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906A - 수직 순환 입체 차고 - Google Patents

수직 순환 입체 차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906A
KR20230098906A KR1020237020322A KR20237020322A KR20230098906A KR 20230098906 A KR20230098906 A KR 20230098906A KR 1020237020322 A KR1020237020322 A KR 1020237020322A KR 20237020322 A KR20237020322 A KR 20237020322A KR 20230098906 A KR20230098906 A KR 20230098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harging
hanging basket
vertical circulation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익시 쿠아이
Original Assignee
쓰촨 골드스톤 오리엔트 뉴 메터리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290398.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443185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663248.X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03496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0215061.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996448U/zh
Application filed by 쓰촨 골드스톤 오리엔트 뉴 메터리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쓰촨 골드스톤 오리엔트 뉴 메터리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장비 분야에 관한 것으로, 수직 순환 입체 차고를 개시하되, 견인 체인이 각각 장착된 전방 메인 프레임 및 후방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기계 프레임; 견인 체인의 작동에 따라 환상 작동 영역의 상이한 주차 위치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 중앙 출선 유닛, 자동차 행잉 바스켓에 각각 설치된 충전 어셈블리 및 중앙 출선 유닛으로부터 각 충전 어셈블리까지 대응되게 발산 연장되는 복수의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을 포함하고, 자동차 행잉 바스켓이 위치하는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각 충전 케이블이 자유롭게 처짐을 허용하는 전공 영역을 구비하며, 중앙 출선 유닛의 출선단은 상기 전공 영역 내에 설치된다. 상기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작동 과정에서 출선 위치를 변경하거나 충전 케이블을 와이어 슬롯 내로 진입시키거나 상기 와이어 슬롯 내로부터 인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충전 케이블의 권취 및 해제로 인해 발생되는 에너지 소모 및 마모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 순환 입체 차고
본 발명은 주차 장비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0년 11월 17일 자로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11290398.9와 202022663248.X 및 2021년 1월 26일 자로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120215061.5인 중국 특허 출원의 권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자동차 보유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주차난은 도시화 발전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작은 부지 면적, 높은 토지 공간 활용도, 유연한 배치 등 장점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전형적으로,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감속 모터에 의해 전동 메커니즘을 구동할 수 있으며, 견인 체인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 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을 상기 견인 체인과 함께 트랙 모양(환상, 環狀) 작동 영역에서 순환 운동하도록 구동시켜 차량을 입출고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전기차로 대표되는 신에너지 자동차 기술이 나날이 성숙해지고 있으며, 충전 기능을 구비한 수직 순환 입체 차고가 등장했다. 그러나, 각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충전 어셈블리(예를 들어 충전 포스트, 충전 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송전선로 등 부품 및 구조를 설치해야 하며, 이는 사용 안전성, 장치 배치 등 측면에서 새로운 기술적 과제에 직면해 있다.
선행기술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송전 장치는 절연 도체 레일(isolated conductor rail)으로,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충전 어셈블리가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상이한 주차 위치에서 전도성 슬라이드 레일, 슬라이드 슬롯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유지함으로써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중국 실용신안 특허 CN205476693U는 고층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차량 위치에 대한 연속 충전 시스템을 개시하되, 회전 체인을 둘러싸서 배치된 환상 슬롯식 전도성 슬라이드 레일 및 회전 체인에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 개의 집전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집전 장치는 회전 체인을 따라 작동하는 과정에서 환상 슬롯식 전도성 슬라이드 레일과 항시 접촉되어 각 차량 위치 충전포스트에 제공되는 전력을 획득한다. 이러한 송전 장치는 노천 전원 사용 안전 보호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어렵고, 사용자의 안전 보장에 불리하다.
예를 들어 중국 실용신안 특허 CN204793973U인 선행기술은 또한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전원 공급 방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순환 가이드 레일을 따라 동기화 회전하도록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순환 가이드 레일에 충전선 와인딩기를 증설하고, 충전선을 상기 와인딩기에 권취하여 일단은 차량 적재판의 충전 건에 연결하고, 타단은 순환 가이드 레일 외측에 설치된 추종 턴테이블에 연결한다. 따라서, 차량 입출고 과정에서, 충전선 릴이 순환 가이드 레일을 따라 동기화 회전됨과 동시에 추종 턴테이블을 구동하여, 충전선이 둘 사이에서 순환 권취 및 해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 수단은 대전 소자로 인한 사용 안전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나, 충전선의 권취 및 해제 과정에서 충전 케이블과 관련 부품 사이에 불가피하게 마찰 작용이 발생하여, 작동 시 높은 에너지 소비, 케이블 마모 등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에 존재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에서 충전선로 배치가 불편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이동에 따라 출선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충전 케이블을 와이어 슬롯 내로 진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와이어 슬롯 내로부터 인출시킬 필요가 없어, 충전 케이블의 권취 및 해제로 인해 발생되는 에너지 소모 및 마모, 야외 전원 사용/전원 투입 안전 등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직 순환 입체 차고를 제공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된 전방 메인 프레임 및 후방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 및 후방 메인 프레임에 각각 견인 체인이 장착되는 기계 프레임; 상기 견인 체인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견인 체인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견인 체인의 작동에 따라 환상 작동 영역의 상이한 주차 위치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 및 중앙 출선 유닛,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에 각각 설치된 충전 어셈블리 및 상기 중앙 출선 유닛으로부터 각 상기 충전 어셈블리까지 대응되게 발산 연장되어 상기 충전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충전 케이블을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이 위치하는 상기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각 상기 충전 케이블이 자유롭게 처짐을 허용하는 전공 영역(full-empty area)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 출선 유닛의 출선단은 상기 전공 영역 내에 설치된다.
상술한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의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전공 영역이 설치되고, 충전 케이블이 출선단에 의해 상기 전공 영역 내에 설치된 중앙 출선 유닛을 통해 집중적으로 출선, 발산 연장되도록 하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전공 영역 내에서 어떠한 부품(예를 들어 타이로드, 전동축 및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정지 및 이동 간섭 없이 자유롭게 처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이동에 따라 출선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충전 케이블을 와이어 슬롯 내로 진입시키거나 상기 와이어 슬롯 내로부터 인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충전 케이블의 권취 및 해제로 인해 발생되는 에너지 소모 및 마모, 전원 사용/전원 투입 안전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견인 체인이 제거된 도 1의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중앙 출선 유닛, 자동차 행잉 바스켓 및 충전 케이블의 중앙 출선 유닛으로부터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충전 어셈블리 연장 부분까지의 장착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수평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차량 입출고 로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중앙 출선 유닛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중앙 출선 유닛의 로터리 페룰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중앙 출선 유닛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중앙 출선 유닛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설명 및 해석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반대되는 설명을 하지 않은 경우, 사용되는 방위어 예를 들어 “상부, 하부”란 통상적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상부, 하부를 가리키고; “내부, 외부”란 각 부품 자체의 윤곽 내에 대한 내부, 외부를 가리킨다. 명확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를 수직 순환 입체 차고에 주차할 때 통상적으로 상기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전면,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자동차 진입 방향(A)을 따라 진입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위어 “전방, 후방”은 통상적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왼쪽, 오른쪽, 예를 들어 전방 메인 프레임(1), 후방 메인 프레임(2)에 대응되고; 사용되는 방위어 “왼쪽, 오른쪽”은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왼쪽, 오른쪽(즉 도 4에 도시된 상부, 하부)에 대응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기계 프레임, 복수 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8) 및 충전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계 프레임은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된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는 각각 견인 체인(6)이 장착된다. 주요 부품 및 이의 연결 관계를 용이하게 표현하기 위해, 도 1은 수직 단면 시야각에서 후방으로 향해 관찰되는 후방 메인 프레임(2) 및 이에 연결된 관련 부품만을 나타내고, 도시된 견인 체인(6)은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장착된 견인 체인이다. 일반적으로, 기계 프레임은 강철제 형재로 용접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자동차 행잉 바스켓 등 기능 부품의 장착 기초 및 내하중 기초로 사용된다.
기계 프레임의 전체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의 수직 순환 입체 차고에는,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 사이에 상부 프레임(3) 및 하부 프레임(4)이 연결된다.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도 앵커 볼트로 지면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철근 콘크리트 지반을 설치하여 둘의 하단의 일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장착된 견인 체인(6)은 각각 수직 평면 내에 트랙 모양으로 배치되어 서로 대향 가능한 바, 모터 등의 구동 장치 및 상기 견인 체인(6)과 배합된 섬휠 등과 같은 전동 장치에 의해 각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작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8)(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을 통해)은 견인 체인(6)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견인 체인(6)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견인 체인(6)의 작동에 따라 환상 작동 영역 내에서 상이한 주차 위치로 이동하고, 각 주차 위치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견인 체인(6)이 작동함에 따라,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은 상기 견인 체인(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만, 자동차(30)의 안정적인 주차를 유지하기 위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을 수평 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을 상기 견인 체인(6)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해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상이한 주차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모든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작동 영역은 마침 하나의 환상 작동 영역(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견인 체인(6)을 따라 한 바퀴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때, 단일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은 상기 환상 작동 영역의 부분 영역만 통과할 수 있음)을 형성하고, 상이한 수직 단면 위치에서, 환상 작동 영역의 단면과 견인 체인(6)으로 둘러싸인 트랙 모양 평면은 모두 서로 평행한 유사한 도형을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자동차 행잉 바스켓(8a)으로부터 제8 자동차 행잉 바스켓(8h)등 까지 균일하게 분포된 8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8a-8h)을 구비한 수직 순환 입체 차고를 예로 들면, 견인 체인(6)이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동되어, 제1 자동차 행잉 바스켓(8a)이 제2 자동차 행잉 바스켓(8b)의 위치까지 이동할 때, 상기 제2 자동차 행잉 바스켓(8b)이 마침 제3 자동차 행잉 바스켓(8c)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즉, (가정하여) 각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견인 체인(6)을 따라 한 바퀴 이동하도록 허용될 때, 각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스윕하는 공간 영역, 즉 상기 환상 작동 영역이 서로 중첩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또한 12개, 16개 등과 같은 다른 수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을 구비할 수도 있다.
자동차 행잉 바스켓(8)에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건과 같은 충전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도시된 8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8)에는 충전 어셈블리가 모두 설치되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일부 자동차 행잉 바스켓(8)에만 충전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수직 순환 입체 차고에서 일부 차량 위치에만 충전 기능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충전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충전 어셈블리 외에, 충전 시스템은 중앙 출선 유닛(7) 및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으로부터 각 상기 충전 어셈블리까지 대응되게 발산 연장되는 복수의 충전 케이블(9)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각 충전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9)은 중앙 출선 유닛(7)에서 집중적으로 출선, 발산 연장된다. 여기서, 중앙 출선 유닛(7)은 배전 캐비닛(13) 등과 같은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케이블(9)을 통해 충전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의 수직 순환 입체 차고에는, 전술한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위치하는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각 충전 케이블(9)이 자유롭게 처짐을 허용하는 전공 영역(100)을 구비하며, 중앙 출선 유닛(7)의 출선단은 상기 전공 영역(100) 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공 영역(100)은 상기 영역 내에 충전 케이블(9)을 정지시킬 수 있는 어떠한 부품도 설치되지 않음을 가리키는 바,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서의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 사이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 전방, 후방 견인 체인(6)에 전동 연결된 전동축 등이 생략되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견인 체인(6)과 함께 이동할 때 충전 케이블(9)에 대한 이동 간섭을 방지한다. 중앙 출선 유닛(7)의 출선단은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이 충전 케이블(9)을 인출하는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으로부터 충전 어셈블리까지의 연장 부분의 일단을 가리킨다.
전술한 전공 영역(100)의 의미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수평 단면과 함께 설명한다. 여기서, 절단선 부분으로 표시된 I자형 영역은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이고, 전공 영역(100)이 상기 공간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은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에 선회 연결된(견인 체인(6)에 대해 선회할 수 있음)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 자동차 팔레트(82), 상기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 및 자동차 팔레트(82) 사이에 연결된 행잉 바스켓 바(83) 및 후술하는 롤러(84)가 연결된 행잉 바스켓 스태빌라이저 바(85)(도 2를 함께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서, 동일한 높이 위치의 두 자동차 행잉 바스켓(8) 사이의 간격이 상이하므로, 도시된 I자형 단면 영역을 형성한다.
전방 메인 프레임(1)에 가까운 일측에는,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이 자동차 팔레트(82)에 대해 앞쪽으로 연장되는 길이(F)를 가지어,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에 용이하게 연결되며,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 전면의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 및 자동차 팔레트(82)에 의해 한정된 공간이 전공 영역(100)으로 사용될 수 있고;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일측에는, 행잉 바스켓 스태빌라이저 바(85)가 자동차 팔레트(82)에 대해 뒤쪽으로 연장되는 길이(H)를 가지고, 행잉 바스켓 스태빌라이저 바(85), 자동차 팔레트(82) 및 후면의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에 의해 두 행잉 바스켓 스태빌라이저 바(85) 사이의 좌우 간격(G) 내에서 한정된 공간이 전공 영역(100)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두 영역 사이의 공간은 각 자동차 팔레트(82)의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되고, 전공 영역(100)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공 영역(100)은 중앙 출선 유닛(7)의 출선단을 설치하는 데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각 부품은 모두 환상 작동 영역 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절단선 부분은 모두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입체 공간을 나타낸다.
전공 영역(100)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에 대응되는 상이한 위치로 선택되면, 관련 부품의 크기가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어, 충전 케이블(9)을 수용하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중앙 출선 유닛(7)의 출선단이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되면,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의 후단의 연장 길이(예를 들어 200mm-800mm)를 적절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같은 이치로, 전면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공간 배치를 고려하여 전체 폭을 축소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중앙 출선 유닛(7)의 양측에 위치한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수평 간격(E)을 400mm-800mm로 증설시켜, 중앙 출선 유닛(7)의 배치 및 충전 케이블(9)의 자유로운 처짐을 가능하게 한다.
전공 영역(100)의 설치는 주로 충전 케이블(9)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이동 과정에서 이동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전공 영역(100) 내에 간섭 부품이 존재하는 것만 피하면 되고,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위치하는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전공 영역(100)을 제외한 공간에 부품을 설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 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전공 영역(100)은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고, 중앙 출선 유닛(7)(케이블링 랙(5)에 장착된 로터리 페룰(72))의 출선단은 상기 전공 영역(100) 내에 설치되지만, 마찬가지로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위치하는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전면 공간은 전공(full-empty) 상태가 아니라 경사 타이로드(전방 메인 프레임(1) 및 케이블링 랙(5)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링 랙(5)의 안정성을 향상시킴)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의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출선단이 전공 영역(100) 내에 설치된 중앙 출선 유닛(7)의 집중적인 출선, 발산 연장을 통해, 충전 케이블(9)이 상기 전공 영역(100) 내에서 어떠한 부품(예를 들어 타이로드, 전동축 및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정지 및 이동 간섭없이 자유롭게 처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이동에 따라 출선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충전 케이블(9)을 와이어 슬롯 내로 진입시키거나 상기 와이어 슬롯 내로부터 인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충전 케이블의 권취 및 해제로 인해 발생되는 에너지 소모 및 마모, 전원 사용/전원 투입 안전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앙 출선 유닛(7)의 출선단에 대응되는 영역이 각 충전 케이블(9)이 자유롭게 처짐을 허용하는 전공 영역(100)으로 구성되는 한, 상기 전공 영역(100)은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위치하는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중앙 출선 유닛(7)의 출선단이 상하 또는 좌우 일측에 대해 치우쳐 있으면 그중 충전 케이블(9)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 출선 유닛(7) 및 충전 어셈블리(10) 사이에서 비교적 긴 연장 길이를 가지므로, 매듭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중앙 출선 유닛(7)은 전방, 후방 견인 체인(6)의 작동 중심이 위치하는 수직 중심면(즉 도 4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중심선이 위치하는 수직 평면)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은 전방, 후방 견인 체인(6)의 작동 중심이 위치하는 중심선에 설치되므로,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으로부터 각 충전 어셈블리(10)까지 충전 케이블(9)이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어, 과도한 길이로 인한 매듭, 낭비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응하는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최고 또는 최저 위치(제1 자동차 행잉 바스켓(8a) 및 제5 자동차 행잉 바스켓(8e)이 위치하는 위치)까지 작동할 때 충전 케이블(9)이 기본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매듭 등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 사이에 상부 프레임(3)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부 프레임(3)은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의 상단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3)이 각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위치하는 환상 작동 영역 상방에 위치하는 한, 충전 케이블(9) 및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때 충전 케이블(9)이 중앙 출선 유닛(7)으로부터 충전 어셈블리 사이의 연장 부분까지 모두 자유롭게 처짐을 허용할 수 있도록 전공 영역(100)이 필요하므로, 상기 실시형태는 종래기술의 타이로드 및 전동 연결로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각각 장착된 견인 체인의 전동축을 생략한다. 이 경우, 전방, 후방 구동 체인은 단일 동력 장치로 구동될 수 없으며, 단일측 구동은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데 불리하다. 이에, 본 발명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장착된 견인 체인(6)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전방 구동 장치(11) 및 후방 구동 장치(12)가 설치되므로, 견인 체인(6)을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전후 양단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동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기적 제어 방식으로 전방 구동 장치(11) 및 후방 구동 장치(12)의 동력 출력을 일치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앙 출선 유닛(7)은 다양한 적절한 구조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중앙 출선 유닛(7)은 충전 케이블(9)의 통과를 허용하는 중앙 출선구(71)를 포함하며, 충전 케이블(9)은 상기 중앙 출선구(71)를 통과하여 배전 캐비닛(13)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 충전 케이블(9)은 배전 캐비닛(13)으로부터 각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충전 어셈블리까지 직접 연결되어, 노출된 조인트 등에 의해 야기되는 전원 사용 안전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관련 규정에 적합한 전기안전방호등급 요구 사항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출선구(71)의 출선구는 플레어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출선구에서 충전 케이블(9)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형태에서, 중앙 출선 유닛은 단일 고출력 주선을 통해 배전 캐비닛에 연결된 집전 슬립 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집전 슬립 링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자동차 행잉 바스켓에 대응되는 각 충전 케이블을 인출한다. 또는, 중앙 출선 유닛은 복수 개의 케이블 릴로 설치되고, 각 케이블 릴로부터 각각 상이한 자동차 행잉 바스켓에 대응되는 각 충전 케이블을 인출한다.
도 6에 도시된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바람직한 일 구조 형태의 중앙 출선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 메인 프레임(1)에는 케이블링 랙(5)이 연결되고, 중앙 출선 유닛은 상기 케이블링 랙(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리 페룰(72)이다. 각 충전 케이블(9)은 전방 메인 프레임(1) 일측에서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어 진입되고, 케이블링 랙(5)을 따라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자유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자유단 위치에서 로터리 페룰(72)에 고정된다. 따라서, 로터리 페룰(72)은 충전 케이블(9)의 회전자유도를 제공하므로,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견인 체인(6)에 의해 상이한 주차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되면, 충전 케이블(9)은 로터리 페룰(72)을 따라 케이블링 랙(5)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작동 과정에서 충전 케이블(9)의 비틀림 피로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로터리 페룰(72)과 충전 케이블(9) 등의 연결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케이블(9)이 축방향을 따라 로터리 페룰(72)에 삽입되고, 상기 로터리 페룰(72)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전공 영역(100) 내까지 돌출된다. 상기 로터리 페룰(72)은 베어링(23)에 의해 케이블링 랙(5)에 회전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전방 메인 프레임(1)에 가까운 케이블링 랙(5)의 일단에는 고정 페룰이 설치될 수 있고, 충전 케이블(9)이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9)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고정 페룰에 대해 로터리 페룰(72)의 회전을 이용하여 충전 케이블(9)의 둘 사이에 위치한 연장 부분이 작은 각도 비틀림을 발생하게 할 수 있으므로, 충전 케이블(9)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이동 과정을 따라 발생하는 비틀림 이동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링 랙(5)의 외주면을 따라 포설되거나, 케이블링 랙(5)을 중공 구조로 형성하여, 충전 케이블(9)이 상기 케이블링 랙(5)을 통과하여 로터리 페룰(72)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9)이 자유롭게 처짐을 허용하는 전공 공간을 제공하지만, 차량 입출고 시 견인 체인(6) 및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항상 고정 방향을 따라 작동되도록 하면, 과도한 비틀림으로 인한 충전 케이블(9)의 손상을 초래하기 쉽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제어판에 의해 차량 입출고 과정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고, 작동 로직은 신호 연결 구동 장치의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차량 입출고 시 시계 방향 작동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 수행되는지는 사용자에게 주목받지 못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각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환상 작동 영역 내에서 제한된 바큇수의 왕복 운동만 허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한된 바큇수는 바람직하게는 한 바퀴 이하이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분리선(D)을 따라 8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두 그룹으로 나뉘고, 제1 그룹은 제1 자동차 행잉 바스켓(8a), 제2 자동차 행잉 바스켓(8b), 제3 자동차 행잉 바스켓(8c) 및 제4 자동차 행잉 바스켓(8d)을 포함하고, 제2 그룹은 제5 자동차 행잉 바스켓(8e), 제6 자동차 행잉 바스켓(8f), 제7 자동차 행잉 바스켓(8g) 및 제8 자동차 행잉 바스켓(8h)을 포함한다. 예시의 편의상, 초기 위치는 각각 1# 내지 8# 차량 위치에 위치한다.
이때, 5# 차량 위치의 자동차를 출고시키려면, 제5 자동차 행잉 바스켓(8e)을 반시계 방향(C)으로 최하부의 1# 차량 위치까지 회전시킴과 동시에, 초기 위치가 4# 차량 위치인 제4 자동차 행잉 바스켓(8d)을 8# 차량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자동차 행잉 바스켓(8d)의 자동차를 출고시키려면, 최단 경로로 계속 반시계 방향으로 1# 차량 위치까지 회전하면 안되고, 시계 방향(B)으로 되돌려, 1# 차량 위치까지 회전하여 차량을 출고시켜야 한다. 따라서, 충전 케이블(9)의 비틀림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고, 엉킴, 매듭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분리선(D)으로 8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상기 두 그룹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8) 차량 입출고의 회전 방향이 서로 상이하며, 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차량 입출고 로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은 한 바퀴 이상의 범위 내에서 왕복 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은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 자동차 팔레트(82), 행잉 바스켓 바(83) 및 행잉 바스켓 스태빌라이저 바(85)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을 통해 견인 체인(6)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이한 주차 위치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은 견인 체인(6)의 링크 양단의 핀 샤프트에 연결되도록 삼각형 프레임 또는T형 프레임일 수 있다.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은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을 통해 상기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에 선회 연결되어, 견인 체인(6)에 대해 선회할 수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각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충전 어셈블리는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에 장착된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건으로 설치되므로, 자동차 팔레트(82)의 주차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후 방향에서, 충전기는 전방 메인 프레임(1)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는 전방 메인 프레임(1)에 가까운 일단에 설치되면 충전 케이블(9)의 자유로운 처짐에 유리하고, 중앙 출선 유닛으로부터 충전기까지의 연장 부분은 행잉 바스켓 스태빌라이저 바(85)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충전 케이블(9)을 연장 길이가 보다 짧게 설치할 수 있고; 충전기는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일단에 설치되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으로의 진입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충전기 크기에 따른 주차 공간의 점유를 너무 많이 고려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충전 케이블(9)은 전공 영역(100)을 통해 연장되고, 자동차 행잉 바스켓(8)에 장착된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 케이블(9)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위치하는 환상 작동 영역까지 연장되는 연장 부분을 구비하도록 하고, 이러한 연장 부분은 적절한 위치(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좌우 중간 위치)에 충전기를 연결하도록 안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충전 어셈블리에 가까운 일측의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도시된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일측의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에 전공 영역(100)을 향해 연장되는 와이어 브래킷(17)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브래킷(17)에는 케이블 고정 클램프(18)가 설치되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위치하는 환상 작동 영역까지 연장되는 충전 케이블(9)의 연장 부분이 대응되는 자동차 행잉 바스켓(8)에 대해 고정되도록 한다.
예기치 못한 외부 작용(예를 들어 강풍)에 의해 충전 케이블(9)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메인 프레임(1)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상기 충전 케이블(9)의 중앙 출선 유닛으로부터 와이어 브래킷(17)까지의 연장 부분을 덮는 케이블 보호 커버(19)를 더 장착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케이블 보호 커버(19)의 내부 공간인즉 충전 케이블(9)이 자유롭게 처짐을 허용하는 전공 영역(100)이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후방 메인 프레임(2)에는 레일(20)이 더 연결되고, 상기 후방 메인 프레임(2)을 향하는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일단에는 상기 레일(20)과 결합된 롤러(84)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84)는 후방 메인 프레임(2)을 향하는 행잉 바스켓 스태빌라이저 바(85)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로터리 페룰(72)의 중앙 출선 유닛의 출선단이 전방 메인 프레임(1)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충전 케이블(9)은 상기 출선단으로부터 각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전단까지 대응되게 발산 연장되어 상응하는 충전 어셈블리(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레일에 배합하는 행잉 바스켓 스태빌라이저 바(85)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배선 배치가 보다 편리하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 사이에는 케이블 지지대(22)가 연결되고, 로터리 페룰(72)은 베어링을 통해 상기 케이블 지지대(22)의 중간 구간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충전 어셈블리(10)는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일단에 설치된다.
케이블 지지대(22)에서 로터리 페룰(72) 및 전방 메인 프레임(1)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는 또한 빈 칼라(24)가 자유롭게 슬리브되어 있다. 즉, 상기 빈 칼라(24)는 케이블 지지대(22)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케이블(9)에서 로터리 페룰(72)로부터 충전 어셈블리(10)까지 연장되는 부분은 케이블 지지대(22)와 이격되고, 상기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처지면, 충전 케이블(9)이 빈 칼라(24)를 따라 케이블 지지대(22)에서 자유롭게 회전하여,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빈 칼라(24)는 케이블 지지대(22)를 따라 축방향으로 분포된 다중 세그먼트 슬리브일 수 있으므로, 보다 좋은 이동 유연성을 구비하고, 충전 케이블(9)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전후 견인 체인 사이에 전동기구가 설치되어, 전방 구동 장치(11)에만 의존하여 동기화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지지대(22) 내부에 중앙 전동축(21)이 동축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전동 체인을 통해 전방 섬휠(15) 및 후방 섬휠(16)에 전동 연결된다.
도 9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많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점을 가지는 바, 예를 들어 중앙 출선 유닛(7)은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충전 케이블(9)의 과도한 굴곡을 방지하고; 충전 케이블(9)은 배전 캐비닛(13)으로부터 충전 어셈블리(10)까지 직접 연결됨으로써, 노출된 조인트 등에 의해 야기되는 전원 사용 안전 문제 등을 방지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주로 케이블 지지대(22) 및 중앙 출선 유닛(7)의 구조에 있다. 여기서, 케이블 지지대(22)는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연결되고 전방 메인 프레임(1)을 향해 연장되어, 캔틸레버 구조로 형성된다. 중앙 출선 유닛(7)은 상기 케이블 지지대(22)의 자유단에 설치되고 중앙 출선구(71)로 형성되어, 전방 메인 프레임(1)에 가까운 일측에 충전 케이블(9)의 자유로운 처짐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케이블 지지대(22)의 외측면에는 보강 리브(22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리브(22a)는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연결되어, 강도를 확보한다. 충전 케이블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케이블 지지대(22)는 중공 통체로 형성되므로, 충전 케이블(9)이 상기 케이블 지지대(22)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그 자유단에 플레어형 개구를 형성된 중앙 출선구(71)를 통과하여 자동차 행잉 바스켓(8)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상이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장착된 견인 체인은 다양한 방식으로 동기화 작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전방, 후방 메인 프레임 사이에 적절한 전동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전동축이 충전 케이블의 배치 및 이동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섬휠(15) 및 후방 섬휠(16)을 이용하여 전방, 후방 메인 프레임에 각각 장착된 견인 체인을 구동할 수 있다. 즉,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각각 전방 구동 장치(11) 및 후방 구동 장치(12)가 장착되고, 전기 제어 등과 같은 방식으로 둘의 동기화 구동을 유지한다.
이론적으로,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중앙 출선 유닛(7)과 최상단 및 최하단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충전 어셈블리(10)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면 충전 케이블(9)이 중앙 출선 유닛(7)으로부터 연장된 후 최단 연장 거리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치수 오차 등에 의해 야기되는 장력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충전 케이블(9)을 이론 길이보다 길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견인 체인으로 둘러싸인 영역 중심과 최상단 및 최하단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고, 중앙 출선 유닛(7)을 상기 높이 위치에 설치하면, 자유롭게 처지는 충전 케이블(9)이 최하단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과 서로 접촉되어, 마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출선 유닛(7)을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장착된 2개의 견인 체인으로 둘러싸인 영역 중심의 연결선보다 0-2.5m 높은 높이 위치에 설치하여, 충분한 길이를 남겨둔 충전 케이블이 자유롭게 처진 상태에서 최하단 자동차 행잉 바스켓의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상 범위 내에서, 각 구체적인 기술적 특징을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다양하고 간단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가능성이 있는 조합에 대해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간단한 변형 및 조합도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1: 전방 메인 프레임; 2: 후방 메인 프레임; 3: 상부 프레임; 4: 하부 프레임; 5: 케이블링 랙; 6: 견인 체인; 7: 중앙 출선 유닛; 71: 중앙 출선구; 72: 로터리 페룰; 8: 자동차 행잉 바스켓; 81: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 82: 자동차 팔레트; 83: 행잉 바스켓 바; 84: 롤러; 85: 행잉 바스켓 스태빌라이저 바; 9: 충전 케이블; 10: 충전 어셈블리; 11: 전방 구동 장치; 12: 후방 구동 장치; 13: 배전 캐비닛; 14: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 15: 전방 섬휠(thumb wheel); 16: 후방 섬휠; 17: 와이어 브래킷; 18: 케이블 고정 클램프; 19: 케이블 보호 커버; 20: 레일; 21: 중앙 전동축; 22: 케이블 지지대; 22a: 보강 리브; 23: 베어링; 24: 빈 칼라; 30: 자동차 100: 전공 영역.

Claims (16)

  1. 수직 순환 입체 차고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된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각각 견인 체인(6)이 장착되는 기계 프레임;
    상기 견인 체인(6)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견인 체인(6)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견인 체인(6)의 작동에 따라 환상 작동 영역의 상이한 주차 위치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자동차 행잉 바스켓(8); 및
    중앙 출선 유닛(7),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에 각각 설치된 충전 어셈블리(10) 및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으로부터 각 상기 충전 어셈블리(10)까지 대응되게 발산 연장되어 상기 충전 어셈블리(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충전 케이블(9)을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을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위치하는 상기 환상 작동 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각 상기 충전 케이블(9)이 자유롭게 처짐을 허용하는 전공 영역(100)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의 출선단은 상기 전공 영역(100)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은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각각 장착된 상기 견인 체인(6)의 작동 중심이 위치하는 수직 중심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은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각각 장착된 상기 견인 체인(6)의 작동 중심이 위치하는 중심선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수평 간격(E)은 400mm~8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과 상기 후방 메인 프레임(2) 사이에는 상부 프레임(3)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은 상기 환상 작동 영역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장착된 상기 견인 체인(6)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전방 구동 장치(11) 및 후방 구동 장치(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은 상기 충전 케이블(9)의 통과를 허용하는 중앙 출선구(71)를 포함하며, 각 상기 충전 케이블(9)은 상기 중앙 출선구(71)를 통과하여 배전 캐비닛(1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메인 프레임(2)에는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을 향해 연장되는 케이블 지지대(22)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지지대(22)는 중공 통체이며; 상기 중앙 출선구(71)는 상기 케이블 지지대(22)의 자유단에 형성된 플레어형 개구로 설치되고, 상기 충전 케이블(9)은 상기 후방 메인 프레임(2)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 지지대(22)의 일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중앙 출선구(71)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또는 상기 후방 메인 프레임(2)에는 케이블링 랙(5)이 연결되고,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은 상기 케이블링 랙(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리 페룰(72)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 케이블(9)은 상기 견인 체인(6)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로터리 페룰(72)의 중심축선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페룰(7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의 출선단은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을 향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9)은 상기 출선단으로부터 각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전단까지 대응되게 발산 연장되어 상응하는 상기 충전 어셈블리(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및 후방 메인 프레임(2) 사이에는 케이블 지지대(22)가 연결되고,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은 상기 케이블 지지대(22)의 중간 구간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어셈블리(10)는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대(22)에서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의 출선단에 위치한 일측에는 빈 칼라(24)가 자유롭게 슬리브되어 있고, 상기 빈 칼라(24)는 상기 충전 케이블(9)에서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으로부터 각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8)까지 연장되는 부분을 상기 케이블 지지대(22)와 이격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출선 유닛(7)은 상기 케이블 지지대(22)를 둘러싸서 선회할 수 있도록 베어링(23)을 통해 상기 케이블 지지대(22)에 장착된 로터리 페룰(72)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순환 입체 차고는 각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이 상기 환상 작동 영역 내에서 제한된 바큇수의 왕복 운동만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체인(6)에는 복수 개의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이 연결되고, 상기 자동차 행잉 바스켓(8)은 상기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에 선회 연결된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을 구비하며, 상기 충전 어셈블리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건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전방 메인 프레임(1) 또는 후방 메인 프레임(2)에 가까운 상기 행잉 바스켓 크로스 빔(81)의 일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어셈블리에 가까운 일측의 상기 행잉 바스켓 장착 브래킷(14)에는 상기 전공 영역(100)을 향해 연장되는 와이어 브래킷(17)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브래킷(17)에는 케이블 고정 클램프(1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순환 입체 차고.
KR1020237020322A 2020-11-17 2021-07-28 수직 순환 입체 차고 KR202300989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290398.9A CN112443185A (zh) 2020-11-17 2020-11-17 垂直循环立体车库
CN202022663248.XU CN214034969U (zh) 2020-11-17 2020-11-17 垂直循环立体车库
CN202022663248.X 2020-11-17
CN202011290398.9 2020-11-17
CN202120215061.5 2021-01-26
CN202120215061.5U CN214996448U (zh) 2021-01-26 2021-01-26 垂直循环立体车库
PCT/CN2021/108988 WO2022105290A1 (zh) 2020-11-17 2021-07-28 垂直循环立体车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906A true KR20230098906A (ko) 2023-07-04

Family

ID=8170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322A KR20230098906A (ko) 2020-11-17 2021-07-28 수직 순환 입체 차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26701A1 (ko)
KR (1) KR20230098906A (ko)
WO (1) WO20221052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1178A (zh) * 2016-04-15 2016-07-20 东莞市伟创东洋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兼汽车充电功能的垂直循环式立体机械车库及其充电方法
CN108952262A (zh) * 2017-05-25 2018-12-07 桂林大友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电动汽车充电设备的垂直循环式车库
CN107225993B (zh) * 2017-07-08 2023-08-15 山东九路泊车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垂直循环立体车库连续安全充电系统
CN208010013U (zh) * 2018-03-16 2018-10-26 韶关市磊信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车库充电桩上的循环360°旋转送电吊篮装置
CN208056744U (zh) * 2018-03-25 2018-11-06 杭州大中泊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充电车位的垂直循环机械停车库
WO2020009257A1 (ko) * 2018-07-06 2020-01-09 동양피씨(주) 수직순환식 주차장치의 충전시스템
CN109849705B (zh) * 2019-03-22 2024-04-19 汇鑫利民(厦门)节能环保有限公司 一种智能集成旋环停车库不间断移动充电的设备
CN112443185A (zh) * 2020-11-17 2021-03-05 四川金石东方新材料科技有限公司 垂直循环立体车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5290A1 (zh) 2022-05-27
US20240026701A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4075B2 (ja) 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CN209767009U (zh) 电缆自动敷设系统及其电缆敷设装置
CN112158686B (zh) 一种多联体储缆系统
CN111478230A (zh) 一种城市轨道交通用电缆敷设装备
CN116706777A (zh) 一种电缆敷设施工装置及施工方法
JP3849797B2 (ja) ゴンドラ装置における吊り台車移動機構
CN112443185A (zh) 垂直循环立体车库
US5368124A (en) Device suspending a working cage
KR20230098906A (ko) 수직 순환 입체 차고
KR20230130130A (ko) 수직 순환 입체 차고
CN209740577U (zh) 一种导绳器及具有该导绳器的短轴距电动绞盘
CN213651509U (zh) 一种多联体储缆系统
CN205471960U (zh) 一种导线放线装置
CN212113319U (zh) 一种卧式成缆机绞体
CN112780087A (zh) 垂直循环立体车库
CN214034969U (zh) 垂直循环立体车库
PT10155U (pt) Sistema elevador e ascensor sem casa de máquinas
CN111362074A (zh) 大直径电缆盘放线装置及其施工方法
CN216617051U (zh) 垂直循环立体停车库
CN106301194B (zh) 光伏阵列清扫设备的提升装置
CN114109100A (zh) 垂直循环立体停车库
CN110950164A (zh) 一种电力工程的绞磨机
CN221644216U (zh) 重锤式卷筒张力拉线装置
CN215854816U (zh) 一种绞车的绞盘结构
CN215733167U (zh) 一种空间受限处所电缆放线滑车工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