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280A - 배관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280A
KR20230110280A KR1020237018676A KR20237018676A KR20230110280A KR 20230110280 A KR20230110280 A KR 20230110280A KR 1020237018676 A KR1020237018676 A KR 1020237018676A KR 20237018676 A KR20237018676 A KR 20237018676A KR 20230110280 A KR20230110280 A KR 20230110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trol
stop valve
upstream end
flo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블레이크 안톤 필립스
다니엘 왓슨
앤드류 존슨
Original Assignee
릴라이언스 월드와이드 코포레이션 (유케이) 리미티드
릴라이언스 월드와이드 코포레이션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20904030A external-priority patent/AU2020904030A0/en
Application filed by 릴라이언스 월드와이드 코포레이션 (유케이) 리미티드, 릴라이언스 월드와이드 코포레이션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릴라이언스 월드와이드 코포레이션 (유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1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 F16L27/067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the sealing means being actuated by the medium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6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combined with manually-controlled valves, e.g. a valve combined with a safet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34Excess-flow valves in which the flow-energy of the flowing medium actuates the clos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05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articular plug arrangements, e.g. particular shape or built-i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26Easy mounting or dis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와 적어도 하나의 유출부를 구비한 몸체; 및 다수의 유체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각각의 유체 제어 메카니즘은 다른 유체 제어 메카니즘과 상이한 유체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유체 제어 메카니즘들을 수용한다.

Description

배관 장치
본 발명은 배관 장치 또는 유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배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장치와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소정의 적용 장치들은 적절한 작동의 보장을 위하여 그 적용 장치들에 물 제어 메카니즘이 연결됨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음용수 공급기(potable water supply)는 사용 동안에 역류 방지 장치가 연결됨을 필요로 한다. 복수의 제어 메카니즘이 필요하다면, 해결방안의 설치는 복잡하고 불편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복잡성은 비용, 재료 사용, 및 필요 노동을 증가시킨다.
또한, 사용 환경에 따라서, 예를 들어 설치를 위한 적합한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소정의 제어 메카니즘이 생략될 수 있다. 배관 작업자는 적합한 구조를 찾기 위하여 다양한 해결 방안을 시도할 수 있으나, 이 과정에서 더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종종 최적이 아닌 해결 방안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메카니즘은 다양한 브랜드들의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사양 및 연결 방법을 가진 것일 수 있는데, 이것은 그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조화롭게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성공적인 설치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부속품(fittings)을 필요로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선된 배관/유동 제어 장치를 개발함을 목적으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장치는: 유입부,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의 유동 경로를 가진 하우징; 상기 유입부에 구비된 제1 커넥터; 및 상기 유출부에 구비된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단일 부재로 형성된 제1 몸체 및 단일 부재로 형성된 제2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는 제1 몸체의 상류 단부에 상기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경로 내의 유동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를 수용하며, 하류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몸체는 상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 경로를 통한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check valve)를 수용하며, 상기 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에 연결 및 시일링되어,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에 공동(cavity)이 형성되며, 상기 공동은 측방향 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공동 내에는 상기 유동 경로를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스톱 밸브(stop valve)가 배치되고, 상기 스톱 밸브를 위한 핸들 메카니즘(handle mechanism)이 상기 측방향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상기 압력 조절기, 체크 밸브, 및 스톱 밸브는 모두 단일의 시일링된 접합부를 가진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이로써 누설 경로 발생의 잠재적 위험이 현저히 낮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의 길이도 현저히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톱 밸브는 범람 방지 조절기(flood prevention regulator)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추가적 접합부를 추가하지 않고서도 상기 장치에 추가적 기능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톱 밸브는 스톱 밸브가 폐쇄되는 때에 상기 장치의 유출부와 유체 소통되는 압력 해제 통공을 구비하여, 사용시 상기 범람 방지 조절기에 걸친 압력 감소가 유발되고, 상기 스톱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범람 방지 조절기가 자동적으로 리셋됨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보통의 경우에 리셋을 위하여 분리되어야 하는 범람 방지 조절기의 리셋이 용이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톱 밸브는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를 거쳐서 삽입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장치의 제한 범위 내에서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톱 밸브는 임의의 적합한 밸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톱 밸브는 볼 밸브이다.
상기 볼 밸브는 통상의 경우에서와 같이 현장에서 밸브 요소에 연결되는 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볼 밸브는 볼 밸브와 일체를 이루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를 거쳐서 상기 측방향 개구 안으로 삽입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부품 갯수가 감소되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공동 안에는 상기 스톱 밸브의 상류 단부 및 하류 단부와의 개별적 시일링을 위한 제1 링 시일(first ring seal) 및 제2 링 시일(second ring seal)이 수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조절기는 제1 몸체의 유입 단부에서 제1 몸체 안으로 삽입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조절기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하는 어깨부(shoulder)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체크 밸브는 제2 몸체의 상류 단부로부터 제2 몸체 안으로 삽입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체크 밸브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하는 어깨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장치의 제한 범위 내에서 상기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기 및 체크 밸브들이 신뢰성있고 견고하게 지지됨이 보장된다.
상기 장치의 길이는 예를 들어 200mm 미만일 수 있다. 추가적 또는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의 길이는 75mm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장치의 길이는 대략 140mm 내지 대략 140mm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는바, 예컨데 대략 144mm, 대략 145mm, 다른 정수 치수, 또는 대략 140mm 내지 대략 140mm 사이의 비-정수 수치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은: 상기 압력 조절기를 상기 제1 몸체의 상류 단부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체크 밸브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스톱 밸브를 위한 핸들 메카니즘이 상기 측방향 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 안으로 상기 스톱 밸브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에 연결 및 시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은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연결 이전에 상기 제1 링 시일 및 제2 링 시일을 상기 공동 안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에 연결 및 시일링하는 단계로 인하여 상기 제1 링 시일 및 제2 링 시일이 상기 스톱 밸브와 시일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은, 시일링 제공을 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 사이에 오-링(O-ring)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에 연결하는 단계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의하면, 유입부와 유출부를 구비한 몸체, 압력 조절 장치, 역류 방지 장치, 및 범람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장치(plumbing device)가 제공되는바, 상기 몸체의 제1 부분은 상기 몸체의 제2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 조절 장치, 역류 방지 장치, 및 범람 방지 장치를 실질적으로 수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의하여 제공되는 배관 장치 조립 방법은: 유입부,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서 연장된 유동축(flow axis)을 가진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 안에 범람 방지 장치를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상기 범람 방지 장치와 상이한 유체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유체 제어 메카니즘을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상기 유동축을 따른 상이한 위치들에서 상기 유체 제어 메카니즘과 상기 범람 방지 장치를 수용하도록, 서로 연결되게끔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하기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예시적으로서만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도 1 의 배관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적용 장치에 연결된 도 1 의 배관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제어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도 4 와 유사한 모습으로서 반대측 측부에서 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는 도 4 와 동일한 측부에서 본 도 4 의 유체 제어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도 5 와 동일한 측부에서 본 동일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에는 도 4 의 유체 제어 장치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스톱 밸브는 개방되어 있다.
도 9 에는 도 8 과 유사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스톱 밸브는 폐쇄되어 있다.
도 10 에는 도 4 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에는 도 9 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배관 장치(10)는 하우징 형태의 몸체(100), 압력 조절 장치 형태의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 역류 방지 장치 형태의 제2 유체 제어 메카니즘(300), 및 범람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제3 유체 제어 메카니즘(40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유동축(102)을 포함한다. 유동축(102)은 몸체(100)의 일 측부로부터 타 측부로 연장된다. 유체는 실질적으로 유동축(102)을 따르는 방향으로 유동한다. 또한 몸체(100)는 횡축(104)을 포함한다. 횡축(104)은 유동축(102)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연장된다. 횡축(104)은 몸체(100)의 중앙 부분을 가로질러 수직으로 연장된다. 유입 통공 또는 오리피스(112)로부터 유출 통공(152)까지인 몸체(100)의 길이는 대략 145mm 이다. 몸체(100)의 길이는, 예를 들어 200mm 미만일 수 있다.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예로서, 상기 몸체의 길이는 75mm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몸체(100)의 길이는 대략 140mm 내지 150mm 사이 범위, 예컨데 144mm, 145mm, 그리고 그 범위 내의 다른 정수(integer number) 수치 또는 비-정수 수치일 수 있다.
몸체(100)는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50)을 포함한다. 제1 부분(110)은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입 통공 또는 오리피스(112)를 포함한다. 유입 통공(112)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유입 통공(112)은 유입 커넥터(114)를 포함한다. 유입 커넥터(114)는 푸시-투-커넥트 부속품(push-to-connect fitting)의 형태를 가진다. 유입 커넥터(114)는 파이프와의 시일링을 위한 시일링 부분(sealing part) 또는 시일링부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시일링 부분은 오-링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입 커넥터(114)는 다른 푸시 부속품, 나사 연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부분(110)은 어깨부의 형태를 가진 제어 메카니즘 리테이너(control mechanism retainer)(120)를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120)는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의 유지를 돕는다. 즉,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이 유동축(102)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1 부분(110)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됨에 따라서,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은 리테이너(120)와 맞물린다. 이로 인하여,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가 제1 부분(110)을 따라서 추가적으로 이동함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을 그 위치에 유지시킴이 도모된다.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이 유입 통공(112)으로부터 추가 통공 또는 오리피스(140)를 향하여 제1 부분(11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1 부분(110)은 제2 부분(15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연결부(130)는 제2 부분(150)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제2 부분(150)의 일부분과 겹쳐지는 어깨부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제2 부분(150) 아래로 슬라이딩하고, 이들은 함께 초음파 용접된다. 추가적 또는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110)이 나사 스레드 또는 다른 스레드 부분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다음에, 초음파 용접되거나 또는 적절한 매체를 사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추가 통공(further aperture)(140)의 도움을 받아 형성된다. 추가 통공(140)은 배관 장치(10)의 사용 동안에 유체가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제2 부분(150)은 유출 통공 또는 오리피스(152)를 포함한다. 유출 통공(152)은 유입 통공(1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이 점에 있어서, 유동축(102)은 유입 통공(112) 및 유출 통공(152) 모두를 관통한다. 이를 위하여, 유동축(102)은 몸체(100)를 통하는 유체 경로에 의해 정의된다. 추가적 실시예에서, 유입 통공(112) 및 유출 통공(152)은 예를 들어 소정의 횡단 각도(transverse angle)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적 실시예에서는 유동축(102)이 90도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유출 통공(152)은 유출 커넥터(154)를 포함한다. 유출 커넥터(154)는 푸시-투-커넥트 부속품이지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른 연결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유출 커넥터(154)는 파이프(1000)와의 연결을 위하여 구성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00)는 워터 쿨러(water cooler)의 형태인 적용 장치(2000)에 연결된다. 적용 장치(2000)는 적용 장치(2000)의 올바른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 상류측에서의 유체 제어를 필요로 한다.
제2 부분(150)은 제어 메카니즘 리테이너(160)을 더 포함한다. 제어 메카니즘 리테이너(160)는 어깨부를 형성한다. 제어 메카니즘 리테이너(160)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출 통공(152)과 추가 오리피스 또는 추가 통공(180) 사이에 배치된다. 제어 메카니즘 리테이너(160)는 제2 유체 제어 메카니즘(300)이 제2 부분(150) 안으로 추가적으로 삽입됨을 방지하는 정지부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 유체 제어 메카니즘(300)은 추가 통공(180)으로부터 제2 부분(150) 안으로 삽입되며, 제어 메카니즘 리테이너(160)와 맞물리는 때에 정지한다. 이것은 제2 유체 제어 메카니즘(300)이 제2 부분(150)의 적합한 위치에 유지됨을 돕는다.
제2 부분은 어깨부 형태를 가진 연결부(170)를 포함한다. 연결부(170)는 연결부(130)보다 약간 더 크다. 연결부(170)는 연결부(130)에 걸쳐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170)는 제1 부분(110) 상의 정지부에 맞닿는다. 그 다음, 제1 부분(110)과 제2 부분(150)은 함께 초음파 용접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제1 부분(110)과 제2 부분(150)은 나사 연결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 이후에 서로 용접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제1 부분(110)과 제2 부분(150)은 서로에 대해 상보적 관계를 이루며, 연결된 때에 메카니즘들(200, 300, 400)을 유지시키는 단일의 구조체를 형성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즉, 제1 부분(110)과 제2 부분(150)은 함께 유체적으로 시일링되어서, 메카니즘들(200, 300, 400)을 유지시키는 적합한 하우징을 형성한다.
추가 통공(180)은 제3 유체 제어 메카니즘(4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추가 통공(180)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유동축(102)과 일치된다. 또한 추가 통공(180)은 횡방향 또는 측방향의 통공 또는 오리피스(19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횡방향 통공(190)은 횡축(10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점에 있어서, 횡방향 통공(190)은 추가 통공(18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이를 위하여, 제1 부분(110)이 제2 부분(150)에 연결된 때에, 몸체(100)는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을 형성한다. 즉, 몸체(100)의 일부분은 유동축(102)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몸체의 다른 부분은 횡축(104)을 따라 연장된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은 유체 제어 메카니즘들(200, 300, 400)을 하나의 몸체(100)에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이 점에 있어서, 몸체(100)는 다양한 모듈형 메카니즘들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적합한 하우징을 제공한다. 이것은, (예컨데) 분리된 하우징들 내에 메카니즘들을 수용하고 그 하우징들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는 방안에 비하여, 배관 장치(10)의 길이를 자명하지 않은 정도로 현저히 감소시킨다. 추가적 실시예에서, 몸체(100)는 복수의 유입부/유출부를 가지며, 십자(+) 형상을 형성한다.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은 상류측 소스(upstream source)로부터의 유체 압력을 제한하는데 도움을 준다.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은 조절 부재(210)를 포함한다. 조절 부재(210)는 종장형 형태를 가지며, 또한 유체의 관통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212)를 구비한다. 개구(212)는 상류측 유동 경로에 비하여 감소된 유동 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정압(static pressure)의 감소를 초래한다. 제2 조절 부재인 피스톤(230)은 스프링(220)에 의하여 제1 조절 부재(210)로부터 멀어지도록 편향된다. 배관 장치(10) 내에서 유체 압력이 증가하면, 피스톤(230)은 제1 조절 부재(210)를 향하여 강제된다. 제1 조절 부재(210)의 단부(또는 개구(212))와 조절 피스톤(230)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하류측 유체 압력이 조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조절 피스톤(230)의 외측 표면 상에서 가압하는 유체는 제1 부분(110)을 따라서 조절 피스톤(230)을 이동시키고 스프링(220)을 압축시킨다. 이로 인하여, 제1 조절 부재(210)와 조절 피스톤(230)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며, 압력 강하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유체가 조절 피스톤(230)에 인접한 외측 부분들 주위를 거쳐서 조절 피스톤(230)을 지나가기 때문에) 하류측 유체의 압력이 감소되는 결과가 유발된다.
제2 유체 제어 메카니즘(300)은 역류 방지 장치를 형성한다. 제2 유체 제어 메카니즘(300)은 제1 체크 밸브(310a) 및 제2 체크 밸브(310b)를 포함한다. 이 점에 있어서, 참조번호에 소문자를 추가하여 사용함은 통상적으로 본원에서 해당 참조번호로 표시된 일반적 구성요소의 추가적 실시예 또는 대안적 실시예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체크 밸브(310a)는 제2 체크 밸브(310b)와 유사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또한, 숫자로만 표시된 일 구성요소의 참조는 그 구성요소의 모든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체크 밸브(310)'는 제1 체크 밸브(310a) 및 제2 체크 밸브(310b) 모두를 포괄하기 위하여 의도된 표현이다.
체크 밸브(310)들은 개별적으로 유체 제어 메카니즘들을 구성한다. 이 점에 기초하여, 일부 실시예에서는 유체 제어 메카니즘들이 동일한 유체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체크 밸브(310)들 각각은 역류 몸체(320)를 포함한다. 역류 몸체(320)들은 줄기부(330)를 포함한다. 역류 몸체(320)들은 외측부(340)와 상호작용한다. 줄기부(330)는 스프링(350)에 의하여 폐쇄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줄기부(330)는 시일링 표면(360)을 포함하며, 시일링 표면(360)은 외측부(340)의 일부분에 대해 시일링하도록 구성되어 그에 의한 유체 유동을 방지한다. 사용 동안, 유체 유동은 줄기부(330)를 유출 통공(152)를 향해 전방으로 밀 수 있다. 스프링(350)은 압축되고, 유체는 적용 장치(2000)를 향하여 단부 부분을 통과한다. 유체가 배관 장치(10)를 통해서 적용 장치(2000)를 향해 이동함이 방지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유체는 유출 통공(152)를 통해 역으로 침투하기 시작하고, 역류 몸체(330)들의 줄기부(330)는 유출 통공(152)으로부터 멀리 밀어진다. 이것은 시일링 표면(360)이 외측부(340)의 일부와 맞물리는 결과를 초래하며, 유체가 배관 장치(10)를 통해 역류함이 방지된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체크 밸브(310)들이 구비되어 하나의 밸브가 다른 하나에서의 압력 차이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높은 시일링이 가능하게 되며, 작은 누설조차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제3 유체 제어 메카니즘(400)은 범람 방지 장치(410) 및 조정 조립체(450)를 포함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이해되겠지만, 범람 방지 장치(410)와 조정 조립체(450)는 개별의 유체 제어 메카니즘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은 개별적으로 제3 유체 제어 메카니즘과 제4 유체 제어 메카니즘을 이룬다.
범람 방지 장치(410)는 하류에서 (예를 들어 파이프(1000)가 파열되는 등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범람 방지 장치(410)는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즉, 압력 제한 장치)과 조합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하류에서 실질적인 누설리 발생하는 경우,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은 범람 방지 장치(410)의 활성화를 위하여 충분한 양의 물이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을 통해 유동함을 허용한다. 하나의 몸체(100) 내에 범람 방지 장치(410)와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을 조합하여 구성함은, 메카니즘들 간의 적합한 유동 균형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고, 비호환성 문제 (incompatibility issue)를 방지한다. 범람 방지 장치(410)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조절부는 피스톤(412)의 형태를 갖는다. 피스톤(412)은 스프링(414)에 의하여 조절 부분(470)의 정지부를 향해 편향된다. 스프링(414)은 피스톤(412)의 외측부를 에워싼다. 피스톤(412)은 시일링 표면(416)을 포함한다. 시일링 표면(416)은, 미리 정해진 유동이 피스톤(412)을 통과함에 따라서, 조절 부분(470)의 일부분에 대한 시일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유동은 예를 들어 하류측의 파이프 파열에 해당된다.
조정 조립체(450)는 작동부(460) 및 조절 부분(470)을 포함한다. 작동부(460)는 조절 부분(47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작동부(460)는 핸들(462)을 포함한다. 핸들(462)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핸들(462)은 연결부(464)에 연결된다. 연결부(464)는 횡방향 통공(190)을 통해 연장된다. 연결부(464)는 조절 부분(470)에 연결된다. 조절 부분(470)은 볼 형태를 가지고 있다. 조절 부분(470)은 범람 방지 장치(410)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유체가 배관 장치(10)를 통해 유동함을 허용하기 위하여, 핸들(462)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동 위치로 회전된다. 이로 인하여 조절 부분(470)은, 조절 부분(470)을 통하는 통공 또는 오리피스가 유동축(102)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유체/물이 배관 장치(10)을 통해 유동함에 따라서 유체/물은 조절 부분(470)에 위치한 범람 방지 장치(410)를 지나간다.
하류측 문제로 인하여 범람 방지 장치(410)이 활성화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범람 방지 장치(410)는 폐쇄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유체가 조절 부분(470)의 통공 또는 오리피스를 통과함을 방지한다. 시일링 인터페이스(416)가 조절 부분(470)과 맞물리는 폐쇄 위치로부터 범람 방지 장치(410)를 리셋하기 위해서는, 핸들(462)이 오프 위치(off position)로 회전된다. 오프 위치에서는, 조절 부분(470)의 벽에 의하여, 추가적인 유체가 예를 들어 추가 통공(140)을 통과함을 방지한다. 이 위치에서는, 범람 방지 장치(410)에서 압력이 해제된다. 이로 인하여 스프링(414)이 피스톤(412)을 (도 2 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강제함이 허용된다. 조절 부분(470)의 벽을 통하는 통공 또는 오리피스는 조절 부분(470)의 내부 부분으로부터 유체를 배수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이로써 범람 방지 장치(410)에서 압력이 해제된다. 피스톤(412)이 개방 위치로 복귀하면, 핸들(462)은 도 2 에 도시된 유동 위치로 되돌려 회전될 수 있고, 이 때 유체가 배관 장치(10)을 통해 유동함이 허용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조정 조립체(450)가 배관 장치(10)에서 별도의 유체 제어 메카니즘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 조정 조립체(450)는 볼 밸브로서 작용한다.
위와 같은 사항을 고려할 때, 파이프(1000)를 위하여 필요한 유체 사양에 따라서, 다른 유형의 유체 제어 메카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용 장치(2000)에서 압력 제한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 방지 장치가 제1 유체 제어 메카니즘(200)을 대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몸체(100)가 필터/스트레이너(filter/strain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스트레이너는 예를 들어 범람 방지 장치(41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관 장치(10)는 다양한 선택안을 구비한 조립을 위한 키트(kit)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키트는 몸체(100)와 함께 적어도 둘 이상의 유체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장치(10)는 복수의 유체 제어 메카니즘들을 유지할 수 있는 단일의 밸브 몸체(100)를 제공한다. 이것은, 재료 사용, 조립 복잡성, 및 설치 시간을 비자명하게 감소시킨다. 더 상세하게는, 몸체(100)의 사용으로 인하여 배관 장치(10)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되고, 상이한 메카니즘들을 함께 조합해야 할 필요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크기, 복잡성의 감소는 낮은 가격의 제품으로 귀결되고, 이것은 고객에 대한 우수한 서비스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배관 제품(10)은 다양한 상황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길이인 대략 145mm의 길이를 갖는다.
도 4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는 특히 금속 케이싱에 적합한 것인 반면에, 본 실시예는 특히 플라스틱 케이싱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케이싱은 다양한 성분을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 성분들이 성형될 수 있는 방식에 제한이 있으며, 이에 적합하도록 본 설계안에 있어서의 일부 변형안들이 도출되었다.
전체적으로, 하우징(500)은 제1 튜브형 몸체(501) 및 제2 튜브형 몸체(502)을 포함하며, 이들이 서로 결합되어서 유체 제어 장치를 형성하고,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포함된다.
상기 장치는 일 단부에 유입부(503)를 구비하고 반대측 단부에 유출부(504)를 포함하여서, 유체는 유입부(503)으로부터 유출부(504)로 유동하는바, 이것은 도 4, 6, 및 8 내지 11 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유동에 해당된다.
제1 튜브형 몸체(501)의 유입 단부에는 신속 해제 커넥터(505)가 제공되는바, 이것은 상류측 파이프를 파지하기 위한 콜릿(collet)(506) 및 파이프의 실링을 위한 오-링(507)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커넥터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유출 단부에는 스크류 나사 커넥터(508)가 제공된다. 그러나, 양 단부에는 필요한 바에 따라 적합한 단부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튜브형 몸체(501)의 하류 단부는 조절기(510)를 수용한다. 이것은 복수의 유동 경로(512)가 제공되어 있는 조절 피스톤(511)을 포함하며, 도 8 및 도 9 에는 상기 복수의 유동 경로(512)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은 중공의 내부 유동 경로를 가진 조절기 몸체(514)에 지탱된다. 조절 피스톤(511) 및 조절기 몸체(514) 모두는 개별의 오링(515, 516)에 의해서 제1 튜브형 몸체(501)에 대해 시일링된다.
제1 튜브형 몸체(501)이 플라스틱 성형물로서 형성된다면, 상기 몸체의 내측 보어(inner bore)에 언더컷(undercut)을 형성함이 실용적이지 못할 것이다. 그보다는, 조절기(510)는 중공의 슬리브(517)에 의하여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517)는 제1 튜브형 몸체(501) 내의 어깨부(518) 상에 유지되고 또한 파지 이빨부(519)에 의하여 제 위치에 유지된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517)는 상기 조절기의 상류 단부를 어깨부(520)에 대한 제 위치에 유지시키고, 이로 인하여 조절기의 추가적인 하류 방향 움직임이 방지된다. 어깨부(521)는 조절 피스톤(511)을 위한 단부 저장부를 제공한다.
사용시, 조절 피스톤(511)은 유체 압력과 스프링(513)에 의하여 하류 방향으로 편향된다. 하류 표면 영역이 상류 영역(523)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조절기를 통하는 압력이 증가하면, 그 압력 증가로 인하여 상기 편향된 피스톤(511)이 상류 방향인 좌측으로 밀리게 될 것이고, 이로써 피스톤(511)과 조절기 몸체(514)의 단부 사이의 간극(523)이 감소되어 압력 감소가 유발된다. 상기 장치를 통하여 발생하는 압력 감소는 상기 피스톤에 걸친 순 압력 차이(net pressure differential)가 감소됨을 유발할 것이며, 이에 의하여 편향력 피스톤(513)에 의하여 간극(524)이 증가됨이 유발되고, 이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실제에 있어서, 이것은 압력이 조절된 레벨에 유지되게 한다.
도 10 및 도 11 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된 구성요소들 모두는 일반적으로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순서대로 유입 단부(503)에 삽입될 수 있으며, 다만 다양한 오-링들은 삽입 이전에 개별의 구성요소에 끼워진다.
제2 튜브형 몸체(502) 내에는 한 쌍의 체크 밸브(530)가 있다. 체크 밸브(530)들 각각은 스프링 부하를 받는 플런저(531)를 구비하며, 상기 플런저(531)는 체크 밸브 카트리지(533) 상에 형성된 안착부(532)에 안착되고, 이 때 시일링 인터페이스는 오-링(534)에 의해 시일링된다. 상기 카트리지(533)는 오-링(535)에 의해서 제2 튜브형 몸체(502)의 벽에 시일링된다. 상기 두 개의 체크 밸브(530)들은, 제2 튜브형 몸체(502)의 상류 단부에 고정된 유지 링(537)과 제2 튜브형 몸체(502)의 어깨부(536) 사이에 유지됨에 따라서 제 위치에 유지된다.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체크 밸브(530)들은 유지 링(537)의 삽입 이후 간편하게 제2 튜브형 몸체(502)의 상류 단부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역류 발생시 역류는 플런저(531)를 밀어 닫히게 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장치를 통하는 역류는 상기 체크 밸브(530)들에 의해 방지된다.
도 8 및 도 9 에서, 스톱 밸브(540)는, 제1 튜브형 몸체(501)와 제2 튜브형 몸체(502)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541) 내에 유지된다.
스톱 밸브(540)는 일체형 핸들(543)을 구비한 볼 밸브(54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 유형의 밸브는 EP 3404299 에 개시되어 있다.
제1 튜브형 몸체(501)는, 공동(541)을 형성하는 확장된 하류 단부(544)를 구비한다.
상기 하류 단부(544)에는 측방향 통공 또는 오리피스(545)가 제공된다. 제1 튜브형 몸체(501) 내에 스톱 밸브(540)를 삽입하기 위해서, 스톱 밸브(540)는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자세로부터 뒤집힌다. 이 방위에서, 먼저 핸들(543)이 제1 튜브형 몸체(501)에 진입하고 후속하여 측방향 통공(545)를 통과하도록 스톱 밸브(540)가 공동(541) 안으로 삽입된다. 스톱 밸브(540)가 추가적으로 회전됨으로써, 볼 밸브(542)가 완전히 상기 공동 안으로 들어오고, 핸들(543)이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핸들의 최종 위치로 들어오게 된다. 이들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 내용은 EP 3404299 에 개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핸들(543)은 오-링(546)에 의하여 제1 튜브형 몸체(501)에 대해 시일링된다.
볼 밸브는 내부 관통 보어(547)를 구비하는바, 이것은 도 8 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을 통하는 유동 경로와 열을 이루어, 유입부(503)로부터 유출부(504)로의 유동을 허용한다. 한 쌍의 시일링 링(548, 549)은 볼 밸브(542)를 제1 튜브형 몸체(501) 및 제2 튜브형 몸체(502)에 대해 시일링시키고, 상기 볼 밸브가 유동축에 대해 직각인 축 주위로 회전함을 가능하게 한다.
도 9 에 도시된 위치에서, 볼 밸브(542)는 폐쇄 위치로 회전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관통 보어(547)는 유동 경로와 이루던 열로부터 벗어나 하우징을 통하는 유동을 시일링시킨다.
볼 밸브(542) 내에는 범람 방지 조절기가 위치한다. 범람 방지 조절기는, 관통 보어(547) 안으로 연장된 플랜지(562)를 통하여 장착되고 또한 상기 플랜지에 의해 유지되는 하류 단부에 있는 미늘(barb)(561)들을 구비한 피스톤(560)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피스톤(560)은 스프링(563)에 의하여 도 8 에 도시된 위치로 편향된다. 피스톤(560)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바, 정상적 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을 통하는 다수의 유동 경로들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장치의 하류에서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조절기(51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장치 안으로의 유입 유동보다 상기 장치로부터 누설 경로로의 유출 유동이 크게 된다. 이것은 피스톤(560)에 걸친 압력 차이를 유발하며, 이로 인해 상기 피스톤을 스프링(563)의 작용을 거슬러 하류로 강제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피스톤 상의 오-링(564)이 플랜지(562)에 대한 시일링을 수행하며, 이로써 볼 밸브(542)를 통한 유동이 단절된다.
일단 하류측 문제가 수리된 다음에는, 스톱 밸브(540)를 도 9 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회전시킴으써 범람 방지 조절기가 리셋될 수 있다. 상기 볼 밸브에는 압력 해제 통공 또는 오리피스(565)가 제공된다 (도 9 및 도 11 참조). 이 위치에서는, 스톱 밸브(540)아 폐쇄 위치에 있기 때문에 피스톤(560)의 상류측이 상류측 압력으로부터 단절된다. 그 다음, 플랜지(562)의 상류측에 있는 잔류 유체가 압력 해제 통공(565)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밸브에 걸친 유체 압력이 동등하게 되어, 스프링(563)이 피스톤(560)을 리셋시킴을 허용한다. 이 때, 스톱 밸브(540)는 개방 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통합된 범람 방지 조절기를 구비한 밸브의 일 예가 이전에 출원된 PCT/AU2021/050445에 개시되어 있는바, 이것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포함)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문헌 PCT/AU2021/050445 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조절기(510), 체크 밸브(530)들, 및 스톱 밸브(540)가 제1 튜브형 몸체(501) 및 제2 튜브형 몸체(502) 안으로 삽입된 다음에는, 제1 튜브형 몸체(501)와 제2 튜브형 몸체(502)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제2 튜브형 몸체(502)의 상류 단부는 제1 튜브형 몸체(501)의 개방된 하류 단부 안으로 삽입된다. 접합부(570)는 초음파 용접되고, 오-링(571)은 상기 접합부를 위한 유체 기밀 시일(fluid tight seal)을 제공한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튜브형 몸체(501) 및 제2 튜브형 몸체(502)는, 서로 결합된 때에 볼 밸브(542)를 위한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공동(541) 내의 시일링 링들(548, 549)을 지지하는 치수를 갖는다.
그러므로, 세 개의 밸브 섹션들이 모두 단일의 하우징 접합체에 의해 수용되고, 이에 따라 누설 경로 발생의 잠재적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의 길이도 현저히 감소된다.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자명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상호 간에 배타적인 것이 아니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이한 개별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개별의 특징들이 조합될 수 있다.

Claims (17)

  1. 유입부,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의 유동 경로를 가진 하우징;
    상기 유입부에 구비된 제1 커넥터; 및
    상기 유출부에 구비된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유체 제어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은 단일 부재로 형성된 제1 몸체 및 단일 부재로 형성된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제1 몸체의 상류 단부에 상기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경로 내의 유동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를 수용하며, 하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 경로를 통한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check valve)를 수용하며, 상기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에 연결 및 시일링되어,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에 공동(cavity)이 형성되며, 상기 공동은 측방향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동 내에는 상기 유동 경로를 통한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스톱 밸브(stop valve)가 배치되고, 상기 스톱 밸브를 위한 핸들 메카니즘(handle mechanism)이 상기 측방향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밸브는 범람 방지 조절기(flood prevention regulator)를 포함하는, 유동 제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밸브는 스톱 밸브가 폐쇄되는 때에 상기 장치의 유출부와 유체 소통되는 압력 해제 통공을 구비하여, 사용시 상기 범람 방지 조절기에 걸친 압력 감소가 유발되고, 상기 스톱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범람 방지 조절기가 자동적으로 리셋됨이 가능하게 되는, 유체 제어 장치.
  4. 임의의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밸브는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를 거쳐서 삽입 가능한, 유체 제어 장치.
  5.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밸브는 볼 밸브(ball valve)인, 유체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브는 볼 밸브와 일체를 이루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를 거쳐서 상기 측방향 개구 안으로 삽입 가능한, 유체 제어 장치.
  7. 임의의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안에는 상기 스톱 밸브의 상류 단부 및 하류 단부와의 개별적 시일링을 위한 제1 링 시일(first ring seal) 및 제2 링 시일(second ring seal)이 수용되는, 스톱 밸브.
  8. 임의의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제1 몸체의 유입 단부에서 제1 몸체 안으로 삽입 가능한, 유체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조절기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하는 어깨부(shoulder)를 포함하는, 유체 제어 장치.
  10. 임의의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제2 몸체의 상류 단부로부터 제2 몸체 안으로 삽입 가능한, 유체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체크 밸브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하는 어깨부를 포함하는, 유체 제어 장치.
  12. 제4항, 제8항, 및 제10항에 따른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압력 조절기를 상기 제1 몸체의 상류 단부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체크 밸브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스톱 밸브를 위한 핸들 메카니즘이 상기 측방향 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 안으로 상기 스톱 밸브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에 연결 및 시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
  13. 제7항에 따른 유체 제어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제12항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은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연결 이전에 상기 제1 링 시일 및 제2 링 시일을 상기 공동 안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에 연결 및 시일링하는 단계로 인하여 상기 제1 링 시일 및 제2 링 시일이 상기 스톱 밸브와 시일링되는,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은, 시일링 제공을 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 사이에 오-링(O-ring)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하류 단부를 상기 제2 몸체의 상류 단부에 연결하는 단계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수행되는, 유체 제어 장치의 조립 방법.
  16. 유입부와 유출부를 구비한 몸체, 압력 조절 장치, 역류 방지 장치, 및 범람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장치(plumbing device)로서,
    상기 몸체의 제1 부분은 상기 몸체의 제2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 조절 장치, 역류 방지 장치, 및 범람 방지 장치를 실질적으로 수용하는, 배관 장치.
  17. 배관 장치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배관 장치 조립 방법은:
    유입부,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서 연장된 유동축(flow axis)을 가진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 안에 범람 방지 장치를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상기 범람 방지 장치와 상이한 유체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유체 제어 메카니즘을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상기 유동축을 따른 상이한 위치들에서 상기 유체 제어 메카니즘과 상기 범람 방지 장치를 수용하도록, 서로 연결되게끔 구성되는, 배관 장치 조립 방법.
KR1020237018676A 2020-11-05 2021-11-04 배관 장치 KR202301102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0904030 2020-11-05
AU2020904030A AU2020904030A0 (en) 2020-11-05 Plumbing Assembly
PCT/EP2021/080611 WO2022096559A1 (en) 2020-11-05 2021-11-04 A plumb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280A true KR20230110280A (ko) 2023-07-21

Family

ID=7859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676A KR20230110280A (ko) 2020-11-05 2021-11-04 배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02568A1 (ko)
EP (1) EP4240996A1 (ko)
KR (1) KR20230110280A (ko)
CN (1) CN116670415A (ko)
AU (1) AU2021373289A1 (ko)
WO (1) WO20220965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498Y2 (ko) * 1987-08-12 1992-03-10
DE102005010139B4 (de) * 2004-12-29 2013-11-28 Hans Sasserath & Co. Kg Rohrtrenneranordnung
GB2562514A (en) 2017-05-17 2018-11-21 John Guest International Ltd A ball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73289A1 (en) 2023-06-22
WO2022096559A1 (en) 2022-05-12
US20240102568A1 (en) 2024-03-28
EP4240996A1 (en) 2023-09-13
CN116670415A (zh)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9275A1 (en) Ball valve with components integrated into the ball member
AU2016244339B2 (en) Device for a Plumbing Installation
US7434595B2 (en) Safety valve assembly having set and reset mechanisms
US20230383856A1 (en)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having a cartridge with dual zone testing
WO1998008012A1 (en) Outlet pressure limiting valve
KR20230110280A (ko) 배관 장치
RU2005140936A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 встроенным обратным клапаном
AU2010225199B2 (en) Valve assembly
GB2567247A (en) An improved shut-off valve for a sanitary fitting
JP2006010259A (ja) 弁内蔵式給湯回路モジュール
KR200447182Y1 (ko) 소켓 분리형 역류방지 장치
JP4088916B2 (ja) 逆流防止装置
JP4470218B2 (ja) 逆流防止装置
WO1996006308A1 (en) A valve
JP2018091474A (ja) 制御弁ユニット
JP4481227B2 (ja) 減圧弁
US7380567B2 (en) Safety valve assembly having reset mechanism
JP3968336B2 (ja) 逆流防止装置及び一缶多水路型給湯器
CN112344053A (zh) 具有自动关闭端口的管路系统
JP3445088B2 (ja) 液化石油ガス用継手金具付高圧ホース
AU2022263611A1 (en) Valve
JPH093992A (ja) 給水管接続部の漏水受け具
WO2009067574A1 (en) Compact beverage pressure regulator
CN113056629A (zh) 止回阀及具备该止回阀的阀装置
JP2003329306A (ja) 注湯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