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141A -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 - Google Patents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141A
KR20230104141A KR1020237014408A KR20237014408A KR20230104141A KR 20230104141 A KR20230104141 A KR 20230104141A KR 1020237014408 A KR1020237014408 A KR 1020237014408A KR 20237014408 A KR20237014408 A KR 20237014408A KR 20230104141 A KR20230104141 A KR 2023010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ght control
light
panel
inter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키 이즈
다이스케 나카지마
마사시 야나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0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32B17/10302Edge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32B17/10504Liquid crys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32B17/10532Suspended particl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009Materials therefor
    • G02F1/0018Electro-optical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6Liquid crystal optical waveguides or liquid crysta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gating or modulating between optical wave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02F1/13345Network or three-dimensional g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orientable non-spherical particles having a common optical characteristic, e.g. suspended particles of reflective metal fl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32B17/10357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comprising a tinted intermediate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1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particles for purposes other than dyeing
    • B32B17/10633Infrared radiation absorbing or reflec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32B17/10669Luminescent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7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UV absorbers or stabilizers, e.g. anti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88Adjustment of the adherence to the glass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71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in combination with particular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2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8Aircraf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4Arrangements combining different electro-active layers, e.g.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or electroluminescent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중간막 구성체(11)는, 2장의 투명 패널(12, 13) 사이에 끼워져 사용되고, 광투과 및 광산란을 전환 가능한 제1의 조광 필름(21)과,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정 가능한 제2의 조광 필름(22)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이 두께 방향으로 나열된다.

Description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
본 발명은, 2장의 투명 패널 사이에 끼워져 사용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구비하는 접합 패널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 운전차나 EV차에 있어서는, 기능면에서는, 자동차의 내외장을 불문하고, 액티브 기능화가 자동차 부재의 트랜드로 되어 오고 있다. 액티브 기능화의 하나로서, 종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선 바이저를 구비하는 윈드실드가 검토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선 바이저에 폴리머 분산형 액정(PDLC) 필름 등의 조광(調光) 필름을 적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PDLC 필름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액정이 불규칙하게 배향하여 강한 광산란을 초래함과 더불어,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이 정렬하여 높은 광투과성을 갖게 된다. 그 때문에, 윈드실드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기계식 선 바이저의 대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종래, 조광 필름을 갖는 창 등의 투광 부재는, 다양한 개량이 이루어져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서는, 차광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액정층을 갖는 조광층을 2층 설치한 조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조광 필름으로서는, PDLC 등의 액정을 갖는 것 이외에도, 특허문헌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지 매트릭스 중에 광 조정 현탁액을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조광층을 구비하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필름 등도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허공표 2020-51023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20-30355호 공보 국제 공개 2010/021276호
그런데, 자동 운전차나 EV차의 디자인에 있어서는, 루프까지 유리로 덮인 풀 글라스 톱 디자인, 또 유리와 보디의 이음매 부분을 제거한 심리스 디자인에 주목이 모여 있으며, 특히, 루프 디자인이 주목받고 있다. 루프 부분의 유리 면적이 커지는 풀 글라스 톱 디자인 구조에서는, 창 개폐 유닛 등 기계식 셰이드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어 도입하는 것은 실용적으로는 어렵다.
따라서, 면적이 큰 루프 구조에서는, 두상(頭上)으로부터 많은 태양광, 열선이 유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짙은 색 접합 유리 등을 도입하여 외광을 차단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는데, 짙은 색 접합 유리를 사용하면, 개방감이 얻어진다는 루프 유리를 도입하는 메리트가 얻어지기 어려워, 사용자의 니즈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
그래서, 루프 유리에 있어서도, 기계식 셰이드의 대체 수단으로서, PDLC 등의 조광 필름을 적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PDLC는, 차내로의 열선 유입량의 제어가 불충분하고, 무색 또는 연한 색의 유리 또는 접합 유리와의 조합에서는, 차열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다. 한편으로, PDLC와 짙은 색 유리 또는 짙은 색 접합 유리를 조합하면 차열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충분한 개방감을 얻을 수 없거나, PDLC가 광투과 모드일 때에도 충분한 광투과성을 얻을 수 없거나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열선의 유입을 적절히 방지하면서도 충분한 개방감이 얻어지고, 또한 광투과 모드에서는, 충분한 광투과성이 얻어지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의 결과, 특정의 2종류 이상의 조광 필름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이하의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이하의 [1]~[35]를 제공한다.
[1] 2장의 투명 패널 사이에 끼워져 사용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로서, 광투과 및 광산란을 전환 가능한 제1의 조광 필름과,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정 가능한 제2의 조광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이 두께 방향으로 나열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조광 필름이 상기 제1의 조광 필름보다 옥외 측에 배치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과, 상기 제2의 조광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조광 필름을 접착시키는 내부 투명 접착층을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이 상기 내부 투명 접착층을 개재하여 열압착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의 최외면에 표면 투명 접착층을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상기 제2의 조광 필름에 의해, 1% 이하, 및 10% 이상으로 조정 가능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Tds(Solar direct transmittance)가 55% 이하로 조정 가능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이 40% 이하로 조정 가능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은, 각각의 주연부(周緣部)가 상기 투명 패널의 주연부로부터 10mm 이상 내주 측에 배치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0]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의 외주 측에 설치되는 봉지재(封止材)를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의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이,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이, 폴리머 분산형 액정 필름 및 폴리머 네트워크형 액정 중 어느 하나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조광 필름이, 일렉트로크로믹 필름, SPD 필름, 및 전기 영동 필름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5]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은,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60% 이상 100% 이하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0% 이상 30% 이하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6]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은, 광산란 모드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0% 이상 40% 이하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70% 이상 100% 이하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7] 상기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조광 필름은, 광투과 모드와 광차폐 모드가 전환 가능하고,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25% 이상 100% 이하이고, 또한 헤이즈값은 0% 이상 30% 이하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8] 상기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조광 필름은, 광투과 모드와 광차폐 모드가 전환 가능하고, 광차폐 모드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25% 미만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60% 미만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9] 상기 [3]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투명 접착층이 열가소성 수지층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0] 상기 [19]에 있어서,
상기 내부 투명 접착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1] 상기 [5]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투명 접착층이 열가소성 수지층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2] 상기 [21]에 있어서,
상기 표면 투명 접착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3] 상기 [5]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투명 접착층, 상기 제1의 조광 필름, 상기 내부 투명 접착층, 제2의 조광 필름, 및 상기 표면 투명 접착층의 순으로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4] 상기 [10]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5] 상기 [24]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6] 상기 [1]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을 광산란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70% 이상,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을 20% 이하로 조정 가능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7] 상기 [1]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제1의 조광 필름을 광산란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Tds는, 10% 미만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8] 상기 [1]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이, 2장의 기재 필름과, 2장의 상기 기재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조광층을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9] 상기 [1] 내지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조광 필름이, 2장의 기재 필름과, 2장의 상기 기재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조광층을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30] 상기 [1]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와, 2장의 투명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가 상기 2장의 투명 패널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는, 접합 패널 구성체.
[31] 상기 [30]에 있어서,
두께가 7mm 이하인, 접합 패널 구성체.
[32] 상기 [30] 또는 [31]에 있어서,
자동차 루프 유리용인, 접합 패널 구성체.
[33] 상기 [30] 또는 [31]에 있어서,
건축물용인, 접합 패널 구성체.
[34] 상기 [1]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또는 상기 [30] 또는 [31]에 기재된 접합 패널 구성체의 자동차 루프 유리로의 사용.
[35] 상기 [1]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또는 상기 [30] 또는 [31]에 기재된 접합 패널 구성체의 건축물로의 사용.
본 발명에서는, 열선의 유입을 적절히 방지하면서도 충분한 개방감이 얻어지고, 또한 광투과 모드에서는, 충분한 광투과성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본 발명의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이하, 「중간막 구성체」라고도 한다)는, 2장의 투명 패널 사이에 끼워져 사용되는 것이며, 두께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및 광산란을 전환 가능한 조광 필름이며, 제2의 조광 필름이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정 가능한 조광 필름이다.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는,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의 모드를 적절히 조합하여 차광함으로써, 열선의 유입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면서도, 제2의 조광 필름에 의해, 외부의 상황에 맞추어, 가시광의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광투과성을 높게 하거나, 광투과성을 억제하면서 개방감을 얻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니즈에 충분히 적합한 접합 패널 구성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의 조광 필름]
제1의 조광 필름은, 광투과 및 광산란을 전환 가능한 조광체이다. 제1의 조광 필름은, 광투과 모드에서는,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갖는다. 또, 광산란 모드에서는 높은 헤이즈값을 가짐과 더불어, 가시광선 투과율이 광투과 모드에 비해 저하한다. 제1의 조광 필름은, 광투과 모드와 광산란 모드의 전환이 전압의 인가의 유무에 따라 행해진다.
제1의 조광 필름으로서는, 폴리머 분산형 액정(PDLC)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DLC 필름을 사용하면, 광투과 모드에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이기 쉽고, 광산란 모드에서는 높은 광산란이 얻어져, 광산란 모드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을 높게 하기 쉬워진다. 또, 제1의 조광 필름으로서는, 폴리머 네트워크형 액정(PNLC)도 사용할 수 있다.
제1의 조광 필름은, 예를 들면, 2장의 기재 필름과, 2장의 기재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조광층을 구비한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테르술폰(PES)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수지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2장의 기재 필름 각각에는 조광층 측의 면에 전극층이 설치되면 된다. 전극층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투명성을 갖는 전극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 없이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인듐주석 산화물(ITO) 도전막, 산화주석 도전막, 산화아연 도전막, 고분자 도전막 등을 들 수 있다. 전극층에는, 인출 전극이 접속되고, 인출 전극을 통해 전극층 간에 전압이 인가되면 된다.
제1의 조광 필름에 있어서의 조광층은, 예를 들면 액정층이며, 제1의 조광 필름이 폴리머 분산형 액정(PDLC) 필름인 경우, 액정층은, 폴리머 분산형 액정(PDLC)에 의해 구성된다. 폴리머 분산형 액정은, 액정층 중에 폴리머에 의해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된 네트워크형 액정으로 불리는 것을 들 수 있다.
액정층은, 예를 들면 스페이서 등에 의해 액정을 내부에 충전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형성되고, 그 스페이스 내에 액정을 충전하고 또한 봉지한 것을 들 수 있는데, 스페이서는 없어도 된다. 또, 액정으로서는, 어떠한 방식의 것이어도 되고, TN형이어도 되며, STN형이어도 된다. 또, 조광층과 전극층 사이에는, 적절히 배향막이 설치되어도 된다. 배향막이 설치됨으로써, 제1의 조광 필름은, 후술하는 리버스 타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의 조광 필름은, 전극층 간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액정층의 배향 상태가 변화하여, 광투과와 광산란이 전환된다. 제1의 조광 필름은, 노멀 타입, 리버스 타입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노멀 타입은, 전압이 인가되면(전압 ON) 투과 상태가 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전압 OFF)에는 산란 상태가 되는 타입이다. 또, 리버스 타입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투과 상태가 되고, 전압이 인가되면 산란 상태가 되는 타입이다.
제1의 조광 필름은, 상기와 같이,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고, 헤이즈값도 작다.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제1의 조광 필름의 구체적인 가시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면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짐으로써, 광투과 모드에서는, 접합 패널 구성체의 광투과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자동차의 루프 유리에 사용하면 충분한 개방감이 얻어진다.
또,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제1의 조광 필름의 헤이즈값은, 예를 들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또한,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제1의 조광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100% 이하이면 되는데, 실용적으로는 99% 이하이고, 또한, 헤이즈값은 0% 이상이면 되는데, 실용적으로는 예를 들면 1% 이상이다.
한편, 광산란 모드에 있어서, 제1의 조광 필름의 헤이즈값은, 예를 들면,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광산란 모드에 있어서, 이와 같이 헤이즈값이 높아지면, 차광성이 높아져, 광산란 모드에 있어서 열선의 유입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접합 패널 구성체의 외부 측으로부터, 내부를 엿보는 등의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또, 광산란 모드에서는, 제1의 조광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광투과 모드 시보다 낮고, 예를 들면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상과 같이 광산란 모드에서 광투과율이 낮아지면, 광산란 모드에 있어서 열선의 유입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산란 모드에 있어서의 제1의 조광 필름의 헤이즈값은, 100% 이하이면 되는데, 실용적으로는 99% 이하 정도이다. 또, 가시광선 투과율은 0% 이상이면 되는데, 실용적으로는 예를 들면 1% 이상 정도이다.
또한, 제1의 조광 필름은,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광산란 모드 및 광투과 모드 중 어느 한쪽이 되고, 그 모드에 있어서 상술한 헤이즈값과 가시광선 투과율의 범위 내가 되면 된다. 또, 제1의 조광 필름은,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광산란 모드 및 광투과 모드 중 다른 쪽이 되고, 그 모드에 있어서 상술한 헤이즈값과 가시광선 투과율이 되면 되는데, 인가되는 전압값은 한정되지 않으며, 어느 하나의 전압값일 때에 상기 헤이즈값과 가시광선 투과율이 되면 된다. 후술하는 제2의 조광 필름의 광투과 모드 및 광차광 모드 등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1의 조광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0.05mm 이상 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0.8mm 이하이다.
제1의 조광 필름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토판인쇄주식회사 제조의 「LC MAGIC」 시리즈의 노멀 타입[광투과 모드:헤이즈값 5%, 평행선 투과율 82%, 광산란 모드:헤이즈값 98%, 평행선 투과율 1%(카탈로그값)], 리버스 타입[광투과 모드:헤이즈값 10%, 평행선 투과율 80%, 광산란 모드:헤이즈값 92%, 평행선 투과율 7%(카탈로그값)]을 들 수 있다. 또한, 니혼이타가라스우무프로덕츠주식회사 제조의 「UMU」의 윈도우 타입[광투과 모드:헤이즈값 6%, 평행선 투과율 74%, 광산란 모드:헤이즈값 86%, 평행선 투과율 5%(카탈로그값)] 등을 들 수 있다. 또, Gauzy사의 「LC-W」 등을 들 수 있다.
[제2의 조광 필름]
제2의 조광 필름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정 가능한 조광체이다. 제2의 조광 필름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광투과 모드와,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아지는 광차폐 모드가 전환되면 된다.
제2의 조광 필름은, 광차폐 모드여도 광산란이 그다지 발생하지 않고 헤이즈값이 그다지 높아지지 않아, 상기한 광산란 모드에 있어서의 제1의 조광 필름의 헤이즈값보다 헤이즈값은 낮아진다.
제2의 조광 필름으로서는, 일렉트로크로믹 필름, SPD 필름, 전기 영동 필름 디바이스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는, SPD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사용하면, 광산란이 그다지 발생하지 않고, 가시광선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면서, 제2의 조광 필름을 광차폐 모드로 하면, 광산란을 억제하면서, 완전하게 차광되지 않도록 광투과율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창유리 등에 사용하면, 열선의 투과를 일정 정도 방지하면서도 개방감을 얻기 쉬워진다.
제2의 조광 필름은, 예를 들면, 2장의 기재 필름과, 2장의 기재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조광층을 구비한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고, 수지 필름에 사용되는 수지는, 제1의 조광 필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데,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의 기재 필름은, 모두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2의 조광 필름에 있어서도 2장의 기재 필름 각각에는 조광층 측의 면에 전극층이 설치되면 된다. 전극층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투명성을 갖는 전극 재료이면 모두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인듐주석 산화물(ITO) 도전막, 산화주석 도전막, 산화아연 도전막, 고분자 도전막 등을 들 수 있다. 전극층에는, 인출 전극이 접속되고, 인출 전극을 통해 전극층 간에 전압이 인가되면 된다.
<<SPD 필름>>
조광 필름이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필름인 경우, 조광층은, 수지 매트릭스와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한 광 조정 현탁액을 포함하는 층이다.
수지 매트릭스는, 고분자 매체로 이루어지고, 광 조정 현탁액은, 광 조정 입자가 유동 가능한 상태에서 분산매 중에 분산한 것이다. 고분자 매체 및 분산매(광 조정 현탁액 중의 분산매)로서는, 고분자 매체 및 그 경화물과 분산매가, 적어도 필름화했을 때에 서로 상분리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한다. 서로 비(非)상용 또는 부분 상용성인 고분자 매체와 분산매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매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치환기를 갖는 수지,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자외선, 가시광선, 전자선 등의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수지로서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치환기를 갖는 수지 외에, 유기용제 가용형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등도 고분자 매체의 구성 재료로서 병용할 수 있다.
또, 고분자 매체 중에는,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착색 방지제 등의 첨가물을 필요에 따라 첨가해도 된다. 또한, 고분자 매체에는 용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광 조정 현탁액 중의 분산매로서는, 광 조정 현탁액 중에서 분산매의 역할을 완수하고, 또한 광 조정 입자에 선택적으로 부착 피복하여, 고분자 매체와의 상분리 시에 광 조정 입자가 상분리된 액적상(液滴相)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여, 전기 도전성이 없고, 고분자 매체와는 친화성이 없는 액상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공중합체로서 예를 들면, 플루오로기 및/또는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플루오로기 및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 조정 현탁액은, 분산매 중에 광 조정 입자가 유동 가능하게 분산한 것이다. 광 조정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요오드화물의 결정이 사용되고, 폴리요오드화물의 침상 소결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SPD 필름은, 양 전극층 간에 전압이 인가되면, 광 조정 입자가 두께 방향으로 배향하고, 그에 의해, 광투과율, 예를 들면 특정의 파장역의 투과율이 높아지면 된다.
또, SPD 필름에 있어서는, 조광층과 전극층 사이에 적절히 프라이머층이 설치되어도 된다.
SPD 필름은, 전극층 간에 전압이 무(無)인가(전압 OFF)이면, 광투과성이 낮고 광차폐 모드가 된다. 한편으로, 전극층 간에 전압을 인가(전압 ON)함으로써, 예를 들면 특정의 파장역의 투과율이 높아지고, 그에 의해, 광차폐 모드로부터 광투과 모드로 전환된다. SPD 필름은, 가시광선 투과율의 변화와 함께, 가시광이 조사되었을 때의 색조가 변화하거나 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전압이 인가될 때에 무색 투명으로 하는 한편으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 청색 등의 색조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SPD 필름은, 전극 간에 인가되는 전압값의 크기를 변경하면,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크기도 변화한다.
<<일렉트로크로믹 필름>>
제2의 조광 필름은, 일렉트로크로믹 필름인 경우, 조광층이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를 포함하면 된다.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서는, 일렉트로크로믹성을 갖는 화합물이면 한정되지 않으며, 무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 혼합 원자가 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Mo2O3, Ir2O3, NiO, V2O5, WO3, TiO2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WO3가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로피롤 화합물, 폴리티오펜 화합물,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 화합물, 폴리아닐린 화합물,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화합물, 금속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비올로겐 화합물, 비올로겐염 화합물, 페로센 화합물, 테레프탈산디메틸 화합물, 테레프탈산디에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아세틸렌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혼합 원자가 착체로서는, 예를 들면, 프러시안블루형 착체(KFe[Fe(CN)6] 등)를 들 수 있다.
일렉트로크로믹 필름은, 전극층 간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예를 들면 특정의 파장역의 투과율이 변화하고, 이에 의해, 조광체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상태(광투과 모드)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은 상태(광차폐 모드)가 된다. 또, 더불어 가시광이 조사되었을 때의 색조가 변화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때에 무색 투명으로 하는 한편으로,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청, 황, 녹, 적색 등의 색조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전기 영동 필름 디바이스>>
전기 영동 필름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2개의 전극층을 갖는 기재 간에 전기 영동부를 갖는 것이다. 전기 영동부는, 예를 들면, 전기 영동 입자와,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분산제를 구비한다. 전기 영동 필름 디바이스에 있어서도, 전극층 간으로의 전압의 인가의 유무를 변경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은 상태(광투과 모드)와,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은 상태(광차폐 모드)를 변경 가능하다. 전기 영동 필름 디바이스의 구체예는, 미국 특허 공개 공보 2016/0124284호 등에 상세하게 기재된다.
제2의 조광 필름은,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일정값 이상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작아진다.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제2의 조광 필름의 구체적인 가시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면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의 양쪽을 광투과 모드로 함으로써, 접합 패널 구성체의 광투과성을 높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창유리, 특히 루프 유리에 사용하면, 충분한 개방감을 얻을 수 있고, 높은 시인성으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다.
또,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제2의 조광 필름의 헤이즈값은, 예를 들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또한,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제2의 조광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100% 이하이면 되는데, 실용적으로는 70% 이하이어도 되고, 또한, 헤이즈값은 0% 이상이면 되는데, 실용적으로는 1% 이상이다.
한편, 광차폐 모드에 있어서, 제2의 조광 필름의 헤이즈값은, 예를 들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미만이다. 광차폐 모드에 있어서, 이와 같이 헤이즈값을 낮게 할 수 있으면, 차광성을 높게 하면서도, 투과광의 직진성을 담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고, 또한 제2의 조광 필름을 광차폐 모드로 하면, 열선의 유입을 적절히 방지하면서도 일정한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으로, 광차폐 모드에 있어서의 제2의 조광 필름의 헤이즈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일반적으로는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제2의 조광 필름의 헤이즈값보다 높아진다.
또, 광차폐 모드에서는, 제2의 조광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광투과 모드 시보다 낮고, 예를 들면 25%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상과 같이 광차폐 모드에서 광투과율이 낮아지면, 광차폐 모드에 있어서 열선의 유입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또, 광차폐 모드에 있어서의 제2의 조광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제2의 조광 필름을 광차폐 모드로 하면서도,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함으로써, 일중의 태양광의 눈부심을 피하면서 외부의 개방감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광차폐 모드에 있어서의 제2의 조광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0.5% 이상이면 되고, 1% 이상이어도 된다.
제2의 조광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0.05mm 이상 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0.8mm 이하이다.
제2의 조광 필름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SPD 필름으로서 히타치화성주식회사 제조의 「LCF-1103DHA」의 Light 타입[광투과 모드:가시광선 투과율 45~65%(50~100V), 헤이즈값 6%, 광차폐 모드:가시광선 투과율 3%(카탈로그값)], Dark 타입[광투과 모드:가시광선 투과율 30~53%(50~100V), 헤이즈값 6%, 광차폐 모드:가시광선 투과율 1%(카탈로그값)]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SPD 필름으로서는 Gauzy사의 「SPD」를 들 수 있다. 또, Ynvisible사의 일렉트로크로믹 필름, 전기 영동 필름 디바이스로서 Signify사의 「E-Skin」 등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패널 구성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각종의 창유리에 사용되고, 옥내와, 옥외를 나누는 부재로서 사용되면 되는데, 제2의 조광 필름이 제1의 조광 필름보다 옥외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조광 필름을 옥외 측에 배치하면, 옥외에서 옥내로 입사된 태양광 등의 외광은, 제2의 조광 필름에 의해 차광되고, 제1의 조광 필름을 구성하는 PDLC 필름 등에 조사되는 양이 적어진다. 그 때문에, 내광성이 낮은 PDLC 필름 등의 제1의 조광 필름의 내구성이 양호해져, 중간막 구성체 전체의 내구성도 향상한다.
[스위치]
중간막 구성체는, 스위치 부재를 구비하면 된다. 스위치 부재는,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을 제어하기 위한 부재이다. 스위치 부재는, 스위치 입력에 의해, 제1의 조광 필름의 전극층 간에 전압을 인가하는지 여부를 제어하면 된다. 이에 의해, 스위치 부재는, 제1의 조광 필름의 광투과 모드 및 광산란 모드를 전환 가능하다.
또, 스위치 부재는, 제2의 조광 필름의 전극층 간에 전압을 인가하는지 여부를 제어하면 된다. 이에 의해, 스위치 부재는, 제2의 조광 필름의 광투과 모드와 광차폐 모드를 전환 가능하다. 제2의 조광 필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부재는, 제1의 조광 필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부재와 같아도 되지만, 상이해도 된다.
또, 스위치 부재는, 제2의 조광 필름의 전극층 간에 인가되는 전압값도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제2의 조광 필름으로서 SPD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스위치 부재에 의해 전극 간에 인가되는 전압값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부재는, 중간막 구성체의 외부에 배치되어도 되지만, 중간막 구성체의 내부에 배치된 터치 센서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터치 센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의 상세는 후술한다.
[내부 투명 접착층]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는, 제1의 조광 필름과, 제2의 조광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접착층(이하, 내부 투명 접착층이라고도 한다)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이 내부 투명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간막 구성체는, 제1의 조광 필름, 내부 투명 접착층, 및 제2의 조광 필름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투명 접착층이 설치되는 경우, 제1의 조광 필름의 기재 필름과, 제2의 조광 필름의 기재 필름이, 내부 투명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되면 된다.
조광 필름이 갖는 기재 필름은, 비교적 융점이 높고, 그 때문에,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은, 열압착 등에 의해 직접 접착시키는 것이 어렵지만, 내부 투명 접착층을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일체화되어, 중간막 구성체의 다층 구조에 용이하게 편입할 수 있다. 또, 제조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은, 내부 투명 접착층을 개재하여 열압착에 의해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 투명 접착층은, 투명성을 갖고,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갖는다. 따라서, 내부 투명 접착층이 설치됨으로써, 중간막 구성체의 광투과성 등의 광학 특성이 저해되는 경우는 없다.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은, 100℃ 이하의 조건으로, 내부 투명 접착층을 개재하여 열압착되어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2장의 투명 패널을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합 패널 구성체로 하기 전에, 100℃ 이하의 조건으로 내부 투명 접착층을 개재하여 열압착되어 일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은, 100℃ 이하의 조건으로 열압착됨으로써, 조광층이 열열화되지 않고,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을 일체화할 수 있다. 또, 감압하면서 열압착함으로써, 보다 층간에 에어 등이 없는 상태에서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열압착의 온도는, 예를 들면 30℃ 이상 120℃ 이하인데,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00℃ 이하이다.
내부 투명 접착층은, 열가소성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투명 접착층이 열가소성 수지층이면,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은, 상기 열압착에 의해, 내부 투명 접착층을 개재하여 서로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게 된다.
내부 투명 접착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U),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PO), 환상 올레핀계 공중합체(COC) 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COP),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PVB) 등의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PVAc)를 들 수 있다. 내부 투명 접착층은, 이들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저온의 열압착으로도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을 접착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조광 필름의 기재 필름에 대한 접착성도 양호해지기 쉽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조광 필름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해지기 쉽고, 또한 접합 패널 구성체의 내(耐)관통성 등도 향상한다.
내부 투명 접착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주성분이 되면 되고, 그 함유량은, 내부 투명 접착층 전량에 대해, 50질량% 이상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면 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다.
또, 내부 투명 접착층은,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내부 투명 접착층은, 가소제를 함유하면, 유연해지고, 그 결과, 접합 패널 구성체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내관통성 등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각 조광 필름에 대한 접착성도 향상하기 쉬워진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들 수 있다.
또, 내부 투명 접착층은, 필요에 따라, 충전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형광 증백제, 결정핵제, 분산제, 염료, 안료, 카복실산 금속염, 차열 재료 등의 가소제 이외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내부 투명 접착층의 두께는,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중간막 구성체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0.05mm 이상 1.5mm 이하가 바람직하고, 0.1mm 이상 1.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0.5mm 이하이다.
[표면 투명 접착층]
중간막 구성체의 최외면에는, 추가로 투명 접착층(이하, 「표면 투명 접착층」이라고도 한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구성체는, 표면 투명 접착층을 가짐으로써, 투명 패널에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표면 투명 접착층은, 중간막 구성체의 양쪽의 최외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1의 조광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표면 투명 접착층을 제1의 표면 투명 접착층이라고 하고, 제2의 조광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표면 투명 접착층을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이라고 한다.
따라서, 중간막 구성체는, 제1의 표면 투명 접착층, 제1의 조광 필름, 투명 접착층, 제2의 조광 필름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을 이 순으로 구비하는 적층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의 조광 필름은, 열압착 등에 의해, 투명 패널에 직접 접착시키는 것이 어렵지만, 제1의 표면 투명 접착층을 가짐으로써, 중간막 구성체를 용이하게 열압착 등으로 투명 패널에 일체화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은, 투명성을 갖고,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은, 중간막 구성체의 광투과율 등의 각종 광학 특성을 저해하는 경우는 없다.
표면 투명 접착층은, 열가소성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 구성체가,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을 갖는 경우에는, 이들 양쪽이 열가소성 수지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투명 접착층이 열가소성 수지층이면, 중간막 구성체를, 열압착에 의해, 투명 패널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게 된다.
표면 투명 접착층(즉, 제1 또는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 혹은 이들 양쪽)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상기 투명 접착층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 열거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저온의 열압착으로도 중간막 구성체를 투명 패널에 접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조광 필름의 열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표면 투명 접착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투명 패널, 특히 무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투명 패널에 대한 접착성이 양호해지기 쉬워진다. 또, 접합 패널 구성체의 내관통성 등도 향상한다.
따라서, 접합 패널 구성체가, 내부 투명 접착층, 및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을 갖는 경우, 내부 투명 접착층, 및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 각각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모두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각 표면 투명 접착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주성분이 되면 되고, 그 함유량은, 각 표면 투명 접착층 전량에 대해, 50질량% 이상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면 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다.
표면 투명 접착층(즉, 제1 또는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 혹은 이들 양쪽)은, 착색제를 함유하여, 착색층으로 해도 된다. 또한, 착색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의 양쪽을 착색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투명 접착층을 착색층으로 함으로써, 중간막 구성체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니즈에 맞추어, 개방감의 정도나, 열선의 입사량 등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의 색조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사용되는 착색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부터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배합되는 색소를 사용할 수 있고, 청색, 황색, 적색, 녹색, 보라색, 흑색, 백색 등의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색소는, 안료, 염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착색제로서 차열성, 디자인성의 관점에서, 흑색 안료, 흑색 염료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카본 블랙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투명 접착층을 착색층으로 하는 경우, 공지의 투명 착색 필름을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투명 착색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예를 들면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75~90% 정도의 것을 사용하면 된다. 투명 착색 필름은 시판품을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세키스이화학공업주식회사 제조의 「S-LEC Film」 시리즈의 착색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각 표면 투명 접착층은,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표면 투명 접착층은, 가소제를 함유하면, 유연해지고, 그 결과, 접합 패널 구성체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내관통성 등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 조광 필름 및 투명 패널에 대한 접착성도 향상하기 쉬워진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들 수 있다.
또, 각 표면 투명 접착층은, 필요에 따라, 충전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형광 증백제, 결정핵제, 분산제, 카복실산 금속염, 차열 재료 등의 가소제, 착색제 이외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표면 투명 접착층 각각의 두께는,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중간막 구성체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0.05mm 이상 1.5mm 이하가 바람직하고, 0.1mm 이상 1.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0.5mm 이하이다.
<접합 패널 구성체>
본 발명의 접합 패널 구성체는, 상기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와, 2장의 투명 패널을 구비하고,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가, 2장의 투명 패널 사이에 끼워져 배치된다.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2장의 투명 패널은, 상기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된다.
투명 패널로서는, 유리판을 들 수 있다.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유기 유리 중 어느 쪽이어도 되는데, 무기 유리가 바람직하다. 무기 유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클리어 유리, 클리어 플로트 유리, 플로트 판유리, 강화 유리, 착색 유리, 마판 유리, 형판 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線入) 판유리, 자외선 흡수 판유리, 적외선 반사 판유리, 적외선 흡수 판유리,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 유리로서는, 일반적으로 수지 유리로 불리는 것이 사용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 폴리에스테르판 등으로 구성되는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2장의 투명 패널은, 서로 동종의 재질로 구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한쪽이 무기 유리이고, 다른 쪽이 유기 유리여도 되지만, 2장의 투명 패널의 양쪽이 무기 유리이거나, 또는 유기 유리인 것이 바람직한데, 양쪽이 무기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패널 각각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3.2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m 이상 2.7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0mm 이상 2.6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접합 패널 구성체에 일정한 기계 강도를 부여하면서, 접합 패널 구성체 전체의 두께를 일정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패널 구성체는, 두께가 7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7mm 이하로 됨으로써, 자동차용 창유리, 특히 자동차용 루프 유리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접합 패널 구성체의 두께는, 하한값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4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이다.
[층 구성]
다음에, 중간막 구성체, 및 중간막 구성체를 구비하는 접합 패널 구성체의 적층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막 구성체를 갖는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패널 구성체(10)는, 중간막 구성체(11)와, 2장의 투명 패널(12, 13)을 구비한다. 중간막 구성체(11)는, 2장의 투명 패널(12, 13)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고, 2장의 투명 패널(12, 13)은, 중간막 구성체(11)를 개재하여 접착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간막 구성체(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표면 투명 접착층(31), 제1의 조광 필름(21), 내부 투명 접착층(30), 제2의 조광 필름(22),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32)을 이 순으로 구비한다. 그리고, 제1의 표면 투명 접착층(3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32) 각각에 의해, 각 투명 패널(12, 13)에 접착된다.
여기서, 제2의 조광 필름(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 조광 필름(21)보다 옥외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명 패널(13)이 옥외 측에 배치되고, 투명 패널(12)이 옥내 측에 배치되면 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서도 동일하다.
단, 제1의 조광 필름(21)이 제2의 조광 필름(22)보다 옥외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중간막 구성체(11)에 있어서, 각 조광 필름(21, 22)의 주연부(21A, 22A)는, 두께 방향으로 평면에서 봤을 때에, 2장의 투명 패널(12, 13)의 주연부(12A, 13A)에 일치한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들은 일치한 위치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도 2,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필름(21, 22)의 주연부(21A, 22A)는, 투명 패널(12, 13)의 주연부(12A, 13A)보다 내주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조광 필름(21, 22)의 각 주연부(21A, 22A)는, 2장의 패널(12, 13)의 주연부(12A, 13A)보다 10mm 이상의 거리(L)로 내주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주연부(21A, 22A)는, 그 일부가, 주연부(12A, 13A) 양쪽보다 내주 측에 배치되어도 되는데, 각 주연부(21A, 22A)는, 전체 둘레에 걸쳐, 주연부(12A, 13A) 양쪽보다 내주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 둘레에 걸쳐, 주연부(12A, 13A) 양쪽보다 10mm 이상의 거리(L)로 내주 측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각 주연부(21A, 22A)와, 주연부(12A, 13A)의 거리(L)는, 상기와 같이, 10mm 이상이면 되고, 상한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150mm 이하이면 된다.
또한, 투명 패널(12, 13)의 주연부(12A, 13A)는, 통상은 두께 방향으로 평면에서 보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지만, 어긋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조광 필름(21, 22)의 주연부(21A, 22B)는, 통상은 두께 방향으로 평면에서 보면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지만, 서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들이 어긋나는 경우에는, 가장 근접하는, 투명 패널의 주연부와 조광 필름의 주연부의 거리를 상기 거리(L)로 하면 되는데, 상기와 같이 전체 둘레에 걸쳐 거리(L)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필름(21, 22)의 주연부(21A, 22A)가, 투명 패널(12, 13)의 주연부(12A, 13A)보다 내주 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중간막 구성체(11)는,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봉지재(3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광 필름(21, 22)의 주연부(21A, 22A)가 내주 측에 배치되면, 그 내주 측에 배치된 만큼, 조광 필름(21, 22)의 외주 측에는 공극이 발생하지만, 봉지재(35)를 배치함으로써 그 공극을 메울 수 있다.
봉지재(35)는, 조광 필름(21, 22)의 외주 측에 배치되면 되는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필름(21, 2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외주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재(35)는, 두께 방향으로 평면에서 보면,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봉지재(35)는, 투명 패널(21, 22)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테두리 형상의 봉지재(35)의 폭은, 거리(L)와 동일하면 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간막 구성체(11)는, 조광 필름(21, 22)의 주연부(21A, 22A)뿐만 아니라, 투명 접착층(30, 31, 32)의 주연부(30A, 31A, 32A)도, 투명 패널(12, 13)의 주연부(12A, 13A)보다 내주 측에 배치되면 된다. 중간막 구성체(11)가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봉지재(35)는, 조광 필름(21, 22)뿐만 아니라, 접착층(30, 31, 32)의 외주 측에도 배치된 구조가 된다. 그리고, 봉지재(35)의 두께는, 중간막 구성체(11)의 두께와 동일해지고, 봉지재(35)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양면이 투명 패널(12, 13)에 접착하면 된다. 이에 의해, 도 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봉지재(35)는, 높은 시일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 봉지재(35)는, 각 투명 접착층(30, 31, 32)의 주연부(30A, 31A, 32A)에 접착되어 일체가 되면 된다. 봉지재(35)가 각 접착층(30, 31, 32)에 접착됨으로써,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은, 접착층(30, 31, 32), 및 봉지재(35)에 의한 일체물에 의해 봉지된 구조가 된다. 그 때문에,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은, 외측으로부터 물, 산소 등의 침입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높아진다. 또, 봉지재(35)는, 조광 필름(21, 22)의 주연부(21A, 22A)에도 적절히 접착되면 된다.
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재(35)는, 조광 필름(21, 22)의 외측에만 배치됨과 더불어, 각 투명 접착층(30, 31, 32)의 주연부(30A, 31A, 32A)가, 조광 필름(21, 22)의 주연부(21A, 22A)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봉지재(35)는, 각 조광 필름(21, 22) 각각의 외측에 제1 및 제2의 봉지재(35A, 35B)로서 2개 설치된다. 그리고, 조광 필름(21, 22)의 외주 측의 영역에서는, 제1의 표면 투명 접착층(31), 제1의 봉지재(35A), 내부 투명 접착층(30), 제2의 봉지재(35B),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32)의 적층 구조가 된다.
또, 봉지재(3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광 필름(21, 22), 및 이들 사이에 있는 내부 투명 접착층(30)의 외주 측에 배치됨과 더불어, 표면 투명 접착층(31, 32)의 주연부(31A, 32A)가, 조광 필름(21, 22)의 주연부(21A, 22A)보다 외주 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광 필름(21, 22)의 외주 측의 영역에서는, 제1의 표면 투명 접착층(31), 봉지재(35),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32)의 적층 구조가 된다. 그리고, 봉지재(35)는, 조광 필름(21, 22) 및 투명 접착층(30)의 합계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 되고, 봉지재(35)의 두께 방향의 양면이, 표면 투명 접착층(31, 32)에 접착하면 된다.
또한, 도 2, 4,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같이 봉지재(35)가 설치되는 경우, 각 조광 필름(21, 22)의 인출 전극(도시하지 않음)은, 예를 들면 도 2의 구성에서는, 봉지재(35)와 투명 패널(21) 또는 투명 패널(22)의 사이를 지나 외부로 연장되면 되고, 도 4, 5의 구성에서는, 봉지재(35)와 접착층 사이 등을 지나 외부로 연장되면 된다.
(봉지재)
봉지재는,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재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면, 봉지재는, 열압착에 의해, 투명 패널이나, 다른 투명 접착층에 접착하기 쉬워진다.
봉지재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투명 접착층에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거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저온의 열압착으로도 봉지재를 투명 패널이나 다른 투명 접착층에 접착시킬 수 있어, 열압착 시의 조광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봉지재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투명 패널, 특히 무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투명 패널에 대한 접착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 투명 접착층, 조광 필름 등에 대한 접착성도 뛰어난 것이 된다.
봉지재는, 다른 투명 접착층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중간막 구성체에 설치되는 투명 접착층과 같은 종류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간막 구성체가, 봉지재에 더하여,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과, 내부 투명 접착층을 구비하는 경우, 봉지재,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 그리고 내부 투명 접착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모두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모두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봉지재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주성분이 되면 되고, 그 함유량은, 봉지재 전량에 대해, 50질량% 이상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면 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다.
또, 봉지재는,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봉지재는, 가소제를 함유하면, 유연해져, 투명 패널이나 다른 투명 접착층에 대한 접착성도 향상하기 쉬워진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들 수 있다.
또, 봉지재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형광 증백제, 결정핵제, 분산제, 염료, 안료, 카복실산 금속염, 차열 재료 등의 가소제 이외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 도 6의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막 구성체(11)의 내부에, 터치 센서(37)가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37)는, 예를 들면, 중간막 구성체(11)의 내부에 스페이스(37A)가 형성되고, 그 스페이스(37A)에 배치되면 된다.
스페이스(37A)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의 조광 필름(21)의 일부에 노치가 형성되고, 그 노치 부분(스페이스(37A))에 터치 센서(37)가 설치되면 된다.
단, 터치 센서(37)가 설치되는 스페이스(37A)는, 제1의 조광 필름(21)의 노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 접착제층(30, 31, 32), 봉지재(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노치, 중공부 등에 의해 구성되면 된다.
터치 센서(37)는, 적어도 도전층을 구비하고, 손가락, 터치펜, 그 외의 물체가, 투명 패널 중 어느 하나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접촉함으로써, 정전 용량, 전류, 전압 등의 전기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터치 입력이란, 손가락, 터치펜, 그 외의 물체가 접합 패널 구성체에 엄밀하게 접촉할 필요는 없고, 손가락 등이 접근하여 도전층에 전기적인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도 넓게 터치 입력으로 한다. 또한, 터치 센서의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터치 센서(37)에는, 도시하지 않는 인출 전극이 접속되는데, 인출 전극은, 중간막 구성체를 구성하는 각 층의 사이, 봉지재와 투명 패널의 사이 등을 지나, 외부로 인출되면 된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막 구성체를 갖는 접합 패널 구성체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의 조광 필름(21)이,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도 7에서는, 세그먼트(26A, 26B, 26C, 26D))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세그먼트(26A~26D)는, 각각, 따로 따로 광투과 및 광산란을 전환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의 조광 필름(21)에서는, 각 세그먼트(26A~26D)에 대응하여, 도전층이 복수로 분할되어 있으며, 세그먼트별로 전압의 인가 및 무인가가 전환 가능하고, 그에 의해, 세그먼트별로 광투과 모드와 광산란 모드를 독립적으로 전환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셰이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봉지재(35)가 설치되지 않는 양태에 있어서, 제1의 조광 필름이 세그먼트로 분할되었는데, 도 2~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재(35)가 설치되는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도 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봉지재(35)가 설치되는 양태에 있어서, 터치 센서(37)가 설치되었는데, 예를 들면 봉지재(35)가 설치되지 않는 도 1에 나타내는 양태에 있어서,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 터치 센서가 설치될 때의 봉지재(35)의 양태는, 도 6에 나타내는 양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떠한 양태이어도 된다.
이상의 도 1~7을 참조하여 나타낸 각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막 구성체는,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 투명 접착층(30, 31, 32)을 갖는 구조였는데, 투명 접착층(30, 31, 32) 중 1개 이상이 적절히 생략되어도 된다.
도 8은, 투명 접착층(30)이 생략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접착층(30)이 생략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이 직접 적층되면 된다. 이 때, 조광 필름(21, 22)의 기재 필름끼리 열압착 등에 의해 접착되어도 되지만, 접착되지 않아도 된다.
또,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의 외주 측에는, 봉지재(35)가 설치되고, 그 봉지재(35)가, 표면 투명 접착층(31, 32)에 접착되어, 일체화되면 된다. 그리고, 일체화된 표면 투명 접착층(31, 32) 및 봉지재(35)는, 이들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을 지지하면 된다.
또, 중간막 구성체에 있어서는, 내부 투명 접착층(30) 대신에, 표면 투명 접착층(31, 32)의 한쪽, 또는 양쪽이 생략되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21, 22)의 기재 필름이, 열압착 등에 의해 투명 패널(12, 13)에 직접 접착되면 된다. 또, 투명 접착층(30, 31, 32)은 모두 생략해도 된다.
또한, 접합 패널 구성체는, 3 이상의 조광 필름을 가져도 되고, 예를 들면, 상기한 제1의 조광 필름을 2개 이상 가져도 되며, 제2의 조광 필름을 2개 이상 가져도 된다. 3 이상의 조광 필름은, 두께 방향을 따라 나열되면 된다.
또, 조광 필름은 서로 종류가 상이한 3종 이상의 조광 필름이 두께 방향으로 나열되어도 된다.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했을 때의 광학 특성]
(가시광선 투과율)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는, 당해 중간막 구성체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으로 제작된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제2의 조광 필름에 의해, 1% 이하로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가시광선 투과율은, 0.1% 이상 1% 이하로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 1% 이하로 조정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제2의 조광 필름은, 광차폐 모드로 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율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시광선 투과율을 1% 이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중간막 구성체에 있어서, 열선을 충분히 차폐하고, 예를 들면, 자동차용 창유리, 특히 루프 유리에 사용했을 때에는, 차내가 태양광의 조사에 의해 뜨거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0.1% 이상으로 하면, 일정한 광이 투과하므로, 중간막 구성체에 의해 완전하게 셰이드되는 것이 방지되어, 일정한 개방감도 얻어진다.
또한, 소정의 조건으로 제작된 접합 패널 구성체란, 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가시광선 투과율:90.4%)를,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패널 구성체를 의미한다. 이하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는, 당해 중간막 구성체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으로 제작된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된 가시광선 투과율이, 제2의 조광 필름에 의해, 상기한 1% 이하뿐만 아니라, 10% 이상으로도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가시광선 투과율은, 20% 이상으로도 조정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으로도 조정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10% 이상 60% 이하로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50% 이하로 조정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이상 50% 이하로 조정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제2의 조광 필름은, 광투과 모드로 함으로써, 이들 가시광선 투과율을 상기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하면 된다.
제1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인 경우에, 제2의 조광 필름에 의해 가시광선 투과율을 10%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접합 패널 구성체를 개재하여 외부를 용이하게 시인 가능해진다. 또, 많은 외광을 접합 패널 구성체를 개재하여, 내부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기후가 나쁜 경우나 야간에 있어서도 외광을 일정량 이상 들이는 것이 가능해져, 그러한 환경 하에서도 개방감이 얻어진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의 조광 필름에 의해, 가시광선 투과율을 1% 이하뿐만 아니라, 10% 이상으로도 조정 가능하게 하면, 제1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중간막 구성체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크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외부의 상황(예를 들면, 기후나 시간대)에 따라, 외광을 많이 도입하거나, 외광의 투과를 억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져, 외부의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 개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Tds)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는, 당해 중간막 구성체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으로 제작된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Tds(Solar direct transmittance)가 55% 이하로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Tds를 55% 이하로 조정 가능하다고 하면, 중간막 구성체는, 제1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여도, 일정 이상의 차열성이 확보되어, 열선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Tds는, 일정 이상의 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2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인 경우여도 상기와 같이 55% 이하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2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인 경우에 50% 이하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이고, 또한 제2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인 경우에는, 일정한 광투과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상기 Tds는, 예를 들면 30% 이상으로 조정되면 된다.
또, 예를 들면 맑은 하늘 아래여도 차열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관점에서,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고, 또한 제2의 조광 필름을 광차폐 모드로 했을 때의 Tds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예를 들면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며, 또 실용적으로는 예를 들면 1% 이상인데, 10% 이상이어도 된다.
(헤이즈값)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는, 당해 중간막 구성체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으로 제작된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이 40% 이하로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헤이즈값을 40% 이하로 조정 가능하게 하면,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했을 때의 광산란이 방지되어, 개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당해 헤이즈값은, 제2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인 경우에, 40% 이하이면 되는데, 충분한 개방감을 얻기 위해, 제2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 및 광차폐 모드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40% 이하로 할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기후가 나쁠 때나 야간이어도 일정한 개방감을 얻기 위해,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고, 또한 제2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했을 때의 헤이즈값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또, 당해 헤이즈값은, 0% 이상이면 되는데, 실용적으로는 예를 들면 1% 이상이다.
[제1의 조광 필름을 광산란 모드로 했을 때의 광학 특성]
(가시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는, 당해 중간막 구성체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으로 제작된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제1의 조광 필름을 광산란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이 70% 이상이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20% 이하로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헤이즈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며, 또한, 당해 가시광선 투과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의 조광 필름을 광산란 모드로 했을 때, 가시광선 투과율을 낮게 하면서, 헤이즈값을 높게 하면, 광산란 모드로 한 제1의 조광 필름에 의해, 접합 패널 구성체가 충분히 셰이드된다.
또한, 중간막 구성체는, 제2의 조광 필름이 적어도 광차폐 모드인 경우에, 가시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으면 되는데, 제2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 및 광차폐 모드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가시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ds)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는, 당해 중간막 구성체를 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으로 제작된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제1의 조광 필름을 광산란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Tds는,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고, 또한 제2의 조광 필름을 광차폐 모드로 했을 때의 Tds보다 낮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Tds는,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미만이다. 당해 Tds는, 제2의 조광 필름이 광투과 모드 및 광차폐 모드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으면 되는데, 제2의 조광 필름이 광차폐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Tds는 더욱 낮게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미만으로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Tds의 값을 극히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계식 셰이드에 비해 손색 없는 레벨로 차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 Tds, 및 헤이즈값의 측정은, 옥외에 배치되는 측의 면에 광선속을 입사시켜, 측정되면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접합 패널 구성체(10)에서는, 투명 패널(13) 측(즉, 제2의 조광 필름(22) 측)으로부터 광선속을 입사시켜 측정하면 된다.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는, 자동차 등의 각종 차량, 항공기, 선박, 건축물 등의 창유리에 사용 가능한데, 건축물용, 자동차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에서는, 창유리를 통해 차외로부터 열선이 차내에 유입되어, 차내가 뜨거워지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건축물에서는, 창유리를 통해 열선이 건물 내에 유입되어, 건축물 내부가 뜨거워지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는, 조광 필름의 모드를 적절히 조합하여 차광함으로써, 차내, 또는 건축물 내부로의 열선의 유입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는, 특히 자동차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루프 유리 등 중 어느 창유리에 사용해도 되는데, 루프 유리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 유리는, 태양광이 상방으로부터 비추어지므로, 열선이 대량으로 조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중간막 구성체에 의해 열선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는, 루프 유리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한층 더 개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루프 유리는, 적어도 일부가 루프에 배치되면 되고, 예를 들면, 루프와 리어에 걸쳐 배치되는 유리도 루프 유리로 한다. 또한, 자동차의 루프는, 보디의 윗면을 구성하는 부분이며, 루프 유리는,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예를 들면, 20°이내) 배치된다. 기울기는, 루프 위치에 배치된 유리의 단부로부터 단부를 직선으로 이었을 경우의, 그 직선의 수평 방향에 대한 기울기이다.
또, 루프 유리는, 바람직하게는 1m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2 이상의 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는, 제1의 조광 필름의 광투과 모드 및 광산란 모드를 적절히 전환하고, 또한 제2의 조광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사용되면 된다. 또, 제2의 조광 필름은, 상기와 같이, 광투과 모드와, 광차폐 모드를 전환 가능한 것이며, 또한, 제2의 조광 필름이 예를 들면 SPD 필름인 경우 등에는,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 전압값을 조정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율의 크기도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의 광을 완전하게 차폐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의 조광 필름을 광산란 모드로 하고, 또한 제2의 조광 필름도 광차폐 모드로 하면 된다. 이러한 모드 선택을 하면, 접합 패널 구성체를 개재하여 외부를 시인하는 것이 어려워지지만, Tds가 낮아져, 열선을 충분히 차폐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루프 유리에 적용하는 양태에 있어서, 루프 유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에 의해 셰이드하여 충분한 차열성이 얻어져, 태양광에 의해 차내가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접합 패널 구성체를 개재하여 외부를 시인하고 싶은 경우나, 개방감을 얻고 싶은 경우에는,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면 된다. 이 때, 외부의 상황에 따라, 제2의 조광 필름은, 광차폐 모드로 해도 되고, 광투과 모드로 해도 된다.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면서, 제2의 조광 필름을 광차폐 모드로 하면 접합 패널 구성체는, 일정한 차열성을 가지면서도, 일정한 광투과성이 얻어진다. 한편, 제2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면, 높은 광투과성이 얻어져,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유리에 적용하는 양태에 있어서, 외부의 상황에 맞추어, 태양광에 의해 차내가 뜨거워지는 것을 일정량 억제하면서 개방감을 얻거나, 높은 시인성에 의해 외부 관찰을 가능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조광 필름은, 예를 들면 SPD 필름을 사용하면, 광투과 모드에 있어서 인가되는 전압값을 조정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외부 상황에 맞춘 광투과성의 미세한 조정도 가능하다.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간막 구성체의 제조에 있어서는, 우선,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과, 필요에 따라,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층용 수지 필름을 준비한다. 또, 봉지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테두리 형상 등의 형상으로 가공된 봉지재용 수지 필름을 준비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과, 접착층용 수지 필름을 적절히 중첩시킴과 더불어, 조광 필름의 외주 측에 필요에 따라, 봉지재용 수지 필름을 배치시키고, 이들을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열압착함으로써, 중간막 구성체를 제조할 수 있다. 열압착할 때의 온도는, 상기와 같이, 예를 들면 30℃ 이상 120℃ 이하인데,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00℃ 이하이다. 또, 열압착할 때의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부압에 의한 압착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게이지 압력으로 -780mbar 정도로 해도 된다.
다음에, 얻어진 중간막 구성체와, 2장의 투명 패널을 이용하여, 접합 패널 구성체를 제조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 행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장의 투명 패널 사이에, 중간막 구성체를 배치시키고, 오토클레이브 등에 의해, 예를 들면 30℃ 이상 12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00℃ 이하 정도의 온도로 압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중간막 구성체를 형성하면서 접합 패널 구성체를 제조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과, 접착층용 수지 필름을 적절히 중첩시킴과 더불어, 조광 필름의 외주 측에 필요에 따라, 봉지재용 수지 필름을 배치시키고, 이들을 2장의 투명 패널 사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열압착하면 된다. 이에 의해, 중간막 구성체를 형성하면서, 중간막 구성체의 최외면을 각 투명 패널에 접착시키게 되므로,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를 일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열압착할 때의 온도는, 예를 들면 30℃ 이상 120℃ 이하인데,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00℃ 이하이다. 또, 열압착할 때의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부압에 의한 압착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게이지 압력으로 -780mbar 정도로 해도 된다. 또, 본 방법에 있어서 열압착에 의해 접합 패널 구성체를 얻을 때에는, 상기 조건으로 열압착하기 전에, 적절히 가(假)접착해도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광 필름, 및 접합 패널 구조체 등의 헤이즈값, 가시광선 투과율, 및 Tds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가시광선 투과율(Tv)]
JIS R3106:2019에 준거하여, 분광 광도계(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사 제조 「U-41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Tds]
분광 광도계(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사 제조 「U-4100」)를 이용하고, ISO 13837에 준거하여, 파장 300~2500nm에서의 Tds를 측정했다.
[헤이즈값(Haze)]
헤이즈미터(도쿄덴쇼쿠사 제조 「TC-HIIIDPK」)를 이용하고, JIS K6714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실시예 1]
우선, 이하의 각 재료를 준비했다. 각 층의 두께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투명 패널:JIS R 3202:2011에 준거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90.4%의 클리어 유리판
제1의 조광 필름:폴리머 분산형 액정 필름, Gauzy사 제조, 전압 OFF에서 광산란 모드, 전압 ON(70V)에서 광투과 모드
제2의 조광 필름:SPD 필름, Gauzy사 제조, 전압 OFF에서 광차폐 모드, 전압 ON(70V)에서 광투과 모드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 및 내부 투명 접착층:가소제 함유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 (1), 두께 0.38mm
수지 필름 (1), 제1의 조광 필름, 수지 필름 (1), 제2의 조광 필름, 및 수지 필름 (1)을 이 순으로 중첩시키고, 70℃, -780mbar(게이지압)로 열압착함으로써, 이들을 일체화하여, 중간막 구성체를 얻었다. 다음에, 투명 패널의 위에, 얻어진 중간막 구성체, 및 다른 투명 패널을 중첩시키고,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90℃, 3bar(게이지압)의 조건으로, 이들을 일체화하여, 접합 패널 구성체를 얻었다. 접합 패널 구성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갖고 있으며,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2장의 투명 패널이 접착되어 있었다.
[실시예 2]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용 수지 필름으로서, 이하의 수지 필름 (2)를 준비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재료를 준비했다.
제1 및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세키스이화학공업주식회사 제조의 「S-LEC Film #7082」(착색 필름), 두께 0.38mm
수지 필름 (2), 제1의 조광 필름, 수지 필름 (1), 제2의 조광 필름, 및 수지 필름 (2)를 이 순으로 중첩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압착함으로써, 이들을 일체화하여, 중간막 구성체를 얻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합 패널 구성체를 제작했다. 접합 패널 구성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갖고 있으며,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2장의 투명 패널이 접착되어 있었다.
[비교예 1]
투명 접착층용 수지 필름으로서, 두께 0.76mm의 상기 수지 필름 (1)에 더하여, 이하의 수지 필름 (3)을 준비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한 제1의 조광 필름, 투명 패널을 준비했다.
투명 접착층(수지 필름 (3)):세키스이화학공업주식회사 제조의 「S-LEC Film #7018」(착색 필름), 두께 0.76mm
수지 필름 (1), 제1의 조광 필름, 및 수지 필름 (3)을 이 순으로 중첩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압착함으로써, 이들을 일체화하여, 중간막 구성체를 얻고,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합 패널 구성체를 얻었다. 접합 패널 구성체는, 투명 패널/투명 접착층/제1의 조광 필름/투명 접착층/투명 패널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었다.
[비교예 2]
제1의 조광 필름 대신에, 제2의 조광 필름을 사용하여,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를 얻은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접합 패널 구성체는, 투명 패널/투명 접착층/제2의 조광 필름/투명 접착층/투명 패널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었다.
[비교예 3]
투명 접착층용 수지 필름으로서, 두께 0.76mm의 상기 수지 필름 (1)에 더하여, 이하의 수지 필름 (4)를 준비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한 제1의 조광 필름, 투명 패널을 준비했다.
투명 접착층(수지 필름 (4)):세키스이화학공업주식회사 제조의 「S-LEC Solar Control Film」, 두께 0.76mm
수지 필름 (1), 제1의 조광 필름, 및 수지 필름 (4)를 이 순으로 중첩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압착함으로써, 이들을 일체화하여, 중간막 구성체를 얻고,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합 패널 구성체를 얻었다. 접합 패널 구성체는, 투명 패널/투명 접착층/제1의 조광 필름/투명 접착층/투명 패널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었다.
[비교예 4]
제1의 조광 필름 대신에, 제2의 조광 필름을 사용하여,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를 얻은 이외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접합 패널 구성체는, 투명 패널/투명 접착층/제2의 조광 필름/투명 접착층/투명 패널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었다.
[비교예 5]
투명 접착층용 수지 필름으로서, 두께 0.76mm의 상기 수지 필름 (1)을 2장을 준비했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한 제1의 조광 필름, 투명 패널을 준비했다.
수지 필름 (1), 제1의 조광 필름, 및 수지 필름 (1)을 이 순으로 중첩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압착함으로써, 이들을 일체화하여, 중간막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간막 구성체에 의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합 패널 구성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접합 패널 구성체는, 투명 패널/투명 접착층/제1의 조광 필름/투명 접착층/투명 패널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었다.
[비교예 6]
제1의 조광 필름 대신에 제2의 조광 필름을 사용하여,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를 얻은 이외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접합 패널 구성체는, 투명 패널/투명 접착층/제2의 조광 필름/투명 접착층/투명 패널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접합 패널 구성체에 대해,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의 전압의 ON-OFF를 각각 전환했을 때의 가시광선 투과율, 헤이즈값, 및 Tds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 제1의 조광 필름은 전압 ON에서 광투과 모드가 되고, 전압 OFF에서 광산란 모드가 된다.
※ 제2의 조광 필름은 전압 ON에서 광투과 모드가 되고, 전압 OFF에서 광차폐 모드가 된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서는, 제1의 조광 필름을 ON으로 하면, 제2의 조광 필름의 ON 시에는 광투과성이 높아져 시인성을 높은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Tds값이 일정값 이하이며 일정한 차열성도 확보할 수 있었다. 또, 제1의 조광 필름을 ON 시에 제2의 조광 필름을 OFF로 하면, Tds값을 보다 저하시켜 양호한 차열성을 확보하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낮지만 일정값 이상이 되어, 일정한 개방감을 얻을 수도 있었다. 한편, 제1의 조광 필름을 OFF로 하면, 제2의 조광 필름도 OFF로 함으로써, 낮은 Tds값이 얻어져, 일사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각 실시예의 접합 패널 구성체는, 모드의 전환에 의해, 개방감을 얻으면서도 차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모드에 따라서는 높은 시인성도 확보할 수 있었다.
그에 반해, 비교예 1, 3, 5에서는, 제2의 조광 필름이 없기 때문에, 제1의 조광 필름을 OFF로 했을 경우에는, 저Tds값이 얻어져 일사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지만, 제1의 조광 필름을 ON으로 했을 때의 Tds값이 커, 충분한 차열성을 확보하면서도 개방감을 얻는 것이 어려웠다. 또, 비교예 2, 4, 6에서는, 제1의 조광 필름이 없기 때문에, 광차폐 모드로 해도 Tds값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아 차열성이 불충분했다.
10 접합 패널 구성체
11 중간막 구성체
12A, 13A, 21A, 22A, 31A, 32A, 33A 주연부
12, 13 투명 패널
21 제1의 조광 필름
22 제2의 조광 필름
26A~26D 세그먼트
30 내부 투명 접착층
31 제1의 표면 투명 접착층
32 제2의 표면 투명 접착층
35 봉지재
35A 제1의 봉지재
35B 제2의 봉지재
37 터치 센서
L 거리

Claims (18)

  1. 2장의 투명 패널 사이에 끼워져 사용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로서,
    광투과 및 광산란을 전환 가능한 제1의 조광(調光) 필름과,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정 가능한 제2의 조광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이 두께 방향으로 나열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조광 필름이 상기 제1의 조광 필름보다 옥외 측에 배치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과, 상기 제2의 조광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조광 필름을 접착시키는 내부 투명 접착층을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이 상기 내부 투명 접착층을 개재하여 열압착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의 최외면에 표면 투명 접착층을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상기 제2의 조광 필름에 의해, 1% 이하, 및 10% 이상으로 조정 가능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Tds(Solar direct transmittance)가 55% 이하로 조정 가능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를,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를 개재하여 접착시켜 얻은 접합 패널 구성체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을 광투과 모드로 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이 40% 이하로 조정 가능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은, 각각의 주연부(周緣部)가 상기 투명 패널의 주연부로부터 10mm 이상 내주 측에 배치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의 외주 측에 설치되는 봉지재(封止材)를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의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의 조광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이,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조광 필름이, 폴리머 분산형 액정 필름 및 폴리머 네트워크형 액정 중 어느 하나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조광 필름이, 일렉트로크로믹 필름, SPD 필름, 및 전기 영동 필름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인,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와, 2장의 투명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가 상기 2장의 투명 패널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는, 접합 패널 구성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두께가 7mm 이하인, 접합 패널 구성체.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자동차 루프 유리용인, 접합 패널 구성체.
  18.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건축물용인, 접합 패널 구성체.
KR1020237014408A 2020-11-05 2021-11-05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 KR20230104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85355 2020-11-05
JP2020185355 2020-11-05
PCT/JP2021/040883 WO2022097739A1 (ja) 2020-11-05 2021-11-05 合わせパネル用中間膜構成体、及び合わせパネル構成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141A true KR20230104141A (ko) 2023-07-07

Family

ID=8145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408A KR20230104141A (ko) 2020-11-05 2021-11-05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17523A1 (ko)
EP (1) EP4242181A1 (ko)
JP (1) JPWO2022097739A1 (ko)
KR (1) KR20230104141A (ko)
CN (1) CN116529221A (ko)
MX (1) MX2023004884A (ko)
WO (1) WO2022097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2673A1 (de) * 2021-10-28 2023-05-04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zum schalten einer verbundscheibe mit elektrochromem funktionselement
CN115157814B (zh) * 2022-08-01 2023-10-31 江苏双星彩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调光内悬膜
CN116360143A (zh) * 2023-06-01 2023-06-30 合肥精卓光电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型多态调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16360144A (zh) * 2023-06-01 2023-06-30 合肥精卓光电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型多态调光器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276A (ko) 2008-08-14 2010-0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
JP2020030355A (ja) 2018-08-23 2020-0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調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510232A (ja) 2017-04-12 2020-04-02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電気的に制御可能な光学特性を有する機能要素を含む複合ペイン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5368B2 (ja) * 1998-07-02 2003-07-1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素子
JP4961057B2 (ja) * 2010-09-30 2012-06-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調光素子、調光シート、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2099650A (ja) * 2010-11-02 2012-05-24 Bridgestone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9651847B2 (en) 2013-05-31 2017-05-16 Vlyte Innovations Limited Electrophoretic insulated glass unit
EP3034297A1 (fr) * 2014-12-19 2016-06-22 AGC Glass Europe Vitrage feuilleté
JP7326733B2 (ja) * 2018-12-10 2023-08-16 凸版印刷株式会社 調光フィルム、調光装置
CN210792336U (zh) * 2019-09-20 2020-06-19 深圳市国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光强自动变色的调光玻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276A (ko) 2008-08-14 2010-0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
JP2020510232A (ja) 2017-04-12 2020-04-02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電気的に制御可能な光学特性を有する機能要素を含む複合ペイン
JP2020030355A (ja) 2018-08-23 2020-0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調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29221A (zh) 2023-08-01
JPWO2022097739A1 (ko) 2022-05-12
MX2023004884A (es) 2023-05-11
WO2022097739A1 (ja) 2022-05-12
US20240017523A1 (en) 2024-01-18
EP4242181A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4141A (ko) 접합 패널용 중간막 구성체, 및 접합 패널 구성체
KR102241510B1 (ko)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기능소자를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US10773496B2 (en) Laminated glass for vehicle
CA2835111C (en) Switchable automotive glazing
KR101795192B1 (ko) 스위치가능한 전기적 복합 판유리 어레이
US5111329A (en) Solar load reduction panel with controllable light transparency
US5408353A (en) Controllable transparency panel with solar load reduction
US20210138767A1 (en) Laminated glazing with a switchable liquid crystal layer
US4749261A (en) Shatter-proof liquid crystal panel with infrared filtering properties
US20080158448A1 (en) Adjustably Opaque Window
US20050068629A1 (en) Adjustably opaque window
CN110546022B (zh) 通过深色内部堆叠体和外部堆叠体的组合而具有改进的视觉印象的pdlc车辆玻璃板
US20070218217A1 (en) Adjustably opaque film for substantially smooth surface
WO2020054286A1 (ja) ガラス、合わせガラス
WO2022153998A1 (ja) 合わせガラス
WO2024017364A1 (zh) 调光玻璃、车门总成及车辆
JP2019094220A (ja) 車両用窓ガラス
US20210023821A1 (en) Laminated glazing with a step-shaped functional portion
CN116157261A (zh) 具有经分段的pdlc功能元件和电可控光学特性的玻璃
CN117337246A (zh) 带有pdlc遮光组件的车辆挡风板
US20230202266A1 (en) Vehicle window glass and vehicle window glass system
WO2023032889A1 (ja) 車両用合わせガラス及び車両用窓構造
WO2023149397A1 (ja) 多層積層体
CN219600603U (zh) 一种汽车变光天幕
CN110446605B (zh) 具有功能元件和照明的复合玻璃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