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176A -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과 접촉 시스템 및 부하시 탭 절환기 - Google Patents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과 접촉 시스템 및 부하시 탭 절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176A
KR20230091176A KR1020237018062A KR20237018062A KR20230091176A KR 20230091176 A KR20230091176 A KR 20230091176A KR 1020237018062 A KR1020237018062 A KR 1020237018062A KR 20237018062 A KR20237018062 A KR 20237018062A KR 20230091176 A KR20230091176 A KR 20230091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oad tap
unit
chang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579B1 (ko
Inventor
보리슬라프 바실레프
게오르기 마네프
토도르 코케프
앙겔 미하일로프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9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16Contact arrangements for tap cha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30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in supporting 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27Opera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1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by rolling; by wrapping; Roller or ball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10) 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서로 결합된 커넥터 본체 (11) 및 접촉 홀더 (12)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 (11) 는 상기 접촉 홀더 (12) 를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의 접촉부 (2) 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유닛 (10) 은 추가로, 상기 접촉 홀더 (12) 에 결합되고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장치 (30) 의 접촉 요소 (31) 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 요소 (17) 를 포함한다. 접촉 유닛 (10) 은 추가로, 상기 접촉 요소 (17) 가 상기 커넥터 본체 (1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Tl, T2) 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동되고 선형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접촉 홀더 (12) 에 결합된 구동 및 안내 수단 (13, 15, 16)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과 접촉 시스템 및 부하시 탭 절환기
본 발명은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및 접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탭 절환기들은 예를 들어 가변 권선비들이 별개의 단계들에서 선택되게 하는 변압기들의 메커니즘을 실현한다. 문헌 CN 2 182 448 Y 는 변압기의 탭핑 스위치를 위한 롤링 컨택트를 개시한다. 원래의 슬라이딩 이동 접촉은 구름 이동 접촉으로 변경된다. 가이드 제한 홈에는 이동 접점, 푸시 로드, 코어 샤프트 및 스프링이 모두 배치된다. 문헌 WO 2017/036496 Al, EP 0399486 A2 및 US 2003/102205 A1 은 탭 절환기를 위한 추가의 스위칭 또는 접촉 배열을 개시한다. 이동가능한 그리고 고정된 전기적으로 맞물리는 접점들의 관점에서, 낮은 마모 및 응력을 갖는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도전이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메커니즘을 허용하고 상호작용하는 컴포넌트들의 낮은 마모 및 응력에 기여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및 접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은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 본체 및 접촉 홀더를 포함하고, 커넥터 본체는 접촉 홀더를 부하시 탭 절환기의 접점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유닛은, 접촉 홀더에 결합되고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장치의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 요소를 더 포함한다. 접촉 유닛은 접촉 요소가 커넥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동되고 선형 안내되도록 접촉 홀더에 결합되는 구동 및 안내 수단을 더 포함한다. 구동 및 안내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 베어링 및 베어링 내부에 배치된 축을 포함하고 이들은 접촉 유닛의 접촉 요소의 선형 안내 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설명된 접촉 유닛의 사용에 의해,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선형 안내식 접촉 시스템은 낮은 비용으로 실현가능하고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기능을 허용한다. 접촉 유닛은,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전력 다이버터 스위치의 선택기에서 전압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고정 접촉부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가동 접촉부를 구현할 수 있다.
칼럼 타입 부하시 탭 절환기들에서의 선택기 메커니즘들의 접촉 시스템들에 대한 통상적인 설계들은 각각의 홀수 및 짝수 탭 위치들의 배치에 대응하는 각도로 서로 인접한 정적 홀더 또는 조인트 상에 배치된 하나 또는 몇몇 세트의 전류 운반 접촉부들로 구성된다는 것이 본 개시의 인식이다. 이러한 정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부하시 탭 절환기의 주축에 동심인 회전축 주위에 정의된다. 이렇게 형성된 회전 레버 메커니즘은 메커니즘의 단부, 즉 결합 접점에 힘 집중을 야기하고, 이는 이러한 시스템의 전체 강성에 기능적으로 구속되는 마모 및 응력을 초래한다. 더욱이, 종래의 메커니즘들은 일반적으로 정확하고 안전한 접촉 결합이 제공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해 정렬을 위한 여러 단계들이 충족되어야 하는 설치 단계 동안 복잡성과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설명된 접촉 유닛은 접촉 요소의 선형 안내의 구현으로 인한 전술한 어려움들에 대항할 수 있고, 이는 상호 작용하는 접촉부들의 구현을 통한 접촉 응력의 감소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고정된 접촉부들에 조립되고 맞물릴 때에 접촉부들의 후퇴를 가능하게 한다.
접촉 유닛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촉 요소는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접촉 장치의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회전가능한 롤러를 포함한다. 회전가능하고 전기 전도성인 롤러를 사용하는 것은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접촉 장치의 대응하는 접촉 요소들과의 결합에 대해 낮은 마모 및 응력에 기여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접촉 유닛의 접촉 요소는 접촉 장치의 대응하는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동 및 안내 수단은 접촉 유닛의 접촉 요소를 커넥터 본체로부터 멀리 구동하는 스프링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된 장력식 또는 편향식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링 요소는 예를 들어 접촉 장치의 대응하는 고정 접촉 요소를 향해 접촉 요소를 원하는 방향으로 미는 힘을 신뢰성 있게 제공하기 위해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요소를 실현한다. 더욱이,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힘 작용 요소가 또한 접촉 유닛의 접촉 요소에 작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동 및 안내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 베어링 및 베어링 내부에 배치된 축을 포함하고 이들은 접촉 유닛의 접촉 요소의 선형 안내 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스프링 요소와 조합하여, 비교적 낮은 마찰을 유발하여 낮은 마모 및 응력에 기여하는 스프링-부하식 및 선형 안내식 접촉 유닛이 실현가능한 한편, 신뢰성있는 전기 접촉 결합 및 안전한 전류 전도 및/또는 전력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동 및 안내 수단은 2개 이상의 선형 베어링들 및 연관된 베어링 내부에 배열된 대응하는 축들을 포함한다. 접촉 유닛의 접촉 요소는 접촉 장치의 대응하는 접촉 요소를 향한 접촉 요소의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안내 이동을 제공하도록 베어링들 사이에 배열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촉 유닛은 접촉 유닛의 2개 이상의 접촉 요소로 인해 접촉 장치의 접촉 요소와의 확실한 전기적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추가의 접촉 홀더, 추가의 접촉 요소, 및 추가의 구동 및 안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촉 홀더들, 접촉 요소들 및 대응하는 구동 및 안내 수단들은 대응하는 접촉 요소들이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방향들이 소정의 각도를 둘러싸도록 커넥터 본체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접촉 장치의 대응하는 접촉 요소의 상부 및/또는 하부 위치에서의 전압 전달을 위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요소들 사이의 안전한 상호 작용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특정 정도로 이동의 자유를 허용하고, 결합 프로세스들 동안 낮은 마모 및 감소된 기계적 응력에 추가로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접촉 시스템은 전술한 접촉 유닛의 일 실시형태 및 접촉 유닛과 접촉 장치의 접촉 요소들의 결합 및 상호작용으로 인해 전력 공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접촉 요소 및 접촉 단자를 갖는 접촉 장치를 포함한다. 그 결과, 접촉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접촉 유닛의 일 실시형태를 포함하고, 접촉 유닛의 특징들 및 특성들이 또한 접촉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접촉 유닛은 접촉 시스템의 가동 접촉 요소에 배치되는 가동 접점을 구현할 수 있는 반면, 접촉 장치는 소정의 위치에 조립되는 고정 접점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접촉 장치를 향한 접촉 유닛의 이동으로 인해, 전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기적 결합이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촉 유닛은 위치적으로 고정된 접촉을 구현할 수 있는 반면, 접촉 장치는 접촉 유닛을 향한 접촉 장치의 이동에 의해 전기적 결합이 설정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촉 시스템의 접촉 유닛과 접촉 장치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장치는 접촉 유닛과 협력하여, 낮은 마찰 및 감소된 기계적 응력들을 제공하도록 그리고 상호작용하는 접촉 요소들의 신뢰성, 조립의 용이성 및 심지어 자가-정렬에 기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접촉 장치의 접촉 요소는 만곡된 형상을 포함하고, 링 섹션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은 각각의 원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가동 접촉 유닛에 대해 유리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촉 유닛 및 접촉 장치의 접촉 요소들은 접촉 유닛의 접촉 요소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어비를 설정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는 회전가능한 접촉 링, 및 접촉 유닛 및 접촉 장치를 포함하는 전술한 접촉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접촉 장치는 고정식으로 구성되고, 접촉 유닛은 회전가능한 접촉 링에 연결되며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접촉 유닛의 접촉 요소는 커넥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접촉 장치의 고정 접촉 요소를 향해 구동되어 선형 안내된다.
그 결과, 부하시 탭 절환기가 전술한 바와 같은 접촉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결과로서, 접촉 장치뿐만 아니라 접촉 시스템 및 접촉 유닛의 특징 및 특성이 또한 부하시 탭 절환기에 대해 개시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개략도들 및 참조 번호들의 도움으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은 다음을 나타낸다:
도 1 은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접촉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접촉 시스템의 접촉 유닛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의 접촉 시스템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4 는 접촉 시스템의 접촉 유닛의 부품들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첨부 도면은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 또는 부품을 나타낸다. 요소들 또는 부품들이 상이한 도면들에서 그 기능의 관점에서 서로 대응하는 한, 그 설명은 다음의 도면들 각각에 대해 반복되지 않는다. 명료성을 위해, 요소들은 가능하게는 모든 도면들에서 대응하는 참조 심볼들과 함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도 1 은 탭 변경 동안 공급 중단 없이 별개의 단계들에서 가변 권선비들이 선택될 수 있게 하는 변압기용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구성요소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부하시 탭 절환기는 탭 변경 및 전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종축(L)에 대해 이동가능한 하나 이상의 회전가능 접촉 링(2)을 포함한다. 부하시 탭 절환기는 대응하는 전기 접촉 요소(17, 31)(또한 도 3 참조)의 결합으로 인한 전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여 구성 및 배열되는 복수의 접촉 유닛(10) 및 접촉 장치(30)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접촉 유닛(10) 및 대응하는 접촉 장치(30)는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접촉 시스템(1)을 구현한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각각의 접촉 유닛(10)이 접촉 유닛(10)의 접촉 본체(11)를 통해 대응하는 접촉 링(2)에 배열된다. 회전가능 링(2)에서의 그의 배열로 인해, 접촉 유닛(10)은 가동 접촉부를 실현하는 반면, 접촉 장치(30)는 적소에 고정된 고정 접촉부를 실현한다. 따라서, 접촉 링들(2) 중 하나의 회전으로 인해, 대응하게 배열된 접촉 유닛(10)은 접촉 요소(17, 31)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도록 접촉 장치들(30) 중 하나를 향해 또한 회전된다.
도 2 는 접촉 유닛(10)의 구성요소와 그 조립 옵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접촉 유닛(10)은 커넥터 본체(11) 및 2개의 접촉 홀더(12)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커넥터 본체(11)는 접촉 홀더(12)와 접촉 유닛(10)을 부하시 탭 절환기의 접촉 링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유닛(10)은 각각의 접촉 홀더(12)에 속하는 전기 롤러들로서 형성되는 2개의 접촉 요소(17)를 더 포함한다. 접촉 요소(17)는, 고정되지만 축(18)으로 인해 회전가능한 접촉 홀더(12)에 결합된다. 접촉 유닛(10)의 접촉 요소(17)는 전기 접촉 단자(32)(도 3 참조)를 더 포함하는 접촉 장치(30)의 대응하는 접촉 요소(31)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유닛(10)은 각각의 접촉 홀더(12)를 위한 구동 및 안내 수단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구동 및 안내 수단은 2개의 선형 볼 또는 슬라이딩 베어링(15), 2개의 축(13) 및 접촉 홀더(12)에 결합된 스프링(16)을 포함하여, 각각의 접촉 요소(17)가 스프링-로딩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동되고, 커넥터 본체(11)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고정 접촉 장치(30)의 접촉 요소(31)를 향해 대응하는 방향(T1 또는 T2)으로 선형 안내된다.
접촉 본체(11)는 축들(13)과 예를 들어 잠금 나사들로서 형성된 잠금 요소들(14)에 의해 2개의 롤러 접촉 홀더들(12)을 연결하는 메인 블록을 구현한다. 그 관련 방향(T1 또는 T2)을 따른 각각의 접촉 홀더(12)의 선형 이동은 선형 볼 베어링(15)에 의해 제공되고, 보유 운동/힘은 삽입된 스프링(16)에 의해 인가된다. 롤러 접촉 요소(17)는 접촉 장치(30)의 접촉 요소(31)의 대응하는 접촉 표면(311)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 표면(171)을 포함한다.
접촉 유닛(10)의 선택기 접촉부(21)와 접촉 장치(30) 사이의 전기 접촉은 고정 접촉 요소(31)와 가동 선택기 접촉 요소(17) 사이의 접촉 표면(171, 311)의 접촉으로 인해 제공된다. 이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대해 회전가능 롤러로서 구현되는 접촉 요소(17)를 통해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요소(17)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지 않은 슬라이더로서 실현될 수 있다. 롤러 또는 슬라이더는 모두 접촉 장치(30)의 접촉 요소(31)의 만곡된 형상과 협력하여 구성된 만곡된 형상을 포함한다. 이는 낮은 마찰 및 낮은 기계적 응력을 갖는 접촉 요소(17, 31)의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전기적 결합을 각각 가능하게 한다.
접촉 요소(17)는 축(18)으로 인해 그 자리에 유지된다. 전류는 가요성 연결부(19) 및 연결 단자(20)를 통해 균일하게 분배된다. 힘이 롤러 또는 슬라이더 접촉 요소(17)에 인가될 때, 접촉 홀더(12)는 그들의 축(13) 및 선형 볼 베어링(15)을 통해 병진운동하고, 스프링(16)은 변형되고 전체 접촉 홀더(12)는 후퇴한다. 이러한 이동은 롤러 또는 슬라이더 접촉 요소(17) 상의 전체 마모를 감소시키고, 고정 접촉 요소(31)와 가동 접촉 요소(17)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며, 선형 볼 베어링(15)으로 인해 선형 안내가 적용된다.
설명된 선형 안내식 롤러/슬라이더 접촉 시스템(1)은 부하시 탭 절환기의 선택기에 가동 접촉부의 캐리어를 실현하고, 전기적 결합 및 동력 전달의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메커니즘을 허용하며, 상호작용 구성요소들의 낮은 마모 및 기계적 응력에 기여한다. 접촉 시스템(1)의 후퇴가능성은 조립 및 작동 중에 또한 더 용이한 결합 및 자가-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언급된 바와 같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부하시 탭 절환기를 위한 개선된 접촉 시스템(1)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따라서, 이들은 가능한 배열들에 따른 모든 실시예들의 완전한 리스트를 구성하지 않는다. 접촉 유닛(10), 접촉 장치(30) 및/또는 접촉 시스템(1)의 실제 배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를 수 있다.
1 접촉 시스템
2 접촉 링
10 가동 접촉 유닛
11 커넥터 본체
12 접촉 홀더
13 축
14 잠금 요소
15 선형 볼 베어링
16 스프링
17 접촉 유닛의 접촉 요소
171 접촉 표면
18 축
19 연결부
20 연결 단자
21 선택기 접점
30 고정 접촉 장치
31 접촉 요소
311 접촉 표면
32 접촉 단자
L 접촉 링의 종축
T1 베어링 병진운동 방향
T2 베어링 병진운동 방향

Claims (11)

  1.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10) 으로서,
    - 서로 결합된 커넥터 본체 (11) 및 접촉 홀더 (12) 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 (11) 는 상기 접촉 홀더 (12) 를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의 접촉부 (2) 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커넥터 본체 (11) 및 접촉 홀더 (12),
    - 상기 접촉 홀더 (12) 에 결합되고,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장치 (30) 의 접촉 요소 (31) 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 요소 (17), 및
    - 상기 접촉 요소 (17) 가 상기 커넥터 본체 (1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Tl, T2) 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동되고 선형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접촉 홀더 (12) 에 결합된 구동 및 안내 수단 (13, 15, 16)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및 안내 수단은 상기 접촉 유닛 (10) 의 상기 접촉 요소 (17) 의 선형 안내 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선형 볼 베어링 (15) 및 상기 베어링 (15) 내부에 배치된 축 (13) 을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유닛 (10) 의 상기 접촉 요소 (17) 는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장치 (30) 의 접촉 요소 (31) 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회전가능한 롤러를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유닛 (10) 의 상기 접촉 요소 (17) 는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장치 (30) 의 접촉 요소 (31) 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1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및 안내 수단은 상기 접촉 유닛 (10) 의 상기 접촉 요소 (17) 를 상기 커넥터 본체 (11) 로부터 멀어지게 구동하는 스프링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 (16) 을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1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및 안내 수단은 추가 선형 베어링 (15) 및 상기 추가 선형 베어링 (15) 내부에 배치된 추가 축 (13) 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유닛 (10) 의 상기 접촉 요소 (17) 는 베어링들 (15) 사이에 배치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1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커넥터 본체 (11) 에 결합된 추가 접촉 홀더 (12),
    - 상기 추가 접촉 홀더 (12) 에 결합되고, 상기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장치 (30) 의 접촉 요소 (31) 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추가 접촉 요소 (17), 및
    - 상기 추가 접촉 요소 (17) 가 상기 커넥터 본체 (1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Tl, T2) 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동되어 선형 안내되도록 상기 추가 접촉 홀더 (12) 에 결합된 추가 구동 및 안내 수단 (13, 15, 16) 을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10).
  7. 제 6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접촉 요소들 (17) 이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방향들 (Tl, T2) 이 미리 결정된 각도를 둘러싸도록 접촉 홀더들 (12), 접촉 요소들 (17) 및 대응하는 구동 및 안내 수단들 (13, 15, 16) 이 상기 커넥터 본체 (11) 에 결합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 (10).
  8.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시스템 (1) 으로서,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촉 유닛 (10), 및
    - 상기 접촉 유닛 (10) 및 상기 접촉 장치 (30) 의 접촉 요소들 (17, 31)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접촉 요소 (31) 및 접촉 단자 (32) 를 갖는 접촉 장치 (30) 를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시스템 (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장치 (30) 의 상기 접촉 요소 (31) 는 만곡된 형상을 포함하고 링 섹션을 따라 연장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시스템 (1).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유닛 (10) 및 상기 접촉 장치 (30) 의 상기 접촉 요소들 (17, 31) 은 상기 접촉 유닛 (10) 의 상기 접촉 요소 (17) 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 (Tl, T2) 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접촉 표면 (171, 311) 을 포함하는,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시스템 (1).
  11. 기어비 설정을 위한 부하시 탭 절환기로서,
    - 회전가능한 접촉 링 (2), 및
    -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촉 시스템 (1) 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장치는 고정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촉 유닛 (10) 은 그 접촉 요소 (17) 가 상기 커넥터 본체 (11) 로부터 멀어지는 그리고 상기 접촉 장치 (30) 의 상기 접촉 요소 (31) 를 향하는 방향 (Tl, T2) 으로 구동 및 선형 안내되도록 상기 회전가능한 접촉 링 (2) 에 연결되는,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0237018062A 2021-02-16 2022-01-12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과 접촉 시스템 및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628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57407.4 2021-02-16
EP21157407.4A EP4044206A1 (en) 2021-02-16 2021-02-16 Contact unit and contact system for an on-load tap changer and on-load tap changer
PCT/EP2022/050539 WO2022174993A1 (en) 2021-02-16 2022-01-12 Contact unit and contact system for an on-load tap changer and on-load tap c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176A true KR20230091176A (ko) 2023-06-22
KR102628579B1 KR102628579B1 (ko) 2024-01-23

Family

ID=7466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062A KR102628579B1 (ko) 2021-02-16 2022-01-12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과 접촉 시스템 및 부하시 탭 절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240006132A1 (ko)
EP (1) EP4044206A1 (ko)
KR (1) KR102628579B1 (ko)
CN (1) CN116490946B (ko)
WO (1) WO202217499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9486A2 (en) * 1989-05-26 1990-11-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oller contact device
EP0577963A1 (de) * 1992-07-09 1994-01-12 Wolfgang Dipl.-Ing. Rixen Linearführung
US20030102205A1 (en) * 2000-10-13 2003-06-05 Reinhold Baertl Mechanical switching contact
WO2017036496A1 (de) * 2015-08-28 2017-03-0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umschalter für einen laststufenschalter und dauerhauptschalter und trennschalter hierfü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91475U (de) * 1964-02-14 1964-04-23 Hugo Miebach G M B H Stufenschalter, insbesondere transformatoren-stufenschalter.
CN2182448Y (zh) * 1993-08-29 1994-11-09 刘刚 变压器分接开关滚动式触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9486A2 (en) * 1989-05-26 1990-11-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oller contact device
EP0577963A1 (de) * 1992-07-09 1994-01-12 Wolfgang Dipl.-Ing. Rixen Linearführung
US20030102205A1 (en) * 2000-10-13 2003-06-05 Reinhold Baertl Mechanical switching contact
WO2017036496A1 (de) * 2015-08-28 2017-03-0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umschalter für einen laststufenschalter und dauerhauptschalter und trennschalter hierf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95333A1 (en) 2023-12-07
EP4044206A1 (en) 2022-08-17
CN116490946A (zh) 2023-07-25
CN116490946B (zh) 2024-03-01
US20240006132A1 (en) 2024-01-04
WO2022174993A1 (en) 2022-08-25
KR102628579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4387B1 (en) Selector switch assembly for load tap changer
JP4588880B2 (ja) 選択器を有する負荷時タップ切換器
KR102628579B1 (ko)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접촉 유닛과 접촉 시스템 및 부하시 탭 절환기
KR102642659B1 (ko) 부하시 탭 절환기용 스위칭 시스템, 부하시 탭 절환기 및 부하시 탭 절환기의 탭 연결을 스위칭하는 방법
CN113745014B (zh) 一种有载分接开关的往复式切换机构
KR102642658B1 (ko) 부하시 탭 절환기용 스위칭 시스템, 부하시 탭 절환기 및 부하시 탭 절환기의 탭 연결을 스위칭하는 방법
CA2237410C (en) Diverter switch and link system for load tap changer
JP7480015B2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タップ選択器
JPH11283849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
WO2021229736A1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蓄勢機構および負荷時タップ切換器
US11942293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 vacuum interrupter for a power diverter switch, a power diverter switch and an on-load tap changer
US20230317389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vacuum interrupter for a power diverter switch, a power diverter switch and an on-load tap changer
CN113745039B (zh) 一种有载分接开关的隔离开关
US20220384123A1 (en) Vacuum interrupter module for a tap changer, power diverter switch, and tap changer
CN217768144U (zh) 一种隔离触头及具有该隔离触头的真空有载分接开关
KR20230080503A (ko) 부하시 탭 절환기용의 스위칭 시스템, 부하시 탭 절환기 및 부하시 탭 절환기의 탭 연결의 스위칭 방법
CN117976439A (zh) 一种多功能转换开关
JP2020181749A (ja) 断路器又は接地開閉器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