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744A -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및 융착 접속기 세트 - Google Patents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및 융착 접속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744A
KR20230088744A KR1020237015513A KR20237015513A KR20230088744A KR 20230088744 A KR20230088744 A KR 20230088744A KR 1020237015513 A KR1020237015513 A KR 1020237015513A KR 20237015513 A KR20237015513 A KR 20237015513A KR 20230088744 A KR20230088744 A KR 2023008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aling member
fusion splicer
wal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 료노
가즈후미 조코
도모요시 사사키
류이치로 사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05Side walls formed with an aperture or a movable portion arranged to allow removal or insertion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06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for one specific hand apparatus, e.g. an electric dr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being a tray or like shal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65D2251/1058Latch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3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65D25/2841Horizonta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1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 B65D2543/00175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four straight sides, e.g. trapezium or diamond
    • B65D2543/0019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four straight sides, e.g. trapezium or diamond square or 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51Dome-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융착 접속기(100)의 수용 케이스(1)는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기(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케이스(1)이다. 융착 접속기(100)의 수용 케이스(1)는 제 1 측벽(12)을 갖는 케이스 본체(10)와,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체(30)를 구비한다. 덮개체(30)는 폐쇄했을 때에 제 1 측벽(12)에 맞춰지는 제 2 측벽(32)을 갖는다. 제 1 측벽(12) 및 제 2 측벽(3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덮개체(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수용 케이스(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삽통하도록 구성된 삽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및 융착 접속기 세트
본 개시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및 융착 접속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0년 10월 15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 2020-174183 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특허문헌 1은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기를 수납 가능한 수용 케이스의 일 예를 개시한다. 이 수납 케이스는 융착 접속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힌지를 거쳐서 분리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수용 케이스의 다른 예를 개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4-074796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0-039002 호 공보 국제 공개 제 WO 2016/042671 호
본 개시는 하나의 측면으로서,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는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케이스이다.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는 제 1 측벽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체를 구비한다. 덮개체는 폐쇄했을 때에 제 1 측벽에 맞춰지는 제 2 측벽을 갖는다.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케이스 본체에 대해 덮개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수용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삽통하도록 구성된 삽통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다른 측면으로서, 융착 접속기 세트를 제공한다. 융착 접속기 세트는 상기의 수용 케이스와,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기를 구비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케이스 본체에 대해 덮개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수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내부에 수용되는 융착 접속기 등의 각종 기기의 도시를 생략한 수용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파선에 의해 둘러싸인 케이스 본체의 일부인 영역(A)의 확대도이며, 밀봉 부재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파선에 의해 둘러싸인 케이스 본체의 일부인 영역(A)의 확대도이며, 밀봉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파선에 의해 둘러싸인 덮개체의 일부인 영역(B)의 확대도이며, 밀봉 부재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파선에 의해 둘러싸인 덮개체의 일부인 영역(B)의 확대도이며, 밀봉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2개의 밀봉 부재에 의해 케이블이 협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트레이를 제 1 영역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트레이를 제 2 영역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하는 XI-XI선에서 수용 케이스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1 바디 접촉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바디 접촉 부재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바디 접촉 부재의 오목부 및 로크 부재의 볼록부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제 2 바디 접촉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1 바디 접촉 부재 및 제 2 바디 접촉 부재가 전개된 상태의 트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융착 접속기에 급전을 실행할 때에는, 융착 접속기와 외부 전원을 급전 케이블에 의해 접속한다. 종래의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융착 접속기에 급전을 실행하는 경우, 케이스 본체와 덮개체 사이에 급전 케이블이 끼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체를 개방된 상태로 해 둘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융착 접속기의 급전시에 있어서는 수용 케이스의 배치 공간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융착 접속기의 급전시에 있어서의 수용 케이스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융착 접속기의 급전시에 있어서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수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효과]
본 개시에 의하면, 하나의 측면으로서, 융착 접속기의 급전시에 있어서의 수용 케이스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내용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 케이스는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케이스이다.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는 제 1 측벽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체를 구비한다. 덮개체는 폐쇄했을 때에 제 1 측벽에 맞춰지는 제 2 측벽을 갖는다.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케이스 본체에 대해 덮개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수용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삽통하도록 구성된 삽통부를 포함한다.
이 수용 케이스에서는, 삽통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수용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이 삽통부에 삽통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스 본체에 대해 덮개체를 폐쇄한 경우여도 케이스 본체와 덮개체 사이에 케이블이 끼이지 않는다. 이에 의해, 이 수용 케이스에 의하면, 끼임에 의한 케이블의 파손(예를 들면, 피복의 손상 등)이 방지된다. 즉, 이 수용 케이스에서는 덮개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융착 접속기의 급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급전시에 있어서의 수용 케이스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로서, 제 1 측벽은 제 1 연부를 가지고, 제 2 측벽은 제 2 연부를 가지며, 케이스 본체에 대해 덮개체를 폐쇄했을 때에 제 1 연부와 제 2 연부는 서로 접촉하여도 좋다. 삽통부는 제 1 연부 및 제 2 연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는 케이스 노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삽통부가 제 1 측벽의 제 1 연부 또는 제 2 측벽의 제 2 연부에 마련된 케이스 노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의해, 케이블을 삽통부에 용이하게 삽통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로서, 케이스 본체에 대해 덮개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삽통부와 케이블의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삽통부와 케이블의 간극으로부터 수용 케이스의 내부로 물방울이나 분진 등이 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수용 케이스에 수용되는 융착 접속기의 고장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로서, 밀봉 부재는 경도가 20 이상 40 이하의 스펀지 고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밀봉 부재가 적절한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케이블 표면에 밀봉 부재가 밀착되기 쉽다. 이에 의해, 삽통부와 케이블의 간극의 밀봉이 보다 적절히 실행되어, 수용 케이스의 방수성 또는 방진성이 향상한다.
일 실시형태로서, 밀봉 부재는 밀봉 부재의 전체가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의 최외주면보다 수용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밀봉 부재가 수용 케이스로부터 박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로서, 밀봉 부재는 제 1 연부에 마련된 제 1 밀봉 부재와, 제 2 연부에 마련된 제 2 밀봉 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제 1 밀봉 부재 및 제 2 밀봉 부재는, 덮개체가 폐쇄되었을 때에 수용 케이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케이블을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여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의 주위에 밀봉 부재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로서,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는 융착 접속기를 탑재 가능한 트레이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트레이는 수용 케이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수용 케이스를 상측 수용 공간 및 하측 수용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케이스 본체에 수용 가능하여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융착 접속 작업에 이용하는 기기나 약품 등의 도구를 수용 케이스 내에 정리하여 수용할 수 있다. 즉, 수용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로서, 트레이의 외주연부에는, 상측 수용 공간과 하측 수용 공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1개의 트레이 노치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측 수용 공간과 하측 수용 공간에 각각 배치된 기기끼리를 트레이 노치를 거쳐서 케이블 접속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접속되는 기기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한다.
일 실시형태로서, 케이스 본체 및 덮개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투명 부재로 이루어지는 창부를 가져도 좋다. 창부는 케이블에 의해 충전되는 융착 접속기의 충전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덮개체를 개방하는 일이 없이 창부를 거쳐서 융착 접속기의 급전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기 세트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 케이스와,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기를 구비한다. 이 융착 접속기 세트에 의하면, 상기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의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 케이스(1) 및 융착 접속기 세트(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 케이스(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덮개체(3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수용 케이스(1)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세트(1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내부에 수용되는 융착 접속기(100) 등의 각종 기기의 도시를 생략한 수용 케이스(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덮개체(3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도 1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0)로부터 덮개체(30)를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도 1의 지면 상하 방향)을 수용 케이스(1)의 두께 방향이라 한다.
우선, 수용 케이스(1)에 의해 수용되는 융착 접속기(1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융착 접속기(100)는 광 파이버끼리를 융착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융착 접속기(100)의 상부에는 커버(101)와, 가열기(102)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101)는 광 파이버끼리를 융착하기 위한 융착부(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장착되어, 융착부로의 바람의 진입을 방지한다. 가열기(102)는 융착부에서 융착된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 부분에 씌워진 파이버 보강 슬리브를 가열 수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융착 접속기(100)는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촬상된 광 파이버끼리의 융착 접속 상황을 표시하는 모니터(103)를 구비하고 있다. 융착 접속기 세트(110)에서는, 융착 접속기(100), 다른 융착 접속 공구 및 비품 등이 수용 케이스(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수용 케이스(1)는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기(100)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다. 수용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10)와, 덮개체(30)와, 트레이(4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30)는 힌지(2)를 거쳐서 케이스 본체(10)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수용 케이스(1)는 힌지(2)를 갖는 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덮개체(30)를 폐쇄한 상태로부터 도 2에 도시하는 덮개체(30)를 개방한 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30)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폐쇄한 상태로 이행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덮개체(30)는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대략 180° 개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덮개체(30)를 개방할 수 있는 각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덮개체(30)는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90° 개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덮개체(30)는 수용 케이스(1)로부터 분리 가능하여도 좋다.
수용 케이스(1)는 환상 형상의 핸들(3)을 구비한다. 핸들(3)은 케이스 본체(10) 중 힌지(2)가 위치하는 측과는 역측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자는 핸들(3)을 쥐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수용 케이스(1)를 운반할 수 있다. 핸들(3)은 덮개체(30)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수용 케이스(1)는 한쌍의 로크 부재(4)를 갖는다. 각 로크 부재(4)는 케이스 본체(10) 및 덮개체(30)의 각각에 마련되어 쌍이 되는 금구로 구성되어 있다. 쌍이 되는 금구끼리 맞물리는 것에 의해, 덮개체(30)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어, 의도하지 않은 덮개체(30)의 개폐가 방지된다.
수용 케이스(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덮개체(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수용 케이스(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삽통하도록 구성된 삽통부(5)를 구비한다. 케이블은, 예를 들면 융착 접속기(100)의 급전에 사용되는 급전 케이블이어도 좋다. 케이블이 급전 케이블인 경우, 케이블의 일단은 융착 접속기(100)에 접속되며, 타단은 외부 전원에 접속된다. 삽통부(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핸들(3)이 위치하는 측을 수용 케이스(1)의 전방측으로 하고, 힌지(2)가 위치하는 측을 후방측으로 한다. 또한, 수용 케이스(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덮개체(30)가 위치하는 측을 수용 케이스(1)의 상측으로 하고, 케이스 본체(10)가 위치하는 측을 하측으로 한다.
케이스 본체(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는 바닥부를 갖는 상자형상 부재이다. 케이스 본체(10)는 바닥판(11) 및 제 1 둘레벽(12)(제 1 측벽)을 갖는다. 바닥판(11)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형상 부재이며, 케이스 본체(10)의 바닥부에 위치한다. 바닥판(11)의 내측 표면에는, 케이스 본체(10)에 수용되는 기기 등의 정돈에 사용 가능한 요철부(11a)가 마련되어 있다. 바닥판(11)의 내측 표면은 요철부(11a)를 갖지 않는 평탄한 면이어도 좋으며, 요철부(11a)보다 높이가 큰 칸막이판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둘레벽(12)은 바닥판(11)의 연부로부터 솟아오르는 벽형상 부재이다. 제 1 둘레벽(12)은 핸들(3)이 마련되는 전방측 둘레벽(12a), 전방측 둘레벽(12a)의 역측에 위치하며 힌지(2)가 마련되는 후방측 둘레벽(12b), 전방측 둘레벽(12a)과 후방측 둘레벽(12b)을 각각 접속하는 좌측 둘레벽(12c) 및 우측 둘레벽(12d)을 갖는다. 좌측 둘레벽(12c)은 케이스 본체(10)를 전방측 둘레벽(12a)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케이스 본체(10)의 좌측에 위치하는 벽형상 부재이며, 우측 둘레벽(12d)은 케이스 본체(10)의 우측에 위치하는 벽형상 부재이다. 전방측 둘레벽(12a) 및 후방측 둘레벽(12b)의 폭은 좌측 둘레벽(12c) 및 우측 둘레벽(12d)의 폭보다 약간 크다. 그 때문에, 케이스 본체(10)의 전체 형상은 전후 방향의 폭보다 좌우 방향의 폭이 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폭이 동일한 형상이어도 좋다.
바닥판(11) 및 제 1 둘레벽(12)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도 좋다. 바닥판(11) 및 제 1 둘레벽(12)의 하측 부분은 동일 또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부재를 적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며, 제 1 둘레벽(12)의 상측 부분보다 두께가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용 케이스(1)가 낙하했을 때에 수용 케이스(1)의 하부에 부여되는 충격으로부터 융착 접속기(100)를 보다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두께의 차이에 기인하여, 제 1 둘레벽(12)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경계 부분에는 단차면(20)이 마련되어 있다. 단차면(20)은 제 1 둘레벽(12)의 내주를 따라서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단차면(20)에는, 트레이(40)(도 2를 참조)의 연부가 탑재된다.
덮개체(30)는 케이스 본체(10)의 개구를 폐색하는 부재이며, 천장판(31) 및 제 2 둘레벽(32)(제 2 측벽)을 갖는다. 천장판(31)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형상 부재이며, 덮개체(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천장판(31)의 내측 표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00)의 형상에 맞는 요철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체(30)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요철부(31a)는 융착 접속기(100)의 상부에 씌워진다. 이에 의해, 수용 케이스(1)의 운반시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100)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천장판(31)은 요철부(31a)를 갖지 않고 평탄한 면이어도 좋다.
제 2 둘레벽(32)은 천장판(31)의 연부로부터 솟아오르는 벽형상 부재이다. 제 2 둘레벽(32)은 전방측 둘레벽(32a), 후방측 둘레벽(32b), 좌측 둘레벽(32c) 및 우측 둘레벽(32d)을 갖는다. 덮개체(30)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둘레벽(32a)은 수용 케이스(1)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벽형상 부재이며, 후방측 둘레벽(32b)은 수용 케이스(1)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벽형상 부재이다. 또한, 좌측 둘레벽(32c)은 수용 케이스(1)의 좌측에 위치하는 벽형상 부재이며, 우측 둘레벽(32d)은 수용 케이스(1)의 우측에 위치하는 벽형상 부재이다. 전방측 둘레벽(32a), 후방측 둘레벽(32b), 좌측 둘레벽(32c) 및 우측 둘레벽(32d)의 폭은, 케이스 본체(10)가 갖는 전방측 둘레벽(12a), 후방측 둘레벽(12b), 좌측 둘레벽(12c) 및 우측 둘레벽(12d)의 폭과 각각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천장판(31) 및 제 2 둘레벽(32)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도 좋다. 천장판(31) 및 제 2 둘레벽(32)은 동일 또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부재를 적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며, 케이스 본체(10)가 갖는 제 1 둘레벽(12)의 상측 부분보다 두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용 케이스(1)의 내부에 수용되는 융착 접속기(1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다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천장판(31) 또는 제 2 둘레벽(32)은 가시광을 투과하는 투명 부재로 이루어지는 창부(W)를 갖고 있다. 창부(W)는, 예를 들면 천장판(31) 또는 제 2 둘레벽(32)에 형성한 개구부에 투명한 수지 부재를 끼워넣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창부(W)는 융착 접속기(100)의 충전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충전 상황을 나타내는 램프가 융착 접속기(100)의 우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창부(W)는 천장판(31)의 우측 둘레벽(32d) 부근의 부분 또는 우측 둘레벽(32d)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창부(W)는 제 2 둘레벽(32)의 우측 둘레벽(32d)에 마련되어 있다. 창부(W)는 덮개체(30)로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 본체(10)의 제 1 둘레벽(12)에 마련되어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의 제 1 둘레벽(12)은 제 1 연부(13)를 가지며, 덮개체(30)의 제 2 둘레벽(32)은 제 2 연부(33)를 갖는다.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덮개체(30)를 폐쇄했을 때에 제 1 연부(13)와 제 2 연부(33)는 서로 접촉한다. 제 1 연부(13)는 제 1 둘레벽(12)의 상단부를 따라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환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 2 연부(33)는 제 1 연부(13)와 마찬가지로, 제 2 둘레벽(32)의 하단부를 따라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환상 형상을 갖고 있다. 제 1 연부(13) 및 제 2 연부(33) 중 로크 부재(4)가 장착된 부분은 케이스 본체(10)의 내측으로 오목하다. 덮개체(30)를 폐쇄했을 때,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연부(13)는 환상 형상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제 2 연부(33)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케이스 본체(10)와 덮개체(30)의 간극으로부터 수용 케이스(1)의 내부에 물방울이나 분진 등이 인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수용 케이스(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체(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삽통 가능한 삽통부(5)(도 1을 참조)를 구비한다. 삽통부(5)는 제 1 연부(13) 및 제 2 연부(33)가 각각 갖는 노치(18, 38)(도 4, 도 6을 참조)로 구성된다. 노치(18, 38)는 케이스 노치를 구성한다. 노치(18)는 제 1 케이스 노치를 구성하고, 노치(38)는 제 2 케이스 노치를 구성한다. 노치(18)는 우측 둘레벽(12d)의 제 1 연부(13)에 마련되어 있으며, 노치(38)는 우측 둘레벽(32d)의 제 2 연부(33)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체(30)를 폐쇄했을 때에, 제 1 둘레벽(12) 및 제 2 둘레벽(3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노치(18)의 적어도 일부는 노치(38)와 중첩된다. 또한, 노치(18, 38)에 있어서는, 제 1 연부(13)는 제 2 연부(33)와 접촉하지 않고 개구부가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노치(18, 38)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파선에 의해 둘러싸인 케이스 본체(10)의 일부(제 1 연부(13) 중 노치(18)가 마련된 부분)인 영역(A)의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19)의 도시를 생략하고, 도 5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19)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파선에 의해 둘러싸인 덮개체(30)의 일부(제 2 연부(33) 중 노치(38)가 마련된 부분)인 영역(B)의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39)의 도시를 생략하고, 도 7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39)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연부(1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면(14)(제 1 단부면) 및 제 1 얇은 벽(15)을 갖는다. 단부면(14)은 제 1 연부(13)를 따라서 마련된 평탄한 면이다. 제 1 얇은 벽(15)은 단부면(14)에 대해 입설하는 벽형상 부재이며, 그 대부분이 제 1 연부(13)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제 1 얇은 벽(15)은 케이스 본체(10)의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5A)를 일부에 갖는다. 오목부(15A)는 한쌍의 횡벽부(16)(제 1 횡벽부)와, 내벽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횡벽부(16)는 제 1 연부(13)의 연장 방향과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케이스 본체(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횡벽부(16)는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횡벽부(16)는 각각의 상단에 상면(16a)을 갖는다. 각 횡벽부(16)의 높이(단부면(14)으로부터 상면(16a)까지의 거리)는, 제 1 얇은 벽(15) 중 오목부(15A)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하, 비오목 부분이라 함)의 높이(단부면(14)으로부터 상면(15a)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내벽부(17)는 제 1 얇은 벽(15)의 비오목 부분보다 케이스 본체(10)의 내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내벽부(17)는 한쌍의 횡벽부(16)의 대향 방향, 즉 제 1 연부(13)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으며, 양 단부가 횡벽부(16)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내벽부(17)는 상단에 상면(17a)을 갖는다. 내벽부(17)의 중앙 부분에는, 노치(18)가 마련되어 있다. 노치(18)는 케이스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이 삽통되는 부분이다. 노치(18)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완만하게 만곡되는 바닥면(18a)을 갖는다. 또한, 노치(18)의 단부와 상면(17a)의 접속 부분은 모서리 제거가 실시된 것과 같이 매끄럽게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노치(18)에 케이블을 배치할 때, 상기 접속 부분에 케이블이 접촉된 경우여도 케이블의 피복 등이 손상되기 어렵다. 내벽부(17)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노치(18)의 폭은 상면(17a)측으로부터 단부면(14)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치(18)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닥부가 뾰족해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내벽부(17) 중 횡벽부(16)와 접속하는 양단 부분보다, 노치(18)에 근접하는 부분쪽이 높이(단부면(14)으로부터 상면(17a)까지의 거리)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치(18)에 삽통된 케이블이 노치(18)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벽부(17)는 단부면(14)측으로부터 상면(17a)측을 향함에 따라서 두께가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부면(14)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19)(제 1 밀봉 부재)가 배치된다. 밀봉 부재(19)는 덮개체(30)가 갖는 밀봉 부재(39)(도 7을 참조)와 협력하여, 노치(18, 38)와 당해 노치(18, 38)에 삽통되는 케이블의 간극을 밀봉한다. 밀봉 부재(19)는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밀봉 부재(19)의 재료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마이크로셀 폴리머 시트여도 좋다. 밀봉 부재(19)의 경도는 2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밀봉 부재(19)의 경도는 JIS 규격 K6253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밀봉 부재(19)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이 제 1 연부(13)의 연장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밀봉 부재(19)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쌍의 단부면(19a)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단부면(19a)은 횡벽부(16)의 벽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 간극에 의해, 케이블을 사이에 두었을 때에 밀봉 부재(19)가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단부면(19a)은 밀봉 부재(19)에 의한 케이블의 보지를 저해하지 않도록 횡벽부(16)의 벽면과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밀봉 부재(19)는 한쌍의 단부면(19a)끼리를 접속하는 4개의 측면을 갖는다. 4개의 측면 중, 단부면(14)과 접촉하는 면(도시하지 않음)을 하측면으로 하고, 당해 하측면과 대향하는 면을 상측면(19b)으로 한다. 또한, 하측면과 상측면(19b)을 접속하는 측면을 외측면(19c) 및 내측면(19d)으로 한다. 외측면(19c) 및 내측면(19d)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외측면(19c)은 내측면(19d)보다 케이스 본체(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측면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부면(14)에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밀봉 부재(19)가 제 1 연부(13)에 대해 고정된다. 밀봉 부재(19)의 고정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부면(14)이 돌기부를 갖는 경우, 당해 돌기부를 하측면에 파고 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해 밀봉 부재(19)가 고정되어도 좋다. 상측면(19b)은 상면(16a)보다 단부면(14)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즉, 밀봉 부재(19)의 두께(하측면으로부터 상측면(19b)까지의 폭)는 횡벽부(16)의 높이보다 크다. 또한, 상측면(19b)은 노치(18)의 바닥면(18a)(도 4를 참조)보다 단부면(14)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즉, 외측면(19c)으로부터 밀봉 부재(19)를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밀봉 부재(19)의 적어도 일부는 노치(18)와 중첩된다. 이에 의해, 노치(18)에 케이블을 삽통시켰을 때, 케이블이 밀봉 부재(19)의 내부로 약간 가라앉도록 배치된다.
외측면(19c)은 제 1 얇은 벽(15)의 비오목 부분의 벽면보다 케이스 본체(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무엇보다, 외측면(19c)은 제 1 얇은 벽(15)의 비오목 부분의 벽면보다 케이스 본체(10)의 내측, 즉 제 1 얇은 벽(15)의 오목부(15A)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내측면(19d)은 내벽부(17)의 벽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무엇보다, 내측면(19d)은 내벽부(17)의 벽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밀봉 부재(19)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밀봉 부재(19)는, 예를 들면 입방체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밀봉 부재(19)의 상측면(19b)에는, 외측면(19c)과 내측면(19d)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홈부가 마련되며, 당해 홈부에 케이블이 배치되어도 좋다.
제 2 연부(33)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면(34)(제 2 단부면) 및 제 2 얇은 벽(35)을 갖는다. 단부면(34)은 제 2 연부(33)를 따라서 마련된 평탄한 면이다. 제 2 얇은 벽(35)은 단부면(34)에 대해 입설하는 벽형상 부재이며, 그 대부분이 제 2 연부(33)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제 2 얇은 벽(35)은 한쌍의 횡벽부(36)(제 2 횡벽부) 및 외벽부(37)를 갖는다. 각 횡벽부(36)는 제 2 연부(33)의 연장 방향과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덮개체(3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횡벽부(36)는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횡벽부(36)는 각각의 상단에 상면(36a)을 갖는다. 각 횡벽부(36)의 높이(단부면(34)으로부터 상면(36a)까지의 거리)는, 제 2 얇은 벽(35) 중 제 2 연부(33)를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의 높이(단부면(34)으로부터 상면(35a)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외벽부(37)는 제 2 연부(33)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외벽부(37) 중, 한쌍의 횡벽부(36)의 대향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외벽부(37) 중 한쌍의 횡벽부(36)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노치(38)가 마련되어 있다. 노치(38)는 케이스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이 삽통된다. 노치(38)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완만하게 만곡되는 바닥면(38a)을 갖는다. 또한, 노치(38)의 단부와 상면(35a)의 접속 부분은 모서리 제거가 실시된 것과 같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치(38)에 케이블을 배치할 때, 상기 접속 부분에 케이블이 접촉한 경우여도 케이블의 피복 등이 손상되기 어렵다. 제 2 연부(33)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노치(38)의 폭은 상면(35a)으로부터 단부면(34)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치(38)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닥부가 뾰족해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단부면(34)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39)(제 2 밀봉 부재)가 배치된다. 밀봉 부재(39)는, 케이스 본체(10)가 갖는 밀봉 부재(19)(도 5를 참조)와 협력하여,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덮개체(30)를 폐쇄했을 때에, 노치(18, 38)와 당해 노치(18, 38)에 삽통되는 케이블의 간극을 밀봉한다. 밀봉 부재(39)는, 상술한 밀봉 부재(19)와 마찬가지로,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밀봉 부재(39)의 재료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마이크로셀 폴리머 시트여도 좋다. 밀봉 부재(39)의 경도는 2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밀봉 부재(39)의 경도 측정은, 상술한 밀봉 부재(19)의 경도 측정과 동일한 규격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밀봉 부재(39)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이 제 2 연부(33)의 연장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밀봉 부재(39)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쌍의 단부면(39a)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단부면(39a)은 횡벽부(36)의 벽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지만, 횡벽부(36)의 벽면과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밀봉 부재(39)는 한쌍의 단부면(39a)끼리를 접속하는 4개의 측면을 갖는다. 4개의 측면 중, 단부면(34)(도 6을 참조)과 접촉하는 면(도시하지 않음)을 하측면으로 하고, 당해 하측면과 대향하는 면을 상측면(39b)으로 한다. 또한, 하측면과 상측면(39b)을 접속하는 측면을 외측면(39c) 및 내측면(39d)으로 한다. 외측면(39c) 및 내측면(39d)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외측면(39c)은 내측면(39d)보다 덮개체(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밀봉 부재(39)의 하측면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부면(34)에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밀봉 부재(39)가 제 2 연부(33)에 대해 고정된다. 밀봉 부재(39)의 고정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부면(34)이 돌기부를 갖는 경우, 당해 돌기부를 하측면에 파고 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해 밀봉 부재(39)가 고정되어도 좋다. 상측면(39b)은 상면(36a)보다 단부면(34)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즉, 밀봉 부재(39)의 두께(하측면으로부터 상측면(39b)까지의 폭)는 횡벽부(36)의 높이보다 크다. 또한, 상측면(39b)은 노치(38)의 바닥면(38a)보다 단부면(34)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즉, 내측면(39d)으로부터 밀봉 부재(39)를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밀봉 부재(39)의 적어도 일부는 노치(38)와 중첩된다. 노치(38)에 케이블을 삽통시켰을 때, 케이블이 밀봉 부재(39)의 내부로 약간 가라앉도록 배치된다.
외측면(39c)은 대향하는 제 2 얇은 벽(35)의 벽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무엇보다, 외측면(39c)은 당해 벽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내측면(39d)은 각 횡벽부(36)의 단부보다 덮개체(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무엇보다, 내측면(39d)은 각 횡벽부(36)의 단부보다 덮개체(30)의 외측, 즉 한쌍의 횡벽부(36)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밀봉 부재(39)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밀봉 부재(39)는, 예를 들면 입방체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밀봉 부재(39)의 상측면(39b)에는, 외측면(39c)과 내측면(39d)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홈부가 마련되며, 당해 홈부에 케이블이 배치되어도 좋다.
도 8은 밀봉 부재(19) 및 밀봉 부재(39)에 의해 케이블(C)이 협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밀봉 부재(39) 이외의 덮개체(30)의 구성 요소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케이블(C)은 융착 접속기(100)의 급전에 사용하는 급전 케이블이어도 좋다. 케이스 본체(10)의 노치(18)에 케이블(C)을 삽통시킨 상태에서 덮개체(30)를 폐쇄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19)와 밀봉 부재(39)가 케이스 본체(1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도록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밀봉 부재(19)의 상측면(19b)(도 5를 참조)과 밀봉 부재(39)의 상측면(39b)(도 7을 참조)이 접촉한다. 덮개체(3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덮개체(30)의 제 2 얇은 벽(35)(도 7을 참조)은 케이스 본체(10)의 제 1 얇은 벽(15) 및 밀봉 부재(19, 39)보다 수용 케이스(1)의 외측에 위치한다. 즉, 수용 케이스(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노치(18), 밀봉 부재(19, 39), 노치(38)의 순서대로 나열되어 위치한다. 제 2 얇은 벽(35)의 외측 벽면은 제 1 둘레벽(12) 및 제 2 둘레벽(32)의 최외주면이 된다.
케이블(C)은 밀봉 부재(19)와 밀봉 부재(39)의 사이에 협지된다. 밀봉 부재(19) 및 밀봉 부재(39)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밀봉 부재(19) 및 밀봉 부재(39)는 케이블(C)의 형상에 맞추어 변형되어, 케이블(C)의 피복과 밀착된다. 케이블(C)은 수용 케이스(1)의 내부로부터 노치(18), 밀봉 부재(19) 및 밀봉 부재(39)의 사이, 노치(38)를 통하여 수용 케이스(1)의 외부로 연장된다. 케이블(C)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00)의 급전에 이용되는 급전 케이블이어도 좋으며, 융착 접속기(100)에서의 융착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 폰 등)의 급전에 이용되는 급전 케이블이어도 좋다. 2개 이상의 케이블(C)이 밀봉 부재(19)와 밀봉 부재(39)의 사이에 협지되어도 좋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트레이(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트레이(40)를 제 1 영역(50)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트레이(40)를 제 2 영역(60)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하는 XI-XI선에서 수용 케이스(1)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트레이(40)를 제외하는 케이스 본체(10)에 수용되는 각종 기기 및 덮개체(3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트레이(40)를 케이스 본체(10)에 수용했을 때에(도 2를 참조), 케이스 본체(10)의 전방측 둘레벽(12a)에 면하는 측을 트레이(40)의 전방측으로 하고, 후방측 둘레벽(12b)에 면하는 측을 트레이(40)의 후방측으로 하고, 좌측 둘레벽(12c)에 면하는 측을 트레이(40)의 좌측으로 하고, 우측 둘레벽(12d)에 면하는 측을 트레이(40)의 우측으로 한다. 트레이(40)는 트레이 본체(41)와,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와,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를 구비한다.
트레이 본체(41)는 융착 접속기(100) 등을 수용 케이스(1) 내에서 정리하여 수용하는 동시에,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 작업에 사용하는 작업대이다. 작업자는 트레이 본체(41)를 자신의 몸(예를 들면, 복부)의 앞에 위치시키고, 트레이 본체(41) 상에서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한다. 트레이 본체(41)의 외주연부에는, 한쌍의 장벽부(42) 및 한쌍의 단벽부(43)가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장벽부(42)는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트레이(40)의 좌우 방향(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벽형상 부재이다. 한쌍의 단벽부(43)는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트레이(40)의 전후 방향(제 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벽형상 부재이다. 한쌍의 장벽부(42) 및 한쌍의 단벽부(43)의 상측 단부는 후술하는 제 1 영역(50)의 연부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영역(50) 내에 탑재된 융착 접속 작업에 사용하는 도구 등이 트레이 본체(41)의 외부로부터 흘러 떨어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쌍의 장벽부(42) 중, 트레이(4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장벽부(42)를 전방측 장벽부(42a)(한쪽의 장벽부)로 하고, 트레이(40)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장벽부(42)를 후방측 장벽부(42b)로 한다. 또한, 한쌍의 단벽부(43) 중, 트레이(40)의 좌측에 위치하는 단벽부(43)를 좌측 단벽부(43a)로 하고, 트레이(40)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벽부(43)를 우측 단벽부(43b)로 한다.
전방측 장벽부(42a)는 융착 접속 작업시에 작업자의 몸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전방측 장벽부(42a)의 표면은 트레이 본체(41)의 외측(전방측)으로부터 내측(후방측)을 향하여 약간 볼록하게 되는 완만한 곡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몸에 전방측 장벽부(42a)가 피트되어, 트레이(40)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전방측 장벽부(42a)는 작업자의 허리에 주회되는 벨트가 장착되는 한쌍의 제 1 장착부(44)를 갖는다. 각 제 1 장착부(44)는 전방측 장벽부(42a)의 좌우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제 1 장착부(44)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벨트를 삽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업자는 스스로 허리에 감은 벨트를 각 제 1 장착부(44)에 통하게 하여, 트레이(40)를 고정한 상태로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좌측 단벽부(43a) 및 우측 단벽부(43b)는 작업자의 목에 주회되는 스트랩이 장착되는 제 2 장착부(45)를 각각 갖는다. 각 제 2 장착부(45)는 트레이(4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좌측 단벽부(43a) 및 우측 단벽부(43b)의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제 2 장착부(45)는 트레이(40)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때, 우선 작업자는 스트랩의 양단에 마련된 후크(예를 들면, 카라비나)를 2개의 구멍에 통하게 하는 것에 의해, 스트랩을 트레이 본체(41)에 장착한다. 그 후, 작업자는 스트랩을 목에 걸치는 것에 의해, 트레이 본체(41)를 계속 파지하는 일이 없이,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후방측 장벽부(42b)의 우측 부분 및 우측 단벽부(43b)의 전방측 부분에는, 트레이 본체(41)의 내측으로 오목한 노치(46, 47)가 마련되어 있다. 노치(46, 47)는 트레이 노치를 구성한다. 이들 노치(46, 47)는 트레이(40)를 케이스 본체(10)에 수용했을 때, 트레이(40)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과 트레이(40)의 하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갖는다. 여기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트레이(40)의 수용 태양에 대해 설명한다.
트레이(4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의 개구로부터 내부로 수용된다. 트레이 본체(41)의 전방측 장벽부(42a) 및 후방측 장벽부(42b)의 하측 단부는 케이스 본체(10)의 단차면(20)에 접촉한다. 수용 케이스(1)의 내부 공간은 트레이(40)에 의해 상측 수용 공간(S1) 및 하측 수용 공간(S2)으로 구획된다. 상측 수용 공간(S1)은 덮개체(30)(도시하지 않음)와 트레이(4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상측 수용 공간(S1)에는, 융착 접속기(100), 리무버 등의 작업용 기구 및 약품을 수용하는 용기 등이 수용되어도 좋다. 하측 수용 공간(S2)은 케이스 본체(10)와 트레이(4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하측 수용 공간(S2)에는, 융착 접속기(100)의 급전에 사용하는 AC 어댑터 또는 배터리 등이 수용되어도 좋다.
노치(46, 47)는 상술한 상측 수용 공간(S1)과 하측 수용 공간(S2)을 연결하는 역할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중에 AC 어댑터를 구비하는 급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융착 접속기(100)의 급전을 실행할 때에, 하측 수용 공간(S2)에 AC 어댑터를 수용한다고 한다. 이 경우, 급전 케이블 중 AC 어댑터로부터 융착 접속기(100)로 연장되는 부분은 노치(46)를 거쳐서 하측 수용 공간(S2)으로부터 상측 수용 공간(S1)으로 인출된다. 한편, AC 어댑터로부터 외부 전원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노치(47)를 거쳐서 하측 수용 공간(S2)으로부터 상측 수용 공간(S1)으로 인출된다. 급전 케이블 중 노치(47)로부터 상측 수용 공간(S1)으로 인출된 부분은 수용 케이스(1)의 삽통부(5)(노치(18, 38))를 거쳐서 수용 케이스(1)의 외부로 인출되어도 좋다.
트레이 본체(4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장벽부(42) 및 한쌍의 단벽부(43)에 의해 획정되는(둘러싸이는) 제 1 영역(50) 및 제 2 영역(60)을 갖는다. 제 1 영역(50)은 트레이(40)의 상하 방향(제 3 방향)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41)의 한쪽측(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제 2 영역(60)은, 트레이(4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41)에서 제 1 영역(50)과는 역측(트레이 본체(41)의 다른쪽측(하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제 1 영역(5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영역이다. 제 1 영역(50)에는, 융착 접속 작업에 사용하는 융착 접속기(100) 등의 각종 기기가 탑재된다. 제 1 영역(50)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융착 접속기(100)가 탑재되는 탑재부(51)가 마련되어 있다. 탑재부(51)는 트레이 본체(41)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융착 접속기(100)를 탑재 가능한 크기의 바닥면을 갖고 있다. 바닥면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다.
탑재부(51)의 주위에는, 탑재부(51)에 탑재된 융착 접속기(100)의 이동을 규제하는 전방 규제부(52), 한쌍의 측방 규제부(53) 및 후방 규제부(54)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 규제부(52)는 제 1 영역(50)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벽형상 부재이며, 탑재부(51)의 전방측 코너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각 측방 규제부(53)는 트레이(40)의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지주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2개의 지주의 상측 단부를 접속하는 봉형상의 접속부를 갖는 아치 형상의 부재이다. 한쌍의 측방 규제부(53)는 트레이(4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탑재부(51)를 끼우도록 마련되어 있다. 후방 규제부(54)는 한쌍의 측방 규제부(53)의 후방측 단부를 접속하는 플레이트 부재이다. 제 1 영역(50)에는, 트레이 본체(41)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의 수용 오목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55)에는, 융착 접속 작업에 사용하는 약품의 용기(예를 들면, 핸드랩)가 수용된다. 또한, 제 1 영역(50) 중 전방측 장벽부(42a) 근방에는, 트레이 본체(41)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의 삽입 오목부(56)가 마련되어 있다. 삽입 오목부(56)는 후술하는 제 2 바디 접촉 부재(80)의 삽입부(83)(도 14를 참조)가 삽입된다.
제 2 영역(60)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영역이며 제 1 영역(50)의 역측에 위치한다. 제 2 영역(60)에는, 트레이 본체(41)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의 오목부(61)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61)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트레이 본체(41)의 내부에 공동(cavity)이 생겨, 트레이 본체(41)의 경량화가 실현된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61)끼리의 사이에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비임부(62)가 마련되며, 트레이 본체(41)의 강도 저하가 억제되어 있다. 제 2 영역(60)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체가 평탄한 면 형상이어도 좋다. 제 2 영역(60)에는, 제 1 바디 접촉 부재(70) 및 제 2 바디 접촉 부재(80)가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 1 바디 접촉 부재(70) 및 제 2 바디 접촉 부재(8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제 1 바디 접촉 부재(7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오목부(72a) 및 로크 부재(65)의 볼록부(65a)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1 바디 접촉 부재(70) 및 제 2 바디 접촉 부재(80)가 전개된 상태의 트레이(4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1 바디 접촉 부재(70)는 융착 접속 작업시에 작업자의 몸에 접촉하는 부재이다. 제 1 바디 접촉 부재(7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축부(71), 한쌍의 연결부(72), 본체부(73) 및 한쌍의 레그부(74)를 갖는다. 한쌍의 축부(71)는 동일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한쌍의 축부(71)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각 축부(71)는 트레이 본체(41)의 제 2 영역(60)에 마련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삽입된다. 한쌍의 축부(71)와, 트레이 본체(41)에 마련된 오목부는 힌지 기구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제 1 바디 접촉 부재(70)는 트레이 본체(41)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수용 상태(도 10을 참조)와, 트레이 본체(41)에 입설되는 전개 상태(도 15를 참조)의 사이를 이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바디 접촉 부재(70)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장벽부(42a)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한쌍의 연결부(72)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축부(71)와 본체부(73)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각 연결부(72)는 내측 표면에 오목부(72a)를 갖는다. 당해 오목부(72a)는 로크 부재(65)가 갖는 볼록부(65a)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로크 부재(65)에 대해 설명한다. 로크 부재(65)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 본체(41)의 제 2 영역(60)에 마련되어 있다. 로크 부재(65)는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수용 상태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로크 부재(65)는, 도 13의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볼록부(65a)를 외측에 갖는다.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65)의 각 볼록부(65a)가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각 오목부(72a)에 각각 끼워져, 제 1 바디 접촉 부재(70)가 걸림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수용 상태가 유지된다. 제 1 바디 접촉 부재(70)를 수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로크 부재(65)의 양 단부를 내측(도 13에 도시하는 화살표(D) 방향)으로 압입하여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걸림고정을 해제한다.
본체부(73) 및 한쌍의 레그부(74)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판형상 부재이다.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전개 상태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73)는 전방측 장벽부(42a)를 따라서 트레이(4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레그부(74)는 본체부(73)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을 기단으로 하여 트레이 본체(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트레이(40)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각 레그부(74)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의 내측에 오목부(74a)를 갖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수용 상태에 있어서는, 한쌍의 레그부(74)의 사이의 공간에 제 2 바디 접촉 부재(80)가 수용된다. 이 때, 각 레그부(74)의 오목부(74a)에 후술하는 제 2 바디 접촉 부재(80)의 볼록부(84a)가 끼워져, 제 2 바디 접촉 부재(80)가 한쌍의 레그부(74)의 사이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각 레그부(74)의 길이(Z)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 본체(41)의 상하 방향을 따른 길이(두께)(X)보다 크다. 예를 들면, 각 레그부(74)의 길이(Z)는 트레이 본체(41)의 길이(X)의 2배 이상이어도 좋다. 트레이 본체(41)의 길이(X)는, 예를 들면 40㎜ 이상 80㎜ 이하여도 좋다. 각 레그부(74)의 길이(Z)는, 예를 들면 80㎜ 이상 120㎜ 이하여도 좋다. 또한, 트레이 본체(41)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본체부(73)의 폭(Y)은 각 레그부(74)의 길이(Z)보다 작다. 예를 들면, 본체부(73)의 폭(Y)은 각 레그부(74)의 길이(Z)의 2분의 1이하여도 좋으며, 4분의 1 이하여도 좋다.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수용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레그부(74)의 사이의 공간에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40)의 제 2 영역(60)에는, 트레이(40)를 지지하는 삼각대를 접속하는 접속부(E)가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접속부(E)는 제 2 바디 접촉 부재(80)와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접속부(E)는 제 3 방향으로부터 보아 한쌍의 레그부(74)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 접속부(E)는 트레이 본체(4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한쌍의 레그부(74)의 사이의 공간(도 10에 있어서 제 2 바디 접촉 부재(80)가 위치하는 공간)과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접속부에 삼각대를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부(73) 및 한쌍의 레그부(74)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 접속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자의 몸과 접촉하는 외표면(75)을 갖는다. 외표면(75)은 본체부(73) 및 한쌍의 레그부(74)의 표면 중,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전개 상태(도 15를 참조)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41)의 내측(후방측)으로부터 외측(전방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전방측)의 표면이다. 외표면(75)은 트레이 본체(41)의 내측(후방측)을 향하여 약간 볼록하게 되는 완만한 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외표면(75)은 그 전체가 곡면이 아니어도 좋으며, 부분적으로 곡면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체부(73)의 표면만이 곡면이어도 좋다. 또한, 외표면(75)은 곡면 형상을 갖지 않는 전체가 평면이어도 좋다.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는 융착 접속 작업시에 작업자의 몸에 접촉하는 부재이다.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부(81), 한쌍의 삽입부(83) 및 한쌍의 볼록부(84a)를 갖는다. 판부(81)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판형상 부재이다. 판부(81)는 외표면(82)을 갖는다. 외표면(82)은 제 2 바디 접촉 부재(80)가 트레이 본체(41)에 입설하는 전개 상태(도 15를 참조)에 있어서, 트레이 본체(41)의 내측(후방측)으로부터 외측(전방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전방측)의 표면이다. 외표면(82)은 트레이 본체(41)의 내측(후방측)을 향하여 약간 볼록하게 되는 완만한 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외표면(82)은 그 전체가 곡면이 아니어도 좋으며, 부분적으로 곡면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외표면(82)은 곡면 형상을 갖지 않는 전체가 평면이어도 좋다.
한쌍의 삽입부(83)는 판부(81)의 하측 단부로부터 판부(81)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이다. 각 삽입부(83)는 도 9에 도시하는 제 1 영역(50)의 삽입 오목부(56)에 삽입된다. 삽입부(83)는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를 트레이 본체(4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는 트레이 본체(41)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수용 상태(도 10을 참조)와, 트레이 본체(41)에 입설되는 전개 상태(도 15를 참조)의 사이를 이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장벽부(42a)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한쌍의 볼록부(84a)는 외표면(82)을 사이에 두도록 대향하는 한쌍의 횡측면(84)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를 한쌍의 레그부(74)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했을 때(도 10을 참조), 각 볼록부(84a)는 한쌍의 레그부(74) 각각에 마련된 오목부(74a)에 끼워져, 제 2 바디 접촉 부재(80)가 한쌍의 레그부(74)의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 케이스(1)에서는, 삽통부(5)가 마련되며, 수용 케이스(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삽통부(5)에 삽통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덮개체(30)를 폐쇄한 경우여도 케이스 본체(10)와 덮개체(30)의 사이에 케이블이 끼워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 수용 케이스(1)에 의하면, 끼임에 의한 케이블의 파손(예를 들면, 피복의 손상 등)이 방지된다. 즉, 덮개체(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융착 접속기(100)의 급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급전시에 있어서의 수용 케이스(1)의 배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둘레벽(12)은 제 1 연부(13)를 가지며, 제 2 둘레벽(32)은 제 2 연부(33)를 가지며,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덮개체(30)를 폐쇄했을 때에 제 1 연부(13)와 제 2 연부(33)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삽통부(5)는 제 1 연부(13) 및 제 2 연부(3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는 노치(18, 38)를 포함하고 있다. 삽통부(5)가 제 1 둘레벽(12)의 제 1 연부(13) 또는 제 2 둘레벽(32)의 제 2 연부(33)에 마련된 노치(18, 38)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의해, 케이블을 삽통부(5)에 용이하게 삽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본체(10)에 대해 덮개체(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삽통부(5)와 케이블의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19, 39)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삽통부(5)와 케이블의 간극으로부터 수용 케이스(1)의 내부로 물방울이나 분진 등이 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수용 케이스(1)에 수용되는 융착 접속기(100)의 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부재(19, 39)는 경도가 20 이상 40 이하의 스펀지 고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밀봉 부재(19, 39)가 적절한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케이블의 표면에 밀봉 부재가 밀착되기 쉽다. 이에 의해, 삽통부(5)와 케이블의 간극의 밀봉이 보다 적절히 실행되어, 수용 케이스(1)의 방수성 또는 방진성이 향상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부재(19, 39)는, 밀봉 부재(19, 39)의 전체가 제 1 둘레벽(12) 및 제 2 둘레벽(32)의 최외주면보다 수용 케이스(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밀봉 부재(19, 39)가 수용 케이스(1)로부터 벗겨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부재(19, 39)는 제 1 연부(13)에 마련된 밀봉 부재(19)(제 1 밀봉 부재)와, 제 2 연부(33)에 마련된 밀봉 부재(39)(제 2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밀봉 부재(19) 및 밀봉 부재(39)는, 덮개체(30)가 폐쇄되었을 때에 수용 케이스(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케이블을 사이에 두도록 위치한다. 이 경우, 케이블의 주위에 밀봉 부재(19, 39)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융착 접속기(100)의 수용 케이스(1)는 융착 접속기(100)를 탑재 가능한 트레이(40)를 더 구비한다. 트레이(40)는 수용 케이스(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수용 케이스(1)를 상측 수용 공간(S1) 및 하측 수용 공간(S2)으로 구획하도록 케이스 본체(10)에 수용 가능하다. 이 경우, 융착 접속 작업에 이용하는 기기나 약품 등의 도구를 수용 케이스(1) 내에 정리하여 수용할 수 있다. 즉, 수용 케이스(1)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레이(40)의 외주연부에는, 상측 수용 공간(S1)과 하측 수용 공간(S2)을 연결하는 노치(46, 47)가 마련된다. 이 경우, 상측 수용 공간(S1)과 하측 수용 공간(S2)에 각각 배치된 기기(예를 들면, 융착 접속기(100)와 AC 어댑터)끼리를 노치(46, 47)를 거쳐서 케이블 접속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접속되는 기기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본체(10) 및 덮개체(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투명 부재로 이루어지는 창부(W)를 가져도 좋다. 창부(W)는 케이블에 의해 충전되는 융착 접속기(100)의 충전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덮개체(30)를 개방하는 일이 없이 창부(W)를 거쳐서 융착 접속기(100)의 급전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이 삽통되는 삽통부(5)는 노치(18, 38)가 아닌, 케이스 본체(10)의 제 1 둘레벽(12) 또는 덮개체(30)의 제 2 둘레벽(32)에 마련된 관통 구멍이어도 좋으며, 이 관통 구멍에 케이블을 삽통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관통 구멍에 밀봉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제 1 바디 접촉 부재(70)는 제 2 바디 접촉 부재(80)와 마찬가지로 트레이 본체(41)에 대해 착탈 가능하여도 좋다. 이 경우, 트레이 본체(41)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의 수용 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제 1 바디 접촉 부재(70)는 제 2 바디 접촉 부재(80)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는 제 1 바디 접촉 부재(70)와 마찬가지로 힌지 기구를 거쳐서 트레이 본체(41)와 접속되며, 트레이 본체(41)의 제 1 영역(50)측에 절첩되도록 하여 수용 가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는, 수용 상태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100) 등과 접촉하지 않도록 중앙부가 공동의 U자 형상(제 1 바디 접촉 부재(70)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 1 바디 접촉 부재(70) 및 제 2 바디 접촉 부재(80)는, 전개 상태와 수용 상태 사이의 이행을 용이하게 실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1: 수용 케이스 2: 힌지
3: 핸들 4: 로크 부재
5: 삽통부 10: 케이스 본체
11: 바닥판 11a: 요철부
12: 제 1 둘레벽 12a, 32a: 전방측 둘레벽
12b, 32b: 후방측 둘레벽 12c, 32c: 좌측 둘레벽
12d, 32d: 우측 둘레벽 13: 제 1 연부
14, 34: 단부면 15: 제 1 얇은 벽
15A: 오목부 16, 36: 횡벽부
15a, 16a, 17a, 35a, 36a: 상면 17: 내벽부
18, 38: 노치 18a, 38a: 바닥면
19, 39: 밀봉 부재 19a, 39a: 단부면
19b, 39b: 상측면 19c, 39c: 외측면
19d, 39d: 내측면 20: 단차면
30: 덮개체 31: 천장판
31a: 요철부 32: 제 2 둘레벽
33: 제 2 연부 35: 제 2 얇은 벽
37: 외벽부 40: 트레이
42: 장벽부 42a: 전방측 장벽부
42b: 후방측 장벽부 43: 단벽부
43a: 좌측 단벽부 43b: 우측 단벽부
44: 제 1 장착부 45: 제 2 장착부
46, 47: 노치 50: 제 1 영역
51: 탑재부 52: 전방 규제부
53: 측방 규제부 54: 후방 규제부
55: 수용 오목부 56: 삽입 오목부
60: 제 2 영역 61: 오목부
62: 비임부 65: 로크 부재
65a: 볼록부 70: 제 1 바디 접촉 부재
71: 축부 72: 연결부
72a: 오목부 73: 본체부
74: 레그부 74a: 오목부
75: 외표면 80: 제 2 바디 접촉 부재
81: 판부 82: 외표면
83: 삽입부 84: 횡측면
84a: 볼록부 100: 융착 접속기
101: 커버 102: 가열기
103: 모니터 110: 융착 접속기 세트
A: 영역 B: 영역
C: 케이블 E: 접속부
S1: 상측 수용 공간 S2: 하측 수용 공간
W: 창부

Claims (15)

  1.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케이스에 있어서,
    제 1 측벽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폐쇄했을 때에 상기 제 1 측벽에 맞춰지는 제 2 측벽을 갖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해 상기 덮개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삽통하도록 구성된 삽통부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제 1 연부를 갖고, 상기 제 2 측벽은 제 2 연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해 상기 덮개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제 1 연부와 상기 제 2 연부는 서로 접촉하며,
    상기 삽통부는 상기 제 1 연부 및 상기 제 2 연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되는 케이스 노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해 상기 덮개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삽통부와 상기 케이블의 간극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경도가 20 이상 40 이하의 스펀지 고무로 구성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밀봉 부재의 전체가 상기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의 최외주면보다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 1 연부에 마련된 제 1 밀봉 부재와, 상기 제 2 연부에 마련된 제 2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밀봉 부재 및 상기 제 2 밀봉 부재는, 상기 덮개체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수용 케이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제 1 연부를 갖고, 상기 제 2 측벽은 제 2 연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해 상기 덮개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제 1 연부와 상기 제 2 연부는 서로 접촉하며,
    상기 삽통부는 상기 제 1 연부에 마련되는 제 1 케이스 노치와, 상기 제 2 연부에 마련되는 제 2 케이스 노치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부에 마련되는 제 1 밀봉 부재와,
    상기 제 2 연부에 마련되는 제 2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밀봉 부재 및 상기 제 2 밀봉 부재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해 상기 덮개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제 1 케이스 노치 및 상기 제 2 케이스 노치와 상기 케이블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봉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 노치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밀봉 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스 노치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밀봉 부재 및 상기 제 2 밀봉 부재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대해 상기 덮개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수용 케이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사이에 두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부는 제 1 단부면과, 상기 제 1 단부면에 대해 입설하는 제 1 얇은 벽을 가지며,
    상기 제 1 얇은 벽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오목부는 한쌍의 제 1 횡벽부와, 상기 한쌍의 제 1 횡벽부의 대향 방향으로 신장되는 내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케이스 노치는 상기 제 1 얇은 벽의 상기 내벽부에 마련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부는 제 2 단부면과, 상기 제 2 단부면에 대해 입설하는 제 2 얇은 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얇은 벽은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연장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벽부로부터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으로 신장되는 한쌍의 제 2 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케이스 노치는 상기 제 2 측벽의 상기 외벽부 중, 상기 한쌍의 상기 제 2 횡벽부의 대향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접속기를 탑재 가능한 트레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를 상측 수용 공간 및 하측 수용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수용 가능한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상측 수용 공간과 상기 하측 수용 공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1개의 트레이 노치가 마련되어 있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상기 덮개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투명 부재로 이루어지는 창부를 가지며,
    상기 창부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충전되는 상기 융착 접속기의 충전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는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기를 구비하는
    융착 접속기 세트.
KR1020237015513A 2020-10-15 2021-10-12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및 융착 접속기 세트 KR20230088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4183 2020-10-15
JPJP-P-2020-174183 2020-10-15
PCT/JP2021/037770 WO2022080382A1 (ja) 2020-10-15 2021-10-12 融着接続機の収容ケース、及び融着接続機セ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744A true KR20230088744A (ko) 2023-06-20

Family

ID=8120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513A KR20230088744A (ko) 2020-10-15 2021-10-12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및 융착 접속기 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73686A1 (ko)
EP (1) EP4230547A4 (ko)
JP (1) JPWO2022080382A1 (ko)
KR (1) KR20230088744A (ko)
CN (1) CN116209628A (ko)
WO (1) WO202208038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002A (ja) 2008-07-31 2010-02-18 Fujikura Ltd 融着接続機用のキャリング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光ファイバ融着接続作業方法
JP2014074796A (ja) 2012-10-04 2014-04-2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システム
WO2016042671A1 (ja) 2014-09-19 2016-03-24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機の収納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072B2 (ja) * 1989-01-30 1998-07-3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ケース
JPH08327848A (ja) * 1995-05-30 1996-12-13 Toudentsuu:Kk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の防風装置
JP4162983B2 (ja) * 2002-12-10 2008-10-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機
US7693385B1 (en) * 2007-11-28 2010-04-06 TNR Communications, LLC Workstation for fiber optic splicer
JP2011203534A (ja) * 2010-03-26 2011-10-13 Sumitomo Electric Ind Ltd 接続補強器及び融着接続機
JP2012141357A (ja) * 2010-12-28 2012-07-26 Sei Optifrontier Co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SG182878A1 (en) * 2011-02-01 2012-08-30 Amrtur Corp Sdn Bhd Fiber optic splicing system
US8952377B2 (en) 2011-07-08 2015-02-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9002A (ja) 2008-07-31 2010-02-18 Fujikura Ltd 融着接続機用のキャリング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光ファイバ融着接続作業方法
JP2014074796A (ja) 2012-10-04 2014-04-2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システム
WO2016042671A1 (ja) 2014-09-19 2016-03-24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機の収納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73686A1 (en) 2023-11-23
EP4230547A4 (en) 2024-03-20
WO2022080382A1 (ja) 2022-04-21
EP4230547A1 (en) 2023-08-23
JPWO2022080382A1 (ko) 2022-04-21
CN116209628A (zh)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6434B1 (en) Closure for cable connection
EP3794391B1 (en) Butt closures and organizer assemblies therefor
EP2888617B1 (en) Field installable optical module with configurable cable attachment and internal cable management features
US8985876B2 (en) Ferrule holder
US20200383441A1 (en) Eyewear case
KR20140004693A (ko) 광 파이버 융착 접속 장치
US10718919B2 (en) Field-installable optical module with configurable cable attachment and internal cable management features
JP2007324032A (ja) 電池収納ケース
KR20230088744A (ko) 융착 접속기의 수용 케이스, 및 융착 접속기 세트
KR100669076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의 포장컨테이너
KR20230088384A (ko) 융착 접속 작업용의 트레이, 및 융착 접속기 세트
EP4325266A2 (en) Organizer assemblies for fiber optic closures
JP2018063790A (ja) 背負い式電源システム
US20190187379A1 (en) Neck-hung operation tray for fusion splicer
JPH09243859A (ja) 光コンセント
CN211381238U (zh) 内窥镜盒体
JP4932319B2 (ja) 光クロージャ
JP2001042158A (ja) 光接続部保持構造および光クロージャ
CN212965549U (zh) 一种皮线接头用的光缆保护盒
JP2022047328A (ja) 光ファイバトレイ
CN212118095U (zh) 内窥镜盒体
CN218368809U (zh) 包装盒及纸板结构
JP7244907B2 (ja) 携帯機器用ビューワー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機器
CN210902901U (zh) 内窥镜盒体
KR19980060699U (ko)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