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802A -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802A
KR20230113802A KR1020237022430A KR20237022430A KR20230113802A KR 20230113802 A KR20230113802 A KR 20230113802A KR 1020237022430 A KR1020237022430 A KR 1020237022430A KR 20237022430 A KR20237022430 A KR 20237022430A KR 20230113802 A KR20230113802 A KR 2023011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ender
rolling
stand
rolled
roll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다치바나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21B37/66Roll eccentricity compens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21B33/02Preventing fracture of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2Rear end control; Front en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연속된 N 기 (N ≥ 2) 의 압연 스탠드로 피압연재를 압연하는 탠덤 압연기를 위한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에 관련된다. 상기 탠덤 압연기의 제 i 압연 스탠드 (1 ≤ i ≤ N) 각각은, 미리 설정된 롤 벤더 압력으로 상기 피압연재를 압하하는 제 i 롤 벤더 장치를 갖는다. 상기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는, 상기 피압연재의 미단이 1 개의 지정된 제 j 압연 스탠드 (1 ≤ j ≤ N - 1) 를 빠져나갔을 때부터 제 N 압연 스탠드를 빠져나갈 때까지의 동안, 상기 제 j 압연 스탠드보다 하류의 제 j + 1 부터 제 N 까지의 각 롤 벤더 장치에 롤 벤더 압력을 연속적으로 저하시킨다.

Description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
본 개시는, 복수의 압연 스탠드를 갖는 탠덤 압연기를 위한 미단 (尾端) 버클링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간 마무리 압연기에 의해 피압연재를 압연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트러블로서, 피압연재의 버클링 사고가 알려져 있다. 피압연재의 버클링 사고는, 피압연재의 최미단이, 압연 스탠드를 통과할 때에 장력이 해방되어 사행 상태가 되고, 압연 스탠드의 사이드 가이드에 접촉하여, 접혀 중첩되는 트러블이다. 버클링 사고가 일어나면, 피압연재의 미단에 흠집이 발생하여 품질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이 버클링 부분이 압연된 결과 워크 롤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고, 이후의 피압연재에 이 흠집이 전사하여 품질 불량이 발생한다.
버클링 사고의 원인이 되는 사행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이하의 특허문헌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은, 사행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압연재의 미단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하고, 오퍼레이터가 감시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 는, 사행을 방지하기 위해서, 판의 사행량은 판두께의 좌우 비대칭성 (웨지) 및 그 비대칭성이 사행에 미치는 영향 (평행 강성) 이 압연 하중을 내릴수록 작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미단이 빠져나갈 때에 계산된 양의 롤 간격을 두는 제어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 은, 사행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탠드간에 형성된 복수의 분할 롤로부터의 검출된 토크차에 기초하여 사행량을 계산하고, 압하 레벨링을 조정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803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096109호 국제 공개 제2012/086043호
이와 같이 사행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복잡한 계산에 기초하는 제어 수법이 반드시 최적의 수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보다 심플한 제어에 의해 피압연재의 사행에 의한 버클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롤 벤더 장치를 사용한 심플한 제어에 의해 피압연재의 사행에 의한 버클링 사고를 방지하는 수법을 알아냈다.
본 개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롤 벤더 장치를 사용하여 피압연재가 압연 라인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제어하여, 피압연재의 사행 및 미단 버클링를 방지할 수 있는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관점은, 직렬로 배치된 N 기 (N ≥ 2) 의 압연 스탠드로 피압연재를 압연하는 탠덤 압연기를 위한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에 관련된다.
상기 탠덤 압연기의 제 i 압연 스탠드 (1 ≤ i ≤ N) 각각은, 미리 설정된 롤 벤더 압력으로 상기 피압연재를 압하하는 제 i 롤 벤더 장치를 갖는다.
상기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는, 상기 피압연재의 미단이 1 개의 지정된 제 j 압연 스탠드 (1 ≤ j ≤ N - 1) 를 빠져나갔을 때부터 제 N 압연 스탠드를 빠져나갈 때까지의 동안, 상기 제 j 압연 스탠드보다 하류의 제 j + 1 부터 제 N 까지의 각 롤 벤더 장치에 롤 벤더 압력을 연속적으로 저하시킨다.
제 2 관점은, 제 1 관점에 더하여, 다음의 특징을 추가로 갖는다.
상기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는, 강종 및 제 N 압연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 의 조합과, 미단 버클링 억제에 관한 지정 스탠드의 관계를 복수 정한 지정 스탠드 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제 j 압연 스탠드는, 강종과 제 N 압연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의 조합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지정 스탠드 정보로부터 선택된 상기 지정 스탠드이다.
제 3 관점은, 제 1 또는 2 관점에 더하여, 다음의 특징을 추가로 갖는다.
상기 제 j + 1 부터 상기 제 N 까지의 각 롤 벤더 장치는, 롤 벤더 압력이 밸런스 압력에 도달하면, 롤 벤더 압력을 상기 밸런스 압력에서 유지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는, 피압연재가 지정 스탠드를 빠져나간 경우에, 후단 스탠드의 롤 벤더 압력을 내림으로써 피압연재에 크라운을 발생시킨다. 이로써, 피압연재는 압연 라인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제어되고, 피압연재의 사행 및 미단 버클링은 억제된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마무리 압연기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연 스탠드의 롤 벤더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연 스탠드의 롤 벤더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정 스탠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롤 벤더 압력의 제어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6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시스템 구성
도 1 은, 열간 압연 라인의 마무리 압연기 (1) 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무리 압연기 (1) 의 상류에는 도시 생략하는 가열로, 조압연기, 스케일 브레이커 등이 형성되어 있다. 마무리 압연기 (1) 의 하류에는 도시 생략하는 런 아웃 테이블 (ROT : Run Out Table), 코일러 등이 형성되어 있다.
마무리 압연기 (1) 는, 직렬로 배치된 N 기 (N ≥ 2) 의 압연 스탠드 (2) 를 구비한 탠덤 압연기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마무리 압연기 (1) 는, 7 기 (N = 7) 의 압연 스탠드 (2) (제 1 압연 스탠드 (21), 제 2 압연 스탠드 (22), 제 3 압연 스탠드 (23), 제 4 압연 스탠드 (24), 제 5 압연 스탠드 (25), 제 6 압연 스탠드 (26), 제 7 압연 스탠드 (27)) 를 구비한다. 마무리 압연기 (1) 는, 띠상의 강재 (피압연재 (3)) 를 상류로부터 하류로 일방향 (화살표 (4)) 으로 연속하여 압연한다. 마무리 압연에 의해, 피압연재 (3) 의 판두께, 판폭 등의 사이즈에 관한 최종 품질이 결정된다.
또한, 압연 스탠드 (2) 의 대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압연 스탠드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압연 스탠드 (2)」라고 기재한다.
각 압연 스탠드 (2) 는, 워크 롤 (WR : Work Roll) (5) 과 백업 롤 (BUR : Back Up Roll) (6) 을 구비하고 있다. 워크 롤 (5) 은, 피압연재 (3) 와 접촉 하면서 회전하여 피압연재 (3) 를 압연하는 압연 롤이다. 워크 롤 (5) 에는, 그 회전축을 구동하는 전동기 및 그 드라이브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백업 롤 (6) 은, 워크 롤 (5) 을 지지하고, 워크 롤 (5) 의 회전축 방향의 휨을 교정한다. 백업 롤 (6) 은, 워크 롤 (5) 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워크 롤 (5) 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또한, 마무리 압연기 (1) 는, 워크 롤 (5) 과 백업 롤 (6) 사이에 추가로 중간 롤을 구비해도 된다.
각 압연 스탠드 (2) 는, 롤 벤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롤 벤더 장치 (7), 워크 롤 (5) 의 속도를 제어하는 드라이브 장치 (도시 생략), 롤 갭을 제어하기 위한 압하 장치 (도시 생략) 등의 각종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 (8) 는, 최종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나 최종 스탠드 출측 목표 온도 등을 만족하도록 계산된 조작량에 기초하여 각종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또, 제어 장치 (8) 는, 도시 생략하는 센서 (판두께계, 속도계, 온도계 등) 의 측정값과 목표값의 차를 피드백하여 각종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도 2 및 도 3 은, 압연 스탠드 (2) 의 롤 벤더 장치 (7) 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 압연 스탠드 (2) 는 롤 벤더 장치 (7) 를 구비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제 i 압연 스탠드 (1 ≤ i ≤ N) 각각은, 미리 설정된 롤 벤더 압력으로 피압연재 (3) 를 압하하는 제 i 롤 벤더 장치 (제 1 롤 벤더 장치 (71), 제 2 롤 벤더 장치 (72), 제 3 롤 벤더 장치 (73), 제 4 롤 벤더 장치 (74), 제 5 롤 벤더 장치 (75), 제 6 롤 벤더 장치 (76), 제 7 롤 벤더 장치 (77)) 를 구비한다. 각 롤 벤더 장치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롤 벤더 장치 (7)」라고 기재한다.
롤 벤더 장치 (7) 는, 워크 롤 (5) 의 중심축을 휘게 하도록 롤을 구부리는 액추에이터이다. 롤 벤더 장치 (7) 는, 상하 1 쌍의 워크 롤 (5) 의 회전축의 양단에 롤 벤더 압력 (벤딩력) 을 부여하기 위한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다.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벤더 압력을 높임으로써, 워크 롤 양단부의 압연 하중이 감소하고, 워크 롤 중앙부의 압연 하중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판 크라운을 저감시킬 수 있다. 판 크라운은, 제품의 판폭 방향의 중앙과 단부의 판두께차이다. 또,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벤더 압력을 낮춤으로써, 워크 롤 양단부의 압연 하중이 증가하고, 워크 롤 중앙부의 압연 하중이 감소한다. 그 때문에, 판 크라운을 증대시킬 수 있다.
2. 미단 버클링 억제 제어
상기 서술한 마무리 압연기 (1) 에 의해 압연을 실시하는 경우, 피압연재의 최미단이, 압연 스탠드 (2) 를 통과할 때에 사행 상태가 되어, 통판성이 악화되고, 압연 스탠드 (2) 의 사이드 가이드에 접촉하여 접혀 중첩되는 「버클링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장치 (8) 는, 롤 벤더 장치 (7) 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피압연재 (3) 의 사행에 의한 미단 버클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미단 버클링 억제부 (9) 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미단 버클링 억제부 (9) 는,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1 개의 지정된 제 j 압연 스탠드 (1 ≤ j ≤ N - 1) 를 빠져나갔을 때부터 제 N 압연 스탠드를 빠져나갈 때까지의 동안, 제 j 압연 스탠드보다 하류의 제 j + 1 부터 제 N 까지의 각 롤 벤더 장치 (7) 에 롤 벤더 압력을 연속적으로 저하시킨다. 롤 벤더 압력은, 램프 함수 (ramp function) 를 사용하여 설정값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저하된다.
또, 제 j + 1 부터 제 N 까지의 각 롤 벤더 장치는, 롤 벤더 압력이 밸런스 압력에 도달하면, 롤 벤더 압력을 밸런스 압력에서 유지한다. 밸런스 압력은, 피압연재 (3) 가 없는 상태에서, 백업 롤 (6) 과 워크 롤 (5) 을 접촉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기준의 압력이다.
(지정 스탠드 정보)
상기 서술한 지정 스탠드인 제 j 압연 스탠드는, 지정 스탠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정 스탠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정 스탠드 정보는, 피압연재 (3) 의 강종 및 제 N 압연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의 조합과, 미단 버클링 억제에 관한 지정 스탠드 (제 j 압연 스탠드) 의 관계를 복수 정한 정보이다. 지정 스탠드 정보는, 제어 장치 (8) 에 미리 메모리 (82) (도 6) 에 기억되어 있다.
미단 버클링 억제 제어는, 미단의 사행에 의한 미단 버클링이 발생하기 쉬운, 판두께가 얇은 피압연재 (3) 에 적응한다. 사행에 의한 미단 버클링이 발생하기 쉬운 피압연재 (3) 의 제 N 압연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는, 예를 들어 2.5 ㎜ 이다. 한편, 판두께가 두꺼운 피압연재 (3) 에 미단 버클링 억제 제어가 실시되면 형상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강종 및 제 N 압연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의 조합에 따라서는, 사행에 의한 미단 버클링의 발생에 관한 지정 스탠드는 반드시 설정되지 않는다.
미단 버클링 억제부 (9) 는, 피압연재 (3) 의 강종과 제 N 압연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의 조합을 입력으로 하여 지정 스탠드 정보로부터 지정 스탠드 (제 j 압연 스탠드) 를 선택한다. 또한, 제품 사양에 관한 강종 및 제 N 압연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는, 압연 개시 전에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 가능하다.
3. 제어예
도 5 를 참조하여, 미단 버클링 억제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롤 벤더 압력의 제어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t1 은, 피압연재 (3) 의 선단이 제 3 압연 스탠드 (23) 에 도달한 타이밍이다. t2 는, 피압연재 (3) 의 선단이 제 4 압연 스탠드 (24) 에 도달한 타이밍이다. t3 은, 피압연재 (3) 의 선단이 제 5 압연 스탠드 (25) 에 도달한 타이밍이다. t4 는, 피압연재 (3) 의 선단이 제 6 압연 스탠드 (26) 에 도달한 타이밍이다. t5 는, 피압연재 (3) 의 선단이 최종 스탠드인 제 7 압연 스탠드 (27) 에 도달한 타이밍이다.
t6 은,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제 3 압연 스탠드 (23) 로부터 빠져나간 타이밍이다. t7 은,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제 4 압연 스탠드 (24) 로부터 빠져나간 타이밍이다. t8 은,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제 5 압연 스탠드 (25) 로부터 빠져나간 타이밍이다. t9 는,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제 6 압연 스탠드 (26) 로부터 빠져나간 타이밍이다. t10 은,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최종 스탠드인 제 7 압연 스탠드 (27) 로부터 빠져나간 타이밍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정 스탠드 (제 j 압연 스탠드) 로서 제 3 압연 스탠드 (23) (j = 3) 가 선택되어 있다. 시각 t6 에 있어서, 피압연재 (3) 의 미단은, 지정 스탠드인 제 3 압연 스탠드 (23) 를 통과한다. 이로써, 피압연재 (3) 의 미단은, 제 3 압연 스탠드 (23) 의 워크 롤 (5) 에 의한 구속력을 상실한다.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제 3 압연 스탠드 (23) 를 빠져나간 시각 t6 부터, 지정 스탠드보다 후단의 각 롤 벤더 장치 (7) 에 의한 롤 벤더 압력 낮춤이 개시된다.
제 4 롤 벤더 장치 (74) 는,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제 3 압연 스탠드 (23) 를 빠져나간 시각 t6 부터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제 4 압연 스탠드 (24) 를 빠져나가는 시각 t7 까지의 동안, 롤 벤더 압력을 시각 t6 의 설정값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저하시킨다.
제 5 롤 벤더 장치 (75) 는, 시각 t6 부터 피압연재 (3) 의 미단이 제 5 압연 스탠드 (25) 를 빠져나가는 시각 t8 까지의 동안, 롤 벤더 압력을 시각 t6 의 설정값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저하시킨다.
제 6 롤 벤더 장치 (76) 는, 시각 t6 부터 시각 t8 까지의 동안, 롤 벤더 압력을 시각 t6 의 설정값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저하시킨다. 시각 t8 에 있어서, 롤 벤더 압력이 밸런스 압력에 도달하면, 제 6 롤 벤더 장치 (76) 는, 롤 벤더 압력을 저하시키는 제어를 정지한다. 시각 t8 부터 시각 t9 까지의 동안, 롤 벤더 압력은 밸런스 압력에서 유지된다.
제 7 롤 벤더 장치 (77) 는, 시각 t6 부터 시각 t8 까지의 동안, 롤 벤더 압력을 시각 t6 의 설정값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저하시킨다. 시각 t8 에 있어서, 롤 벤더 압력이 밸런스 압력에 도달하면, 제 7 롤 벤더 장치 (77) 는, 롤 벤더 압력을 저하시키는 제어를 정지한다. 시각 t8 부터 시각 t10 까지의 동안, 롤 벤더 압력은 밸런스 압력에서 유지된다.
4.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 장치 (8) 에 의하면, 지정 스탠드보다 후단의 압연 스탠드 (2) 의 롤 벤더 압력을 내림으로써, 피압연재 (3) 의 판 형상을 단부가 연신된 상태 (판폭 방향의 단부가 중앙부보다 연신되어 있는 상태) 로 한다. 이로써 피압연재 (3) 는 압연 라인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제어되고, 피압연재 (3) 의 사행 및 미단 버클링은 억제된다.
5. 하드웨어 구성예
도 6 은,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로서 기능하는 제어 장치 (8) 가 갖는 처리 회로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장치 내의 각 부는 기능의 일부를 나타내고,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일 양태로서, 처리 회로는, 적어도 1 개의 프로세서 (81) 와 적어도 1 개의 메모리 (82) 를 구비한다. 다른 양태로서, 처리 회로는, 적어도 1 개의 전용의 하드웨어 (83) 를 구비한다.
처리 회로가 프로세서 (81) 와 메모리 (82) 를 구비하는 경우,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일방은,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일방은, 메모리 (82) 에 격납된다. 프로세서 (81) 는, 메모리 (82) 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 출력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기능을 실현한다.
처리 회로가 전용의 하드웨어 (83) 를 구비하는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된 프로세서,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서 실현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요소의 개수, 수량, 양, 범위 등의 수를 언급한 경우, 특별히 명시한 경우나 원리적으로 분명하게 그 수에 특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 언급한 수에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구조 등은, 특별히 명시한 경우나 분명하게 원리적으로 그것에 특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 발명에 반드시 필수인 것은 아니다.
1 : 마무리 압연기
2 : 압연 스탠드
3 : 피압연재
5 : 워크 롤
6 : 백업 롤
7 : 롤 벤더 장치
8 : 제어 장치
9 : 미단 버클링 억제부
21 - 27 : 제 1 압연 스탠드 - 제 7 압연 스탠드
71 - 77 : 제 1 롤 벤더 장치 - 제 7 롤 벤더 장치
81 : 프로세서
82 : 메모리
83 : 하드웨어

Claims (3)

  1. 직렬로 배치된 N 기 (N ≥ 2) 의 압연 스탠드로 피압연재를 압연하는 탠덤 압연기를 위한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로서,
    상기 탠덤 압연기의 제 i 압연 스탠드 (1 ≤ i ≤ N) 각각은, 미리 설정된 롤 벤더 압력으로 상기 피압연재를 압하하는 제 i 롤 벤더 장치를 갖고,
    상기 피압연재의 미단이 1 개의 지정된 제 j 압연 스탠드 (1 ≤ j ≤ N - 1) 를 빠져나갔을 때부터 제 N 압연 스탠드를 빠져나갈 때까지의 동안, 상기 제 j 압연 스탠드보다 하류의 제 j + 1 부터 제 N 까지의 롤 벤더 장치에 있어서의 각 롤벤더 압력을, 상기 제 j + 1 부터 제 N 까지의 롤 벤더 장치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 롤 벤더 압력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강종 및 제 N 압연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의 조합과, 미단 버클링 억제에 관한 지정 스탠드의 관계를 복수 정한 지정 스탠드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제 j 압연 스탠드는, 강종과 제 N 압연 스탠드 출측 목표 판두께의 조합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지정 스탠드 정보로부터 선택된 상기 지정 스탠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j + 1 부터 제 N 까지의 각 롤 벤더 장치는, 자신의 롤 벤더 장치에 있어서의 롤 벤더 압력이 밸런스 압력에 도달하면, 해당 자신의 롤 벤더 장치에 있어서의 롤 벤더 압력을 상기 밸런스 압력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
KR1020237022430A 2021-12-24 2021-12-24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 KR20230113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48283 WO2023119640A1 (ja) 2021-12-24 2021-12-24 尾端絞り抑制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802A true KR20230113802A (ko) 2023-08-01

Family

ID=8690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430A KR20230113802A (ko) 2021-12-24 2021-12-24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75510A1 (ko)
JP (1) JPWO2023119640A1 (ko)
KR (1) KR20230113802A (ko)
CN (1) CN116806174A (ko)
WO (1) WO202311964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109A (ja) 2000-09-14 2002-04-02 Nippon Steel Corp 圧延材の蛇行抑制方法
WO2012086043A1 (ja) 2010-12-24 2012-06-28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熱間圧延設備及び熱間圧延方法
JP2013180322A (ja) 2012-03-01 2013-09-12 Jfe Steel Corp 熱間圧延設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5901B2 (ko) * 1972-05-06 1975-11-19
JPS58145303A (ja) * 1982-02-23 1983-08-30 Kawasaki Steel Corp 圧延機の絞り込み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109A (ja) 2000-09-14 2002-04-02 Nippon Steel Corp 圧延材の蛇行抑制方法
WO2012086043A1 (ja) 2010-12-24 2012-06-28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熱間圧延設備及び熱間圧延方法
JP2013180322A (ja) 2012-03-01 2013-09-12 Jfe Steel Corp 熱間圧延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06174A (zh) 2023-09-26
US20240075510A1 (en) 2024-03-07
JPWO2023119640A1 (ko) 2023-06-29
WO2023119640A1 (ja) 2023-06-29
TW202327750A (zh) 202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9053B2 (ja) 圧延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821568B2 (ja) 鋼帯の圧延方法
JP5338139B2 (ja) 熱間仕上圧延における蛇行防止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延金属板の製造方法
KR20230113802A (ko) 미단 버클링 억제 장치
JP2000167604A (ja) 板圧延機と板圧延方法
TWI836621B (zh) 尾端縮折抑制裝置
JP3636151B2 (ja) 金属帯の製造法
JP7222790B2 (ja) 圧延制御装置、圧延制御方法および圧延機
JP2006082118A (ja) 金属板材の圧延方法および圧延装置
JP2670164B2 (ja) 冷間圧延におけるl反り低減方法
JP2573459B2 (ja) 圧延機のロールストップマーク防止方法
JP2019107675A (ja) 圧延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7230628B2 (ja) 圧延装置及び制御方法
JP4516834B2 (ja) 冷間圧延設備および冷間タンデム圧延方法
JP3117913B2 (ja) 調質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及び調質圧延機
JPS6329605B2 (ko)
JP2006198661A (ja) 冷間タンデム圧延機および冷間タンデム圧延方法
KR20220152393A (ko) 연속식 압연기의 사행 제어 장치
JP6601451B2 (ja) 圧延機の制御方法、圧延機の制御装置、および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5907157B2 (ja) 圧延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H05269527A (ja) 金属ストリップの平坦形状制御方法
JPH0899107A (ja) 鋼片の連続熱間圧延方法
JP5939807B2 (ja) タンデム圧延機における板厚制御方法及び板厚制御装置
JP2001105013A (ja) 厚板圧延制御装置
JPH0631322A (ja) 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およ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