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912A - 커피콩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커피콩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912A
KR20230101912A KR1020237019876A KR20237019876A KR20230101912A KR 20230101912 A KR20230101912 A KR 20230101912A KR 1020237019876 A KR1020237019876 A KR 1020237019876A KR 20237019876 A KR20237019876 A KR 20237019876A KR 20230101912 A KR20230101912 A KR 2023010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size
grinder
coffee bean
coffee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사이토
도모히로 다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ublication of KR2023010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1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mechanically drive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4Automatic starting or stopping devices; Warn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1Interfacing with vending machines using mobile or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커피의 맛을 즐길 수 있는 커피콩 분쇄장치를 제공한다.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된 입도분포에 따라서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

Description

커피콩 분쇄장치
본 발명은, 커피콩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커피음료 제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9-30433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커피음료 제조장치는 커피콩을 분쇄하는 구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커피의 맛을 보다 더 즐길 수 있는 커피콩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커피콩 분쇄장치는,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된 입도분포에 따라서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커피콩 분쇄장치에서는, 커피 분쇄두의 새로운 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는, 유저로부터의 오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입도분포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 커피콩 분쇄장치에서는, 고객의 기호에 맞는 커피 분쇄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장치는,
상기 오더정보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를 구비한 것이더라도 좋다.
이 커피콩 분쇄장치에서는, 오더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는, 하나의 상기 오더정보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는 상기 입도분포의 패턴을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 커피콩 분쇄장치에서는, 다양한 맛의 커피 분쇄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는, 제1입도 및 제2입도를 포함하는 상기 입도분포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상기 제1입도 및 상기 제2입도 중의 어느 쪽을 먼저 분쇄할지 설정할 수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 커피콩 분쇄장치에서는, 다양한 맛의 커피 분쇄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장치는,
상기 그라인더는,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설정할 수 있는 입도를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그라인더의 설정입도를 변경하면서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 시스템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피의 맛을 보다 더 즐길 수 있는 커피콩 분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커피콩 분쇄장치의 사시도.
[도2]분쇄장치의 종단면도.
[도3]분리장치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4]형성유닛의 종단면도.
[도5]도4의 형성유닛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6]단면적의 비교 설명도.
[도7]다른 예의 설명도.
[도8]도1의 커피콩 분쇄장치의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9]제어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10]오더정보의 입력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오더정보의 입력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오더정보의 입력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오더정보의 변경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오더에 대한 그라인더(5B)의 제어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그라인드 처리의 실행중에 있어서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커피콩 분쇄장치>
도1를 참조하여 커피콩 분쇄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커피콩 분쇄장치(1)의 사시도이다. 커피콩 분쇄장치(1)는,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1)(도1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포함한다. 또,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장장치(4)의 호퍼(40)에는, 정보표시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보표시장치(12)는, 제어장치(11)와 접속되어, 커피콩 분쇄장치(1)의 각종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로서, 각종 정보의 표시 이외에, 관리자나 음료의 수요자의 입력을 접수하거나 할 수 있다.
<1-1.저장장치>
저장장치(4)는, 로스팅(roasting, 배전(焙煎)) 후의 커피콩이 수용되는 호퍼(40)를 포함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호퍼(40)를 설치하였지만, 복수의 호퍼(40)가 설치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호퍼(40)를 설치한 경우에는, 종류나 로스팅도를 다르게 되게 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나누어서 수용하더라도 좋다. 호퍼(40)에는, 로스트 커피콩을 하류측으로 송출하는 송출기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송출기구에 의하여 분쇄장치(5)에 로스트 커피콩이 공급된다.
<1-2. 분쇄장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분쇄장치(5)를 설명한다. 도2는 분쇄장치(5)의 종단면도이다. 분쇄장치(5)는, 그라인더(5A, 5B) 및 분리장치(6)를 포함한다. 그라인더(5A, 5B)는,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이다. 그라인더(5A)는, 커피콩에 부착되어 있는 불요물을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예를 들면 1/4정도)의 크기로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이다. 또 그라인더(5B)는, 그라인더(5A)로 분쇄된 상태의 커피콩을 원하는 입도의 커피의 분쇄두로 하기 위한 그라인더이다. 이 때문에 이들의 그라인더(5A, 5B)는, 콩을 분쇄하는 입도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그라인더(5A)보다도 그라인더(5B)쪽이 보다 가는 입도의 그라인더로 되어 있다. 또, 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두의 입도에 대해서는, 오차(±5μm 정도)가 발생할 경우가 있지만,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1-2-1. 그라인더>
그라인더(5A)는, 모터(52a) 및 본체부(53a)를 포함한다. 모터(52a)는 그라인더(5A)의 구동원이다. 본체부(53a)는 커터를 수용하는 유닛으로서, 회전축(54a)이 내장되어 있다. 회전축(54a)에는 기어(55a)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52a)의 구동력이 기어(55a)를 통하여 회전축(54a)으로 전달된다.
회전축(54a)에는, 커터인 회전칼날(58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칼날(58a)의 주위에는, 커터인 고정칼날(57a)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3a)의 내부는 투입구(50a) 및 배출구(51a)와 통하게 되어 있다.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본체부(53a)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50a)로부터 본체부(53a)로 진입하고, 회전칼날(58a)과 고정칼날(57a)의 사이에 끼워져 있도록 해서 분쇄된다. 회전축(54a)의 회전칼날(58a)보다도 상측에는 억제판(56a)이 설치되어 있고, 억제판(56a)은 로스트 커피콩이 상측으로 도망가는 것을 억제한다. 그라인더(5A)에서는 로스트 커피콩이 예를 들면 1/4정도로 분쇄된다. 분쇄된 분쇄두는 배출구(51a)로부터 분리장치(6)로 배출된다.
또, 투입구(50a)로 공급된 로스트 커피콩은, 회전칼날(58a)의 상방으로부터가 아니라, 측면에 부딪히는 것 같은 높이로 공급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회전칼날(58a)에 의하여 로스트 커피콩이 상측으로 도망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억제판(56a)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그라인더(5A)는, 회전칼날(58a)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분쇄된 후에 배출되는 로스트 커피콩의 크기를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회전칼날(58a)과 고정칼날(57a)의 사이의 거리를 수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변화시켜도 좋다.
분리장치(6)는,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기구이다. 분리장치(6)은, 그라인더(5A)와 그라인더(5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우선 그라인더(5A)로 조대분쇄 되고, 그 조대분쇄두로부터 분리장치(6)에 의하여 불요물이 분리된다. 불요물이 분리된 조대분쇄두는, 그라인더(5B)에 의하여 미세분쇄 된다. 분리장치(6)에서 분리되는 불요물은, 대표적으로 채프나 미분이다. 이들은 커피음료의 맛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분리장치(6)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불요물을 분리하는 기구로서,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그라인더(5B)는, 모터(52b) 및 본체부(53b)를 포함한다. 모터(52b)는 그라인더(5B)의 구동원이다. 본체부(53b)는 커터를 수용하는 유닛으로서, 회전축(54b)이 내장되어 있다. 회전축(54b)에는 풀리(55b)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52b)의 구동력이 벨트(59b) 및 풀리(55b)를 통하여 회전축(54b)으로 전달된다.
회전축(54b)에는, 회전칼날(58b)이 더 설치되어 있고, 회전칼날(58b)의 상측에는 고정칼날(57b)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3b)의 내부는, 투입구(50b) 및 배출구(5lb)와 통하게 되어 있다. 분리장치(6)로부터 낙하해오는 분쇄두는 투입구(50b)로부터 본체부(53b)로 진입하여,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 사이에 끼이도록 되어 더 분쇄된다. 분말상태로 분쇄된 분쇄두는 배출구(5lb)로부터 배출된다. 또, 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두의 입도는,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는 하나의 그라인더(1단계의 분쇄)이더라도 좋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두개의 그라인더(5A, 5B)에 의한 2단계의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두의 입도가 일정하기 쉬워져서, 커피액의 추출정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콩의 분쇄시에는 커터와 콩의 마찰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단계의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시의 마찰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고, 분쇄두의 열화(예를 들면, 풍미가 떨어지는 것)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조대분쇄 → 불요물의 분리 → 미세분쇄라고 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채프 등의 불요물을 분리할 때에, 불요물과 분쇄두(필요부분)의 질량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불요물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분쇄두(필요부분)이 불요물로서 분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대분쇄와 미세분쇄 사이에, 공기의 흡인을 이용한 불요물의 분리처리가 들어감으로써 공랭에 의해 분쇄두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두의 열화(예를 들면, 풍미가 떨어지는 것)를 방지할 수도 있다.
<1-2-2. 분리장치>
다음에 도1~도3을 참조하여 분리장치(6)를 설명한다. 도3은 분리장치(6)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분리장치(6)는, 흡인유닛(6A) 및 형성유닛(6B)을 포함한다. 형성유닛(6B)은, 그라인더(5A)로부터 자유낙하해오는 분쇄두가 통과하는 분리실(SC)을 형성하는 중공체이다. 흡인유닛(6A)은, 분쇄두의 통과방향(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좌우방향)으로 분리실(SC)과 통하게 되어, 분리실(SC)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유닛이다. 분리실(SC)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경량의 물체가 흡인된다. 이에 따라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할 수 있다.
흡인유닛(6A)은 원심분리방식의 기구이다. 흡인유닛(6A)은, 송풍유닛(60A) 및 회수용기(60B)를 포함한다. 송풍유닛(60A)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팬모터로서, 회수용기(60B)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배기한다.
회수용기(60B)는,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는 상부(61)와 하부(62)를 포함한다. 하부(62)는 상방이 개방되고 바닥을 구비하는 통형을 이루고 있어, 불요물을 축적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61)는 하부(62)의 개구에 장착되는 뚜껑부를 구성한다. 상부(61)는, 원통형상의 외주벽(61a)과, 이것과 동축상으로 형성된 배기통(6lb)을 포함한다. 송풍유닛(60A)은 배기통(6lb)내의 공기를 흡인하도록 배기통(6lb)의 상방에 있어서 상부(61)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61)는, 또한 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통모양의 접속부(61c)를 포함한다. 접속부(61c)는 형성유닛(6B)과 접속되어, 분리실(SC)과 회수용기(60B)를 통하게 한다. 접속부(61c)는 배기통(6lb)의 측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송풍유닛(60A)의 구동에 의하여 도3에 있어서 화살표(d1∼d3)로 나타내는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에 의하여 분리실(SC)로부터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접속부(61c)를 통해서 회수용기(60B)내로 흡인된다. 접속부(61c)는 배기통(6lb)의 측방으로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는 배기통(6lb)의 주위를 선회한다. 공기중의 불요물(D)은, 그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여 회수용기(60B)의 일부에 모아진다(하부(62)의 바닥면 위에 퇴적한다). 공기는 배기통(6lb)의 내부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기된다.
배기통(6lb)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핀(6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핀(61d)은 배기통(6lb)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개개의 핀(61d)은, 배기통(6lb)의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핀(61d)을 형성함으로써 불요물(D)을 포함한 공기가 배기통(6lb)의 주위로 선회하는 것을 촉진한다. 또한 핀(61d)에 의하여 불요물(D)의 분리가 촉진된다. 그 결과, 흡인유닛(6A)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인더(5A, 5B)에 의한 분쇄두의 낙하경로에 형성유닛(6B)를 배치하는 한편, 낙하경로의 측방에 원심분리방식의 흡인유닛(6A)을 배치하고 있다. 원심분리방식의 기구는 상하방향으로 길어지기 쉽지만, 흡인유닛(6A)을 낙하경로로부터 비키어 놓아서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흡인유닛(6A)을 그라인더(5A, 5B)에 대하여 가로방향에 나란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장치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억제하는 것에 기여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두개의 그라인더(5A, 5B)에 의하여 2단계의 분쇄를 하는 경우에, 장치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흡인유닛(6A)의 이러한 배치가 장치의 소형화에 유효하다.
도1∼도6을 참조하여 형성유닛(6B)을 설명한다. 도4는 형성유닛(6B)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형성유닛(6B)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6은 형성유닛(6B)의 평면도로서, 단면적의 비교 설명도이다.
형성유닛(6B)은,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상하로 반으로 분할된 2부재를 결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형성유닛(6B)은, 관부(63) 및 분리실 형성부(64)를 포함하고, 평면에서 볼 때에 스푼형상(spoon形狀)을 구비하고 있다. 관부(63)는, 흡인유닛(6A)과의 연통로(63a)를 형성하는 통체로서, 가로방향(후술하는 중심선(C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분리실 형성부(64)는 관부(63)에 접속되어 분리실(SC)을 형성하고, 중앙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원환형상(圓環形狀)의 중공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함에 있어서, 그라인더(5A)로부터 낙하해오는 분쇄두에 가로방향의 풍압을 작용시켜서 불요물을 흡인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은, 원심분리방식보다도 연직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분리실 형성부(6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통모양부(65)를 포함한다. 통모양부(65)는 그 상하방향의 중앙부에서 하부에 걸쳐서 분리실(SC)내로 돌출하고 있다. 통모양부(65)는 상측의 일단에 개구부(65a)를 구비하고, 개구부(65a)는 분리실(SC)과 통하게 되어 분쇄두의 투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65a)는 분리실(SC) 밖에 위치하고 있고, 그라인더(5A)의 배출구(51a)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두가 빠짐 없이 분리실 형성부(64)로 유입된다. 통모양부(65)는 하측의 타단에 개구부(65b)를 구비한다. 개구부(65b)는 분리실(SC)내에 위치하고 있다. 개구부(65b)가 분리실(SC)과 면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두가 빠짐 없이 분리실(SC)로 유입된다.
통모양부(65)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원통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개구부(65a) 및 개구부(65b)는 중심선(CL)상에 위치하는 동심의 원형모양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두가 통모양부(65)를 통과하기 쉬워진다. 통모양부(65)는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개구부(65a)측으로부터 개구부(65b)측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통모양부(65)의 내벽이 유발형상(乳鉢形狀)이 되기 때문에, 낙하해오는 분쇄두가 내벽에 충돌하기 쉬워진다. 그라인더(5A)로부터 낙하해오는 분쇄두는, 알갱이 상호간이 밀착해서 덩어리가 되어서 낙하해오는 경우가 있다. 분쇄두가 덩어리의 상태이면, 불요물의 분리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덩어리가 된 분쇄두가 통모양부(65)의 내벽에 충돌함으로써 덩어리가 깨져서 불요물을 분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분쇄두의 덩어리를 깨트리는 점에서는, 통모양부(65)의 내벽은 유발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모양부(65)의 도중 부위에 개구부(65a)보다도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작은 장소가 있고, 그것에 의하여 중심선(CL)에 대하여 경사진(수평이지 않은) 내벽이 있으면, 덩어리와의 충돌을 촉진하면서, 분쇄두를 원활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통모양부(65)는 분리실(SC)내로 돌출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분리실 형성부(64)의 외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부분만을 갖춘 것이더라도 좋다. 다만, 통모양부(65)를 분리실(SC)내로 돌출시킴으로써 통모양부(65)의 주위의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관부(63)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영역(R1)에 있어서, 풍압에 의한 불요물의 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분리실 형성부(64)는, 불요물을 분리한 후의 분쇄두가 배출되고, 분리실(SC)과 통하는 배출구(66)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구(66)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개구부(65b)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 통모양부(65)를 거친 분쇄두는, 분리실(SC)을 통과해서 배출구(66)로부터 자유낙하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배출구(66)는 중심선(CL)상에 위치하는 원형의 개구로서, 개구부(65a) 및 개구부(65b)와 동심원의 개구이다. 이 때문에 분쇄두가 분리실 형성부(64)를 자유낙하에 의하여 통과하기 쉬워져, 분리실 형성부(64)내에 분쇄두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개구부(65b)의 단면적(SC1)보다도 배출구(66)의 단면적(SC2) 쪽이 크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개구부(65b)와 배출구(66)가, 상하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고 있다. 따라서 배출구(66)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개구부(65b)를 투영하면, 배출구(66)의 내측에 개구부(65b)가 들어가게 된다. 환언하면, 개구부(65b)는, 배출구(66)를 상하방향으로 연장한 영역내에 들어간다. 개구부(65b)와 배출구(66)가 동일한 중심선상에는 없지만 겹치고 있는 구성이나, 적어도 일방이 원형이 아니지만 겹치고 있는 구성도 채용가능하다.
단면적(SC2)에 대한 단면적(SC1)의 비율은, 예를 들면 95%이하 또는 85%이하이며, 또한 예를 들면 60%이상 또는 70%이상이다. 개구부(65b), 배출구(66)는 동심원이기 때문에 중심선(CL) 방향에서 보면 서로 겹치고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65b)로부터 자유낙하하는 분쇄두가 배출구(66)로부터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낙하하는 분쇄두가 배출구(66)의 테두리에 충돌해서 관부(63)측으로 뛰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한 분쇄두가 흡인유닛(6A)에 흡인되어버리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보다도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의 개구면적 쪽이 작다고 예시했지만,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과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의 개구면적은 같더라도 좋고,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보다도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의 개구면적 쪽이 커도 좋다.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보다도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의 개구면적 쪽이 작다고 예시했지만,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과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의 개구면적은 같더라도 좋고,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보다도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의 개구면적 쪽이 커도 좋다. 흡인유닛(예를 들면 6A)에 의하여 배출구(66) 및 투입구(예를 들면 65a, 65a')로부터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예시했지만, 투입구(예를 들면 65a, 65a')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양보다도 배출구(66)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은, 분리실내에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가 돌출하고 있는 것이나,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 a)의 개구면적의 크기보다도 배출구(66)의 단면적의 크기가 큰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고,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의 개구면적의 크기보다도 배출구(66)의 단면적의 크기가 큰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고,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로부터 분리실까지의 거리보다도 배출구(66)로부터 분리실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고,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로부터 배기통(6lb)까지의 거리보다도 배출구(66)로부터 배기통(6lb)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고,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로부터 송풍유닛(60A)까지의 거리보다도 배출구(66)로부터 송풍유닛(60A)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다. 형성유닛(6B)이나 분리실(SC)을 구성하는 부재(63∼65)의 내벽부 중의 어느 하나나 통모양부(65)나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이지만, 그라인더(5A 및 5B 중에서 적어도 일방)와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그라인더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피콩 분쇄장치(1)의 경우에, 그들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그라인더의 동작 중에, 형성유닛(6B)이나 분리실(SC)을 구성하는 부재(63∼65)의 내벽부 중의 어느 하나나 통모양부(65)나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가 진동하고, 진동에 의하여 상기 분리실(SC)내로 발생하는 흐트러진 공기에 의하여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로부터 분리실(SC)로 진입하는 가벼운 불요물에 제동을 걸어, 상기 불요물을 흡인유닛(예를 들면 6A)에 의하여 흡인하기 쉽게 하고 있다. 특히,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피콩 분쇄장치(1)와 같이, 형성유닛(6B)은 그라인더(5A, 5B) 중에서 그라인더(5A)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만, 이렇게 하나의 그라인더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형성유닛(6B)에 적절한 진동을 가하여, 가벼운 불요물을 흡인하기 쉽게 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흡인유닛(6A)에 의하여 흡인되는 공기는, 주로 배출구(66)로부터 흡인된다. 이 때문에 배출구(66)와 그라인더(5B)의 투입구(50b)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의 흡인이 촉진된다. 화살표(d4)는 흡인유닛(6A)에 의하여 흡인되는 공기의 기류의 방향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배출구(66)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불요물이 배출구(66)로부터 배출되기 어려워져, 분쇄두와 불요물의 분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인유닛(6A)에 의하여 흡인되는 공기는 개구부(65a)로부터도 흡인된다.
배출구(66)를 획정하는 주위벽(周圍壁)에는 난류촉진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난류촉진부(67)는 배출구(66)로부터 분리실(SC)로 흡인되는 공기에 난류(亂流)를 생기게 한다. 난류촉진부(67)를 형성함으로써 특히 개구부(65b)와 배출구(66) 사이의 영역(R2)에 있어서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통모양부(65)의 주위에서 풍속이 향상되기 때문에 영역(R2)에서의 난류의 발생을 상승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개구부(65a)에 투입된 분쇄두는 영역(R2)을 통과할 때에 난류의 영향을 받아서 휘저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개구부(65b)의 단면적(SC1)보다도 배출구(66)의 단면적(SC2) 쪽이 크기 때문에, 분쇄두는 영역(R2)을 반드시 통과한다. 난류에 의하여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이 분쇄두로부터 분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분리실(SC)이 작은 공간이더라도 불요물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분리실(SC)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작게 하는 것에 기여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두개의 그라인더(5A, 5B)로 2단계의 분쇄를 하는 경우의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난류촉진부(67)는 복수의 난류촉진요소(67a)를 포함한다. 난류촉진요소(67a)는, 상하방향에서 하향으로 돌출한 돌기이다. 난류촉진요소(67a)의 돌출방향은 어느 방향이더라도 좋지만, 분리실(SC)내에 난류를 보다 더 발생시키기 쉽게 하는 점에서, 하측방향으로부터 지름방향 내측방향의 범위내의 방향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돌출방향이 하측방향이면, 낙하해온 분쇄두가 걸리는 일이 없어서 더 바람직하다.
난류촉진요소(67a)의 단면형상은, 사다리꼴형상의 4각기둥을 단면의 윗변이 중심선(CL)측으로 배치되고 또한 선단부의 내측에 베벨링(67b)이 실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난류촉진요소(67a)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지만, 배출구(66)의 형상을 3차원적으로 복잡하게 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난류촉진요소(67a)는, 배출구(66)의 주위방향(d5)으로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역(R)에 다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분출되어 난류의 발생이 촉진된다. 인접하는 난류촉진요소(67a)의 피치는 서로 다른 피치이더라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같은 피치이다. 또한 난류촉진요소(67a)는 12개 형성되어 있지만, 난류촉진요소(67a)의 수는 임의이다.
<1-2-3.다른 구성예>
도7를 참조하여 분리실 형성부(64)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난류촉진요소(亂流促進要素)(67a)는, 돌기 외에 노치나 구멍이더라도 좋다. 도7의 EX1의 예는, 난류촉진요소(67a)를 배출구(66)의 주위벽에 형성한 관통구멍으로 하는 예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멍도 영역(R2)에 있어서의 난류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도7의 EX2의 예는, 통모양부(65)를 설치하지 않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투입구(65a')의 단면적(SC1')보다도, 배출구(66)의 단면적(SC2)을 크게 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통모양부(65)의 개구부(65b)는 수평면상의 개구가 아니라, 경사면상의 개구이더라도 좋다. 도7의 EX3의 예는, 통모양부(65)의 관부(63)측의 하단이, 반대측의 하단보다도 하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영역(R1)측으로 분쇄두가 안내되기 쉬워져서, 분리실(SC)에 있어서의 분쇄두의 체류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2.제어장치>
도8을 참조하여 커피콩 분쇄장치(1)의 제어장치(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제어장치(11)의 블록도이다.
제어장치(11)는 커피콩 분쇄장치(1)의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장치(11)는, 처리부(11a), 기억부(1lb) 및 I/F(인터페이스)부(11c)를 포함한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면 CPU 등의 프로세서이다. 기억부(1lb)는 예를 들면 RAM이나 ROM이다. I/F부(11c)는 외부 디바이스와 처리부(11a) 사이의 신호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I/F부(11c)는,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서버(16), 휴대단말(17)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16)는,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17)과의 통신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수요자의 휴대단말(17)로부터 커피의 분쇄두 제조의 예약이나, 감상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커피콩 분쇄장치(1)와, 서버(16)와, 휴대단말(17)을 포함하여,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한다.
처리부(11a)는 기억부(1l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정보표시장치(12)로부터의 지시 혹은 센서군(13)의 검출결과 혹은 서버(16)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액추에이터군(14)을 제어한다. 센서군(13)은, 커피콩 분쇄장치(1)에 설치된 각종 센서(예를 들면 기구의 동작위치 검출센서 등)이다. 액추에이터군(14)은, 커피콩 분쇄장치(1)에 설치된 각종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모터 등)이다.
<3. 동작제어의 예>
처리부(11a)가 실행하는 커피콩 분쇄장치(1)의 제어처리의 예에 대하여,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는, 커피의 분쇄두 제조의 제어처리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처리는, 커피콩 분쇄장치(1)의 외부(예를 들면 서버(16)나 휴대단말(17))로부터의 주문정보에 따라서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예이다.
스텝 S1에서는, 커피의 분쇄두의 주문정보를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주문정보를 접수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이 스텝 S1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주문정보를 접수한 경우에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또, 주문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2에서는, 수신한 주문정보가 정보표시장치(12)에 표시되고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하고,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을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을 접수한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하고,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을 접수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에서는,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에 따라서 접수한 주문정보가 갱신되고, 스텝 S3으로 되돌아간다.
주문정보를 접수하고 나서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스텝 S4, 스텝 S5에 의하여 접수한 주문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라인드 개시 조작이나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은, 정보표시장치(12)의 조작에 한하지 않고, 휴대단말(17)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여도 좋고, 또한 이 조작의 정보는 커피콩 분쇄장치(1)로 송신되는 것이라면, 그 송신경로는 어떤 경로이더라도 좋다.
스텝 S6에서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분량의 로스트 커피콩이 저장장치(4)로부터 그라인더(5A)로 공급된다. 그라인더(5A)에서는 분쇄된 커피콩은, 분리장치(6)에 의하여 불요물이 분리된 후에, 그라인더(5B)로 공급된다. 이 그라인더(5B)에서는 주문정보에 따라서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50μm단위)으로 변경하면서 커피콩이 분쇄되어, 커피의 분쇄두가 배출구(51b)로부터 배출된다. 이 그라인드 처리가 종료하면, 커피의 분쇄두의 제조처리가 종료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커피콩 분쇄장치(1)의 외부로부터의 주문정보에 따라서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정보표시장치(12)를 사용하여 직접 커피콩 분쇄장치(1)에 주문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에는, 도9의 스텝 S2, 스텝 S4, 스텝 S5을 삭제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주문정보를 접수하고 나서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주문정보를 변경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경의 기회를 두지 않고, 주문정보를 접수하면 그대로 그라인드 처리가 시작되도록 하여도 좋다.
<4. 주문 및 동작예>
이하, 도9를 사용하여 설명한 제어처리의 플로우를 참조하면서, 주문정보에 대한 동작의 예에 대해서, 도10∼도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0∼도12는, 주문정보의 입력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주문정보의 변경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주문에 대한 그라인더(5B)의 제어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그라인드 처리의 실행중에 있어서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휴대단말(17)에 커피의 분쇄두에 관한 주문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10에는, 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주문정보의 입력화면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 입력화면에서는, 주문의 타이틀 입력란(171), 커피콩을 분쇄할 때의 입도에 대한 비율을 지정하는 입력 테이블(172),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을 지시하는 세→조 버튼(173a)과,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을 지시하는 조→세 버튼(173b)과,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된 내용을 그래프에 표시하기 위한 그래프 에어리어(174)와, 주문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버튼(175)이 표시되어 있다.
도11에는, 주문정보가 입력된 상태의 입력화면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 입력화면에서는, 타이틀 입력란(171)에 「게이샤 프렌치 프레스(geisha french press)용」이라는 문자가 입력되어 있다. 또한 입력 테이블(172)에는, 입도 2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40」과 입도 8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60」이 입력되어, 그 합계비율이 「100」%인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입도 200μm, 입도 800μm, 합계에 각각 대응하는 메모가 입력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조→미세분쇄 버튼(173b)이 선택되어 있다. 그래프 에어리어(174)에는,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된 내용이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이 그래프에서는 2개의 피크가 나타나 있지만, 이 중에서 좌측의 피크는 200μm의 입도가 40%의 비율인 것을 나타내고, 우측의 피크는 800μm의 입도가 60%의 비율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 에어리어(174)에서는, 그래프의 일부를 드래그함으로써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된 내용을 간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12에서는, 도11에 나타내는 그래프 에어리어(174)의 2개의 피크 중에서, 우측의 피크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예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 조작에 의하여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되어 있었던 입도 8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60」이 「0」이 되고, 입도 6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0」이 「60」으로 변경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그래프를 드래그하는 것에 의한 입력방법은, 입도를 변경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율을 변경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그래프의 일부를 상하로 드래그함으로써 대응하는 입도의 비율을 증감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12의 예에서는 입력 테이블(172)에 값이 입력된 후에, 그래프의 일부를 드래그함으로써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된 값을 변경하고 있다. 이 구성에 한하지 않고, 입력 테이블(172)에 값을 입력하기 전의 상태(초기상태)로부터 그래프 에어리어(174)에 초기상태의 그래프(평면인 직선, 도10에서는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를 표시하도록 해 두고, 이 그래프를 드래그함으로써 입력 테이블(172)의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은 그래프를 사용한 입력방법에 의하여 유저가 보다 직감적으로 입도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피크에 대하여 그 크기가 증가하면, 다른 피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하나의 피크에 대하여 그 크기를 증감함으로써 다른 피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증감하여도 좋다. 그래프 에어리어(174)의 크기가 한정되고 있는 것 같은 경우에는, 그래프 에어리어(174)를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타이틀, 입도의 비율, 분쇄하는 방법 및 커피콩의 양(도10~도12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설정한 후에, 송신버튼(175)을 탭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커피콩 분쇄장치(1)의 제어장치(11)에 주문정보가 송신된다. 또, 일단 서버(16)로 송신한 후에, 서버(16) 및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송신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주문정보를 수신하면, 정보표시장치(12)에는 수신한 주문정보의 내용이 표시된다(도9의 스텝 S1에서 Yes, 스텝 S2). 도13(A)에는, 도12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송신된 주문정보를 제어장치(11)가 수신하고, 정보표시장치(12)에 그 내용이 표시된 예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2의 타이틀 입력란(171)에 입력된 타이틀과 입력 테이블(172) 중에서 비율이 0이고 또한 메모란이 공란인 입도의 행(도12에서는 입도 400μm, 1000μm의 행)을 제외한 부분의 내용이 수신 테이블(121)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분쇄방법 지시란(122)에는, 도12에 있어서 조→미세분쇄 버튼(173b)이 선택됨으로써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시된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콩량란(123)에는, 수신한 콩의 양(이 예에서는, 60g)이 나타나 있다. 또, 콩의 양에 관해서는 점포측에서 별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상태에서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을 탭하면 커피콩의 그라인드 처리가 실행되는데(상세한 것은 후술),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을 탭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주문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9의 스텝 S3에서 No, 스텝 S4에서 Yes, 스텝 S5). 주문정보를 변경하였을 경우에는, 이 정보에 따라서 커피콩의 그라인드 처리가 실행된다. 그라인드시의 기온이나 습도에 따라서는, 커피의 분쇄두의 입도가 낮아지는(혹은 높아지는) 경우가 있으나, 점포측에서 주문정보를 변경해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3(A)의 주문정보를 수신했지만, 습도가 낮기 때문에 커피의 분쇄두의 입도가 좀 낮아져버린 상황이라고 가정한다. 이 때 예를 들면 도1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신 테이블(121)에 있어서, 입도 2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40」을 「45」로 변경하고, 또한 입도 600μ m의 비율을 나타내는 「60」을 「55」로 변경함으로써 커피의 분쇄두의 입도를 거칠게 해서 원하는 입도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 이 도13(B)의 예에서는 메모란에 「저습도→비율증가」의 기재가 추가되어 있지만, 이러한 메모가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정 이유와 같은 정보를 전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다음에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을 탭한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 도13(B)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이 탭되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을 탭하면, 주문정보에 따라서 커피콩의 그라인드 처리가 실행된다(도9의 스텝 S3에서 Yes, 스텝 S6). 도14(A)에는, 도13(B)에서 지정된 입도 및 그 비율이 나타나 있다.
이 그라인드 처리에서는, 제조되는 커피 분쇄두의 입도분포가,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커피 분쇄두의 입도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범위(본 실시형태에서는, ±100∼150μm의 범위)까지 넓어지도록,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50μm단위)으로 변경하면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도14(B)에는, 도14(A)에서 지정되어 있는 입도 200μm의 지정에 대하여,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50∼350μm의 범위에서 변경하면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14(B)에는, 도14(A)에서 지정되어 있는 입도 600μm의 지정에 대하여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450∼700μm의 범위에서 변경하면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14(D)에는, 도14(B)에 나타나 있는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별 동작시간의 길이가 그래프에서 나타나 있다. 또, 여기에서 설정된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과 그 동작시간은, 제조되는 커피 분쇄두의 입도분포에 대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입도분포가 설정되어 있다라고 말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60g의 분량의 커피 분쇄두를 제조하는데에 합계 30초가 걸린다고 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동작시간 중에 45%(13.5초)를 입도 200μm에 대한 동작에 할당하고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입도 200μm의 지정에 대하여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50∼350μm의 범위에서 변경하면서 동작시키는 것으로부터, 13.5초의 동작시간을 이 범위에서의 그라인더 동작에 할당하고 있다. 또, 도14(B)에서는 간격 50∼350μm의 범위에서의 그라인더의 동작시간의 합계가 13.5초가 되어 있다. 또한 합계 30초의 동작시간 중에서 55%(16.5초)를 입도 600μm에 대한 동작에 할당하고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입도 600μm의 지정에 대하여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450∼700μm의 범위에서 변경하면서 동작시키는 것으로부터, 16.5초의 동작시간을 이 범위에서의 그라인더 동작에 할당하고 있다. 또, 도14(B)에서는 간격 450∼700μm의 범위에서의 그라인더의 동작시간의 합계가 16.5초가 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14(B)에 나타나 있는 동작시간은, 커피 분쇄두의 제조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또, 도14(B)에서는 2종류의 입도의 지정에 대한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의 범위가 중복하지 않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의 범위가 중복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의 동작시간이 가산된다.
도14(B)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변경하면서 커피 분쇄두를 제조함으로써 커피 분쇄두의 입도를 분산시킬 수 있다. 입도가 분산되게 한 커피 분쇄두로부터 추출된 커피는, 입도를 분산시키지 않은 커피 분쇄두로부터 추출된 커피와 비교하여 다양한 맛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맛이 기호가 아닌 사람을 대상으로, 예를 들면 도1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동작시간이 설정될 경우를 설정하여도 좋다. 이 도14(C)에서는 그라인더(5B)의 동작시간이,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입도와 동일한 값의 칼날의 간격에서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정되어 있고, 입도의 분산을 억제한 입도분포에 대응한 것이 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은 일례이며, 입도의 지정시에 입도분포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도14(B)의 예에서는,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입도와 동일한 값의 칼날의 간격에서의 동작시간이 가장 길고, 지정된 입도와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과의 차이가 커지게 됨에 따라 동작시간이 짧아져 있지만, 예를 들면 지정된 입도에 대하여 ±50μm의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동작시간을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여도 좋고, 입도분포의 패턴을 복수 형성해서 거기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14(B)와 같은 동작시간의 정보를 주문정보작성시에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주문정보에 동작시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이 정보에 따라서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도14(A)에서는 2종류의 입도의 값이 설정되어 있지만, 값이 지정되는 입도의 종류의 수에 관해서는 복수가 아니라 1종류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1종류의 입도의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값에 의거하여 동작시간이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방법은,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과,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의 2종류가 있고, 도10~도12에서 설명한 세→조대분쇄 버튼(173a)와 조→미세분쇄 버튼(173b)을 사용하여 어느 하나의 분쇄방법이 지정된다.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50μm로부터 1000μm까지 넓히면서, 각 간격에 대하여 설정된 동작시간만 그라인더(5B)를 동작시킨다. 한편,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1000μm로부터 50μm까지 좁히면서, 각 간격에 대하여 설정된 동작시간만 그라인더(5B)를 동작시킨다. 이 분쇄방법에 따라서는, 제조되는 커피 분쇄두의 입도분포에 미묘한 차이가 발생할 경우가 있고, 맛에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의 분쇄하는 방법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13(B)에서는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1000μm로부터 50μm까지 좁히면서, 각 간격에 대하여 설정된 동작시간만 그라인더(5B)를 동작시킨다. 이 때에, 정보표시장치(12)에는, 도14(D)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가 표시되고, 이 동작의 진행에 따라 그래프내의 영역의 색이 변화된다. 도15(A)에는, 그라인드 시작으로부터 12.6초가 경과했을 때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때에, 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은 550μm로 설정된 상태로 되어 있고, 도15(A)에서는, 이 550μm를 경계로 우측의 영역의 색이 변화된 것이 해칭에 의하여 나타나 있다. 이 해칭은, 해당하는 영역의 그라인드 처리가 종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또한 도15(B)에는, 그라인드 시작으로부터 30초가 경과해서 그라인드 처리가 종료했을 때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도15(B)에 있어서는, 모든 영역이 해칭되어 있는 것은, 모든 그라인드 처리가 완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15(A), (B)의 예와 같이, 그라인드 처리의 진행상태가 표시됨으로써 고객의 대기시간을 싫증나지 않도록 하거나, 점원이 그 사이에 다른 작업을 한다고 하는 것 같은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15(A), (B)의 예에서는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래프의 우측으로부터 해칭이 넓어져 가는 표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15(A), (B)의 예와는 달리, 그래프의 좌측으로부터 해칭이 넓어져 가는 표시가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정보표시장치(12)에 그라인드 처리의 진행상태가 표시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주문정보를 송신한 휴대단말(17)에 있어서 그라인드 처리의 진행상태가 표시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5.기타의 구성>
이상에서 설명한 커피콩 분쇄장치(1)에서는, 분쇄장치(5)가 그라인더(5A)와 그라인더(5B)를 사용하여 2단계로 나누어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9∼도15를 사용하여 설명한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있어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그라인더를 사용하는 구성이더라도 좋고, 또한 그라인더의 기구에 관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기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14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피 분쇄두의 입도를 분산되게 하는 것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입도 50μm 이상, 500μm 미만의 범위를 담당하는 그라인더와, 입도 500μm 이상, 1000μm까지의 범위를 담당하는 그라인더의 2개를 설치하고, 오더정보에 따라 이들을 전환하여(바꾸어서)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하거나 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복수의 그라인더를 전환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고, 복수의 그라인더를 동시에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그라인더에 대하여는, 각각이 담당하는 커피 분쇄두의 입도의 범위가 서로 다른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의 범위가 중복하는 구성이더라도 좋고, 이들의 범위가 같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정보표시장치(12)를 사용하여 커피 분쇄두의 오더정보를 표시하거나 그라인드 시작조작을 실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역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휴대단말(17)이나 서버(16)라고 하는 외부 장치로 실행가능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커피 분쇄장치(1)와, 서버(16) 혹은 휴대단말(17)을 포함하는, 커피 분쇄 시스템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실시형태의 정리>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그라인더(5B))와,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예를 들면, 제어장치(11))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장치(예를 들면, 커피콩 분쇄장치(1))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된 입도분포에 따라서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인(예를 들면, 도14(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유저로부터의 오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입도분포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인(예를 들면, 도9, 도14(A), 도14(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오더정보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예를 들면, I/F부(11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하나의 상기 오더정보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는 상기 입도분포의 패턴을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1입도 및 제2입도를 포함하는 상기 입도분포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상기 제1입도 및 상기 제2입도 중의 어느 쪽을 먼저 분쇄할지 설정할 수 있는 것인(예를 들면, 도11의 세→조대분쇄 버튼(173a), 조→미세분쇄 버튼(173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그라인더는,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설정할 수 있는 입도를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그라인더의 설정입도를 변경하면서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인(예를 들면, 도14(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을 구비한 커피콩 분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입도분포를 설정하는 입도분포 설정스텝과,
설정된 입도분포에 따라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커피콩 분쇄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예를 들면, 도14(B))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상기 입도분포 설정스텝은, 유저로부터의 오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입도분포를 설정하는 스텝인(예를 들면, 도9, 도14(A), 도14(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상기 오더정보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오더수신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상기 입도분포 설정스텝은, 하나의 상기 오더정보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는 상기 입도분포의 패턴을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제1입도 및 제2입도를 포함하는 상기 입도분포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제1입도 및 상기 제2입도 중의 어느 쪽을 먼저 분쇄할지 설정하는 분쇄방법 설정스텝(예를 들면, 도11의 세→조대분쇄 버튼(173a), 조→미세분쇄 버튼(173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상기 커피콩 분쇄스텝은,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설정할 수 있는 입도를 복수 종류 구비하는 그라인더의 설정입도를 변경하면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스텝인(예를 들면, 도14(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그라인더(5B))와,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예를 들면, 제어장치(11))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장치(예를 들면, 커피콩 분쇄장치(1))로서,
상기 그라인더는,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설정할 수 있는 입도를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된 복수의 입도에 따라서 상기 그라인더의 설정입도를 변경하면서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인(예를 들면, 도14(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유저로부터의 오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입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인(예를 들면, 도9, 도14(A), 도14(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오더정보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예를 들면, I/F부(11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하나의 상기 오더정보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입도의 패턴을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1입도 및 제2입도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입도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상기 제1입도 및 상기 제2입도 중의 어느 쪽을 먼저 분쇄할지 설정할 수 있는 것인(예를 들면, 도11의 세→조대분쇄 버튼(173a), 조→미세분쇄 버튼(173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된 하나의 입도에 따라서 상기 그라인더의 입도를 설정하여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입도분포를 설정하는 입도분포 설정스텝과,
설정된 입도분포에 따라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커피콩 분쇄스텝을
구비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상기 커피콩 분쇄스텝은,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설정할 수 있는 입도를 복수 종류 구비하는 그라인더의 설정입도를 변경하면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스텝인(예를 들면, 도14(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상기 입도분포 설정스텝은, 유저로부터의 오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입도를 설정하는 스텝인(예를 들면, 도9, 도14(A), 도14(B)),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상기 오더정보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오더수신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상기 입도분포 설정스텝은, 하나의 상기 오더정보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입도의 패턴을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제1입도 및 제2입도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입도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제1입도 및 상기 제2입도 중의 어느 쪽을 먼저 분쇄할지 설정하는 분쇄방법 설정스텝(예를 들면, 도11의 세→조대분쇄 버튼(173a), 조→미세분쇄 버튼(173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기재의 커피콩 분쇄방법으로서,
상기 커피콩 분쇄스텝은, 설정된 하나의 입도에 따라서 상기 그라인더의 입도를 설정하여 커피 분쇄두를 생성할 수 있는 스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설정된 입도분포(粒度分布)에 따라서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유저로부터의 오더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입도분포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더정보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하나의 상기 오더정보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는 상기 입도분포의 패턴을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1입도 및 제2입도를 포함하는 상기 입도분포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상기 제1입도 및 상기 제2입도 중의 어느 쪽을 먼저 분쇄할지 설정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는,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설정할 수 있는 입도를 복수 종류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그라인더의 설정입도를 변경하면서 커피 분쇄두를 생성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장치.
KR1020237019876A 2020-12-03 2021-11-08 커피콩 분쇄장치 KR202301019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01271A JP7144073B2 (ja) 2020-12-03 2020-12-03 コーヒー豆挽き装置
JPJP-P-2020-201271 2020-12-03
PCT/JP2021/040973 WO2022118608A1 (ja) 2020-12-03 2021-11-08 コーヒー豆挽き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912A true KR20230101912A (ko) 2023-07-06

Family

ID=8185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876A KR20230101912A (ko) 2020-12-03 2021-11-08 커피콩 분쇄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57818A1 (ko)
EP (1) EP4258230A4 (ko)
JP (1) JP7144073B2 (ko)
KR (1) KR20230101912A (ko)
CN (1) CN116547728A (ko)
CA (1) CA3202996A1 (ko)
TW (1) TW202315559A (ko)
WO (1) WO202211860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33A (ko) 2017-09-14 2019-03-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분산형 데이터 패킷 처리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2419A (ja) * 1991-04-11 1992-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沸かし器
JP2004105627A (ja) 2002-09-20 2004-04-08 Niwa Shoji Kk コーヒー供給装置
US9154547B2 (en) * 2013-03-14 2015-10-06 Blossom Coffee, Inc. Methods for brewing coffee
US9940004B2 (en) * 2013-03-15 2018-04-10 Gregory Mayworm Methods and systems for predicting and evaluating coffee characteristics
CN107427141B (zh) 2015-02-18 2020-04-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饮料供应装置
JP7052983B6 (ja) 2017-08-07 2022-07-15 株式会社大都技研 粉砕装置及び飲料製造装置
IT201900000591A1 (it) * 2019-01-15 2020-07-15 La Marzocco Srl Macchina macina caffè configurata per fornire una dose di caffè macinato stratificato e relativo metodo
IT201900001629A1 (it) * 2019-02-05 2020-08-05 La Marzocco Srl Macchina macina caffè configurata per fornire differenti profili granulometrici e relativo metod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33A (ko) 2017-09-14 2019-03-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분산형 데이터 패킷 처리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5559A (zh) 2023-04-16
EP4258230A1 (en) 2023-10-11
JP2022089050A (ja) 2022-06-15
CA3202996A1 (en) 2022-06-09
JP7144073B2 (ja) 2022-09-29
CN116547728A (zh) 2023-08-04
WO2022118608A1 (ja) 2022-06-09
EP4258230A4 (en) 2024-01-31
US20240057818A1 (en)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1912A (ko) 커피콩 분쇄장치
KR20230101913A (ko) 커피콩 분쇄장치
WO2022196246A1 (ja) コーヒーマシン
WO2022196247A1 (ja) コーヒーマシン
JP2022144794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7282422B2 (ja) コーヒーマシン
WO2022196248A1 (ja) コーヒーマシン
JP5531591B2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2022144799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3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2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8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5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7080525B1 (ja) コーヒーマシン
JP2022106221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7166699B1 (ja) コーヒーマシン
JP7271033B1 (ja) コーヒーマシン
JP7257065B1 (ja) コーヒーマシンシステム
KR20230098131A (ko) 커피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