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001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001A
KR20230119001A KR1020237024578A KR20237024578A KR20230119001A KR 20230119001 A KR20230119001 A KR 20230119001A KR 1020237024578 A KR1020237024578 A KR 1020237024578A KR 20237024578 A KR20237024578 A KR 20237024578A KR 20230119001 A KR20230119001 A KR 20230119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terminal
contact
wall
arc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카와구치
타케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전자 계전기는, 제1 고정 단자, 제1 고정 접점, 제1 가동 접점, 케이스, 제1 내벽, 제1 가스 통로 및 제1 자석을 구비한다. 케이스는 제1 세로 내측면과 제1 가로 내측면을 포함한다. 제1 세로 내측면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로 내측면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로 내측면은 제1 중앙면과 제1 아크 접촉면을 포함한다. 제1 중앙면은 길이 방향에서 제1 고정 단자와 마주본다. 제1 아크 접촉면은 가로 방향에서 제1 중앙면과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내벽은 가로 방향에서 제1 고정 단자와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가스 통로는 길이 방향에서 제1 아크 접촉면과 마주보는 제1 유입구를 포함한다. 제1 가스 통로는 제1 내벽과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자석은 제1 중앙면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자석은 제1 고정 접점과 제1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하여 신장시킨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계전기에서는 전류의 차단시 접점에서 아크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자 계전기에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자석에 의해 아크에 로렌츠의 힘이 작용함으로써 아크가 신장되고, 그에 따라 아크가 신속히 소호된다.
한편, 아크에 의해 접점의 온도가 상승하면, 접점의 일부가 용융되어, 금속 증기를 포함하는 고온의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고온의 가스가 접점의 근방에 체류하면, 접점간의 절연 성능이 저하되어 아크가 재점호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접점 기구에서는 고온의 가스를 안내하는 가스 통로가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접점 기구에서는 자석이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 단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가스 통로는 자석이 마주보는 케이스의 측벽과 고정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통로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점에서 발생한 고온의 가스는 가스 통로를 통과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24864호 공보
상기 접점 기구에서 가스 통로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스 통로의 입구와 출구는 접점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온의 가스는 가스 통로를 지나 고온의 상태로 접점으로 돌아가기 쉽다. 따라서, 아크의 재점호를 억제하는 효과가 낮다.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있어서 접점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한 아크의 재점호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제1 고정 단자, 제1 고정 접점, 제1 가동 접점, 제2 고정 단자, 제2 고정 접점, 제2 가동 접점, 케이스, 제1 내벽, 제1 가스 통로 및 제1 자석을 구비한다. 제1 고정 접점은 제1 고정 단자에 연결된다. 제1 가동 접점은 제1 고정 접점에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하다. 제2 고정 단자는 길이 방향에서 제1 고정 단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제2 고정 접점은 제2 고정 단자에 연결된다. 제2 가동 접점은 제2 고정 접점에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하다. 케이스는, 제1 고정 단자, 제1 고정 접점, 제1 가동 접점, 제2 고정 단자, 제2 고정 접점 및 제2 가동 접점을 수용한다. 케이스는 제1 세로 내측면과 제1 가로 내측면을 포함한다. 제1 세로 내측면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세로 내측면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가로 방향으로 제1 고정 단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제1 가로 내측면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로 내측면은 제1 중앙면과 제1 아크 접촉면을 포함한다. 제1 중앙면은 길이 방향에서 제1 고정 단자와 서로 마주 본다. 제1 아크 접촉면은 가로 방향에서 제1 중앙면과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내벽은 가로 방향에서 제1 고정 단자와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내벽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스 통로는 길이 방향에서 제1 아크 접촉면과 마주보는 제1 유입구를 포함한다. 제1 가스 통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스 통로는 제1 내벽과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자석은 제1 중앙면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자석은 제1 고정 접점과 제1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하여 신장시킨다.
본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에서는, 제1 고정 접점과 제1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하여 신장되어 제1 아크 접촉면에 접촉한다. 제1 고정 접점과 제1 가동 접점에서 발생한 고온의 가스는 아크와 함께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해 흐른다. 고온의 가스는 제1 아크 접촉면으로부터 제1 유입구를 향해 흘러 제1 유입구로부터 제1 가스 통로내로 유입된다. 제1 가스 통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고온의 가스가 제1 고정 접점과 제1 가동 접점의 근방으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아크의 재점호가 억제된다. 또한, 고온의 가스는 제1 아크 접촉면을 경유하여 제1 유입구로 흐른다. 따라서, 고온의 가스가 직접 제1 유입구에 흐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유입구의 소모가 억제된다.
제1 아크 접촉면은 가로 방향에서 제1 자석과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크 접촉면은 자석과 마주 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아크를 효율적으로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하여 신장시킬 수 있다.
제1 내벽은 제1 가스 통로와 마주보는 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은 제1 고정 단자의 가로 방향의 단부와 나란히 배열된 제1 단자 위치와, 벽면과 나란히 배열된 제1 벽위치 사이의 범위내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크 접촉면으로부터 제1 유입구로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길이 방향에서, 제1 내벽과 제1 가로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제1 고정 단자와 제1 가로 내측면 사이의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제1 아크 접촉면을 거쳐 제1 유입구로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고정 단자와 제1 내벽 사이의 가로 방향의 거리는, 제1 고정 단자와 제1 가로 내측면 사이의 길이 방향의 거리 이하이다. 이 경우, 제1 가스 통로가 제1 고정 단자의 근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가스 통로로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가로 방향의 제1 가스 통로의 폭은 제1 고정 단자와 제1 내벽 사이의 가로 방향의 거리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스 통로를 지나는 고온의 가스의 유속이 빨라진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케이스는 제1 가로 내측면을 포함하는 제1 가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은 제1 가로 측벽에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로 측벽의 두께가 커진다. 이에 따라, 아크 및 고온 가스의 냉각 효과가 향상된다.
케이스는 제1 아크 접촉면과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의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부는 제1 아크 접촉면과 제1 세로 내측면에 대해서 경사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크 접촉면으로부터 제1 유입구로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제1 아크 접촉면과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의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부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크 접촉면으로부터 제1 유입구로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유입구는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입구로부터 제1 가스 통로 내로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내벽은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해 연장되는 테이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퍼면에 의해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해 아크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제1 가스 통로와 연통하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온의 가스를 구멍을 통해 케이스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가스 통로는 제1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위치에서부터 제2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온의 가스가 제1 고정 접점과 제1 가동 접점의 근방으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아크의 재점호를 억제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전자 계전기는 제2 내벽, 제2 가스 통로 및 제2 자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제2 세로 내측면과 제2 가로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로 내측면은 가로 방향에서 제1 세로 내측면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세로 내측면은 가로 방향으로 제1 고정 단자 및 제2 고정 단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로 내측면은 길이 방향에서 제1 가로 내측면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로 내측면은 길이 방향으로 제2 고정 단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로 내측면은 제2 중앙면과 제2 아크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앙면은 길이 방향에서 제2 고정 단자와 마주볼 수 있다. 제2 아크 접촉면은 가로 방향에서 제2 중앙면과 제2 세로 내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내벽은 가로 방향에서 제2 고정 단자와 제2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벽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가스 통로는 길이 방향에서 제2 아크 접촉면과 마주보는 제2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스 통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가스 통로는 제2 내벽과 제2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석은 제2 중앙면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석은 제2 고정 접점과 제2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제2 아크 접촉면을 향하여 신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고정 접점과 제2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제2 아크 접촉면을 향하여 신장되어 제2 아크 접촉면에 접촉한다. 제2 고정 접점과 제2 가동 접점에서 발생한 고온의 가스는 아크와 함께 제2 아크 접촉면을 향해 흐른다. 고온의 가스는 제2 아크 접촉면으로부터 제2 유입구를 향해 흘러 제2 유입구로부터 제2 가스 통로내로 유입된다. 제2 가스 통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고온의 가스가 제2 고정 접점과 제2 가동 접점 근방으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이에 따라, 아크의 재점호를 억제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고온의 가스는 제2 아크 접촉면을 경유하여 제2 유입구로 흐른다. 따라서, 고온의 가스가 직접 제2 유입구로 흐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 유입구의 소모가 억제된다.
제2 내벽과 제2 가스 통로는 제2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위치에서부터 제1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온의 가스가 제2 고정 접점과 제2 가동 접점의 근방으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아크의 재점호를 억제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전기에서는 접점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한 아크의 재점호가 억제된다.
도 1은 전자 계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전자 계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자계와 로렌츠의 힘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하방에서 바라본 제1 고정 단자, 케이스 및 제1 자석의 확대도이다.
도 6은 가로 방향에서 바라본 제1 고정 단자, 케이스 및 제1 자석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4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5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6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7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8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자 계전기(1)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는, 케이스(2), 접점 장치(3) 및 구동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는 수지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단, 케이스(2)는 세라믹 등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케이스(2) 내에는 접점 장치(3)가 수용되어 있다.
접점 장치(3)는,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가동 접촉편(8), 가동 기구(9), 제1 고정 접점(10), 제2 고정 접점(11),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을 포함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가동 접점(12)에서 제1 고정 접점(10)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Z1)」으로 정의한다. 제1 고정 접점(10)에서 제1 가동 접점(12)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Z2)」으로 정의한다. 가동 접촉편(8)이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 방향(X1, X2)으로 정의한다. 특히, 제2 고정 접점(11)에서 제1 고정 접점(10)을 향하는 방향을 제1 길이 방향(X1)으로 정의한다. 제1 고정 접점(10)에서 제2 고정 접점(11)을 향하는 방향을 제2 길이 방향(X2)으로 정의한다.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가동 접촉편(8), 제1 고정 접점(10), 제2 고정 접점(11),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가동 접촉편(8)은, 인청동, 베릴륨동, 황동 또는 터프 피치 동 등의 단자재로서 공지의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다. 단,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및 가동 접촉편(8)은, 이들과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제1 고정 접점(10), 제2 고정 접점(11),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은 구리계 금속 또는 은계 금속 등의 접점재로서 공지의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상하 방향(Z1, Z2)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길이 방향(X1, X2)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에는 제1 고정 접점(10)이 연결되어 있다. 제2 고정 단자(7)에는 제2 고정 접점(11)이 연결되어 있다. 제1 고정 접점(10) 및 제2 고정 접점(11)은 케이스(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은 케이스(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동 접점(12) 및 제2 가동 접점(13)은 가동 접촉편(8)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가동 접점(12)은 제1 고정 접점(10)과 마주보고 있다. 제1 가동 접점(12)은 제1 고정 접점(10)에 대하여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하다. 제2 가동 접점(13)은 제2 고정 접점(11)과 마주보고 있다. 제2 가동 접점(13)은 제2 고정 접점(11)에 대하여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하다. 제1 가동 접점(12)은 제2 가동 접점(13)과 길이 방향(X1, X2)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상하 방향(Z1, Z2)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접촉편(8)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8)이 개방 위치일 때, 가동 접점(12, 13)은 고정 접점(10, 11)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8)이 폐쇄 위치인 경우, 가동 접점(12, 13)은 고정 접점(10, 11)에 접촉되어 있다. 이하,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접촉 방향으로 정의한다.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개방 분리 방향으로 정의한다.
가동 기구(9)는 가동 접촉편(8)을 지지한다. 가동 기구(9)는 구동축(15)과 접점 스프링(16)을 포함한다. 구동축(15)은 가동 접촉편(8)에 연결된다. 구동축(15)은 상하 방향(Z1, Z2)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동 접촉편(8)을 상하 방향(Z1, Z2)으로 관통하고 있다. 구동축(15)은 상하 방향(Z1, Z2)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접점 스프링(16)은 가동 접촉편(8)을 접촉 방향을 향하여 부세(付勢)한다.
구동 장치(4)는 코일(21), 스풀(22), 가동 철심(23), 고정 철심(24), 요크(25) 및 복귀 스프링(26)을 포함한다. 구동 장치(4)는, 전자력에 의해 가동 기구(9)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8)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코일(21)은 스풀(22)에 권회(卷回)되어 있다. 가동 철심(23) 및 고정 철심(24)은 스풀(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23)은 구동축(15)에 연결되어 있다. 가동 철심(23)은 상하 방향(Z1, Z2)으로 이동 가능하다. 고정 철심(24)은 가동 철심(23)과 마주 보고 배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26)은 가동 철심(23)을 개방 분리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전자 계전기(1)에서는 코일(21)이 통전되면, 코일(21)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에 의한 자력에 의해 가동 철심(23)이 고정 철심(24)에 흡인된다. 이에 따라, 가동 철심(23)과 구동축(15)이 복귀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접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편(8)이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에 접촉된다. 한편,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에 접촉된 후 구동축(15)이 접촉 방향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접점 스프링(16)이 압축된다.
코일(21)에 대한 통전이 오프되면, 가동 철심(23)과 구동축(15)이 복귀 스프링(26)의 부세력에 의해 개방 분리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편(8)이 도 1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가동 접점(12, 13)이 고정 접점(10, 11)으로부터 멀어진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이하, 길이 방향(X1, X2) 및 상하 방향(Z1, Z2)에 수직한 방향을 가로 방향(Y1, Y2)으로 정의한다. 또한, 가로 방향(Y1, Y2) 중의 하나를 제1 가로 방향(Y1)으로 정의하고, 제1 가로 방향(Y1)과 반대 방향을 제2 가로 방향(Y2)으로 정의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는 제1 세로 내측면(31) 및 제2 세로 내측면(32)과, 제1 가로 내측면(33) 및 제2 가로 내측면(34)을 포함한다. 제1 세로 내측면(31) 및 제2 세로 내측면(32)은 각각 길이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세로 내측면(31) 및 제2 세로 내측면(32)은 가로 방향(Y1, Y2)에서 마주 보고 있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가로 방향(Y1, Y2)에서 제1 세로 내측면(31) 및 제2 세로 내측면(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세로 내측면(31)은 제1 가로 방향(Y1)으로,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제2 세로 내측면(32)은, 가로 방향(Y1, Y2)에서 제1 세로 내측면(31)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세로 내측면(32)은 제2 가로 방향(Y2)으로,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X1, X2)의 제1 세로 내측면(31)의 길이는 가로 방향(Y1, Y2)의 제1 가로 내측면(33)의 길이보다 크다. 길이 방향(X1, X2)의 제2 세로 내측면(32)의 길이는 가로 방향(Y1, Y2)의 제2 가로 내측면(34)의 길이보다 크다.
제1 가로 내측면(33) 및 제2 가로 내측면(34)은 가로 방향(Y1, Y2)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로 내측면(33) 및 제2 가로 내측면(34)은 길이 방향(X1, X2)에서 마주보고 있다. 제1 가로 내측면(33)은 제1 세로 내측면(31) 및 제2 세로 내측면(32)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가로 내측면(34)은 제1 세로 내측면(31) 및 제2 세로 내측면(32)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고정 접점(10) 및 제2 고정 접점(11)은, 길이 방향(X1, X2)에서 제1 가로 내측면(33)과 제2 가로 내측면(3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로 내측면(33)은 제1 길이 방향(X1)으로 제1 고정 단자(6)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로 내측면(34)은 길이 방향(X1, X2)에서 제1 가로 내측면(33)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로 내측면(34)은 제2 길이 방향(X2)으로 제2 고정 단자(7)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전자 계전기(1)는 제1 내벽(35), 제2 내벽(36), 제1 가스 통로(37) 및 제2 가스 통로(3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내벽(35) 및 제2 내벽(36)은 길이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내벽(35)은 제1 고정 단자(6)와 마주보는 위치에서부터 제2 고정 단자(7)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내벽(36)은 제2 고정 단자(7)와 마주보는 위치에서부터 제1 고정 단자(6)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내벽(35)은 가로 방향(Y1, Y2)에서 제1 고정 단자(6)와 제1 세로 내측면(3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벽(36)은 가로 방향(Y1, Y2)에서 제2 고정 단자(7)와 제2 세로 내측면(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가로 방향(Y1, Y2)에서 제1 내벽(35)과 제2 내벽(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스 통로(37)는 제1 내벽(35)과 제1 세로 내측면(3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벽(35)은 제1 가스 통로(37)와 마주보는 제1 벽면(351)을 포함한다. 제1 가스 통로(37)는 제1 세로 내측면(31)과 제1 벽면(35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스 통로(37)는 길이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스 통로(37)는 제1 고정 단자(6)와 마주보는 위치에서부터 제2 고정 단자(7)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가스 통로(37)는 제1 유입구(371) 및 제1 유출구(372)를 포함한다. 제1 유입구(371)는 제1 길이 방향(X1)을 향하고 있다. 제1 유출구(372)는 제2 길이 방향(X2)을 향하고 있다.
제2 가스 통로(38)는 제2 내벽(36)과 제2 세로 내측면(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벽(36)은 제2 가스 통로(38)와 마주보는 제2 벽면(361)을 포함한다. 제2 가스 통로(38)는 제2 세로 내측면(32)과 제2 벽면(36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스 통로(38)는 길이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가스 통로(38)는 제2 고정 단자(7)와 마주보는 위치에서부터 제1 고정 단자(6)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가스 통로(38)는 제2 유입구(381) 및 제2 유출구(382)를 포함한다. 제2 유입구(381)는 제2 길이 방향(X2)을 향하고 있다. 제2 유출구(382)는 제1 길이 방향(X1)을 향하고 있다.
전자 계전기(1)는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은 영구 자석이다.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은 케이스(2) 주위에 배치된다. 제1 자석(41)은 제1 고정 단자(6)에 대해서 제1 길이 방향(X1)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로 내측면(33)은 길이 방향(X1, X2)에서, 제1 자석(41)과 제1 고정 단자(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자석(42)은 제2 고정 단자(7)에 대해서 제2 길이 방향(X2)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로 내측면(34)은 길이 방향(X1, X2)에서 제2 자석(42)과 제2 고정 단자(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은 케이스(2) 내에 자계를 발생시킨다. 도 4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에 의해 생기는 자계를 나타낸다. 제1 자석(41) 및 제2 자석(42)은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석(41)의 N극이 제2 자석(42)의 S극과 마주보고 있다.
제1 자석(41)으로부터의 자계에 의해, 제1 고정 접점(10)과 제1 가동 접점(12)에 생기는 아크에 제1 로렌츠의 힘(F1)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아크의 기점이 제1 로렌츠의 힘(F1)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아크가 제1 로렌츠의 힘(F1)의 방향으로 신장된다. 제1 로렌트의 힘(F1)은 제1 고정 접점(10)의 중심에서 제1 가로 방향(Y1)으로 작용한다. 제1 로렌츠의 힘(F1)은 제1 고정 접점(10)의 중심으로부터 제1 가로 방향(Y1)으로 멀어짐에 따라, 제1 길이 방향(X1)으로 방향을 바꾼다. 따라서, 아크는 제1 고정 접점(10)의 중심으로부터 제1 가로 방향(Y1)으로 이동하면서 제1 가로 내측면(33)을 향해 신장된다.
제2 자석(42)으로부터의 자계에 의해, 제2 고정 접점(11)과 제2 가동 접점(13)에 생기는 아크에 제2 로렌츠의 힘(F2)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아크의 기점이 제2 로렌츠의 힘(F2)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아크가 제2 로렌츠의 힘(F2)의 방향으로 신장된다. 제2 로렌츠의 힘(F2)은 제2 고정 접점(11)의 중심에서 제2 가로 방향(Y2)으로 작용한다. 제2 로렌츠의 힘(F2)은 제2 고정 접점(11)의 중심으로부터 제2 가로 방향(Y2)으로 멀어짐에 따라, 제2 길이 방향(X2)으로 방향을 바꾼다. 따라서, 아크는 제2 고정 접점(11)의 중심으로부터 제2 가로 방향(Y2)으로 이동하면서 제2 가로 내측면(34)을 향해 신장된다.
제1 가로 내측면(33)은 제1 중앙면(43)과 제1 아크 접촉면(44)을 포함한다. 제1 중앙면(43)과 제1 아크 접촉면(44)은 하나의 면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중앙면(43)은 길이 방향(X1, X2)에서 제1 고정 단자(6)와 마주보고 있다. 제1 아크 접촉면(44)은 가로 방향(Y1, Y2)에서 제1 중앙면(43)과 제1 세로 내측면(31)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아크 접촉면(44)은 가로 방향(Y1, Y2)에서 제1 자석(41)과 제1 세로 내측면(31)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아크 접촉면(44)은 제1 세로 내측면(31)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아크 접촉면(44)은 길이 방향(X1, X2)에서 제1 자석(41)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유입구(371)는 길이 방향(X1, X2)에서 제1 아크 접촉면(44)과 마주보고 있다.
제1 자석(41)은, 제1 중앙면(43)에 대해서 길이 방향(X1, X2)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자석(41)은 제1 고정 접점(10)과 제1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제1 아크 접촉면(44)을 향하여 신장시킨다. 즉, 제1 자석(41)은 제1 로렌츠의 힘(F1)에 의해 신장된 아크가 제1 아크 접촉면(44)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로 내측면(34)은 제2 중앙면(45)과 제2 아크 접촉면(46)을 포함한다. 제2 중앙면(45)과 제2 아크 접촉면(46)은 하나의 면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중앙면(45)은 길이 방향(X1, X2)에서 제2 고정 단자(7)와 마주보고 있다. 제2 아크 접촉면(46)은 가로 방향(Y1, Y2)에서 제2 중앙면(45)과 제2 세로 내측면(32)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아크 접촉면(46)은 가로 방향(Y1, Y2)에서 제2 자석(42)과 제2 세로 내측면(32)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아크 접촉면(46)은 제2 세로 내측면(32)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아크 접촉면(46)은 길이 방향(X1, X2)에서 제2 자석(42)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유입구(381)는 길이 방향(X1, X2)에서 제2 아크 접촉면(46)과 마주보고 있다.
제2 자석(42)은 제2 중앙면(45)에 대해서 길이 방향(X1, X2)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자석(42)은 제2 고정 접점(11)과 제2 가동 접점(13)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제2 아크 접촉면(46)을 향하여 신장시킨다. 즉, 제2 자석(42)은 제2 로렌츠의 힘(F2)에 의해 신장된 아크가 제2 아크 접촉면(46)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하방(Z2)으로부터 바라본 제1 고정 단자(6), 케이스(2) 및 제1 자석(41)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방향(Y1, Y2)에서 제1 자석(41)은 제1 가로 내측면(33)보다 짧다. 가로 방향(Y1, Y2)의 제1 자석(41)의 길이(H2)는 가로 방향(Y1, Y2)의 제1 고정 단자(6)의 길이(H1)보다 크다. 가로 방향(Y1, Y2)의 제1 자석(41)의 길이(H2)는 가로 방향(Y1, Y2)의 제1 벽면(351)과 제2 벽면(361) 사이의 거리(H3)보다 작다.
제1 자석(41)은 제1 가로 방향(Y1)에서 제1 단자 위치(P1)와 제1 벽위치(P2) 사이의 범위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는 제1 가로 방향(Y1)의 제1 단자단(61)과 제2 가로 방향(Y2)의 제2 단자단(62)을 포함한다. 제1 단자 위치(P1)는 제1 고정 단자(6)의 제1 단자단(61)과 나란히 배열되는 위치이다. 제1 벽위치(P2)는 제1 벽면(351)과 나란히 배열되는 위치이다. 제1 자석(41)은 제2 가로 방향(Y2)에서 제2 단자 위치(P3)와 제2 벽위치(P4) 사이의 범위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단자 위치(P3)는 제1 고정 단자(6)의 제2 단자단(62)과 나란히 배열되는 위치이다. 제2 벽위치(P4)는 제2 벽면(361)과 나란히 배열되는 위치이다.
제1 자석(41)은 제1 가로 방향(Y1)의 제1 자석단(411) 및 제2 가로 방향(Y2)의 제2 자석단(412)을 포함한다. 제1 자석단(411)은 제1 단자 위치(P1)와 제1 벽위치(P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자석단(411)은 제1 단자 위치(P1)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자석단(411)은 제1 벽위치(P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자석단(412)은 제2 단자 위치(P3)와 제2 벽위치(P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자석단(412)은 제2 단자 위치(P3)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자석단(412)은 제2 벽위치(P4)에 위치할 수 있다.
길이 방향(X1, X2)에서, 제1 내벽(35)과 제1 가로 내측면(33) 사이의 거리(D4)는 제1 고정 단자(6)와 제1 가로 내측면(33) 사이의 거리(D1) 이상이다. 제1 고정 단자(6)와 제1 내벽(35) 사이의 가로 방향(Y1, Y2)의 거리(D2)는, 제1 고정 단자(6)와 제1 가로 내측면(33) 사이의 길이 방향(X1, X2)의 거리(D1) 이하이다. 가로 방향(Y1, Y2)의 제1 가스 통로(37)의 폭(D3)은 제1 고정 단자(6)와 제1 내벽(35) 사이의 가로 방향(Y1, Y2)의 거리(D2) 이하이다.
도 6은 가로 방향(Y1, Y2)으로부터 바라본 제1 고정 단자(6), 케이스(2) 및 제1 자석(41)의 확대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자석(41)의 상단(413)은 제1 내벽(35)의 상단(352)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내벽(35)의 상단(352)은 제1 고정 접점(10)과 제1 가동 접점(12)보다 상방(Z1)에 배치된다. 제1 자석(41)의 하단(414)은 제1 내벽(35)의 하단(353) 이하의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내벽(35)의 하단(353)은 제1 고정 접점(10)과 제1 가동 접점(12)보다 하방(Z2)에 배치된다.
제2 고정 단자(7), 제2 가로 내측면(34) 및 제2 자석(42)은, 제1 고정 단자(6), 제1 가로 내측면(33) 및 제1 자석(41)과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고정 단자(7), 제2 가로 내측면(34), 제2 자석(42), 제2 내벽(36) 및 제2 가스 통로(38)의 배치는, 상술한 제1 고정 단자(6), 제1 가로 내측면(33), 제1 자석(41), 제1 내벽(35) 및 제1 가스 통로(37)의 배치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접점(10)과 제1 가동 접점(12)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제1 아크 접촉면(44)을 향하여 신장되어, 제1 아크 접촉면(44)에 접촉한다. 파선의 화살표(G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접점(10)과 제1 가동 접점(12)에서 발생한 고온의 가스는 아크와 함께 제1 아크 접촉면(44)을 향해 흐른다. 고온의 가스는 제1 아크 접촉면(44)으로부터 제1 유입구(371)를 향해 흘러 제1 유입구(371)로부터 제1 가스 통로(37) 내로 유입한다. 제1 가스 통로(37)는 길이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고온의 가스가 제1 고정 접점(10)과 제1 가동 접점(12)의 근방으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아크의 재점호가 억제된다. 또한, 고온의 가스는 제1 아크 접촉면(44)을 경유하여 제1 유입구(371)로 흐른다. 따라서, 고온의 가스가 직접 제1 유입구(371)로 흐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유입구(371)의 소모가 억제된다.
제2 고정 접점(11)과 제2 가동 접점(13)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제2 아크 접촉면(46)을 향하여 신장되어 제2 아크 접촉면(46)에 접촉한다. 파선의 화살표(G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고정 접점(11)과 제2 가동 접점(13)에서 발생한 고온의 가스는 아크와 함께 제2 아크 접촉면(46)을 향해 흐른다. 고온의 가스는 제2 아크 접촉면(46)으로부터 제2 유입구(381)를 향해 흘러, 제2 유입구(381)를 통하여 제2 가스 통로(38) 내로 유입된다. 제2 가스 통로(38)는 길이 방향(X1, X2)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고온의 가스가 제2 고정 접점(11)과 제2 가동 접점(13)의 근방으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아크의 재점호가 억제된다. 또한, 고온의 가스는 제2 아크 접촉면(46)을 경유하여 제2 유입구(381)로 흐른다. 따라서, 고온의 가스가 직접 제2 유입구(381)로 흐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 유입구(381)의 소모가 억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구동 장치(4)의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 구동 장치(4)는 접점 장치(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 장치(4)는 접점 장치(3)에 대해서 길이 방향(X1, X2) 또는 가로 방향(Y1, Y2)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장치(4)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플런저형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힌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점 장치(3)의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보다 많을 수 있다. 제1 고정 단자(6), 제1 가로 내측면(33), 제1 자석(41), 제1 내벽(35) 및 제1 가스 통로(37)의 배치 및 치수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제2 고정 단자(7), 제2 가로 내측면(34), 제2 자석(42), 제2 내벽(36) 및 제2 가스 통로(38)의 배치 및 치수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는 제1 가로 측벽(28) 및 제2 가로 측벽(29)을 포함한다. 제1 가로 측벽(28)은 제1 가로 내측면(33)을 포함한다. 제2 가로 측벽(29)은 제2 가로 내측면(34)을 포함한다. 제1 자석(41)은 제1 가로 측벽(28)에 매립될 수 있다. 제2 자석(42)은 제2 가로 측벽(29)에 매립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가로 측벽(28)은 외측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 오목부(2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41)은 제1 오목부(28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로 측벽(29)은 외측면으로부터 함몰된 제2 오목부(2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석(42)은 제2 오목부(29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자석(41)은 가로 방향(Y1, Y2)에서 제1 가로 측벽(28)으로 덮여 있다. 이에 따라, 제1 아크 접촉면(44)의 외측에서 제1 가로 측벽(28)의 두께가 커진다. 또한, 제2 자석(42)은 가로 방향(Y1, Y2)에서 제2 가로 측벽(29)으로 덮여 있다. 이에 따라, 제2 아크 접촉면(46)의 외측에서 제2 가로 측벽(29)의 두께가 커진다. 그 결과, 제1 아크 접촉면(44) 및 제2 아크 접촉면(46)에서의 아크 및 고온의 가스의 냉각 효과가 향상된다.
도 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는 제1 아크 접촉면(44)과 제1 세로 내측면(31) 사이의 제1 코너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너부(51)는 제1 아크 접촉면(44)과 제1 세로 내측면(31)에 대해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크 접촉면(44)으부터 제1 유입구(371)로 제1 코너부(51)에 의해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케이스(2)는 제2 아크 접촉면(46)과 제2 세로 내측면(32) 사이의 제2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너부는 제2 아크 접촉면(46)과 제2 세로 내측면(32)에 대해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코너부(51)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크 접촉면(44)으로부터 제1 유입구(371)로, 제1 코너부(51)에 의해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제2 아크 접촉면(46)과 제2 세로 내측면(32) 사이의 제2 코너부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제4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입구(371)는 제1 아크 접촉면(44)을 향해 확대되는 제1 테이퍼 형상(373)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입구(371)로부터 제1 가스 통로(37) 내로, 제1 테이퍼 형상(373)에 의해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제2 유입구(381)는 제2 아크 접촉면(46)을 향해 확대되는 제2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제5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벽(35)은 제1 아크 접촉면(44)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테이퍼면(3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테이퍼면(354)에 의해 제1 아크 접촉면(44)에 고온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제2 내벽(36)은 제2 아크 접촉면(46)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테이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제6 변형예 따른 전자 계전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는 제1 가스 통로(37)와 연통하는 제1 구멍(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온의 가스를 제1 가스 통로(37)로부터 제1 구멍(54)을 통해 케이스(2)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케이스(2)는 제2 가스 통로(38)와 연통하는 제2 구멍(5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온의 가스를 제2 가스 통로(38)로부터 제2 구멍(55)을 통하여 케이스(2)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3은 제7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스 통로(37)는 제1 고정 단자(6)를 향해 굴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가스 통로(37)의 제1 유출구(372)는 제1 고정 단자(6)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온의 가스는, 제1 가스 통로(37)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되고, 그 후 제1 유출구(372)로부터 제1 고정 접점(10)을 향해 분출된다. 이에 따라, 아크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제1 가스 통로(37)와 마찬가지로, 제2 가스 통로(38)는 제2 고정 단자(7)를 향해 굴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가스 통로(38)의 제2 유출구(382)는 제2 고정 단자(7)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제8 변형예에 따른 전자 계전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는 제1 분기 통로(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분기 통로(56)는 제1 가스 통로(37)로부터 제1 고정 단자(6)를 향해 제1 가스 통로(37)로부터 분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온의 가스의 일부가 제1 분기 통로(56)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되고, 그 후 제1 분기 통로(56)로부터 제1 고정 접점(10)을 향해 분출된다. 이에 따라, 아크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계전기(1)는 제2 분기 통로(57)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분기 통로(57)는 제2 가스 통로(38)로부터 제2 고정 단자(7)를 향해 제2 가스 통로(38)로부터 분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전기에서는 접점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한 아크의 재점호가 억제된다.
2:케이스, 6:제1 고정 단자, 7:제2 고정 단자, 11:제2 고정 접점,  10:제1 고정 접점, 12:제1 가동 접점, 13:제2 가동 접점, 28:제1가로 측벽, 31:제1 세로 내측면, 32:제2 세로 내측면, 33:제1 가로 내측면, 34:제2 가로 내측면, 35:제1 내벽, 36:제2 내벽, 37:제1 가스 통로, 38:제2 가스 통로, 41:제1 자석, 42:제2 자석, 43:제1 중앙면, 44:제1 아크 접촉면, 45:제2 중앙면, 46:제2 아크 접촉면, 51:제1 코너부, 54:제1 구멍, 351:제1 벽면, 354:제1 테이퍼면, 371:제1 유입구, 373:제1 테이퍼 형상, 381:제2 유입구, X1, X2:길이 방향, Y1, Y2:가로 방향

Claims (15)

  1. 제1 고정 단자;
    상기 제1 고정 단자에 연결된 제1 고정 접점;
    상기 제1 고정 접점에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한 제1 가동 접점;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고정 단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제2 고정 단자;
    상기 제2 고정 단자에 연결된 제2 고정 접점;
    상기 제2 고정 접점에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한 제2 가동 접점;
    제1 세로 내측면 및 제1 가로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 내측면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가로 방향으로 상기 제1 고정 단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1 가로 내측면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제1 중앙면, 및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제1 중앙면과 상기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아크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단자, 상기 제1 고정 접점, 상기 제1 가동 접점, 상기 제2 고정 단자, 상기 제2 고정 접점 및 상기 제2 가동 접점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상기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벽;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아크 접촉면과 마주보는 제1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내벽과 상기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 제1 가스 통로; 및
    상기 제1 중앙면에 대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고정 접점과 상기 제1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상기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하여 신장시키는 제1 자석을 구비하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 접촉면은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계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벽은 상기 제1 가스 통로와 마주보는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고정 단자의 상기 가로 방향의 단부와 나란히 배열된 제1 단자 위치와 상기 벽면과 나란히 배열된 제1 벽위치 사이의 범위내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내벽과 상기 제1 가로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상기 제1 가로 내측면 사이의 거리 이상인 전자 계전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상기 제1 내벽 사이의 상기 가로 방향의 거리는,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상기 제1 가로 내측면 사이의 상기 길이 방향의 거리 이하인 전자 계전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상기 제1 가스 통로의 폭은,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상기 제1 내벽 사이의 상기 가로 방향의 거리 이하인 전자 계전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가로 내측면을 포함하는 제1 가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가로 측벽에 매립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아크 접촉면과 상기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의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부는 상기 제1 아크 접촉면과 상기 제1 세로 내측면에 대해서 경사를 가지는 전자 계전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아크 접촉면과 상기 제1 세로 내측면 사이의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부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전자 계전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는 상기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전자 계전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벽은 상기 제1 아크 접촉면을 향해 연장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가스 통로와 연통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 통로는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내벽;
    제2 가스 통로; 및
    제2 자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제1 세로 내측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상기 제1 고정 단자 및 상기 제2 고정 단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제2 세로 내측면; 및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1 가로 내측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고정 단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제2 가로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로 내측면은,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2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제2 중앙면; 및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제2 중앙면과 상기 제2 세로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아크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벽은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제2 고정 단자와 상기 제2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스 통로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2 아크 접촉면과 마주보는 제2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내벽과 상기 제2 세로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중앙면에 대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 접점과 상기 제2 가동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상기 제2 아크 접촉면을 향하여 신장시키는 전자 계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벽과 상기 제2 가스 통로는 상기 제2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KR1020237024578A 2021-02-26 2022-01-18 전자 계전기 KR20230119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29809 2021-02-26
JP2021029809A JP7400755B2 (ja) 2021-02-26 2021-02-26 電磁継電器
PCT/JP2022/001569 WO2022181118A1 (ja) 2021-02-26 2022-01-18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001A true KR20230119001A (ko) 2023-08-14

Family

ID=8304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578A KR20230119001A (ko) 2021-02-26 2022-01-18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6580A1 (ko)
JP (1) JP7400755B2 (ko)
KR (1) KR20230119001A (ko)
CN (1) CN116848610A (ko)
DE (1) DE112022001246T5 (ko)
WO (1) WO202218111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4864A (ja) 2014-07-16 2016-02-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6547A (ja) 2007-03-09 2008-09-25 Denso Corp 電磁継電器
JP2013246872A (ja) 2012-05-23 2013-12-09 Panasonic Corp 接点装置
JP6972961B2 (ja) * 2017-11-22 2021-11-2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CN210640160U (zh) 2019-09-24 2020-05-29 上海为鹏科技有限公司 一种直流接触器的灭弧结构
CN111180230A (zh) 2020-01-15 2020-05-19 上海电器科学研究所(集团)有限公司 一种直流接触器灭弧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4864A (ja) 2014-07-16 2016-02-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2001246T5 (de) 2023-12-14
JP7400755B2 (ja) 2023-12-19
CN116848610A (zh) 2023-10-03
JP2022131071A (ja) 2022-09-07
WO2022181118A1 (ja) 2022-09-01
US20240096580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5550B2 (ja) 継電器
US9378914B2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the same
US20220293375A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2543987A (zh) 继电器
KR101670567B1 (ko) 전자 개폐기
JP2019096474A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CN112514024A (zh) 继电器
KR20230119001A (ko) 전자 계전기
WO2022091574A1 (ja) 電磁継電器
US20210398763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7468412B2 (ja) 電磁継電器
US11373830B2 (en) Electromagnetic relay to ensure stable energization even when contact is dissolved
JP2006196372A (ja) パワーリレー
US11348750B2 (en) Relay
JP7392678B2 (ja) 電磁継電器
JP2020115433A (ja) リレー
US11705292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11469063B2 (en) Contact device
WO2023112583A1 (ja) 電磁継電器
JP7107169B2 (ja) リレー
US20220406546A1 (en) Electromagnetic relay
WO2021181876A1 (ja) 電磁継電器
JP2023044536A (ja) 電磁継電器
KR20230119002A (ko) 전자 계전기
JP2006196368A (ja) パワーリレ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