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684A -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 Google Patents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684A
KR20230118684A KR1020237024561A KR20237024561A KR20230118684A KR 20230118684 A KR20230118684 A KR 20230118684A KR 1020237024561 A KR1020237024561 A KR 1020237024561A KR 20237024561 A KR20237024561 A KR 20237024561A KR 20230118684 A KR20230118684 A KR 2023011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iquid
emergency release
coupler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코 오시베
츠토무 오노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17C2205/0364Pipes flexible or articulated, e.g. a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1Fluid distribution for supply of supplying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5Fluid distribution for refueling vehicle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F17C2270/0171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는, 육측 저온 탱크에 저류한 액체 수소를 선측 저온 탱크에 이송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로서, 선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선측 액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1 조인트, 및 육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육측 액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2 조인트를 구비하고, 액체 수소를 인도하는 액체 수소 배관과, 액체 수소 배관에 배치된 제1 긴급 이탈 장치와, 선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선측 가스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3 조인트를 구비하고, 액체 수소가 기화된 수소 가스를 인도하는 수소 가스 배관과, 수소 가스 배관에 배치된 제2 긴급 이탈 장치와, 일단이 수소 가스 배관에 접속되고, 타단이 대기 개방된 벤트 배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본 발명은, 선측 저온 탱크와 육측 저온 탱크 사이에서 액체 수소를 이송하기 위한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可搬型) 하역 설비에 관한 것이다.
선측 저온 탱크와 육측 저온 탱크 사이에서 저온 유체를 하역하는 설비로서, 특허문헌은, 저온 유체의 하역 시의 지리적 제약에 따른 자인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육측 저온 탱크와 선측 저온 탱크 사이에서 LNG를 통류하는 유체 통류관을 구비하는 이동체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체는 펌프를 구비하고 있고, 육측 저온 탱크로부터 토출한 액화 저온 유체를 가압하여, 유체 통류관을 통해 선측 저온 탱크에 압송한다. 이러한 이동체는, 유체 통류관에서 배와 하역 설비 사이의 유체의 통류를 차단하는 긴급 차단 밸브와, 긴급 시에 배와 하역 설비를 분리하는 긴급 이탈 장치(ERC: Emergency Release Coupler)를 구비한다. 저온 유체의 하역 중에 급격한 돌풍 등에 따라서 배가 이동하는 경우 등에, 긴급 이탈 장치를 이탈시켜서, 배와 하역 설비를 분리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2020-104830호
그런데, 액체 수소를 저류하는 선측 저온 탱크에서는, 액체 수소가 기화한 극저온의 수소 가스가 발생하지만, 이러한 선측 저온 탱크 내의 수소 가스를 배 이외의 설비로부터 대기로 방출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육측 저온 탱크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로 액체 수소를 하역하는 동안, 선측 저온 탱크 내에서 액체 수소가 기화한 수소 가스를 배 이외의 설비로부터 대기로 방출할 수 있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는, 육측 저온 탱크에 저류한 액체 수소를 선측 저온 탱크에 이송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로서, 상기 선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선측 액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1 조인트, 및 상기 육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육측 액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2 조인트를 구비하고, 액체 수소를 인도하는 액체 수소 배관과, 상기 액체 수소 배관에 배치된 제1 긴급 이탈 장치와, 상기 선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선측 가스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3 조인트를 구비하고, 액체 수소가 기화된 수소 가스를 인도하는 수소 가스 배관과, 상기 수소 가스 배관에 배치된 제2 긴급 이탈 장치와, 일단이 상기 수소 가스 배관에 접속되고, 타단이 대기 개방된 벤트 배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측 저온 탱크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로 액체 수소를 하역하는 동안, 선측 저온 탱크 내에서 액체 수소가 기화한 수소 가스를 배 이외의 설비로부터 대기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반형 하역 설비가 육측 저온 탱크와 선측 저온 탱크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가반형 하역 설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가반형 하역 설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수소 이송 시스템의 배관 계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반형 하역 설비의 긴급 이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액체 수소 이송 중에서 긴급 이탈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고정 액관 및 호스와의 접속을 해제한 상태의 제1 긴급 이탈 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충격 완화 장치 및 이동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반형 하역 설비의 긴급 이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1 긴급 이탈 장치가 이탈된 직후의 긴급 이탈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반형 하역 설비의 긴급 이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1 긴급 이탈 장치가 이탈한 후에 배가 해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긴급 이탈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반형 하역 설비(3)가 육측 저온 탱크(10)와 선측 저온 탱크(20)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육측 저온 탱크(10)는 탱크로리(1)의 일부를 구성하는 탱크이다. 그러나, 육측 저온 탱크(10)는, 주행 차량 등에 의해 가반되는 탱크 컨테이너의 일부를 구성하는 탱크라도 좋다. 선측 저온 탱크(20)는, 예를 들어, 선박(2)에 탑재된 연료 탱크 또는 카고 탱크이다. 탱크로리(1), 선박(2) 및 가반형 하역 설비(3)에 의해서, 육측 저온 탱크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로 액체 수소를 이송하는 액체 수소 이송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가반형 하역 설비(3)는, 육측 저온 탱크(10)와 선측 저온 탱크(20) 중 일방의 탱크로부터 타방의 탱크로 액체 수소를 이송하는 하역 설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반형 하역 설비(3)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을 지지하는 차체(32)와, 차체(32)에 지지되어 차체(32)를 지지하는 복수의 차륜을 구동하는 주행 구동원을 구비하는 주행 차량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가반형 하역 설비(3)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가반형 하역 설비(3)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프레임(31)에는, 가반형 하역 설비(3)가 구비하는 각종 기기나 배관 등이 지지되지만, 도 2a 및 2b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이들 각종 기기나 배관을 생략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방향의 개념은, 편의상, 주행 차량인 가반형 하역 설비(3)의 운전자를 기준으로 한다. 즉, 가반형 하역 설비(3)의 전, 후, 상, 하, 좌, 우는 차체(32)의 전, 후, 상, 하, 좌, 우에 각각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프레임(31)은, 가반형 하역 설비(3)가 구비하는 각종 기기나 배관 등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31)은 후술하는 액체 수소 배관(50) 및 수소 가스 배관(60), 더 상세하게는 고정 액관(51) 및 고정 가스관(61)을 지지한다. 프레임(31)과, 프레임(31)에 지지되는 각종 기기나 배관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반형 하역 설비(3)가 구비하는 각종 기기나 배관은, 프레임(31)마다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31)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 프레임이다. 더 상세하게는, 프레임(31)은, 복수의 연장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 및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체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31)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20 피트(약 6 m)인 20 피트 컨테이너용의 컨테이너 프레임이라도 좋고, 40 피트 컨테이너용의 컨테이너 프레임이라도좋다.
프레임(31)은, 프레임 상부(31a)와, 프레임 하부(31b)와, 프레임 기둥부(31c)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상부(31a)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전후 방향 연장 부재와, 이들 2개의 전후 방향 연장 부재의 전단부끼리와 후단부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좌우 방향 연장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하부(31b)는, 프레임 상부(31a)와 대략 동일 형상 및 동일 크기이고, 2개의 전후 방향 연장 부재 및 2개의 좌우 방향 연장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기둥부(31c)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레임 상부(31a) 및 프레임 하부(31b)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프레임(31)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프레임(31)의 내부 영역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프레임(31)의 내부 영역은, 벤트 배관 배치 영역(41), 호스 배치 영역(42), 긴급 이탈 장치 배치 영역(43), 가온부 배치 영역(44), 봄베 배치 영역(45), 조작 기기 배치 영역(46)을 포함한다. 벤트 배관 배치 영역(41), 호스 배치 영역(42), 긴급 이탈 장치 배치 영역(43), 가온부 배치 영역(44), 조작 기기 배치 영역(46)은, 이 순서로 앞에서부터 배열되어 있다. 조작 기기 배치 영역(46)이 벤트 배관 배치 영역(41)으로부터 가능한 멀리 떨어져 있도록, 벤트 배관 배치 영역(41)은 프레임(31)의 내부 영역의 최전방 부분에 배치되고, 조작 기기 배치 영역(46)은 프레임(31)의 내부 영역에서 가장 뒤쪽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온부 배치 영역(44)과 봄베 배치 영역(45)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프레임(31)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나 배관은 프레임(3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긴급 이탈 장치 배치 영역(43), 가온부 배치 영역(44), 봄베 배치 영역(45) 및 조작 기기 배치 영역(46)의 하부 근방에, 액체 받이부(3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영역(41 ~ 46)에 배치되는 기기나 배관, 및 액체 받이부(34)에 대해서, 후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체 수소 이송 시스템의 배관 계통도이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배관 계통에서 육측 저온 탱크(10)에 가까운 측을 「육측」, 배관 계통에서 선측 저온 탱크(20)에 가까운 측을 「선측」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탱크로리(1)는, 육측 저온 탱크(10)와,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연장하는 육측 액관(11)과,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연장하는 육측 가스관(12)을 구비한다.
육측 액관(11)은 육측 저온 탱크(10)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측 액관(11)은, 액체 수소를 저류한 상태의 육측 저온 탱크(10)의 액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육측 액관(11)에는, 차단 밸브(1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육측 저온 탱크(10)와는 반대측의 육측 액관(11)의 단부에는, 조인트(11b)가 설치되어 있다.
육측 가스관(12)은 육측 저온 탱크(10)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측 가스관(12)은, 액체 수소를 저류한 상태의 육측 저온 탱크(10)의 기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육측 가스관(12)에는, 보일 오프 가스 폐쇄 밸브(1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육측 저온 탱크(10)와는 반대측의 육측 가스관(12)의 단부에는, 조인트(1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육측 액관(11)에서 차단 밸브(11a)와 조인트(11b)의 사이의 부분과, 육측 가스관(12)에서 보일 오프 가스 폐쇄 밸브(12a)와 조인트(12b)의 사이의 부분은, 육측 접속 배관(1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육측 접속 배관(13)에는, 개폐 밸브(13a)가 설치되어 있다. 육측 접속 배관(13)은, 후술하는 퍼지 가스 공급 장치(90)에 의해 퍼지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를 구성한다.
또한, 탱크로리(1)는, 환류 배관(14)과, 개폐 밸브(15) 및 증발기(16)를 구비한다. 환류 배관(14)의 상류단은, 육측 저온 탱크(10)의 액상부에 접속되고, 환류 배관(14)의 하류단은, 육측 저온 탱크(10)의 기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15)는 환류 배관(14)에 설치되어 있고, 증발기(16)는 환류 배관(14)에서 개폐 밸브(15)와 환류 배관(14)의 하류단과의 사이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환류 배관(14), 개폐 밸브(15) 및 증발기(16)는, 자기 가압식 압송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러한 자기 가압식 압송 시스템은,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환류 배관(14)에서 증발기(16)보다 상류 부분을 통해 증발기(16)로 인도된 액체 수소를 당해 증발기(16)로 기화하고, 기화한 수소 가스를, 환류 배관(14)에서 증발기(16)의 하류측 부분을 통해 육측 저온 탱크(10)의 기상부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선측 저온 탱크(20)의 기상부의 가스압보다 육측 저온 탱크(10)의 기상부의 가스압을 높게 함으로써,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20)로 액체 수소를 압송한다.
선박(2)은, 선측 저온 탱크(20)와, 선측 저온 탱크(20)로부터 연장하는 선측 액관(21)과, 선측 저온 탱크(20)로부터 연장하는 선측 가스관(22)을 구비한다.
선측 액관(21)은 선측 저온 탱크(20)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성측 액관(21)은, 액체 수소를 저류한 상태의 선측 저온 탱크(20)의 액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선측 액관(21)에는, 차단 밸브(2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측 저온 탱크(20)와는 반대측의 선측 액관(21)의 단부에는, 조인트(21b)가 설치되어 있다.
선측 가스관(22)은, 선측 저온 탱크(20)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측 가스관(22)은, 액체 수소를 저류한 상태의 선측 저온 탱크(20)의 기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선측 가스관(22)에는, 보일 오프 가스 폐쇄 밸브(2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측 저온 탱크(20)와는 반대측의 선측 가스관(22)의 단부에는, 조인트(2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측 액관(21)에서 차단 밸브(21a)와 조인트(21b) 사이의 부분과, 선측 가스관(22)에서 보일 오프 가스 폐쇄 밸브(22a)와 조인트(22b) 사이의 부분은, 선측 접속 배관(2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선측 접속 배관(23)에는, 개폐 밸브(23a)가 설치되어 있다. 선측 접속 배관(23)은 후술하는 퍼지 가스 공급 장치(90)에 의해 퍼지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를 구성한다.
가반형 하역 설비(3)는, 액체 수소 배관(50)과 수소 가스 배관(60)을 구비한다. 액체 수소 배관(50) 및 수소 가스 배관(60)은, 예를 들어 주지의 이중관 구조라도 좋고, 방열재가 감긴 일중관 구조라도 좋다. 액체 수소 배관(50)의 일단은, 육측 액관(11)의 선측의 단부와 접속되고, 액체 수소 배관(50)의 타단은, 선측 액관(21)의 육측의 단부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소 가스 배관(60)의 일단은, 육측 가스관(12)의 선측의 단부와 접속되고, 수소 가스 배관(60)의 타단은, 선측 가스관(22)의 육측의 단부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체 수소 배관(50)은, 고정 액관(51), 제1 긴급 이탈 유닛(70), 호스(52) 및 호스(53)를 구비한다. 호스(52)는 제1 호스의 일례이다.
고정 액관(51)은, 프레임(31)에 고정 부재(3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 액관(51)은 후술하는 플렉시블 호스부(52c, 53c)에 비해 강성이 높은 배관이다. 고정 액관(51)의 양단에는, 각각 조인트(51a, 51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은, 제1 긴급 이탈 장치(71)와, 제1 배관(72)과, 제2 배관(73)을 구비한다.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은, 긴급 이탈 장치 배치 영역(43)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긴급 이탈 장치(71)는, 육측의 제1 유닛(71a)과, 선측의 제2 유닛(71b)과, 제1 유닛(71a)과 제2 유닛(71b)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속하는 클램프(71c)를 구비한다. 제1 긴급 이탈 장치(71)는, 오퍼레이터의 판단에 따라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수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긴급 이탈 장치(71)는, 이탈 시에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차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닛(71a)과 제2 유닛(71b)은 각각 내부에 긴급 차단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긴급 차단 밸브는, 제1 긴급 이탈 장치(71)를 이탈 동작시킬 경우에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은 가반형 하역 설비(3)의 긴급 이탈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은 제1 긴급 이탈 어셈블리에 대응한다. 또한, 제1 유닛(71a)은 제1 커플러에 대응하고, 제2 유닛(71b)은 제2 커플러에 대응한다.
제1 배관(72)의 일단에, 제1 유닛(71a)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배관(72)의 타단에, 고정 액관(51)의 조인트(51a)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72a)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72a)는 제4 조인트의 일례이다. 제2 배관(73)의 일단에, 제2 유닛(71b)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배관(73)의 타단에, 조인트(73a)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73a)는 제5 조인트의 일례이다.
호스(52)의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 호스부(52c)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호스부(52c)는 제1 플렉시블 호스부의 일례이다. 호스(52)의 일단에는, 제2 배관(73)의 조인트(73)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52a)가 설치되어 있고, 호스(52)의 타단에는, 선측 액관(21)의 조인트(21b)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52b)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52b)는 제1 조인트의 일례이다.
호스(53)의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 호스부(53c)로 구성되어 있다. 호스(53)의 일단에는, 고정 액관(51)의 조인트(51b)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53a)가 설치되어 있고, 호스(53)의 타단에는, 육측 액관(11)의 조인트(11b)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53b)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53b)는 제2 조인트의 일례이다.
수소 가스 배관(60)은, 고정 가스관(61), 제2 긴급 이탈 유닛(80), 호스(62) 및 호스(63)를 구비한다. 호스(62)는 제2 호스의 일례이다.
고정 가스관(61)은, 프레임(31)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 가스관(61)은 후술하는 플렉시블 호스부(62c, 63c)에 비해 강성이 높은 배관이다. 고정 가스관(61)의 양단에는, 각각 조인트(61a, 61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은, 제2 긴급 이탈 장치(81)와, 제3 배관(82)과, 제4 배관(83)을 구비한다.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은, 긴급 이탈 장치 배치 영역(43)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긴급 이탈 장치(81)는, 육측의 제3 유닛(81a)과, 제3 유닛(81a)에 클램프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접속된 선측의 제4 유닛(81b)을 구비한다. 제2 긴급 이탈 장치(81)는, 오퍼레이터의 판단에 따라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수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긴급 이탈 장치(81)는, 이탈 시에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차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유닛(81a)과 제4 유닛(81b)은 각각 내부에 긴급 차단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긴급 차단 밸브는, 제2 긴급 이탈 장치(81)를 이탈 동작시킬 경우에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은 가반형 하역 설비(3)의 긴급 이탈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은 제2 긴급 이탈 어셈블리에 대응한다. 또한, 제3 유닛(81a)은 제3 커플러에 대응하고, 제4 유닛(81b)은 제4 커플러에 대응한다.
제3 배관(82)의 일단에, 제3 유닛(81a)이 설치되어 있다. 제3 배관(82)의 타단에, 고정 가스관(61)의 조인트(61a)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82a)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82a)는 제6 조인트의 일례이다. 제4 배관(83)의 일단에, 제4 유닛(81b)이 설치되어 있다. 제4 배관(83)의 타단에, 조인트(83a)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83a)는 제7 조인트의 일례이다.
호스(62)의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 호스부(62c)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호스부(62c)는 제2 플렉시블 호스부의 일례이다. 호스(62)의 일단에는, 제4 배관(83)의 조인트(83a)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62a)가 설치되어 있고, 호스(62)의 타단에는, 선측 가스관(22)의 조인트(22b)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62b)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62b)는 제3 조인트의 일례이다.
호스(63)의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 호스부(63c)로 구성되어 있다. 호스(63)의 일단에는, 고정 가스관(61)의 조인트(61b)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63a)가 설치되어 있고, 호스(63)의 타단에는, 육측 가스관(12)의 조인트(12b)에 접속 가능한 조인트(63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액관(51) 및 고정 가스관(61)은, 프레임(31)에 대해 항상 고정된 상태에 있다. 또한, 제1 긴급 이탈 유닛(70) 및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은, 메인터넌스 시 등 이외에는, 고정 액관(51) 및 고정 가스관(61)에 접속됨으로써 프레임(31)에 대해 고정된 상태이다. 한편, 호스(52), 호스(53), 호스(62) 및 호스(63)는, 예를 들어, 하역 현장으로 이동할 때 등, 가반형 하역 설비(3)의 이동 중에는, 각각 제1 긴급 이탈 유닛(70), 고정 액관(51), 제2 긴급 이탈 유닛(80) 및 고정 가스관(61)과의 접속이 해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호스(52), 호스(53), 호스(62) 및 호스(63)는, 가반형 하역 설비(3)의 이동 중에는, 호스 배치 영역(42)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수소 배관(50)에서 제1 긴급 이탈 장치(71)와 조인트(53b) 사이의 부분에는, 차단 밸브(54)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단 밸브(54)는 고정 액관(5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체 수소 배관(50)에서 차단 밸브(54)의 육측 부분에는,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는, 고정 액관(41)에서 차단 밸브(54)와 조인트(51b) 사이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소 가스 배관(60)에서 고정 가스관(61)에는, 퍼지 가스 폐쇄 밸브(64)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 가스관(61)에서 퍼지 가스 폐쇄 밸브(64)와 조인트(61b) 사이의 부분에는 퍼지 가스 폐쇄 밸브(65)가 설치되어 있다.
차단 밸브(54) 및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64, 65)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수동 조작을 접수하도록 구성된 수동 조작 밸브이다. 예를 들어, 차단 밸브(54) 및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64, 65)는 각각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직접 받는 조작 레버 또는 조작 핸들을 구비한다.
차단 밸브(54) 및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64, 65)는 조작 기기 배치 영역(46)에 배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차단 밸브(54) 및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64, 65)는, 벤트 배관(100)의 방출구(100a)보다 하방이며, 또한 상면에서 볼 때 방출구(100a)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조작 기기 배치 영역(46)을 프레임(31)의 내부 영역에서 가장 뒤쪽의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차단 밸브(54) 및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64, 65)에 대하여 오퍼레이터가 액세스하기 쉽게 되어 있다.
가반형 하역 설비(3)는 액체 수소 배관(50)에 질소 가스와 수소 가스를 선택적으로 퍼지 가스로서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 퍼지 가스 공급 장치(90)를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퍼지 가스 공급 장치(90)는 질소 가스 공급원(91)과 수소 가스 공급원(92)을 포함한다. 질소 가스 공급원(91)은, 예를 들어 질소 가스 봄베이고, 질소 가스 공급원(91)으로부터 액체 수소 배관(50)에 질소 가스를 공급하는 유로에는 봄베 개폐 밸브(91a)가 설치되어 있다. 수소 가스 공급원(92)은, 예를 들어 수소 가스 봄베이고, 수소 가스 공급원(92)으로부터 액체 수소 배관(50)에 수소 가스를 공급하는 유로에는 봄베 개폐 밸브(92a)가 설치되어 있다. 질소 가스 공급원(91) 및 수소 가스 공급원(92)은 봄베 배치 영역(45)에 배치되어 있다. 퍼지 가스 공급 장치(90)는, 액체 수소 배관(50)에서 차단 밸브(54)와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사이의 부분에, 퍼지 가스로서 질소 가스 및 수소 가스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한다. 여기서, 질소 가스 공급원(91) 및 수소 가스 공급원(92)은 봄베 배치 영역(45)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프레임(31)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질소 가스 공급원(91) 및 수소 가스 공급원(92)은 가반형 하역 설비(3)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가반형 하역 설비(3)는, 벤트 배관(100)을 더 구비한다. 벤트 배관(100)은 선측 저온 탱크(20)로부터 인도된 수소 가스를 대기로 방출한다. 또한, 벤트 배관(100)은 퍼지 가스 공급 장치(90)로부터 액체 수소 배관(50)에 공급된 퍼지 가스를 대기로 방출한다. 벤트 배관(100)은, 예를 들어 주지의 이중관 구조이라도 좋고, 방열재가 감긴 일중관 구조이라도 좋다. 벤트 배관(100)의 일단은 수소 가스 배관(60)에 접속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벤트 배관(100)의 일단은 고정 가스관(61)에서 퍼지 가스 폐쇄 밸브(64)와 퍼지 가스 폐쇄 밸브(65) 사이의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벤트 배관(100)의 타단에는, 대기 개방된 방출구(100a)가 설치되어 있다.
벤트 배관(100)은 벤트 배관 배치 영역(41)에 배치된다. 벤트 배관(100)은, 예를 들어 프레임(31)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벤트 배관 배치 영역(41)에, 벤트 배관(100)의 일부만이 배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벤트 배관 배치 영역(41)에, 벤트 배관(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벤트 배관(100)은, 당해 지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방출구(100a)는 프레임 상부(31a)의 상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벤트 배관(100)은 고정 가스관(6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차체(32)의 이동 중에는, 고정 가스관(6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프레임(31) 또는 차체(32)에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벤트 배관(100)에는, 벤트 밸브(101)가 설치되어 있다. 벤트 밸브(101)는, 벤트 배관(100)이 형성하는 유로를 개폐한다. 또한, 벤트 배관(100)에서 고정 가스관(61)과의 접속 개소와 벤트 밸브(101) 사이의 부분에는, 가온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가온부(102)는, 인도된 액체 수소 또는 그것이 기화한 수소 가스를 가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온부(102)는 가온부 배치 영역(44)에 배치되어 있다(도 2a, 2b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가온부(102)는,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저온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열교환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당해 열교환 구조는, 외부의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내부의 저온 유체를 가온하도록 벨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된 관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온부(102)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온부(102)는, 내부의 저온 유체와 열교환하는 냉매로서, 예를 들어 온수 등 공기 이외의 냉매를 사용하여도 좋다. 가온부(102)는 가온기에 대응한다.
또한, 벤트 배관(100)의 벤트 밸브(101)와 방출구(100a) 사이에는, 역류 방지 장치(103)가 접속되어 있다. 역류 방지 장치(103)는, 대기가 방출구(100a)로부터 벤트 배관(1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역류 방지 장치(103)는, 질소 가스 봄베를 포함하고, 벤트 배관(100)에서 벤트 밸브(101)와 방출구(100a) 사이에 질소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역류 방지 장치(103)는, 벤트 밸브(101)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질소 가스를 벤트 배관(100) 내에 공급하여, 벤트 배관(100) 내가 정압이 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서, 벤트 배관(100) 내가 부압이 되어 대기가 방출구(100a)로부터 벤트 배관(1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역류 방지 장치(103)의 질소 가스 봄베는 봄베 배치 영역(45)에 배치되어도 좋다.
(긴급 이탈 시스템)
가반형 하역 설비(3)는, 긴급 이탈 시스템을 구비한다. 긴급 이탈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도 4 ~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 및 후술하는 도 7, 8에서는, 긴급 이탈 시스템의 설명에 관여하지 않는 구성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수소 가스 배관(60) 및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은 각각 액체 수소 배관(50) 및 제1 긴급 이탈 유닛(70)과 거의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도 4 ~ 8에서, 액체 수소 배관(50) 및 제1 긴급 이탈 유닛(70)과 관련된 구성만을 도시하고, 이하, 액체 수소 배관(50) 및 제1 긴급 이탈 유닛(70)에 대하여 설명하고, 수소 가스 배관(60) 및 제2 긴급 이탈 유닛(80)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반형 하역 설비(3)의 긴급 이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액체 수소 이송 중에서 긴급 이탈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고정 액관(51)과 호스(52)의 접속을 해제한 상태의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가반형 하역 설비(3)의 긴급 이탈 시스템은, 제1 긴급 이탈 유닛(70) 및 제2 긴급 이탈 유닛(80) 외에, 승강 장치(110), 충격 완화 장치(120), 이동 장치(130)를 구비한다. 이들 제1 긴급 이탈 유닛(70), 제2 긴급 이탈 유닛(80), 승강 장치(110), 충격 완화 장치(120) 및 이동 장치(130)는 긴급 이탈 장치 배치 영역(43)에 배치되어 있다. 충격 완화 장치는 충격 완화기에 대응한다. 승강 장치(110)는 승강기에 대응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긴급 이탈 장치(71)는, 제1 유닛(71a)으로부터 분리된 제2 유닛(71b)이 자중으로 낙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액관(51)의 조인트(51a) 근방 부분은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은, 제1 유닛(71a)이 제2 유닛(71b)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 액관(51)에 접속되어 지지된다.
승강 장치(110)는, 고정 액관(51)에 대하여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을 접속하거나, 고정 액관(51)으로부터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을 분리하거나 할 때에 사용된다. 고정 액관(51)에 대하여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을 접속할 때에는, 승강 장치(110)는 프레임 하부(31b) 또는 노면의 근방 위치로부터, 고정 액관(51)의 조인트(51a)에 접속 가능한 위치까지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을 들어올린다. 예를 들어 승강 장치(110)는 프레임 하부(31b) 또는 차체(32)에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승강 장치(110)는 윈치이고, 승강 장치(110)는 프레임 상부(31a)로부터 매달릴 수 있도록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을 들어올린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71a)은 승강 장치(110)의 로프가 접속되는 피접속부(74)를 구비한다. 승강 장치(110)는 윈치가 아니어도 좋고 잭이라도 좋다.
제1 배관(72)은 제1 유닛(71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배관(73)은 제2 유닛(71b)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제1 배관(72)에는, 클램프(71c)를 지지하는 클램프 지지부(75)가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지지부(75)는 제1 배관(72)에 고정된 지지체(75a)와, 지지체(75a)와 클램프(71c)를 연결하는 와이어(75b)를 포함한다. 클램프 지지부(75)는, 제1 긴급 이탈 장치(71)가 이탈 동작할 때에 클램프(71c)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하방에, 충격 완화 장치(120), 이동 장치(130), 액체 받이부(34)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충격 완화 장치(120) 및 이동 장치(130)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충격 완화 장치(120)는, 제2 유닛(71b) 및 제4 유닛(81b)의 낙하 충격을 완화한다. 충격 완화 장치(120)는 유닛 서포트(121), 서포트 가이드(122) 및 충격 흡수 부재(123)를 포함한다.
유닛 서포트(121)는, 제1 긴급 이탈 장치(71)가 이탈 동작한 후에 제2 유닛(71b)을 지지한다. 서포트 가이드(122)는 유닛 서포트(121)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한다. 예를 들어, 유닛 서포트(121)는, 적어도 제1 긴급 이탈 장치(71)가 이탈 동작한 후에 제2 유닛(71b) 또는 제2 배관(73)과 당접(當接)하는 당접부(121a)와, 당접부(121a)에 고정된 1 이상의 막대 형상의 슬라이드부(121b)를 포함하고, 서포트 가이드(122)는 1 이상의 막대 형상의 슬라이드부(121b)가 관통하는 적어도 상방으로 개구된 1 이상의 구멍을 구비한다. 서포트 가이드(122)는 이동 장치(13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닛 서포트(121)는, 제1 긴급 이탈 장치(71)가 이탈 전 및 이탈 후에 호스(5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호스 지지부(121c)를 구비한다.
충격 흡수 부재(123)는, 당접부(121a)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탄성 변형함으로써 제2 유닛(71b) 및 제4 유닛(81b)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다. 충격 흡수 부재(123)는, 예를 들어 스프링이다. 충격 흡수 부재(123)는 쿠션 등이라도 좋다. 충격 흡수 부재(123)는 이동 장치(130)에 고정되어 있다.
이동 장치(130)는 충격 완화 장치(120)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동 장치(130)는, 제1 유닛(71a)으로부터 분리된 제2 유닛(71b)을, 충격 완화 장치(120)를 통해 지지한다. 또한, 이동 장치(130)는 분리된 제2 유닛(71b)의 프레임(31)에 대하여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분리된 제2 유닛(71b)이 선박(2)의 이동에 따라서 호스(52)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에도, 이동 장치(130)에 의해 제2 유닛(71b)은 선박(2)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스무스하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장치(130)는 적어도 1개의 대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수소를 하역하고 있는 동안, 이동 장치(130)를 탑재한 탑재면과 노면 사이에는, 그들을 가로지르는, 이동 장치(130)가 주행 가능한 슬로프(131)가 배치된다. 이동 장치(130)는, 가반형 하역 설비(3)의 이동 중에는 소정의 로크 수단에 의해 프레임(31)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로크되어 있다. 그리고, 가반형 하역 설비(3)를 이용한 액체 수소의 하역을 개시할 때, 또는 제1 긴급 이탈 장치(71)가 이탈 동작했을 때에, 로크 수단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고, 이동 장치(130)는 프레임(3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충격 완화 장치(120)는, 1개의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서로 분리된 복수의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동 장치(130)는, 1개의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서로 분리된 복수의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130)는 제2 유닛(71b) 및 제4 유닛(81b) 쌍방을 지지하는 1개의 대차라도 좋고, 제2 유닛(71b) 및 제4 유닛(81b)을 각각 지지하는 2개의 대차라도 좋다.
이동 장치(130)는 액체 받이부(34)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받이부(34)는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근방에서 생성될 수 있는 액체 공기를 받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는, 이탈 시에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차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동작 중에 약간 액체 수소가 누설할 가능성이 있다. 액체 수소가 누설하면,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 근방의 공기가 냉각되어, 액체 공기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생성된 액체 공기를 액체 받이부(34)가 받기 때문에, 가반형 하역 설비(3)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나 가반형 하역 설비(3)가 설치된 노면 등이, 액체 공기에 의해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체 받이부(34)는 스테인레제의 팬 또는 플레이트이다. 액체 수용부(34)는, 예를 들어 차체(32) 또는 프레임 하부(31b)에 지지된다.
(액체 수소의 이송 방법)
다음으로, 가반형 하역 설비(3)를 이용한 액체 수소의 이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이송 방법은,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20)로 액체 수소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가반형 하역 설비(3)를 육측 저온 탱크(10) 및 선측 저온 탱크(20)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선박(2)을 항구에 정박시키고, 탱크로리(1)를 선박(2)의 정박 위치 근방의 육상에 배치한다. 또한, 가반형 하역 설비(3)는 탱크로리(1) 근방의 육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측 저온 탱크(10)와 선측 저온 탱크(20) 사이에 가반형 하역 설비(3)를 개재시킨다.
즉, 호스(52), 호스(53), 호스(62) 및 호스(63)를 호스 배치 영역(42)으로부터 취출한다. 그리고, 호스(52)를 제1 긴급 이탈 유닛(70) 및 선측 액관(21)에 접속하고, 호스(53)를 고정 액관(51) 및 육측 액관(11)에 접속하고, 호스(62)를 제2 긴급 이탈 유닛(80) 및 선측 가스관(22)에 접속하고, 호스(63)를 고정 가스관(61) 및 육측 가스관(12)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주행 차량인 가반형 하역 설비(3)는, 액체 수소 배관(50)을 프레임(31)에 고정한 채로, 액체 수소 배관(50)을 선측 액관(21) 및 육측 액관(11)에 접속 가능하고, 또한, 수소 가스 배관(60)을 프레임(31)에 고정한 채로, 수소 가스 배관(60)을 선측 가스관(22) 및 육측 가스관(12)에 접속 가능하다.
다음으로, 배관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퍼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액체 수소용의 배관 계통에서, 봄베 개폐 밸브(91a),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개폐 밸브(13a), 퍼지 가스 폐쇄 밸브(65), 벤트 밸브(101)를 개방 상태로 하고, 이들 이외의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하고, 그 후, 질소 가스 공급원(91)에 의해 질소 가스의 공급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액체 수소용의 배관 계통에서 질소 가스 공급원(91) 및 벤트 배관(100) 보다 육측 부분의 배관 내의 공기가 벤트 배관(100)에 의해 배출된다
또한, 액체 수소용의 배관 계통에서, 봄베 개폐 밸브(91a), 차단 밸브(54), 개폐 밸브(23a), 퍼지 가스 폐쇄 밸브(64), 벤트 밸브(101)를 개방 상태로 하고, 이들 이외의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하고, 그 후, 질소 가스 공급원(91)에 의해 질소 가스의 공급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액체 수소용의 배관 계통에서 질소 가스 공급원(91) 및 벤트 배관(100) 보다 선측 부분의 배관 내의 공기가 벤트 배관(100)에 의해 배출된다.
다음으로, 배관 내의 질소 가스를 수소 가스로 퍼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액체 수소용의 배관 계통에서, 봄베 개폐 밸브(92a),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개폐 밸브(13a), 퍼지 가스 폐쇄 밸브(65), 벤트 밸브(101)를 개방 상태로 하고, 이들 이외의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하고, 그 후, 수소 가스 공급원(92)에 의해 수소 가스의 공급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액체 수소용의 배관 계통에서 수소 가스 공급원(92) 및 벤트 배관(100) 보다 육측 부분의 배관 내의 질소 가스가 벤트 배관(100)에 의해 배출된다.
또한, 액체 수소용의 배관 계통에서, 봄베 개폐 밸브(92a), 차단 밸브(54), 개폐 밸브(23a), 퍼지 가스 폐쇄 밸브(64), 벤트 밸브(101)를 개방 상태로 하고, 이들 이외의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하고, 그 후, 수소 가스 공급원(92)에 의해 수소 가스의 공급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액체 수소용의 배관 계통에서 수소 가스 공급원(92) 및 벤트 배관(100) 보다 선측 부분의 배관 내의 질소 가스가 벤트 배관(100)에 의해 배출된다
다음으로,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20)로 액체 수소를 이송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액체 수소용의 배관 계통에서, 차단 밸브(11a),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차단 밸브(54), 차단 밸브(21a), 보일 오프 가스 폐쇄 밸브(22a), 퍼지 가스 폐쇄 밸브(64), 벤트 밸브(101)를 개방 상태로 하고, 이들 이외의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한다.
그리고, 개폐 밸브(15)를 개방하고, 육측 저온 탱크(10)의 액상부로부터 환류 배관(14)을 통해 증발기(16)에 액체 수소를 인도하고, 인도된 액체 수소를 증발기(16)로 기화시킨다. 증발기(16)에서 기화된 수소 가스는 환류 배관(14)을 통해 육측 저온 탱크(10)의 기상부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육측 저온 탱크(10)의 기상부의 가스 압력을 상승시킨다. 또한, 선측 저온 탱크(20)에 액체 수소를 공급하는 동안, 선측 가스관(22), 수소 가스 배관(60), 벤트 배관(100)을 통해서, 선측 저온 탱크(20) 내에서 액체 수소가 기화된 수소 가스를 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선측 저온 탱크(20)의 기상부의 가스압에 비해 육측 저온 탱크(10)의 기상부의 가스압을 높일 수 있고, 육측 저온 탱크(10)의 기상부의 가스압에 의해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20)로 액체 수소를 압송할 수 있다.
(긴급 이탈의 흐름)
다음으로, 가반형 하역 설비(3)의 긴급 이탈 시스템에 의한 긴급 이탈의 흐름에 대해서, 도 4, 7,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수소 이송 중,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은, 제1 유닛(71a)이 제2 유닛(71b)에 접속된 상태이다.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은, 제3 유닛(81a)이 제4 유닛(81b)에 접속된 상태이다.
액체 수소를 이송하고 있는 도중에 강풍, 쓰나미, 지진 등이 발생한 경우 등의 긴급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먼저 차단 밸브(11a), 차단 밸브(54), 차단 밸브(21a) 및 보일 오프 가스 폐쇄 밸브(22a)를 폐쇄한다. 그 후,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이탈 동작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71b) 및 제4 유닛(81b)은 각각 자중으로 낙하하고, 충격 완화 장치(120)에 지지된다.
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2)이 해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호스(52, 62)로 당겨져서, 제2 유닛(71b) 및 제4 유닛(81b)이 이동 장치(130)와 함께 선박(2)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1 유닛(71a) 및 제3 유닛(81a)은 각각 고정 액관(51) 및 고정 가스관(61)에 접속된 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적시에 조인트(51a, 72a)끼리의 접속과 조인트(61a, 82a)끼리의 접속을 해제하고, 승강 장치(110)에 의해 제1 유닛(71a) 및 제3 유닛(81a)을 내린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20)로 액체 수소를 이송하는 동안, 선측 저온 탱크(20) 내에서 액체 수소가 기화한 수소 가스를, 선측 가스관(22), 수소 가스 배관(60) 및 벤트 배관(100)을 통해 대기로 방출할 수 있다. 즉, 선측 저온 탱크(20) 내에서 발생한 수소 가스를 가반형 하역 설비(3)에서 대기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소 배관(50) 및 수소 가스 배관(60)에 각각 제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71, 8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돌풍 등에 따라서 선박(2)이 이동하는 경우 등에 제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71, 81)를 각각 이탈시켜서, 선박(2)과 가반형 하역 설비(3)를 분리할 수 있다.
나아가, 선측 저온 탱크(20)로부터 수소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선측 저온 탱크(20) 내의 기상의 압력이 빠지기 때문에,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20)로 적은 동력으로 액체 수소를 압송할 수 있다.
그런데, 액체 수소의 비점(약 -253 ℃)은 질소의 비점(약 -196 ℃)이나 산소의 비점(약 -183℃보다 낮다. 액체 수소가 기화된 극저온의 수소 가스가 벤트 배관(100)으로부터 방출되면, 수소 가스에 의해 공기가 냉각되어 액체 공기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벤트 배관(100)에 설치된 가온부(102)에 의해 수소 가스를 가온할 수 있기 때문에, 벤트 배관(100)의 방출구(100a) 근방에서 액체 공기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 수소의 이송 중, 제1 긴급 이탈 장치(71)의 제1 유닛(71a)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제3 유닛(81a)이 고정 액관(51) 및 고정 가스관(61)을 통하여 프레임(31)에 지지된다. 따라서, 이들 긴급 이탈 장치(71, 81)와 관련된 주변 설비를 프레임(31)의 근방에 설치하거나, 프레임(31)으로 지지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71, 81)의 이탈 동작 시에, 제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71, 81)의 근방으로부터 낙하한 액체 공기를 액체 받이부(34)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가반형 하역 설비(3)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나 가반형 하역 설비(3)가 설치된 노면 등이 액체 공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긴급 이탈 유닛(70) 및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은, 각각 고정 액관(51) 및 고정 가스관(6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긴급 이탈 유닛(70) 및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을 가반형 하역 설비(3)의 프레임(31)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 별도로 반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공장으로의 반송이나, 반송처에서의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점검·부품교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장치(110)에 의해, 제1 긴급 이탈 유닛(70) 및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을, 각각 고정 액관(51)의 조인트(51a) 및 고정 가스관(61)의 조인트(61a)에 접속 가능한 위치까지 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긴급 이탈 유닛(70) 및 제2 긴급 이탈 유닛(80)을 각각 고정 액관(51) 및 고정 가스관(61)에 접속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 완화 장치(120)가 제2 유닛(71b) 및 제4 유닛(81b)의 낙하 충격을 완화하기 때문에,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이탈 동작 시에, 낙하 충격에 의해 제2 유닛(71b) 및 제4 유닛(81b)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장치(130)에 의해, 분리된 제2 유닛(71b) 및 제4 유닛(81b)이,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면 상에서 끌어당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 밸브(54)가, 벤트 배관(100)의 방출구(100a)보다 하방이고, 또한 상면에서 볼 때 방출구(100a)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방출구(100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차단 밸브(54)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반형 하역 설비(3)가 주행 구동원을 구비한 주행 차량이기 때문에, 가반형 하역 설비(3)를 원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관 계통에서, 배관의 구경이나 강성, 배관에 설치되는 기기의 위치, 배관과 배관의 접속 개소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레임(31)의 내부 영역을 영역(41 ~ 46)과 같이 정했지만, 가반형 하역 설비(3)를 구성하는 각종 기기나 배관의 위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체 받이부(34)가, 긴급 이탈 장치 배치 영역(43), 가온부 배치 영역(44), 조작 기기 배치 영역(46)의 하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지만, 액체 받이부(34)는, 긴급 이탈 장치 배치 영역(43)의 하부 근방에만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액체 받이부(34)는, 긴급 이탈 장치 배치 영역(43)의 하부 근방에 더하여, 벤트 배관 배치 영역(41)의 하부 근방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가, 제1 긴급 이탈 장치(71)는, 제1 유닛(71a)으로부터 분리된 제2 유닛(71b) 및 제3 유닛(81a)으로부터 분리된 제4 유닛((81b)이 자중으로 낙하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는 제1 유닛(71a)에 접속된 상태의 제2 유닛(71b) 및 제3 유닛(81a)에 접속된 상태의 제4 유닛(81b)은 하방로부터 지지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긴급 이탈 장치(7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의 하방에 충격 완화 장치(120)를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 장치(130)는 대차이지만, 이동 장치(130)는 구동원을 가지지 않는 반송 벨트 컨베이어 등이라도 좋다. 또한, 가반형 하역 설비는 이동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퍼지 가스 공급 장치(90)가 액체 수소 배관(50)에 질소 가스와 수소 가스를 선택적으로 퍼지 가스로서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퍼지 가스 공급 장치(9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퍼지 가스 공급 장치(90)는, 공기를 퍼지하는 퍼지 가스로서, 헬륨 가스를 액체 수소 배관(50)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단 밸브(54) 및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64, 65)가,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직접 받는 조작 레버 또는 조작 핸들을 구비하는 수동 조작 밸브이지만, 차단 밸브(54) 및 퍼지 가스 폐쇄 밸브(55, 64, 65)는 공압식, 유압식, 전동식의 구동 밸브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반형 하역 설비(3)를 이용한 액체 수소의 이송 방법으로서, 육측 저온 탱크(10)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20)로 액체 수소를 이송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선측 저온 탱크(20)로부터 육측 저온 탱크(10)로 액체 수소를 이송하는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긴급 이탈 유닛(70)을 고정 액관(51)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나, 승강 장치(110), 충격 완화 장치(120), 이동 장치(130)는, 수소 가스 배관(60), 벤트 배관(100)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81) 등을 구비하지 않는 가반형 하역 설비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는, 육측 저온 탱크에 저류한 액체 수소를 선측 저온 탱크로 이송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로서, 상기 선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선측 액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1 조인트, 및 상기 육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육측 액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2 조인트를 구비하고, 액체 수소를 인도하는 액체 수소 배관과, 상기 액체 수소 배관에 배치된 제1 긴급 이탈 장치와, 상기 선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선측 가스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3 조인트를 구비하고, 액체 수소가 기화한 수소 가스를 인도하는 수소 가스 배관과, 상기 수소 가스 배관에 배치된 제2 긴급 이탈 장치와, 일단이 상기 수소 가스 배관에 접속되고, 타단이 대기 개방된 벤트 배관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육측 저온 탱크로부터 선측 저온 탱크로 액체 수소를 이송하는 동안, 선측 저온 탱크 내에서 액체 수소가 기화한 수소 가스를, 선측 가스관, 수소 가스 배관 및 벤트 배관을 통해 대기로 방출할 수 있다. 즉, 선측 저온 탱크 내에서 발생한 수소 가스를 가반형 하역 설비에서 대기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소 배관 및 수소 가스 배관에 각각 제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돌풍 등에 따라 배가 이동하는 경우 등에 제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를 각각 이탈시켜서, 배와 가반형 화물 설비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벤트 배관에 배치된 가온부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벤트 배관의 방출구 근방에서 액체 공기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액체 수소 배관 및 상기 수소 가스 배관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는, 육측의 제1 커플러와, 상기 제1 커플러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된 선측의 제2 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는, 육측의 제3 커플러와, 상기 제3 커플러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된 선측의 제4 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플러 및 상기 제3 커플러가, 상기 제2 커플러 및 상기 제4 커플러에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도 좋다. 따라서, 제1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와 관련된 주변 설비는 프레임 근방에 설치되거나, 프레임으로 지지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에서, 상기 액체 수소 배관에서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와 상기 제1 조인트 사이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플렉시블 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소 가스 배관에서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와 상기 제3 조인트 사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플렉시블 호스에 이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하방에 배치된 액체 받이부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반형 하역 설비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나 가반형 하역 설비가 설치된 노면 등이 액체 공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가반형 하역 설비에서, 상기 액체 수소 배관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액관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호스를 포함하는 제1 호스와,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상기 고정 액관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제4 조인트, 및 상기 제1 호스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제5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1 긴급 이탈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수소 가스 배관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가스관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호스를 포함하는 제2 호스와,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 상기 고정 가스관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제6 조인트, 및 상기 제2 호스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제7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2 긴급 이탈 어셈블리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긴급 이탈 어셈블리 및 제2 긴급 이탈 어셈블리를 가반형 하역 설비의 프레임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 별도로 반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공장으로의 반송이나, 반송처에서의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점검·부품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부와,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하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액관의 단부 및 상기 고정 가스관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 하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고정 액관의 단부 및 상기 고정 가스관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위치까지 상기 제1 긴급 이탈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긴급 이탈 어셈블리를 들어 올리는 승강기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승강 장치에 의해, 제1 긴급 이탈 어셈블리 및 제2 긴급 이탈 어셈블리를, 각각 고정 액관의 조인트 및 고정 가스관의 조인트에 접속 가능한 위치로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제1 긴급 이탈 어셈블리 및 제2 긴급 이탈 어셈블리를, 각각 고정 액관 및 고정 가스관에 각각 ??속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에서,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는, 상기 제1 커플러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2 커플러가 자중으로 낙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는, 상기 제3 커플러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4 커플러가 자중으로 낙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제2 커플러 및 상기 제4 커플러의 낙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기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이탈 동작 시에, 낙하 충격에 의해 제2 커플러 및 제4 커플러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제1 커플러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2 커플러와, 상기 제3 커플러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4 커플러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커플러 및 상기 제4 커플러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동 장치에 의해, 분리된 제2 커플러 및 제4 커플러가,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면 상에서 끌어당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가반형 하역 설비에서, 상기 액체 수소 배관에서 상기 제2 조인트와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사이의 부분에는, 수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 차단 밸브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벤트 배관의 방출구보다 하방이고, 또한 상면에서 볼 때 상기 방출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방출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차단 밸브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액체 수소 배관 및 상기 수소 가스 배관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차체와, 상기 차체에 지지된 주행 구동원을 더 구비한 주행 차량이라도 좋다. 가반형 하역 설비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육측 저온 탱크에 저류한 액체 수소를 선측 저온 탱크로 이송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로서,
    상기 선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선측 액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1 조인트, 및 상기 육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육측 액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2 조인트를 구비하고, 액체 수소를 인도하는 액체 수소 배관과,
    상기 액체 수소 배관에 배치된 제1 긴급 이탈 장치와,
    상기 선측 저온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선측 가스관의 단부와 접속 가능한 제3 조인트를 구비하고, 액체 수소가 기화한 수소 가스를 인도하는 수소 가스 배관과,
    상기 수소 가스 배관에 배치된 제2 긴급 이탈 장치와,
    일단이 상기 수소 가스 배관에 접속되고, 타단이 대기 개방된 벤트 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배관에 배치된 가온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소 배관 및 상기 수소 가스 배관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는, 육측의 제1 커플러와, 상기 제1 커플러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된 선측의 제2 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는, 육측의 제3 커플러와, 상기 제3 커플러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된 선측의 제4 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플러 및 상기 제3 커플러가, 상기 제2 커플러 및 상기 제4 커플러에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소 배관에서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와 상기 제1 조인트 사이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플렉시블 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소 가스 배관에서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와 상기 제3 조인트 사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플렉시블 호스에 이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하방에 배치된 액체 받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소 배관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액관과,
    상기 제1 플렉시블 호스를 포함하는 제1 호스와,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상기 고정 액관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제4 조인트, 및 상기 제1 호스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제5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1 긴급 이탈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수소 가스 배관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가스관과,
    상기 제2 플렉시블 호스를 포함하는 제2 호스와,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 상기 고정 가스관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제6 조인트, 및 상기 제2 호스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제7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2 긴급 이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상부와,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및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의 하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액관의 단부 및 상기 고정 가스관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 하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고정 액관의 단부 및 상기 고정 가스관의 단부에 접속 가능한 위치까지 상기 제1 긴급 이탈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긴급 이탈 어셈블리를 들어 올리는 승강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는, 상기 제1 커플러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2 커플러가 자중으로 낙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긴급 이탈 장치는, 상기 제3 커플러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4 커플러가 자중으로 낙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제2 커플러 및 상기 제4 커플러의 낙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제1 커플러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2 커플러와, 상기 제3 커플러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4 커플러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커플러 및 상기 제4 커플러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소 배관에서 상기 제2 조인트와 상기 제1 긴급 이탈 장치 사이의 부분에는, 수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 차단 밸브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벤트 배관의 방출구보다 하방이고, 또한 상면에서 볼 때 상기 방출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장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형 하역 설비는,
    상기 액체 수소 배관 및 상기 수소 가스 배관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차체와,
    상기 차체에 지지된 주행 구동원을 더 구비한 주행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KR1020237024561A 2020-12-25 2021-12-22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KR20230118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7762A JP2022102800A (ja) 2020-12-25 2020-12-25 液体水素用の可搬型荷役設備
JPJP-P-2020-217762 2020-12-25
PCT/JP2021/047584 WO2022138723A1 (ja) 2020-12-25 2021-12-22 液体水素用の可搬型荷役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684A true KR20230118684A (ko) 2023-08-11

Family

ID=8215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561A KR20230118684A (ko) 2020-12-25 2021-12-22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69329A1 (ko)
JP (1) JP2022102800A (ko)
KR (1) KR20230118684A (ko)
AU (1) AU2021410898A1 (ko)
TW (1) TW202231539A (ko)
WO (1) WO202213872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4830A (ja) 2018-12-28 2020-07-09 大阪瓦斯株式会社 液化低温流体の荷役設備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480B2 (ko) * 1974-04-24 1980-03-17
JPS62237199A (ja) * 1986-04-05 1987-10-17 Kobe Steel Ltd 極低温液化ガス収納容器内の保存方法
CN102730615A (zh) * 2012-06-28 2012-10-17 连云港远洋流体装卸设备有限公司 码头组合移动式装卸设备
JP6418680B2 (ja) * 2014-09-30 2018-11-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水素移送システム
JP2016070457A (ja) * 2014-10-01 2016-05-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水素移送システム
JP6571425B2 (ja) * 2015-07-14 2019-09-0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水素用緊急離脱システム
JP6545023B2 (ja) * 2015-07-15 2019-07-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水素用ローディングアーム及び液化水素移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4830A (ja) 2018-12-28 2020-07-09 大阪瓦斯株式会社 液化低温流体の荷役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8723A1 (ja) 2022-06-30
JP2022102800A (ja) 2022-07-07
TW202231539A (zh) 2022-08-16
AU2021410898A1 (en) 2023-07-27
EP4269329A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5977B (zh) 压缩天然气存储和运输系统
US200701812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ueling multiple vehicles
US10495258B2 (en) Liquefied hydrogen loading arm and liquefied hydrogen transport method
JP2009541114A (ja) 液体を船舶に移送するシステム
CN104379440B (zh) 运输压缩气体的船
KR102135864B1 (ko) Lng 트럭 및 lng 트럭 조립 방법
CN106029492A (zh) 用于串联式海运货物传输的可伸缩式液化天然气货物传输船头歧管
DK178151B1 (en) Liquid Natural Gas transfer
KR20230118684A (ko)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JP5077881B2 (ja) 液化天然ガスの受入設備
KR102212635B1 (ko) Iso 탱크 멀티 연료공급 커넥션 모듈
US20240133523A1 (en) Portable cargo handling equipment for liquid hydrogen
CN217496453U (zh) Lng动力船舶
KR102315406B1 (ko) 액화 가스 처리 시스템
JP2012207710A (ja) Lngタンクのパージ方法
KR20230117450A (ko) 액체 수소용의 가반형 하역 설비 및 긴급 이탈 방법
CN116176759B (zh) 一种船用独立lng储舱
JP2005014698A (ja) 原油及び清水輸送用タンカー
JP2022147966A (ja) 船舶用lng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バンカリングタンクユニット
ES2745601T3 (es) Sistema de reabastecimiento de gas natural comprimido
KR101390304B1 (ko) 재기화 장치
RU2424467C2 (ru) Система пополнения запаса сжат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JP2002060000A (ja) Lngローリ車接続用フレキシブルパイプのパージ装置
JPS6018584B2 (ja) 鉄道タンク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