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708A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708A
KR20230093708A KR1020210182556A KR20210182556A KR20230093708A KR 20230093708 A KR20230093708 A KR 20230093708A KR 1020210182556 A KR1020210182556 A KR 1020210182556A KR 20210182556 A KR20210182556 A KR 20210182556A KR 20230093708 A KR20230093708 A KR 20230093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memory
word line
program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주
석준영
송영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708A/ko
Priority to EP22181472.6A priority patent/EP4198987A1/en
Priority to US17/810,777 priority patent/US20230197158A1/en
Priority to CN202210985874.1A priority patent/CN116322054A/zh
Publication of KR2023009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 G11C11/56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using charge storage in a floating gate
    • G11C11/5628Programming or writing circuits; Data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 G11C11/56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using charge storage in a floating gate
    • G11C11/5642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 G11C11/567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using charge trapping in an insula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83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having several storage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4Bit-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38Response verification devices
    • G11C29/42Response verification devices using error correcting codes [ECC] or parity che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gital store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2211/5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1/56 and sub-groups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ese groups
    • G11C2211/564Miscellaneous aspects
    • G11C2211/5641Multilevel memory having cells with different number of storag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기판의 상면 위에 적층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채널 홀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드라인들을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로 구분하는 워드라인 컷 영역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외부의 스토리지 컨트롤러로부터의 커맨드 및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상기 워드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은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가까운 아우터 셀들 및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먼 인너 셀들로 구분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타겟 워드라인에 연결되는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 각각은 제1 수(제1 수는 1이상의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너 셀들 각각은 제2 수(제2 수는 제1 수보다 큰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너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독출 전압에 의하여 판별되도록 상기 독출 전압의 레벨을 조절한다.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크게 휘발성 메모리 장치(Volatile Memory Device)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Nonvolatile Memory Device)로 구분된다.
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가 소멸되는 메모리 장치이다. 반면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그 내용을 보존한다. 그러므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보존되어야 할 내용을 기억시키는 데 쓰인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중 하나인 플래시 메모리장치는 저소음, 저전력, 빠른 동작 속도 등의 장점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시스템은 스토리지 매체로서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사용한다.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들이 점점 미세화되고 적층됨에 따라 메모리 셀들이 열화되고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 보유 특성이 저하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토리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기판의 상면 위에 적층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채널 홀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드라인들을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로 구분하는 워드라인 컷 영역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외부의 스토리지 컨트롤러로부터의 커맨드 및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상기 워드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은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가까운 아우터 셀들 및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먼 인너 셀들로 구분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타겟 워드라인에 연결되는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 각각은 제1 수(제1 수는 1이상의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너 셀들 각각은 제2 수(제2 수는 제1 수보다 큰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너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독출 전압에 의하여 판별되도록 상기 독출 전압의 레벨을 조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리지 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기판의 상면 위에 적층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채널 홀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드라인들을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로 구분하는 워드라인 컷 영역들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가까운 제1 그룹의 셀들 및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먼 제2 그룹의 셀들로 구분한다.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타겟 워드라인에 연결되는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 각각은 제1 수(제1 수는 1이상의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너 셀들 각각은 제2 수(제2 수는 제1 수보다 큰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매니저를 포함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상기 제1 그룹의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그룹의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독출 전압에 의하여 판별되도록 상기 독출 전압의 레벨을 조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기판의 상면 위에 적층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채널 홀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드라인들을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로 구분하는 워드라인 컷 영역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외부의 스토리지 컨트롤러로부터의 커맨드 및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상기 워드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은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가까운 아우터 셀들 및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먼 인너 셀들로 구분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타겟 워드라인에 연결되는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 각각은 M(M은 3 이상의 자연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너 셀들 각각은 (M+1)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너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독출 전압에 의하여 판별되도록 상기 독출 전압의 레벨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 는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타겟 워드라인의 메모리 셀들을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에 기초하여 아우터 셀들 및 인너 셀들로 구분하고, 상기 아우터 셀들과 상기 인너 셀들에 서로 다른 수의 비트들을 프로그램함으로써, 아우터 셀들과 인너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 차이에 따른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리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호스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스토리지 장치에서 스토리지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토리지 장치에서 스토리지 컨트롤러와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메모리 블록의 하나의 낸드 스트링의 구조의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6의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도 6의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a의 메모리 블록에 포함되는 낸드 스트링들의 연결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3a는 도 5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 포함된 메모리 셀이 4 비트 쿼드러플 레벨 셀인 경우, 메모리 셀들의 문턱 전압에 따른 산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b 및 도 13c는 각각 도 13a의 그래프에서 메모리 셀의 문턱 전압이 변경된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을 위한 비트 맵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 워드라인의 페이지 구성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 워드라인의 페이지 구성을 나타낸다.
도 16은 싱글 레벨 셀들과 트리플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싱글 레벨 셀들과 트리플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3의 스토리지 컨트롤러에서 프로그램 매니저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5 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복수의 워드라인들에 제1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된 것을 나타낸다.
도 20은 도 19의 메모리 셀들 중 일부 메모리 셀들을 제외한 나머지 메모리 셀들에 제2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된 것을 나타낸다.
도 21은 도 13a의 제1 프로그램 상태 및 제2 프로그램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메모리 셀 어레이가 형성되는 셀 영역을 나타낸다.
도 23a 및 도 23b는 도 22의 메모리 블록들에 각각 포함된 낸드 스트링들의 단면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4는 도 22의 하나의 채널 홀의 수직 구조를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의 스토리지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의 스토리지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리지 장치의 프로그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들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리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토리지 시스템(50)은 호스트(100) 및 스토리지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100)는 스토리지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한다.
도 1의 스토리지 장치(2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200)는 스토리지 컨트롤러(300),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전력관리 집적회로(이하 'PMIC', 600)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240)는 신호 커넥터(241) 및 전원 커넥터(2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200)는 버퍼 메모리(BM, 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은 스토리지 장치(200)의 저장 매체로서 사용된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각각은 플래시 메모리 또는 수직형 낸드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복수의 채널들(CHK1~CHk) 각각을 통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각각과 연결된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신호 커넥터(241)를 통해 호스트(100)로부터 리퀘스트(REQ)를 수신하고, 호스트(100)와 데이터(DTA)를 송수신한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호스트(100)로부터 수신되는 리퀘스트(REQ)에 기초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에 데이터(DTA)를 기입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로부터 데이터(DTA)를 독출한다.
이 경우에,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버퍼 메모리(250)를 입출력 버퍼로서 사용하여 호스트(100)와 데이터(DTA)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버퍼 메모리(25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PMIC(600)는 전원 커넥터(243)를 통해 호스트(100)로부터 복수의 전원 전압들(또는 외부 전원전압들, VES1~VESt)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커넥터(243)는 복수의 전력 라인들(P1~Pt)을 포함하고, PMIC(600)는 호스트(100)로부터 전력 라인들(P1~Pt)을 통해 전원 전압들(VES1~VESt)을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t는 2 이상의 양의 정수를 나타낸다.
PMIC(600)는 전원 전압들(VES1~VESt)에 기초하여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 전압(VOP1),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동작 전압(VOP2), 및 버퍼 메모리(250)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동작 전압(VOP3)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MIC(600)는 호스트(100)로부터 전원 전압들(VES1~VESt)을 모두 수신하는 경우, 전원 전압들(VES1~VESt)을 모두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 전압(VOP1), 적어도 하나의 제2 동작 전압(VOP2),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동작 전압(VOP3)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PMIC(500)는 호스트(100)로부터 전원 전압들(VES1~VESt) 중의 일부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일부의 전원 전압들을 모두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동작 전압(VOP1), 적어도 하나의 제2 동작 전압(VOP2),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동작 전압(VOP3)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호스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스트(10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 110), ROM(120), 메인 메모리(130), 스토리지 인터페이스(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및 버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60)는 호스트(100)의 CPU(110), 롬(120), 메인 메모리(130), 스토리지 인터페이스(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로를 의미한다. 롬(120)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UFS(Unix File System) 등과 같은 스토리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메인 메모리(130)에는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와 호스트 기기, 컴퓨터 프로그램 등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물리적 또는 가상적 매개체로서 물리적인 하드웨어와 논리적인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호스트(100)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0)는 호스트(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CPU(110)는 ROM(1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툴(tool)을 이용하여 스토리지 장치(20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리퀘스트(또는 커맨드) 또는 스토리지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커맨드와 전원 전압들(VES1~VESt)을 생성시켜 스토리지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스토리지 장치(200)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스토리지 장치에서 스토리지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버스(30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프로세서(310), 에러 정정 코드(error correction code, 이하 'ECC') 엔진(320), 온-칩 메모리(330), 랜더마이저(340), 호스트 인터페이스(350), 롬(360), 버퍼 컨트롤러(380)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3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10)는 온-칩 메모리(330), ECC 엔진(320), 랜더마이저(340), 버퍼 컨트롤러(380)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37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들(예를 들어, 동종 멀티-코어 또는 이종 멀티-코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ISP(Image Sign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VPU(Vision Processing Unit), 및 NPU(Neur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온-칩 메모리(330)에 로드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플래시 변환 계층(Flash Translation layer, 이하 'FTL')), 펌웨어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온-칩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10)에 의해 실행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온-칩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10)에 인접한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온-칩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10)에 의해 처리될 명령, 어드레스,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프로세서(310)의 처리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칩 메모리(330)는 래치(Latch), 레지스터(Register),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TRAM(Thyristor Random Access Memory), TCM(Tightly Coupled Memory) 등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또는 워킹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온-칩 메모리(330)에 로드된 FTL(335)을 실행할 수 있다.
FTL(335)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중 하나에 저장된 펌웨어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온-칩 메모리(330)에 로드될 수 있다. FTL(335)은 논리 어드레스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의 물리 어드레스 간의 맵핑을 관리하고 갱신하는 어드레스 맵핑 테이블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FTL(335)은 상술한 어드레스 맵핑 이외에도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 웨어 레벨링(Wear Leveling)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FTL(335)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이 갖는 제약(예를 들어 덮어쓰기(Overwrite 또는 In-place Write) 불가, 메모리 셀의 수명, 한정된 P/E(Program-Erase) 사이클, 소거 속도가 기입 속도보다 느림, 등)을 해소하기 위해 프로세서(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FTL(335)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각각의 페이지들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들을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외부 셀들 및 내부 셀들로 구분하는 로케이션 인덱스(LIDX)를 생성할 수 있다. 로케이션 인덱스(LIDX)는 각각의 페이지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들을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아우터 셀들 및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인너 셀들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셀들은 제1 그룹의 셀들로 호칭될 수 있고, 상기 인너 셀들은 제2 그룹의 셀들로 호칭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온-칩 메모리(330)에 로드된 프로그램 매니저(500)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매니저(5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각각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타겟 워드라인에 연결되는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에서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 각각의 로케이션 인덱스(LIDX)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을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가까운 아우터 셀들 및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먼 인너 셀들로 구분하고, 상기 아우터 셀들 각각은 제1 수(제1 수는 1이상의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너 셀들 각각은 제2 수(제2 수는 제1 수보다 큰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에 포함된 메모리 셀들은 프로그램 경과 시간, 온도, 프로그램 교란, 독출 교란 등과 같은 요인들로 인하여 문턱 전압 분포가 변화하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즉, 상술된 요인들로 인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에 저장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이러한 오류들을 정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에러 정정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ECC 엔진(320)을 포함할 수 있다. ECC 엔진(320)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에 저장된 데이터에 발생한 오류들을 정정한다. ECC 엔진(320)은 ECC 인코더(321) 및 ECC 디코더(323)를 포함할 수 있다. ECC 인코더(321)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에 저장될 데이터에 대하여 ECC 인코딩을 수행하고, ECC 디코더(323)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하여 ECC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ROM(360)은 스토리지 컨트롤러(300)가 동작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를 펌웨어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랜더마이저(34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중 하나에 저장될 데이터를 랜더마이징(randomiz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더마이저(34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중 하나에 저장될 데이터를 워드라인 단위로 랜더마이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더마이저(340)는 페이지 데이터를 랜더마이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이상적인(ideal) 랜더마이저(340)의 구성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 랜더마이저(340)는 하나의 워드라인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 중 소거 상태 및 제 1 내지 제15 프로그램 상태들 각각을 갖는 메모리 셀들의 개수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값에 가깝도록 데이터를 랜더마이징할수 있다. 즉, 실제 랜더마이징된 데이터(randomized data)가 저장된 메모리 셀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비슷한 개수의 프로그램 상태들을 가질 수 있다.
버퍼 컨트롤러(380)는 버퍼 메모리(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350)를 통해 호스트(1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인터페이스(350)는 USB(Universal Serial Bus), MMC(multimedia card),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on), PCI-E(PCI-express),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erial-ATA, Parallel-ATA, SCSI(small computer small interface), ESDI(enhanced small disk interface),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NVMe(Nonvolatile Memory-express), UFS(Universal Flash Storage)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370)를 통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과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스토리지 장치에서 스토리지 컨트롤러와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버퍼 메모리(250)를 함께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제1 동작 전압(VOP1)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제1 동작 전압(VOP1)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따라 소거, 기입, 독출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입출력 라인을 통해 커맨드(CMD) 및 어드레스(ADDR)를 입력받고 버퍼 메모리(250)를 통하여 데이터(DTA)를 입력받는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제어 라인을 통하여 제어 신호(CTRL)를 제공받을 수 있고 파워 라인을 통해 파워(PWR1)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제어 라인을 통하여 상태 신호(RnB)를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버퍼 메모리(250)를 이용하여 데이터(DTA)를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DTA)는 제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PD1~PDM) 및 (M+1) 페이지 데이터(PD(M+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프로그램 매니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매니저(5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의 타겟 메모리 셀들에 프로그램될 데이터(DTA)에 수행될 프로그램 동작을 제1 프로그램 동작 및 제2 프로그램 동작 중 하나로 할당하고, 데이터(DTA)를 제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 및 제(M+1) 프로그램 데이터로 할당할 수 있다.
버퍼 메모리(250)는 외부의 호스트로부터 제공된 제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PD1~PDM)를 임시로 저장하고, 제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PD1~PDM)를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에 제공하고, 제1 프로그램 동작의 완료 후에 릴리스되고, 외부의 호스트로부터 제공된 제(M+1) 페이지 데이터(PD(M+1))를 저장하고, 제(M+1) 페이지 데이터(PD(M+1))를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메모리 셀 어레이(420), 어드레스 디코더(450), 페이지 버퍼 회로(430), 데이터 입출력 회로(440), 제어 회로(460) 및 전압 생성기(47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420)는 스트링 선택 라인(SSL), 복수의 워드라인들(WLs)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을 통해 어드레스 디코더(4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 어레이(420)는 복수의 비트라인들(BLs)을 통해 페이지 버퍼 회로(430)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420)는 복수의 워드라인들(WLs) 및 복수의 비트라인들(BLs)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셀 어레이(420)는 기판 상에 삼차원 구조(또는 수직 구조)로 형성되는 삼차원(three dimensional) 메모리 셀 어레이일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 셀 어레이(420)는 서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낸드 스트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42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을 포함한다.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은 제1 수평 방향(HD1), 제2 수평 방향(HD2) 및 수직 방향(VD)을 따라 신장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블록들(BLK1~BLKz)은 도 5에 도시된 어드레스 디코더(450)에 의해 선택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 디코더(450)는 메모리 블록들(BLK1~BLKz) 중 블록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BLK)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메모리 블록(BLKia)은 기판(SUB) 상에 삼차원 구조로 형성되는 삼차원 메모리 메모리 블록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메모리 블록(BLKi)에 포함되는 복수의 메모리 낸드 스트링들은 상기 기판(SUB)과 수직한 방향(VD)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메모리 블록(BLKia)은 비트 라인들(BL1, BL2, BL3)과 공통 소스 라인(CSL)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낸드 스트링들(NS11~NS3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 낸드 스트링들(NS11~NS33) 각각은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복수의 메모리 셀들(MC1, MC2, ..., MC8) 및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는 상응하는 스트링 선택 라인(SSL1, SSL2, SSL3)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 셀들(MC1, MC2, ..., MC8)은 각각 상응하는 워드 라인(WL1, WL2, ..., WL8)에 연결될 수 있다.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는 상응하는 접지 선택 라인(GSL1, GSL2, GSL3)에 연결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는 상응하는 비트 라인(BL1, BL2, BL3)에 연결되고,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는 공통 소스 라인(CSL)에 연결될 수 있다.
동일 높이의 워드 라인(예를 들면, WL1)은 공통으로 연결되고, 접지 선택 라인(GSL1, GSL2, GSL3) 및 스트링 선택 라인(SSL1, SSL2, SSL3)은 각각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메모리 블록의 하나의 낸드 스트링의 구조의 예를 보여준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낸드 스트링(NS11)에는 기판(SUB) 위에 기판과 수직인 방향으로 신장되어 기판(SUB)과 접촉하는 필라(PL)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접지 선택 라인(GSL1), 워드 라인들(WL1~WL8), 그리고 스트링 선택 라인(SSL1)은 각각 기판(SUB)과 평행한 도전 물질들, 예를 들어 금속 물질들로 형성될 수 있다. 필라(PL)는 접지 선택 라인(GSL1), 워드 라인들(WL1~WL8), 그리고 스트링 선택 라인(SSL1)을 형성하는 도전 물질들을 관통하여 기판(SUB)과 접촉할 수 있다.
도 8에서, 절단 선(V-V')에 따른 단면도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워드 라인(WL1)에 대응하는 제1 메모리 셀(MC1)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필라(PL)는 원통형의 바디(BD)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BD)의 내부에 에어갭(AG)이 제공될 수 있다.
바디(BD)는 P-타입 실리콘을 포함하며, 채널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필라(PL)는 바디(BD)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터널 절연막(TI) 및 터널 절연막(TI)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전하 포획 막(C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워드라인(WL1) 및 필라(PL)의 사이에 블로킹 절연막(BI)이 제공될 수 있다. 바디(BD), 터널 절연막(TI), 전하 포획 막(CT), 블로킹 절연막(BI), 그리고 제1 워드라인(WL1)은 기판(SUB) 또는 기판(SUB)의 상부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전하 포획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GST) 및 다른 메모리 셀들은 제1 메모리 셀(MC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6의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메모리 블록(BLKib)은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은 제1 수평 방향(행 방향) 및 제2 수평 방향(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중 동일한 열에 위치한 셀 스트링들은 동일한 비트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스트링들(CS11, CS21)은 제1 비트라인(BL1)과 연결될 수 있고, 셀 스트링들(CS21, CS22)은 제2 비트라인(BL2)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은 복수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셀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전하 트랩형 플래시(CTF; charge trap flash) 메모리 셀일 수 있다. 복수의 셀 트랜지스터들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수직한 방향인 수직 방향(높이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셀 트랜지스터들은 대응하는 비트라인(예를 들어, BL1 또는 BL2) 및 공통 소스 라인(CSL)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셀 트랜지스터들은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b, SSTa), 더미 메모리 셀들(DMC1, DMC2), 메모리 셀들(MC1~MC4), 및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a, GSTb)을 포함할 수 있다. 직렬 연결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b, SSTa)은 직렬 연결된 메모리 셀들(MC1~MC4) 및 대응하는 비트 라인(예를 들어, BL1 또는 BL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직렬 연결된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a, GSTb)은 직렬 연결된 메모리 셀들(MC1~MC4) 및 공통 소스 라인(CSL)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직렬 연결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b, SSTa) 및 직렬 연결된 메모리 셀들(MC1~MC4) 사이에 제2 더미 메모리 셀(DMC2)이 제공될 수 있고, 직렬 연결된 메모리 셀들(MC1~MC4) 및 직렬 연결된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b, GSTa) 사이에 제1 더미 메모리 셀(DMC1)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메모리 셀들(MC1~MC4) 중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메모리 셀들은 서로 동일한 워드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제1 메모리 셀들(MC1)은 기판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워드라인(WL1)을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제2 메모리 셀들(MC2)은 기판(미도시)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워드라인(WL2)을 공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제3 및 제4 메모리 셀들(MC3, MC4) 각각은 기판(미도시)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각각 제3 및 제4 워드라인들(WL3, WL4)을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더미 메모리 셀들(DMC1, DMC2) 중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더미 메모리 셀들은 서로 동일한 더미 워드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제1 더미 메모리 셀들(DMC1)은 제1 더미 워드라인(DWL1)을 공유할 수 있고,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제2 더미 메모리 셀들(DMC2)은 제2 더미 워드라인(DWL2)을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1b, SST1a) 중 동일한 행 및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은 동일한 스트링 선택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스트링들(CS11, CS12)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b)은 스트링 선택 라인(SST1b)과 연결될 수 있고, 셀 스트링들(CS11, CS12)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a)은 스트링 선택 라인(SST1a)과 연결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21, CS22)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b)은 스트링 선택 라인(SST2b)과 연결될 수 있고, 셀 스트링들(CS21, CS22)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a)은 스트링 선택 라인(SST2a)과 연결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1b, SST1a) 중 동일한 행에 위치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은 동일한 스트링 선택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1b, GST1a) 중 동일한 행 및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은 동일한 접지 선택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스트링들(CS11, CS12)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b)은 접지 선택 라인(GST1b)과 연결될 수 있고, 셀 스트링들(CS11, CS12)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a)은 접지 선택 라인(GST1a)과 연결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21, CS22)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b)은 접지 선택 라인(GST2b)과 연결될 수 있고, 셀 스트링들(CS21, CS22)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a)은 접지 선택 라인(GST2a)과 연결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1b, GST1a)은 서로 동일한 접지 선택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1b, GST1a) 중 동일한 높이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은 동일한 접지 선택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셀 스트링들(CS11, CS12, CS21, CS22) 각각의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GST1b, GST1a) 중 동일한 행에 위치한 접지 선택 트랜지스터들은 동일한 접지 선택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회로(460)는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로부터 커맨드(CMD) 및 어드레스 신호(ADDR)를 수신하고, 커맨드(CMD) 및 어드레스 신호(ADDR)에 기초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의 소거 루프, 프로그램 루프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루프는 프로그램 동작과 프로그램 검증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 소거 루프는 소거 동작과 소거 검증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460)는 커맨드 신호(CMD)에 기초하여 전압 생성기(4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CTLs)을 생성하고, 어드레스 신호(ADDR)에 기초하여 로우 어드레스(R_ADDR) 및 컬럼 어드레스(C_ADDR)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460)는 로우 어드레스(R_ADDR)를 어드레스 디코더(450)에 제공하고, 컬럼 어드레스(C_ADDR)를 데이터 입출력 회로(440)에 제공할 수 있다.
어드레스 디코더(450)는 스트링 선택 라인(SSL), 복수의 워드 라인들(WLs) 및 접지 선택 라인(GSL)을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42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그램 동작 또는 독출 동작 시, 어드레스 디코더(450)는 제어 회로(460)로부터 제공되는 로우 어드레스(R_ADDR)에 기초하여 복수의 워드 라인들(WLs) 중의 하나를 선택 워드라인인 제1 워드라인 결정하고, 복수의 워드 라인들(WLs) 중에서 제1 워드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워드 라인들을 비선택 워드라인들로 결정할 수 있다.
전압 생성기(470)는 제어 회로(46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CTLs)에 기초하여 파워(PWR1)를 이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의 동작에 필요한 워드 라인 전압들(VWLs)을 생성할 수 있다. 전압 생성기(470)로부터 생성되는 워드 라인 전압들(VWLs)은 어드레스 디코더(450)를 통해 복수의 워드 라인들(WLs)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거 동작 시, 전압 생성기(470)는 메모리 블록의 웰에 소거 전압을 인가하고 메모리 블록의 모든 워드라인들에 접지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소거 검증 동작 시, 전압 생성기(470)는 하나의 메모리 블록의 모든 워드라인들에 소거 검증 전압을 인가하거나 워드라인 단위로 소거 검증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동작 시, 전압 생성기(470)는 제1 워드라인에 프로그램 전압을 인가하고, 비선택 워드라인들에는 프로그램 패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검증 동작 시, 전압 생성기(470)는 제1 워드라인에 프로그램 검증 전압을 인가하고, 비선택 워드라인들에는 검증 패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독출 동작 시, 전압 생성기(470)는 제1 워드라인에 독출 전압을 인가하고, 비선택 워드라인들에는 독출 패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페이지 버퍼 회로(430)는 복수의 비트 라인들(BLs)을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420)와 연결될 수 있다. 페이지 버퍼 회로(430)는 복수의 페이지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페이지 버퍼에 하나의 비트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페이지 버퍼에 두 개 이상의 비트 라인들이 연결될 수 있다.
페이지 버퍼 회로(430)는 프로그램 동작 시 선택된 페이지에 프로그램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독출 동작 시 선택된 페이지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입출력 회로(440)는 데이터 라인들(DLs)을 통해 페이지 버퍼 회로(43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그램 동작 시, 데이터 입출력 회로(440)는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로부터 사용자 데이터(DTA)를 수신하고, 제어 회로(460)로부터 제공되는 컬럼 어드레스(C_ADDR)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DTA)를 페이지 버퍼 회로(430)에 제공할 수 있다.
독출 동작 시, 데이터 입출력 회로(440)는 제어 회로(500)로부터 제공되는 컬럼 어드레스(C_ADDR)에 기초하여 페이지 버퍼 회로(430)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DTA)를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에 제공할 수 있다.
페이지 버퍼 회로(430)와 데이터 입출력 회로(440)는 제어 회로(46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어 회로(460)는 메모리 셀 어레이(420)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 소거 동작 및 독출 동작의 완료 및/또는 진행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RnB)를 생성하는 상태 신호 생성기(46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상태 신호(RnB)에 기초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각각의 유휴 상태 및 비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모리 블록(BLKi) 워드라인 컷 영역들(WLC)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접지 스트링 라인(GSL), 복수의 워드라인들(WLs),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이 수직 방향(VD)으로 기판(SUB) 위에 적층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워드라인 컷 영역들(WLC)의 기판(SUB) 상부에는 도핑 영역들(DOP)이 형성될 수 있고, 도핑 영역들(DOP)은 공통 소스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소스 라인(CSL: common source line) 또는 또는 공통 소스 노드(CSN: common source node)로 이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은 제1 수평 방향(HD1)으로 연장되는 스트링 선택 라인 컷 영역(SSLC)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 채널들 또는 채널 홀들이 적어도 하나의 접지 스트링 라인 기판(GSL), 복수의 워드라인들(WLs),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을 관통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접지 스트링 라인(GSL), 복수의 워드라인들(WLs),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은 기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 채널들의 상부면에는 제2 수평 방향(HD2)으로 연장되는 비트라인들(BL)이 연결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도 6의 메모리 블록들 중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a의 메모리 블록에 포함되는 낸드 스트링들의 연결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a에서 점을 찍지 않은 원(white circle) 원은 인너(inner) 셀 또는 인너 채널 홀을 나타내고 점을 찍은 원(dotted circle)은 아우터(outer) 셀 또는 아우터 채널 홀을 나타낸다. 워드라인 컷 영역(WLC) 내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도핑 영역들(DOP)에 상응하는 공통 소스 라인들이 배치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메모리 블록(BLKi)에는 채널 홀들이 지그-재그(Zig-Zag)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그-재그 구조는 메모리 블록(BLKi)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메모리 블록(BLKi)에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워드라인 컷 영역들(WLC) 사이에 제2 수평 방향(HD2)으로 아우터 채널 홀들 및 인너 채널 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수평 방향(HD2)으로 배치된 아우터 채널 홀들 및 인너 채널 홀 중 하나는 짝수 번째 비트라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홀수 번째 비트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a에는 편의상 하나의 비트라인 쌍(BLi, BLo)이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비트라인들은 생략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셀들은 워드라인 컷 영역(WLC)으로부터의 거리(Do)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아우터 채널 홀들에 형성되고 인너 셀들은 워드라인 컷 영역(WLC)으로부터의 거리(Di)가 상대적으로 먼 인너 채널 홀들에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내부 낸드 스트링(NSi)은 인너 채널 홀에 형성되고 아우터 낸드 스트링은 아우터 채널 홀에 형성된다. 인너 낸드 스트링(NSi)의 일단은 인너 비트라인(BLi)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너 저항(Ri)을 통하여 공통 소스 라인(CSL)에 연결된다. 아우터 낸드 스트링(NSo)의 일단은 아우터 비트라인(BLo)에 연결되고 타단은 아우터 저항(Ro)을 통하여 공통 소스 라인(CSL)에 연결된다.
도 11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인너 낸드 스트링(NSi)(즉 인너 채널 홀)과 공통 소스 라인(즉 워드라인 컷 영역) 사이의 거리(Di)가 아우터 낸드 스트링(NSo)(즉 아우터 채널 홀)과 공통 소스 라인 사이의 거리(Do)보다 크기 때문에 인너 저항(Ri)은 아우터 저항(Ro)보다 큰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인너 낸드 스트링(NSi)과 아우터 낸드 스트링(NSo)이 서로 다른 값의 저항들(Ri, Ro)을 통하여 공통 소스 라인(CSL)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즉 인너 낸드 스트링(NSi)과 아우터 낸드 스트링(NSo)이 비대칭의 연결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인너 낸드 스트링(NSi)의 인너 셀들과 아우터 낸드 스트링(NSo)의 아우터 셀들은 동작에 있어서 전기적인 특성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차이는 에러 비트 수준의 차이로 나타날 수 있다. 즉, 워드라인 컷 영역에 더 가까운 아우터 낸드 스트링(NSo)의 아우터 셀들에서 에러 발생 확률이 더 높을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도 3의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셀들을 워드라인 컷 영역(WLC)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워드라인 컷 영역(WLC)으로부터 제1 거리(D11) 내에 위치하는 아우터 셀들, 제1 거리(D11)보다 크고 제2 거리(D22) 내의 영역에 위치하는 인너 셀들 및 제2 거리(D12)보다 큰 영역, 즉 인너 셀들 사이의 스트링 선택 라인 컷 영역(SSLC)에 인접하는 미드 셀들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미드 셀들은 제3 그룹의 셀들로 호칭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도 3의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는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셀들을 워드라인 컷 영역(WLC)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워드라인 컷 영역(WLC)으로부터 제1 거리(D21) 내에 위치하는 아우터 셀들, 제1 거리(D21)보다 큰 제2 거리(D22) 이상의 영역에 위치하는 인너 셀들로 구분하고, 상기 아우터 셀들 및 인너 셀들 각각을 워드라인 컷 영역(WLC)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3a는 도 5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 포함된 메모리 셀이 4 비트 쿼드러플 레벨 셀(QLC)인 경우, 메모리 셀들의 문턱 전압에 따른 산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메모리 셀이 4 비트로 프로그램되는 4 비트 멀티 레벨 셀인 경우에, 메모리 셀은 소거 상태(E) 또는 제1 내지 제15 프로그램 상태(P1~P15)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싱글 레벨 셀에 비하여 멀티 레벨 셀의 경우, 문턱 전압(Vth) 분포들 사이의 간격이 좁으므로, 멀티 레벨 셀에서는 문턱 전압(Vth)의 작은 변화에 의해 중대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제1 독출 전압(Vr1)은 소거 상태(E)를 가지는 메모리 셀의 산포와 제1 프로그램 상태(P1)를 가지는 메모리 셀의 산포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가진다. 제2 내지 제15 독출 전압(Vr2~Vr15)은 각각의 인접하는 해당 프로그램 상태(P1~P15)의 산포를 갖는 메모리 셀들 사이의 전압 레벨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독출 전압(Vr1)을 인가하여 메모리 셀이 턴온되면 데이터가 '1'이 저장되고, 메모리 셀이 턴오프되면 데이터가 '0'이 저장된 것으로 구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독출 전압(Vr1)을 인가하여 메모리 셀이 턴온되면 데이터가 '0'이 저장되고, 메모리 셀이 턴오프되면 데이터가 '1'이 저장된 것으로 구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의 논리 레벨의 할당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3b 및 도 13c는 각각 도 13a의 그래프에서 메모리 셀의 문턱 전압이 변경된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b는 미드 셀들의 문턱 전압이 변경된 것을 나타내고, 도 13c는 아우터 셀들의 문턱 전압이 변경된 것을 나타낸다.
도 13b 및 도 13c를 참조하면, 소거 상태(E), 제1 내지 제15 프로그램 상태(P1 내지 P15)로 각각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들)은 독출 환경에 따라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도 13b 및 도 13c에서, 빗금 친 부분에 속하는 메모리 셀들은 독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메모리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도 13c의 경우가 도 13b의 경우보다 더 많은 독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독출 전압(Vr1)을 이용하여 메모리 장치에 대한 독출 동작을 수행할 경우, 빗금 친 부분에 속하는 메모리 셀들은 제1 프로그램 상태(P1)로 프로그램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문턱 전압(Vth)의 감소에 의해 소거 상태(E)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독출 동작에 오류가 발생되어 메모리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RBER(raw bit error rate)은 독출 전압의 전압 레벨에 따라 달라지는데, 독출 전압의 최적 전압 레벨은 메모리 셀들의 산포 모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셀들의 산포가 변화함에 따라 메모리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데 필요한 독출 전압의 최적 전압 레벨도 변경될 수 있다.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을 위한 비트 맵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d에서는 메모리 셀들이 QLC인 경우를 가정한 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d를 참조하면, 메모리 셀이 QLC인 경우, 메모리 셀들은 각각 LSB, ESB, USB 및 MSB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워드 라인(WL1)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 중 첫 번째 행의 메모리 셀들에 저장되는 LSB는 최하위 비트 페이지를 형성하고, MSB는 최상위 비트 페이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USB는 차상위 비트 페이지를 형성하고, ESB는 USB와 LSB 사이의 비트 페이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 워드라인의 페이지 구성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타겟 워드라인(WL_S)은 제1 내지 제4 페이지들(PG1~PG4)를 포함할 수 있고, 타겟 워드라인(WL_S)에는 비트라인들(BLa, BLb, BLc, BLc, BLd, BLe, BLf, BLg, BLh, BLi, BLj, BLk, BLl, BLm, BLo, BLp) 각각에 연결되는 메모리 셀들(MCa, MCb, MCc, MCc, MCd, MCe, MCf, MCg, MCh, MCi, MCj, MCk, MCl, MCm, MCo, MCp)이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셀들(MCa, MCb, MCc, MCc, MCd, MCe, MCf, MCg, MCi, MCj, MCk, MCl, MCm, MCo) 각각에는 4-비트(즉, 쿼드러플 셀 비트(QCB))가 프로그램되고, 메모리 셀들(MCh, MCp) 각각에는 2-비트(즉, 멀티 셀 비트(MCB))가 프로그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페이지들(PG1~PG4) 각각은 널(null) 비트(NB)를 저장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페이지들(PG1~PG4) 중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는 서로 다른 수의 비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셀들(MCa, MCb, MCc, MCc, MCd, MCe, MCf, MCg, MCi, MCj, MCk, MCl, MCm, MCo)은 인너 셀들에 해당할 수 있고, 메모리 셀들(MCh, MCp)은 아우터 셀들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 워드라인의 페이지 구성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타겟 워드라인(WL_S)은 제1 내지 제4 페이지들(PG1~PG4)를 포함할 수 있고, 타겟 워드라인(WL_S)에는 비트라인들(BLa, BLb, BLc, BLc, BLd, BLe, BLf, BLg, BLh, BLi, BLj, BLk, BLl, BLm, BLo, BLp) 각각에 연결되는 메모리 셀들(MCa, MCb, MCc, MCd, MCe, MCf, MCg, MCh, MCi, MCj, MCk, MCl, MCm, MCo, MCp)이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셀들(MCa, MCb, MCc, MCd, MCe, MCi, MCj, MCk, MCl, MCm MCn) 각각에는 4-비트(즉, 쿼드러플 셀 비트(QCB))가 프로그램되고, 메모리 셀들(MCg, MCo) 각각에는 3-비트(즉, 트리플 셀 비트(TCB))가 프로그램될 수 있고, 메모리 셀들(MCh, MCp) 각각에는 1-비트(즉, 싱글 셀 비트(SCB))가 프로그램될 수 있고 . 따라서, 제1 내지 제4 페이지들(PG1~PG4) 각각은 널(null) 비트(NB)를 저장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페이지들(PG1~PG4) 중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는 서로 다른 수의 비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셀들(MCa, MCb, MCc, MCd, MCe, MCi, MCj, MCk, MCl, MCm MCn)은 인너 셀들에 해당할 수 있고, 메모리 셀들(MCg, MCo)은 미드 셀들에 해당할 수 있고 메모리 셀들(MCh, MCp)은 아우터 셀들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6은 싱글 레벨 셀들과 트리플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나타낸다.
도 16에서 참조 번호(611)는 소거 상태(E)와 제1 프로그램 상태(P11)를 포함하는 싱글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613)는 소거 상태(E)와 제1 내지 제7 프로그램 상태들(P1~P7)을 포함하는 트리벨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나타낸다.
도 16에서 싱글 레벨 셀의 소거 상태(E)와 제1 프로그램 상태(P11)를 구분하는 제1 독출 전압(Vr11)을 이용하여 트리플 레벨 셀의 제3 프로그램 상태(P3)와 제4 프로그램 상태(P4)를 구분하면, 트리플 레벨 셀들의 독출 시에는 에러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싱글 레벨 셀들과 트리플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나타낸다.
도 17에서 참조 번호(621)는 소거 상태(E)와 제1 프로그램 상태(P11)를 포함하는 싱글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623)는 소거 상태(E)와 제1 내지 제7 프로그램 상태들(P1~P7)을 포함하는 트리벨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나타낸다.
도 17에서 싱글 레벨 셀의 소거 상태(E)와 제1 프로그램 상태(P11)를 구분하는 제1 독출 전압(Vr12)을 이용하여 트리플 레벨 셀의 제3 프로그램 상태(P3)와 제4 프로그램 상태(P4)를 구분하여도 에러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 동작 시에 트리플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싱글 레벨 셀의 문턱 전압 분포에 정렬시키거나, 독출 동작시에 싱글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와 트리플 레벨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가 동일한 독출 전압에 의하여 구분되도록 제1 독출 전압(Vr12)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3의 스토리지 컨트롤러에서 프로그램 매니저를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매니저(500)는 프로그램 타입 할당기(510), 제1 어드레스 할당기(520) 및 제2 어드레스 할당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매니저(5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400a~400k)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의 타겟 워드라인에 프로그램될 데이터(DTA)의 기대 리텐션(저장) 시간 정보(ERTI) 및 데이터(DTA)에 대한 사용자 요구 정보(URI)에 기초하여 데이터(DTA)에 수행될 프로그램 동작을 제1 프로그램 동작 및 제2 프로그램 동작 중 하나로 할당하고, 데이터(DTA)를 제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PD1~PDM) 및 제(M+1) 프로그램 데이터(PD(M+1))로 할당하고, 제1 프로그램 동작으로 할당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프로그램 타입 신호(PTS1)와 제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PD1~PDM)를 제1 어드레스 할당기(520)에 제공하고, 제2 프로그램 동작으로 할당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프로그램 타입 신호(PTS2)와 제(M+1) 페이지 데이터(PD(M+1))를 제2 어드레스 할당기(530)에 제공할 수 있다.
기대 리텐션 시간 정보(ERTI)는 프로그램될 데이터(DTA)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대 저장 시간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 요구 정보(URI)는 성능, 프로그램 동작과 관련된 레이턴시 및 프로그램될 데이터(DTA)의 신뢰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드레스 할당기(520)는 제1 프로그램 타입 신호(PTS1)와 제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PD1~PDM)를 수신하고, 로케이션 인덱스(LIDX)에 기초하여 타겟 워드라인의 논리 어드레스(LADDRa)를 물리 어드레스(PADDRa)로 할당하고, 타겟 워드라인의 물리 어드레스(PADDRa)와 제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PD1~PDM)를 메모리 인터페이스(370)를 통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어드레스 할당기(530)는 제2 프로그램 타입 신호(PTS2)와 제(M+1) 페이지 데이터(PD(M+1))를 수신하고, 로케이션 인덱스(LIDX)에 기초하여 타겟 워드라인의 논리 어드레스(LADDRa)를 물리 어드레스(PADDRa)로 할당하고, 타겟 워드라인의 물리 어드레스(PADDRa)와 제(M+1) 페이지 데이터(PD(M+1))를 메모리 인터페이스(370)를 통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로그램 동작은 제1 메모리 블록들의 메모리 셀들이 소거 상태 및 제1 내지 제2M-1 타겟 프로그램 상태들을 갖도록 하는 TLC(triple level cell) 프로그램 동작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프로그램 동작은 제2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셀들이 소거 상태 및 1 내지 제2M+1-1 타겟 프로그램 상태들을 갖도록 하는 QLC(quadruple level cell) 프로그램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9는 도 5 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복수의 워드라인들에 제1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된 것을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워드라인들(WLa, WLb, WLc, WLd) 및 비트라인들(BLa, BLb, BLc, BLc, BLd, BLe, BLf, BLg, BLh, BLi, BLj, BLk, BLl, BLm, BLo, BLp)에 연결되는 메모리 셀들이 도시된다. 메모리 셀들에는 제1 프로그램 동작이 워드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메모리 셀들 각각은 3 비트를 저장한다.
도 20은 도 19의 메모리 셀들 중 일부 메모리 셀들을 제외한 나머지 메모리 셀들에 제2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된 것을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워드라인들(WLa, WLb, WLc, WLd) 및 비트라인들(BLa, BLb, BLc, BLc, BLd, BLe, BLf, BLg, BLi, BLj, BLk, BLl, BLm, BLo)에 연결되는 메모리 셀들에는 제2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되어, 상기 메모리 셀들은 4 비트를 저장하고, 워드라인들(WLa, WLb, WLc, WLd) 및 비트라인들(BLh, BLp)에 연결되는 메모리 셀들에는 제2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제2 프로그램 동작 수행시에, 비트라인들(BLh, BLp)에는 프로그램 금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워드라인들(WLa, WLb, WLc, WLd) 및 비트라인들(BLh, BLp)에 연결되는 메모리 셀들은 아우터 셀들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3a의 제1 프로그램 상태(P1) 및 제2 프로그램 상태(P2)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프로그램 상태(P1) 및 제2 프로그램 상태(P2) 사이의 "독출 윈도우(Read Window)(RDW)"는 제1 프로그램 상태(P1)에 대한 하강(fall) 전압(VF)과 제2 프로그램 상태(P2)에 대한 상승(rise) 전압(VR)의 차이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하강 전압(VF)은 제1 프로그램 상태(P1)로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들에 대한 오프 셀 카운트 결과, 오프 셀들의 개수가 기준 개수(REF)에 대응하는 문턱 전압을 나타낸다. 상승 전압(VR)은 제2 프로그램 상태(P2)로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들에 대한 온 셀 카운트 결과, 온 셀들의 개수가 기준 개수(REF)에 대응하는 문턱 전압을 나타낸다. 제2 프로그램 상태(P2)를 판별하기 위한 독출 전압(Vr2)은 독출 윈도우(RDW) 사이에 전압 레벨을 가져야 하며, 독출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독출 윈도우(RDW)가 충분히 넓게 확보되어야 한다.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아우터 셀들의 독출 윈도우는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인너 셀들의 독출 윈도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5의 메모리 셀 어레이가 형성되는 셀 영역을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셀 영역(CR)은 복수의 채널 홀들(CH)을 포함한다.
채널 홀 사이즈, 예를 들어, 채널 홀 직경(diameter)은 셀 영역(CR) 내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에지들(EDG1, EDG2)에 인접한 채널 홀들(CHa)의 경우 주변 밀도가 낮으므로, 공정 상의 이유로 다른 채널 홀들(CHb)과 직경이 다를 수 있다. 셀 영역(CR)의 중심 영역에 위치한 채널 홀들(CHb)의 직경은, 제1 및 제2 에지들(EDG1, EDG2)에 인접한 채널 홀들(CHa)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메모리 블록(BLKa)은 제2 에지(EDG2)에 인접하고, 제2 에지(EDG2)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메모리 블록(BLKb)은 제1 및 제2 에지들(EDG1, EDG2)에 인접하지 않고, 셀 영역(CR)의 중심에 위치하며, 제2 에지(EDG2)로부터 제2 거리(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메모리 블록(BLKa)에 포함된 제1 채널 홀(CHa)의 제1 직경(D1)은, 메모리 블록(BLKb)에 포함된 제2 채널 홀(CHb)의 제2 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도 22의 메모리 블록들에 각각 포함된 낸드 스트링들의 단면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3a를 참조하면, 메모리 블록(BLKa)에 포함된 제1 채널 홀(CHa)에는 표면층(314) 및 내부층(315)를 포함하는 필라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채널 홀(CHa)의 둘레에는 전하 저장층(CS)이 형성될 수 있고, 전하 저장층(CS)은 ONO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3b를 참조하면, 메모리 블록(BLKb)에 포함된 제2 채널 홀(CHb)에는 표면층(314) 및 내부층(315)를 포함하는 필라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채널 홀(CHb)의 둘레에는 전하 저장층(CS)이 형성될 수 있고, 전하 저장층(CS)은 ONO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모리 블록(BLKb)에 포함된 전하 저장층(CS)의 두께는, 메모리 블록(BLKa)에 포함된 전하 저장층(CS)의 두께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채널 홀 직경의 차이로 인해, 메모리 셀의 특성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 홀의 둘레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는 게이트 올 어라운드(gate all around) 형태의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경우, 채널 홀 직경이 작아지면 게이트 전극에서 채널 영역(314)으로 형성되는 전기장의 집속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채널 홀(CHa)과 같이 채널 홀 직경(D1)이 작은 메모리 셀은, 제2 채널 홀(CHb)과 같이 채널 홀 직경(D2)이 큰 메모리 셀에 비해, 프로그램 및 소거 동작의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다시 도 22를 참조하면, 셀 영역(CR) 내에서 하나의 메모리 블록은 제1 수평 방향(VD1)으로, 즉, 워드 라인 방향으로 한 페이지에 해당하는 모든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고, 제2 수평 방향(VD2)으로, 즉, 비트 라인 방향으로 몇 개의 스트링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 메모리 블록은 제1 수평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채널 홀 사이즈, 즉, 직경의 차이는 메모리 블록 단위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블록(BLKa)에 포함된 메모리 셀들의 프로그램 속도 및 소거 속도는 메모리 블록(BLKb)에 포함된 메모리 셀들의 프로그램 속도 및 소거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도 24는 도 22의 하나의 채널 홀의 수직 구조를 나타낸다.
도 24를 참조하면, 낸드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하나의 낸드 스트링에 대응하는 채널 홀(CH1)이 도시되었다. 채널 홀(CH1)은 기판 상에 적층된 게이트 전극들 및 절연막들의 일부 영역을 식각함으로써 형성되므로, 표면으로부터 깊이가 커질수록 식각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홀(CH1)의 직경은 기판쪽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널 홀(CH1)을 채널 홀 직경에 따라 세 개의 구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홀 직경이 제1 값보다 작은 구역을 제1 구역(Z1)으로 결정하고, 채널 홀 직경이 제1 값 이상이고, 제2 값보다 보다 작은 구역을 제2 구역(Z2)으로 결정하고, 채널 홀 직경이 제2 값 이상이고, 제3 값보다 작은 구역을 제3 구역(Z3)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낸드 스트링에서도 워드라인의 수직 방향(VD)의 위치에 따른 채널 홀 직경의 차이로 인해, 메모리 셀의 특성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역(Z1)에는 워드라인(WLb1)이 배치되고, 제2 구역(Z2)에는 워드라인(WLa1)이 배치되고, 제3 구역(Z3)에는 워드라인(WLc1)이 배치된다. 워드라인(WLb1)은 채널 홀(CH1)의 하부 에지에 인접하므로, 워드라인(WLb1)은 접지 선택 라인 또는 기판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워드라인(WLb1)과 채널 사이에서 브릿지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워드라인(WLb1)과 채널 사이에서 브릿지가 발생하면, 상기 브릿지를 통하여 누설 전류가 발생하고, 누설 전류에 따라 프로그램/독출 동작 및 소거 동작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워드라인(WLc1)은 채널 홀(CH1)의 상부 에지에 인접하므로, 워드라인(WLc)은 스트링 선택 라인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워드라인(WLc)에서 브릿지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채널 홀(CH1)의 상부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워드라인(WLc1)에 연결되는 페이지들 및 채널 홀(CH1)의 하부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워드라인(WLb1)에 연결되는 페이지들의 에러 발생 확률은 채널 홀(CH1)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워드라인(WLa1)에 연결되는 페이지들의 에러 발생 확률보다 높을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겟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의 위치에 메모리 셀들의 열화될 확률이 달리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의 프로세서(310)는 낸드 스트링들 각각에 개별적인 로케이션 인덱스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310)는 낸드 스트링들 중에서 중에서 동일한 채널 홀을 공유하는 적어도 두 개의 낸드 스트링들에서는 동일한 로케이션 인덱스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310)는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인 로케이션 인덱스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310)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인너 셀들과 아우터 셀들의 에러 발생 확률의 차이가 큰 적어도 하나의 워드라인 또는 일부 워드라인들에 대하여 상기 로케이션 인덱스를 적용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의 스토리지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스토리지 장치(200a)는 스토리지 컨트롤러(300a)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a)는 ECC 엔진(320)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370)를 포함하고, 메모리 인터페이스(370)는 비트 셀 테이블(375) 및 데이터 컨버터(373)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메모리 셀 어레이(420) 및 페이지 버퍼 회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의 타겟 워드라인(WL_S)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타겟 워드라인(WL_S)으로부터 독출된 제1 내지 제4 페이지 데이터(PD1~PD4)는 독출 데이터(RD)는 페이지 버퍼 회로(430)에 임시로 저장된다. 독출 데이터(RD)는 QLC로부터 독출된 쿼드러플 셀 비트(QCB), SLC로부터 독출된 싱글 셀 비트(SCB) 및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널 비트(NB)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 버퍼 회로(430)에 저장된 독출 데이터(RD)는 데이터 입출력 회로(440, 미도시)를 통하여 메모리 인터페이스(370)에 제공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370)에 포함되는 데이터 컨버터(373)는 비트 셀 테이블(375)로부터 제공되는 널 비트에 관한 비트 셀 정보(BCI)에 기초하여 독출 데이터(RD)에서 널 비트(NB)를 제거하여 변환된 독출 데이터(CRD)를 생성하고, 변환된 독출 데이터(CRD)를 ECC 엔진(320)에 제공한다. ECC 엔진(320)은 변환된 독출 데이터(CRD)에 대하여 ECC 디코딩을 수행하여 변환된 독출 데이터(CRD)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의 스토리지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스토리지 장치(200b)는 스토리지 컨트롤러(300b)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300a)는 ECC 엔진(320)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370) 를 포함하고, 비트 셀 테이블(375)을 저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a)는 메모리 셀 어레이(420) 및 페이지 버퍼 회로(430a)를 포함하고, 페이지 버퍼 회로(430a)는 데이터 컨버터(432)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의 타겟 워드라인(WL_S)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타겟 워드라인(WL_S)으로부터 독출된 제1 내지 제4 페이지 데이터(PD1~PD4)는 독출 데이터(RD)로서 페이지 버퍼 회로(430)에 제공된다. 독출 데이터(RD)는 QLC로부터 독출된 쿼드러플 셀 비트(QCB), SLC로부터 독출된 싱글 셀 비트(SCB) 및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널 비트(NB)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컨버터(432)는 비트 셀 테이블(375)로부터 제공되는 널 비트에 관한 비트 셀 정보(BCI)에 기초하여 독출 데이터(RD)에서 널 비트(NB)를 제거하여 변환된 독출 데이터(CRD)를 생성하고, 변환된 독출 데이터(CRD)는 데이터 입출력 회로(440, 미도시)를 통하여 메모리 인터페이스(370)에 제공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370)는 변환된 독출 데이터(CRD)를 ECC 엔진(320)에 제공한다. ECC 엔진(320)은 변환된 독출 데이터(CRD)에 대하여 ECC 디코딩을 수행하여 변환된 독출 데이터(CRD)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리지 장치의 프로그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들이다.
도 4, 도 27a 및 도 27b를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스토리지 컨트롤러(300)로부터 제1 내지 제3 페이지 데이터(PD1, PD2, PD3)를 수신할 수 있다. 구간(INT11) 동안,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1), 제1 어드레스(ADDR1) 및 커맨드(CMD11)를 입출력 라인(I/O)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커맨드들(CMD1, CMD11)은 제1 페이지 데이터(PD1)를 셋업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11)에 응답하여 제1 페이지 데이터(PD1)을 덤프할 수 있고, 제1 페이지 데이터(PD1)가 덤프되는 동안 상태 신호(RnB)는 비지 상태일 수 있다.
구간(INT12) 동안,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1), 제1 어드레스(ADDR1), 제2 페이지 데이터(PD2) 및 커맨드(CMD12)를 입출력 라인(I/O)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커맨드들(CMD1, CMD12)은 제2 페이지 데이터(PD2)를 셋업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12)에 응답하여 제2 페이지 데이터(PD2)을 덤프할 수 있고, 제2 페이지 데이터(PD2)가 덤프되는 동안 상태 신호(RnB)는 비지 상태일 수 있다.
구간(INT13) 동안,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1), 제1 어드레스(ADDR1), 제3 페이지 데이터(PD3) 및 커맨드(CMD13)를 입출력 라인(I/O)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커맨드들(CMD1, CMD13)은 제3 페이지 데이터(PD3)를 셋업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13)에 응답하여 제3 페이지 데이터(PD3)을 덤프할 수 있고, 제3 페이지 데이터(PD3)가 덤프되는 동안 상태 신호(RnB)는 비지 상태일 수 있다.
구간(INT14) 동안,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21), 제2 어드레스(ADDR2) 및 커맨드(CMD22)를 입출력 라인(I/O)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커맨드들(CMD21, CMD22)은 프로그램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컨펌 커맨드 세트일 수 있다. 제2 어드레스(ADDR2)는 프로그램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22)에 응답하여, 수신된 제1 내지 제3 페이지(PD1, PD2, PD3)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시간(tPROG1) 동안, 타겟 워드라인에 대한 제1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시간(tPROG1) 동안, 상태 신호(RnB)는 비지 상태(즉, 로우 상태)일 수 있다.
제1 프로그램 동작이 완료된 후 일정 구간(INT2)이 경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구간(INT2) 동안,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독출 커맨드(CMDr) 및 제1 어드레스(ADDR1)를 수신할 수 있고, 독출 커맨드(CMDr) 및 제1 어드레스(ADDR1)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3 페이지(PD1, PD2, PD3)를 독출 데이터(DTAr)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420)로부터 독출하여 독출 데이터(DTAr)로서 스토리지 컨트롤러(30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420)로부터 독출 데이터(DTAr)가 독출되는 동안 상태 신호(RnB)는 비지 상태(즉, 로우 상태)일 수 있다.
구간(INT31) 동안,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1), 제1 어드레스(ADDR1), 제4 페이지 데이터(PD4) 및 커맨드(CMD14)를 입출력 라인(I/O)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커맨드들(CMD1, CMD14)은 제4 페이지 데이터(PD4)를 셋업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14)에 응답하여 제4 페이지 데이터(PD4)을 덤프할 수 있고, 제4 페이지 데이터(PD4)가 덤프되는 동안 상태 신호(RnB)는 비지 상태일 수 있다.
구간(INT32) 동안,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31), 제2 어드레스(ADDR2) 및 커맨드(CMD32)를 입출력 라인(I/O)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커맨드들(CMD31, CMD32)은 프로그램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컨펌 커맨드 세트일 수 있다. 제2 어드레스(ADDR2)는 프로그램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는 커맨드(CMD32)에 응답하여, 수신된 제4 페이지(PD4)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시간(tPROG2) 동안, 타겟 페이지에 대한 제2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시간(tPROG2) 동안, 상태 신호(RnB)는 비지 상태(즉, 로우 상태)일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기판의 상면 위에 적층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채널 홀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드라인들을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로 구분하는 워드라인 컷 영역들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스토리지 장치(300)의 동작 방법에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방법에 따르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가 제1 프로그램 커맨드, 물리 어드레스 및 제1 내지 제M(M은 3 이상의 자연수) 페이지 데이터(PD1~PDM를 스토리지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한다(S11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가, 상기 제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물리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타겟 워드라인의 메모리 셀들이 소거 상태 및 제1 내지 제2M-1 타겟 프로그램 상태들을 갖도록 상기 제1 메모리 블록들에 대하여 제1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한다(S130).
제1 프로그램 동작의 완료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00a)가 제2 프로그램 커맨드, 상기 물리 어드레스 및 제(M+1) 페이지 데이터(PD(M+1))를 스토리지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한다(S15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제(M+1) 페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워드라인의 메모리 셀들 중 일부가 상기 소거 상태 및 1 내지 제2M+1-1 타겟 프로그램 상태들을 갖도록 제2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한다(S17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그램 동작은 TLC 프로그램 동작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로그램 동작은 QLC 프로그램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는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타겟 워드라인의 메모리 셀들을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에 기초하여 아우터 셀들 및 인너 셀들로 구분하고, 상기 아우터 셀들과 상기 인너 셀들에 서로 다른 수의 비트들을 프로그램함으로써, 아우터 셀들과 인너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 차이에 따른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0)는 C2C(chip to chip) 구조일 수 있다. C2C 구조는 제1 웨이퍼 상에 셀 영역(CELL)을 포함하는 상부 칩(제1 칩)을 제작하고, 제1 웨이퍼와 다른 제2 웨이퍼 상에 주변 회로 영역(PERI)을 포함하는 하부 칩(제2 칩)을 제작한 후, 상기 상부 칩과 상기 하부 칩을 본딩(bonding)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딩 방식은 상부 칩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본딩 메탈과 하부 칩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본딩 메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딩 메탈이 구리(Cu)로 형성된 경우, 상기 본딩 방식은 Cu-to-Cu 본딩 방식일 수 있으며, 상기 본딩 메탈은 알루미늄(Al) 혹은 텅스텐(W)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0)의 주변 회로 영역(PERI)과 셀 영역(CELL) 각각은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 및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 영역(PERI)은 제1 기판(2210), 층간 절연층(2215), 제1 기판(2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로 소자들(2220a, 2220b, 2220c), 복수의 회로 소자들(2220a, 2220b, 2220c) 각각과 연결되는 제1 메탈층(2230a, 2230b, 2230c), 제1 메탈층(2230a, 2230b, 2230c) 상에 형성되는 제2 메탈층(2240a, 2240b, 224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탈층(2230a, 2230b, 2230c)은 상대적으로 전기적 비저항이 높은 텅스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메탈층(2240a, 2240b, 2240c)은 상대적으로 전기적 비저항이 낮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메탈층(2230a, 2230b, 2230c)과 제2 메탈층(2240a, 2240b, 2240c)만 도시되고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메탈층(2240a, 2240b, 2240c)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탈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메탈층(2240a, 2240b, 2240c)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탈층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메탈층(2240a, 2240b, 2240c)을 형성하는 구리보다 더 낮은 전기적 비저항을 갖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2215)은 복수의 회로 소자들(2220a, 2220b, 2220c), 제1 메탈층(2230a, 2230b, 2230c), 및 제2 메탈층(2240a, 2240b, 2240c)을 커버하도록 제1 기판(2210) 상에 배치되며,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의 제2 메탈층(2240b) 상에 하부 본딩 메탈(2271b, 2272b)이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에서, 주변 회로 영역(PERI)의 하부 본딩 메탈(2271b, 2272b)은 셀 영역(CELL)의 상부 본딩 메탈(2371b, 2372b)과 본딩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 본딩 메탈(2271b, 2272b)과 상부 본딩 메탈(2371b, 2372b)은 알루미늄, 구리, 혹은 텅스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셀 영역(CELL)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블록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영역은 상술한 보상 데이터 세트를 저장할 수 있고, SLC 블록일 수 있다. 셀 영역(CELL)은 제2 기판(2310)과 공통 소스 라인(2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310) 상에는, 제2 기판(2310)의 상면에 수직하는 제3 방향(VD)을 따라 복수의 워드라인들(2331, 2332, 2333, 2334, 2335, 2336, 2337, 2338; 2330)이 적층될 수 있다. 워드라인들(233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스트링 선택 라인들과 접지 선택 라인이 배치될 수 있으며, 스트링 선택 라인들과 접지 선택 라인 사이에 복수의 워드라인들(2330)이 배치될 수 있다.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에서, 채널 구조체(CH)는 제2 기판(2310)의 상면에 수직하는 방향(VD)으로 연장되어 워드라인들(2330), 스트링 선택 라인들, 및 접지 선택 라인을 관통할 수 있다. 채널 구조체(CH)는 데이터 저장층, 채널층, 및 매립 절연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층은 제1 메탈층(2350c) 및 제2 메탈층(2360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메탈층(2350c)은 비트라인 컨택일 수 있고, 제2 메탈층(2360c)은 비트라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트라인(2360c)은 제2 기판(2310)의 상면에 평행한 제2 수평 방향(H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29의 예에서, 채널 구조체(CH)와 비트라인(2360c) 등이 배치되는 영역이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트라인(2360c)은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에서 주변 회로 영역(PERI)에서 페이지 버퍼(2393)를 제공하는 회로 소자들(2220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비트라인(2360c)은 주변 회로 영역(PERI)에서 상부 본딩 메탈(2371c, 2372c)과 연결되며, 상부 본딩 메탈(2371c, 2372c)은 페이지 버퍼(2393)의 회로 소자들(2220c)에 연결되는 하부 본딩 메탈(2271c, 2272c)과 연결될 수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에서, 워드라인들(2330)은 제1 수평 방향(HD1)에 수직하면서 제2 기판(310)의 상면에 평행한 제2 수평 방향(H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셀 컨택 플러그들(2341, 2342, 2343, 2344, 2345, 2346, 3347; 3340)과 연결될 수 있다. 워드라인들(2330)과 셀 컨택 플러그들(2340)은, 제1 수평 방향(HD1)을 따라 워드라인들(2330)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어 제공하는 패드들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워드라인들(2330)에 연결되는 셀 컨택 플러그들(2340)의 상부에는 제1 메탈층(2350b)과 제2 메탈층(2360b)이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셀 컨택 플러그들(2340)은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에서 셀 영역(CELL)의 상부 본딩 메탈(2371b, 2372b)과 주변 회로 영역(PERI)의 하부 본딩 메탈(2271b, 2272b)을 통해 주변 회로 영역(PERI)과 연결될 수 있다.
셀 컨택 플러그들(2340)은 주변 회로 영역(PERI)에서 어드레스 디코더 또는 로우 디코더(2394)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22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우 디코더(2394)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2220b)의 동작 전압은, 페이지 버퍼(2393)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2220c)의 동작 전압과 다를 수 있다. 일례로, 페이지 버퍼(2393)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2220c)의 동작 전압이 로우 디코더(2394)를 형성하는 회로 소자들(2220b)의 동작 전압보다 클 수 있다.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는 공통 소스 라인 컨택 플러그(2380)가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 컨택 플러그(2380)는 금속, 금속 화합물, 또는 폴리실리콘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공통 소스 라인(2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 컨택 플러그(2380) 상부에는 제1 메탈층(2350a)과 제2 메탈층(2360a)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일례로, 공통 소스 라인 컨택 플러그(2380), 제1 메탈층(2350a), 및 제2 메탈층(2360a)이 배치되는 영역은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는 입출력 패드들(2205, 2305)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2210)의 하부에는 제1 기판(2210)의 하면을 덮는 하부 절연막(2201) 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절연막(2201) 상에 제1 입출력 패드(220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출력 패드(2205)는 제1 입출력 컨택 플러그(2203)를 통해 주변 회로 영역(PERI)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로 소자들(2220a, 2220b, 2220c)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하부 절연막(2201)에 의해 제1 기판(2210)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입출력 컨택 플러그(2203)와 제1 기판(2210) 사이에는 측면 절연막이 배치되어 제1 입출력 컨택 플러그(2203)와 제1 기판(2210)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2 기판(2310)의 상부에는 제2 기판(2310)의 상면을 덮는 상부 절연막(23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절연막(2301) 상에 제2 입출력 패드(230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출력 패드(2305)는 제2 입출력 컨택 플러그(2303)를 통해 주변 회로 영역(PERI)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로 소자들(2220a, 2220b, 2220c)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입출력 패드(2305)는 회로 소자(222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입출력 컨택 플러그(2303)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제2 기판(2310) 및 공통 소스 라인(2320) 등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입출력 패드(2305)는 제3 방향(D3)에서 워드라인들(2380)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입출력 컨택 플러그(2303)는 제2 기판(2310)의 상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제2 기판(2310)과 분리되며, 셀 영역(CELL)의 층간 절연층(2315)을 관통하여 제2 입출력 패드(2305)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입출력 패드(2205)와 제2 입출력 패드(2305)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0)는 제1 기판(220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입출력 패드(2205)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2 기판(230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입출력 패드(2305)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 장치(2000)가 제1 입출력 패드(2205)와 제2 입출력 패드(2305)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셀 영역(CELL)과 주변 회로 영역(PERI) 각각에 포함되는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과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 각각에는 최상부 메탈층의 메탈 패턴이 더미 패턴(dummy pattern)으로 존재하거나, 최상부 메탈층이 비어있을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0)는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서, 셀 영역(CELL)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상부 메탈 패턴(2372a)에 대응하여 주변 회로 영역(PERI)의 최상부 메탈층에 셀 영역(CELL)의 상부 메탈 패턴(2372a)과 동일한 형태의 하부 메탈 패턴(2273a)을 형성할 수 있다. 주변 회로 영역(PERI)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하부 메탈 패턴(2273a)은 주변 회로 영역(PERI)에서 별도의 콘택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외부 패드 본딩 영역(PA)에서 주변 회로 영역(PERI)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하부 메탈 패턴(2273a)에 대응하여 셀 영역(CELL)의 상부 메탈층에 주변 회로 영역(PERI)의 하부 메탈 패턴(2273a)과 동일한 형태의 상부 메탈 패턴(2372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의 제2 메탈층(2240b) 상에는 하부 본딩 메탈(2271b, 2272b)이 형성될 수 있다. 워드라인 본딩 영역(WLBA)에서, 주변 회로 영역(PERI)의 하부 본딩 메탈(2271b, 2272b)은 셀 영역(CELL)의 상부 본딩 메탈(2371b, 2372b)과 본딩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비트라인 본딩 영역(BLBA)에서, 주변 회로 영역(PERI)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하부 메탈 패턴(2252)에 대응하여 셀 영역(CELL)의 최상부 메탈층에 주변 회로 영역(PERI)의 하부 메탈 패턴(2252)과 동일한 형태의 상부 메탈 패턴(2392)을 형성할 수 있다. 셀 영역(CELL)의 최상부 메탈층에 형성된 상부 메탈 패턴(2392) 상에는 콘택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워드라인 전압들이 주변 회로 영역(PERI)의 하부 본딩 메탈(2271b, 2272b)과 셀 영역(CELL)의 상부 본딩 메탈(2371b, 2372b)을 통하여 셀 영역(CELL)의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블록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자 시스템(3000)은 반도체 장치(3100) 및 반도체 장치(3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3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30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장치들(3100)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storage device) 또는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시스템(30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장치들(3100)을 포함하는 에스에스디(Solid State Drive: SSD) 장치, 유에스비(Universal Serial Bus: USB), 컴퓨팅 시스템, 의료 장치 또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반도체 장치(31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상술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반도체 장치(3100)는 제1 구조물(3100F) 및 제1 구조물(3100F) 상의 제2 구조물(3100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3100F)은 디코더 회로(3110), 페이지 버퍼 회로(3120), 및 로직 회로(3130)를 포함하는 주변 회로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구조물(3100S)은 비트라인(BL), 공통 소스 라인(CSL), 워드라인들(WL), 제1 및 제2 게이트 상부 라인들(UL1, UL2), 제1 및 제2 게이트 하부 라인들(LL1, LL2), 및 비트 라인(BL)과 공통 소스 라인(CSL) 사이의 메모리 낸드 스트링들(CSTR)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구조물(3100S)에서, 각각의 메모리 낸드 스트링들(CSTR)은 공통 소스 라인(CSL)에 인접하는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 비트 라인(BL)에 인접하는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 및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과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의 개수와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의 개수는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은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은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게이트 라인들(LL1, LL2)은 각각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의 게이트 전극일 수 있다. 워드 라인들(WL)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의 게이트 전극들일 수 있고, 상부 게이트 라인들(UL1, UL2)은 각각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의 게이트 전극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부 트랜지스터들(LT1, LT2)은 직렬 연결된 하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LT1) 및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L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트랜지스터들(UT1, UT2)은 직렬 연결된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UT1) 및 상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UT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LT1) 및 상부 소거 제어 트랜지스터(UT1) 중 적어도 하나는 게이트 유도 누설 전류(Gate Induce Drain Leakage: GIDL) 현상을 이용하여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소거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CSL), 제1 및 제2 하부 게이트 라인들(LL1, LL2), 워드 라인들(WL), 및 제1 및 제2 상부 게이트 라인들(UL1, UL2)은, 제1 구조물(3100F) 내에서 제2 구조물(1100S)까지 연장되는 제1 연결 배선들(3115)을 통해 디코더 회로(3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은 제1 구조물(3100F) 내에서 제2 구조물(3100S)까지 연장되는 제2 연결 배선들(3125)을 통해 페이지 버퍼 회로(3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조물(3100F)에서, 디코더 회로(1110) 및 페이지 버퍼 회로(3120)는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에 대한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디코더 회로(3110) 및 페이지 버퍼 회로(3120)는 로직 회로(3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3000)는 로직 회로(3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3101)를 통해, 컨트롤러(3200)와 통신할 수 있다. 입출력 패드(3101)는 제1 구조물(3100F) 내에서 제2 구조물(3100S)까지 연장되는 입출력 연결 배선(3135)을 통해 로직 회로(3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3200)는 프로세서(3210), NAND 컨트롤러(3220), 및 호스트 인터페이스(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시스템(3000)은 복수의 반도체 장치들(3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트롤러(3200)는 복수의 반도체 장치들(30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10)는 컨트롤러(3200)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30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10)는 소정의 펌웨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NAND 컨트롤러(3220)를 제어하여 반도체 장치(3100)에 액세스할 수 있다. NAND 컨트롤러(3220)는 반도체 장치(310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NAND 인터페이스(3221)를 포함할 수 있다. NAND 인터페이스(3221)를 통해, 반도체 장치(3100)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반도체 장치(1100)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에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 반도체 장치(3100)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CT)로부터 읽어오고자 하는 데이터 등이 전송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3230)는 전자 시스템(1000)과 외부 호스트 사이의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3230)를 통해 외부 호스트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210)는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반도체 장치(1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토리지 장치를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스토리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네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기판의 상면 위에 적층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채널 홀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드라인들을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로 구분하는 워드라인 컷 영역들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외부의 스토리지 컨트롤러로부터의 커맨드 및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워드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은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가까운 아우터 셀들 및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먼 인너 셀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타겟 워드라인에 연결되는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 각각은 제1 수(제1 수는 1이상의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너 셀들 각각은 제2 수(제2 수는 제1 수보다 큰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너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독출 전압에 의하여 판별되도록 상기 독출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1 바이어스 전압들을 상기 타겟 워드라인과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연결되는 비트라인들에 인가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 각각이 상기 제1 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들과는 다른 제2 바이어스 전압들을 상기 타겟 워드라인과 상기 비트라인들에 인가하여 상기 인너 셀들 각각이 상기 제2 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1 프로그램 전압을 상기 타겟 워드라인에 인가하고, 프로그램 허용 전압을 상기 비트라인들에 인가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 각각이 상기 제1 수의 비트(들)를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프로그램 전압보다 높은 제2 프로그램 전압을 상기 타겟 워드라인에 인가하고, 상기 비트라인들 중 상기 아우터 셀들에 연결되는 제1 비트라인들에 프로그램 금지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비트라인들 중 상기 인너 셀들에 연결되는 제2 비트라인들에 상기 프로그램 허용 전압을 인가하여 인가하여 상기 인너 셀들 각각이 상기 제2 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은 상기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을 상기 인너 셀들 사이의 스트링 선택 라인 컷 영역에 인접하는 미드 셀들로 더 구분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미드 셀들 각각이 제3 수(제3 수는 제1 수보다 크고 제2 수보다 작은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아우터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너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정렬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워드라인은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페이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들은 서로 다른 수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는 널(null) 비트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들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연결되는 페이지 버퍼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버퍼 회로는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상기 복수의 페이지들에 각각 저장된 복수의 페이지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페이지 데이터에서 상기 널 비트를 제거하여 변환된 독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버퍼 회로는 상기 변환된 독출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회로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로부터의 제1 내지 제M(M은 3 이상의 자연수) 페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우터 셀들과 상기 인너 셀들이 제1 내지 제2M-1 타겟 프로그램 상태들을 갖도록 제1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로부터의 제(M+1) 페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너 셀들이 상기 소거 상태 및 1 내지 제2M+1-1 타겟 프로그램 상태들을 갖도록 제2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비트라인들 중 상기 아우터 셀들에 연결되는 제1 비트라인들에는 프로그램 금지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비트라인들 중 상기 인너 셀들에 연결되는 제2 비트라인들에는 프로그램 허용 전압을 인가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워드라인 전압들을 생성하는 전압 생성기;
    워드라인들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연결되고, 로우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워드라인 전압들을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제공하는 어드레스 디코더; 및
    비트라인들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연결되는 페이지 버퍼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낸드 스트링들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
  11. 기판의 상면 위에 적층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채널 홀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드라인들을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로 구분하는 워드라인 컷 영역들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토리지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제1 그룹의 셀들 및 제2 그룹의 셀들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타겟 워드라인에 연결되는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에서 상기 제1 그룹의 셀들 각각은 제1 수(제1 수는 1이상의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제2 그룹의 셀들 각각은 제2 수(제2 수는 제1 수보다 큰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매니저를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상기 제1 그룹의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그룹의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독출 전압에 의하여 판별되도록 상기 독출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스토리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매니저는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수행될 수행될 프로그램 동작을 제1 프로그램 동작 및 제2 프로그램 동작 중 하나로 할당하고, 상기 데이터를 제1 내지 제M(M은 3 이상의 자연수) 페이지 데이터 및 제(M+1) 페이지 데이터로 할당하고,
    상기 1 내지 제M(M은 3 이상의 자연수) 페이지 데이터를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제1 프로그램 동작의 완료 후에, 상기 제(M+1)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버퍼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 메모리는 상기 1 내지 제M 페이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1 프로그램 동작의 완료 후에 릴리스되고, 상기 (M+1) 페이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로부터의 커맨드 및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의 셀들 각각은 상기 제1 수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제2 그룹의 셀들 각각은 상기 제2 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1 바이어스 전압들을 상기 타겟 워드라인과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연결되는 비트라인들에 인가하여,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 각각이 상기 제1 수의 비트를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들과는 다른 제2 바이어스 전압들을 상기 타겟 워드라인과 상기 비트라인들에 인가하여 상기 제2 그룹의 셀들 각각이 상기 제2 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는 상기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을 상기 제2 그룹의 셀들 사이의 스트링 선택 라인 컷 영역에 인접하는 제3 그룹의 셀들로 더 구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3 그룹의 셀들 각각이 제3 수(제3 수는 제1 수보다 크고 제2 수보다 작은 자연수)의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는 스토리지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워드라인은 복수의 페이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페이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들은 서로 다른 수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는 널(null) 비트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상기 비트라인들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연결되는 페이지 버퍼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버퍼 회로는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상기 복수의 페이지들에 각각 저장된 복수의 페이지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페이지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회로를 통하여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상기 스토리지 컨트롤러는
    상기 독출된 페이지 데이터에서 상기 널 비트들 제거하여 변환된 독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컨버터; 및
    상기 변환된 독출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정정 코드(error correction code, 이하 'ECC') 디코딩을 수행하는 ECC 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그룹의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그룹의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정렬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는 스토리지 장치.
  20. 기판의 상면 위에 적층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채널 홀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워드라인들을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로 구분하는 워드라인 컷 영역들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외부의 스토리지 컨트롤러로부터의 커맨드 및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워드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은 로케이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가까운 아우터 셀들 및 상기 워드라인 컷 영역으로부터의 상대적 거리가 먼 인너 셀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타겟 워드라인에 연결되는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 각각은 M(M은 3 이상의 자연수) 비트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너 셀들 각각은 (M+1) 비트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타겟 메모리 셀들에 대한 독출 동작에서 상기 아우터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너 셀들의 상기 문턱 전압 분포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독출 전압에 의하여 판별되도록 상기 독출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20210182556A 2021-12-20 2021-12-2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 KR20230093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556A KR20230093708A (ko) 2021-12-20 2021-12-2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
EP22181472.6A EP4198987A1 (en) 2021-12-20 2022-06-28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storage devices
US17/810,777 US20230197158A1 (en) 2021-12-20 2022-07-05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storage devices
CN202210985874.1A CN116322054A (zh) 2021-12-20 2022-08-16 非易失性存储器装置和存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556A KR20230093708A (ko) 2021-12-20 2021-12-2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08A true KR20230093708A (ko) 2023-06-27

Family

ID=8240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556A KR20230093708A (ko) 2021-12-20 2021-12-2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97158A1 (ko)
EP (1) EP4198987A1 (ko)
KR (1) KR20230093708A (ko)
CN (1) CN116322054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2335B2 (en) * 2007-10-31 2010-06-22 Micron Technology, Inc. Non-volatile multilevel memory cells
US10067825B2 (en) * 2015-09-14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CC operation in the same
US9959932B1 (en) * 2017-02-21 2018-05-01 Sandisk Technologies Llc Grouping memory cells into sub-blocks for program speed uniformity
US11107537B2 (en) * 2018-09-20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data
KR20210050635A (ko) * 2019-10-28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US11646081B2 (en) * 2021-08-03 2023-05-09 Sandisk Technologies Llc Reliability compensation for uneven NAND block degra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22054A (zh) 2023-06-23
EP4198987A1 (en) 2023-06-21
US20230197158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7192B2 (en) Memory system performing multi-step erase operation based on stored metadata
CN111798904A (zh) 非易失性存储器装置、其操作方法和存储器系统
EP4163792B1 (en) Storage devices
CN113760794A (zh) 存储装置和操作存储装置的方法
US20230054754A1 (en) Storage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torage devices
EP3958265A1 (en) Operating method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for programming multi-page data
CN114078530A (zh) 存储器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30096554A (ko) 스토리지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61237B2 (en) Storage device accessible on a cell-by-cell basi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20238170A1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6069680A (zh) 控制器、存储设备以及存储设备的操作方法
KR20230093708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
US20230154551A1 (en) Semiconductor device for improving retention perform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49881A (ko) 스토리지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050197A (ko) 스토리지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30039489A1 (en) Semiconductor device performing block progra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152991A1 (en) Storage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torage devices
US11289150B2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20230072363A (ko) 스토리지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069802A (ko) 리텐션 성능 개선을 위한 반도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50918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저장 장치, 스토리지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및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JP2024031843A (ja) メモリコントローラとストレージ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20230050020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8136076A (zh) 非易失性存储器装置和存储装置
TW202324114A (zh) 記憶體系統和操作記憶體控制器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