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587A -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587A
KR20230090587A KR1020210179479A KR20210179479A KR20230090587A KR 20230090587 A KR20230090587 A KR 20230090587A KR 1020210179479 A KR1020210179479 A KR 1020210179479A KR 20210179479 A KR20210179479 A KR 20210179479A KR 20230090587 A KR20230090587 A KR 2023009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bead
bead
longitudinal direction
roll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우
김돈건
김휘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7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587A/ko
Priority to PCT/KR2022/020308 priority patent/WO2023113455A1/ko
Publication of KR2023009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8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with die parts on rotating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은,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형성된 측벽과, 양측 상기 측벽의 상단을 이어주는 상판을 가진 부품본체; 및 상기 부품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굽힘형성된 단부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부품본체는 소재에 스탬핑롤이 복수 번 회전압박하는 롤스탬핑의 연속적인 반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품본체는, 상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비드를 가진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단부플랜지의 이음부분으로서 상기 몸체부 및 단부플랜지와 일체형이며, 상판이 평평한 경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IMPACT REINFORCEMENT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시트 크로스 멤버와 같이 충돌대비를 위해 강성이 보강된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롤스탬핑(Roll Stamping) 기술은 기등록 특허인 롤스탬핑장치 (등록번호 10-1417278), 롤스탬핑 장치(등록번호 10-1786260), 롤스탬핑 장치 및 방법(등록번호 10-1917450)에서 설명이 되어있는 기술이다.
롤스탬핑 기술의 핵심은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변화하는 형상의 부품을 롤포밍(Roll Forming)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그런데, 길이방향으로 형상변화가 있는 부품은 통상적인 롤포밍(Roll Forming) 공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금형을 이용하는 프레스 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소재의 강도가 높을 경우 크기가 큰 부품의 성형에는 매우 높은 프레스 용량이 필요하므로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롤스탬핑은 이와 같은 제약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다만, 롤스탬핑은 기본적으로 롤포밍 장치를 이용하는 기술이므로 길이가 매우 긴 부품이 길이방향 형상변화가 있을 경우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즉, 스탬핑롤 둘레에 부품의 길이방향 형상을 새겨야 하므로 부품의 길이가 길 경우 스탬핑롤 직경이 커져야 하는데, 이러한 스탬핑롤 직경의 증가는 롤포밍 장치를 전체적으로 상당히 키워야하는 문제로 직결됨에 따라, 설치공간적인 측면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18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길이가 긴 소재로 부품 제조 시 스탬핑롤 직경의 증가없이도 롤스탬핑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은,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형성된 측벽과, 양측 상기 측벽의 상단을 이어주는 상판을 가진 부품본체; 및 상기 부품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굽힘형성된 단부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부품본체는 소재에 스탬핑롤이 복수 번 회전압박하는 롤스탬핑의 연속적인 반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품본체는, 상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비드를 가진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단부플랜지의 이음부분으로서 상기 몸체부 및 단부플랜지와 일체형이며, 상판이 평평한 경계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판에 상기 비드가 형성된 비드영역; 및 복수 개의 상기 비드영역 사이에 위치되며 상판이 평평한 중간부 노비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드영역은 상기 비드가 상판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 노비드영역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경계부와 단부플랜지를 합한 길이방향 길이의 2배와 같거나 2배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탬핑롤을 복수 번 회전압박시켜 롤스탬핑을 연속으로 반복하는 롤스탬핑단계; 및 상기 소재의 양단부 각각을 굽혀서 단부플랜지를 형성시키는 플랜지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롤스탬핑단계에서, 상기 소재에 복수 개의 비드영역과, 복수 개의 상기 비드영역 사이에 중간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고, 양단부 각각에 단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스탬핑단계는, 상기 소재에 상기 스탬핑롤을 복수 번 압박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절곡시켜 양측 측벽 및 상판을 형성시키는 전체절곡공정; 상기 소재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평평한 상판을 형성시켜 상기 단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제1 단부 노비드공정; 상기 소재의 상판에 복수 개의 비드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시켜 복수 개의 상기 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비드공정; 복수 개의 상기 비드 사이에 평평한 상판을 형성시켜 상기 중간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중간부 노비드공정; 및 상기 소재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평평한 상판을 형성시켜 상기 단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제2 단부 노비드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 노비드공정, 비드공정, 중간부 노비드공정, 및 제2 단부 노비드공정은 상기 전체절곡공정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부 노비드공정은 상기 비드공정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부 노비드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중간부 노비드영역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단부 노비드공정 또는 제2 단부 노비드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부 노비드영역의 길이방향 길이의 2배와 같거나 2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은 소재에 스탬핑롤이 복수 번 회전압박하는 롤스탬핑의 연속적인 반복으로 부품본체가 형성됨으로써, 부품본체의 몸체부에는 비드영역이 형성되고, 노비드 영역을 가진 경계부가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단부플랜지로 이어지는 일체형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몸체부의 비드영역에 의해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경계부의 노비드영역에 의해 단부플랜지의 굽힘변형 형성이 원활하면서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은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탬핑롤을 복수 번 회전압박시켜 롤스탬핑을 연속으로 반복하는 롤스탬핑단계가 구성됨으로써, 길이방향의 형상변화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부품을 구성시키면서 길이가 매우 긴 부품을 스탬핑롤의 직경 증가없이도 제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술된 경계부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크로스 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5의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에서 롤스탬핑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크로스 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시트 크로스 멤버(10)는 차량에서 충돌에 대비한 보강부품, 즉 충돌보강부품(1000)으로서 차량의 하부에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 크로스 멤버(10)는 모자형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서 1개의 단위부품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시트 크로스 멤버(10)는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형상의 변화가 없음에 따라 롤포밍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즉, 롤포밍 부품의 양쪽 끝단에 후가공으로 플랜지(11)를 생성시킴으로써 실 사이드(20)에 용접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양측 측벽(10a)과 평평한 상판(10b)으로만 형성된 구조에 의해서는 충돌에 대비한 보강이 부족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판(U)에 비드(상측으로 융기된 부분)가 포함된 시트 크로스 멤버가 제조될 수 있다.
그런데 상판(U) 전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비드가 형성된 경우에는, 즉 길이방향 양끝단까지 비드가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제조과정에 있어서 굽힘변형시키는 플랜지의 생성이 매우 어렵게 된다.
다시 말해, 시트 크로스 멤버의 단부가 단순한 모자형 단면이 아니라, 비드로 인하여 여러 번 굴곡(절곡)된 단면 테두리를 가진 복잡한 단면형상을 가짐에 따라, 플랜지 생성을 위해 단부를 굽힘변형시키는 것이 상당히 까다로워지게 된다.
이에 시트 크로스 멤버의 단부에만 비드가 없는 단순 모자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시트 크로스 멤버를 1개의 단위부품이 아닌 복수 개의 단위부품으로 구성된다. 즉, 비드가 있는 구조를 가진 단위부품과 비드가 없는 단순 모자형 단면구조를 가진 별도의 단위부품을 서로 연결(용접 등으로 결합)함으로써, 시트 크로스 멤버를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단부에 비드가 없는 단순 모형 단면구조인 경우 단부를 굽힘변경시켜서 플랜지를 생성하기에는 용이하나, 일체형이 아닌 복수 개의 단위부품이 결합되어 시트 크로스 멤버가 만들어지게 되면, 단위부품들끼리 연결된 부위(일례로서 용접된 부위)의 강성이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떨어짐에 따라 충돌보강부품으로 활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1000)은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부에 비드(111a)가 없는 단순한 단면구조를 가진 경계부(120)가 구성되며, 이러한 경계부(120)는 다른 부분과 별도의 부재가 아닌 일체형 구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부품본체(100)와, 단부플랜지(200)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본체(100)는 소재에 스탬핑롤이 복수 번 회전압박하는 롤스탬핑의 연속적인 반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부품본체(100)는 구조적으로,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형성된 측벽(S)과, 양측 측벽(S)의 상단을 이어주는 상판(U)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단부플랜지(200)는 부품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굽힘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단부플랜지(200)는 일례로서 실사이드와 같은 다른 부품에 용접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상기 부품본체(100)는 몸체부(110)와, 경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판(U)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비드(111a)를 가진다.
또한, 상기 경계부(120)는 몸체부(110)와 단부플랜지(200)와 이음부분으로서 몸체부(110) 및 단부플랜지(200)와 일체형이다.
이때, 경계부(120)의 상판(U)은 비드(111a)가 형성되지 않은 평평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경계부(120)는 실질적으로 길이가 상당히 짧은 부분으로서, 몸체부(110)와 단부플랜지(200) 사이의 경계라인과 같은 부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10)는 비드영역(111)과,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을 포함한다.
상기 비드영역(111)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판(U)에 비드(111a)가 형성된다. 즉, 비드영역(11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중간에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이 있기 때문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비드영역(111)은 후술되는 부품제조방법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롤스탬핑으로 제조됨에 따라 형성된다. 즉 스탬핑롤이 소재를 복수 번 회전압박시킴에 따라 비드(111a)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비드영역(111)은 비드(111a)가 상판(U)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드영역(111)이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면, 충돌보강부품(1000)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상기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은 복수 개의 비드영역(111) 사이에 위치되며 상판(U)이 평평한 구조를 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는 길이방향으로 비드영역(111)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와 같이 이격된 부분인 복수 개의 비드영역(111) 사이에 상판(U)이 평평한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이 형성된다.
스탬핑롤에는 비드(111a)를 형성시키기 위해 요철구조를 가지며, 이와 함께 경계부(120)를 형성시키기 위해 평평한 부분을 가지는데, 스탬핑롤의 크기(직경)가 설치공간측면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적정한 크기(직경)를 가지는 경우 길이가 긴 충돌보강부품(100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복수 번 회전압박함에 따라, 경계부(120)와 같이 상판(U)이 평평한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중간부 노비드영역(112)과 같은 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의 충돌보강부품(1000)은 스탬핑롤의 복수 번 회전압박에 의한 제조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계부(120)는 부품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위치되며, 상판(U)이 평평한 부분으로서 몸체부(110)와 단부플랜지(200)의 경계라인과 같은 부분이며, 단부플랜지(200)가 굽힘형성 시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부플랜지(200)는 굽힘변형되기 전에 경계부(120)로부터 일체형로 연장된 구조를 취하는데, 경계부(120)가 비드(111a)가 없는 단순 모자형 단면구조를 취함으로써, 단부플랜지(200)에 대한 굽힘변형이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번 회전하는 스탬핑롤에 의한 제조방식을 취함에 따라,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의 길이방향 길이는 경계부(120)와 단부플랜지(200)를 합한 길이방향 길이의 2배와 같거나 2배보다 큰 구조를 이루게 된다.
길이가 긴 소재를 가지고 설정된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충돌보강부품(1000)을 제조 시, 복수 개의 충돌보강부품(1000)이 될 수 있도록 소재가 롤스탬핑 된 후 커팅되어 나눠지기 때문에,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의 길이가 상판(U)이 평평한 단부 노비드 영역(121)인 경계부(120)와 단부플랜지(200)를 합한 길이의 2배가 되어야 하며, 커팅 시 일부가 손실될 수도 있기에 충분한 단부플랜지(200)를 형성시키는 것을 고려하여 2배보다 큰 조건을 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도 5의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에서 롤스탬핑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4를 바탕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은 롤스탬핑단계(S100)와, 플랜지형성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롤스탬핑단계(S100)는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탬핑롤을 복수 번 회전압박시켜 롤스탬핑을 연속으로 반복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형성단계(S200)는 롤스탬핑단계(S100) 이후에 진행되는 단계로서, 소재의 양단부 각각을 굽혀서 단부플랜지(200)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의 소재를 가지고 시트 크로스 멤버와 같은 충돌보강부품을 제조 시, 이러한 롤스탬핑단계(S100)와 플랜지형성단계(S200)를 거쳐서 제품이 완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롤스탬핑단계(S100)에서는 소재에 복수 개의 비드영역(111)과, 복수 개의 비드영역(111) 사이에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을 형성시키고, 양단부 각각에 단부 노비드영역(121)을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스탬핑단계(S100)는 전체절곡공정(S110), 제1 단부 노비드공정(S120), 비드공정(S130), 중간부 노비드공정(S130), 및 제2 단부 노비드공정(S150)을 포함한다.
상기 전체절곡공정(S110)에서는 소재에 스탬핑롤을 복수 번 압박회전하면서 소재를 절곡시켜 양측 측벽(S) 및 상판(U)을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단부 노비드공정(S120)에서는, 소재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평평한 상판(U)을 형성시켜 단부 노비드영역(121)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비드공정(S130)에서는, 소재의 상판(U)에 복수 개의 비드(111a)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시켜 복수 개의 비드영역(111)을 형성시킨다.
아울러 상기 중간부 노비드공정(S130)에서는 복수 개의 비드(111a) 사이에 평평한 상판(U)을 형성시켜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을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제2 단부 노비드공정(S150)에서는 소재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평평한 상판(U)을 형성시켜 단부 노비드영역(121)을 형성시킨다.
이때, 제1 단부 노비드공정(S120), 비드공정(S130), 중간부 노비드공정(S130), 및 제2 단부 노비드공정(S150)은 전체절곡공정(S110)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중간부 노비드공정(S130)은 비드공정(S130)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즉, 스탬핑롤이 소재를 복수 번 회전압박하면서 소재에 양측 측벽(S)과 상판(U)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제1 단부 노비드공정(S120), 비드공정(S130), 및 제2 단부 노비드공정(S150)이 수행되며, 이때 비드공정(S130) 과정에서 중간부 노비드공정(S130)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 스탬핑롤이 소재를 복수 번 회전압박하는 과정에서 제1 단부 노비드공정(S120), 비드공정(S130), 중간부 노비드공정(S130), 및 제2 단부 노비드공정(S150)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형성단계(S200)에서는 롤스탬핑단계(S100) 이후에 상면이 평평한 단부 노비드영역(121)을 굽혀서 단부플랜지(200)를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의 길이방향 길이는 단부 노비드영역(121)의 길이방향 길이의 2배와 같거나 2배보다 클 수 있다.
길이가 긴 소재를 가지고 설정된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충돌보강부품(1000)을 제조 시, 복수 개의 충돌보강부품(1000)이 될 수 있도록 소재가 롤스탬핑단계(S100)에서 롤스탬핑 된 후 커팅되어 나눠지기 때문에, 중간부 노비드영역(112)의 길이가 상판(U)이 평평한 단부 노비드 영역(121) 길이의 2배가 되어야 하며, 커팅 시 일부가 손실될 수도 있기에 충분한 단부플랜지(200)를 형성시키는 것을 고려하여 2배보다 큰 조건을 취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1000)은 소재에 스탬핑롤이 복수 번 회전압박하는 롤스탬핑의 연속적인 반복으로 부품본체(100)가 형성됨으로써, 부품본체(100)의 몸체부(110)에는 비드영역(111)이 형성되고, 노비드(111a) 영역을 가진 경계부(120)가 몸체부(110)로부터 연장되어 단부플랜지(200)로 이어지는 일체형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몸체부(110)의 비드영역(111)에 의해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경계부(120)의 노비드영역(111)에 의해 단부플랜지(200)의 굽힘변형 형성이 원활하면서도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은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탬핑롤을 복수 번 회전압박시켜 롤스탬핑을 연속으로 반복하는 롤스탬핑단계(S100)가 구성됨으로써, 길이방향의 형상변화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부품을 구성시키면서 길이가 매우 긴 부품을 스탬핑롤의 직경 증가없이도 제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술된 경계부(120)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부품본체 110 : 몸체부
111 : 비드영역 111a : 비드
112 : 중간부 노비드영역 120 : 경계부
121 : 단부 노비드영역 200 : 단부플랜지
1000 : 충돌보강부품 S : 측벽
U : 상판 S100 : 롤스탬핑단계
S110 : 전체절곡공정 S120 : 제1 단부 노비드공정
S130 : 비드공정 S140 : 중간부 비드공정
S150 : 제2 단부 노비드공정 S200 : 플랜지형성단계

Claims (7)

  1. 길이방향 양측 각각에 형성된 측벽과, 양측 상기 측벽의 상단을 이어주는 상판을 가진 부품본체; 및
    상기 부품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굽힘형성된 단부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부품본체는 소재에 스탬핑롤이 복수 번 회전압박하는 롤스탬핑의 연속적인 반복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품본체는,
    상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비드를 가진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단부플랜지의 이음부분으로서 상기 몸체부 및 단부플랜지와 일체형이며, 상판이 평평한 경계부;
    를 포함하는 충돌보강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판에 상기 비드가 형성된 비드영역; 및
    복수 개의 상기 비드영역 사이에 위치되며 상판이 평평한 중간부 노비드영역;을 포함하는 충돌보강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영역은 상기 비드가 상판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충돌보강부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 노비드영역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경계부와 단부플랜지를 합한 길이방향 길이의 2배와 같거나 2배보다 큰 충돌보강부품.
  5.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탬핑롤을 복수 번 회전압박시켜 롤스탬핑을 연속으로 반복하는 롤스탬핑단계; 및
    상기 소재의 양단부 각각을 굽혀서 단부플랜지를 형성시키는 플랜지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롤스탬핑단계에서,
    상기 소재에 복수 개의 비드영역과, 복수 개의 상기 비드영역 사이에 중간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고, 양단부 각각에 단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탬핑단계는,
    상기 소재에 상기 스탬핑롤을 복수 번 압박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절곡시켜 양측 측벽 및 상판을 형성시키는 전체절곡공정;
    상기 소재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평평한 상판을 형성시켜 상기 단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제1 단부 노비드공정;
    상기 소재의 상판에 복수 개의 비드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시켜 복수 개의 상기 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비드공정;
    복수 개의 상기 비드 사이에 평평한 상판을 형성시켜 상기 중간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중간부 노비드공정; 및
    상기 소재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평평한 상판을 형성시켜 상기 단부 노비드영역을 형성시키는 제2 단부 노비드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 노비드공정, 비드공정, 중간부 노비드공정, 및 제2 단부 노비드공정은 상기 전체절곡공정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부 노비드공정은 상기 비드공정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 노비드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중간부 노비드영역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단부 노비드공정 또는 제2 단부 노비드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부 노비드영역의 길이방향 길이의 2배와 같거나 2배보다 큰 충돌보강부품의 제조방법.
KR1020210179479A 2021-12-15 2021-12-15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0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79A KR20230090587A (ko) 2021-12-15 2021-12-15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2/020308 WO2023113455A1 (ko) 2021-12-15 2022-12-15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79A KR20230090587A (ko) 2021-12-15 2021-12-15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587A true KR20230090587A (ko) 2023-06-22

Family

ID=8677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479A KR20230090587A (ko) 2021-12-15 2021-12-15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0587A (ko)
WO (1) WO202311345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872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포스코 롤 스탬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9716B2 (ja) * 2004-02-16 2010-02-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レス加工方法及びプレス加工装置
JP4769169B2 (ja) * 2006-11-15 2011-09-07 豊臣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
KR20130070388A (ko) *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빔
KR101359164B1 (ko) * 2012-05-16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자동차용 범퍼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872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포스코 롤 스탬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455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018B1 (ko) 판재성형빔 및 그 제조방법
US7971466B2 (en) Press-formed member having corner portion, press-formed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ress-formed member manufacturing method
JP5543756B2 (ja) 車両用バンパ装置
JP5614514B2 (ja) センターピラーリンフォースメントの製造方法
JP6624189B2 (ja) 車体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車両の車体部材
TWI590885B (zh)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formed product and a press-formed product,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s-formed product
US8490987B2 (en) Stabilizer bar
EP1911619B1 (en) Door panel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8120227A (ja) 車両用衝撃吸収具の製造方法
JP6517485B2 (ja) パイプの製造方法
US20170136971A1 (en) Bumper reinforcement
JPH03291115A (ja) 板材から軸芯が屈曲するテーパ管を製造する方法
JP2007533462A (ja) フランジを有する構成要素の内部高圧成形による製造
KR20230090587A (ko) 충돌보강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110630A (ja) 自動車のボディまたは走行機構に用いられる構造体構成部材
JP5392066B2 (ja) フロントピラーの構造及びフロントピラー構成部材の製造方法
JP5072971B2 (ja) 角形状缶
JP2007509795A (ja) ピボットビーム式トーションビームアクスル及びクロスメンバを作製する方法
JP6995708B2 (ja) 車両用補強部材
JP6788828B2 (ja) 車両ルーフ部構造及び車両用ルーフパネルの製造方法
JP5137237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製造方法
JP6712218B2 (ja) 自動車のドアビーム
JP3685710B2 (ja) ラックバー及びその製法
JP4083613B2 (ja) アクスルハウジング
JP5077211B2 (ja) 異形コ字状部を有する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