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080U - 창틀 마감재 - Google Patents

창틀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080U
KR19990001080U KR2019970014479U KR19970014479U KR19990001080U KR 19990001080 U KR19990001080 U KR 19990001080U KR 2019970014479 U KR2019970014479 U KR 2019970014479U KR 19970014479 U KR19970014479 U KR 19970014479U KR 19990001080 U KR19990001080 U KR 199900010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window
lower aggregate
window fram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2019970014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1080U/ko
Publication of KR19990001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080U/ko

Links

Landscapes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창호(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 분리대(30)를 사이로 안내홈(4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40) 내측 저면에는 상기 창호(20)의 바퀴(50)가 놓여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바퀴 지지대(6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40)의 양쪽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70)에 천이나 고무 등과 같은 틈새 방지 몰드(80)가 삽입 부착되어, 상기 창호(20)와 상기 안내홈(40) 사이의 틈새를 막아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로 된 창틀의 하부골재(90)에 있어서, 상기 하부골재(10)의 안내홈(40)에 ㄷ자형상의 마감패널(1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내홈(40)을 막을 수 있도록 되고, 상기 마감패널(10)은 상기 안내홈(40)의 측면에 형성된 홈(7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패널(10)의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11)가 형성되어, 창문에서 창호를 제거한 후 창틀의 하부골재를 바닥면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골재의 안내홈에 ㄷ자형상의 마감패널을 삽입하여 하부골재가 평평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안내홈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골재 내부의 형성되어 있는 각종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을 뿐아니라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창틀 마감재
본 고안은 창틀에 사용되는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에서 창문을 제거하여 창틀의 하부골재를 바닥면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창틀골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창틀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등의 창문은 벽에 설치된 창문틀에 유리창이 구비된 창호를 조립한 다음, 이 창호의 여닫음에 의해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자연광이 유리창을 통하여 실내로 들어오게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창문은 그 개폐방법에 따라 크게 미닫이식 창문과 여닫이식로 구분되는 바, 미닫이식 창문의 경우 창호를 옆으로 밀어 여닫도록 된 것으로 창호의 여닫음을 미끄럽게하여 적은 힘으로도 창호를 열 수 있음과 더불어 창호를 여닫을 때 창호와 창문틀이 서로 마찰하면서 발생되는 소음 등을 줄이기 위하여 창호밑에 작은 쇠바퀴인 창호바퀴(일명 호차라고도 함.)를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창호가 놓여지는 창틀을 살펴보게 되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의 하부골재(90)에는 창호(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 분리대(30)를 사이로 안내홈(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40) 내측 저면에는 상기 창호(20)의 바퀴(50)가 놓여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바퀴 지지대(6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창호의 바퀴는 상기 바퀴 지지대에 놓여지면서 상기 창호의 양 모서리는 상기 창틀 하부골재의 안내홈에 안착되어 상기 창호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창틀의 하부골재에는 창호가 놓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저면에 안내홈을 형성하여야 하는 바, 상기 안내홈내로 이물질이 침입하게 되고 이로인해 창문의 미관이 저해되게 된다.
특히, 현대의 건물을 살펴보면 전망과 채광면적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아가는 추세로서 창문 또한 대형화 되어 창틀의 하부골재가 건물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같이 창틀의 하부골재(90)가 건물의 바닥면(100)과 동일하게 사용되게 되는 바, 상기 하부골재(9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40)이 그대로 노출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이물질 침입이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건물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 창문은 창문으로서의 역할 뿐만아니라 사람 등의 출입이 가능한 문으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사람이 상기 창틀의 하부골재를 밟고 지나가게 되면 이물질 침입에 의해 미관이 나빠진다는 문제이외에도 상기 하부골재에 형성되어 있는 바퀴 지지대나 중앙 분리대 등이 파손되어 창문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창틀의 하부골재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에 탈착가능한 별도의 마감재를 삽입설치함으로써, 안내홈 내측으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틀 마감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호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 분리대를 사이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 내측 저면에는 상기 창호의 바퀴가 놓여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바퀴 지지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창틀의 하부골재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하부골재에 형성된 안내홈에 탈착가능한 ㄷ자형상의 마감패널이 설치되어 안내홈을 막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패널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상기 패널을 상기 하부골재의 안내홈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돌기가 하부골재의 안내홈의 양측면에 끼워져 패널이 안내홈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한 본 고안의 구조에 의하면 창문에서 창호를 제거한 후 창틀의 하부골재를 바닥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마감재인 마감패널을 하부골재의 안내홈에 삽입하여 평면이 되도록 함으로써, 안내홈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골재 내부의 형성되어 있는 각종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을 뿐아니라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창틀과 창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에 마감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마감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 마감재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에 마감재없이 사용되는 창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감패널 11 : 돌기
20 : 창호 30 : 중앙분리대
40 : 안내홈 50 : 바퀴
60 : 바퀴지지대 70 : 홈
80 : 몰드 90 : 하부골재
100 : 바닥면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에 마감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마감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 마감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창호(2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창틀의 하부골재(90)는 건물의 바닥면(100)에 묻혀서 시공되어 상기 하부골재(90)의 상부면이 건물의 바닥면(100)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틀의 하부골재(90)는 좌우창호(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 분리대(30)를 사이로 안내홈(4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40) 내측 저면에는 상기 창호(20)의 바퀴(50)가 놓여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바퀴 지지대(6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창호(20)가 상기 창틀의 안내홈(40)에 놓여져 설치되었을 때 창호(20)의 양 측면과 상기 안내홈(40)의 내측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 바, 상기 하부골재(90)의 안내홈(40)에는 상기 틈새를 막아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침입하거나 내외기가 상호 유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안내홈(40)의 양쪽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7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70)에 부드러운 천이나 고무 등과 같은 틈새 방지 몰드(80)가 상기 홈(70)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삽입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창호(20)가 하부골재(90)의 안내홈(40)에 놓여졌을 때 상기 창호(20)과 골재(90)의 안내홈(40) 사이의 틈새가 상기 몰드(80)에 의해 덮여져 기밀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의 창문에서 본 고안의 핵심은 상기 창문의 창틀로부터 창호(20)를 제거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창틀의 하부골재(90)에 형성되어 있는 각종 구조물을 적절히 보호하고, 상기 하부골재(90)의 안내홈(40)에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 창틀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골재(9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40)에 별도의 마감재를 삽입설치하여 안내홈(40)을 막고 하부골재(90)의 상부면이 건물의 바닥면(100)과같이 평평하도록 함에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의 하부골재(90)에 형성된 안내홈(40)에 탈착가능한 ㄷ자형상의 마감패널(10)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패널(10)은 안내홈(40)과 동일한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패널(10)의 상부와 양 측부에는 각각 중공부를 갖는 챔버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패널(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패널(10)의 양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11)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10)을 상기 하부골재(90)의 안내홈(40)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돌기(11)가 하부골재(90)의 안내홈(4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70)에 끼워져 패널(10)이 안내홈(4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창틀 하부골재(90)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분리대(30)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40)에 각각 마감패널(10)을 삽입 설치하게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틀의 하부골재(9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40)이 막히면서, 하부골재(90)가 건물의 바닥면(100)과 같이 동일한 높이의 평평한 바닥면(100)을 이루게 됨으로써, 미관 향상은 물론 창틀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마감재에 의하면, 창문에서 창호를 제거한 후 창틀의 하부골재를 바닥면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골재의 안내홈에 ㄷ자형상의 마감패널을 삽입하여 하부골재가 평평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안내홈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골재 내부의 형성되어 있는 각종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을 뿐아니라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창호(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 분리대(30)를 사이로 안내홈(40)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40) 내측 저면에는 상기 창호(20)의 바퀴(50)가 놓여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바퀴 지지대(6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40)의 양쪽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70)에 틈새 방지 몰드(80)가 삽입 부착되어, 상기 창호(20)와 상기 안내홈(40) 사이의 틈새를 막아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로 된 창틀의 하부골재(90)에 있어서,
    상기 하부골재(10)의 안내홈(40)에 ㄷ자형상의 마감패널(1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내홈(40)을 막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마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10)이 상기 안내홈(40)의 측면에 형성된 홈(7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패널(10)의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마감재.
KR2019970014479U 1997-06-16 1997-06-16 창틀 마감재 KR199900010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479U KR19990001080U (ko) 1997-06-16 1997-06-16 창틀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479U KR19990001080U (ko) 1997-06-16 1997-06-16 창틀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080U true KR19990001080U (ko) 1999-01-15

Family

ID=6968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479U KR19990001080U (ko) 1997-06-16 1997-06-16 창틀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1080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201B1 (ko) * 2002-05-21 200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운전석윈도우 구조
KR100466344B1 (ko) * 2003-11-28 2005-01-14 박용균 거실 확장장치
KR100468264B1 (ko) * 2002-07-11 2005-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확장이 용이하며 확장 시 창짝의 재활용이 가능한 창호의구조
KR101233285B1 (ko) * 2012-09-24 2013-02-22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장치
KR101241063B1 (ko) * 2011-08-11 2013-03-11 주식회사 씨쓰리 내구성 및 미감 향상을 위한 교체형 커버를 가지는 바닥문틀
KR20190070535A (ko) * 2017-12-13 2019-06-21 이대성 건물의 현장시공용 보호 마감판이 형성되는 도어 슬라이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201B1 (ko) * 2002-05-21 200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운전석윈도우 구조
KR100468264B1 (ko) * 2002-07-11 2005-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확장이 용이하며 확장 시 창짝의 재활용이 가능한 창호의구조
KR100466344B1 (ko) * 2003-11-28 2005-01-14 박용균 거실 확장장치
KR101241063B1 (ko) * 2011-08-11 2013-03-11 주식회사 씨쓰리 내구성 및 미감 향상을 위한 교체형 커버를 가지는 바닥문틀
KR101233285B1 (ko) * 2012-09-24 2013-02-22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장치
KR20190070535A (ko) * 2017-12-13 2019-06-21 이대성 건물의 현장시공용 보호 마감판이 형성되는 도어 슬라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0823663B1 (ko)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투명 마감 방식의 커튼월 구조
KR19990001080U (ko) 창틀 마감재
KR102197822B1 (ko) 비노출형 레일을 갖춘 창호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19990001081U (ko) 창틀 보호재
KR200183492Y1 (ko) 창문 및 창틀용 프레임
KR101426130B1 (ko)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KR102242071B1 (ko) 시스템 이중 창호
JPH026220A (ja) 自動車の窓用のグラス・ラン モールデイング
KR200397747Y1 (ko) 교실 출입문의 프레임 구조
IT201800003481A1 (it) Serramento
KR102354163B1 (ko)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KR200171313Y1 (ko) 창틀용 골조
KR102632014B1 (ko) 창호 거치형 에어컨 설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JPH1181806A (ja) パネル取付け部材
KR10266463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JP2534625Y2 (ja) 引違い窓における排水装置
KR20190012374A (ko) 레일 미노출 구조를 갖는 창호
ITMI951971A1 (it) Cassonetto perfezionato per avvolgibili
KR200258012Y1 (ko) 빗물 비산 방지용 중간 창짝용 중간막
KR200142800Y1 (ko) 베란다용 창틀구조
KR200141041Y1 (ko) 채광용 유리창을 구비한 여닫이문의 결합구조
KR200386974Y1 (ko) 중간막 일체형 샤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