143977A (ja) | ソレノイド装置及びソレノイド装置の製造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