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613A -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613A
KR20230097613A KR1020210187309A KR20210187309A KR20230097613A KR 20230097613 A KR20230097613 A KR 20230097613A KR 1020210187309 A KR1020210187309 A KR 1020210187309A KR 20210187309 A KR20210187309 A KR 20210187309A KR 20230097613 A KR20230097613 A KR 2023009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ase plate
coupled
ov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977B1 (ko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18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9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1/345Renovation window frames covering the existing old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77Repairing or restoring window or doo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8Wing frames covered on the outside by a rigidly-mounted oute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는, 기존에 설치된 창틀을 제거하지 않고 기존 창틀 위에 덧시공되는 조립체에 있어서,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을 덮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부재 및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과 접촉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측면 부재사이를 지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및 측면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결합되는 조립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OVERLAY ASSEMBLY FOR WINDOW FRAMES}
본 발명은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 창호를 제거하지 않고 노후 창호 위에 덧시공할 수 있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창호(10)는 벽체(W)에 마련되는 창틀(12),창호(10)가 개폐되도록 창틀(1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짝(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창호(10)는 장기간 사용하여 손상되거나 건축물 또는 창호가 노후되는 경우에 새로운 창호로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후 창호에 대한 교체 공사를 위한 시공방법에는 기존 창틀을 완전히 철거하고 시공하는 방법과 기존 창틀 위에 덧시공을 위한 신규 창틀을 얹는 덧시공형 시공방법(도 2 참조)이 있다.
이때, 창호 교체 공사를 위해서 기존 창틀을 제거할 경우, 벽체가 훼손될뿐만 아니라 벽지, 마루, 몰팅 등의 인테리어가 함께 손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창호 교체 공사에서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기존 창틀을 철거하지 않고 기존 창틀의 상부에 신규 창틀을 덧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 창틀(12)을 제거하지 않고 기존 창틀(12)의 상부에 신규 창틀(13) 및 창틀 커버(15a,15b)를 덧시공하여 몰딩 방식으로 마감한다.
이러한 덧시공 방식의 경우, 덧시공 하는 창틀(13)의 사면이 모두 같은 자재를 적용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창틀(13)의 하부의 높이(H)가 비대하게 높아지게 되어 여러가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참고로, 창틀(13)의 하부 높이는 약 45mm 정도로, 비교적 높은 높이를 갖는다.
또한, 덧문 또는 분합문의 용도로 사용하는 창호의 경우, 덧시공 시 높아진 창틀(13)의 높이(H)로 인하여 출입이 불편하고 마감이 깔끔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덧시공 후에도 창호로써의 기본 성능을 가지기는 하지만, 기존 창틀 위에 덧시공한 후 추가로 몰딩을 덧댐으로 인해 창호가 전체적으로 투박하고 조악한 외관 품질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덧시공에 따른 기존 창틀의 마감 방법에 따라서 창호의 성능과 외관 품질의 편차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기존 창틀을 제거하지 않고 덧시공을 수행할 수 있고, 덧시공 후의 창호의 사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925873호(등록일:2018.11.30.)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창틀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창틀의 덧시공의 절차가 간단하고, 덧시공 후의 창호의 사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창틀을 제거하지 않고 기존 창틀 위에 덧시공되는 조립체에 있어서,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을 덮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부재 및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과 접촉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측면 부재사이를 지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및 측면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결합되는 조립구를 포함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조립구는, 측면 부재와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는, 측면 부재와 결합되는 수직 부재 및 수직 부재의 양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일면은 측면 부재와 접촉되고 다른 일면은 제2 부재가 마련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제1 부재는 수직 부재의 결합홀을 통해 측면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체결부에 대응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체결부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의 상측에 마련되며 삽입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 결합되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에는 측면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와 지지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삽입부와 지지부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위치될 수 있다.
지지부는, 측면 부재가 삽입되는 제1 돌기 및 제1 돌기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측면 부재의 레일이 삽입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 및 제2 돌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제2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부가 삽입되면 제1 돌기 및 제2 돌기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된 지지부에는 측면 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창짝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되고, 레일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상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인접한 두 개의 영역 사이에는 레일이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영역에는 베이스 플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 체결부가 마련되고, 각 영역의 체결부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측면 부재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창짝의 측면부가 결합되는 레일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의 상단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는 기존 창틀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가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며, 바닥면과 몰딩 처리되는 마감 커버를 더 포함하고, 마감 커버는 베이스의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측면 부재가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측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측부 커버는 측면 부재의 양 단부 중에서 적어도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는, 기존 창틀에 덧시공 조립체가 덧시공되더라도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이 비교적 낮은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덧시공 이후의 창호의 사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조립구에 의하여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 및 측부 창틀에 덧시공되는 덧시공 조립체가 조립 등의 단순한 공정을 가지므로 덧시공을 하더라도 별도의 공수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단순한 공정으로 인하여 덧시공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창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A 를 기준으로 한 종래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 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의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 및 측부 창틀에 창틀용 ?시공 조립체가 덧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조립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에 측부 커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100, 이하 '덧시공 조립체' 라 함)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시공 조립체(100)는 기존에 설치된 창틀(12)을 제거하지 않고 기존 창틀(12) 위에 덧시공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덧시공 조립체(100)는 기존 창틀(12)의 측부 창틀 및 하부 창틀에 덧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기존 창틀(12)의 상부 창틀은 종래 덧시공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덧시공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덧시공 조립체(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측면 부재(102) 및 조립구(1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기존 창틀(12)의 하부 창틀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일반적인 형태의 창짝(미도시)가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레일(rail; 111)이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두 개의 영역 사이에는 레일(111)이 삽입되고, 레일(111)과 함께 모헤어(도면부호 미표기) 및 레일 씰(미도시) 등이 함께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각각의 영역에는 체결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114)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로 마련된다. 이때, 체결부(114)는 내부가 빈 중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중공의 빈 형태를 가지는 체결부(114)는 동일한 크기로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체결부(114)의 일 단부에는 후술할 조립구(120)가 삽입됨으로써, 일면은 폐쇄된 면이고 다른 일면은 개방된 면을 가지게 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레일(11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최상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일(11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비교적 플랫(falt)한 형태, 평평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레일(111)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경사를 가지지 않고 전체 면적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기존 창틀(12)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h)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기존 창틀(12)의 하부 창틀의 상단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부 까지의 높이(h)는 기존 창틀(12)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대략적으로 13mm 정도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기존 창틀(12)의 두께보다는 현저히 작은 두께를 가지므로, 기존 창틀(12)의 하부 창틀의 상부에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배치되더라도 바닥면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최상단부까지의 높이는 그리 높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덧시공 이후의 창틀 자체의 사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마감 커버(112,113)가 장착될 수 있다.
마감 커버(112,113)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기존 창틀(12)의 하부 창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존 창틀(12)의 하부 창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마감 커버(112,113)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마감 커버(112,113)는 바닥면과 몰딩(140) 처리 된다.
참고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 단부에는 마감 커버(112,113)가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커버 장착부(115)가 마련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커버 장착부(115)는 고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마감 커버(112,113)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마감 커버(112,113) 사이의 공간이나 틈새가 없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마감 커버(112,113)가 결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마감 커버(112,113)가 사이에 공간이나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 그 틈새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측면 부재(102)는 기존 창틀(12)의 측부 창틀을 덮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측면 부재(102)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측면에 결합된다.
측면 부재(102)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창짝(미도시)의 측면부가 결합되는 레일(103)이 형성된다.
레일(103)은 측면 부재(105)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또한, 측면 부재(105)에는 측부 커버(130)가 장착된다.
측부 커버(130)는 측면 부재(102)가 기존 창틀(12)의 측부 창틀의 상부와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기존 창틀(1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측면 부재(102)의 양 단부에는 커버 장착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장착부(105)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부 커버(13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측부 커버(130)는 측면 부재(102)에 형성된 커버 장착부(115)를 통해 측면 부재(102)의 양 단부 중에서 적어도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측부 커버(130)는 필요에 따라 측면 부재(102)의 양단부 각각에 결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측면 부재(102)는 양 단부에 레일 커버(104)가 마련되어 기존 창틀(12)의 상부 창틀에 덧시공될 수 있다. 양 단부에 레일 커버(104)가 장착된 측면 부재(102)는 기존 창틀(12)의 상부 창틀이 마련된 천정면과 몰딩으로 마감처리된다.
상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측면 부재(102)는 조립구(120)에 의해 결합된다.
조립구(120)는 기존 창틀(12)의 측부 창틀과 접촉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측면 부재(102)와 각각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측면 부재(102) 사이를 지지한다.
다시 말해서, 조립구(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측면 부재(102) 사이가 대략 90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립구(120)는 요철(凸)의 형상에 유사한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조립구(120)는 제1 부재(121) 및 제2 부재(124)를 포함한다.
제1 부재(121)는 측면 부재(102)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2 부재(124)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부재(121)는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부재(121)는 측면 부재(102)의 단부와 결합되는 수직 부재(122)와, 수직 부재(122)의 양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일면은 측면 부재(102)와 접촉되고 다른 일면에는 제2 부재(124)가 마련되는 수평 부재(123)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부재(121)의 수직 부재(12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122a)이 형성된다. 결합홀(122a)은 수직 부재(122)에 관통 형성된다.
제1 부재(121)는 수직 부재(122)에 형성된 결합홀(122a)을 통해서 측면 부재(102)와 결합된다. 참고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bolt) 등의 결합 수단(122b)이 결합홀(122a)을 관통하여 측면 부재(102)의 일면에 결합된다.
제2 부재(124)는 제1 부재(121)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제2 부재(124)는 삽입부(125) 및 지지부(126)를 포함한다.
삽입부(125)는 제1 부재(121)의 수평 부재(123)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125)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체결부(114)에 삽입된다.
삽입부(125)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어 체결부(114)에 삽입 결합된다. 참고로, 삽입부(125)의 개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체결부(114)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체결부(114)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126)는 제1 부재(121)의 수평 부재(123)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삽입부(125)의 상측에 마련된다.
이때, 지지부(126)와 삽입부(125)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삽입부(125)와 지지부(126)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26)는 삽입부(125)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삽입 결합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부(126)에는 측면 부재(102)의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지지부(126)는 제1 돌기(127) 및 제2 돌기(128)를 포함한다.
제1 돌기(127)는 측면 부재(102)가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2 돌기(128)는 측면 부재(102)의 일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레일(103)이 삽입된다.
여기서 제1 돌기(127) 및 제2 돌기(128)는 지지부(126)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 높이를 갖는 격벽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돌기(127) 및 제2 돌기(128)에 의해 측면 부재(102)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지지부(126)는 측면 부재(102)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 부재(102)의 형태에 따라 지지부(126)의 형태도 달라지게 된다.
한편, 제1 돌기(127) 및 제2 돌기(128)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128a)이 형성된다.
제1 돌기(127) 및 제2 돌기(128)에 형성된 체결홀(128a)은 제2 부재(124)의 삽입부(125)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체결부(114)에 삽입될 때 제2 부재(124)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체결홀(128a)은 제1 돌기(127) 및 제2 돌기(128) 각각에 관통 형성되며, 볼트(bolt) 등과 같은 체결 수단(128b)에 의해 제2 부재(124)와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재(124)는 삽입부(125)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삽입되면, 체결 수단(128b)이 제1 돌기(127) 및 제2 돌기(128)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128a)을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위치된 지지부(126)에는 측면 부재(102)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100)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 단부에 마감 커버(112,113)를 장착한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레일(111)의 내부에 모헤어와 레일 씰이 장착될 수 있다.
그 다음, 조립구(120)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삽입한다.
이때, 조립구(120)의 제1 부재(12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체결부(114)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조립구(120)의 제2 부재(124)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체결 수단(128b)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조립구(120)를 고정시킨다.
이때, 체결 수단(128b)은 조립구(120)의 제1 돌기(127) 및 제2 돌기(128)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128a)을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된다.
그 다음, 측면 부재(102)를 조립구(120)에 삽입 위치시킨다.
이때, 측면 부재(102) 및 측면 부재(102)의 레일(103)은 조립구(120)의 제1 돌기(127) 및 제2 돌기(128)에 각각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그 다음, 결합 수단(122b)을 이용하여 조립구(120)를 측면 부재(102)의 일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결합 수단(122b)은 조립구(120)의 제1 부재(121)의 수직 부재(122)에 형성된 결합홀(122a)을 통해서 조립구(120)를 측면 부재(102)에 대해 결합되도록 한다.
그 다음,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100)를 기존 창틀(12)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마감 커버(112,113)와 기존 창틀(12)이 형성된 바닥면을 몰딩(140)으로 마감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100)는, 기존 창틀에 덧시공 조립체가 덧시공되더라도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이 비교적 낮은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덧시공 이후의 창호틀의 사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조립구에 의하여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 및 측부 창틀에 덧시공되는 덧시공 조립체가 조립 등의 단순한 공정을 가지므로 덧시공을 하더라도 별도의 공수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단순한 공정으로 인하여 덧시공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창호 12: 창틀
14: 창짝 W: 벽체
100: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102: 측면 부재 103: 레일
105: 커버 장착부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레일 112,113: 마감 커버
114: 체결부 115: 커버 장착부
120: 조립구 121: 제1 부재
122: 수직 부재 122a: 결합홀
122b: 결합수단 123: 수평 부재
124: 제2 부재 125: 삽입부
126: 지지부 127: 제1 돌기
128: 제2 돌기 128a: 체결홀
128b: 체결수단 130: 측부 커버
140: 몰딩

Claims (15)

  1. 기존에 설치된 창틀을 제거하지 않고 기존 창틀 위에 덧시공되는 조립체에 있어서,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을 덮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 부재; 및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과 접촉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측면 부재사이를 지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및 측면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결합되는 조립구;
    를 포함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조립구는,
    측면 부재와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부재는,
    측면 부재와 결합되는 수직 부재; 및
    수직 부재의 양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일면은 측면 부재와 접촉되고 다른 일면은 제2 부재가 마련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수직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제1 부재는 수직 부재의 결합홀을 통해 측면 부재와 결합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제2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체결부에 대응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체결부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
    삽입부의 상측에 마련되며 삽입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 결합되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에는 측면 부재가 삽입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삽입부와 지지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삽입부와 지지부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위치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측면 부재가 삽입되는 제1 돌기; 및
    제1 돌기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측면 부재의 레일이 삽입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제1 돌기 및 제2 돌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제2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부가 삽입되면 제1 돌기 및 제2 돌기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된 지지부에는 측면 부재가 위치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창짝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되고,
    레일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상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인접한 두 개의 영역 사이에는 레일이 삽입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영역에는 베이스 플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 체결부가 마련되고,
    각 영역의 체결부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마련된,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측면 부재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창짝의 측면부가 결합되는 레일이 돌출 형성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의 상단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는 기존 창틀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존 창틀의 하부 창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며, 바닥면과 몰딩 처리되는 마감 커버를 더 포함하고,
    마감 커버는 베이스의 플레이트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측면 부재가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존 창틀의 측부 창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측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측부 커버는 측면 부재의 양 단부 중에서 적어도 일 단부에 결합되는,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KR1020210187309A 2021-12-24 2021-12-24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KR102654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09A KR102654977B1 (ko) 2021-12-24 2021-12-24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09A KR102654977B1 (ko) 2021-12-24 2021-12-24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613A true KR20230097613A (ko) 2023-07-03
KR102654977B1 KR102654977B1 (ko) 2024-04-05

Family

ID=8715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309A KR102654977B1 (ko) 2021-12-24 2021-12-24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9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624A (ko) * 2005-01-05 2006-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 창틀용 조립구
KR101270572B1 (ko) * 2011-07-06 2013-06-0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개보수용 창호
KR20160006397A (ko) * 2014-07-09 2016-01-19 (주)엘지하우시스 개보수 창호용 실내 마감재
KR101925873B1 (ko) 2017-07-31 2018-12-06 주식회사 대송창호 리모델링용 창호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624A (ko) * 2005-01-05 2006-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 창틀용 조립구
KR101270572B1 (ko) * 2011-07-06 2013-06-0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개보수용 창호
KR20160006397A (ko) * 2014-07-09 2016-01-19 (주)엘지하우시스 개보수 창호용 실내 마감재
KR101925873B1 (ko) 2017-07-31 2018-12-06 주식회사 대송창호 리모델링용 창호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977B1 (ko)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97613A (ko) 창틀용 덧시공 조립체
US2288548A (en) Window construction
JP2987293B2 (ja) ビルディングの外壁
KR200173201Y1 (ko) 창호 구조
KR101366456B1 (ko)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KR102654728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180065305A (ko) 창호
KR19990001080U (ko) 창틀 마감재
KR102249341B1 (ko) 3연동 도어용 문짝 및 문틀의 결합구조
JP4104564B2 (ja) サッシ窓
KR200212786Y1 (ko) 창틀용 골재_
JP3054394B2 (ja) 引戸用サッシの取付構造
JP2005201036A (ja) 周囲枠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7451379B2 (ja) 門扉
KR20190100822A (ko) 3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
JP2001336366A (ja) サッシュ構造
JPH11287069A (ja) 片引戸枠
JPH0237996Y2 (ko)
JP3039920B2 (ja) シャッター付きサッシにおけるシャッターボックスの取付構造
JPH0311351Y2 (ko)
JPH10280784A (ja) 仕切りおよびその固定構造
KR20230059995A (ko) 기존 분합문틀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는 비철거 시공방식의 분합문틀용 하부틀을 이용하여 제조된 분합문틀
JP2023082757A (ja) 建具
KR20230034761A (ko) 수밀 성능이 강화된 창호
JPH0988454A (ja) シャッターボックス付き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