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701A -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701A
KR20230090701A KR1020210179688A KR20210179688A KR20230090701A KR 20230090701 A KR20230090701 A KR 20230090701A KR 1020210179688 A KR1020210179688 A KR 1020210179688A KR 20210179688 A KR20210179688 A KR 20210179688A KR 20230090701 A KR20230090701 A KR 20230090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oading box
cargo
box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701A/ko
Publication of KR2023009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2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divided into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02Large container rigid
    • B65D2588/12Large container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의 오픈된 방향을 향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동회전축; 상기 적재함 내에서 직선 슬라이딩하고, 상기 적재함 외부에서 상기 이동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재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CARGO LOAD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을 용이하게 상차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화물 적재함은 단순히 화물을 적재할 공간만을 구비하고, 차량의 후방 또는 측방을 오픈하여, 화물을 상차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화물의 상차 또는 하차 시에 적재함에 작업자가 직접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작업자의 적재함 탑승 및 하차 등으로 인한 작업 피로도를 증가의 원인 또는 각종 안전 사고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하거나 하차할 때, 효율적인 상하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하고 안전 사고의 발생 위험을 저감 내지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취급되는 화물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는,
적재함의 오픈된 방향을 향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동회전축;
상기 적재함 내에서 직선 슬라이딩하고, 상기 적재함 외부에서 상기 이동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재트레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회전축은 상기 적재함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트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회전축은 상기 적재함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멤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트레이에는 상기 이동회전축과 상대적인 직선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회전축은 상기 적재함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멤버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릿지멤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에는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적재트레이가 병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적재트레이는 상대적으로 수평방향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함께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상기 길이가 짧은 적재트레이가 탑재된 부위에는 상기 적재함의 직선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칸막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적재트레이는 상대적으로 수평방향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함께 설치되고;
상기 길이가 짧은 적재트레이는 상기 적재함에 구비된 칸막이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방향은 차량의 후방일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방향은 차량의 측방일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곳에는 상측으로 감아 올려서 상기 적재함을 오픈시키도록 구성된 롤업식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곳에는 측방으로 다수회 접혀서 상기 적재함을 오픈시키도록 구성된 폴딩식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트레이에는 다수의 선반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하거나 하차할 때, 효율적인 상하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하고 안전 사고의 발생 위험을 저감 내지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취급되는 화물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상측에서 볼 때, 적재트레이의 직선 슬라이딩 및 회전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실시예의 적재트레이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실시예의 적재트레이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3실시예의 적재트레이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에서 차량 측방에 도어가 구비되는 예를 설명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에서 차량 후방이 도어가 구비되는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의 실시예들은 공통적으로, 적재함(1)의 오픈된 방향을 향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동회전축(3); 상기 적재함(1) 내에서 직선 슬라이딩하고, 상기 적재함(1) 외부에서 상기 이동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재트레이(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적재트레이(5)는 적재함(1)에 탑재된 상태와, 상기 적재함(1) 내에서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적재함(1)의 오픈된 방향으로 돌출된 후, 상기 이동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적재트레이(5)가 적재함(1)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의해 작업자는 상기 적재함(1)에 탑승하지 않고도, 상기 적재트레이(5)에 용이하게 화물을 상차하거나 하차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상하차 작업이 가능하고, 피로도가 저감되며, 안전 사고의 발생 위험이 현저히 저감되고, 화물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회전축(3)은 상기 적재함(1)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트레이(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회전축(3)은 상기 적재함(1)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멤버(7)에 구비된다.
즉,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개념을 설명한 것으로서, 차량의 적재함(1)에는 다수의 적재트레이(5)가 탑재되고, 상기 적재트레이(5)는 적재함(1)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멤버(7)에 상기 이동회전축(3)으로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멤버(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 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9)을 타고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멤버(7)에는 상기 이동회전축(3)이 설치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회전축(3)은 상기 적재함(1)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물론, 실질적으로 화물을 적재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재트레이(5)는 상기 이동회전축(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베이스멤버(7)에 설치된 이동회전축(3)이 적재함(1)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트레이(5)를 회전시키면, 넓은 각도로 상기 적재트레이(5)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이 원하는 유리한 상태로 상기 적재트레이(5)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화물의 상차 또는 하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트레이(5)에는 상기 이동회전축(3)과 상대적인 직선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가이드(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멤버(7)와 적재트레이(5)가 모두 상기 적재함(1)에 수용될 때, 상기 적재트레이(5)와 상기 이동회전축(3) 사이의 상대적인 직선 슬라이딩이 허용되게 된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8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는 상기 도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멤버(7)의 단부에 상기 이동회전축(3)이 구성되어, 상기 적재트레이(5)가 직접 상기 베이스멤버(7)에 연결된 구조이다.
한편, 도 9의 제4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회전축(3)은 상기 적재함(1)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멤버(7)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릿지멤버(13)에 구비된다.
즉, 상기 베이스멤버(7)와 적재트레이(5) 사이에 상기 브릿지멤버(13)가 추가로 개재된 구성이다.
물론, 상기 브릿지멤버(13)도 상기 베이스멤버(7)에 대해 회전 및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회전축(3)과의 구별을 위해, 상기 브릿지멤버(13)와 베이스멤버(7) 사이의 회전축을 여기서는 힌지(15)로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멤버(13)에도 상기 적재트레이(5)의 축가이드(11)에 해당하는 힌지가이드가 구비되지만, 도면의 혼잡을 피하기 위해 표시하지 않기로 한다.
따라서,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에 탑재된 다수의 적재트레이(5)는, 적재트레이(5)가 상기 브릿지멤버(13)에 대해 회전하거나, 상기 브릿지멤버(13)가 베이스멤버(7)에 대해 회전할 수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적재트레이(5)의 측면이 모두 후방으로 노출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두 적재트레이(5)에 화물을 보다 용이하게 상차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1)에는 상기 적재함(1)의 오픈된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적재트레이(5)가 병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3의 제1실시예, 도 5의 제2실시예, 도 7의 제3실시예 및 도 9의 제4실시예 모두 다수의 적재트레이(5)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병렬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참고로, 도 4는 도 3의 제1실시예에서 하나의 적재트레이(5)가 차량 후방으로 직선 슬라이딩한 후, 좌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다수의 적재트레이(5)는 상대적으로 수평방향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함께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1)의 상기 길이가 짧은 적재트레이(5)가 탑재된 부위에는 상기 적재함(1)의 직선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칸막이(1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2실시예에서 2개의 적재트레이(5)가 차량 측방으로 직선 슬라이딩한 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측의 적재트레이(5)는 하측의 적재트레이(5)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적재트레이(5)는 상대적으로 수평방향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함께 설치되고; 상기 길이가 짧은 적재트레이(5)는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된 칸막이(17)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제3실시예에서 3개의 적재트레이(5)가 차량 측방으로 직선 슬라이딩한 후, 회전된 상태를 설명하고 있으며, 우측 상측의 적재트레이(5)와 좌측의 적재트레이(5)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것으로 구성되고, 하측의 적재트레이(5)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적재함(1)은 차량의 양쪽 측방이 모두 개방될 수 있도록 차량 양측에 도어가 구비된다.
도 3의 제1실시예 또는 도 9의 제4실시예와 같이 상기 적재함(1)의 오픈된 방향은 차량의 후방일 수 있다.
이 경우 적재함(1)의 후방에는 도 11과 같이 개폐할 수 있는 도어(19)가 구비된다.
한편, 도 5의 제2실시예 또는 도 7의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적재함(1)의 오픈된 방향은 차량의 측방일 수 있다.
이 경우, 적재함(1)의 측방에는 도 10과 같이 개폐 가능한 도어(19)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9)는 다수의 수평방향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상측으로 감아 올려서 상기 적재함(1)을 오픈시키도록 구성된 롤업식 도어(19)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롤업식 도어 자체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9)는 다수의 수직방향 플레이트가 측방으로 다수회 접혀서 상기 적재함(1)을 오픈시키도록 구성된 폴딩식 도어(19)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폴딩식 도어 자체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상기 도어(19)는 상기 적재트레이(5)가 적재함(1)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하여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될 때, 장애가 되지 않도록 구성된, 다른 형식의 도어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적재트레이(5)에는 다수의 선반(21)이 구비되도록 하여, 다수의 화물을 상기 선반(21)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고 체계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적재함
3; 이동회전축
5; 적재트레이
7; 베이스멤버
9; 가이드레일
11; 축가이드
13; 브릿지멤버
15; 힌지
17; 칸막이
19; 도어
21; 선반

Claims (14)

  1. 적재함의 오픈된 방향을 향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이동회전축;
    상기 적재함 내에서 직선 슬라이딩하고, 상기 적재함 외부에서 상기 이동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재트레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회전축은 상기 적재함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트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회전축은 상기 적재함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멤버에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재트레이에는 상기 이동회전축과 상대적인 직선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가이드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회전축과 적재트레이 사이에는, 상기 적재트레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가 더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회전축은 상기 적재함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멤버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릿지멤버에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에는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적재트레이가 병렬적으로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적재트레이는 상대적으로 수평방향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함께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상기 길이가 짧은 적재트레이가 탑재된 부위에는 상기 적재함의 직선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칸막이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적재트레이는 상대적으로 수평방향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함께 설치되고;
    상기 길이가 짧은 적재트레이는 상기 적재함에 구비된 칸막이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방향은 차량의 후방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방향은 차량의 측방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곳에는 상측으로 감아 올려서 상기 적재함을 오픈시키도록 구성된 롤업식 도어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오픈된 곳에는 측방으로 다수회 접혀서 상기 적재함을 오픈시키도록 구성된 폴딩식 도어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재트레이에는 다수의 선반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KR1020210179688A 2021-12-15 2021-12-15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KR20230090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88A KR20230090701A (ko) 2021-12-15 2021-12-15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88A KR20230090701A (ko) 2021-12-15 2021-12-15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701A true KR20230090701A (ko) 2023-06-22

Family

ID=8698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88A KR20230090701A (ko) 2021-12-15 2021-12-15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7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175B2 (en) Container crane
US11352202B2 (en) Foldable frame for containers and hinged member therefor
US9358988B2 (en) Automatic hopper car gate opening and closing system
US10167660B2 (en) Multi-axis hinges and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CN204096250U (zh) 具有锁定装置的移动托盘
CN109017833B (zh) 铁路车辆
US9248871B1 (en) Multi-position endgate system
KR20120063052A (ko) 화물차 적재함의 리어게이트 장치
KR20230090701A (ko) 차량의 화물 적재 구조
CN104176353B (zh) 具有锁定装置的多功能移动托盘
US11254493B2 (en) Foldable container
KR101754199B1 (ko)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US20050122014A1 (en) Container
EP3878757B1 (en) Locking mechanism for fall protection
KR20210004531A (ko)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US3544153A (en) Door structure for open top trailer
KR102596113B1 (ko) 해치 어셈블리
CN210526540U (zh) 用于货车卸货的自锁机构及具有其的铁路货车
KR100526962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게이트 개폐장치
JP2008044519A (ja) 連動式複数段防護壁
KR101347345B1 (ko) 수용공간을 구비한 선박
KR102406040B1 (ko) 적재함 프론트 가드 일체형 캐리어 장치
SU1079476A2 (ru) Складной тент д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SE505939C2 (sv) En konstruktion i en täckt järnvägsvagn
KR200387811Y1 (ko) 컨테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